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572A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3572A KR20170053572A KR1020160142748A KR20160142748A KR20170053572A KR 20170053572 A KR20170053572 A KR 20170053572A KR 1020160142748 A KR1020160142748 A KR 1020160142748A KR 20160142748 A KR20160142748 A KR 20160142748A KR 20170053572 A KR20170053572 A KR 201700535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er
- needle bed
- knitting
- yarn
- 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고정싱커와 가동싱커의 사이에 편사가 끼워지기 어려운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고정싱커(4)와 가동싱커(5)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가동싱커(5)의 회전방향 중에서 싱커루프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로부터 싱커루프에 접촉하는 작용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작용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가동싱커(5)는, 가동싱커(5)의 회전중심에서 보아서 편사수용부(5B)보다 상기 회전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돌기부(5C)를 구비한다. 돌기부(5C)는 편사수용부(5B)보다 작용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편침(3)의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인입하였을 때의 훅(3F)에 있어서의 편사(8)의 결합점과 고정싱커(4)에 있어서의 편사(8)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규정하였을 때에, 가동싱커(5)가 비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돌기부(5C)는, 가상선보다 니들베드(2)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해결수단) 고정싱커(4)와 가동싱커(5)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가동싱커(5)의 회전방향 중에서 싱커루프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로부터 싱커루프에 접촉하는 작용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작용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가동싱커(5)는, 가동싱커(5)의 회전중심에서 보아서 편사수용부(5B)보다 상기 회전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돌기부(5C)를 구비한다. 돌기부(5C)는 편사수용부(5B)보다 작용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편침(3)의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인입하였을 때의 훅(3F)에 있어서의 편사(8)의 결합점과 고정싱커(4)에 있어서의 편사(8)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규정하였을 때에, 가동싱커(5)가 비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돌기부(5C)는, 가상선보다 니들베드(2)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싱커(固定sinker)와 가동싱커(可動sinker)의 양방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편침(編針)을 갖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측의 선단부에 각 편침에 병렬되는 싱커가 설치되어 있다. 싱커는, 편침의 훅(hook)에 급사(給絲)된 편사를 니들베드에 인입하였을 때에, 편사 전체가 니들베드측에 인입되지 않도록 가압함으로써 스티치(stitch)와 스티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싱커루프(sinker loop)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싱커에 의하여 싱커루프를 형성하면서, 편침의 인입량을 조정함으로써 훅에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스티치 크기 결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싱커로서,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측의 선단에 부동(不動)으로 고정되는 고정싱커(특허문헌1을 참조)와, 당해 선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싱커(특허문헌2를 참조)를 들 수 있다.
고정싱커는, 니들베드에 부동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스티치 크기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고정싱커에 있어서 니들베드갭측의 하단 부근에는 편사결합선재(編絲結合線材)가 삽입되어 있고, 그 편사결합선재는, 편침을 인입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훅에 결합되어 있었던 스티치를 녹오버(knock over)시키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가동싱커는, 스티치 크기 결정의 기능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편성포의 싱커루프를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밀어내리기, 편성포의 편성을 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반면에 가동싱커는, 회전하기 때문에 스티치 크기 결정의 정밀도의 점에서 부동의 고정싱커에 뒤떨어진다.
