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907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907A
KR20170050907A KR1020150153032A KR20150153032A KR20170050907A KR 20170050907 A KR20170050907 A KR 20170050907A KR 1020150153032 A KR1020150153032 A KR 1020150153032A KR 20150153032 A KR20150153032 A KR 20150153032A KR 20170050907 A KR20170050907 A KR 2017005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lades
discharge port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048B1 (ko
Inventor
이동윤
강용헌
장근정
윤경종
윤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048B1/ko
Priority to EP16862370.0A priority patent/EP3339759B1/en
Priority to US15/773,137 priority patent/US11614241B2/en
Priority to CN201680063925.8A priority patent/CN108351112B/zh
Priority to PCT/KR2016/012414 priority patent/WO2017078354A1/ko
Publication of KR2017005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2013/088Air-flow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가 개시된다. 본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팬 케이스;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를 복수의 토출 경로들로 분할하는 고정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간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제습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에 냉동 사이클 구성요소들이 마련된다. 냉동 사이클 구성요소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회전에 의해 실내 공간의 공기가 본체를 통과하도록 흡입력 및 송풍력을 제공한다. 실내 공간의 공기가 본체 내의 증발기를 통과하도록 하면,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축되므로 제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송풍팬은 블로어 타입(blower type)으로 마련됨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팬의 회전방향에 따라 한쪽으로 편심되어 토출된다. 즉,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없었고, 실내 제습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류 제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습 가능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으로부터 편심된 기류를 직진 기류로 전환 가능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팬 케이스;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를 복수의 토출 경로들로 분할하는 고정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경사부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경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경사부를 향해 볼록한 제1 곡률을 가지는 전방 고정면과 제2 경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경사부를 향해 오목한 제2 곡률을 가지는 후방 고정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분산하는 복수의 분산홀들을 가지는 분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홀들은 육각 형상이며, 상기 분산 플레이트는 벌집 구조(honeycomb structure)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 및 상기 분산 플레이트는 상기 팬 케이스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해 유동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복수개이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은 상기 연통구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과 같거나 작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축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수직 배치되며,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이 하단의 일측에 편심되는 제1 위치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이 하단의 타측에 편심되는 제2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팬 케이스;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를 복수의 토출 경로들로 분할하는 고정 블레이드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을 통해 유동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 가능한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과 상기 회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을 통해 분할된 상기 공기를 분산하는 복수의 분산홀들을 가지는 분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축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습기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 Ⅲ-Ⅲ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 Ⅳ-Ⅳ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습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Ⅵ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Ⅶ-Ⅶ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Ⅷ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습기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제습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의 전면에는 물통 어셈블리(도시안함)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습기(100)의 후면에는 흡입구(도시안함)와 연통되는 복수의 홀들을 가지는 커버(120)가 설치될 수 있다. 물통 어셈블리와 커버(120)의 위치 관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커버(120)의 내측에는 필터(도시안함)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는 커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 주는 역할을 한다.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 및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0)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제습기(100)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도시안함)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일측에는 제습기(100)를 작동을 조작하는 작동버튼(도시안함)이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 및 작동버튼의 위치는 본체의 상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의 상면에는 토출구(도 3의 140)가 형성되며, 토출구(140)는 토출루버(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제습기(100)가 작동되면, 토출루버(13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도 3의 140)가 개방된다. 한편, 제습기(100)의 작동을 정지하면, 토출루버(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도 3의 140)가 차폐된다. 토출루버(130)가 토출구(도 3의 140)를 차폐할 경우, 본체(110) 내부로 침투하는 이물질에 의한 제습기(100)의 오염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토출구(140)가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흡입구가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토출구(140)와 흡입구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와 열 교환이 가능한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열교환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감압 팽창된 냉매가 증발하면서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가 본체(110)를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송풍팬(도 4의 21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공기가 본체 내의 증발기를 통과하도록 하면,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축되므로 제습이 이루어진다. 증발기를 통해 제습된 공기는 토출구(도 3의 140)를 통해 다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 Ⅲ-Ⅲ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 Ⅳ-Ⅳ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제습기(100)는 흡입구와 토출구(140)를 가지며, 제습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열교환기의 전면에는 팬 케이스(200)가 설치될 수 있다.
팬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송풍팬(210)이 설치되며, 팬 케이스(200)의 내면 상측에는 덕트(220)가 구비된다. 송풍팬(210)은 회전 구동을 통해 공기를 본체(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력과 제습된 공기를 토출구(140)로 송풍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덕트(220)는 송풍팬(21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덕트(220)의 상부에는 토출구(140)와 연통되는 연통구(225)가 형성된다.
