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817B1 - 커피 핸드드립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핸드드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817B1
KR101324817B1 KR1020130045176A KR20130045176A KR101324817B1 KR 101324817 B1 KR101324817 B1 KR 101324817B1 KR 1020130045176 A KR1020130045176 A KR 1020130045176A KR 20130045176 A KR20130045176 A KR 20130045176A KR 101324817 B1 KR101324817 B1 KR 10132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
dripper
uni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정윤진
Original Assignee
정윤진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진, 이지현 filed Critical 정윤진
Priority to KR102013004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드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기(21)가 구비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33)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30)과;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유닛(40) 및;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회전구동유닛(30)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유닛(40)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유닛(40)은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결합되는 결합부(4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41A')이 관통 형성된 고정브래킷(41)과; 상기 고정브래킷(41)에 장,탈착되는 드리퍼(42) 및; 상기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리퍼(42)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려 상기 고정브래킷(41)에 밀착 고정되는 필터(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드립유닛을 회전구동유닛으로부터 쉽게 장,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추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커피가 추출되는 속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풍미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핸드드립 장치{Hand Drip Device of Coffee}
본 발명은 커피 핸드 드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커피 드리퍼에 일정 양의 커피 분말에 물을 주입하면서 중력과 원심력에 의해 추출된 커피가 필터를 통과한 다음, 드리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립서버에 수용되도록 하는 커피 핸드드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생두를 수확하여, 가공공정을 거쳐 볶은 후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음료로서, 이러한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커피의 특유한 풍미를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출 방법으로 핸드 드립을 많이 사용한다.
핸드 드립(Hand Drip)이란 '손으로 커피를 직접 내려마신다'는 것으로 이러한 핸드 드립에 의해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추출될 커피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서버)의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드리퍼(dripper)를 올려놓고, 이 드리퍼의 내부에 필터를 안착시킨 다음, 이 필터가 안착된 드리퍼에 볶은 커피분말을 넣은 후 천천히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drip), 뜨거운 물에 의해 커피분말로부터 커피가 추출되면서 필터를 통과하여 하부의 서버에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핸드 드립은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따라 물의 양과 온도, 커피 추출시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커피 핸드드립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피 핸드드립 장치에 의해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커피분말로부터 좀 더 풍미 있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뜨거운 물이 커피분말에 고루 스며들 수 있도록 드리퍼의 상부에서 뜨거운 물이 담긴 용기(드립포트)를 천천히 원을 그리면서 드립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천천히 원을 그리면서 물을 드립하더라도 물이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물이 커피분말 전체에 걸쳐 골고루 공급되지 못하여 커피분말 중 일부는 물과 접촉되는 시간이 극히 짧거나 반대로 과다하게 물과 접촉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드리퍼가 상부 부분이 넓고 하부 부분이 좁은 깔때기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드리퍼의 상부에서 물을 붓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의 양이 하부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의 양보다 상대적 많음에도 물에 노출(접촉)되는 시간은 오히려 하부에 위치하는 커피분말보다 짧아 상부의 커피분말로부터는 커피가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는 반면, 하부에 위치하는 커피분말로부터는 커피가 필요 이상 추출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숙련자는 일정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핸드드립 장치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수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데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커피메이커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커피메이커는 커피를 추출하는 데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고, 아울러 커피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커피분말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미국 특허 제6,532,862호를 통해 '커피메이커'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는 커피메이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과 돌출된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커피분말과 물을 수용하는 바스켓(basket)과,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바스켓을 분당 약 150회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져, 원심력에 의해 물이 커피분말에 혼합되도록 하고, 커피분말로부터 추출된 커피가 실질적으로 원심력에 의해 바스켓의 측면을 통해서만 유출되도록 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커피메이커는 회전수단이 바스켓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스켓을 핸들링하고자 접근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방향에서만 접근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또한 바스켓의 바닥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바스켓의 내부에 필터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으며, 이에 더하여 바스켓을 수용하는 바스켓 어셈블리가 플런저에 의해 커피메이커의 하우징과 연결되면서 모터와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 추출 작업종료 후 바스켓 어셈블리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커피메이커 하우징으로부터 바스켓 어셈블리를 탈착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도 쉽지 않아 사용에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피 핸드드립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 및 조립이 쉬우면서도 물이 커피분말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커피 맛과 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핸드드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드립 장치를,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과;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구동유닛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유닛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유닛은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장,탈착되는 