최근에, 고정싱커와 가동싱커의 각각의 이점을 살리기 위하여 고정싱커와 가동싱커를 병설(倂設)한 횡편기도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3을 참조). 특허문헌3의 가동싱커는, 항상 싱커루프에 접촉하는 특허문헌2의 가동싱커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싱커루프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3의 가동싱커는, 싱커루프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와, 편사수용부에서 싱커루프에 접촉하여 싱커루프를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작용위치(作用位置)와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3의 가동싱커는, 싱커루프의 밀어내리기 전용(專用)의 부재로서 스티치 크기 결정의 기능은 없고, 스티치 크기 결정은 고정싱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정싱커에 의하여 고정밀도로 스티치 크기 결정을 할 수 있고 또한 가동싱커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싱커루프를 가압하여 편성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고정싱커와 가동싱커를 병설한 횡편기에서는, 작용 시에 가동싱커의 편사수용부가 편사에 접촉되어 밀려서 내려갈 때에, 편사의 장력이 높으면 가동싱커가 그 장력에 굴복하여 조금 휘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병렬되는 고정싱커와 가동싱커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그 간극에 편사가 끼워질 우려가 있다. 특히 파인게이지(fine gage)의 횡편기에서는, 가동싱커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가동싱커가 휘어지기 쉽고 또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가 가늘기 때문에, 양 싱커의 간극으로 편사가 물려 들어가기 쉽다. 편사의 물림이 발생하면, 가동싱커의 회전이 저해되어 편성포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고정싱커와 가동싱커의 사이에 편사가 끼워지기 어려운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는, 복수의 편침이 설치되는 니들베드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측에 부동으로 고정되고 상기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의 싱커루프를 형성하는 고정싱커와, 상기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싱커에 병렬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싱커루프를 상기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작용위치와 상기 싱커루프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동싱커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방향 중에서 상기 비작용위치로부터 상기 작용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작용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작용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싱커루프에 접촉되어 상기 싱커루프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횡편기에 구비되는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편사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이고 또한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중심에서 보아서 상기 편사수용부보다 상기 회전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돌기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편사수용부보다 상기 작용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침의 훅에 의하여 편사를 인입하였을 때의 상기 훅에 있어서의 상기 편사의 결합점과 상기 고정싱커에 있어서의 상기 편사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규정하였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가 상기 비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상선보다 상기 니들베드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범위의 전체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싱커의 윤곽선의 내측에 배치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고정싱커에 있어서의 상기 니들베드갭 근방의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결합선재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가동싱커가 상기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편사수용부와 상기 편사결합선재의 사이에 상기 돌기부가 끼어들도록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싱커가 작용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싱커에 걸리는 싱커루프에 편사수용부가 접촉할 때에, 실시형태의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3)의 훅(3F)으로부터 고정싱커(4)에 이르는 편사(8)와, 고정싱커(4)와의 사이에 돌기부(5C)가 끼어든다. 그 때문에, 가동싱커가 고정싱커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고정싱커와 가동싱커와의 간극에 편사가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가 고정싱커의 윤곽선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돌기부가 편성포의 편성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싱커가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편사수용부와 편사결합선재의 사이에 돌기부가 끼어드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편사결합선재와 가동싱커(특히 돌기부)의 사이에 편사가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횡편기에 구비되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측 근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측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3은, 가동싱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가동싱커가 비작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B)는 가동싱커가 편사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C)는 가동싱커가 작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측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3은, 가동싱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가동싱커가 비작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B)는 가동싱커가 편사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C)는 가동싱커가 작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1>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橫編機)(1)를 도1∼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1)는, 2매 베드(2枚 bed)의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4매 베드의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여기에서 도1에는, 2매 베드의 횡편기(1)에 구비되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needle bed)(2)만이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실제의 횡편기(1)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니들베드(2)와 동일한 구성의 니들베드가 2점쇄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서는 니들베드(2)에 구비되는 편침(編針)(3) 중에서 훅(hook)(3F)을 갖는 바늘본체만을 도면에 나타내고, 도4에서는 바늘본체의 훅(3F) 근방의 부분만을 도면에 더 나타내고 있다. 편침(3)은, 래치니들(latch needle)이더라도 좋고, 훅을 갖는 바늘본체와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더라도 좋다.
≪전체 구성≫
횡편기(1)에 구비되는 니들베드(2)에는,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지면(紙面)의 깊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플레이트홈(plate groove)(2G)이 형성되어 있고, 각 플레이트홈(2G)에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20)가 삽입되어 있다.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20)의 사이는 니들홈(needle groove)으로서 기능을 하고, 그 니들홈에는 선단에 훅(3F)을 갖는 편침(3)이 수납된다. 이러한 니들베드(2)에 있어서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10)측의 선단부에는, 고정싱커(固定sinker)(4)와 가동싱커(可動sinker)(5)가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도2에 나타내는 니들베드(2)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합하여 참조). 본 실시형태의 횡편기(1)에 있어서 종래 구성과의 주된 차이점은, 가동싱커(5)의 구성에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횡편기(1)에 구비되는 각 구성 중에서 가동싱커(5)와 관계가 깊은 구성을 주로 설명한다.