덕트(220)는 연통구(225)를 향해 제습된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진다. 덕트(220)의 내부에는 고정 블레이드들(230)과 분산 플레이트(240)가 설치된다. 각각의 고정 블레이드(230)는 연통구(225)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되며, 연통구(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분산 플레이트(240)는 고정 블레이드(2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분산 플레이트(240)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분산홀들(245)을 가진다. 고정 블레이드들(230)을 통해 분할된 공기들은 분산홀들(245)을 통과함에 따라 균일하게 분산되어 토출될 수 있다. 분산홀들(245)은 육각 형상일 수 있으며, 분산 플레이트(240)는 벌집 구조(honeycomb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분산홀들(245)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다각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으나, 분산홀들(245)이 육각 형상으로 제공될 경우, 가장 큰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는 120도를 가짐으로써, 똑같은 크기의 쪽매 맞춤이 가능한 삼각형 또는 사각형에 비해 통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 블레이드들(230) 및 분산 플레이트(240)는 팬 케이스(20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들(230)과 분산 플레이트(240)가 팬 케이스(20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경우, 별도의 체결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제품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산 플레이트(240)의 상부에는 회전 블레이드(250)가 설치된다. 회전 블레이드(250)는 연통구(225)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된다. 회전 블레이드(250)는 연통구(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며, 분산 플레이트(240)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 블레이드(250)의 회전에 의해 토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 블레이드들(230)과 분산 플레이트(240) 및 회전 블레이드(250)의 상세 구조 및 작동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습기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Ⅵ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고정 블레이드들(2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고정 블레이드들(2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덕트(220)로 유동하는 공기들의 유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팬 케이스(200)는 공기의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기 위한 덕트(220)를 구비한다. 덕트(220)는 제습된 공기를 연통구(225)를 향해 용이하게 유동하도록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덕트(200)는 연통구(225)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경사부(223)와 제1 경사부(223)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2 경사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경사부(225)는 제1 경사부(223)와 비교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고정 블레이드(230)는 덕트(220)의 형상에 따라 고정 블레이드(23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 블레이드(230)는 제1 경사부(223)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전방 고정면(233)과 제2 경사부(228)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후방 고정면(235)을 가질 수 있다. 전방 고정면(233)은 제1 경사부(223)를 향해 볼록한 제1 곡률(θA)을 가지며, 후방 고정면(235)은 제2 경사부(228)를 향해 오목한 제2 곡률(θB)을 가진다.
제1 곡률을 제2 곡률보다 클 수 있으며(θA > θB), 전방 고정면(233)의 제1 곡률과 후방 고정면(235)의 제2 곡률을 덕트(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들(230)이 일정한 원호 형상의 곡률을 가짐에 따라, 송풍팬(210)에 의해 유동된 공기의 유속을 떨어뜨리지 않는 상태에서 공기의 토출 경로를 복수로 분할할 수 있다.
송풍팬(210)의 회전을 통해 송풍된 공기는 연통구(225)의 일측을 향해 편심된 기류로 고정 블레이드(230)를 향해 유동된다. 고정 블레이드(2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연통구(2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편심된 기류는 직선형 기류로 전환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230)를 통해 직선형 기류로 전환된 공기는 고정 블레이드(230)의 상단부에 연결된 분산 플레이트(240)의 분산홀들(245)을 통과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직선형 기류로 전환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Ⅶ-Ⅶ에서 바라본 제습기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Ⅷ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분산 플레이트(240)의 상부에는 회전 블레이드(250)가 설치된다. 회전 블레이드(250)는 연통구(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 블레이드(230)와 분산 플레이트(240)를 통과한 공기들은 회전 블레이드(250)의 회전 각도에 의해 토출 방향이 결정된다.
일 예로, 회전축(255)은 회전 블레이드(25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회전축(255)은 회전 블레이드(25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도록 연통구(225)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된다. 회전 블레이드(25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연통구(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 블레이드(250)는 회전축(255)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 돌기(258)를 가질 수 있다. 돌출 돌기(258)는 회전축(255)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회전 블레이드(250)의 일측은 덕트(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 블레이드(250)의 타측은 링크 부재(260)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260)는 연통구(22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링크부재(260)는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고정홀들(265)을 가지며, 돌출 돌기(258)는 대응되는 고정홀(265)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링크부재(260)를 매개로 회전 블레이드들(250)은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재(270)는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덕트(2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재(27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255)에 연결되어 회전축(255)을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구동부재(270)는 하나의 회전축(255)에 회전력을 제공할 경우, 링크부재(260)에 연동된 회전 블레이드들(25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부재(270)는 모터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맞춰 정밀함을 갖춘 스텝모터일 수 있다. 하지만, 구동부재(270)는 스텝모터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 블레이드(250)에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리니어 모터, 스핀들 모터, 서보 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250)는 상기 구동부재(270)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250)의 상단이 하단의 일측에 편심되는 제1 위치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250)의 상단이 하단의 타측에 편심되는 제2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회전 블레이드(250)는 고정 블레이드들(230)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회전 블레이드(250)는 고정 블레이드들(230)과 같거나 작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블레이드(23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열 개로 나열될 수 있으며, 회전 블레이드(250)는 고정 블레이드(230)의 간격보다 두 배 넓도록 이격되어 다섯 개로 나열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230)와 회전 블레이드(250)의 개수는 이에 한정치 않으나, 회전 블레이드(250)의 회전축(255)의 위치는 고정 블레이드(230)와 수직 방향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를 최소한으로 간섭하여 통풍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의 공기는 필터를 거쳐 정화된 후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과정을 거친다. 열교환기과정을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수 형태로 열교환기에 맺히게 되고 응축수는 물통 어셈블리의 물통에 수용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열교환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덕트(220)를 통해 토출구(140)로 배출된다. 제습된 공기는 송풍팬(210)의 회전에 의해 덕트(220)의 상부로 유동된다. 송풍팬(210)의 원심 회전력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송풍팬(2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유동한다.
