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622A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8622A KR20170058622A KR1020150162434A KR20150162434A KR20170058622A KR 20170058622 A KR20170058622 A KR 20170058622A KR 1020150162434 A KR1020150162434 A KR 1020150162434A KR 20150162434 A KR20150162434 A KR 20150162434A KR 20170058622 A KR20170058622 A KR 201700586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ture
- rice
- flour
- mixed
- top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264279 Sargassum fusiforme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006 meconi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247 solid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2
- 235000019384 rice bran wax Nutrition 0.000 claims 2
- 239000004170 rice bran wax Substances 0.000 claims 2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332371 Abutilon x hybr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KUURHRXDUEBC-KAYWLYCHSA-N Atorvastatin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2C=CC(F)=CC=2)N(CC[C@@H](O)C[C@@H](O)CC(O)=O)C(C(C)C)=C1C(=O)NC1=CC=CC=C1 XUKUURHRXDUEBC-KAYWLYCHSA-N 0.000 description 1
- XUKUURHRXDUEBC-UHFFFAOYSA-N Atorvastatin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2C=CC(F)=CC=2)N(CCC(O)CC(O)CC(O)=O)C(C(C)C)=C1C(=O)NC1=CC=CC=C1 XUKUURHRXDUE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94 Heterocentron subtriplinerv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70 atorvasta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3 crud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54 inductively-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5 kraft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21 m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32 phyto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08 ph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5 ph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65 tumor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톳을 쌀뜨물에 침지시킨 후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톳가공단계와 상기 톳가공단계에서 준비된 톳물 및 톳가루를 엿기름 및 백미밥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에 검은콩과 구은 양파분말을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삵힘단계와 상기 삵힘단계에서 삵혀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제공함과 동시에 톳이 사용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비린내가 효과적으로 제거된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톳을 쌀뜨물에 일정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숙성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톳가공단계와 상기 톳가공단계에서 준비된 톳물 및 톳가루를 엿기름 및 백미밥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에 특정 량의 검은콩과 구은 양파분말을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삵힘단계와 상기 삵힘단계에서 삵혀진 톳 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제공함과 동시에 톳이 사용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비린내가 효과적으로 제거된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여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열량이 높은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설탕 대체 천연 감미료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설탕 대체 천연 감미료의 일 예로 당분이 많지만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소화가 용이한 조청이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청은 곡물과 엿기름을 이용하여 조려서 만드는데, 최근에는 하기의 특허문헌들처럼 배, 도라지, 표고 등의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새로운 효능을 부여한 조청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0748263호(2007. 08. 03. 등록) "배와 도라지를 이용한 조청, 엿 및 그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10-2011-0046870호(2011. 05. 06. 공개)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하지만, 종래의 조청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톳을 이용한 조청을 제조하는 경우, 톳이 가진 맛과 영양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으며, 톳이 가지는 비린내에 의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톳이 제공하는 영양성분을 제공할 수 있고, 맛과 영양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톳이 사용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톳 조청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청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톳이 가지는 다양한 유용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톳을 삶은 후 숙성하여 톳 물과 톳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고, 숙성된 톳물과 엿기름을 혼합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톳가루를 혼합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가지는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과정에 쌀뜨물, 검은콩 및 구운 양파분말이 사용되어 톳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은 톳을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톳가공단계와; 상기 톳가공단계에서 준비된 톳물 및 톳가루를 엿기름 및 곡물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삵힘단계와; 상기 삵힘단계에서 삵혀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톳가공단계는 톳을 세척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톳가공단계는 상기 쌀뜨물에서 톳을 건져 물에 넣고 가열하여 삶은 후, 50 내지 80도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한 숙성시키고,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하는 분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톳물을 엿기름에 혼합하고 찌꺼기를 걸러 내고, 상기 톳가루를 밥에 섞고, 찌꺼기가 걸러진 톳물이 혼합된 엿기름을 상기 톳가루가 혼합된 밥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밥은 백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삵힘단계에서는 톳혼합물에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을 추가로 혼합한 후 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 각각은 톳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삵힘단계에서는 톳혼합물을 55 내지 