≪니들 플레이트≫
니들 플레이트(20)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횡편기에 구비되는 니들 플레이트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니들 플레이트(20)는, 도2,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갭(10)측의 선단부가 국소적(局所的)으로 얇아지게 됨으로써 형성되는 박육부(薄肉部)(20A)를 구비한다. 박육부(20A)는, 후술하는 가동싱커(5)를 배치하는 스페이스(space)가 된다. 이 박육부(20A)에는, 플레이트홈(2G)측에 원호모양으로 오목한 회전지지부(回轉支持部)(20B)가 형성되어 있고, 그 회전지지부(20B)에는 후술하는 가동싱커(5)의 원호모양부(5A)가 삽입된다.
≪고정싱커≫
도4에 나타내는 고정싱커(4)는, 강(鋼)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얇은 두께의 부재로서, 굴곡되며 가늘고 긴 암부(arm部)(40)와, 암부(40)의 선단에 형성되는 평판모양의 스티치 크기 결정부(stitch size determine部)(41)를 구비한다. 암부(40)의 일단부(一端部)(스티치 크기 결정부(41)와는 반대측의 끝부)는 니들베드(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싱커(4)는 니들베드(2)에 대하여 부동(不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스티치 크기 결정부(41)는 니들베드갭(10)측으로 밀려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편침(3)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스티치 크기 결정부(41)에 있어서 니들베드갭(10)측의 하단(下端) 부근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에는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지면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결합선재(編絲結合線材)(7)가 삽입되어 있다(도1, 도4).
상기 고정싱커(4)와 편사결합선재(7)의 기능은, 특허문헌1의 것과 동일하다. 즉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싱커(4)는, 편침(3)의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니들베드(2)측(니들베드갭(10)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인입하였을 때에, 편사(8) 전체가 니들베드(2)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스티치 크기 결정부(41)에 의하여 편사(8)를 가압하여, 편성포의 싱커루프(sinker loop)(80)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한편 편사결합선재(7)는, 편침(3)의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인입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훅(3F)에 결합되어 있었던 구스티치를 녹오버(knock over)시키기 쉽게 하는 부재이다.
≪가동싱커≫
가동싱커(5)는, 강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얇은 두께의 부재로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中間部)(50), 선단부(先端部)(51), 후단부(後端部)(52) 및 탄성각편(彈性脚片)(53)으로 나눌 수 있다. 중간부(50)의 일부가 만곡(彎曲)됨으로써 원호모양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는 니들 플레이트(20)의 박육부(20A)에 배치되고, 가동싱커(5)의 원호모양부(5A)는 니들 플레이트(20)의 회전지지부(20B)에 삽입된다. 또한 가동싱커(5)의 탄성각편(53)은, 박육부(20A)와 그 상부에 있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의 단차면(段差面)에 슬라이딩 접촉(sliding 接觸)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가동싱커(5)는, 원호모양부(5A)(회전지지부(20B))의 곡률중심(曲率中心)을 회전중심(9X)(도3을 참조)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동싱커(5)의 회전각도는, 후술하는 싱커잭(sinker jack)(6)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고, 도4(A)에 나타내는 싱커루프(80)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와, 도4(C)에 나타내는 싱커루프(80)에 접촉하는 작용위치(作用位置) 사이에 있어서의 각도로 되어 있다. 가동싱커(5)는 탄성각편(53)의 탄성에 의하여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상기 가동싱커(5)는, 그 선단부(51)의 위치에 편사수용부(5B)와 돌기부(5C)를 더 구비하고 있다. 편사수용부(5B)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가동싱커(5)가 작용방향(9D)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싱커루프(80)(도4(C)를 참조)에 접촉되어 싱커루프(80)를 밀어내리는 부분이다. 본 예의 편사수용부(5B)는, 특허문헌3에 기재된 종래의 가동싱커에 구비되는 편사수용부와 마찬가지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5C)는, 본 실시형태의 가동싱커(5)에 있어서 특유의 구성이다. 돌기부(5C)는, 편사수용부(5B)에 인접하는 위치이고 또한 가동싱커(5)의 회전중심(9X)에서 보아서 편사수용부(5B)보다 회전중심(9X)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돌기부(5C)는, 편사수용부(5B)보다 작용방향(9D)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대략 산(山)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A)의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가 비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돌기부(5C)는, 편침(3)의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인입하였을 때에 훅(3F)으로부터 고정싱커(4)로 연장되는 편사(8)보다 니들베드(2)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편사(8)는, 훅(3F)에 있어서의 편사(8)가 걸리는 결합점과, 고정싱커(4)에 있어서의 편사(8)가 걸리는 결합점을 연결하는 가상선(假想線)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즉 비작용위치에 있는 가동싱커(5)의 돌기부(5C)는, 상기 가상선보다 니들베드(2)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돌기부(5C)가 배치됨으로써, 훅(3F)에 의하여 편사(8)를 인입할 때에 돌기부(5C)가 편사(8)에 접촉되지 않아, 돌기부(5C)가 스티치의 형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 돌기부(5C)는, 도4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가동싱커(5)의 회전범위의 전체에서 고정싱커(4)의 윤곽선(검게 칠해진 화살표를 참조)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돌기부(5C)는, 도4(C)의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가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편사수용부(5B)와 편사결합선재(7)의 사이에 끼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가동싱커(5)는, 도1에 나타내는 싱커잭(6)을 포함하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동작된다. 