KR20170072310A - 회전 각도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각도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310A
KR20170072310A KR1020177013907A KR20177013907A KR20170072310A KR 20170072310 A KR20170072310 A KR 20170072310A KR 1020177013907 A KR1020177013907 A KR 1020177013907A KR 20177013907 A KR20177013907 A KR 20177013907A KR 20170072310 A KR20170072310 A KR 20170072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in
root
rotation angle
angl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334B1 (ko
Inventor
사토루 나카다
가즈토시 야마조에
겐지 오쿠다
유스케 이소노
고 이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 G01D5/204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by a movable ferromagnetic element, e.g. a c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4/00Machines adapted for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rotating parts, e.g. synchro, selsy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링 형상의 코어 백(11A)으로부터 직경 방향(Z)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11B)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11)와, 티스(11B)에 권회되는 권선(12)과,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체(13)를 구비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에 의해 이루어지는 리졸버 방식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이며, 티스(11B)의 선단측 플랜지(14)와, 티스(11B)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는 칸막이 판(15)과, 티스(11B)의 근원측 벽(16)을 구비하고, 칸막이 판(15)의 축방향의 일방의 측면인 제 1 측면(15A)에,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1 절입부(151)를 마련하고,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입선(171)과 제 2 인출선(172)이, 제 1 절입부(151)를 통과하여 있다.

Description

회전 각도 검출 장치{TURNING ANGL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리졸버 방식(resolver-type)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각도 검출 장치로서,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갭 퍼미언스(gap permeance)의 변화를 이용하고, 스테이터와 로터의 회전 각도에 따른 출력 신호를 스테이터의 권선로부터 얻는 리졸버 방식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가 있다.
종래의 리졸버 방식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이후에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라고 함)는 스테이터의 티스에, 출력 권선인 COS 권선과 SIN 권선 및 여자 권선 중 적어도 2종류의 권선이 감겨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권회된 1개의 권선 상에 다른 권선을 거듭하여 권회하므로, 먼저 감겨진 권선의 정렬성이 다음에 감겨지는 권선의 정렬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먼저 감겨진 권선의 정렬성에 따라서는, 다음에 감겨지는 권선의 정렬성이 악화되고,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가 커진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로서, 티스의 스테이터 직경 방향(이하, 직경 방향이라고 함)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칸막이를 마련하고, 이 칸막이에 의해 COS 권선 영역과 SIN 권선 영역으로 나누어진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는, COS 권선 영역과 SIN 권선 영역을 칸막이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나누고 티스에 마련하는 구조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어서, 티스에 칸막이를 마련하여 여자 권선과 출력 권선을, 직경 방향으로 나누어서 티스에 설치하는 구조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107111 호 공보(제 2 페이지, 제 1 도)
일본 공개 특허 제 2007-322132 호 공보(제 9-10 페이지, 제 6-7 도)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는 것과 같은, 티스에 칸막이를 마련하고, 각 권선을 직경 방향으로 분리하여 티스에 마련하는 구조에서는, 티스의 선단측(직경 방향 내측)의 권선 영역에 권회된 권선의 점퍼선(jumper wire)이, 티스의 근원측(직경 방향 외측)의 권선 영역에 권회된 권선 또는 점퍼선과 간섭할 우려가 있어서,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리스크가 높아진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각 권선을 티스에 칸막이를 마련하여 직경 방향으로 분리하고 티스에 설치하고 있는, 권선의 정렬성이 뛰어난 구조이며, 또한, 티스의 선단측에 권회된 권선의 점퍼선이 티스의 근원측에 권회된 권선 또는 점퍼선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하는 리졸버 방식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가, 링 형상의 코어 백(core back)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티스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권선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상기 티스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티스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는 칸막이판과, 상기 티스의 근원부에 마련되어 있는 근원측 벽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칸막이판 사이에, 상기 권선에 있어서의 선단측 권선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판과 상기 근원측 벽 사이에 상기 권선에 있어서의 근원측 권선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판의 축방향의 일방의 측면인 제 1 측면에,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1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측 권선의 권취 개시의 제 1 인입선과 상기 선단측 권선의 권취 종료의 제 1 인출선이 상기 제 1 절입부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선단측 권선의 권취 개시의 제 1 인입선과 권취 종료의 제 1 인출선이 제 1 절입부를 통과하여 있으므로, 선단측 권선의 점퍼선이, 근원측 권선 또는 근원측 권선의 점퍼선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어서,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에 마련되는 칸막이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지면 좌방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에 마련되는 칸막이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지면 우방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에 마련되는 칸막이판 및 근원측 벽의 구조를 도시하는 지면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부를 둘레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의 일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의 타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의 일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의 타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부를 둘레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직경 방향, 축방향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스테이터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X), 직경 방향(Z), 축방향(Y)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 모식도이다.
다만, 권선(12)은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스테이터(1)와, 스테이터(1)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로터(2)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1)는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2)과, 절연체(13)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11)는 링 형상의 코어 백(11A) 및 코어 백(11A)으로부터 직경 방향(Z)에 대해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11B)를 갖는다.
