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490B1 -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490B1
KR102038490B1 KR1020180119682A KR20180119682A KR102038490B1 KR 102038490 B1 KR102038490 B1 KR 102038490B1 KR 1020180119682 A KR1020180119682 A KR 1020180119682A KR 20180119682 A KR20180119682 A KR 20180119682A KR 102038490 B1 KR102038490 B1 KR 10203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nger
support
bur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048A (ko
Inventor
김영태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영태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김경희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18011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4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nd driven

Abstract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사용 중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핸들의 작동면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손가락 안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안착 홈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Manual coffee grinder}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로스팅한 커피원두를 커피 추출방식과 기구에 적합한 크기로 분쇄하기 위해 커피원두 분쇄기를 사용한다. 커피 입자의 분쇄도는 추출 시 물과 맞닿는 표면적과 추출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커피의 향미와 수용성 고형물의 추출 수율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분쇄된 커피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져 커피 성분의 추출 수율이 크고 추출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커피가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짧은 추출 기구는 원두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해야 하고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긴 추출 기구일수록 분쇄된 커피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분쇄도 조절은 안정적인 커피 추출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람이 손으로 돌리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커피 향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소음이 작고 장소에 관계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큰 단점은 한 손으로 분쇄기의 케이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핸들을 돌려서 회전하는 코니컬 버(conical burr)의 좁은 절삭 날 사이에 다량의 매끄럽고 단단한 원두를 통과시켜 으깨고 절삭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케이스를 단단하게 잡은 상태에서 분쇄를 하여야 하므로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핸들에 대한 가압력과 회전 속도가 변하여 분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분쇄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즉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일정한 힘과 회전 속도로 핸들을 돌리기 어려워 분쇄도와 분쇄시간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불균일한 분쇄도와 분쇄시간은 추출되는 커피의 맛과 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점이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치명적인 단점이 되고 추출된 커피의 품질에 불리한 요소가 된다.
또한 코니컬 버를 구성하는 내측 버와 외측 버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여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수동식 분쇄기는 외측 버가 케이스에 고정되고 내측 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을 갖는다. 한 예로 상단의 핸들에 연결된 조절기를 통해 내측 버가 연결된 회전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 경우 회전 샤프트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위해 회전 샤프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와 회전 샤프트 사이의 충분한 간극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간극으로 인해 회전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내측 버의 유동 범위가 커지게 되어 내측 버와 외측 버 사이의 간극 변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분쇄기를 개방하여 하단에서 내측 버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은 내측 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분쇄기를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907호 (공개일자: 2017년05월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지지력을 분산하여 안정적인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분쇄 간극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사용 중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핸들의 작동면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손가락 안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안착 홈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측면은 위로 갈수록 종방향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핸들을 누르는 상태로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가 핸들의 작동면의 아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손가락 안착 홈을 구비하며 핸들 조작 시 핸들과 손가락 안착 홈의 거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우력 모멘트를 줄임으로써 핸들 조작 중 커피 분쇄기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안착 홈이 오목하고 걸림턱이 있는 자리 면을 구비함으로써, 최소화된 우력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작은 힘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지지부가 손가락 또는 손가락 바닥면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핸들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토오크를 악력으로 지지하지 않고 지지부를 지지하는 작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핸들 회전 중 커피 분쇄기가 회전 방향으로 손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외측 버, 지지 부재, 그리고 체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외측 버, 내측 버, 그리고 외측 버 위치 조절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분쇄 간극이 가장 작아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분쇄 간극이 커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조작 부재와 체결 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Ⅹ선을 따라 일부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케이스(10)와 핸들(2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케이스(10)에 체결되어 케이스(10) 상단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3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0)가 케이스(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스(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핸들(20)이 회전 샤프트(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즉, 핸들(20)을 돌리는 경우 회전 샤프트(4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핸들(20)과 회전 샤프트(40)가 함께 회전한다. 뚜껑(30)을 제거한 상태에서 케이스(10) 상단의 개구를 통해 커피원두를 투입한 후 핸들(20)을 돌리면 회전 샤프트(40)가 길이방향 축(도 1에서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의해 뒤에서 설명할 코니컬 버(conical burr)의 작용에 의해 커피원두가 분쇄된다. 