싱커잭(6)은, 니들베드(2) 위를 편침(3)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진퇴하는 장척(長尺)의 부재로서, 버트(butt)(60) 및 오목부(61)를 구비한다. 버트(60)는, 싱커잭(6)의 후단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니들베드(2)의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다. 한편 오목부(61)는, 싱커잭(6)의 선단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니들베드(2)의 상면과 대향(對向)하는 오목부이다. 이 싱커잭(6)은, 니들베드(2) 위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지면의 깊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캐리지(carriage)(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캠(cam)에 버트(60)가 결합됨으로써 동작된다.
도4(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가동싱커(5)의 후단부(52)가 싱커잭(6)의 하부에 접촉되어 멈추어서, 가동싱커(5)가 편사(8)(싱커루프(80))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캐리지의 캠이 니들베드갭(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싱커잭(6)의 버트(60)(도1을 참조)를 끌어내리면,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의 후단부(52)가 싱커잭(6)의 오목부(61)의 경사면을 따라 니들베드(2)의 상방으로 스윙(swing)한다. 가동싱커(5)의 선단부(51)는 탄성각편(53)에 의하여 니들베드갭(10)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후단부(52)가 니들베드(2)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선단부(51)는 니들베드갭(10) 하방으로 내려가서, 편사수용부(5B)가 싱커루프(80)에 접촉한다. 또한 싱커잭(6)이 니들베드갭(10)으로부터 후퇴하면, 가동싱커(5)의 후단부(52)는 더 상방으로 스윙하여 오목부(61)의 가장 깊은 위치에 도달한다. 그에 따라, 도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51)가 니들베드갭(10) 하방으로 내려가서, 편사수용부(5B)가 싱커루프(80)를 니들베드갭(10)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작용위치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횡편기(1)에 의하면, 도4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를 작용방향(9D)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싱커(4)에 걸리는 싱커루프(80)에 편사수용부(5B)가 접촉하기 조금 전에,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3)의 훅(3F)으로부터 고정싱커(4)에 이르는 편사(8)와, 고정싱커(4)와의 사이에 돌기부(5C)가 끼어든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와 달리, 싱커루프(80)에 편사수용부(5B)가 접촉함과 동시에, 편사(8)와 고정싱커(4)와의 사이에 돌기부(5C)가 끼어들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그 위치에 끼어드는 돌기부(5C)에 의하여, 도2의 고정싱커(4)와 가동싱커(5)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더라도 편사(8)가 그 간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C)는 처음부터 편사(8)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싱커(5)가 고정싱커(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기 어려워서, 양 싱커(4, 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매우 작은 돌기부(5C)이더라도 당해 간극으로 편사(8)가 물려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편사의 물림에 따르는 편성포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싱커루프(80)에 편사수용부(5B)가 접촉된 후에 상기 간극으로 돌기부(5C)가 끼어드는 구성이더라도, 가동싱커(5)가 휘어지기 전에 편사(8)와 고정싱커(4)와의 사이에 돌기부(5C)가 끼어들기만 하면, 상기 물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도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가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도, 돌기부(5C)가 고정싱커(4)의 윤곽선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싱커(5)에 의하여 밀어내려진 싱커루프(80)는 고정싱커(4)의 윤곽선(검게 칠해진 화살표를 참조)을 따라 이동되어, 돌기부(5C)가 편성포의 편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도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가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편사수용부(5B)와 편사결합선재(7)의 사이에 돌기부(5C)가 끼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편사결합선재(7)와 가동싱커(5)(특히 돌기부(5C))의 사이에 편사(8)가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동싱커(5)가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돌기부(5C)가 편사결합선재(7)의 후측(니들베드갭(10)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도2에 나타내는 고정싱커(4)와 가동싱커(5)의 사이에 편사(8)가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가동싱커(5)의 전체 형상도 실시형태의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싱커(5)에 구비되는 편사수용부(5B)와 돌기부(5C)의 위치관계가, 상기한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면, 가동싱커(5)의 전체 형상이 어떤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가동싱커(5)는, 특허문헌2의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S자 모양의 본체와 선스프링(線spring)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싱커(5)의 구동기구는, 싱커잭(6)을 사용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싱커(5)의 후단부(52)를 직접 가압하는 캠에 의하여 가동싱커(5)를 구동하더라도 상관없다.