권선(12)은 티스(11B)에 권회되어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13)는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2)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이다.
통상, 도 1에 있어서는, 코어 백(11A)으로부터 직경 방향(Z)에 대해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11B)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11)의 내측에 로터(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는, 코어 백(11A)으로부터 직경 방향(Z)에 대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11B)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이 스테이터 코어(11)의 외측에 로터(2)가 배치되어 있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권선(12)은 여자 권선과 COS 출력 권선과 SIN 출력 권선의 3종류가 있다.
로터(2)는 스테이터(1)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터(2)의 외주는 스테이터(1)에 대한 회전 각도에 따르고, 스테이터(1)와의 갭 퍼미언스를 정현파(正弦波) 형상으로 변화시키는 요철의 형상이 되어 있다.
여자 권선에 흘려지는 교류 전류에 의해서, 스테이터(1)에 자계가 발생하고, COS 출력 권선과 SIN 출력 권선에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COS 출력 권선과 SIN 출력 권선은, 스테이터(1)에 대한 회전 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위상이 서로 90° 상이하도록, 턴수가 각각 설정되어 권회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11)의 티스(11B)의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2는 권선(12)이 권회되기 전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1)에는, 티스(11B)의 선단부에 선단측 플랜지(14)가 마련되어 있고, 티스(11B)의 중간부에 칸막이판(15)이 마련되어 있으며, 티스(11B)의 근원부에 근원측 벽(1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측 플랜지(14)의 플랜지면과, 칸막이판(15)의 판면과, 근원측 벽(16)의 직경 방향(Z)의 벽면은 각각이, 직경 방향(Z)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15)에 있어서의 축방향(Y)의 일방의 측면(이하, 제 1 측면이라 함)(15A)에,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절입(이하, 제 1 절입부라고 함)(151)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절입부(151)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1 폭(W1)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2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Y)에서, 제 1 측면(15A)과 동일한 측에 있는 근원측 벽(16)의 일방의 단면(이하, 제 1 단면이라 함)(16A)에는, 축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근원 핀[이하, 근원 핀군(20)이라 함]이 마련되어 있다.
근원 핀군(20)은 쌍이 되는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 및 쌍이 되는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티스(11B)마다, 이 근원 핀군(2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이, 직경 방향(Z)으로 칸막이판(15)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 1 간격(S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근원 핀(201)의 둘레 방향(X)의 외측["둘레 방향(X)의 외측"이란, 둘레 방향(X)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티스(11B)로부터 둘레 방향(X)에 있어서 이격되는 측을 가리키는 것임.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함]의 위치에 제 3 근원 핀(203)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근원 핀(202)의 둘레 방향(X)의 외측의 위치에, 제 4 근원 핀(20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은 제 2 간격(S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티스(11B)마다, 이들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과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의 근원 핀군(20)을 각각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 방향(X)의 외측에 있는,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은 인접하는 티스(11B)와 공유해도 좋다.
또한,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 사이의 제 1 단면(16A)에는,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절입(이하, 제 2 절입부라고 함)(141)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절입부(14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3 폭(W3)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4 폭(W4)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3은 권선(12)이 권회된 후의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티스(11B)에 있어서의,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 사이에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되어 있고,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16) 사이에 근원측 권선(18)이 권회되어 있다.
모든 티스(11B)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이 마련되어 있고,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 중 어느 일방을 여자 권선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스테이터(1)의 티스(11B)의 수를 짝수개로 하고 있고,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 중 어느 일방을 여자 권선로 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모든 티스(11B)에 둘레 방향(X)으로 번호를 매겨서, 홀수 번째의 티스(11B)에 있어서의, 여자 권선이 아닌 선단측 권선(17) 또는 근원측 권선(18)을 COS 출력 권선로 하면, 짝수 번째의 티스(11B)에 있어서의, 여자 권선이 아닌 선단측 권선(17) 또는 근원측 권선(18)이 SIN 출력 권선이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 있어서, 회전 각도 θ를 검출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터(2)의 철극(凸極)수가 N이고, 스테이터(1)의 티스(11B)의 수가 2M인 경우, m번째의 티스(11B)에, 여자 권선을 식(1)에서 나타내는 턴수만큼 권회하고, COS 출력 권선을 식(2)에서 나타내는 턴수만큼 권회한다.
여자 권선의 권회 개시와 권회 종료 사이에 전위차를 주면, COS 출력 권선의 권취 개시와 권취 종료 사이에, 스테이터(1)에 대한 로터(2)의 회전 각도 θ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이 COS 출력이며, 식(4)에서 나타낸다.
또한, m번째의 티스(11B)에, 여자 권선을 식(1)에서 나타내는 턴수만큼 권회하고, SIN 출력 권선을 식(3)에서 나타내는 턴수만큼 권회한다.
