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532A -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532A
KR20170057532A KR1020150160774A KR20150160774A KR20170057532A KR 20170057532 A KR20170057532 A KR 20170057532A KR 1020150160774 A KR1020150160774 A KR 1020150160774A KR 20150160774 A KR20150160774 A KR 20150160774A KR 20170057532 A KR20170057532 A KR 2017005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ot
roo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090B1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2015016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육계나무껍질,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백작약뿌리, 산사열매,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부작용 발생을 줄이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을 증진시키며,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시상하부를 자극시키고, 기운을 보충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 증진을 보조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체온을 상승시키는 효과, 피로회복 효과, 면역증진 효과를 가지며,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여 자연 치유력을 증진하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body temperature rise with medicinal herbs classified as a food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종 이상의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 발생을 억제하고, 2종 이상의 유효성분들의 복합작용을 통해 체온을 상승시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피로 회복 효과 및 면역 항진 효과가 우수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도화 산업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생활 등에 따른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불규칙한 식습관, 잦은 음주 문화 등으로 인체의 항상성이 파괴되어, 피로가 축적되고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피로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활동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기능적인 능력이 저하된 일시적인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육체 피로와 정신 피로로 분류된다. 의학적으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장애 등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이러한 피로 증상의 원인 중 약 50%를 차지하며, 신체적 질환으로는 당뇨병, 갑상선질환, 만성호흡기질환, 빈혈, 결핵, 간염, 신장질환(腎臟疾患)이나 암 등에 의해서도 만성적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질환이 없는 것이 판명되면 만성피로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성피로증후군은 쉽게 피곤하고 지치며 몸이 나른해지는 등의 피로 증세가 6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지속하는 증세로서, 확실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고, 평소 건강한 사람에게서 감기나 몸살 기운이 있다가 이런 피로가 나타난다. 이러한 피로 증상으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고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종래에 피로 증상을 해결하고자 다수의 의약품, 건강식품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인체의 체온 상승을 통해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인체의 피로 회복 효과와 면역 항진 효과를 복합적으로 가지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10-2008-0045861)에 홍삼추출물과 울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식품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홍삼추출물과 울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식품조성물은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효과도 단편적이고 체온 조절을 통한 몸의 항상성 유지라는 측면에서 미흡하여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품으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재,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한약재,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는 한약재 및 기운을 보충하는 한약재를 합리적으로 조합하여 체온을 상승시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인체의 피로 회복 효과 및 면역 항진 효과가 우수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45861호 홍삼추출물과 울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식품조성물
본 발명은 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원료로 분류되는 육계나무껍질,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백작약뿌리, 산사열매,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부작용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재,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한약재,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는 한약재 및 기운을 보충하는 한약재를 합리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체온을 상승시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인체의 피로 회복 효과 및 면역 항진 효과가 우수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계나무껍질,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백작약뿌리, 산사열매,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황기뿌리 