1 : 횡편기
2 : 니들베드
2G : 플레이트홈
20 : 니들 플레이트
20A : 박육부
20B : 회전지지부
3 : 편침
3F : 훅
4 : 고정싱커
40 : 암부
41 : 스티치 크기 결정부
5 : 가동싱커
50 : 중간부
51 : 선단부
52 : 후단부
53 : 탄성각편
5A : 원호모양부
5B : 편사수용부
5C : 돌기부
6 : 싱커잭
60 : 버트
61 : 오목부
7 : 편사결합선재
8 : 편사
80 : 싱커루프
9D : 작용방향
9X : 회전중심
10 : 니들베드갭
2 : 니들베드
2G : 플레이트홈
20 : 니들 플레이트
20A : 박육부
20B : 회전지지부
3 : 편침
3F : 훅
4 : 고정싱커
40 : 암부
41 : 스티치 크기 결정부
5 : 가동싱커
50 : 중간부
51 : 선단부
52 : 후단부
53 : 탄성각편
5A : 원호모양부
5B : 편사수용부
5C : 돌기부
6 : 싱커잭
60 : 버트
61 : 오목부
7 : 편사결합선재
8 : 편사
80 : 싱커루프
9D : 작용방향
9X : 회전중심
10 : 니들베드갭
Claims (3)
- 복수의 편침(編針)이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측에 부동(不動)으로 고정되고, 상기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의 싱커루프(sinker loop)를 형성하는 고정싱커(固定sinker)와,
상기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싱커에 병렬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싱커루프를 상기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작용위치(作用位置)와, 상기 싱커루프에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와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방향 중에서 상기 비작용위치로부터 상기 작용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작용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작용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싱커루프에 접촉되어 상기 싱커루프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를 갖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가동싱커는, 상기 편사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이고 또한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중심에서 보아서 상기 편사수용부보다 상기 회전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돌기부(突起部)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편사수용부보다 상기 작용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편침의 훅(hook)에 의하여 편사를 인입하였을 때의 상기 훅에 있어서의 상기 편사의 결합점과 상기 고정싱커에 있어서의 상기 편사의 결합점을 연결하는 가상선(假想線)을 규정하였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가 상기 비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상선보다 상기 니들베드의 상방측에 배치되는 횡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범위의 전체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싱커의 윤곽선의 내측에 배치되는 횡편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싱커에 있어서의 상기 니들베드갭 근방의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사결합선재(編絲結合線材)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싱커가 상기 작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편사수용부와 상기 편사결합선재의 사이에 상기 돌기부가 끼어들도록 상기 가동싱커의 회전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횡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18933A JP6275101B2 (ja) | 2015-11-06 | 2015-11-06 | 横編機 |
JPJP-P-2015-218933 | 2015-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3572A true KR20170053572A (ko) | 2017-05-16 |
KR101844265B1 KR101844265B1 (ko) | 2018-04-02 |
Family
ID=5722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2748A KR101844265B1 (ko) | 2015-11-06 | 2016-10-31 | 횡편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165651B1 (ko) |
JP (1) | JP6275101B2 (ko) |
KR (1) | KR101844265B1 (ko) |
CN (1) | CN10683547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5759A (ko) * | 2019-09-24 | 2021-04-0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횡편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85262A (zh) * | 2018-05-14 | 2018-08-10 |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 用于横机的压纱片及横机 |
US11313058B2 (en) * | 2019-02-27 | 2022-04-26 |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
KR20230160922A (ko) * | 2021-03-29 | 2023-11-24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횡편기의 가동싱커 |
CN115573088B (zh) * | 2022-10-28 | 2024-09-17 |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沉降片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06161A (ja) * | 1989-12-28 | 1991-09-09 | Shima Seiki Seisakusho:Kk |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