드리퍼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드리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리퍼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려 상기 고정브래킷에 밀착 고정되는 필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드립 장치를,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과;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구동유닛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유닛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유닛은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에 장,탈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드리퍼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드리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드리퍼에 의해 둘레가 상기 고정브래킷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필터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보조브래킷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드리퍼에는 상기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각각 관통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결합부의 내부에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되어 추출된 커피의 하중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유량조절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의 추출공과 상기 보조브래킷의 배출공 사이에는 추출된 커피의 하중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절밸브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래킷과 상기 조절밸브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리퍼는 종단면 형상이 원통형, 원추형, 역원추형 중에서 선택되고,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립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유닛이 드리퍼의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커피추출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유닛을 회전구동유닛으로부터 쉽게 장,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추출작업과 세정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는 유량조절판 또는 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이에 의해 커피 추출속도가 지연될 수 있고, 그 결과 커피분말을 물에 불려 커피를 추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어 더욱 진한 맛과 향의 커피가 추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는 종단면 형상이 원통형, 원추형 및 역원추형 형상에서 선택되고,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이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의 역원추형 형상을 가지는 드리퍼를 사용하면 드립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 하방향으로 퍼지면서 커피분말과 접촉하게 되는 동시에, 물과 접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하부가 넓기 때문에 드리퍼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분말 전체의 물과의 접촉시간이 균일하게 되며, 그 결과 일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가 추출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커피 드립 장치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찬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커피(Dutch coffee)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피메이커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유닛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보인 평면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맛과 향기를 가지는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핸드 드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핸드 드립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 하우징(20), 회전구동유닛(30), 드립유닛(40) 및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 드립 장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위해 베이스부(10)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바닥에 의해 지지도록 하고, 이때 베이스부(10)의 상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하우징(20)이 일체로 설치되고, 하우징(20)이 설치되지 않는 타측 상면에는 후술하는 드립서버(50)가 수용되어 안착된다.
이때 베이스부(10)의 상면 중앙에는 드립서버(50)가 항상 일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원환 형상의 가이드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드립서버(50)는 원환 형상의 가이드돌기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그 결과 추출된 커피가 항상 드립서버(50)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는 하우징(20)은 내부가 중공(中空)이고, 상면은 개방된 구조로서, 이러한 중공 부분에는 후술하는 회전구동유닛(30)의 모터(33)가 삽입 설치되고, 하우징(20)의 외측면에는 모터(3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1)가 노출 설치되며, 이 제어기(21)에는 모터(33)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은 수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이에 의해 그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구동유닛(30)은 베이스부(10)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따라서 베이스부(10)와 회전구동유닛(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드립서버(50)가 안착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상단에 고정되는 회전구동유닛(30)은 모터(33)의 회전 동력을 드립유닛(4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기어와 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거나, 벨트와 풀리의 결합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구동유닛(30)을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커버(31, 32)와, 상,하부커버(31, 32)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35, 36) 및 한 쌍의 풀리(35, 36)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7)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풀리(35, 36) 중 어느 하나의 풀리(35)는 하부커버(32)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3)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33)와 연동되어 회전 동작하며, 다른 하나의 풀리(36)의 저면과 하부커버(32) 사이에는 베어링안착부(32A)가 형성되고, 이 베어링안착부(32A)에 베어링(34)이 설치되어 풀리(36)의 저면이 지지되면서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안착부(32A)에 설치되는 베어링(34)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볼 베어링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축 길이방향 하중과 축 반경방향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부커버(31)의 일측에는 결합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공을 통해 후술하는 드립유닛(40)의 결합부(41A, 44A)가 하향 관통하여 풀리(36)의 내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3)는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33, Geared Motor)가 사용되며, 이에 의해 드립유닛(40)의 결합부(41A, 44A)와 결합되는 풀리(36)가 200rpm 이하의 저속으로 회전되고, 그 결과 드립유닛(40)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원심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드립유닛(40)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적당한 원심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물이 드립유닛(40)의 외측방향으로 고르게 퍼지면서 커피분말과 접촉되어 커피가 추출되므로 핸드드립에 의해 추출된 커피만이 가지는 진한 커피 향과 맛을 낼 수 있다.
