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690B1 - 회전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690B1
KR101827690B1 KR1020177019477A KR20177019477A KR101827690B1 KR 101827690 B1 KR101827690 B1 KR 101827690B1 KR 1020177019477 A KR1020177019477 A KR 1020177019477A KR 20177019477 A KR20177019477 A KR 20177019477A KR 101827690 B1 KR101827690 B1 KR 10182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ic winding
coil
winding coil
coils
con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140A (ko
Inventor
기요타카 고가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8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stators

Abstract

이 회전 전기 기기에서는, 제1 동심 권취 코일, 제2 동심 권취 코일,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기 {ROTATING ELECTRICAL MACHINE}
본 발명은, 회전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환선이 동심 권취됨으로써 형성되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동심 권취 코일(예를 들어,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서로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코일(이하, 코일 부분이라고 칭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은,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복수의 코일 부분, 제2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복수의 코일 부분, 제3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복수의 코일 부분 및 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복수의 코일 부분의 순(즉, 인극 권취)으로,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어 있었다.
여기서, 로터의 축의 중심과 스테이터의 축의 중심이 어긋난 경우 등에 있어서는, 로터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위치 관계가 불균등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동심 권취 코일 내에 있어서 순환 전류가 발생하여, 노이즈나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하나의 코일 부분, 제2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하나의 코일 부분, 제3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하나의 코일 부분 및 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의 하나의 코일 부분의 순으로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배치하는 것(격극 권취)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과, 제1 환선 동심 권취 코일∼제4 환선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이 해소되어,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이 저감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전 전기 기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50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5043호 공보에서는,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제1 동심 권취 코일 및 제2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동심 권취 코일은, 권회된 인접하는 평각도선의 사이에, 제2 동심 권취 코일의 평각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평각도선이 권회되어 있다. 즉,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5043호 공보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하나의 슬롯에, 제1 동심 권취 코일의 평각도선과 제2 동심 권취 코일의 평각도선이 스테이터 코어의 반경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5043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5043호 공보의 모터에서는, 하나의 슬롯 내에, 제1 동심 권취 코일의 평각도선과 제2 동심 권취 코일의 평각도선이 혼재하므로, 영구 자석과, 제1 동심 권취 코일 및 제2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하도록, 격극 권취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있어서,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있어서,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전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는, 영구 자석이 설치되는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슬롯이 설치되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배치되고,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고, 동심 권취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 제2 동심 권취 코일,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제1 동심 권취 코일, 제2 동심 권취 코일,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한 회전 전기 기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동심 권취 코일, 제2 동심 권취 코일,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이에 의해, 동심 권취 코일이,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으로만, 또는 타방측으로만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므로, 영구 자석과 동심 권취 코일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있어서,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토크에의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있어서, 동심 권취 코일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회전 전기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Y 결선된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U상의 동심 권취 코일이 슬롯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에 있어서, 제1 동심 권취 코일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부분 확대도에 있어서, 제1∼제4 동심 권취 코일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회전 전기 기기의 구조)
도 1∼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회전 전기 기기(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전기 기기(100)는, 로터 코어(10)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 코어(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예를 들어, 16개)의 영구 자석(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영구 자석(11)은, 로터 코어(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등각도 간격(약 22.5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전기 기기(100)는, 스테이터 코어(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20)는, 로터 코어(10)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20)에는, 복수(예를 들어, 96개)의 슬롯(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슬롯(21) 사이에는, 티스(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전기 기기(100)는,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30)을 구비하고 있다. 동심 권취 코일(30)은, 스테이터 코어(20)의 슬롯(2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심 권취 코일(30)이라 함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슬롯(21)에 수용되는 제1 슬롯 수용부(30a)와, 소정의 슬롯(21)과는 상이한 슬롯(21)에 수용되는 제2 슬롯 수용부(30b)가, 코일 엔드의 축방향의 일방측의 제1 코일 엔드부(30c)와, 코일 엔드의 축방향의 타방측의 제2 코일 엔드부(30d)를 통해, 연속해서 권회되는 코일이다. 구체적으로는, 동심 권취 코일(30)이라 함은, 제1 슬롯 수용부(30a), 제1 코일 엔드부(30c), 제2 슬롯 수용부(30b) 및 제2 코일 엔드부(30d)가 연속해서 하나의 도선에 의해 권회되어 있는 코일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 권취 코일(30)은,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과,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과,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을 포함한다. 또한,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U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을 포함한다. 또한,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V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51), 제2 동심 권취 코일(52), 제3 동심 권취 코일(5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54)을 포함한다. 또한,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W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61), 제2 동심 권취 코일(62), 제3 동심 권취 코일(6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64)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 및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은 Y 결선되어 있다.