분쇄된 커피원두는 케이스(10) 아래에 배치되는 수집통(50)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뚜껑(30)은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 핸들(20)을 누르도록 회전 샤프트(40)에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30)의 하단에 인서트 된 너트(31)가 회전 샤프트(40) 상단의 삽입부(47)에 형성된 수 나사산(48)에 나사결합 될 수 있으며, 이때 뚜껑(30)이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 핸들(20)을 누르는 상태로 회전 샤프트(40)에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샤프트(40)의 걸림턱(46)의 상부의 삽입부(47)에 수 나사산(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40)의 삽입부(47)가 핸들(2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21)에 삽입되어 회전 샤프트(40)의 걸림턱(46)이 핸들(20)의 하면을 지지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하면에 인서트 되어 고정되는 너트(31)가 회전 샤프트(40)의 수 나사산(48)에 나사결합되면서 핸들(20)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에 의해 뚜껑(30)은 케이스(10)의 상단을 덮는 기능뿐만 아니라 핸들(20)을 돌릴 때 핸들(20)이 흔들리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 샤프트(4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상단에 회전 샤프트(40)의 상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부(11)가 구비된다. 샤프트 지지부(11)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11)을 구비하며, 회전 샤프트(40)가 이 관통홀(11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회전 샤프트(40)의 상측 부분에 구비되는 걸림턱(46)이 샤프트 지지부(11) 상에 지지된다. 회전 샤프트(4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1)은 회전 샤프트(40)의 원활한 회전이 담보되도록 회전 샤프트(4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되는 커피원두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샤프트 지지부(11)의 주위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샤프트 지지부(11)는 복수의 연결 다리(12)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핸들(20)의 작동면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손가락 안착 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안착 홈(121)은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이 삽입되어 케이스(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하부에 걸림턱(1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22)은 아래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를 손가락 안착 홈(121)에 넣은 상태로 감싸서 케이스(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걸림턱(122)의 아래에 연결되며 아래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지지면(18)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안착 홈(121)이 핸들(20)의 작동면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핸들과 손가락 안착 홈의 거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우력 모멘트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핸들 조작 중 커피 분쇄기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안착 홈(121)이 오목하고 하부에 걸림턱(122)을 구비함으로써, 최소화된 우력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작은 힘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손가락 안착 홈(121)에 삽입하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경사 지지면(18)에 접촉시킨 상태로 케이스(10)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 지지면(18)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상방향으로 반발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견고하게 케이스(10)를 파지할 수 있다.
손가락 지지부(13)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손가락 지지부(13)은 사람이 케이스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핸들(20)을 잡고 돌리는 과정에서 지지력을 분산하고 핸들(20)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생기는 토크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지지부(13)의 측면, 즉 엄지손가락 바닥면 지지면(131)은 위로 갈수록 종방향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지지부(13)는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32)을 구비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상단을 감싸 쥐면서 엄지 손가락을 경사진 엄지손가락 바닥면 지지면(131)에 걸치거나 관통공(132)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20)을 돌릴 수 있어 지지력을 분산하고 핸들(20)을 돌리는 힘에 의해 생기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손가락 지지부(13)의 측면, 즉 엄지손가락 바닥면 지지면(131)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사진 측면, 즉 엄지 손가락 바닥면 지지면(131)에 엄지손가락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케이스(10)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토오크를 악력으로 지지하지 않고 엄지손가락 바닥면 지지면(131)을 지지하는 작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지지부(13)가 손가락을 지지하는 걸림턱(122) 바로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커피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버(burr) 유닛(70)을 포함한다. 버 유닛(70)은 회전 샤프트(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한다. 버 유닛(70)은 내측 버(71)와 외측 버(7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측 버(71)와 외측 버(72)의 마주하는 분쇄 면(711, 721)에는 분쇄 날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 유닛(70)은 내측 버(71)와 외측 버(72)의 분쇄 면(711, 721)이 콘(cone) 형태를 가지는 코니컬 버(conical bur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버(71)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분쇄 면(7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버(72)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분쇄 면(721)이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측 버(72)의 분쇄 면(721)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는 내측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측 버(72)의 분쇄 면(721) 사이의 거리, 즉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버(71)의 종방향(도 1 내지 도 4에서 상하방향) 위치는 고정되고 외측 버(72)의 종방향 위치는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외측 버(72)의 종방향 위치의 변경에 의해 분쇄 간극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내측 버(71)는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버(71)의 종방향 위치는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버(71)는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되며, 이때 내측 버(71)가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평평한 면(41)이 형성되며 내측 버(71)의 관통공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측 버(71)가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체결된다. 이때, 내측 버(71)의 종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내측 버(71)의 위와 아래에 각각 상부 및 하부 고정 부재(43, 44)가 각각 구비된다. 상부 고정 부재(43)는 그 상단이 회전 샤프트(40)에 구비되는 걸림턱(42)에 지지되며, 내측 버(71)는 상부 고정 부재(43)의 하단에 밀착하도록 회전 샤프트(40)에 끼워진다. 하부 고정 부재(44)가 내측 버(7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회전 샤프트(40)에 체결된다. 이때,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고정 부재(44)는 암 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일 수 있으며 나사 결합을 통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형성된 수 나사산(4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 의해 내측 버(71)가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됨으로써, 내측 버(71)는 종방향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로 회전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외측 버(72)는 내측 버(7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버(71)가 외측 버(72)의 상하 방향의 관통공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 유닛(70)은 외측 버(72)의 종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외측 버 위치 조절 구조(8)를 포함한다. 외측 버 위치 조절 구조(8)는 외측 버(72)의 종방향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내측 버(71)의 분쇄 면(711)과 외측 버(72)의 분쇄 면(7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외측 버 위치 조절 구조(8)는 조작 부재(81), 지지 부재(83) 그리고 체결 부재(85)를 포함한다.
