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419B1 -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419B1
KR102160419B1 KR1020190100460A KR20190100460A KR102160419B1 KR 102160419 B1 KR102160419 B1 KR 102160419B1 KR 1020190100460 A KR1020190100460 A KR 1020190100460A KR 20190100460 A KR20190100460 A KR 20190100460A KR 102160419 B1 KR102160419 B1 KR 10216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
support member
case
fasten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영태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김경희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19010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419B1/ko
Priority to PCT/KR2020/095098 priority patent/WO20210341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Abstract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핸들의 하방 근처에 형성되는 파지 홈, 그리고 상기 파지 홈의 아래에 구비되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Manual coffee grinder}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로스팅한 커피원두를 커피 추출방식과 기구에 적합한 크기로 분쇄하기 위해 커피원두 분쇄기를 사용한다. 커피 입자의 분쇄도는 추출 시 물과 맞닿는 표면적과 추출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커피의 향미와 수용성 고형물의 추출 수율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분쇄된 커피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져 커피 성분의 추출 수율이 크고 추출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커피가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짧은 추출 기구는 원두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해야 하고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긴 추출 기구일수록 분쇄된 커피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분쇄도 조절은 안정적인 커피 추출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람이 손으로 돌리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커피 향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소음이 작고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큰 단점은 한 손으로 분쇄기의 케이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핸들을 돌려서 회전하는 코니컬 버(conical burr)의 좁은 절삭 날 사이에 다량의 매끄럽고 단단한 원두를 통과시켜 으깨고 절삭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케이스를 단단하게 잡은 상태에서 분쇄를 하여야 하므로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핸들에 대한 가압력과 회전 속도가 변하여 분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분쇄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즉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일정한 힘과 회전 속도로 핸들을 돌리기 어려워 분쇄도와 분쇄시간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불균일한 분쇄도와 분쇄시간은 추출되는 커피의 맛과 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점이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치명적인 단점이 되고 추출된 커피의 품질에 불리한 요소가 된다.
또한 코니컬 버를 구성하는 내부 버와 외부 버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여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수동식 분쇄기는 외부 버가 케이스에 고정되고 내부 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을 갖는다. 한 예로 상단의 핸들에 연결된 조절기를 통해 내부 버가 연결된 회전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 경우 회전 샤프트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위해 회전 샤프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와 회전 샤프트 사이의 충분한 간극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간극으로 인해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내부 버의 유동 범위가 커지게 되어 내부 버와 외부 버 사이의 간극 변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분쇄기를 개방하여 하단에서 내부 버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은 내부 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분쇄기를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케이스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핸들을 돌릴 시 발생하는 우력 모멘트에 의해 커피 분쇄기의 흔들림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907호 (공개일자: 2017년05월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지지력을 분산하여 안정적인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분쇄 간극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핸들의 하방 근처에 형성되는 파지 홈, 그리고 상기 파지 홈의 아래에 구비되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체결된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반구형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매개 부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체결 부재에 상하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상기 매개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매개 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매개 부재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가 상하방향 위치의 고정 및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 사이의 나사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매개 부재 및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와의 밀착 및 이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는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 부재는 상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를 마주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이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나사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볼트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내부 버, 상기 내부 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버와의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버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버, 그리고 상기 외부 버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 시 회전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버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 버에 체결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체결되는 제1 하부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조작 부재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내측 플랜지에 지지되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 홈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볼 플런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가 핸들의 작동면의 아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파지 홈을 구비하며 핸들 조작 시 핸들과 손잡이부의 거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우력 모멘트를 줄임으로써 핸들 조작 중 커피 분쇄기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파지 홈이 오목하고 지지턱이 있는 자리 면을 구비함으로써, 최소화된 우력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작은 힘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핸들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토오크를 악력으로 지지하지 