5-15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감초뿌리 5-15 중량부,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산사열매 3-9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및 인삼뿌리 2-6 중량부를 세척하고 분쇄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의 부피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20분에서 40분 불린 후, 100-110℃로 1시간 내지 3시간 가열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에 꿀 4-1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110℃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 부피 대비 1.5-2.5배로 졸인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함으로써 부작용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을 증진시키며,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시상하부를 자극시키고, 기운을 보충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 증진을 보조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리적으로 조합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가 복합적으로 상승작용하여 뛰어난 인체 피로 회복 효과 및 면역 항진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체온 상승을 통해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인체의 자연치유력 강화하여 피로를 회복하고 면역기능을 항진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섭취할 경우 인체의 에너지 생산이 증대되어 몸이 따뜻하게 되고,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통한 자연치유력이 작용하여 피로도 해소되고 면역력도 증가되며, 감기나 소화불량은 물론 냉대하, 월경통, 과민성대장, 방광경련 등 잡다한 건강문제가 해결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화학물질 노출, 알코올 섭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체의 항상성의 부조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인체에 항상성의 부조화가 발생하면 피로감을 느끼고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각종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체온이 1도 떨어져서 몸이 차게 되면 피로함을 느끼고 면역기능이 20% 감소한다는 통계도 존재한다. 인체에서 에너지 생산이 줄어들면 체온이 떨어져 몸이 냉해지고 모든 세포의 활력이 떨어진다. 특히 뇌세포의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함을 쉽게 느끼고 면역기능도 떨어져 여러 가지 잡다한 건강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체온을 상승시켜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피로 회복과 면역기능 항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체온은 인체의 온도를 말하며, 인간 체온의 정상범위는 36.5-37℃이고, 이 범위에 있을 때 인체의 항상성이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인간과 같은 항온동물의 경우 일정하게 체온이 유지되는 것은 체내에서 열의 발생과 방산(放散)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체온은 혈액순환의 개선과 기초대사량의 증가에 의하여 상승 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육계나무껍질과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갈근(칡뿌리)은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몸을 따뜻하게 한다. 인삼뿌리와 황기뿌리는 세포기능을 활성화하여 기초대사량을 증진시키는데, 인삼뿌리는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내분비기능과 자율신경을 강화하여 세포기능을 좋게하고 원기를 높이며, 황기뿌리는 직접 세포의 섭호선(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산사열매는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시키는데, 특히 장의 연동운동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장 연동운동 증진에 따라 장에서 충분한 영양분이 흡수된다는 정보가 뇌의 시상하부에 전달되면, 시상하부는 인체의 에너지 생산을 늘리는 명령을 하고 기초대사량이 증진된다. 한의학에서는 '소화기가 움직여야 기가 잘 발생한다(脾者氣之根本 비자기지근본).'라고 규정하고 있다. 황기뿌리, 백작약뿌리,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은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대추나무열매, 감초뿌리 및 꿀은 상기 여러가지 한약재들을 조화롭게 하고 중화해주는 효능을 가진다. 대추나무열매, 감초뿌리 및 꿀은 또한 다른 한약재들의 쓴맛을 줄여주고 각종 부작용이나 강한 맛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육계나무껍질은 녹나무과 식물인 육계나무(학명: Cinnamomum cassia Blume)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5~6년 이상 자란 육계나무의 줄기껍질을 벗겨 음지에서 건조하여 4cmx4cm 크기로 자른 것을 사용한다. 육계나무껍질은 양기를 보하여(補元陽) 몸을 따뜻하게 만든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신경(腎經) · 비경(脾經) · 심경(心經)에 작용한다. 신양(腎陽)을 북돋우고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며 통증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건위(健胃) 작용, 해열 작용, 항균 작용, 혈액 순환 촉진 작용 등이 밝혀졌다.
황기(학명: 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황기뿌리는 황기의 뿌리를 음지에서 말려 3-5mm 두께로 자른 것을 사용한다. 황기뿌리는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기(氣)를 보하여(補氣 보기) 피로를 풀어주며,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황기뿌리는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백출(삽주뿌리)은 삽주(학명: Atractylodes ovata)의 뿌리를 양지에서 말려 1cm 내외의 두께로 썰어둔 것이다. 삽주는 국화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각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백출(삽주뿌리)은 장(腸-위장,소장,대장)을 잘 움직이게 하여 소화력을 높이며 기를 보하는(補脾益氣 보비익기) 효과가 있다.