조작 부재(81)는 외부 조작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이때, 조작 부재(81)는 케이스(10)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한 종방향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종방향 상대 위치가 변경되면, 케이스(10) 내에 정해진 종방향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내측 버(71)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종방향 상대 위치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81)는 고리 형태의 몸체부(811)를 가질 수 있으며, 몸체부(811)의 내면 상단에는 케이스(10)의 외면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14)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812)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부재(81)을 돌리면 나사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한 조작 부재(81)의 종방향 상대 위치가 조절된다.
지지 부재(83)는 외측 버(72)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측 버(72)에 체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83)는 전체적으로 종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고리 형상을 갖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31), 베이스 플레이트(831)의 내측 단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832), 베이스 플레이트(831)의 내측 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하부 연장부(833),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831)의 외측 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하부 연장부(8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하부 연장부(834)의 외면에는 수집통(50)의 내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나사산(5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83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집통(50)을 돌려 수집통(50)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지지 부재(83)의 내측 하부 연장부(833)의 내면에는 외측 버(7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 돌기(8331)가 구비된다. 체결 돌기(83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내측 하부 연장부(833)의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외측 버(72)는 체결 돌기(8331)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는 체결 공간(722)을 포함한다. 체결 공간(722)은 외측 버(72)의 외면에 함몰 공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버(72)의 외면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간(7221), 그리고 삽입구(7221)의 하부에서 외측 버(7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공간(72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31)가 아래 방향으로 삽입공간(7221) 내로 삽입된 후 지지 부재(83)를 회전시키면 체결 돌기(8331)가 수용공간(722) 내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31)가 외측 버(72)의 수용공간(7222)에 수용되면 지지 부재(83)와 외측 버(72)가 종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공간(722)은 세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지지 부재(83)의 체결 돌기(8331)도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85)는 조작 부재(81)의 종방향 위치 변경 시 지지 부재(83)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조작 부재(81)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 부재(83)를 조작 부재(81)에 체결한다. 체결 부재(85)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3)의 베이스 플레이트(831)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85)는 지지 부재(83)와의 체결을 위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다리(851)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83)의 베이스플레이트(831)에는 체결 다리(851)가 삽입되는 체결 구멍(8311)이 형성된다. 체결 다리(851)와 체결 구멍(8311)은 각각 세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체결 다리(851)를 삽입 시 오므라들었다가 완전히 삽입된 후 다시 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85)가 지지 부재(83)에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 다리(851)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조작 부재(81)는 지지 부재(83) 및 체결 부재(85)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 리브(813)를 포함한다. 체결 리브(813)는 조작 부재(81)의 내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리브(813)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3)의 베이스 플레이트(831)와 체결 부재(85)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조작 부재(81)가 지지 부재(83)와 체결 부재(85)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83)의 베이스 플레이트(831)와 체결 부재(85) 사이의 공간의 높이가 조작 부재(81)의 체결 리브(813)의 높이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3)와 체결 부재(85)는 조작 부재(81)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나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83)와 체결 부재(85)는 회전은 허용되지 않고 종방향 거동은 허용되도록 하는 가이드 그루브와 삽입 돌기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돌기(15)가 지지 부재(83)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8321)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고 지지 부재(83)에 구비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돌기(8322)가 체결 부재(85)의 가이드 그루브(852)에 삽입되어 가이드 됨으로써, 지지 부재(83)와 체결 부재(85)의 회전은 허용되지 않고 종방향 거동은 허용된다. 이때,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3)의 가이드 그루브(8321)는 상부 연장부(832)의 내면에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삽입 돌기(15)는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83)의 삽입 돌기(8322)는 상부 연장부(832)의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 부재(85)의 가이드 그루브(852)는 체결 부재(85)의 내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 의해 조작 부재(81)의 회전에 의한 종방향 이동 시에 지지 부재(83) 및 그에 연결된 외측 버(72)가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내측 버(71)와 외측 버(71) 사이의 거리인 분쇄 간극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조작 부재(81)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고 그에 따라 외측 버(72) 역시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 분쇄 간극(G1)이 최소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조작 부재(81)가 회전되어 케이스(10)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위치에 있고 그에 따라 외측 버(72)가 아래로 이동하여 분쇄 간극(G1)이 증가(G1<G2)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조작 부재(81)를 회전시켜 원하는 분쇄 간극이 만들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내측 버(71)를 이동시켜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외측 버(72)를 이동시켜 분쇄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40)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분의 여유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회전 샤프트(40)의 하단에 체결된 내측 버(71)의 횡방향 유격이 감소되어 정밀하고 보다 일정한 분쇄 간극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맛과 향미가 균일한 커피 가루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83)의 안정적인 종방향 거동을 담보하기 위한 종방향 거동 가이드부(835)가 구비될 수 있다. 