않고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작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핸들 회전 중 커피 분쇄기가 회전 방향으로 손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엄지손가락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Ⅶ-Ⅶ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케이스,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 그리고 외부 버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과 외부 버의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과 외부 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서 내부 버와 외부 버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7에서 내부 버와 외부 버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커피원두 분쇄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케이스를 손으로 잡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10)와 핸들(2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케이스(10)에 체결되어 케이스(10) 상단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3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0)가 케이스(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스(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핸들(20)이 회전 샤프트(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즉, 핸들(20)을 돌리는 경우 회전 샤프트(40)의 길이방향(도1에서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핸들(20)과 회전 샤프트(40)가 함께 회전한다. 뚜껑(30)을 제거한 상태에서 케이스(10) 상단의 개구를 통해 커피원두를 투입한 후 핸들(20)을 돌리면 회전 샤프트(40)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의해 뒤에서 설명할 코니컬 버(conical burr)의 작용에 의해 커피원두가 분쇄된다. 분쇄된 커피원두는 케이스(10) 아래에 배치되는 수집통(50)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뚜껑(30)은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 핸들(20)을 누르도록 회전 샤프트(40)에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30)의 하단에 인서트 된 너트(31)가 회전 샤프트(40) 상단의 삽입부(47)에 형성된 수 나사산에 나사결합 될 수 있으며, 이때 뚜껑(30)이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 핸들(20)을 누르는 상태로 회전 샤프트(40)에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샤프트(40)의 걸림턱(46)의 상부의 삽입부(47)에 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40)의 삽입부(47)가 핸들(2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21)에 삽입되어 회전 샤프트(40)의 걸림턱(46)이 핸들(20)의 하면을 지지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하면에 인서트 되어 고정되는 너트(31)가 회전 샤프트(40)의 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면서 핸들(20)의 상면을 누른다. 이에 의해 뚜껑(30)은 케이스(10)의 상단을 덮는 기능뿐만 아니라 핸들(20)을 돌릴 때 핸들(20)이 흔들리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 샤프트(4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상단에 회전 샤프트(4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부(11)가 구비된다. 샤프트 지지부(11)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11)을 구비하며, 회전 샤프트(40)가 이 관통홀(11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회전 샤프트(40)의 상측 부분에 구비되는 걸림턱(46)이 샤프트 지지부(11) 상에 지지된다. 회전 샤프트(4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1)은 회전 샤프트(40)의 원활한 회전이 담보되도록 회전 샤프트(4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되는 커피원두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샤프트 지지부(11)의 주위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샤프트 지지부(11)는 복수의 연결 다리(12)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10)는 핸들(20)의 작동면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파지 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홈(121)은 케이스(10)의 상단 바로 아래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지 홈(121)의 하부에는 지지 턱(1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턱(122)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파지 홈(121)에 넣은 상태로 감싸서 케이스(10)를 감싸 쥘 수 있으며, 이때 엄지와 검지의 아래 면이 지지 턱(122)에 지지되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에 상방향 지지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커피원두 분쇄를 위해 핸들을(20)을 돌릴 때 케이스(10)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이때, 파지 홈(121)이 핸들(20)의 작동면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핸들(20)과 파지 홈(121) 사이의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우력 모멘트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핸들(20) 조작 중 커피 분쇄기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오목한 파지 홈(121)과 그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턱(122)에 의해 최소화된 우력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작은 힘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케이스(10)에 체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파지 홈(121)에 넣어 케이스(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아래면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에 지지된다.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는 볼록한 곡면, 예를 들어 대략 반구(hemisphere) 형상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파지 홈(121)의 바로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는 원하는 상하방향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케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자신에게 적합한 상하방향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다. 특히 핸들(20)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토오크를 악력으로 지지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를 지지하는 작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는 매개 부재(101)를 매개로 케이스(10)에 일체로 돌출되는 체결 부재(107)에 상하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와 매개 부재(101)는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와 매개 부재(101) 사이의 나사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매개 부재(101) 및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와 체결 부재(107)의 밀착 및 이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매개 부재(101) 및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와 체결 부재(107)가 밀착되는 경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 및 매개 부재(101)의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매개 부재(101) 및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와 체결 부재(107)가 이격되는 경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 및 매개 부재(101)의 상하방향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원하는 상하방향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는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볼트(92)를 포함한다. 