귤나무(학명: Citrus unshiu)는 운향과 귤속에 속하며, 한국·일본·중남미·흑해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성 소교목을 말한다. 진피(귤껍질)는 귤나무 열매의 껍질을 1cm 내외의 폭으로 썰어서 양지에서 말린 것이다. 귤나무 열매 껍질은 장(腸)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힘이 나게 보조하고(調中益氣 조중익기), 소화기 부종제거와 소화기의 독소를 제거하는데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갈근(칡뿌리)은 콩과의 덩굴식물인 칡(학명: Pueraria lobata(Willd.) Ohwi)의 말린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말린 뿌리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칡뿌리를 5cmx5cmx5cm 정도의 크기로 잘라 햇볕으로 말린 것을 이용하였다. 갈근(칡뿌리)은 갈증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생강(학명: 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말한다.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생강의 성숙한 뿌리를 껍질을 벗기고 1cm 두께로 썰어서 말려 사용한다.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모든 약물을 보조하고 약성을 부드럽게 조화시키며 소화기나 속이 찬 것을 따뜻하게 해준다.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대추나무열매로 인한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감초(학명: 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을 말한다. 감초뿌리는 감초의 뿌리 털을 제거하고 5mm 두께로 썰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감초뿌리의 효과로는 모든 약물을 해독하고 모든 구성 약물의 약성을 조화시켜준다.
백작약(학명: Paeonia japonic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을 말한다. 백작약뿌리는 백작약의 뿌리를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쪄서 1cm두께로 썰어 양지에서 말린 것이다. 몸과 혈액을 보하여 체력을 키우고 진땀을 멈추며 면역력을 높인다. 백작약뿌리는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쌍화탕과 십전대보탕의 구성성분으로 혈액을 튼튼하게 하며(보혈 補血) 체력을 키우고(보음 補陰) 진경작용이 있어 복통 생리통 방광염 등에 의한 경련을 진경하고 장의 과다한 수축을 진정시킨다.
산사열매는 장미과에 속하는 산사나무(학명: Crataegus pinnatifid)의 열매를 말한다. 산사열매는 색이 붉고 사과와 맛이 비슷하기 때문에 약용사과라고도 불린다. 산사열매는 1cm 내외의 두께로 썰어 햇빛으로 말린 것을 사용한다. 산사열매는 장의 연동운동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변비는 물론 소화불량에도 사용되어온 한방소화제의 하나이다.
대추나무(학명: Zizyphus jujuba var. inermis)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서, 대추나무열매는 대추나무의 열매를 양지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대추나무열매는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에 의한 자극 증상을 줄이는 등 구성 약물의 약성을 부드럽게 중화시키고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쓴 맛을 감소시킨다.
인삼(학명: 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인삼뿌리는 한국산 4-6년근 인삼 뿌리의 잔털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1-2cm로 자른 것을 사용한다. 인삼뿌리는 시상하부의 내분비 기능과 자율신경을 강화하고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꿀은 양봉 꿀을 사용한다. 성질이 따뜻하여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들을 조화시키고, 저혈당을 개선하고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쓴맛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육계나무껍질,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백작약뿌리, 산사열매,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육계나무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이 복합적으로 상승작용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체온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인삼뿌리는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내분비기능과 자율신경을 강화하고, 세포기능을 좋게 하여 원기를 높이는 작용을 하며, 황기뿌리는 직접 세포의 섭호선(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삼뿌리와 황기뿌리가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세포기능 활성화를 통해 기초대사량을 증진시켜 체온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산사열매는 소화기, 특히 장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산사열매가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장 연동운동을 강화시킴에 따라, 장에서 충분한 영양분이 흡수된다는 정보가 뇌의 시상하부에 전달되고, 시상하부는 인체의 에너지 생산을 늘리는 명령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명령에 의해 인체의 기초대사량이 증가되고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황기뿌리, 백작약뿌리,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은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황기뿌리, 백작약뿌리,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몸과 혈액을 보하여 체력을 키우고 진땀을 멈추게 하며 피로 회복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대추나무열매는 상기 여러가지 한약재들을 조화롭게 하고 중화해주는 효능을 가지며,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모든 구성성분의 약성을 보조하고, 감초뿌리는 모든 구성성분의 넘치는 약성을 잡아주고 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대추나무열매, 감초뿌리 및 꿀은 또한 다른 한약재들의 쓴맛을 줄여주고 각종 부작용이나 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꿀은 각 구성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하고 각 구성의 흡수를 촉진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여 체온상승용 조성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쓴맛을 개선하여 복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황기뿌리 5-15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감초뿌리 5-15 중량부,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산사열매 3-9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인삼뿌리 2-6 중량부 및 꿀 4-12 중량부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육계나무껍질은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육계나무껍질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양기를 보하여(補元陽)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효과가 미흡하고, 육계나무껍질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위장 자극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므로, 육계나무껍질은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육계나무껍질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황기뿌리는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황기뿌리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세포 내 섭호선(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와 몸과 혈액을 보하여 체력을 키우고 진땀을 멈추게 하며 