한편, 풀리(36)의 내부에 안착되는 드립유닛(40)은 겉돌지 않고 풀리(36)와 함께 견고하게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의 예로서 풀리(36)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형상을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결합부(41A, 44A)의 형상도 결합공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풀리(36)와 결합되어 모터(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드립유닛(40)은 그 내부에는 커피분말과 물이 수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드립유닛(40)은 2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 형태를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에는 그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41A')이 형성된 결합부(41A)가 구비된 고정브래킷(41)과, 고정브래킷(4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 중앙부에 안착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드리퍼(42)와,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사이에 설치되어 드리퍼(42)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려 고정브래킷(41)에 밀착 고정되는 필터(43)로 이루어진 구조의 드립유닛(40)에 관한 것이다.
이때 고정브래킷(41)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41B)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드리퍼(42)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41B)가 각각 관통 삽입되는 결합공(42B)이 형성되고, 걸림돌기(41B)가 결합공(42B)에 삽입된 다음 드리퍼(42)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결합공(42B)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B)의 상단부분이 드리퍼(42)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드리퍼(42)의 외주면 둘레에는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42A)가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가 결합되었을 때 이들 간에 수밀이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42)는 종단면 형상이 원통형, 원추형, 역원추형 중에서 선택되고,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드리퍼(42)는 회전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의 역원추형 드리퍼(42)를 사용하면, 드리퍼(42)가 회전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되거나 드립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 하방향으로 퍼지면서 커피분말과 접촉하게 되는 동시에, 물과 접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하부가 넓기 때문에 드리퍼(42)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분말 전체의 물과의 접촉시간이 더욱 균일하게 된다. 이때 드리퍼(42)의 상단은 깔때기 형상과 같이 직경이 다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드리퍼(42)의 내부에 물이나 커피분말을 더욱 쉽게 부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사이에는 원형판 형태의 필터(43)가 설치되므로 필터(43)의 가장자리가 그 상부에 위치하는 드리퍼(42)의 하단에 의해 눌러 고정브래킷(41)과 밀착 유지되고, 그 결과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에도 필터(43)가 쉽게 유동되지 않고 고정 유지된다.
또한 고정브래킷(41)의 중앙 내부에는 필터(43)와 접촉되어 필터(43)를 지지하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안착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돌기(A)와 홈(B)이 교대로 형성되고, 둘레에는 필터(43)의 둘레가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C)가 형성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착면은 둘레에 비해 중앙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필터(43)를 통과하여 추출된 커피가 홈(B)을 따라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흘러 추출공(41A')을 통해 하부의 드립서버(50)로 낙하된다.
이와 같은 안착면의 구조는 고정브래킷(41)의 하부에 보조브래킷(44)이 더 결합되는 실시예 2의 드립유닛(40')의 구조에서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그 내부에 추출공(41A')이 관통 형성된 고정브래킷(41)의 결합부(41A)의 내부에는 드리퍼(42)에 드립된 물의 양에 따라 추출된 커피의 유출 속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판(44A")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량조절판(44A")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에는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리퍼(42)에 드립된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관통공을 통해서만 물이 추출공(41A')을 통과하고, 드리퍼(42)에 담긴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유량조절판(44A")의 관통공으로만 물이 통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필터(43)와 유량조절판(44A") 사이로 유입되어 물이 점차 누적되게 되고, 그 결과 필터(43)와 유량조절판(44A") 사이에 누적된 물의 하중에 의해 유량조절판(44A")이 눌리면서 절개된 부분이 방사상으로 열려 더욱 많은 양의 물이 추출공(41A')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시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유량조절판(44A")의 탄성에 의해 열렸던 절개 부분이 다시 복원되므로 유량에 따라 유량조절판(44A")의 개도량이 적절하게 조절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드립유닛(40')은 실시예 1의 드립유닛(40)의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및 필터(43)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고정브래킷(41)의 하부에 보조브래킷(44)이 더 구비되며, 고정브래킷(41)의 결합부(41A)가 풀리(46)에 결합되는 대신 보조브래킷(44)에 결합부(44A)가 구비되어 풀리(46)에 결합되며, 유량조절판(44A") 대신 유량조절밸브(44B)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리퍼(42)는 고정브래킷(41)의 상부에 장, 탈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정브래킷(41)의 중앙 하부에는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41A')이 관통 형성되며,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사이에는 필터(43)가 설치되어 드리퍼(42)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러 고정브래킷(41)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브래킷(41)의 외주면 하부에는 풀리(36)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보조브래킷(44)이 장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보조브래킷(44)의 중앙 하부에는 풀리(36)에 결합되는 결합부(44A)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44A)의 내부에는 배출공(44A')이 관통 형성되며, 고정브래킷(41)의 추출공(41A')과 보조브래킷(44)의 배출공(44A') 사이에는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커피 추출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44B)가 설치된다.