덕트(22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덕트(220)에 설치된 고정 블레이드들(230)에 의해 복수의 토출 경로로 일정하게 분할된다. 이 경우, 고정 블레이드들(230)은 덕트(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따라서, 송풍팬(210)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유속의 감소가 최소화된 상태로 복수의 토출 경로로 분할한다.
또한, 고정 블레이드들(2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연통구(2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덕트(220)의 일측을 향해 편심되는 기류(또는 난류(turbilent flow))를 직선형 기류로 전환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들(230)을 통해 직선형 기류로 전환된 공기는 고정 블레이드들(230)의 상단부에 연결된 분산 플레이트(240)의 분산홀들(245)을 통과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직선형 기류로 전환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 균일하게 분산된 공기는 회전 블레이드(25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토출 방향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제습된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는 제습된 공기의 토출 방향과 제습이 필요한 건조물(예를 들어, 빨래 등)을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습기(100)를 사용할 경우, 구동부재(270)는 회전 블레이드(250)를 연속적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습된 공기를 실내에 골고루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습기(100)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제습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직선 기류와 균일하게 분산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습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효율적인 실내 공간을 통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 블레이드, 분산 플레이트 및 회전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기류를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송풍팬을 통해 일측으로 편심되는 기류가 생성되는 공기 조화기, 온풍 난방기 등의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제습기 110 : 본체
120 : 커버 130 : 토출루버
140 : 토출구 200 : 팬 케이스
210 : 송풍팬 220 : 덕트
223 : 제1 경사부 225 : 연통구
228 : 제2 경사부 230 : 고정 블레이드
233 : 전방 고정면 235 : 후방 고정면
240 : 분산 플레이트 245 : 분산홀
250 : 회전 블레이드 255 : 회전축
258 : 돌출 돌기 260 : 링크부재
265 : 고정홀 270 : 구동부재

Claims (20)

  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팬 케이스;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를 복수의 토출 경로들로 분할하는 고정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되는, 제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편심 배치되는, 제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토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경사부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경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경사부를 향해 볼록한 제1 곡률을 가지는 전방 고정면과 제2 경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경사부를 향해 오목한 제2 곡률을 가지는 후방 고정면을 가지는, 제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제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분산하는 복수의 분산홀들을 가지는 분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홀들은 육각 형상이며, 상기 분산 플레이트는 벌집 구조(honeycomb structure)인, 제습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 및 상기 분산 플레이트는 상기 팬 케이스에 일체로 제공되는, 제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통해 유동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되는, 제습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복수개이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습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은 상기 연통구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습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과 같거나 작은 개수로 구비되는, 제습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축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수직 배치되며,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홀을 가지는, 제습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이 하단의 일측에 편심되는 제1 위치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이 하단의 타측에 편심되는 제2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제습기.
