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03A -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03A
KR20170068103A KR1020150174920A KR20150174920A KR20170068103A KR 20170068103 A KR20170068103 A KR 20170068103A KR 1020150174920 A KR1020150174920 A KR 1020150174920A KR 20150174920 A KR20150174920 A KR 20150174920A KR 20170068103 A KR20170068103 A KR 2017006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hours
sugar
juice
pickl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성
Original Assignee
안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유성 filed Critical 안유성
Priority to KR102015017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103A/ko
Publication of KR2017006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절임액은 다시마액 5kg, 유자원액 150g, 마른 고추 20g, 찹쌀밥 300g, 이화누룩 200g, 식초 800g, 설탕 500g, 포도당 500g, 이화주 200g을 혼합하여 12시간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은, 무를 세척하고 일정 크기로 자르는 제 1 공정과; 상기 무를 천일염으로 12시간 동안 절이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의 절인 무를 설탕으로 12시간 동안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의 무를 상기 절임액에 담그고 3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 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쌀누룩을 포함하여 무 절임액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영양을 제공하게 하여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증가되고 인체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SALTED 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ADISH}
본 발명은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누룩을 포함하여 무 절임액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영양을 제공하게 하여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증가되고 인체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토종 무는 소화와 해독에 효과가 뛰어나고 원리를 높이는 데도 산삼에 버금간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특히 열무는 산삼을 대용할 만큼 약성이 높다. 해독 효과 때문에 술, 생선 회, 밀가루 음식과 궁합이 맞다.
무는 즙을 내어 먹으면 지해(址咳) 지혈(地血)과 소독, 해열이 된다. 삶아서 먹으면 담증을 없애주고 식적(食積)을 제거하여 준다. 무는 디아스타제 같은 전분 소화효소는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도 가지고 있어서 소화 작용을 돕는다. 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무와 같이 먹거나 무즙을 내서 여기에 찍어 먹으면 좋다. 또한 무즙은 담을 삭여주는 거담작용을 해주기 때문에 감기에 걸렸을 때 엿을 넣고 즙을 내서 먹으면 좋고 니코틴을 중화하는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무를 자주 먹도록 하는 것이 좋다. 노폐물 제거작용, 소염작용, 이뇨작용이 있어서 혈압을 내려주며, 담석을 용해하는 효능이 있어 담석증을 예방해 주기도 한다.
"본초강목" 등의 기록에는 무 생즙은 소화를 촉진시키고 독을 푸는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이롭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면서 살결이 고와진다고 했다. 또 무즙은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가 하면 각혈을 다스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빈혈을 보한다고 했다. 생즙을 마시면 설사를 다스린다는 기록도 있다. 이와 같이 무는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라이드 치킨이나 양념치킨을 먹을 때 함께 먹게 되는 초절임 무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초절임 무의 절임액은 신맛을 위해 빙초산이 단맛을 위해 사카린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방부제가 사용되는 등 건강에 유해한 절임액이 사용되어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된 무에 유해한 요소가 첨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초절임 무는 주재료가 무뿐이므로 무자체의 색상과 영양만 갖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나 영양적으로 단조로운 초절임 무의 공급만 가능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71287호는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갖는 치킨 깍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를 절단하되 다양한 형상을 갖는 치킨 깍두기로 절단하고, 상기 치킨 깍두기를 포장용기에 담아 조미액을 채워주되 상기 조미액에는 고유의 색상을 내는 천연색소가 첨가되게 하여 다양한 색상과 특이한 모양을 갖는 치킨 깍두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갖는 치킨 깍두기의 제공은 가능하나, 조미액으로 빙초산과 사카린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는 등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과 맛보다는 시각적인 미감만 고려하여 천연색소를 사용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여 식품안전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영양과 맛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부합한 절임 무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쌀누룩을 포함하여 무 절임액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영양을 제공하게 하여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증가되고 인체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쌀누룩 무절임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은, 무를 세척하고 일정 크기로 자르는 제 1 공정과; 상기 무를 천일염으로 12시간 동안 절이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의 절인 무를 설탕으로 12시간 동안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의 무를 절임액에 담그고 3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 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임액은, 다시마액 5㎏, 유자원액 150g, 마른 고추 20g, 찹쌀밥 300g, 이화누룩 200g, 식초 800g, 설탕 500g, 포도당 500g, 이화주 200g을 혼합하여 12시간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쌀누룩 무절임액 및 무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쌀누룩을 포함하여 무 절임액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영양을 제공하게 하여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증가되고 인체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은, 무를 세척하고 일정 크기로 자르고, 자른 무를 천일염으로 12시간 동안 절인다. 상기에서 절인 무를 설탕으로 12시간 동안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의 무를 절임액에 담그고 36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다.
상기 절임액은, 다시마액 5㎏과, 유자원액 150g, 마른 고추 20g, 찹쌀밥 300g, 이화누룩 200g, 식초 800g, 설탕 500g, 포도당 500g, 이화주 200g을 혼합하여 12시간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설탕의 종류에는 백설탕, 흑설탕 및 황설탕이 있으며 이 중에서 하나의 설탕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설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로는 색소가 제거된 흰 색의 백설탕을 첨가함으로써, 주요 조성물인 야채류의 색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야채류 고유의 색상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소금의 종류에는 천일염, 재제소금(꽃소금), 태움ㆍ용융소금(구운 소금), 가공 소금, 침장원 소금이 있으며 이 중에서 하나의 소금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일염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로는 일반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쉽게 물러지고 쓴 맛이 나는 반면, 천일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몸에 좋은 무기질과 수분이 많기 때문에 야채류의 아삭한 맛을 살려내어 야채류의 아삭거림을 오래 지속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절임 무는 방부제는 첨가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맛과 영양을 제공하게 하여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가 많이 증가하게 되어 인체에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영양 및 맛을 향상시켜 모든 사람들이 부담없이 먹을 수 있음과 동시에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리 준비한 무 5개를 사각으로 잘게 절단하고 세척한 후 천일염으로 12시간 절인후 다시 설탕으로 12시간 절인다. 이와 같이 절인 후 무의 물기를 뺀 후 절임액에 담그고 3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실시예 2>
다시마액 5㎏과, 유자원액 150g, 마른 고추 20g, 찹쌀밥 300g, 이화누룩 200g, 식초 800g, 설탕 500g, 포도당 500g, 이화주 200g을 혼합하여 12시간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2)