피로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황기뿌리가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황기뿌리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황기뿌리는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백출(삽주뿌리)은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백출(삽주뿌리)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소화기, 특히 장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백출(삽주뿌리)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장의 연동운동이 강해져 소화 장애나 복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백출(삽주뿌리)은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백출(삽주뿌리)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진피(귤껍질)는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진피(귤껍질)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소화기, 특히 장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진피(귤껍질)가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위장 자극이 증가하거나 소화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진피(귤껍질)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진피(귤껍질)는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양기를 보하여(補元陽)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효과가 미흡하고,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소화기의 연동운동이 과도하여 소화 장애나 복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갈근(칡뿌리)은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갈근(칡뿌리)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양기를 보하여(補元陽)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효과가 미흡하고, 갈근(칡뿌리)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변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갈근(칡뿌리)은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갈근(칡뿌리)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감초뿌리는 5-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감초뿌리가 5 중량부 미만이면 모든 구성성분의 넘치는 약성을 잡아주고 조화시키며 다른 한약재들의 쓴맛을 줄여주고 각종 부작용이나 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미흡하고, 감초뿌리가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부종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감초뿌리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5-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감초뿌리는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백작약뿌리는 3-9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백작약뿌리가 3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몸과 혈액을 보하여 체력을 키우고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백작약뿌리가 9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져 소화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백작약뿌리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3-9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백작약뿌리는 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산사열매는 3-9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산사열매가 3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소화기, 특히 장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산사열매가 9 중량부를 초과하면 신맛이 강해져 복용에 어려움이 있고 장의 연동운동이 강해져 소화 장애나 복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산사열매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3-9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산사열매는 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대추나무열매는 3-9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대추나무열매가 3 중량부 미만이면 구성 약물의 약성을 부드럽게 중화시키는 효과와 몸과 혈액을 보하여 체력을 키우고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대추나무열매가 9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속이 더부룩해지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추나무열매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3-9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대추나무열매는 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인삼뿌리는 2-6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인삼뿌리가 2 중량부 미만이면 약성이 약하여 시상하부의 내분비 기능과 자율신경을 강화하는 효과와 인체의 원기를 보충하여 혈액순환 개선과 기초대사량 증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체 불균형을 해소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인삼뿌리가 6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가슴이 뛰거나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인삼뿌리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2-6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인삼뿌리는 4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꿀은 4-1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꿀이 4 중량부 미만이면 각 구성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 효과, 각 구성의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 및 저혈당을 개선하여 원기를 보충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꿀이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증량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단맛이 심해지고 입이 마르는 문제가 있으므로, 꿀은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4-1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에서 꿀은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황기뿌리 5-15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감초뿌리 5-15 중량부,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산사열매 3-9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및 상기 인삼뿌리 2-6 중량부를 분쇄혼합한 혼합물로부터 100-110℃에서 열수추출된 추출물과 꿀 4-12 중량부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로부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꿀을 혼합함으로써, 액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복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로부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꿀을 혼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각종 식품류,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각종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음료일 수 있다.