65도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에서는 세척된 톳을 쌀뜨물에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시키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쌀뜨물에서 톳을 건져 물에 넣고 100 내지 150도의 온도에서 4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분리된 엿물을 6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톳이 가지는 다양한 유용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톳을 삶은 후 숙성하여 톳 물과 톳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고, 숙성된 톳물과 엿기름을 혼합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톳가루를 혼합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과정에 쌀뜨물, 검은콩 및 구운 양파분말이 사용되어 톳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톳 조청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톳 조청의 제조방법은 톳을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톳가공단계와(S1); 상기 톳가공단계(S1)에서 준비된 톳물 및 톳가루를 엿기름 및 곡물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S2)와; 상기 혼합단계(S2)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삵힘단계(S3)와; 상기 삵힘단계(S3)에서 삵혀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4)와; 상기 분리단계(S4)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가열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톳가공단계(S1)는 톳을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단계로, 침지단계, 분리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침지단계는 톳을 세척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침지단계에서는 톳을 쌀뜨물에 침지시켜, 톳이 가지고 있는 비린내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분리단계는 물 1리터에 쌀뜨물에서 건져진 톳 0.1 내지 0.2kg을 혼합하고 100 내지 150도로 가열하여 4 내지 10분 삶은 후, 50 내지 80도 온도의 보온밥솥에서 20 내지 28시간 동한 숙성시키고, 체로 걸러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믹서로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톳가공단계(S1)에서는 톳을 삶은 후 숙성과정을 거치므로, 톳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추출되게 된다. 상기 톳은 칼슘, 요오드, 철 등의 무기염류를 많이 포함하고, 그 일 성분인 다당류는 혈압 강하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종양세포의 성장 저해 효과, 항 혈액응고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혼합단계(S2)는 상기 톳가공단계(S1)에서 준비된 톳물과 톳가루를 엿기름과 곡물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상기 톳가공단계(S1)에서 준비된 톳물에 엿기름을 혼합하고 체로 찌꺼기를 걸러 내고, 상기 톳가공단계(S1)에서 준비된 톳가루를 밥에 섞고, 찌꺼기가 걸러진 톳물이 혼합된 엿기름을 상기 톳가루가 섞여진 밥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은 톳 1kg당 0.4 내지 0.6kg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백미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혼합단계(S2)는 톳물과 엿기름을 섞은 이후 찌꺼기를 먼저 걸러낸 후 톳가루를 섞어 톳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찌꺼기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삵힘단계(S3)는 상기 혼합단계(S2)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에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을 추가로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단계로, 상기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 각각은 톳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톳혼합물을 55 내지 65도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삵힘단계(S3)는 특정 량의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이 사용되어, 검은콩과 양파가 가지는 맛과 향을 더할 뿐만 아니라 톳이 가지고 있는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단계(S4)는 상기 삵힘단계(S3)에서 삵혀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단계로,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단계(S4)는 유압기를 사용하여 엿물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므로 톳에 포함된 유용성분을 최대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분리단계(S4)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가열단계(S5)를 거친 이후에는 톳 조청이 제조되게 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톳을 삶은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숙성하고 숙성된 톳물과 엿기름을 혼합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톳가루를 혼합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톳물 및 톳가루를 형성하기 전에 톳을 일정시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고, 엿물을 분리하기 전 삵힘단계에서 특정 량의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을 사용하여 톳이 가지고 있는 비린내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톳 조청은 상기 톳 조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톳을 세척한 후 30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고, 물 1리터에 쌀뜨물에서 건저진 톳 0.2kg을 혼합하고 100도로 가열하여 10분 삶은 후, 60도 온도의 보온밥솥에서 24시간 동한 숙성시키고, 체로 걸러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믹서로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한다.
2) 상기 톳물에 엿기름을 혼합하고 체로 걸러 찌꺼기를 걸러내고, 톳가루를 백미밥 0.1kg에 혼합하고, 찌거기가 걸러진 톳물이 혼합된 엿기름을 톳가루가 혼합된 백미밥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한다.
3) 상기 톳혼합물에 검은콩 0.02kg 및 구운 양파분말 0.02kg을 추가로 혼합한 후 60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삵힌 후,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엿물을 가열하여 조청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1)에서 톳을 세척한 후 30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고, 물 1리터에 쌀뜨물에서 건저진 톳 0.2kg을 혼합하고 100도로 가열하여 10분 삶은 후, 체로 걸러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믹서로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2)에서 톳물에 엿기름 및 톳가루를 혼합하고 체로 걸러 찌거기를 제거한 후, 백미밥 0.1kg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1)에서 물 1리터에 세척한 톳 0.2kg을 혼합하고 100도로 가열하여 10분 삶은 후, 60도 온도의 보온밥솥에서 24시간 동한 숙성시키고, 체로 걸러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믹서로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3)에서 상기 톳혼합물을 60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삵힌 후,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엿물을 가열하여 조청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 톳 0.2kg을 갈아 물 1리터와 함께 엿기름에 혼합하고 체로 걸러 찌꺼기를 걸러낸 후, 백미밥 0.1kg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한다.