또한,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 및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슬롯(21)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에 대해 설명한다.
(U상의 동심 권취 코일의 구조)
<제1 동심 권취 코일의 구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동심 권취 코일(41)(도 3 및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코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중, U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만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의 (a)에서는, 슬롯(21)과, 슬롯(21)에 배치되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는, 자극(70)의 중심(이점 쇄선)과, 자극(70)의 중심(A1, A2, A3)에 대한 코일 중심(C11, C12) 및 접속 중심(C2, C3)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는, 슬롯(21)에 배치되는 평각도선으로 형성된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는, 슬롯(21)에 대한 영구 자석(11)의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의 (c)의 슬롯(21)의 번호는, 슬롯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코일 중심(C11, C12)이라 함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 권취 코일(30)에 있어서, 소정의 슬롯(21)에 수용되는 제1 슬롯 수용부(30a)와, 소정의 슬롯(21)과는 상이한 슬롯(21)에 수용되는 제2 슬롯 수용부(30b)의 원주 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축 방향을 따른 선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권취 코일(30)이 대략 육각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코일 엔드부(30c) 및 제2 코일 엔드부(30d)의 굴곡부가 코일 중심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디까지나 소정의 슬롯(21)에 수용되는 제1 슬롯 수용부(30a)와, 소정의 슬롯(21)과는 상이한 슬롯(21)에 수용되는 제2 슬롯 수용부(30b)의 원주 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축 방향을 따른 선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은, 코일 중심(C11)이, 제1 자극(71)의 중심(A1)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X1 방향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과, 제3 자극(73)의 중심(A3)에 대해 원주 방향의 타방측(X2 방향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갖는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대표적인 부분(하나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후술하는 하나의 제1 접속부(41c), 하나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 및 후술하는 하나의 제2 접속부(41d))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부분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자극의 중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동심 권취 코일(30)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예를 들어, 3상이면, U상, V상 및 W상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상) 중의, 동일한 상의 동심 권취 코일이 인접하는 슬롯(21)에 수용되는 제1 슬롯 수용부(30a)를 각각 가짐과 함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인접하는 슬롯(21)에 각각 수용되는 제2 슬롯 수용부(30b)를 갖고, 제1 슬롯 수용부(30a) 및 제2 슬롯 수용부(30b)가 동일한 도선에 의해 연속해서 권회되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상의 동심 권취 코일(30)인, 제1 동심 권취 코일(301) 및 제2 동심 권취 코일(302)이 있다. 그리고, 자극의 중심(A1)이라 함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상의 동심 권취 코일(301) 및 제2 동심 권취 코일(302)의 각각의 코일 중심의 원주 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축 방향을 따른 선분을 의미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극의 중심(A2)이라 함은, 제1 동심 권취 코일(301)이 또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슬롯(21)에 수용되는 동일한 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303)과 제1 접속부(41c)를 통해 접속되고, 제1 접속부(41c)를 포함한 동심 권취 코일의 중심끼리의 원주 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축 방향을 따른 선분을 의미한다.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은, 슬롯 번호 24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8인 슬롯(21)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이 배치되는 슬롯(21)의 피치는, 6이다.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은, 슬롯 번호 13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7인 슬롯(21)에 배치되어 있다. 즉,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이 배치되는 슬롯(21)의 피치는, 6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의 코일 중심(C11)은, 인접하는 3개의 제1 자극(71), 제2 자극(72) 및 제3 자극(73) 중, 제1 자극(71)의 중심(A1)의 일방측(X1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제1 자극(71)의 중심(A1)(슬롯 번호 22와 슬롯 번호 21 사이의 위치)으로부터 X1 방향측으로 대략 1/2 슬롯분 어긋난 슬롯 번호 21인 슬롯(21)에 위치한다.
