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098A -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098A
KR20170061098A KR1020167004126A KR20167004126A KR20170061098A KR 20170061098 A KR20170061098 A KR 20170061098A KR 1020167004126 A KR1020167004126 A KR 1020167004126A KR 20167004126 A KR20167004126 A KR 20167004126A KR 20170061098 A KR20170061098 A KR 2017006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sound
channel signal
ro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458B1 (ko
Inventor
룬유 시
다웨이 시웅
웨이샨 리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6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5Generation or adaptation of centre channel in multi-channel au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7Generation or adaptation of the Low Frequency Effect [LFE] channel, e.g. distribution or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9Electronic reduction of distor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5Aspects of sound capture and related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or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05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ive- or more-channel type, e.g. virtual sur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멀티미디어 처리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이용되며,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sound record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처리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출원 번호가 CN201510719339. 1이며, 출원일이 2015년 10월 29일자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나, 팜톱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레코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하나 내지 세 개의 마이크로폰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이며, 그 음장 범위 및 임장감도 비교적 약하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규제로 모노럴 또는 바이노럴 오디오 데이터 밖에 레코딩할 수 없는 것으로 인한,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다는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당해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이용되는 레코딩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5.1 채널의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5.1 채널의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상기 센터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 4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5 사운드 신호를 상기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원점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5.1 채널 중의 각 채널은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 중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지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달 위상차는 상기 채널로부터의 사운드가 각각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에 대응하는 초기위상(initial phase angles)의 차이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는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의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1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2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상기 제2 필터링 데이터의 동일한 부분을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는 단계와,
상기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방법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모듈과,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연산 모듈과,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제2 연산 모듈과,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조합 모듈을 포함하는 레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5.1 채널의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5.1 채널의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상기 센터 채널신호로 하는 제1 서브 모듈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2 서브 모듈과,
상기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3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 4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1 평균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5 사운드 신호를 상기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2 평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원점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5.1 채널 중의 각 채널은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 중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 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지며,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서브 모듈과,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달 위상차는 상기 채널로부터의 사운드가 각각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에 대응하는 초기위상의 차이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는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의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서브 모듈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된 필터링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상기 제2 필터링 데이터의 동일한 부분을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평균 서브 모듈과,
상기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저역 필터링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소음 감소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으며,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되는 레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해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표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의 해석에 사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5.1 채널 시스템의 채널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시환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시환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시환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예시를 도면에 표시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어떤 방향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5.1 채널 시스템의 채널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5.1 채널 시스템은 센터 채널(C), 왼쪽 채널(L), 오른쪽 채널(R), 후방 왼쪽 채널(LS), 후방 오른쪽 채널(RS) 및 서브 우퍼 채널 (LFE)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a의 중앙점(10)에 위치하고, 센터 채널(C)의 위치로 향하고, 각 채널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중앙점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고, 동일한 평면에 있다고 가정한다.
센터 채널(C)은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의 바로 앞에 있다.
왼쪽 채널(L)과 오른쪽 채널(R)은 각각 센터 채널(C)의 양측에 위치하고, 각각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과 30도 각을 이루도록 대칭되어 배치되어 있다.
후방 왼쪽 채널(LS)과 후방 오른쪽 채널(RS)은 각각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 후방에 위치하고, 각각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과 100~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대칭되어 배치되어 있다.
서브 우퍼는 방향성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서브 우퍼 채널(LFE)의 배치위치는 엄밀한 요구가 없다. 서브 우퍼 채널과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과의 각도가 다름에 따라,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 중의 베이스 신호(base signal)가 변화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서브 우퍼 채널(LFE)의 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 우퍼 채널(LFE)과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예시적으로 도 1a에 표지를 하였다.