3) 상기 톳혼합물을 60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삵힌 후,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엿물을 가열하여 조청을 제조한다.
<실험예 1> 무기질(K, Fe) 함량 측정
1)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조청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FD SFDSM12, Samwon, Korea)하여 분말을 형성하여 시료 1 내지 4를 준비하였다.
2) 시료 1 내지 4에 대하여 ICP-AES(Spectroflame-EOP, Spectro, German)를 이용하여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K의 경우 %/건조중량으로 나타내어지며 Fe의 경우 ppm/건조중량으로 나타내어진다.
3) 시료 1의 경우 K는 4.3(%/건조중량)이고 Fe은 52.1(ppm/건조중량)이며, 시료 2의 경우 K는 3.3(%/건조중량)이고 Fe은 39.2(ppm/건조중량)이며, 시료 3의 경우 K는 3.8(%/건조중량)이고 Fe은 44.3(ppm/건조중량)이며, 시료 4의 경우 K는 2.5(%/건조중량)이고 Fe은 29.3(ppm/건조중량)으로, 시료 1, 3, 2 및 4 순으로 무기질 함량이 크게 된다. 이를 통해, 톳을 숙성시키고 찌꺼기를 제거한 후에 혼합하는 경우 무기물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산화력(DPPH) 측정
1) 실험예 1의 시료 1 내지 4 각각의 5g에 70% 에탄올 45㎖를 가하여 30℃ 항온수조에서 150rpm으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 에탄올추출물 0.4㎖에 0.4㎖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용액 1.6 ㎖를 가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능 계산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Electron donating ability(%) = 100-[(O.D. of sample/O.D. of control)]×100
2) 시료 1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33%이며, 시료 2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25%이며, 시료 1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29%이며, 시료 4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15%로, 톳을 숙성시키고 찌꺼기를 제거한 후에 혼합하는 경우 항산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실험
(1) 패널선정- 관능검사원(패널)은 관능평가 설명을 들은 30 내지 50세의 주부 10명으로 하였다. 상기 설명은 1시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청에 대한 개념을 정립 후 관능적 특성 용어를 개발하고 정의를 하였다.
(2) 실시예 1, 2, 3, 4, 5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조청을 각각 시료 1, 2, 3, 4, 5, 6으로 하였다. 상기 시료는 밀페 용기에 보관하며 사용하였으며,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에 상온(21℃)으로 제시하였다. 검사물의 편견을 없애기 위해 난수표에서 추출한 세 자리 숫자를 표기하고, 순서상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Williams' latin square 법에 의해 시료 제시 순서는 랜덤하게 배치하였다.
(3) 기호도 검사에서는 각 시료의 좋아하는 정도를 5점 항목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항목으로는 색상, 향, 비린내, 맛, 식감, 전반적인 선호도를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좋으면 5점, 나쁘면 1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같다.
색상 | 향 | 비린내 | 맛 | 식감 | 전반적 선호도 | |
시료 1 | 4.3 | 4.7 | 4.6 | 4.6 | 4.3 | 4.5 |
시료 2 | 3.9 | 4.1 | 3.9 | 3.8 | 3.9 | 3.9 |
시료 3 | 4.2 | 4.6 | 4.7 | 4.3 | 4.1 | 4.3 |
시료 4 | 4.2 | 4.2 | 3.9 | 4.6 | 4.2 | 4.4 |
시료 5 | 4.4 | 3.8 | 3.8 | 4.1 | 4.3 | 4.0 |
시료 6 | 3.7 | 3.1 | 2.9 | 3.5 | 3.8 | 3.4 |
상기 표 1을 보면, 톳을 단순히 갈아 사용한 시료 6은 향, 비린내, 맛 등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고, 시료 2는 시료 1에 비해 톳의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아 색상, 향, 비린내, 맛, 식감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시료 4 및 5는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쌀뜨물, 검은콩, 구운 양파분말)을 사용하지 않아 시료 1에 비해 향, 비린내 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험예 1 내지 3을 통해, 톳을 삶은 후 숙성하고 숙성된 톳물과 엿기름을 혼합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톳가루를 혼합하여 향상된 맛과 영양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특정 량의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이 사용되어 검은콩과 양파가 가지는 맛과 향을 더할 뿐만 아니라 톳이 가지고 있는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톳을 가공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준비하는 톳가공단계와; 상기 톳가공단계에서 준비된 톳물 및 톳가루를 엿기름 및 곡물과 혼합하여 톳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톳혼합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삵히는 삵힘단계와; 상기 삵힘단계에서 삵혀진 톳혼합물에서 엿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엿물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톳 조청을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톳가공단계는 톳을 세척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쌀뜨물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톳가공단계는