또한,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의 코일 중심(C12)은, 제3 자극(73)의 중심(A3)의 타방측(X2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제3 자극(73)의 중심(A3)(슬롯 번호 10과 슬롯 번호 9 사이의 위치)으로부터 X2 방향측으로 대략 1/2 슬롯분 어긋난 슬롯 번호 10인 슬롯(21)에 위치한다.
또한,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접속하는 제1 접속부(4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접속부(41c)는, 슬롯 번호 18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3인 슬롯(21)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접속부(41c)가 배치되는 슬롯(21)의 피치는, 5이다. 그리고,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접속하는 제1 접속부(41c)의 접속 중심(C2)은, 제2 자극(72)의 중심(A2)(슬롯 번호 16과 슬롯 번호 15 사이의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1 접속부(41c)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의 조(41e)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조(4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은, 인접하는 조(41e) 중 한쪽 조(41e)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과, 다른 쪽 조(41e)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을 접속하는 제2 접속부(41d)를 포함한다. 제2 접속부(41d)는, 제1 접속부(41c)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접속부(41d)는, 슬롯 번호 31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24인 슬롯(21)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접속부(41d)가 배치되는 슬롯(21)의 피치는, 7이다. 즉, 제2 접속부(41d)의 길이(피치 7)는, 제1 접속부(41c)의 길이(피치 5)보다 길다. 또한, 제2 접속부(41d)의 접속 중심 C3은, 제4 자극(74)의 중심 A4(슬롯 번호 28과 슬롯 번호 27 사이의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동심 권취 코일(41)에서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1 접속부(41c),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 제2 접속부(41d)가 이 순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제4 동심 권취 코일의 구조>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은 각각, 제1 동심 권취 코일(4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동심 권취 코일(42)(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코일)은,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2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2b)과, 제1 접속부(42c)와, 제2 접속부(42d)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동심 권취 코일(43)(도 5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코일)은,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3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3b)과, 제1 접속부(43c)와, 제2 접속부(43d)를 포함한다. 또한, 제4 동심 권취 코일(44)(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코일)은,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4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4b)과, 제1 접속부(44c)와, 제2 접속부(44d)를 포함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대표적인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6의 (c)에서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수의 슬롯(21)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타원」으로 나타내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2a)은 슬롯 번호 36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30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2b)은, 슬롯 번호 25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9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42c)는, 슬롯 번호 30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25인 슬롯(21)(5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접속부(42d)는 슬롯 번호 19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2인 슬롯(21)(7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동심 권취 코일(43)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3a)은 슬롯 번호 18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2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3b)은 슬롯 번호 31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25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43c)는, 슬롯 번호 36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31인 슬롯(21)(5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43d)는, 슬롯 번호 25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8인 슬롯(21)(7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4a)은, 슬롯 번호 30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24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4b)은, 슬롯 번호 19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3인 슬롯(21)(6 피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44c)는, 슬롯 번호 24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19인 슬롯(21)(5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44d)는, 슬롯 번호 37인 슬롯(21)과, 슬롯 번호 30인 슬롯(21)(7 피치)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전기 기기(100)에서는, 하나의 슬롯(21)에,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 중 2개의 동심 권취 코일이 혼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권취 코일(40)은,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2a), 제3 동심 권취 코일(43)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3b)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4a)이 이 순서로 슬롯(21)에 배치되는 제1 그룹(45a)을 포함한다. 또한, 동심 권취 코일(40)은,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2b),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4b) 및 제3 동심 권취 코일(43)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3a)이 이 순서로 슬롯(21)에 배치되는 제2 그룹(45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그룹(45a)과, 제2 그룹(45b)이 원주 방향(X 방향)을 따라 교대로 슬롯(2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에는, 동력선(46)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동심 권취 코일(41)과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이 중성선(47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동심 권취 코일(43)과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이 중성선(47b)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중, 한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41c)(또는, 제2 접속부(41d))에 상당하는 부분이 동력선(4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중,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41c)(또는, 제2 접속부(41d))에 상당하는 부분이 중성선(47a(47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V상 및 W상의 동심 권취 코일의 구조)