여기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1 채널 시스템의 각 채널과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또한, 각 채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는 다를수 있고, 각 채널이 배치되는 높이도 다를수 있으며, 즉, 채널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며, 각 채널의 배치위치에 따라 사운드 신호도 다르며,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1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단말기(110)는 제1 마이크로폰(120), 제2 마이크로폰(130) 및 제3 마이크로폰(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휴대 폰이나, 태블릿 PC등과 같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마이크로폰(120), 제2 마이크로폰(130), 제3 마이크로폰(140)은 단말기 (110)에 배치되어 있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며, 사운드 신호의 채취에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마이크로폰(120), 제2 마이크로폰(130) 및 제3 마이크로폰(140)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배치방식으로 배치된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한가지 배치방식으로서 제1 마이크로폰(120)은 전방으로 향하고, 제2 마이크로폰(130)은 좌측으로 향함과 동시에 제1 마이크로폰(120)과 100~120도의 각도를 이루고, 제3 마이크로폰(140)은 우측으로 향함과 동시에 제1 마이크로폰(120)과 100~120도의 각도를 이룬다. 즉, 제1 마이크로폰(120)의 배치위치는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과 대응하고, 제2 마이크로폰(130)의 배치위치는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과 대응하며, 제3 마이크로폰(140)의 배치위치는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과 대응한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다른 하나 배치방식으로서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자유 분산 배치되어 있으며, 5.1 채널 시스템의 각 채널은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 중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진다. 도 1d에 나타내는 상황을 예로서 설명하면, 센터 채널(C)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제1 마이크로폰(120) 및 제2 마이크로폰(130)이며, 왼쪽 채널(L)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제1 마이크로폰(120) 및 제2 마이크로폰(130)이며, 오른쪽 채널(R)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제1 마이크로폰(120) 및 제3 마이크로폰(140)이며, 후방 왼쪽 채널(LS)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제2 마이크로폰(120) 및 제3 마이크로폰(140)이며, 후방 오른쪽 채널(RS)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제1 마이크로폰(120) 및 제3 마이크로폰(140)이다.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위치가 다른 위치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가능한 한 분산되어 배치 된다.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레코딩 방법은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내는 실시환경에 적용되며, 도 1a에 나타내는 5.1 채널 시스템에 관련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는 동일한 음원으로부터 채취된 것이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음원과의 거리가 다르다. 사운드가 각 마이크로폰에 이르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시각에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집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진폭(amplitude)은 다르다고 간주한다.
단계 204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얻는다.
단계 206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단계 204는 단계 206과 병렬관계를 가지며, 특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단계 208에 있어서,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레코딩 방법은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 및 사용자의 청취 체험을 훨씬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단말기(110)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배치방식은 두 가지 있으므로, 각 배치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204에서의 채널신호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실현방식도 다르다.
도 1b에 나타내는 첫 번째 배치방식, 즉,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5.1 채널 시스템에 대응하는 배치방식의 구체적인 실현방식은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4대신에 도 3에 나타내는 단계 331~335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d에 나타내는 두 번째 배치방식, 즉,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자유적으로 배치되는 배치방식의 구체적인 실현방식은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4대신에 도 4에 나타내는 단계 338, 단계 339 a 및 단계 339 b를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당해 레코딩 방법을 도 1b에 나타내는 첫 번째의 배치방식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 있어서,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각각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사운드 신호를 각각 A_mic1, A_mic2 및 A_mic3으로 한다.
단말기가 취득한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 후, 단말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후속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채취된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처리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취된 사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320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Noise reduction)를 실시한다.
단말기는 취득된 3개 루트의 사운드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소음 감소 된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제3 마이크로폰의 사운드 신호를 각각 A_mic1', A_mic2' 및 A_mic3'으로 한다.
소음 감소 방법의 일종으로서, 웨이브릿(wavelet)에 근거하여 신호 중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 A_mic1에 대하여 다층 웨이브릿 신호의 분해를 실시하며, 적합한 역치를 선택하여 각 층의 웨이브릿 신호의 고주파 계수에 대하여 처리하여, 처리 후의 신호에 대하여 웨이브릿 재구성을 실시하며, 출력 신호는 A_mic1'이다. 제2 사운드 신호 및 제3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당해 방법을 이용하여 소음 감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소음 감소 된 사운드 신호는 A_mic2' 및 A_mic3'이다.
상기 단계에서 진행되는 소음 감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사운드 신호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처리뿐이며, 상기 단계는 선택 가능한 단계라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해야 한다. 또한, 노이즈를 저감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으며, 여러 가지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노이즈를 필터링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31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센터 채널신호로 한다.
단말기는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1'을 센터 채널신호 A_C'로 한다. 즉, 센터 채널신호가 A_C'이며, A_C'=A_mic1'이다.
단계 332에 있어서,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한다.