반구형 표면 형상을 가지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는 케이스(10)를 마주하는 쪽으로 개방되는 함몰 공간(91)을 형성하며, 볼트(92)는 함몰 공간(91)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에 일체로 인서트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매개 부재(101)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를 마주하는 몸체부(106), 몸체부(106)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접촉부(105), 그리고 몸체부(106)와 접촉부(105)를 연결하는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6)에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볼트(92)와 나사결합되는 너트(103)가 구비될 수 있다. 너트(103)는 몸체부(106)에 고정되도록 인서트 될 수 있다. 체결 부재(107)는 몸체부(106)와 접촉부(105)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072), 그리고 가이드부(1072)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연결부(107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07)는 케이스(1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92)는 너트(103)를 관통하여 접촉부(105)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볼트(92)와 너트(103)의 나사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매개 부재(101)의 접촉부(105)와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볼트(92)가 체결 부재(107)의 가이드부(107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도 4의 (a)에는 접촉부(105)와 볼트(92)가 가이드부(1072)의 양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만드는 나사결합 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접촉부(105)와 볼트(92)가 가이드부(1072)의 양면에서 이격되도록 만드는 나사결합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의 (a)의 나사결합 위치에서는 볼트(92)의 선단과 마주하는 접촉부(105)의 면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부(1072)의 두께와 동일하고, 이에 의해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만들어진다. 반면, 도 4의 (b)의 나사결합 위치에서는 볼트(92)의 선단과 마주하는 접촉부(105)의 면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부(1072)의 두께보다 크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만들어진다. 도 4의 (a)의 상태로 커피원두 분쇄가 이루어지고,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를 그 길이방향(도 4에서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4의 (b)의 상태를 만든 후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이와 같은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의 위치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에는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가 가장 높은 상하방향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의 (b)에는 해당 위치에서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를 회전시켜 가이드부(1072)와 접촉부(105) 및 볼트(92) 사이가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b)의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을 아래로 이동시켜 도 5의 (c)에 도시된 상하방향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다시 엄지손가락 지지 부재(9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도 5의 (d)에 도시된 가이드부(1072)와 접촉부(105) 및 볼트(92)를 밀착시켜 고정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커피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버(burr) 유닛(70)을 포함한다. 버 유닛(70)은 회전 샤프트(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한다. 버 유닛(70)은 내부 버(71)와 외부 버(7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 버(71)와 외부 버(72)의 마주하는 분쇄 면(711, 721)에는 분쇄 날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 유닛(70)은 내부 버(71)와 외부 버(72)의 분쇄 면(711, 721)이 콘(cone) 형태를 가지는 코니컬 버(conical bur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버(71)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분쇄 면(7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버(72)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분쇄 면(721)이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부 버(72)의 분쇄 면(721)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내부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부 버(72)의 분쇄 면(721) 사이의 거리, 즉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버(71)의 상하방향(도 7에서 상하방향) 위치는 고정되고 외부 버(72)의 상하방향 위치는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버(72)의 종방향 위치의 변경에 의해 분쇄 간극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버(71)는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버(71)의 상하방향 위치는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버(71)는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되며, 내부 버(71)가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평평한 면(41)이 형성되며 내부 버(71)의 관통공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부 버(71)가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체결된다. 이때, 내부 버(71)의 종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내부 버(71)의 위와 아래에 각각 상부 및 하부 고정 부재(43, 44)가 각각 구비된다. 상부 고정 부재(43)는 그 상단이 회전 샤프트(40)에 구비되는 걸림턱(42)에 지지되어 상방향 거동이 차단되도록 설치되며, 내부 버(71)는 상부 고정 부재(43)의 하단에 밀착하도록 그 관통홀(712)에 회전 샤프트(40)가 끼워진다. 하부 고정 부재(44)가 내부 버(7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이때,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고정 부재(44)는 암 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일 수 있으며 나사 결합을 통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형성된 수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 의해 내부 버(71)가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됨으로써, 내부 버(71)는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로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외부 버(72)는 내부 버(7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버(71)가 외부 버(72)의 상하 방향의 관통공(7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 유닛(70)은 외부 버(72)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버 위치 조절 구조(8)를 포함한다. 외부 버 위치 조절 구조(8)는 외부 버(72)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내부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부 버(72)의 분쇄 면(7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외부 버 위치 조절 구조(8)는 조작 부재(81)와 지지 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부재(81)는 외부 조작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이때, 조작 부재(81)는 케이스(10)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변경되면, 케이스(10) 내에 정해진 상하방향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내부 버(71)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상하방향 상대 위치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8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태의 몸체부(811), 그리고 몸체부(811)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8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811)의 내면 상단에는 케이스(10)의 외면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14)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813)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부재(81)를 돌리면 나사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조절된다.
