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023A -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023A
KR20200050023A KR1020180131416A KR20180131416A KR20200050023A KR 20200050023 A KR20200050023 A KR 20200050023A KR 1020180131416 A KR1020180131416 A KR 1020180131416A KR 20180131416 A KR20180131416 A KR 20180131416A KR 20200050023 A KR20200050023 A KR 2020005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guide
server
hole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황기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3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023A/ko
Publication of KR2020005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한 커피가 지나는 관통 구멍에 튜브 형태의 가이드를 장착하고, 추출한 커피가 이 가이드를 통해 드립 서버에 수집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통 구멍을 오염시키기 않고도 쉽고 안전하게 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아로헌 가이드를 관통 구멍에 강제로 끼워서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가 오염되거나 지저분해지면 바로 신속하고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울 뿐만 아니라 청결한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관통 구멍에 장착하고,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커피를 추출하는 개소에 알맞게 가이드를 장착하고, 특히 추출 위치가 조금 벗어나더라도 가이드 위치를 조절하여 청결하고 안전하게 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다.

Description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SEVER FOR DRIP COFFEE}
본 발명은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방울이 관통하여 지나는 관통 구멍에 튜브 형태의 가이드를 갖춤으로, 추출한 커피 흐름이 관통 구멍의 주변을 오염하지 않고 가이드를 통해 바로 서버 보디로 수집할 수 있게 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관통 구멍에서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서버 뚜껑을 오염하지 않고 그 주변을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드립 커피는 드리퍼 안에 거름망 등을 삽입하고 이 거름망 안에 분쇄한 커피를 채운 다음 그 위에 물을 부어서 이 물이 커피층을 통과하게 한 다음, 커피 서버에 수집하는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드립 커피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수동 방식으로 커피를 드리핑하거나 자동으로 커피를 드리핑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324817호
핸드 드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한쪽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유닛과; 상기 회전구동유닛으로 회전 동작하며, 내부에 커피와 물이 수용되어 커피가 하부로 추출되는 드립 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구동유닛 사이에 장·탈착되며, 상기 드립 유닛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립 유닛은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가 추출되는 추출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장·탈착되는 드리퍼 및; 상기 고정 브래킷과 드리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리퍼에 의해 가장자리가 눌려 상기 고정 브래킷에 밀착 고정되는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드립 유닛을 회전구동유닛으로부터 쉽게 장·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추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커피가 추출되는 속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풍미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372199호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 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일정한 양의 물이 담기고, 하부로 물을 떨어트리는 워터 드립 관이 구비된 급수용기와; 상기 거치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회전구동유닛과; 상기 회전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하며, 내부에 필터와 일정 양의 커피분말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용기에서 떨어지는 물에 의해 상기 커피분말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하향 드립되는 드립 유닛 및; 상기 거치대의 하부쪽에 설치되며, 상기 드립 유닛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드립 서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워터 드립 관은 상기 드립 유닛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래에 비해 많은 양의 더치 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하면서도 커피분말로부터 커피를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4-0003732호
커피 분말을 종이 필터에 넣고 직접 손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서 만드는 핸드 드립 커피에 사용하는 커피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내릴 때 커피 분말을 넣는 드립 잔과 드립 잔을 서버 또는 컵의 상단에 받쳐주면서 커피 물을 최종 추출하는 드립 가이드의 조합한 드립퍼를 사용하고, 특히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립퍼를 서버나 컵의 상단에 올려놓을 때와 커피 추출 완료 후 드립퍼 이동할 때 사용자가 특별한 조작이 없이도 자연적으로 드립 잔의 커피 추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드립퍼의 이동 중에 커피 물이 흘러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피 드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이처럼 이루어진 종래 드립 서버(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드리퍼(30)에서 드리핑함에 따라 아래로 떨어지는 커피를 수집하는 일종의 용기로, 용기에는 상부에 서버 뚜껑(20)을 갖춘다.