여자 권선의 권취 개시와 권취 종료 사이에 전위차를 주면, SIN 출력 권선의 권취 개시와 권취 종료 사이에, 스테이터(1)에 대한 로터(2)의 회전 각도 θ에 다른 전압을 발생한다. 이 전압이 SIN 출력이며, 식(5)에서 나타낸다.
즉, COS 출력과 SIN 출력으로부터, 스테이터(1)에 대한 로터(2)의 회전 각도 θ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이 절연체(13)를 개재시켜서 스테이터 코어(11)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16)과 근원 핀군(20)을 절연재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선단측 권선(17)이 근원측 권선(18)과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일체로 하여 동시에 티스(11B)에 조립 장착하고, 스테이터 코어(11)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를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권선(12)을 형성하는 경우, 티스(11B)에, 근원측 권선(18)이 권회된 후에,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근원측 권선(18)의 권취 개시 부분의 인입선(이하, 제 2 인입선이라 함)(181)이 제 1 근원 핀(201)에 걸려 있고, 근원측 권선(18)의 권취 종료 부분의 인출선(이하, 제 2 인출선이라 함)(182)이 제 2 근원 핀(202)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2 인입선(181)과 제 2 인출선(182)은 제 2 절입부(141)를 통과하여 있다.
또한, 제 2 인출선(182)이 인접하는 다른 티스(11B)의 제 2 인입선(181)과 연결되고, 근원측 권선(18)의 점퍼선을 형성하여 있다.
또한, 선단측 권선(17)의 권취 개시 부분의 인입선(이하, 제 1 인입선이라 한)(171)이 제 3 근원 핀(203)에 걸려 있고, 선단측 권선(17)의 권취 종료 부분의 인출선(이하, 제 1 인출선이라 함)(172)이 제 4 근원 핀(204)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은 제 1 절입부(151)를 통과하여 있다.
또한, 제 1 인출선(172)이 인접하는 티스(11B)의 제 1 인입선(171)과 연결되고, 선단측 권선(17)의 점퍼선을 형성하여 있다.
선단측 권선(17)의 제 1 인입선(171) 및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입선(181)은, 권선(12)의 권취 개시이기 때문에, 티스(11B) 상의 위치로 인입된다.
또한, 선단측 권선(17)의 제 1 인출선(172) 및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182)은 권선(12)의 권취 종료이기 때문에, 권선(12)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 즉, 티스(11B) 상으로부터 축방향(Y)으로 이격된 위치로 인출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제 2 인입선(181)을 거는 제 1 근원 핀(201)의 둘레 방향(X)의 외측에, 제 1 인입선(171)을 거는 제 3 근원 핀(203)이 있고, 제 2 인출선(182)을 거는 제 2 근원 핀(202)의 둘레 방향(X)의 외측에, 제 1 인출선(172)을 거는 제 4 근원 핀(204)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 및 제 1 인출선(172)이, 제 2 인입선(181) 및 제 2 인출선(182)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에 마련되는 칸막이판(1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지면 좌방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도 5는 지면 우방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에 마련되는 칸막이판 및 근원측 벽의 구조를 도시하는 지면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4 내지 도 6은 권선(12)이 권회되기 전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티스부를 둘레 방향(X)에서 바라본 측면 모식도이다. 통상, 도 7은 권선(12)이 권회된 후의 도면이다.
다만,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은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15)의 제 1 절입부(15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1 폭(W1)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2 폭(W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티스(11B)에 선단측 권선(17)을 권선 노즐로 권회하는 경우에서도, 권선 노즐이 통과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선단측 권선(17)을 형성하는 전선을 임의의 권회 개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선단측 권선(17)의 형성 시에, 권선 노즐이 굵은 경우에서도, 좁은 형상으로 전선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선단측 권선(17)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가 억제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절입부(151)에는, 단차부(152)가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152)는, 축방향(Y)의 단면(이하, 단차 단면이라 함)(152A)이 제 1 측면(15A)보다 축방향(Y)으로 내측이 되어 있고, 선단측 플랜지(14)와 대향하는 단차면(152B)이, 칸막이판(15)의 선단측 플랜지(14)와 대향하는 대향면(15B)보다 근원측 벽(16)측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절입부(14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3 폭(W3)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4 폭(W4)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티스(11B)에 근원측 권선(18)을 권선 노즐로 권회하는 경우에서도, 권선 노즐이 통과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근원측 권선(18)을 형성하는 전선을 임의의 권취 개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근원측 권선(18)의 형성 시에, 권선 노즐이 굵은 경우에서도, 좁은 형상으로 전선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근원측 권선(18)을 얻을 수 있고,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가 억제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티스(11B)로부터 단차 단면(152A)까지의 제 1 거리(L1)가, 티스(11B)로부터 선단측 권선(17)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2 거리(L2) 및 티스(11B)로부터 근원측 권선(18)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L3) 중 어느 것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티스(11B)로부터 제 1 측면(15A)까지의 제 5 거리(L5)가, 제 2 거리(L2)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거리(L1)는 제 3 거리(L3)보다 긴 것만으로도 좋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선단측 권선(17)의 형성 시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인입선(171)을 칸막이판(15)의 제 1 절입부(151)에 거는 동시에, 단차부(152) 위를 통과시키고, 근원측 