이때 보조브래킷(44)과 고정브래킷(41)은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가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의 결합돌기(44C)와 결합공(41C)의 결합에 의해서 조립되고, 이에 의해 회전구동유닛(30)에 의해 드립유닛(40, 40')이 회전 동작되더라도 이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조절밸브(44B)는 그 중앙에 직경이 3 ~ 5㎜인 관통공(H)이 형성되고, 보조브래킷(44)과 조절밸브(44B)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어 조절밸브(44B)가 스프링(S)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추출공(41A')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드립유닛(40')은 실시예 1의 유량조절판(41A") 대신 조절밸브(44B)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드립된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조절밸브(44B)의 관통공(H)을 통해서만 커피가 추출되고,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물의 하중이 탄성스프링(S)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유량조절밸브(44B)가 추출공(41A')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공(41A')이 더욱 개방되고, 그 결과 추출공(41A')을 통해 더욱 많은 양의 커피가 배출공(44A')을 통해 하부의 드립서버(5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립유닛(40, 40')에는 유량조절판(41A") 또는 조절밸브(44B)가 구비되기 때문에 드리퍼(42)에 드립된 물이 곧바로 하부의 드립서버(50)로 낙하되지 않고 지연되면서 커피 추출 속도가 조절되며, 그 결과 사용자가 드립 양을 조절하지 않고도 물을 드립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 맛이 다른 문제가 해결되며, 또한 물이 드립유닛(40, 40')의 내부에 더욱 오래 머물 수 있기 때문에 커피분말을 물에 불려 커피를 추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더욱 진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드립서버(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유닛(40, 40')의 추출공(41A') 또는 배출공(44A')을 통해 추출된 커피가 담기는 용기로서, 투명의 유리로 실시됨이 바람직하고, 그 일측에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의 드립서버(50)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립유닛(40, 4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유닛(30)이 드리퍼(42)의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커피추출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드립유닛을 회전구동유닛(30)으로부터 쉽게 장,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추출작업과 세정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더욱이 유량조절판 또는 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속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더욱 깊고 진한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10: 베이스부 20: 하우징
21: 제어기 30: 회전구동유닛
31; 상부커버 32: 하부커버
32A: 베어링안착부 33: 모터
34: 베어링 35, 36: 풀리
37: 벨트 40, 40': 드립유닛
41: 고정브래킷 41A: 결합부
41A': 추출공 41A": 유량조절판
41B: 걸림돌기 41C: 결합공
42: 드리퍼 42A: 실링부재
42B: 결합공 43: 필터
44: 보조브래킷 44A: 결합부
44A': 배출공 44B: 유량조절밸브
44C: 걸림돌기 50: 드립서버
A: 돌기 B: 홈
C: 밀착부 H: 관통공
S: 스프링

Claims (7)

  1.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기(21)가 구비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33)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30)과;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유닛(40) 및;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회전구동유닛(30)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유닛(40)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유닛(40)은 상기 회전구동유닛(30)과 결합되는 결합부(4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41A')이 관통 형성된 고정브래킷(41)과; 상기 고정브래킷(41)에 장,탈착되는 드리퍼(42) 및; 상기 고정브래킷(41)과 드리퍼(4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리퍼(42)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려 상기 고정브래킷(41)에 밀착 고정되는 필터(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2.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기(21)가 구비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33)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30)과;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유닛(40') 및;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회전구동유닛(30)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유닛(40')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서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유닛(40')은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41A')이 형성된 고정브래킷(41)과; 상기 고정브래킷(41)의 상부에 장,탈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드리퍼(42)와; 상기 고정브래킷(41)과 상기 드리퍼(4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드리퍼(42)에 의해 둘레가 상기 고정브래킷(41)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필터(43) 및; 상기 고정브래킷(41)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출공(4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결합되는 결합부(44A)가 구비된 보조브래킷(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41)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드리퍼(42)에는 상기 복수 개의 걸림돌기(41B)가 각각 관통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41)의 결합부(41A)의 내부에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되어 추출된 커피의 하중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유량조절판(41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41)의 추출공(41A')과 상기 보조브래킷(44)의 배출공(44A') 사이에는 추출된 커피의 하중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밸브(44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44B)는 중앙에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래킷(44)과 상기 조절밸브(44B)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42)는 종단면 형상이 원통형, 원추형, 역원추형 중에서 선택되고,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드립 장치.