단말기는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2'을 후방 왼쪽 채널신호 A_LS'로 한다.. 즉, 후방 왼쪽 채널신호가 A_LS'이며, A_LS'=A_mic2'이다.
단계 333에 있어서,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한다.
단말기는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3'을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A_RS'로 한다. 즉,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가 A_RS'이며, A_RS'=A_mic3'이다.
단계 334에 있어서, 제1 사운드 신호 및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제4 사운드 신호를 왼쪽 채널신호로 한다.
단말기는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1'및 제2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2'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얻은 제4 사운드 신호를 왼쪽 채널신호 A_L'로 한다. 즉, 왼쪽 채널신호가 A_L'이며,
A_L'= a1*A_mic1'+b1*A_mic2'
식을 만족한다.
여기서, a1은 A_mic1'의 가중치이며, b1은 A_mic2'의 가중치이며, a1와 b1의 구체적인 수치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각 채널의 위치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으로서는 a1=0. 375, b1=0. 625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에서는 a1+b1=1이지만, 다른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에서는 a1+b1가 1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1, b1의 설정방식 및 그 구체적인 수치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35에 있어서, 제1 사운드 신호 및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제5 사운드 신호를 오른쪽 채널신호로 한다.
단말기는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1'및 제3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3'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얻은 제5 사운드 신호를 오른쪽 채널신호 A_R'로 한다. 즉, 오른쪽 채널신호가 A_R'이며,
A_R'=a2*A_mic1'+b2*A_mic3'
식을 만족한다.
여기서, a2는 A_mic1'의 가중치이고, b2는 A_mic3'의 가중치이며, a2 및 b2의 구체적인 수치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각 채널의 위치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으로서는 a2=0. 375, b2=0. 625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에서 a2+b2=1이지만, 다른 수치를 취하는 가능한 방식에서는 a2+b2가 1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2, b2의 설정방식 및 그 구체적인 수치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단계 331~335는 병렬관계를 가지며, 특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고, 당해 단계의 실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341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A_mic1', A_mic2'및 A_mic3'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어 A_LFE로 한다. 즉, 평균 사운드 신호가 A_LFE이며,
A_LFE=(A_mic1'+A_mic2'+A_mic3')/3
식을 만족한다.
단계 342에 있어서,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단계 341에서 얻은 평균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저역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선택 가능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차단 주파수를 80 Hz~120 Hz의 범위로 설정하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저역 필터링 하여 얻은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A_LFE'로 한다. 즉, 서브 우퍼 채널신호가 A_LFE'이고, A_LFE'=LPASS(A_LFE)를 만족한다.
여기서, 함수 y=LPASS(x)는,신호 y가 신호 x가 저역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의 신호임을 표시한다.
여기서, 단계 341과 단계 331~335는 병렬관계를 가지며, 특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단계 350에 있어서,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상기 단계를 통해 얻은 센터 채널신호 A_C', 왼쪽 채널신호 A_L', 오른쪽 채널신호 A_R', 후방 왼쪽 채널신호 A_LS',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A_RS'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 A_LFE'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신호인 A_5. 1 ch를 얻으며, 선택 가능한 조합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여기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단계 360에 있어서,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말기는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단말기 자체의 메모리 또는 외부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단말기가 5.1 채널신호를 저장하는 경우, 압축되지 않은 PCM이나 WAV 등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는 DolbyDigita이나, AAC(Advanced Audio Coding)나, DTS(Digital Theatre System)나, 3 D-Audio 등 5.1 채널을 지지하는 압축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 및 사용자의 청취 체험을 훨씬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레코딩 방법은 소정 위치에 따라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비교적 적은 계산량으로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5.1 채널 데이터로 레코딩할 수 있어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비교적 적은 계산량으로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레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당해 레코딩 방법을 도 1d에 나타내는 두 번째 배치방식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 있어서,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각각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사운드 신호를 각각 A_mic1, A_mic2 및 A_mic3으로 한다.
단말기가 취득한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 후, 단말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후속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채취된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처리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취된 사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320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Noise reduction)를 실시한다.
단말기는 취득된 3개 루트의 사운드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소음 감소 된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제3 마이크로폰의 사운드 신호를 각각 A_mic1', A_mic2' 및 A_mic3'으로 한다.