벽(16)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출선(172)을 칸막이판(15)의 제 1 절입부(151)에 거는 동시에, 단차부(152) 위를 통과시키고, 근원측 벽(16)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더욱 안정된 선단측 권선(17)을 얻을 수 있고,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게다가,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근원측 권선(18)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티스(11B)로부터 선단측 플랜지(14)의 축방향(Y)의 측면(이하, 플랜지 측면이라 함)(14A)까지의 거리(이하, 제 4 거리라고 함)(L4)가, 제 2 거리(L2)보다 크고 제 5 거리(L5)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서는, 선단측 권선(17)의 형성 시에, 선단측 권선(17)을 권선 노즐로 권회하는 경우,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되는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의 간격(B)이, 권선 노즐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서도, 칸막이판(15)에, 제 1 인입선(171) 및 제 1 인출선(172)을 걸 수 있으므로, 안정된 선단측 권선(17)을 얻을 수 있고,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티스(11B)로부터 제 1 단면(16A)까지의 제 6 거리(L6)는, 제 3 거리(L3)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근원측 권선(18)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신뢰성에도 뛰어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1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하면, 칸막이판의 축방향의 일방의 측면인 제 1 측면에,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1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입선과 제 1 인출선이, 제 1 절입부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점퍼선이, 근원측 권선 또는 근원측 권선의 점퍼선과는 제 1 절입부에 의해 분별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되어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제 1 절입부에는, 축방향의 단차 단면이 제 1 측면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선단측 플랜지와 대향하는 단차면이 칸막이판의 선단측 플랜지와 대향하는 대향면보다 근원측 벽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고, 티스로부터 단차부의 축방향의 단차 단면까지의 제 1 거리가, 티스로부터 근원측 권선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이, 근원측 권선의 권선 위치에서 축방향 외측의 단차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근원측 권선에 간섭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방지한 신뢰성이 더욱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제 1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1 폭이, 제 1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2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 노즐로 권회하는 경우에서도, 권선 노즐이 통과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선단측 권선을 형성하는 전선을 임의의 권취 개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게다가, 티스로부터 선단측 플랜지의 축방향의 측면까지의 제 4 거리가, 티스로부터 선단측 권선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2 거리보다 길고, 또한, 티스로부터 제 1 측면까지의 제 5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을 권선 노즐로 감는 경우, 선단측 권선이 권회되는 선단측 플랜지와 칸막이판의 간격이, 권선 노즐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서도, 칸막이판의 제 1 절입부에, 제 1 인입선 및 제 1 인출선을 확실히 걸 수 있으므로, 안정된 선단측 권선을 얻을 수 있고, 각도 검출 정도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게다가, 근원측 벽의 축방향의 제 1 단면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근원 핀군, 제 1 근원 핀, 제 2 근원 핀, 제 3 근원 핀 및 제 4 근원 핀이 마련되고,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입선이 제 1 근원 핀에 걸려 있고,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이 제 2 근원 핀에 걸리고,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입선이 제 3 근원 핀에 걸려 있으며,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이 제 4 근원 핀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 및 제 2 인입선이 각각 다른 근원 핀에 걸려 있기 때문에, 각각이 간섭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제 1 근원 핀과 제 2 근원 핀은, 직경 방향으로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제 3 근원 핀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제 4 근원 핀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 및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 및 제 2 인입선이 한층 확실히 분산되고, 각각이 간섭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하고 있으며,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제 3 근원 핀과 제 4 근원 핀이, 인접하는 티스와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제 1 근원 핀과 제 2 근원 핀 사이의, 근원측 벽의 축방향의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2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인입선과 제 2 인출선은, 제 2 절입부를 통과하므로, 선단측 권선이 근원측 권선에 간섭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방지한 신뢰성이 더욱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제 2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3 폭은, 제 2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4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 노즐로 권회하는 경우에서도, 권선 노즐이 통과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근원측 권선을 형성하는 전선을 임의의 권취 개시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게다가, 선단측 플랜지와 칸막이판과 근원측 벽과 근원 핀군을, 절연재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과 근원측 권선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한다.