상기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로부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꿀을 혼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음료에 첨가될 경우, 음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음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의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로부터 열수추출된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꿀을 혼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음료에는 정제수와, 감미료, 산미료, 증점제, 향료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감미료는 설탕, 과당, 올리고당, 포도당, 아스파탐, 솔비톨, 자일리톨, 스테비오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미료는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산,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는 펙틴, 덱스트린, 검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는 사과농축과즙, 딸기농축과즙 등의 각종 과일농축과즙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농축과즙, 결정과당, 프락토올리고당, 효소처리스테비오사이드 및 드링크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황기뿌리 5-15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감초뿌리 5-15 중량부,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산사열매 3-9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및 인삼뿌리 2-6 중량부를 세척하고 분쇄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육계나무껍질 10 중량부, 황기뿌리 10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10 중량부, 진피(귤껍질) 10 중량부, 갈근(칡뿌리) 10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10 중량부, 감초뿌리 10 중량부, 백작약뿌리 6 중량부, 산사열매 6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6 중량부 및 인삼뿌리 4 중량부를 세척하고 분쇄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분쇄혼합한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의 부피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20분에서 40분 불린 후, 100-110℃로 1시간 내지 3시간 가열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분쇄혼합한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의 부피 대비 4 배의 물을 가하여 30분 불린 후, 100-110℃로 2시간 가열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물에 꿀 4-1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110℃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 부피 대비 1.5-2.5배로 졸인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에 꿀 8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110℃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 부피 대비 2배로 졸인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추출물을 1회 복용량인 40-60mL씩 분리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회 복용량을 50mL로 하여 분리 포장될 수 있다. 하루에 1회 복용량 40-60mL, 바람직하게는 1회 복용량 50mL를 3번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람의 체질이나 증상에 따라 복용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추출물을 분무하고 건조하여 가루로 만들어 1회 복용량 단위로 포장될 수 있으며, 가루를 압축하여 1회 복용량 단위의 정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에는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식품이나 음료로 이용되는 추가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1회 섭취되는 식품이나 음료에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40-60mL 포함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회 섭취되는 식품이나 음료에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50mL 포함되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육계나무껍질,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백작약뿌리, 감초뿌리, 대추나무열매가 상호 상승 작용하여 몸과 소화기를 따뜻하게 하고,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인삼뿌리가 상호 상승 작용하여 인체의 기(氣)를 보하여(補氣 보기) 피로를 풀어주며,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산사열매가 상호 상승 작용하여 소화기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대추나무열매와 꿀은 각 구성의 약성을 부드럽게 하고 조화시킨다. 이러한 몸과 소화기를 따뜻하게 하는 효과, 인체의 기(氣)를 보하여(補氣 보기) 피로를 풀어주며, 면역기능을 높이는 효과, 소화기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조화롭게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피로를 회복시키며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만성피로, 수족냉증, 초기 몸살, 초기 감기, 소화불량, 비만 등에 효과를 가지며,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여러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
육계나무껍질 1000g, 황기뿌리 1000g, 백출(삽주뿌리) 1000g, 진피(귤껍질) 1000g, 갈근(칡뿌리) 1000g,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1000g, 감초뿌리 1000g, 백작약뿌리 600g, 산사열매 600g, 대추나무열매 600g 및 인삼뿌리 400g을 준비하여 물로 가볍게 세척하였다. 세척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 총 9200g을 한꺼번에 탕기에 넣고, 40L의 물을 가하고 30분 불린 후 2시간 정도 100-110℃로 열탕 가열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26L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6L의 추출물에 꿀 800g을 혼합하고 1시간 정도 100-110℃로 가열하고 졸여 20L의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여, 결과적으로 20L의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실험예 1
약 200g의 무게를 가진 SD(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15마리를 5마리의 대조군(A군), 5마리의 예방군(B군)과 5마리의 회복군(C군)으로 나누고, 실험시작 20분 전에 각각 직장온도를 측정하였다(1). 이후 바로 5마리의 예방군(B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경구로 1 마리당 0.15mL(49.5mL/66kg, 즉 66kg의 성인에게 1회 복용량 49.5mL)씩 미리 투여하였고, 나머지 대조군(A군)과 회복군(C군)은 같은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생수 0.15mL씩 경구로 투여하였다. 이후 약 20분이 지난 뒤 대조군(A군), 예방군(B군), 회복군(C군) 각각의 흰쥐들의 직장온도를 측정하였다(2). 이어서 모든 흰쥐에게 약 20분에 걸쳐 차가운 물(10℃)을 몸에 뿌리면서 선풍기 바람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체온을 떨어뜨리고 대조군(A군), 예방군(B군), 회복군(C군) 흰쥐들의 직장온도를 다시 측정하였다(3). 바로 이어서 회복군(C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경구로 1 마리당 0.15mL(49.5mL/66kg, 즉 66kg의 성인에게 1회 복용량 49.5mL)씩 투여하였고,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에는 같은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생수 0.15mL를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20분 후(4), 40분 후(5) 60분 후(6)에 대조군(A군), 예방군(B군), 회복군(C군)의 직장온도를 측정하였다.