특히, 상기 서버 뚜껑(2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중앙에 오목하게 안으로 향하도록 관통 구멍(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관통 구멍(21)은 드리퍼(30)에서 추출한 커피가 아래로 흐를 때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10) 안으로 잘 들어갈 수 있게 커피의 흐름 줄기보다 넓게 제작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드립 서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관통 구멍을 통해 드리핑한 커피를 드립 서버에 수집함에 따라 관통 구멍의 내면이 커피 색깔로 오염될 우려가 있다.
(2) 특히, 관통 구멍은 서버 뚜껑 중앙 부분에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 안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하고, 이때 관통 구멍이 커피의 흐름보다 넓게 제작하므로, [도 3]과 같이, 추출한 커피가 내면이 넓은 관통 구멍 안을 검게 오염시킨다. [도 3]에서 오염된 부분은 사진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한 관통 구멍의 내면이 검게 오염된 것을 보여준다.
(3) 한 번 커피를 드리핑한 다음 관통 구멍을 닦지 않으면, 커피 가루 등이 관통 구멍 표면에 흡착하여 드립 서버가 청결하게 보이지 않아 미관을 해친다.
(4) 이에, 커피를 드리핑할 때마다 서버 뚜껑을 물이나 휴지 등으로 닦아내지 않으면 쉽게 더러워질 뿐만 아니라 한 번 고착한 커피 가루 등은 쉽게 제거하지 못해 불결하게 보이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324817호 (등록일 : 2013.10.28) 한국등록특허 제1372199호 (등록일 : 2014.03.03) 한국공개실용 제20-2014-0003732호 (공개일 : 2014.06.1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추출한 커피가 지나는 관통 구멍에 튜브 형태의 가이드를 장착하고, 추출한 커피가 이 가이드를 통해 드립 서버에 수집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관통 구멍을 오염시키기 않고도 쉽고도 안전하게 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한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가이드를 관통 구멍에 강제로 끼워서 때에 따라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가 오염되거나 지저분해지면 바로 신속하고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울 뿐만 아니라 청결한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관통 구멍에 장착하고,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커피를 추출하는 개소에 알맞게 가이드를 장착하고, 특히 추출 위치가 조금 벗어나더라도 가이드 위치를 조절하여 청결하고 안전하게 커피를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한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는, 드리퍼(D) 하부에 놓고, 이 드리퍼(D)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커피를 수집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에서, 커피를 수집하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서버 보디(100); 상기 서버 보디(100)의 개방한 상부를 덮어주고, 드리퍼(D)에서 떨어지는 커피가 관통하도록 관통 구멍(210)을 갖춘 서버 뚜껑(200);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뚜껑(200)에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드리퍼(D)에서 떨어지는 커피를 서버 보디(100)에 안내할 수 있게 튜브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끼워지고, 길이 중간 부분이 상기 관통 구멍(210)의 가장자리에 연질 부분(221)을 통해 연결하여 제자리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두 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강제로 끼웠다가 빼내서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추출한 커피가 가이드를 통해 서버 뚜껑을 통과하여 드립 서버에 수집하므로, 추출한 커피가 서버 뚜껑이나 관통 구멍에 묻거나 고착할 우려가 없다.
(2) 이에, 커피 가루나 커피가 관통 구멍이나 서버 뚜껑에 묻거나 고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불결한 환경을 없앨 수 있다.