또한,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 및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은,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의 제1 동심 권취 코일(51), 제2 동심 권취 코일(52), 제3 동심 권취 코일(5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54)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또한,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의 제1 동심 권취 코일(61), 제2 동심 권취 코일(62), 제3 동심 권취 코일(6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64)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U상의 동심 권취 코일(40)에 대한 효과를 기재하고 있지만, V상의 동심 권취 코일(50) 및 W상의 동심 권취 코일(6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동심 권취 코일(4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은 각각, 코일 중심(C11 및 C12)이, 자극(70)의 중심(제1 자극(71)의 중심(A1) 및 제3 자극(73)의 중심(A3))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42a, 43a, 44a))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42b, 43b, 44b))을 갖는다. 이에 의해, 동심 권취 코일(40)이,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으로만, 또는 타방측으로만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므로,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40)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 동심 권취 코일(40)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동심 권취 코일(40) 내에서의 순환 전류에 기인하는 회전 전기 기기(100)의 토크에의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2 동심 권취 코일(4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접속하는 제1 접속부(41c)를 설치하여,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의 코일 중심(C11)은, 인접하는 3개의 제1 자극(71), 제2 자극(72) 및 제3 자극(73) 중, 제1 자극(71)의 중심(A1)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의 코일 중심(C12)은, 제3 자극(73)의 중심(A3)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제1 접속부(41c)의 접속 중심(C2)은, 제2 자극(72)의 중심(A2) 상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1 접속부(41c)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하나의 조(41e)로 한 경우, 하나의 조(41e)의 중심은, 제2 자극(72)의 중심(A2) 상에 위치하므로, 영구 자석(11)과 하나의 조(41e)의 위치 관계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1 접속부(41c)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의 조(41e)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조(4조) 배치한다. 이에 의해 원주 방향의 전체 주위에 걸쳐,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조(41e) 중 한쪽 조(41e)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과, 다른 쪽 조(41e)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을 접속하고, 제1 접속부(41c)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2 접속부(41d)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제1 접속부(41c)의 길이와 제2 접속부(41d)의 길이를 평균한 경우, 평균한 길이는, 코일 중심을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어긋나게 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접속부의 길이와 동일해진다. 즉, 코일 중심(C11 및 C12)을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 어긋나게 한 경우라도, 접속부의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심 권취 코일(40)은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2a), 제3 동심 권취 코일(43)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3b)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4a)이 이 순서로 슬롯(21)에 배치되는 제1 그룹(45a)을 포함한다. 또한, 동심 권취 코일(40)은, 제2 동심 권취 코일(42)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2b),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 제4 동심 권취 코일(44)의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4b) 및 제3 동심 권취 코일(43)의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3a)이 이 순서로 슬롯(21)에 배치되는 제2 그룹(45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그룹(45a)과, 제2 그룹(45b)을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슬롯(21)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원주 방향을 따라(전체 주위에 있어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11)을 로터 코어(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설치한다. 이에 의해,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의 위치 관계가, 영구 자석(11)마다 상이한 것이 방지되므로, 제1 동심 권취 코일(41)을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41a)과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41b)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영구 자석(11) 각각과 동심 권취 코일(4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심 권취 코일(30)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을 포함하고,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 51 및 6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52 및 6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53 및 6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 54 및 64)을 포함한다. 그리고,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 각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41, 51 및 61), 제2 동심 권취 코일(42, 52 및 62), 제3 동심 권취 코일(43, 53 및 63)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44, 54 및 64)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70)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다. 이에 의해,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 전부에 있어서,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심 권취 코일(30)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을 포함하고,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을 Y 결선한다. 이에 의해, Y 결선된 3상의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에 있어서, 영구 자석(11)과 동심 권취 코일(40, 50 및 60)의 위치 관계의 불균등을 해소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변형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이 각각, 자극의 중심의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대략 1/2 슬롯분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이 각각, 자극의 중심의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대략 1/2 슬롯분 이외의 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에 96개의 슬롯이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슬롯의 수는, 96개 이외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피치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피치가 6인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피치 및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피치는, 6 이외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의 피치가 5이고, 제2 접속부의 피치가 7인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속부의 피치가 5 이외의 피치이고, 제2 접속부의 피치가 7 이외의 피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동심 권취 코일이 3상 이외의 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이 Y 결선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이 Δ 결선되어 있어도 된다.