소음 감소 방법의 일종으로서, 웨이브릿(wavelet)에 근거하여 신호 중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 A_mic1에 대하여 다층 웨이브릿 신호의 분해를 실시하며, 적합한 역치를 선택하여 각 층의 웨이브릿 신호의 고주파 계수에 대하여 처리하여, 처리 후의 신호에 대하여 웨이브릿 재구성을 실시하며, 출력 신호는 A_mic1'이다. 제2 사운드 신호 및 제3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당해 방법을 이용하여 소음 감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소음 감소 된 사운드 신호는 A_mic2' 및 A_mic3'이다.
상기 단계에서 진행되는 소음 감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사운드 신호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처리뿐이며, 상기 단계는 선택 가능한 단계라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해야 한다. 또한, 노이즈를 저감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으며, 여러 가지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노이즈를 필터링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38에 있어서,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당해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원점에 대한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원점은 5.1 채널 시스템의 중앙점(10)의 위치를 가리키며, 단말기가 당해 원점에 근거하여 좌표 시스템을 확립한다.
바람직하게는, 좌표 시스템을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5.1 채널 시스템의 중앙점을 원점으로 하고, 중앙점으로부터 센터 채널로 향하는 방향을 y축의 정방향으로 하고, y축과 수직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x축의 정방향으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표 시스템을 바탕으로 도 1a과 결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좌표 시스템을 확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상기 좌표 시스템에서의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제3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각각 P_mic1(x1, y1), P_mic2(x2, y2) 및 P_mic3(x3, y3)으로 한다.
5.1 채널 시스템 중의 각 채널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채널의 방향은 y축방향이며, 왼쪽 채널의 방향은 y축 정방향으로부터 왼쪽으로 30도 떨어지고, 오른쪽 채널의 방향은 y축 정방향으로부터 오른쪽으로 30도 떨어지고,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은 y축 정방향으로부터 왼쪽으로 100~120도 떨어지고,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은 y축 정방향으로부터 오른쪽으로 100~120도 떨어져 있다.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단말기는 먼저 당해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고, 그 다음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 채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은 제1 마이크로폰과 제2 마이크로폰일 경우, 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후 소음 감소를 실시하여 얻은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는 각각 A_mic1'및 A_mic2'이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는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며, 아래와 같은 두 개의 서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9 a에 있어서,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1 루트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는다.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는다.
각 마이크로폰은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지만,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각각의 방향 상의 사운드 신호의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단말기는 각 채널의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임의의 하나의 채널로부터 송신되는 사운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센터 채널을 예로 들면, 센터 채널에 가장 가까운 것은 제1 마이크로폰과 제2 마이크로폰이며, 제1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 1 루트 사운드 신호이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이다. 센터 채널은 그와 가장 가까운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센터 채널의 방향 상의 사운드가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 고정된 도달 위상차가 있으며, 도달 위상차를 Δ로 한다.
제1 루트 사운드 신호 및 제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 신호로 분할하고, 제1 루트 사운드 신호 중의 각 서브 신호는 일반적으로 제2루트 사운드 신호에서 동일한 시각에 해당하는 다른 서브 신호가 존재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1 루트 사운드 신호와 제2루트 사운드 신호 중의 동일한 시각에 해당하는 한 쌍의 서브 신호 사이의 도달 위상차를 비교하고, 도달 위상차가 Δ인 경우, 센터 채널의 방향 상의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보유한다. 도달 위상차가 Δ가 아닐 경우, 센터 채널의 방향 상의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필터링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1 루트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제2루트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는다.
단말기는 사운드 신호를 복수의 서브 신호로 분할하는 경우, 인코딩 프로토콜에 따라 각 오디오 프레임을 하나의 서브 신호로 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각 서브 신호로 분할하는 방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각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는 단말기에서 각 마이크로폰의 좌표 위치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미리 얻을 수 있다.
단계 339 b에 있어서,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제1 필터링 데이터 및 제2 필터링 데이터 중의 동일한 부분을 추출한다.
단말기는 얻은 제1 필터링 데이터 및 제2 필터링 데이터 중의 동일한 부분을 당해 채널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한다.