(3) 특히, 이처럼 추출한 커피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관통 구멍에서 강제로 빼거나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가 오염되거나 불결할 때는 신속하게 가이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항상 드립 서버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가이드는 그 길이 중간 부분을 관통 구멍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드립 서버가 정해진 위치에 놓지 않더라도 가이드 위치를 조절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이드를 타고 드립 서버 안으로 수집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를 관통 구멍에 설치하므로, 때에 따라 두 개의 포트를 통해 추출한 커피를 드립 서버에 수집할 때는 각 포트 하나씩 가이드 안내를 받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드립 서버를 드리퍼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드리퍼 아래에 놓인 드립 서버에 추출한 커피를 수집하게 하는 수집 부분을 보여주는 [도 1]에서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드립 서버를 드리퍼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서버를 드리퍼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드리퍼 아래에 놓인 드립 서버에 추출한 커피를 수집하게 하는 수집 부분을 보여주는 [도 4]에서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서버를 드리퍼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드리퍼(D) 아래에 놓고서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를 수집할 수 있게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서버 보디(100), 그리고 커피를 수집하는 서버 보디(100)의 입구 부분을 마감하는 서버 뚜껑(2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서버 뚜껑(200)에는 이처럼 추출한 커피가 서버 보디(100) 안으로 떨어져서 수집하게 관통 구멍(210)을 형성하는 데, 이 관통 구멍(210)에 실질적으로 추출한 커피가 타고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튜브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20)를 구성하므로, 추출한 커피가 관통 구멍(210)의 내면을 오염시키거나 착색하지 않고 가이드(220)를 통해 바로 서버 보디(100)에 수집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220)는 그 길이 중간 부분이 관통 구멍(210)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드리퍼(D)에서 아래로 흐르는 추출한 커피의 위치에 따라 이 가이드(22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20)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를 설치하므로, 통상 드리퍼(D)에서 추출하는 커피의 출구가 하나 이상일 때도 안전하게 가이드(220)를 통해 추출한 커피를 서버 보디(100) 안에 수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220)는 관통 구멍(210)에 강제로 끼워서 사용하거나 때에 따라 강제로 빼낼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220)에 이물이 끼거나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새로운 가이드(220)로 쉽게 교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D"는 통상적으로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거름망을 삽입하고 그 안에 분쇄한 커피를 담은 다음,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하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드리퍼를 나타낸다. 이때, 드리퍼(D)는 추출한 커피가 드리퍼(D)의 중심 부분에서 중력을 받아 커피 방울 형태나 물줄기 형태로 아래에 떨어지게 된다.
<서버 보디>
서버 보디(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드리퍼(D) 하부에 놓고 이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를 수집하는 일종의 컨테이너로, 통상적으로 용기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서버 보디(100)는 드리퍼(D)를 통해 추출할 수 있는 커피량을 고려하여 추출한 커피를 모두 수집할 수 있는 용량으로 제작해야 함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처럼 충분한 용량을 가진다면, 서버 보디(100)의 형상과 모양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서버 보디(10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드리퍼(D) 하부에 위치하는 입구 부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서버 뚜껑(200)을 갖춘다.
<서버 뚜껑>
서버 뚜껑(2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추출한 커피를 서버 보디(100)에 수집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210)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관통 구멍(21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서버 보디(100)를 드리퍼(D) 아래에 놓았을 때 드리퍼(D)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부분이 이 관통 구멍(210) 위에 위치하게 하여 중력으로 추출한 커피가 관통 구멍(210)을 통해 서버 보디(100) 안으로 자연스럽게 수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처럼 이루어진 관통 구멍(21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추출한 커피가 관통 구멍(210)의 내면을 통하지 않고 바로 드리퍼(D)에서 서버 보디(100)로 수집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20)를 갖춘다.
가이드
가이드(2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일종의 튜브로 드리퍼(D)에서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는 커피 방울이나 커피 줄기가 관통 구멍(210)의 내면에 닿지 않고 바로 서버 보디(100) 안으로 수집할 수 있게 안내한다. [도 6]에서, 가이드(220)는 빨대와 같은 튜브 형태로 제작하고, 사진의 중앙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로 제작한 관통 구멍의 중앙에 꽂아서 사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가이드(2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튜브 형상의 길이 중간 부분을 상술한 관통 구멍(210)에 끼워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 구멍(210)에 끼운 가이드(220) 끝의 위치가 추출한 커피가 떨어지는 드리퍼(D)의 추출 구멍 위치와 조금 다를 수 있으나, 이처럼 추출 위치가 조금 달라지더라도 이처럼 제자리 회전하는 가이드(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추출 위치에 맞게 가이드(220)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가이드(220)가 드리퍼(D)의 추출 구멍의 위치가 어긋남에 따라 커피가 서버 보디(100)에 수집되지 않아서 생길 수 있는 문제나, 뜨거운 커피가 서버 보디 밖으로 튀거나 주변에 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이처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예시적으로, 