직장온도 측정 시기 대조군(A군) 예방군(B군) 회복군(C군)
실험 20분 전(1) 37.5±0.3℃ 37.4±0.4℃ 37.4±0.3℃
예방군(B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 대조군(A군)과 회복군(C군)에는 생수를 투여한 20분 후(2) 37.5±0.4℃ 37.9±0.5℃ 37.5±0.5℃
약 20분간의 인위적인 체온저하 과정 후(3) 35.1±0.3℃ 36.8±0.3℃ 35.2±0.3℃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회복군(C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에는 생수를 투여한 20분 후(4) 35.3±0.5℃ 37.0±0.3℃ 36.5±0.5℃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회복군(C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에는 생수를 투여한 40분 후(5) 35.7±0.4℃ 37.5±0.4℃ 36.9±0.4℃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회복군(C군)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에는 생수를 투여한 60분 후(6) 36.4±0.5℃ 37.3±0.3℃ 37.2±0.3℃
대조군(A군)은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았고, 예방군(B군)과 회복군(C군)에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경구 투여할 때 스트레스에 의한 변화를 배제하고 동일 조건의 실험을 만들기 위해 체온상승용 조성물과 같은 양의 생수를 같은 방법으로 대조군(A군)에 경구 투여하였다. 체온저하의 예방적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예방군(B)은 체온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기 20분 전에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하였고, 체온저하의 회복적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회복군(C군)은 체온을 떨어뜨린 직후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스트레스에 의한 변화를 배제하고 동일 조건의 실험을 만들기 위해 예방군(B군)에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경구 투여할 때 대조군(A군)과 회복군(C군)에도 체온상승용 조성물과 같은 양의 생수를 같은 방법으로 경구 투여하였고, 회복군(C군)에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경구 투여할 때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에도 체온상승용 조성물과 같은 양의 생수를 같은 방법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체온상승용 조성물의 발열에 따른 체온저하억제 효과와 체온저하회복 효과를 관찰함과 동시에 예방적 의미와 치료적 의미를 비교하였다.
실험 20분 전 대조군(A군), 예방군(B군), 회복군(C군)의 직장온도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대조군(A군) 37.5±0.3℃, 예방군(B군) 37.4±0.4℃, 회복군(C군) 37.4±0.3℃)
체온저하 억제의 예방적 효과를 보기 위해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20분 후(2)에 예방군(B군)의 직장온도가 37.9±0.3℃인데 반해 대조군(A군)의 직장온도는 37.5±0.4℃를 보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예방군(B군)이 대조군(A군)에 비해 직장온도가 0.4℃ 높았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실험 20분 전(1)보다 직장온도가 0.5℃ 상승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가 직장온도를 상승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직장온도 상승 폭은 크지 않은데, 이는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을 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의 복용으로 인한 과도한 체온 상승은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약 20분간의 인위적인 체온저하 과정 후(3)에 대조군(A군)과 예방군(B군)의 