지지 부재(83)는 한편으로는 외부 버(7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 버(72)에 지지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버(72)를 지지한다. 즉, 외부 버(72)는 지지 부재(83)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 부재(83)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8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형 몸체부(831), 그리고 몸체부(83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8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3)의 상하방향 거동을 담보하기 위한 상하방향 거동 가이드부(8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 거동 가이드부(833)는 회전 샤프트(40)가 관통하는 상하방향 관통홀(833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거동 가이드부(833)는 복수의 연결 다리(831)를 통해 몸체부(83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83)의 실린더형 몸체부(831)의 하부 내면에는 외부 버(7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 돌기(836)가 구비된다. 체결 돌기(836)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몸체부(831)의 내면 하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버(72)는 체결 돌기(836)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는 체결 공간(723)을 포함한다. 체결 공간(723)은 외부 버(72)의 외면에 함몰 공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버(72)의 외면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간(7231), 그리고 삽입구(7231)의 하부에서 외부 버(7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공간(72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6)가 아래 방향으로 삽입공간(7231) 내로 삽입된 후 지지 부재(83)를 회전시키면 체결 돌기(836)가 수용공간(7232) 내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6)가 외부 버(72)의 수용공간(7232)에 수용되면 지지 부재(83)가 외부 버(72)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그에 따라 지지 부재(83)와 외부 버(72)가 상하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공간(723)은 세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6)도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작 부재(81)의 아래에서 조작 부재(81)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84, 85)가 구비된다. 제1 하부 지지 부재(84)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841)을 통해 지지 부재(83)의 몸체부(831)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83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하부 지지 부재(84)는 지지 부재(83)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하부 지지 부재(85)는 제1 하부 지지 부재(84)에 지지되며 조작 부재(81)를 지지한다. 제2 하부 지지 부재(8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852), 지지부(85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851), 플랜지(85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853)를 포함한다. 플랜지(851)의 하면은 제1 하부 지지 부재(84)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플랜지(851)의 상면은 지지 부재(83)에 구비되는 지지턱(837)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81)가 지지 부재((83)에 고정된 제1 하부 지지 부재(84), 그리고 제1 하부 지지 부재(84)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부 지지 부재(8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작 부재(81), 지지 부재(83), 제1 하부 지지 부재(84)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85)가 상하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한편, 수집통(50)은 그 상단 내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501)에 의해 제2 하부 지지 부재(85)의 연결부(85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85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수집통(50)을 돌려 나사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수집통(50)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지지 부재(85)는 플랜지(851)의 내측 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85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체결 돌기(854)는 외부 버(72)의 체결 공간(723)에 배치된다.
한편, 지지 부재(83)는 회전이 차단되는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부(16)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기(161)가 지지 부재(83)의 몸체부(831)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홈(83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체결 홈(8311)의 폭을 체결 돌기(161)의 폭보다 미세하게 크도록 함으로써 원주방향의 회전이 차단되면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조작 부재(81)는 회전 시 상하방향 거동을 함께 겪게 되며, 조작 부재(81)의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지지 부재(83)와 그에 지지된 외부 버(72)와 함께 상하방향 이동을 겪게 된다. 외부 버(72)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외부 버(72)와 내부 버(71) 사이의 거리인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는 내부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부 버(72)의 분쇄 면(721) 사이의 간격인 분쇄 간극이 'G1'의 크기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상태에서 조작 부재(81), 지지 부재(83) 및 외부 버(72)가 위로 이동하여 분쇄 간극이 'G2”로 증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조작 부재(81)를 회전시켜 원하는 분쇄 간극이 만들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버(71)를 이동시켜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버(72)를 이동시켜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40)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분의 여유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된 내부 버(71)의 횡방향 유격이 감소되어 정밀하고 보다 일정한 분쇄 간극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맛과 향미가 균일한 커피 가루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부재(81)의 회전 위치, 즉 분쇄 간극을 알려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83)의 외측 플랜지(832)의 하면에 볼 플런저(8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볼 플런저(835)는 볼(8351)과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83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 플런저(835)가 외측 플랜지(832)에 수비되는 케이스(832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81)의 내측 플런지(812)의 상면에 복수의 홈(814)이 형성되며, 조작 부재(81)의 회전 시 볼 플런저(835)의 볼(8351)이 홈(814)에 도달하면 스프링(83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볼(8351)이 외부로 밀리면서 홈(814)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딸깍 소리가 나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손에 전해지는 감각 및 청각을 통해 조작 부재(81)의 회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81)가 특정 회전 위치, 즉 특정 분쇄 간극에 위치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814)은 조작 부재(81)의 내측 플랜지(812)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81)의 회전을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81)의 외주면에는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회전 마크(818)가 표시될 수 있다. 회전 마크(818)와 케이스(10)에 표시되는 기준 마크의 상대 위치를 통해 조작 부재(81)의 회전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케이스