게다가, 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플랜지와 칸막이판과 근원측 벽과 근원 핀군과 절연체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일체로 하여(일체물로 하여) 동시에 티스에 조립 장착하고, 스테이터 코어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제 1 절입부, 단차부, 및 근원 핀군의 모두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제 1 절입부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선단측 권선의 점퍼선이 근원측 권선 또는 근원측 권선의 점퍼선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Y)의 일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Y)의 타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8 및 도 9는 권선(12)이 권회되기 전의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되는 근원측 벽(316)의 구조와 근원 핀군(20)의 배치가 다른 스테이터 코어(311)를 이용한 것 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근원측 벽(316)은, 축방향(Y)으로, 칸막이 판(15)의 제 1 측면(15A)과 동일 방향의 근원측 벽(316)의 단면(이하, 제 1 단면이라 함)(316A)에, 쌍이 되는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이 마련되어 있다.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은 직경 방향(Z)으로 칸막이(15)와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X)으로 제 2 간격(S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X)의 제 2 간격(S2)은 칸막이판(15)의 둘레 방향(X)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 사이에는, 절입부는 마련되지 않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원측 벽(316)의, 제 1 단면(316A)과 축방향(Y)에 있어서 반대측에 있는 근원측 벽(316)의 단면(이하, 제 2 단면이라 함)(316B)에, 쌍이 되는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은 직경 방향(Z)으로 칸막이판(15)과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X)으로 제 1 간격(S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X)의 제 1 간격(S1)은 칸막이판(15)의 둘레 방향(X)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 사이의 제 2 단면(316B)에는,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제 2 절입부(3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절입부(34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3 폭(W3)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4 폭(W4)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티스(11B)마다,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과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의 근원 핀군(2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316)과 근원 핀군(20)을 절연재로 형성해도 좋고, 선단측 권선(17)이 근원측 권선(18)과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3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3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일체로 하여 동시에 티스(11B)에 조립 장착하여, 스테이터 코어(311)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Y)의 일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을 축방향(Y)의 타방측에서 바라본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10 및 도 11은 권선(12)이 권회된 후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8과 동일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와 동일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권선(12)의 형성 시, 스테이터(301)의 티스(11B)에, 근원측 권선(18)이 권회된 후에,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측 권선(17)은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제 1 단면(316A)의 측으로 되어 있고, 제 1 인입선(171)이 제 3 근원 핀(203)에 걸려 있으며, 제 1 인출선(172)이 제 4 근원 핀(204)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제 1 절입부(151)를 통과하여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원측 권선(18)은 제 2 인입선(181)과 제 2 인출선(182)이, 제 2 단면(316B)의 측으로 되어 있고, 제 2 인입선(181)이 제 1 근원 핀(201)에 걸려 있으며, 제 2 인출선(182)이 제 2 근원 핀(202)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2 인입선(181)과 제 2 인출선(182)이 제 2 절입부(341)를 통과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는, 스테이터(301)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 1 인입선(171) 및 제 1 인출선(172)이 제 2 인입선(181) 및 제 2 인출선(182)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티스(11B)로부터 제 1 단면(316A)까지의 제 6 거리가, 티스(11B)로부터 근원측 권선(18)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티스(11B)로부터 단차 단면(152A)까지의 제 1 거리도 상기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근원측 권선(18)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신뢰성에도 뛰어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2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와 동일한 효과를 이루는 것은 물론이고, 제 1 근원 핀과 제 2 근원 핀이, 제 1 단면과 축방향에 있어서 반대측이 되는 근원측 벽의 타방의 단면인 제 2 단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 및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 및 제 2 인입선이, 둘레 방향 및 축방향에 있어서 확실히 분산되어, 각각이 간섭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근원 핀군을 축방향에 있어서 분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근원 핀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의 자유도가 커진다.
(실시형태 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12는 권선(12)이 권회되기 전의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근원측 벽(416)에 있어서의 근원 핀군(20)의 배치가 다른 스테이터 코어(411)를 이용한 것 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근원측 벽(416)은 축방향(Y)으로, 제 1 측면(15A)과 동일 방향의 근원측 벽(416)의 제 1 단면(416A)에 근원 핀군(20)으로서,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과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이 마련되어 있다.
쌍이 되는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은, 직경 방향(Z)으로 칸막이판(15)과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X)으로 제 1 간격(S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X)의 제 1 간격(S1)은 칸막이판(15)의 둘레 방향(X)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쌍이 되는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은, 제 1 근원 핀(201) 및 제 2 근원 핀(202)보다 직경 방향(Z)에 대해 티스(11B)의 근원측의 위치에, 둘레 방향(X)으로 제 2 간격(S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X)의 제 2 간격(S2)보다 둘레 방향(X)의 제 1 간격(S1)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 사이의 제 1 단면(416A)에는,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제 2 절입부(4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절입부(44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3 폭(W3)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4 폭(W4)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각각의 티스(11B)마다,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과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의 근원 핀군(2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와 마찬가지로,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416)과 근원 핀군(20)을 절연재로 형성해도 좋고, 선단측 권선(17)이 근원측 권선(18)과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4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4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일체로 하여 동시에 티스(11B)에 조립 장착하여, 스테이터 코어(411)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13은 권선(12)이 권회된 후의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권선의 형성 시, 스테이터(401)의 티스(11B)에, 근원측 권선(18)이 권회된 후에,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인입선(181)이 제 1 근원 핀(201)에 걸려 있고, 제 2 인출선(182)이 제 2 근원 핀(202)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2 인입선(181)과 제 2 인출선(182)은 제 2 절입부(441)를 통과하여 있다.