직장온도를 비교해보면, 대조군(A군)의 직장온도는 2.4℃ 저하되었고, 예방군(B군)은 1.1℃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가 체온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생수를 투여한 20분(4), 40분(5), 60분(6) 후 직장온도를 살펴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미리 투여한 예방군(B군)이 대조군(A군) 보다 정상 직장온도로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되는 직장온도의 폭은 감소되는데,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흰쥐의 체내에서 많이 대사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미리 투여한 예방군(B군)이 대조군(A군)에 비해 추위에 저항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생수를 투여한 대조군(A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회복군(C군)의 20분(4), 40분(5), 60분(6) 후 직장온도를 비교해 보면, 대조군(A군)은 20분 후(4)에 0.2℃, 40분 후(5)에 0.2℃, 60분 후(6)에 0.7℃의 직장온도 상승 폭을 보이는데 반해, 회복군(C군)은 20분 후(4)에 1.3℃, 40분 후(5)에 0.4℃, 60분 후(6)에 0.3℃의 직장온도 상승 폭을 보였다.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회복군(C군)이 20분(4), 40분(5) 후에 대조군(A군)과 비교해 큰 직장온도 상승 폭을 보였는데,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발열효과를 가지며, 신속한 정상 직장온도 회복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군(C군)에서 직장온도 상승 폭은 감소되는데,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흰쥐의 체내에서 많이 대사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예방적으로 미리 투여한 예방군(B군)이 인위적 체온저하 과정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회복군(C군) 보다 빠르게 정상 직장온도를 회복하고, 직장온도의 변동 폭이 적어 항상성 유지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의 예방적인 효과가 치료적인 효과보다 조금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대조군(A군)에 비하여 예방군(B군)과 회복군(C군)이 뚜렷한 체온저하 억제 효과와 체온저하 회복 효과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고, 정상체온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에도 과다한 체온상승이 없으므로 발열에 의한 부작용도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이 안전하면서 뛰어난 체온 상승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20L를 1회 복용량 50mL 씩 분리 포장하여 400개의 분리포장단위로 제조하였다. 초기 감기 증상을 가지는 성인 100명에게 50mL씩 1일 3회 복용시킨 후, 문진을 실시하였다.
문진의 질문 내용 반응이 있는 사람 수 비율
몸에서 열이 나서 후끈한 느낌이 드는지 여부 72 72%
피로감이 사라지고 힘이 나는지 여부 47 47%
감기 기운이 사라졌는지 여부 68 68%
배가 따뜻한 느낌이 드는지 여부 27 27%
소화가 잘 되는지 여부 32 32%
성인 100명 중 72명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복용한 후 몸에서 열이 나서 후끈한 느낌이 든다고 응답하여, 72%의 체온상승 효과 체감 비율을 보였다.
성인 100명 중 47명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복용한 후 피로감이 사라지고 힘이 나는 느낌이 든다고 응답하여, 47%의 피로회복 효과 체감 비율을 보였다.
성인 100명 중 68명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복용한 후 감기 기운이 사라진 느낌이 든다고 응답하여, 68%의 감기치유 효과 체감 비율을 보였다.
성인 100명 중 27명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복용한 후 배가 따뜻한 느낌이 든다고 응답하여, 27%의 소화기 체온상승 효과 체감 비율을 보였다.