상기 쌀뜨물에서 톳을 건져 물에 넣고 가열하여 삶은 후, 50 내지 80도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한 숙성시키고, 톳물과 톳건데기를 분리하고 톳건데기를 분쇄하여 톳물과 톳가루를 별도로 준비하는 분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톳물을 엿기름에 혼합하고 찌꺼기를 걸러 내고, 상기 톳가루를 밥에 섞고, 찌꺼기가 걸러진 톳물이 혼합된 엿기름을 상기 톳가루가 혼합된 밥에 부어 톳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밥은
백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삵힘단계에서는
톳혼합물에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을 추가로 혼합한 후 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과 구운 양파분말 각각은
톳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삵힘단계에서는
톳혼합물을 55 내지 65도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삵혀진 톳혼합물을 유압기에 삽입하고 짜서 엿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에서는 세척된 톳을 쌀뜨물에 20 내지 40분 동안 침지시키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쌀뜨물에서 톳을 건져 물에 넣고 100 내지 150도의 온도에서 4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조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434A KR101870416B1 (ko) | 2015-11-19 | 2015-11-19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434A KR101870416B1 (ko) | 2015-11-19 | 2015-11-19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622A true KR20170058622A (ko) | 2017-05-29 |
KR101870416B1 KR101870416B1 (ko) | 2018-06-22 |
Family
ID=5905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2434A KR101870416B1 (ko) | 2015-11-19 | 2015-11-19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041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5032A (ko) * | 2009-03-20 | 2010-09-29 | 강상태 | 비열처리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71666A (ko) * | 2009-12-21 | 2011-06-29 | 전라남도 | 해조 식혜의 제조 방법 |
-
2015
- 2015-11-19 KR KR1020150162434A patent/KR1018704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5032A (ko) * | 2009-03-20 | 2010-09-29 | 강상태 | 비열처리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71666A (ko) * | 2009-12-21 | 2011-06-29 | 전라남도 | 해조 식혜의 제조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봄나물가미로 차린 무공해 식탁, 웹페이지(2008.05.16.), 인터넷: <URL: http://www.10000recipe.com/recipe/670146>* * |
조청/해조류조청/밥통으로조청만들기/톳/쇠미역/파래/조청만드는방법/밥통으로해초류조청을만들어봅니다, 다음 블로그(2012.04.04.), 인터넷: <URL: http://blog.daum.net/nanherb/236303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0416B1 (ko) | 2018-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0659B1 (ko) |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 |
KR101386138B1 (ko) | 콩가루와 흑임자를 포함하는 호두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029390B1 (ko) | 통팥 앙금의 제조방법 | |
KR101395691B1 (ko) | 수리취 분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수리취 분말을 포함하는 떡의 제조방법 | |
KR101826185B1 (ko) | 멸치강정 및 그 제조방법 | |
RU2624964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ухих зерновых продуктов | |
KR101748487B1 (ko)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947039B1 (ko) |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 |
KR101870416B1 (ko) | 톳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41987B1 (ko) | 마늘고추장 제조방법 | |
JP4361563B2 (ja) | 桑黄茸抽出物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る桑黄茸抽出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組成物 | |
KR20170083726A (ko) | 귀리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조청 | |
KR910007317B1 (ko) | 풍미 식용유의 제조방법 | |
KR102284193B1 (ko) | 천연재료를 함유한 누룽지스낵의 제조 방법 | |
KR102366088B1 (ko) | 자색 옥수수 침출차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629211B1 (ko) | 단호박을 포함하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을 포함하는 찹쌀떡 | |
KR101848160B1 (ko) | 녹차 부각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녹차 부각 | |
KR101470289B1 (ko) | 꾸지뽕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
CN109170570A (zh) | 一种茶汁挂面的加工方法 | |
KR102660450B1 (ko) | 비건 파운드케이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22703B1 (ko) | 산수유 증편의 제조방법 | |
JP7286235B2 (ja) | 分離液状調味料の胡麻油の風味増強方法、及び分離液状調味料 | |
JP3842253B2 (ja) | ハトムギ食品の製造方法 | |
KR100974121B1 (ko) |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90550A (ko) | 간식용 음식 속재료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