또한, 제 1 인입선(171)이 제 3 근원 핀(203)에 걸려 있고, 제 1 인출선(172)이 제 4 근원 핀(204)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은 제 1 절입부(151)를 통과하여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제 1 인입선(171)을 걸고 있는 제 3 근원 핀(203)과 제 1 인출선(172)을 걸고 있는 제 4 근원 핀(204)이, 제 2 인입선(181)을 걸고 있는 제 1 근원 핀(201) 및 제 2 인출선(182)을 걸고 있는 제 2 근원 핀(202)보다, 직경 방향(Z)에 있어서 티스(11B)의 근원 측에 있는 동시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근원 핀(201)과 제 2 근원 핀(202)의 둘레 방향(X)의 제 1 간격(S1)이, 제 3 근원 핀(203)과 제 4 근원 핀(204)의 둘레 방향(X)의 제 2 간격(S2)보다 넓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제 2 인입선(181) 및 제 2 인출선(182)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티스(11B)로부터 제 1 단면(416A)까지의 거리인 제 6 거리가, 티스(11B)로부터 근원측 권선(18)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티스(11B)로부터 단차 단면(152A)까지의 제 1 거리도 상기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근원측 권선(18)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신뢰성에도 뛰어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3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이루는 것은 물론이고, 제 1 근원 핀과 제 2 근원 핀이, 직경 방향으로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3 근원 핀과 제 4 근원 핀이, 제 1 근원 핀 및 제 2 근원 핀보다 티스의 근원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근원 핀과 제 2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제 1 간격이, 제 3 근원 핀과 제 4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제 2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 및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 및 제 2 인입선이, 축방향에 있어서 확실히 분산되어, 각각이 간섭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근원 핀군을 축방향에 있어서 분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근원 핀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의 자유도가 커진다.
(실시형태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14는 권선(12)이 권회되기 전의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근원측 벽(516)에 있어서의 근원 핀군(20)의 구성이 다른 스테이터 코어(511)를 이용한 것 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근원측 벽(516)에는 축방향(Y)으로, 제 1 측면(15A)과 동일한 측에 있는 근원측 벽(516)의 일방의 제 1 단면(516A)에, 근원 핀군(20)으로서, 제 1 근원 핀(541)과 제 2 근원 핀(542)과 제 3 근원 핀(543)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근원 핀(541)과 제 2 근원 핀(542)이 직경 방향(Z)으로 칸막이판(15)과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Z)으로 제 1 간격(S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근원 핀(541)의 둘레 방향(X)의 외측의 위치에, 제 3 간격(S3)을 두고 제 3 근원 핀(203)이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X)의 제 1 간격(S1)은 칸막이판(15)의 둘레 방향(X)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근원 핀(541)과 제 2 근원 핀(542) 사이의 제 1 단면(516A)에는,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제 2 절입부(441)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절입부(441)는 축방향(Y)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3 폭(W3)이, 축방향(Y)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X)의 제 4 폭(W4)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근원 핀(542)과 제 3 근원 핀(543) 사이의 제 1 단면(516A)에는, 축방향(Y)으로 오목한 제 3 절입부(442)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절입부(442)는 권선(12)의 둘레 방향(X)에 있어서, 근원측 권선(18)의 둘레 방향(X)의 최외주의 위치보다 둘레 방향(X)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근원 핀(541), 제 2 근원 핀(542), 제 3 근원 핀(543)의 축방향(Y)의 단면에는, 축방향(Y)에 있어서 오목한 계단부(541A, 542A, 54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근원 핀(541, 542, 543)의 축방향(Y)의 최외측의 단면으로부터 티스(11B)까지의 제 8 거리(L8)는, 계단부(541A, 542A, 543A)로부터 축방향(Y)의 티스(11B)까지의 제 7 거리(L7)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7 거리(L7)는 티스(11B)로부터 제 1 단면(516A)까지의 제 6 거리(L6)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6 거리(L6)는 티스(11B)로부터 근원측 권선(18)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L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티스(11B)마다, 제 1 근원 핀(541), 제 2 근원 핀(542), 및 제 3 근원 핀(543)의 근원 핀군(2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00)에서도,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516)과 근원 핀군(20)을 절연재로 형성해도 좋고, 선단측 권선(17)이 근원측 권선(18)과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5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측 플랜지(14)와 칸막이판(15)과 근원측 벽(516)과 근원 핀군(20)과 절연체(13)를, 일체로 하여 동시에 티스(11B)에 조립 장착하고, 스테이터 코어(511)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티스 부분의 사시 모식도이다. 통상, 도 15는 권선(12)이 권회된 후의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권선의 형성 시, 스테이터(501)의 티스(11B)에, 근원측 권선(18)이 권회된 후에, 선단측 권선(17)이 권회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인입선(181)은 제 1 근원 핀(541)에 걸려서, 제 1 근원 핀(541)과 제 2 근원 핀(542) 사이를 통과하여 있다. 그리고, 제 2 인입선(181)은 제 2 절입부(441)를 통과하여, 제 1 단면(516A) 상을 통과하여 있다.