10 : 로터 코어
11 : 영구 자석
20 : 스테이터 코어
21 : 슬롯
30, 40, 50, 60 : 동심 권취 코일
41, 51, 61 : 제1 동심 권취 코일
41a, 42a, 43a, 44a :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41b, 42b, 43b, 44b :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
41c, 42c, 43c, 44c : 제1 접속부
41d, 42d, 43d, 44d : 제2 접속부
41e : 조
42, 52, 62 : 제2 동심 권취 코일
43, 53, 63 : 제3 동심 권취 코일
44, 54, 64 : 제4 동심 권취 코일
45a : 제1 그룹
45b : 제2 그룹
70 : 자극
71 : 제1 자극
72 : 제2 자극
73 : 제3 자극
100 : 회전 전기 기기
A1 : (제1 자극(71)의) 중심
A2 : (제2 자극(72)의) 중심
A3 : (제3 자극(73)의) 중심
A4 : (제4 자극(74)의) 중심
C2 : (제1 접속부의) 접속 중심
C3 : (제2 접속부의) 접속 중심
C11, C12 : 코일 중심

Claims (12)

  1. 영구 자석이 설치되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슬롯이 설치되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기 슬롯에 배치되고, 평각도선이 동심 권취된 동심 권취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제1 동심 권취 코일, 제2 동심 권취 코일,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 회전 전기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코일 중심은, 인접하는 3개의 제1 자극, 제2 자극 및 제3 자극 중, 상기 제1 자극의 중심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코일 중심은, 상기 제3 자극의 중심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접속 중심은, 상기 제2 자극의 중심 상에 위치하는, 회전 전기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의 조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조 배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조 중 한쪽 조의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다른 쪽 조의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접속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제2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이 이 순서로 상기 슬롯에 배치되는 제1 그룹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의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이 이 순서로 상기 슬롯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상기 슬롯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로터 코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로터 코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상기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 회전 전기 기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상기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 회전 전기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상기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 회전 전기 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동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 각각의 상기 제1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2 동심 권취 코일, 상기 제3 동심 권취 코일 및 상기 제4 동심 권취 코일은 각각, 코일 중심이, 상기 자극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방측 동심 권취 코일과, 원주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타방측 동심 권취 코일을 갖는, 회전 전기 기기.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권취 코일은,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상의 동심 권취 코일은 Y 결선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기.