가이드(220)의 길이 중간 부분에 플랜지 형태로 연질 부분(221)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연질 부분(221)은 가이드(220)를 회전함에 따라 쉽게 변형하면서 이 가이드(22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21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거나, 관통 구멍(210)을 요홈 형태로 제작하여, 관통 구멍(210)에 가이드(220)를 삽입했을 때, 이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실 형태로 가늘게 접촉하게 구성함으로써, 가이드(220)가 관통 구멍(210)의 지지를 받아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이드(220)의 길이 중간 부분을 주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주름이 벨로즈 형태로 접히면서 회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상술한 관통 구멍(210)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를 서버 보디(100)로 흘러가게 하는 추출 구멍이 하나인 경우도 있고 두 개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관통 구멍(210)에 가이드(220)를 두 개 구성하므로, 이 추출 구멍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각 추출 구멍에 가이드(220)를 맞춰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상술한 관통 구멍(210)에 강제로 끼웠다가 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220)를 튜브 형태로 제작하므로, 가이드(220)를 세척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가이드(220)를 소정시간 동안 사용하거나 오염이 생길 때 등 때에 따라 가이드(220)를 새로운 것으로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드리퍼에서 추출한 커피를 서버 보디에서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관통 구멍에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를 이용하므로, 관통 구멍의 내면이 오염되거나 변색 또는 착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결하게 사용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맛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100 : 서버 보디
200 : 서버 뚜껑
210 : 관통 구멍
220 : 가이드
221 : 연질 부분

Claims (4)

  1. 드리퍼(D) 하부에 놓고, 이 드리퍼(D)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커피를 수집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에서,
    커피를 수집하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서버 보디(100);
    상기 서버 보디(100)의 개방한 상부를 덮어주고, 드리퍼(D)에서 떨어지는 커피가 관통하도록 관통 구멍(210)을 갖춘 서버 뚜껑(200);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뚜껑(200)에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드리퍼(D)에서 떨어지는 커피를 서버 보디(100)에 안내할 수 있게 튜브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끼워지고, 길이 중간 부분이 상기 관통 구멍(210)의 가장자리에 연질 부분(221)을 통해 연결하여 제자리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3.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두 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관통 구멍(210)에 강제로 끼웠다가 빼내서 교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KR1020180131416A 2018-10-31 2018-10-31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KR20200050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16A KR20200050023A (ko) 2018-10-31 2018-10-31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16A KR20200050023A (ko) 2018-10-31 2018-10-31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023A true KR20200050023A (ko) 2020-05-11

Family

ID=7072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16A KR20200050023A (ko) 2018-10-31 2018-10-31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02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17B1 (ko)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KR20140003732U (ko) 2012-12-10 2014-06-18 송유진 커피 드립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732U (ko) 2012-12-10 2014-06-18 송유진 커피 드립퍼
KR101324817B1 (ko)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8831B2 (ja) 調合飲料機器及び方法
JP5696255B2 (ja) 飲み物容器
DK2682027T3 (en) Container for brewed beverage decor.
BR112013015350B1 (pt) aparelho de bebida e método de preparação de café
JP2013544172A (ja) 液滴収集器を有する飲料調製装置
ITMI20002145A1 (it) Caffettiera
US20080202346A1 (en) Tea maker with agitator
KR200459202Y1 (ko)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BR112017028410B1 (pt) Vareta de formação de espuma, método de preparação de uma bebida por aquecimento e formação de espuma usando uma vareta de formação de espuma, e, uso de uma vareta de formação de espuma
KR20200050023A (ko) 드립 커피용 드립 서버
US20030185949A1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secondary filter
KR20180012632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EP2506743B1 (fr) Appareil de preparation de boissons infusees avec reserve amovible
EP4101351A2 (en) Brew basket for automated beverage brewing apparatus
JP4020790B2 (ja) 飲料抽出装置および飲料抽出に用いる注入部材
JP3222271U (ja) コーヒー抽出器具
KR10166858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H0354663Y2 (ko)
EP3831254B1 (en)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with enhanced purge and residues discharge, and process of operation of said system
JP3211838U (ja) 飲み物を入れるフィルタ装置
KR900007761Y1 (ko) 커피 제조기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H0339132Y2 (ko)
JPH03174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