  18.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본체 내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팬 케이스;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된 상기 공기를 복수의 토출 경로들로 분할하는 고정 블레이드들;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을 통해 유동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 가능한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과 상기 회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을 통해 분할된 상기 공기를 분산하는 복수의 분산홀들을 가지는 분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습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들은 상기 토출구의 폭 방향을 가로 질러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제습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회전축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들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150153032A 2015-11-02 2015-11-02 제습기 KR10247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32A KR102479048B1 (ko) 2015-11-02 2015-11-02 제습기
EP16862370.0A EP3339759B1 (en) 2015-11-02 2016-10-31 Dehumidifier
US15/773,137 US11614241B2 (en) 2015-11-02 2016-10-31 Dehumidifier
CN201680063925.8A CN108351112B (zh) 2015-11-02 2016-10-31 除湿器
PCT/KR2016/012414 WO2017078354A1 (ko) 2015-11-02 2016-10-31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32A KR102479048B1 (ko) 2015-11-02 2015-11-02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07A true KR20170050907A (ko) 2017-05-11
KR102479048B1 KR102479048B1 (ko) 2022-12-19

Family

ID=5866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32A KR102479048B1 (ko) 2015-11-02 2015-11-02 제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14241B2 (ko)
EP (1) EP3339759B1 (ko)
KR (1) KR102479048B1 (ko)
CN (1) CN108351112B (ko)
WO (1) WO201707835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17B1 (ko) 2018-04-13 2019-08-1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20190120048A (ko) 2018-10-08 2019-10-2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20200022218A (ko) * 2018-08-22 2020-03-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160419B1 (ko) 2019-08-16 2020-09-28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20210020823A (ko) 2020-08-13 2021-02-24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1864S1 (en) * 2020-11-05 2021-06-08 Shenzhen Vantop Technology & Innovation Co., Ltd. Humidifier
USD921865S1 (en) * 2021-01-12 2021-06-08 Zhongtao Han Humidifier
CN113509098B (zh) * 2021-07-05 2024-05-28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扇叶的吸尘器主机出风结构
USD984620S1 (en) * 2022-09-26 2023-04-25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137A (ja) * 2008-02-14 2009-08-27 Panasonic Corp 風向変更装置
CN103574873A (zh) * 2012-08-03 2014-02-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立式空调器的组合式导风组件及其立式空调器
JP5471250B2 (ja) * 2009-09-30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装置とこれを用いた乾燥装置
KR20140133973A (ko) * 2013-05-09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77693A (ko) * 2013-12-30 2015-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제습기용 건조기
JP2015137796A (ja) * 2014-01-22 2015-07-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003B1 (ko) 2001-05-03 2003-12-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100765163B1 (ko) 2006-04-27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08010384A1 (fr) 2006-07-19 2008-01-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limatiseur
JP4810341B2 (ja) * 2006-07-19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8207611A (ja) 2007-02-23 2008-09-11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9299991A (ja) 2008-06-13 2009-12-24 Sharp Corp 風向変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JP5664290B2 (ja) 2011-01-31 2015-02-04 株式会社トヨトミ 空気調和機の吹出口に備えたルーバー構造
KR101226268B1 (ko) 2012-08-08 2013-01-25 (주)구츠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JP5505476B2 (ja) 2012-09-28 2014-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50001063A (ko) 2013-06-26 2015-01-06 난징 티디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제습기
KR102127843B1 (ko) 2013-07-03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풍향조절장치
KR20150051015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50057002A (ko)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풍향조절 가능한 탈착식 제습기
KR101554788B1 (ko) 2013-12-31 2015-09-21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CN105531549B (zh) 2014-03-18 2019-05-21 夏普株式会社 送风装置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CN104748340B (zh) 2015-03-31 2018-09-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机构及具有它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137A (ja) * 2008-02-14 2009-08-27 Panasonic Corp 風向変更装置
JP5471250B2 (ja) * 2009-09-30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装置とこれを用いた乾燥装置
CN103574873A (zh) * 2012-08-03 2014-02-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立式空调器的组合式导风组件及其立式空调器
KR20140133973A (ko) * 2013-05-09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77693A (ko) * 2013-12-30 2015-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제습기용 건조기
JP2015137796A (ja) * 2014-01-22 2015-07-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17B1 (ko) 2018-04-13 2019-08-1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20200022218A (ko) * 2018-08-22 2020-03-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120048A (ko) 2018-10-08 2019-10-2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160419B1 (ko) 2019-08-16 2020-09-28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20210020823A (ko) 2020-08-13 2021-02-24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0910A1 (en) 2018-11-08
CN108351112A (zh) 2018-07-31
EP3339759A1 (en) 2018-06-27
KR102479048B1 (ko) 2022-12-19
CN108351112B (zh) 2020-09-01
US11614241B2 (en) 2023-03-28
WO2017078354A1 (ko) 2017-05-11
EP3339759B1 (en) 2023-01-18
EP3339759A4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0907A (ko) 제습기
US10583384B2 (en)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JP6732037B2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109996593A (zh) 能够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JP2019501358A (ja) 空気清浄機
KR101927440B1 (ko) 공기 조화기
KR20150028171A (ko) 제습기
US20200263882A1 (en) Air conditioner
JP5383628B2 (ja) 空気調和機
JP2004101072A (ja) 空気調和機
KR102362390B1 (ko) 공기조화기
JP7150822B2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2098374A (ja) クリーンルームの加湿方法及びクリーンルーム装置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CN105605689B (zh) 一种空气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7008643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 장치
JP2018071792A (ja) 除湿装置
CN110410870A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3021356A (ja) 空気調和機
JP3475116B2 (ja) 可搬式空気調和機
JP3607844B2 (ja) 除湿機
KR20150078558A (ko) 제습기
JP3320033B2 (ja) 空気調和機の吹出口
JP2014119215A (ja) 空気調和機のルー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