또한, 제 2 인출선(182)은 제 3 근원 핀(543)에 걸려서, 제 2 근원 핀(542)과 제 3 근원 핀(543)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 2 인출선(182)은 제 3 절입부(442)를 통과하여, 제 1 단면(516A) 상을 통과하여 있다.
또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은 제 1 근원 핀(541)과 제 2 근원 핀(542)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 1 인입선(171)은 제 1 근원 핀(541)의 계단부(541A) 상을 통과한다. 또한, 제 1 인출선(172)은 제 2 근원 핀(542)의 계단부(542A) 및 제 3 근원 핀(543)의 계단부(543A) 상을 통과하여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제 2 인입선(181) 및 제 2 인출선(182)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티스(11B)로부터 제 1 단면(516A)까지의 거리인 제 6 거리(L6)가, 티스(11B)로부터 근원측 권선(18)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L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티스(11B)로부터 단차 단면(152A)까지의 제 1 거리(L1)도 상기 제 3 거리(L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입선(171)과 제 1 인출선(172)이, 근원측 권선(18)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17)과 근원측 권선(18)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하는 동시에, 선단측 권선(17) 및 근원측 권선(18) 중 적어도 일방이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신뢰성에도 뛰어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4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이루는 것은 물론이고,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이 제 2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제 2 근원 핀의 계단부 상 및 제 3 근원 핀의 계단부 상을 통과하고,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이 제 1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제 1 단면상을 통과하며,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입선이 제 3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제 1 단면상을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 및 제 1 인입선,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 및 제 2 인입선이 각각 근원 핀, 계단부, 또는 제 1 단면을 통과하여 있기 때문에, 각각이 간섭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 신뢰성이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제 2 근원 핀과 제 3 근원 핀 사이에,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3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근원측 권선의 제 2 인출선이 제 3 절입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선단측 권선에 간섭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고 있고, 권선 또는 점퍼선이 단선하는 것을 한층 방지한 신뢰성이 더욱 뛰어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각 실시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하는 리졸버 방식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가 링 형상의 코어 백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권선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상기 티스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티스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는 칸막이 판과, 상기 티스의 근원부에 마련되어 있는 근원측 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칸막이 판 사이에, 상기 권선에 있어서의 선단측 권선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 판과 상기 근원측 벽 사이에 상기 권선에 있어서의 근원측 권선이 권회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 판의 축방향의 일방의 측면인 제 1 측면에,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1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측 권선의 권취 개시의 제 1 인입선과 상기 선단측 권선의 권취 종료의 제 1 인출선이 상기 제 1 절입부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입부에는, 축방향의 단차 단면이 상기 제 1 측면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대향하는 단차면이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대향하는 대향면보다 상기 근원측 벽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티스로부터 상기 단차부의 축방향의 상기 단차 단면까지의 제 1 거리가, 상기 티스로부터 상기 근원측 권선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3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1 폭이, 상기 제 1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2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로부터 상기 제 1 측면까지의 제 4 거리가,
    상기 티스로부터 상기 선단측 권선의 최외주의 권선 위치까지의 제 2 거리보다 길고, 또한 상기 티스로부터 상기 제 1 측면까지의 제 5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에는, 상기 근원측 벽의 축방향의 단면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근원 핀군으로서, 둘레 방향으로 제 1 간격을 두고 쌍이 되어 있는 제 1 근원 핀 및 제 2 근원 핀과, 둘레 방향으로 제 2 간격을 두고 쌍이 되어 있는 제 3 근원 핀 및 제 4 근원 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근원측 권선의 권취 개시의 제 2 인입선이 상기 제 1 근원 핀에 걸려 있고, 상기 근원측 권선의 권취 종료의 제 2 인출선이 상기 제 2 근원 핀에 걸려 있으며,
    상기 제 3 근원 핀 및 상기 제 4 근원 핀은 상기 제 1 측면과 동일한 측이 되는 상기 근원측 벽의 일방의 단면인 제 1 단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입선이 상기 제 3 근원 핀에 걸려 있고, 상기 선단측 권선의 제 1 인출선이 상기 제 4 근원 핀에 걸려서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은 상기 제 1 단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이, 직경 방향으로 상기 칸막이 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상기 제 3 근원 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상기 제 4 근원 핀이 배치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근원 핀과 상기 제 4 근원 핀이, 인접하는 상기 티스와 공유되고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이, 상기 제 1 단면과 축방향에 있어서 반대측이 되는 상기 근원측 벽의 타방의 단면인 제 2 단면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은 상기 제 1 단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이, 직경 방향으로 상기 칸막이 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근원 핀과 상기 제 4 근원 핀이, 상기 제 1 근원 핀 및 상기 제 2 근원 핀보다 상기 티스의 근원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3 근원 핀과 상기 제 4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상기 제 2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에는, 상기 제 1 측면과 동일한 측이 되는 상기 근원측 벽의 일방의 단면인 제 1 단면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근원 핀군으로서, 둘레 방향으로 제 1 간격을 두고 제 1 근원 핀 및 제 2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의 둘레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제 3 간격을 두고 제 3 근원 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근원 핀, 상기 제 2 근원 핀 및 상기 제 3 근원 핀의 축방향의 단면은 계단부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선단측 권선의 상기 제 1 인입선이 상기 제 1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제 1 근원 핀의 상기 계단부 상을 통과하고,