여기서. 채널은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다. 각 채널의 처리 방법도 상기 예에 기재된 센터 채널에 대한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가 각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한 후, 추출된 이러한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각각 센터 채널신호 A_C', 왼쪽 채널신호 A_L', 오른쪽 채널신호 A_R', 후방 왼쪽 채널신호 A_LS'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A_RS'로 한다.
단계 341에 있어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소음 감소 된 제1 사운드 신호 A_mic1', 제2 사운드 신호 A_mic2' 및 제3 사운드 신호 A_mic3'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어 A_LFE로 하고, 즉, 평균 사운드 신호는 A_LFE이며,
A_LFE=(A_mic1'+A_mic2'+A_mic3')/3
식을 만족한다.
단계 342에 있어서,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단계 341에서 얻은 평균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저역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선택 가능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차단 주파수를 80 Hz~120 Hz의 범위로 설정하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저역 필터링 하여 얻은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A_LFE'로 하며, 즉, 서브 우퍼 채널신호가 A_LFE'이고, A_LFE'=LPASS(A_LFE)를 만족한다.
여기서, 함수 y=LPASS(x)는, 신호 y가 신호 x가 저역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의 신호임을 표시한다.
여기서, 단계 341과 단계 338는 병렬관계를 가지며, 특정된 선후순서가 없다.
단계 350에 있어서,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신호를 얻는다.
단말기는 상기 단계를 통해 얻은 센터 채널신호 A_C', 왼쪽 채널신호 A_L', 오른쪽 채널신호 A_R', 후방 왼쪽 채널신호 A_LS',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A_RS'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 A_LFE'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신호인 A_5. 1 ch를 얻으며, 선택 가능한 조합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여기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단계 360에 있어서,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말기는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단말기 자체의 메모리 또는 외부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단말기가 5.1 채널신호를 저장하는 경우, 압축되지 않은 PCM이나 WAV 등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는 DolbyDigita이나, AAC나, DTS나, 3 D-Audio 등 5.1 채널을 지지하는 압축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레코딩 방법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자유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의 실제 공간에 따라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자유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5.1 채널 데이터로 레코딩하여, 단말기의 하드웨어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마이크로폰 배치위치에 대한 엄밀한 요구 없이, 5.1 채널 데이터를 레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예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레코딩 장치는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환경에 적용되며 도 1a에 나타내는 5.1 채널 시스템에 관련되며, 취득 모듈(500), 제1 연산 모듈(520), 제2 연산 모듈(540) 및 조합 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취득 모듈(500)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산 모듈(520)은 당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제2 연산 모듈(540)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다.
조합 모듈(560)은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당해 레코딩 방법을 도 1b에 나타내는 첫 번째의 배치방식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당해 장치는 취득 모듈(500), 소음 감소 모듈(510), 제1 연산 모듈(520), 제2 연산 모듈(540), 조합 모듈(560) 및 저장 모듈(58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취득 모듈(500)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소음 감소 모듈(510)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산 모듈(520)은 당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제1 연산 모듈(520)은 구체적으로 제1 서브 모듈(521), 제2 서브 모듈(522), 제3 서브 모듈(523), 제1 평균 서브 모듈(524) 및 제2 평균 서브 모듈(525)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모듈(521)은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센터 채널신호로 한다.
제2 서브 모듈(522)은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한다.
제3 서브 모듈(523)은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한다.
제1 평균 서브 모듈(524)은 제1 사운드 신호 및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제4 사운드 신호를 왼쪽 채널신호로 한다.
제2 평균 서브 모듈(525)은 제1 사운드 신호 및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제5 사운드 신호를 오른쪽 채널신호로 한다.
제2 연산 모듈(540)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되며, 제2 연산 모듈은 평균 서브 모듈(541) 및 저역 필터링 서브 모듈(542)을 포함한다.