KR1020130045176A 2013-04-24 2013-04-24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32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76A KR101324817B1 (ko) 2013-04-24 2013-04-24 커피 핸드드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76A KR101324817B1 (ko) 2013-04-24 2013-04-24 커피 핸드드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817B1 true KR101324817B1 (ko) 2013-11-01

Family

ID=4985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176A KR101324817B1 (ko) 2013-04-24 2013-04-24 커피 핸드드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81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4Y1 (ko)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KR20190127166A (ko) 2018-05-03 2019-11-13 김형찬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72808B1 (ko) * 2019-06-13 2020-02-03 김왕근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20200050023A (ko) 2018-10-31 2020-05-11 (주)대한솔루션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KR20200087989A (ko) 2019-01-14 2020-07-22 유연홍 커피 핸드드립 스테이션
KR20230064824A (ko)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모터
KR20230066731A (ko) 2021-11-08 202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모터
WO2023101082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KR20230083505A (ko) 2021-12-03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KR20230106845A (ko) 2022-01-07 2023-07-14 이철호 휴대용 핸드드립 필터
WO2024048959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료 추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65B1 (ko) * 1989-01-19 1993-05-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커피 제조기
KR20100069613A (ko) * 2009-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
KR20130019466A (ko) * 2011-08-17 2013-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 드립 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65B1 (ko) * 1989-01-19 1993-05-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커피 제조기
KR20100069613A (ko) * 2009-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
KR20130019466A (ko) * 2011-08-17 2013-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 드립 커피머신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4Y1 (ko)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KR20190127166A (ko) 2018-05-03 2019-11-13 김형찬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50023A (ko) 2018-10-31 2020-05-11 (주)대한솔루션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KR20200087989A (ko) 2019-01-14 2020-07-22 유연홍 커피 핸드드립 스테이션
KR102072808B1 (ko) * 2019-06-13 2020-02-03 김왕근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20230064824A (ko)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모터
KR20230066731A (ko) 2021-11-08 202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휠모터
WO2023101082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KR20230083505A (ko) 2021-12-03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KR20230106845A (ko) 2022-01-07 2023-07-14 이철호 휴대용 핸드드립 필터
WO2024048959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료 추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817B1 (ko) 커피 핸드드립 장치
CA2899417C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KR101372199B1 (ko) 더치커피 드립 장치
RU2601946C2 (ru) Центрифуж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тделения фруктового или овощного сока от фруктовой или овощной мякоти
EP2296514B1 (en) Beverage dispenser outlet
US11805933B2 (en) Cold brew coffee apparatus
KR101246888B1 (ko)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KR101371904B1 (ko) 더치커피 드립 장치
US9545174B2 (en) Directly falling powder type coffee grinding machine
US20150059597A1 (en) Slow and Citrus Juicer Combination
US9320383B2 (en) French press blender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090075650A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U2009200860A1 (en) Filter holder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US20230000287A1 (en) Liquid brewing device
US10542839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JP2007054609A (ja) 飲料作成器
KR20100069615A (ko)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US11864687B2 (en) Frothing device
US20210307556A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800572B1 (en) Tea-making device with a time control
KR101638824B1 (ko)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JP2007054610A (ja) 飲料作成器
CN216438980U (zh) 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