성인 100명 중 32명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을 복용한 후 소화가 잘 되는 느낌이 든다고 응답하여, 32%의 소화기 연동운동 강화 효과 체감 비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을 증진시키며, 소화기 및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시상하부를 자극시키고, 기운을 보충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 증진을 보조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체온을 상승시키는 효과, 피로회복 효과, 면역증진 효과를 가지며,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여 자연 치유력을 증진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20L를 1회 복용량 50mL 씩 분리 포장하는 방식의 예로, 비닐팩, 캔이나 유리병에 진공 포장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1회 복용량은 복용하는 사람의 체질이나 증상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50mL짜리 분리포장단위를 1일 3회까지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약물 부작용의 기왕력이 있는 사람, 아토피 또는 음식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복용에 주의를 요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육계나무껍질, 황기뿌리, 백출(삽주뿌리), 진피(귤껍질), 갈근(칡뿌리),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감초뿌리, 백작약뿌리, 산사열매, 대추나무열매, 인삼뿌리 및 꿀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상기 황기뿌리 5-15 중량부, 상기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상기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상기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상기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상기 감초뿌리 5-15 중량부, 상기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상기 산사열매 3-9 중량부, 상기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상기 인삼뿌리 2-6 중량부 및 상기 꿀 4-12 중량부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상기 황기뿌리 5-15 중량부, 상기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상기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상기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상기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상기 감초뿌리 5-15 중량부, 상기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상기 산사열매 3-9 중량부, 상기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및 상기 인삼뿌리 2-6 중량부를 분쇄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열수추출된 추출물과 상기 꿀 4-12 중량부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포함되어 음료의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5. 육계나무껍질 5-15 중량부, 황기뿌리 5-15 중량부, 백출(삽주뿌리) 5-15 중량부, 진피(귤껍질) 5-15 중량부, 갈근(칡뿌리) 5-15 중량부, 건강(생강뿌리 말린 것) 5-15 중량부, 감초뿌리 5-15 중량부, 백작약뿌리 3-9 중량부, 산사열매 3-9 중량부, 대추나무열매 3-9 중량부 및 인삼뿌리 2-6 중량부를 세척하고 분쇄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의 부피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20분에서 40분 불린 후, 100-110℃로 1시간 내지 3시간 가열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에 꿀 4-1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110℃로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 부피 대비 1.5-2.5배로 졸인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을 1회 복용량인 40-60mL씩 분리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50160774A 2015-11-17 2015-11-17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74A KR101771090B1 (ko) 2015-11-17 2015-11-17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74A KR101771090B1 (ko) 2015-11-17 2015-11-17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32A true KR20170057532A (ko) 2017-05-25
KR101771090B1 KR101771090B1 (ko) 2017-08-24

Family

ID=5905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74A KR101771090B1 (ko) 2015-11-17 2015-11-17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261A (zh) * 2017-08-15 2017-11-21 刘国民 一种本草植物饮品及其制备方法
CN108186771A (zh) * 2018-01-19 2018-06-22 范鹏程 一种用于治疗睾丸疼痛的中药组合物
CN113812554A (zh) * 2020-06-13 2021-12-21 刘伟杰 一种含人参的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01725B1 (ko) * 2021-11-12 2022-05-24 조현숙 기호성 및 기능성이 증진된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8266B2 (ja) * 2001-07-30 2010-04-07 丸善製薬株式会社 冷え性改善剤及び冷え性改善用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261A (zh) * 2017-08-15 2017-11-21 刘国民 一种本草植物饮品及其制备方法
CN108186771A (zh) * 2018-01-19 2018-06-22 范鹏程 一种用于治疗睾丸疼痛的中药组合物
CN113812554A (zh) * 2020-06-13 2021-12-21 刘伟杰 一种含人参的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01725B1 (ko) * 2021-11-12 2022-05-24 조현숙 기호성 및 기능성이 증진된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090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9547A (zh) 一种固体饮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2640829B (zh) 具有改善心肌缺血功能的茶膏及其制备方法
CN105942498A (zh) 具有治疗糖尿病作用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CN101612315A (zh) 一种用于调整人体机能的中药复方制剂
KR101771090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59379A (zh) 一种有助于改善记忆的养生保健食品配方及其制备方法
CN107873915A (zh) 一种枸杞姜枣茶及其制备方法
CN104873808A (zh) 一种降三高的保健茶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349121B (zh) 降三高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7751993A (zh) 一种抗疲劳膏滋及其制备方法
CN104474472B (zh) 具有降三高作用的苦丁茶含片及其生产方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3355444B (zh) 一种健脾补气保健茶膏及制备方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4365914A (zh) 具有清热解毒,退火生津效果的固体凉茶及其制备方法
CN102604802B (zh) 一种原生态竹锗营养酒的制备方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613648B (zh) 一种原生态竹锗营养液的制备方法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CN103798435A (zh) 佛手桑叶枸杞茶及其制备方法
CN103960542A (zh) 一种用于防治猪附红细胞体病的饲料和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