평균 서브 모듈(541)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저역 필터링 서브 모듈(542)은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조합 모듈(560)은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저장 모듈(580)은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장치는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이 조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당해 방법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것은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이용되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레코딩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레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당해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으며,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5.1 채널의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5.1 채널의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상기 센터 채널신호로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하고,
상기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 4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왼쪽 채널신호로 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5 사운드 신호를 상기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원점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배치될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부합하는 제1 사운드 데이터 및 제2 사운드 데이터를 분리하고,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제1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제2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상기 제2 필터링 데이터의 동일한 부분을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도달 위상차는 상기 채널로부터의 사운드가 각각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에 대응하는 초기위상(initial phase angles)의 차이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는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의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당해 레코딩 방법을 도 1d에 나타내는 두 번째 배치방식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당해 장치는 취득 모듈(500), 소음 감소 모듈(510), 제1 연산 모듈(520), 제2 연산 모듈(540), 조합 모듈(560) 및 저장 모듈(58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취득 모듈(500)은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소음 감소 모듈(510)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산 모듈(520)은 당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제1 연산 모듈(520)은 구체적으로는 취득 서브 모듈(528) 및 분리 서브 모듈(529)을 포함한다.
취득 서브 모듈(528)은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당해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분리 서브 모듈(529)은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 서브 모듈(529)은, 제1 분리 서브 모듈(529a)과 필터링 서브 모듈(529b) 를 더 포함한다.
제1 분리 서브 모듈(529a) 은,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제1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제2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된다.
추출 서브 모듈(529b) 은 당해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제2 필터링 데이터 중의 동일한 부분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연산 모듈(540)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으며, 평균 서브 모듈(541)과 저역 필터링 서브모듈 (5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평균 서브 모듈(541)은,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저역 필터링 서브 모듈(542)은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조합 모듈(560)은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다.
저장 모듈(580)은 조합하여 얻은 5.1 채널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장치는 단말기의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채취하고, 이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작성 및 산출하며, 이 여섯 개의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당해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구성한다. 따라서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레코딩한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럴 데이터 또는 바이노럴 데이터 밖에 없을 수 없는 것으로, 레코딩의 음장 범위 및 임장감이 비교적 약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5.1 채널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레코딩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8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컨트롤러, 태블릿 장치, 의료장치, 피트니스 장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통상적으로 장치(8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통화,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818)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렉션(interaction)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802) 사이의 인터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8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장치(800)의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장치(8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8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상기 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8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오디오 어셈블리(8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장치(8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8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장치(8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814)는 장치(8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장치(8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814)는 장치(800) 혹은 장치(8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800) 사이의 접촉여부,장치(8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이도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센서 어셈블리(8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장치(8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8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8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근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8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8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800)의 프로세서(818)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3)

  1. 세 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이용되는 레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5.1 채널의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5.1 채널의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상기 센터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 4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5 사운드 신호를 상기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원점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5.1 채널 중의 각 채널은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 중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지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달 위상차는 상기 채널로부터의 사운드가 각각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에 대응하는 초기위상(initial phase angles)의 차이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는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1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 중의 제2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상기 제2 필터링 데이터의 동일한 부분을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는,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는 단계와,
    상기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모듈과,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연산 모듈과,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제2 연산 모듈과,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조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5.1 채널의 센터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5.1 채널의 후방 왼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5.1 채널의 후방 오른쪽 채널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상기 센터 채널신호로 하는 제1 서브 모듈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2 서브 모듈과,
    상기 제3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제3 사운드 신호를 상기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3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4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 4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왼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1 평균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가중평균 하여 제5 사운드 신호를 얻고, 상기 제5 사운드 신호를 상기 오른쪽 채널신호로 하는 제2 평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은 원점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5.1 채널 중의 각 채널은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 중의 두 개의 마이크로폰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지며,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5.1 채널의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서브 모듈과,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도달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2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달 위상차는 상기 채널로부터의 사운드가 각각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할 때에 대응하는 초기위상의 차이며,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는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서브 모듈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1 필터링 데이터를 얻고,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사운드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제2 필터링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된 필터링 서브 모듈과,
    상기 제1 필터링 데이터와 상기 제2 필터링 데이터의 동일한 부분을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로서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의 동일한 시각의 진폭을 평균하여 평균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평균 서브 모듈과,
    상기 평균 사운드 신호를 저역 필터링 하여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도록 구성된 저역 필터링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대하여 소음 감소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소음 감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세 개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5.1 채널의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및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를 취득하며,
    상기 3개 루트의 사운드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5.1 채널의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얻으며,
    상기 센터 채널신호, 왼쪽 채널신호, 오른쪽 채널신호, 후방 왼쪽 채널신호, 후방 오른쪽 채널신호 및 상기 서브 우퍼 채널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5.1 채널의 사운드 신호를 얻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장치.