13: 손가락 지지부
20: 핸들
30: 뚜껑
40: 회전 샤프트
50: 수집통
70: 버 유닛
71: 내부 버
711: 분쇄 면
72: 외부 버
721: 분쇄 면
8: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
81: 조작 부재
83: 지지 부재
84: 제1 하부 지지 부재
85: 제2 하부 지지 부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케이스,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버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내부 버,
    상기 내부 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버와의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버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버, 그리고
    상기 외부 버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 시 회전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버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 버에 체결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조작 부재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8. 케이스,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버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내부 버,
    상기 내부 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버와의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버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 버, 그리고
    상기 외부 버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버 위치 조절 유닛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 시 회전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버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 버에 체결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체결되는 제1 하부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조작 부재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제2 하부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9. 제8항에서,
    상기 조작 부재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내측 플랜지에 지지되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플랜지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 홈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볼 플런저를 구비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0190100460A 2019-08-16 2019-08-16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16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60A KR102160419B1 (ko) 2019-08-16 2019-08-16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PCT/KR2020/095098 WO2021034169A1 (ko) 2019-08-16 2020-08-13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60A KR102160419B1 (ko) 2019-08-16 2019-08-16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62A Division KR20210020823A (ko) 2020-08-13 2020-08-13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419B1 true KR102160419B1 (ko) 2020-09-28

Family

ID=7280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460A KR102160419B1 (ko) 2019-08-16 2019-08-16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0419B1 (ko)
WO (1) WO202103416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47U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피엔풍년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170050907A (ko)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1966717B1 (ko) * 2018-04-13 2019-08-1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5788C1 (de) * 1996-04-20 1997-06-26 Jack Mankiewicz Handmühle
KR20120093516A (ko) * 2011-02-15 2012-08-23 이은춘 양념류 간편 다지기
CN208243447U (zh) * 2017-06-30 2018-12-18 黄明权 一种带吸盘软座且可单手操作的手动咖啡研磨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47U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피엔풍년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170050907A (ko)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1966717B1 (ko) * 2018-04-13 2019-08-13 김영태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4169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89B2 (en)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JP5097005B2 (ja) 香料破砕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自動開閉制御装置
KR101966717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1324817B1 (ko) 커피 핸드드립 장치
EP2599416B1 (en) Externally-operated adjustment mechanism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EP2599417A2 (en) Food processing device with lid mounted adjustment mechanism
CA2826454C (en) Grinder device
KR102038490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160419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US11432677B2 (en) Modular coffee grinder system
CN213850231U (zh) 电动咖啡磨豆机
KR20210020823A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JP6624667B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CN209750811U (zh) 一种便携式研磨装置
JP3206207U (ja) 調理用粉砕器
CN210130736U (zh) 手摇磨豆器
GB2605990A (en) A coffee grinder
TWI611784B (zh) 手搖咖啡磨豆機
US11399662B2 (en) Manual rotary mill for plant material
KR101542726B1 (ko)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
JPH0420376Y2 (ko)
CN217338314U (zh) 手动咖啡研磨机
JP5155647B2 (ja) 食材おろし具
JP2024012019A (ja) コーヒーグラインダー
WO2023086047A1 (en) Manual coffee gr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