    상기 선단측 권선의 상기 제 1 인출선이 상기 제 2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제 2 근원 핀의 상기 계단부 상 및 상기 제 3 근원 핀의 상기 계단부 상을 통과하고,
    상기 근원측 권선의 권취 개시의 제 2 인입선이 상기 제 1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면 상을 통과하며,
    상기 근원측 권선의 권취 종료의 제 2 인출선이 상기 제 3 근원 핀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면 상을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근원 핀과 상기 제 3 근원 핀 사이의 상기 제 1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3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원 핀과 상기 제 2 근원 핀 사이의 상기 근원측 벽의 축방향의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한 제 2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3 폭은, 상기 제 2 절입부의 축방향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둘레 방향의 제 4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칸막이 판과 상기 근원측 벽과 상기 근원 핀군을 절연재로 형성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절연재인, 상기 선단측 플랜지와 상기 칸막이 판과 상기 근원측 벽과 상기 근원 핀군과, 상기 절연체를, 성형으로 일체물로 구성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KR1020177013907A 2014-11-25 2015-11-16 회전 각도 검출 장치 KR101933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7255 2014-11-25
JP2014237255 2014-11-25
PCT/JP2015/082145 WO2016084644A1 (ja) 2014-11-25 2015-11-16 回転角度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10A true KR20170072310A (ko) 2017-06-26
KR101933334B1 KR101933334B1 (ko) 2018-12-27

Family

ID=5607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907A KR101933334B1 (ko) 2014-11-25 2015-11-16 회전 각도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73617B2 (ko)
KR (1) KR101933334B1 (ko)
CN (1) CN107076581B (ko)
DE (1) DE112015005284T5 (ko)
WO (1) WO20160846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795A (ja) * 1997-07-16 1999-02-12 Denso Corp 可変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の固定子
KR20000075402A (ko) * 1999-05-25 2000-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회전전기
JP2007108035A (ja) * 2005-10-14 2007-04-26 Yasuo Iijim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2007327869A (ja) * 2006-06-08 200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KR20140098717A (ko) * 2014-05-19 2014-08-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716A (ja) * 1985-11-29 1987-06-12 Toyota Motor Corp ロ−タセンサ用パルスギヤの製造方法
JP4169536B2 (ja) * 2002-06-26 2008-10-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アクチュエータ
JP5590709B2 (ja) * 2010-05-06 2014-09-17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角検出又は回転同期装置、絶縁キャップ
JP5994063B2 (ja) * 2012-04-05 2016-09-21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セグメント型レゾルバ
DE102012223283A1 (de) * 2012-12-14 2014-06-18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ba Magnetoelektronischer winkelsensor mit vier haltevorrichtungen
JP6029138B2 (ja) * 2013-01-22 2016-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795A (ja) * 1997-07-16 1999-02-12 Denso Corp 可変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の固定子
KR20000075402A (ko) * 1999-05-25 2000-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회전전기
JP2007108035A (ja) * 2005-10-14 2007-04-26 Yasuo Iijim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2007327869A (ja) * 2006-06-08 200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KR20140098717A (ko) * 2014-05-19 2014-08-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졸버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졸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6581B (zh) 2019-09-17
CN107076581A (zh) 2017-08-18
JPWO2016084644A1 (ja) 2017-04-27
JP6173617B2 (ja) 2017-08-02
KR101933334B1 (ko) 2018-12-27
DE112015005284T5 (de) 2017-09-21
WO2016084644A1 (ja)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656B2 (en) Bus bar structure for a motor
EP2611000B1 (en) Electric motor
KR101827690B1 (ko) 회전 전기 기기
KR20140115266A (ko) 코일,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의 제조 방법
US20190006903A1 (en) Stator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06104980A (zh) 电机的电磁结构
JP2012055074A (ja) 回転電機用電機子
BR102013016793A2 (pt) Coil wire arrangement on a rotor of an electric motor
US10348149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cluding the stator
JP2011041377A (ja) コンデンサ形単相誘導電動機
CN111566916A (zh) 定子构造以及旋转变压器
US10454348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N107093931B (zh) 旋转变压器定子
US20180367006A1 (en) Electric Motor
KR101933334B1 (ko) 회전 각도 검출 장치
JP2018133989A (ja) ステータ構造およびレゾルバ
US10763719B2 (en) Stator
CN110212672A (zh) 旋转电机的定子以及旋转电机
CN101567587A (zh) 定子
US10128712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26346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11095177B2 (en) Coil
US20140368078A1 (en) Armature and armature manufacturing method
KR101758744B1 (ko) 회전 전기의 스테이터 및 전동 압축기
JP2015211563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