KR1020167004126A 2015-10-29 2015-12-25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1848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19339.1A CN105407443B (zh) 2015-10-29 2015-10-29 录音方法及装置
CN201510719339.1 2015-10-29
PCT/CN2015/098845 WO2017071045A1 (zh) 2015-10-29 2015-12-25 录音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098A true KR20170061098A (ko) 2017-06-02
KR101848458B1 KR101848458B1 (ko) 2018-04-13

Family

ID=5547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26A KR101848458B1 (ko) 2015-10-29 2015-12-25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30467B2 (ko)
EP (1) EP3163904A1 (ko)
JP (1) JP6364130B2 (ko)
KR (1) KR101848458B1 (ko)
CN (1) CN105407443B (ko)
MX (1) MX361094B (ko)
RU (1) RU2635838C2 (ko)
WO (1) WO2017071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815B (zh) * 2016-07-27 2017-09-01 武汉诚迈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场景中回音消除的方法
CN110881164B (zh) * 2018-09-06 2021-01-26 宏碁股份有限公司 增益动态调节的音效控制方法及音效输出装置
CN115474117B (zh) * 2022-11-03 2023-01-10 深圳黄鹂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三麦克风的收音方法和收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427393A (en) * 1992-12-31 1994-08-15 Desper Products, Inc. Stereophonic manip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image enhancement
US5386473A (en) * 1994-01-21 1995-01-31 Harrison; Robert W. Passive surround sound circuit
EP0695109B1 (en) * 1994-02-14 2011-07-27 Sony Corporation Device for reproducing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JP4478220B2 (ja) * 1997-05-29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音場補正回路
JP3344647B2 (ja) * 1998-02-18 2002-11-11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アレイ装置
JP4089020B2 (ja) * 1998-07-09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ATE230917T1 (de) * 1999-10-07 2003-01-15 Zlatan Ribic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fnahme von schallsignalen
JP2002232988A (ja) * 2001-01-30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ャンネル収音装置
JP2002232989A (ja) * 2001-02-01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ャンネル音場収音装置
US6804565B2 (en) * 2001-05-07 2004-10-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ata-driven software architecture for digital sound processing and equalization
JP4062905B2 (ja) * 2001-10-24 2008-03-19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ミキサ
JP4428552B2 (ja) * 2001-10-24 2010-03-10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ミキサ
EP1370115B1 (en) * 2002-06-07 2009-07-15 Panasonic Corporation Sound image control system
JP2005311604A (ja) * 2004-04-20 2005-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2006060720A (ja) * 2004-08-24 2006-03-02 Hitachi Ltd 集音システム
JP2006287824A (ja) * 2005-04-05 2006-10-19 Sony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方法
CA2568916C (en) * 2005-07-29 2010-02-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tuning system
JP2007068021A (ja) * 2005-09-01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信号の補正装置
JP4670682B2 (ja) * 2006-02-28 2011-04-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及び指向音生成方法
JP4850628B2 (ja) * 2006-08-28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367484B2 (ja) * 2006-12-25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US8068620B2 (en) * 2007-03-01 2011-11-29 Canon Kabushiki Kaisha Audio processing apparatus
DE102008029352A1 (de) * 2008-06-20 2009-12-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m Lokalisieren einer Schallquelle
EP2398257B1 (en) * 2008-12-18 2017-05-1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channel spatial translation
JP5691130B2 (ja) * 2009-03-11 2015-04-01 ヤマハ株式会社 聴者を取り囲むように配置される複数のスピーカで音響再生を行う際にクロストークをキャンセルする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8351623B2 (en) * 2009-03-27 2013-01-08 Yamaha Corporation Audio mixing apparatus
CN102197662B (zh) * 2009-05-18 2014-04-23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效率优化的音频系统
CN101902679B (zh) * 2009-05-31 2013-07-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立体声音频信号模拟5.1声道音频信号的处理方法
US8654997B2 (en) * 2010-03-18 2014-02-18 Donald Eugene Meehan, Sr. Personal miniaturized loudspeaker placement platform
US8638951B2 (en) 2010-07-15 2014-01-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modified wideband audio signals based on two or more wideband microphone signals