KR1020177019477A 2015-03-24 2016-03-24 회전 전기 기기 KR101827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0426 2015-03-24
JPJP-P-2015-060426 2015-03-24
JPJP-P-2015-065597 2015-03-27
JP2015065597 2015-03-27
PCT/JP2016/059467 WO2016153001A1 (ja) 2015-03-24 2016-03-24 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140A KR20170096140A (ko) 2017-08-23
KR101827690B1 true KR101827690B1 (ko) 2018-02-08

Family

ID=56977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477A KR101827690B1 (ko) 2015-03-24 2016-03-24 회전 전기 기기
KR1020177020208A KR101827235B1 (ko) 2015-03-24 2016-03-24 회전 전기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208A KR101827235B1 (ko) 2015-03-24 2016-03-24 회전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51700B2 (ko)
EP (2) EP3214733B1 (ko)
JP (2) JP6288369B2 (ko)
KR (2) KR101827690B1 (ko)
CN (2) CN107408856B (ko)
WO (2) WO2016153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054B (zh) * 2015-07-23 2019-07-12 爱信艾达株式会社 定子及定子的制造方法
KR102604381B1 (ko) * 2016-07-07 2023-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유닛,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669624B2 (ja) * 2016-09-28 2020-03-1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回転電機
DE102017128827A1 (de) * 2017-12-05 2019-06-06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Multi-Zahnspulenwicklung für eine 2-strängige Drehfeldmaschine
JP6954374B2 (ja) 2017-12-14 2021-10-27 株式会社アイシン ステータ
FR3078207B1 (fr) * 2018-02-16 2021-10-29 Ifp Energies Now Stator d'une machine electrique avec double insertion de bobinages dans les encoches
CN110556936B (zh) * 2018-05-31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以及电机
CN110556935B (zh) * 2018-05-31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以及电机
CN110556938B (zh) * 2018-05-31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以及电机
JP7128702B2 (ja) * 2018-09-25 2022-08-31 株式会社Soken 回転電機
JP6824371B1 (ja) * 2019-12-04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375A (ja) 2003-10-20 2005-05-12 Denso Corp 回転電機用電機子
JP2012125043A (ja) 2010-12-08 2012-06-28 Toyota Motor Corp モータ及びモータ製造方法
WO2013157115A1 (ja) 2012-04-19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
JP2014096857A (ja) 2012-11-07 2014-05-22 Denso Corp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388A (ja) 2000-02-25 2001-08-31 Hitachi Ltd 回転電機の電機子巻線および回転電機
EP1653587B1 (en) * 2004-10-29 2013-06-26 Hitachi, Lt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23885B2 (en) 2007-11-26 2011-04-12 Denso Corporatio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using the stator
JP6156268B2 (ja) * 2014-06-27 2017-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固定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375A (ja) 2003-10-20 2005-05-12 Denso Corp 回転電機用電機子
JP2012125043A (ja) 2010-12-08 2012-06-28 Toyota Motor Corp モータ及びモータ製造方法
WO2013157115A1 (ja) 2012-04-19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
US20140346914A1 (en) 2012-04-19 2014-11-27 Mitsubishi Electrict Corporation Stator winding of electrical rotating machine
JP2014096857A (ja) 2012-11-07 2014-05-22 Denso Corp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7516B8 (en) 2020-11-04
WO2016153001A1 (ja) 2016-09-29
WO2016153002A1 (ja) 2016-09-29
CN107408855B (zh) 2019-09-10
EP3217516A4 (en) 2018-01-24
JPWO2016153001A1 (ja) 2017-09-14
US20180269741A1 (en) 2018-09-20
CN107408856A (zh) 2017-11-28
EP3217516A1 (en) 2017-09-13
CN107408856B (zh) 2019-10-01
CN107408855A (zh) 2017-11-28
JP6288370B2 (ja) 2018-03-07
KR20170097742A (ko) 2017-08-28
US10666104B2 (en) 2020-05-26
EP3214733B1 (en) 2019-08-28
KR20170096140A (ko) 2017-08-23
JPWO2016153002A1 (ja) 2017-09-21
KR101827235B1 (ko) 2018-02-07
JP6288369B2 (ja) 2018-03-07
EP3214733A4 (en) 2018-01-24
EP3214733A1 (en) 2017-09-06
US10651700B2 (en) 2020-05-12
EP3217516B1 (en) 2020-09-16
US20180026487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690B1 (ko) 회전 전기 기기
US10615656B2 (en) Bus bar structure for a motor
US9847685B2 (en) Coil
US9793772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873226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US11509180B2 (en) Stator
US11418070B2 (en) Stato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5177725A (ja) 回転電機用コイル
JP2015154582A (ja) 三相回転電機のステータ
US20190013710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3165566A (ja) 回転電機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20230127155A1 (en) Stator having coil structure of distributed winding, and three-phase ac electric motor comprising said stator
US11569697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JP6498775B2 (ja)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JP6906741B2 (ja) 回転電機
JP6669624B2 (ja) 回転電機
JP2015180146A (ja) 回転電機用コイル
WO2015141377A1 (ja) 回転電機用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