JPH03232823A (ja) * | 1990-02-07 | 1991-10-16 | Shima Seiki Seisakusho:Kk | ノックオーバータイミング調整可変な機能を有する横編機 |
JP2700204B2 (ja) | 1992-12-15 | 1998-01-19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
JPH0931806A (ja) * | 1995-07-14 | 1997-02-04 | Shima Seiki Mfg Ltd |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
TW522186B (en) * | 1999-11-17 | 2003-03-01 | Shima Seiki Mfg |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CN101490324B (zh) * | 2006-08-11 | 2011-04-13 |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 可动沉降片和横机 |
WO2009150825A1 (ja) * | 2008-06-13 | 2009-12-1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CN102182002B (zh) * | 2011-04-30 | 2012-09-26 | 松谷机械(惠州)有限公司 | 一种双针距针织横机装置 |
US8468855B2 (en) * | 2011-09-16 | 2013-06-25 |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
JP2013139644A (ja) * | 2011-12-28 | 2013-07-18 | Shima Seiki Mfg Ltd |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
JP2013237936A (ja) * | 2012-05-11 | 2013-11-28 |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 ペアシンカー |
JP6234244B2 (ja) * | 2013-03-08 | 2017-11-22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JP6223194B2 (ja) * | 2014-01-10 | 2017-11-0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
-
2015
- 2015-11-06 JP JP2015218933A patent/JP6275101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0-31 KR KR1020160142748A patent/KR1018442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3 EP EP16197044.7A patent/EP3165651B1/en active Active
- 2016-11-04 CN CN201610974350.7A patent/CN106835477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5759A (ko) * | 2019-09-24 | 2021-04-0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횡편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275101B2 (ja) | 2018-02-07 |
CN106835477A (zh) | 2017-06-13 |
EP3165651B1 (en) | 2018-06-20 |
JP2017089033A (ja) | 2017-05-25 |
EP3165651A1 (en) | 2017-05-10 |
CN106835477B (zh) | 2019-06-18 |
KR101844265B1 (ko) | 2018-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4265B1 (ko) | 횡편기 | |
KR101516154B1 (ko) |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 |
JP2018178292A (ja) | 編地の編成方法 | |
JPH11152657A (ja) |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ループプレッサーを用いた編地編成方法 | |
WO2010122750A1 (ja)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
JP4348286B2 (ja) | 横編機 | |
JPWO2008018185A1 (ja) | 可動シンカおよび横編機 | |
JP2006183182A (ja) | 複合カムシステム | |
JP2018178293A (ja) | カムシステムおよび横編機 | |
EP1655398A1 (en) |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 |
JP2013139644A (ja) |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 |
KR101569012B1 (ko) |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 |
JP4176038B2 (ja) |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 |
CN106995972B (zh) | 圆形针织机的编织方法、编织机构以及该圆形针织机 | |
JP4175978B2 (ja)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
JP2012132125A (ja) | 横編機の複合針 | |
CN117098884A (zh) | 横编机的可动沉降片 | |
JP2005290573A5 (ko) | ||
JP2016141910A (ja)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
JP2005113366A (ja) | 横編機のシンカ | |
CN221320261U (zh) | 具备可动沉降片的横编机 | |
EP2240635B1 (en) |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from the needle itself to adjacent needles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 |
CN215051062U (zh) | 一种成形织物编织电脑横机的组合式针床 | |
JP4175977B2 (ja) |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 |
CN220099326U (zh) | 具备可动沉降片的横编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