CN102438200A (zh) * 2010-09-29 2012-05-02 联想(北京)有限公司 音频信号输出的方法及终端设备
US9552840B2 (en) * 2010-10-25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Three-dimensional sound capturing and reproducing with multi-microphones
US9055371B2 (en) * 2010-11-1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lable playback system offering hierarchical playback options
US9313599B2 (en) * 2010-11-19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hannel signal playback
CN102082991A (zh) * 2010-11-24 2011-06-01 蔡庸成 一种专为耳机试听设计的模拟现场全息音频的方法
US9031268B2 (en) * 2011-05-09 2015-05-12 Dts, Inc. Room characterization and correction for multi-channel audio
CN102802112B (zh) * 2011-05-24 2014-08-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音频文件格式转换功能的电子装置
US9084068B2 (en) * 2011-05-30 2015-07-14 Sony Corporation Sensor-based placement of sound in video recording
EP2530956A1 (en) * 2011-06-01 2012-12-05 Tom Van Achte Method for generating a surround audio signal from a mono/stereo audio signal
WO2013028393A1 (en) * 2011-08-23 2013-02-2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atrix-encoded two-channel audio signal
US9253567B2 (en) * 2011-08-31 2016-02-02 Stmicroelectronics S.R.L. Array microphone apparatus for generating a beam forming signal and beam forming method thereof
US20130343549A1 (en) * 2012-06-22 2013-12-26 Verisilicon Holdings Co., Ltd. Microphone arrays for generating stereo and surround channels,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JP2014017645A (ja) * 2012-07-09 2014-01-30 Sony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016780A (ko) * 2012-07-31 2014-02-10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9271076B2 (en) * 2012-11-08 2016-02-23 Dsp Group Ltd. Enhanced stereophonic audio recordings in handheld devices
US9756446B2 (en) * 2013-03-14 2017-09-05 Apple Inc. Robust crosstalk cancellation using a speaker array
KR101960215B1 (ko) * 2013-11-22 2019-03-19 애플 인크.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CN105451151B (zh) * 2014-08-29 2018-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声音信号的方法及装置
CN104581512A (zh) * 2014-11-21 2015-04-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立体声录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0467B2 (en) 2018-03-27
MX2016002669A (es) 2017-05-30
RU2635838C2 (ru) 2017-11-16
EP3163904A1 (en) 2017-05-03
RU2016107764A (ru) 2017-09-07
JP6364130B2 (ja) 2018-07-25
KR101848458B1 (ko) 2018-04-13
WO2017071045A1 (zh) 2017-05-04
CN105407443A (zh) 2016-03-16
JP2018500858A (ja) 2018-01-11
US20170127207A1 (en) 2017-05-04
CN105407443B (zh) 2018-02-13
MX361094B (es)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60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object audio recording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109944A1 (en)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269332A1 (en) Method for encoding multiple microphone signals into a source-separable audio signal for network transmission and an apparatus for directed source separation
JP6193844B2 (ja) 選択可能な知覚空間的な音源の位置決めを備える聴覚装置
US20170195817A1 (en) Simultaneous Binaural Presentation of Multiple Audio Streams
TW201215179A (en) Virtual spatial sound scape
WO2016167007A1 (ja) 頭部伝達関数選択装置、頭部伝達関数選択方法、頭部伝達関数選択プログラム、音声再生装置
KR101848458B1 (ko) 레코딩 방법 및 그 장치
WO2023151526A1 (zh) 音频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外设组件
US8989396B2 (en) Auditory display apparatus and auditory display method
CN112037825A (zh) 音频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6290827B2 (ja) 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方法及び補聴器システム
WO2013170802A1 (zh) 一种提高移动终端通话音质的方法及装置
CN116033304B (zh) 一种音频输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DK2120484T3 (da) Fremgangsmåde til brug af et høreapparat og et høreapparat
DK2887695T3 (en) A hearing aid system with selectable perceived spatial location of audio sources
CN114120950B (zh) 一种人声屏蔽方法和电子设备
WO2018064883A1 (zh) 一种录音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665271B2 (en) Controlling audio output
CN107870758B (zh) 音频播放方法及装置、电子设备
EP4297398A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s
JP2012175580A (ja) 携帯電子機器及び音出力システム
KR20150101102A (ko) 개량된 음향 청취기능을 갖는 진동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