  1. 무를 세척하고 일정 크기로 자르는 제 1 공정과;
    상기 무를 천일염으로 12시간 동안 절이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의 절인 무를 설탕으로 12시간 동안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의 무를 절임액에 담그고 3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 4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액은 다시마액 5㎏과, 유자원액 150g, 마른 고추 20g, 찹쌀밥 300g, 이화누룩 200g, 식초 800g, 설탕 500g, 포도당 500g, 이화주 200g을 혼합하여 12시간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KR1020150174920A 2015-12-09 2015-12-09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KR20170068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20A KR20170068103A (ko) 2015-12-09 2015-12-09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20A KR20170068103A (ko) 2015-12-09 2015-12-09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03A true KR20170068103A (ko) 2017-06-19

Family

ID=5927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920A KR20170068103A (ko) 2015-12-09 2015-12-09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1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844B1 (ko) * 2020-02-19 2021-01-21 최영인 치킨무 대용 단무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53604A (ko) * 2019-11-04 2021-05-12 봄초여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찜 및 탕 겸용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604A (ko) * 2019-11-04 2021-05-12 봄초여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찜 및 탕 겸용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844B1 (ko) * 2020-02-19 2021-01-21 최영인 치킨무 대용 단무지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9548A (zh) 一种香菇酱及其制备方法
CN101341913A (zh) 蜂蜜金柚茶及其制备工艺
KR20160010742A (ko) 산야초가 함유된 초절임 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8874B1 (ko) 삼색 돼지 양념 갈비
KR101420387B1 (ko)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9540A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40234B1 (ko) 생선 회무침의 제조방법 및 그 생선 회무침
CN106561960A (zh) 一种糖姜片的制备方法
KR20170068103A (ko) 쌀누룩 절임액 및 절임액을 이용한 무의 제조방법
CN105747126A (zh) 一种红烧乳鸽的制作方法
KR20170049774A (ko) 쌀누룩 발효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3170B1 (ko)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88338B1 (ko) 단무지 제조방법
CN105475929A (zh) 一种糖醋萝卜及其制备方法
CN1368016A (zh) 渣辣椒
CN113100401A (zh) 爽滑可口秘制宝塔肉制作方法
CN102461814A (zh) 一种甜酱藕片
CN107173774B (zh) 一种海鲜风味焖汁及其制备方法
CN105942470A (zh) 一种鲍鱼酱及其制备方法
KR100997346B1 (ko) 복 냉면의 제조방법
KR20110002537A (ko) 된장콜라비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200086819A (ko) 포도주스를 이용한 포도잎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포도잎 김치
KR101663459B1 (ko) 어린이용 무우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101633686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샐러드의 제조방법
KR100338570B1 (ko) 롤샌드위치김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