종방향 거동 가이드부(835)는 회전 샤프트(40)가 관통하는 상하 방향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부 연장부(832)의 내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다리(83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부재(81)의 회전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85)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8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 부재(81)는 회전 시에 체결 부재(85)의 돌기(853)에 부딪혀 형태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시 암(817)이 구비된다. 이때, 회전 지시 암(817)의 탄성 변형 및 복원 시에 딸깍하는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 부재(81)가 회전되었음을 알려 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돌기(853)는 체결 부재(85)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 지시 암(817)은 조작 부재(81)의 체결 리브(813)가 제거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지시 암(817)의 상면은 돌기(853)보다 높게(도 11에는 뒤집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 형성되며, 이에 의해 회전 지시 암(817)이 이웃하는 돌기(853)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조작 부재(81)가 회전되면 회전 지시 암(817)이 형태가 변형되면서 돌기(853)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도 11의 점선 원 내에는 회전 지시 암(817)이 돌기(853)에 올라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회전 지시 암(817)은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이다. 이 과정에서 딸깍 소리가 나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손에 전해지는 감각 및 청각을 통해 조작 부재(81)의 회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81)의 회전을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는 기준 마크(19)가 표시되고 조작 부재(81)에는 회전에 의해 기준 마크(19)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전 마크(819)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81)의 표면에 기준 마크(19)에 대한 회전 마크(819)의 상대 회전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회전 표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회전 표시 기호(818)는 숫자, 또는 숫자를 나타내는 기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마크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81)의 회전 정도를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케이스
13: 손가락 지지부
20: 핸들
30: 뚜껑
40: 회전 샤프트
50: 수집통
70: 버 유닛
71: 내측 버
711: 분쇄 면
72: 외측 버
721: 분쇄 면
8: 외측 버 위치 조절 구조
81: 조작 부재
83: 지지 부재
85: 체결 부재

Claims (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버(burr)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사용 중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핸들의 작동면 아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손가락 안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안착 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은 아래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측면은 위로 갈수록 종방향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엄지손가락 바닥면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걸림턱의 아래에 연결되며 아래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지지면을 구비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4.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핸들을 누르는 상태로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는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0180119682A 2018-10-08 2018-10-08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203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82A KR102038490B1 (ko) 2018-10-08 2018-10-08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82A KR102038490B1 (ko) 2018-10-08 2018-10-08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84A Division KR101966717B1 (ko) 2018-04-13 2018-04-13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48A KR20190120048A (ko) 2019-10-23
KR102038490B1 true KR102038490B1 (ko) 2019-10-30

Family

ID=6846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82A KR102038490B1 (ko) 2018-10-08 2018-10-08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50B1 (ko) * 2021-03-03 2021-04-12 주식회사 우신인터내셔널 전동식 커피분쇄기
KR102265647B1 (ko) * 2021-04-16 2021-06-16 정수빈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329A (en) * 1992-01-10 1993-01-05 Dart Industries Inc. Condiment grinder
KR101011692B1 (ko) * 2008-08-29 2011-01-28 한규암 필터 일체형 핸드밀
KR102479048B1 (ko) 2015-11-02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JP5964536B1 (ja) * 2015-12-21 2016-08-03 ジャパンポーレックス株式会社 ミ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48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717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CA2899417C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JP5097005B2 (ja) 香料破砕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自動開閉制御装置
KR102038490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KR101324817B1 (ko) 커피 핸드드립 장치
JP6871582B2 (ja) コーヒー豆粉砕機構
US10441111B2 (en) Grinder device
JPS5814263B2 (ja) リヨウリヨウキカイノ フゾクソウチトシテノ コナヒキキ
US20160353931A1 (en) Coffee grinding device
US11432677B2 (en) Modular coffee grinder system
KR102160419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JP2007116969A (ja) 豆乳製造器
KR20210020823A (ko)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CN209750811U (zh) 一种便携式研磨装置
JPWO2020217500A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CN214284613U (zh) 咖啡研磨机
JP2003259994A (ja) 調理器
CN210130736U (zh) 手摇磨豆器
JP2002177155A (ja) 電動調理機
JPH0523141Y2 (ko)
JP2024012019A (ja) コーヒーグラインダー
KR102084468B1 (ko) 성능 개선 및 분리가 간편한 믹서기
CN219629448U (zh) 一种上方快速拆卸式手摇研磨机
US11399662B2 (en) Manual rotary mill for plant material
JPH04203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