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02Y1 -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02Y1
KR200459202Y1 KR2020090001684U KR20090001684U KR200459202Y1 KR 200459202 Y1 KR200459202 Y1 KR 200459202Y1 KR 2020090001684 U KR2020090001684 U KR 2020090001684U KR 20090001684 U KR20090001684 U KR 20090001684U KR 200459202 Y1 KR200459202 Y1 KR 200459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server
manufacturing apparatus
coffee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06U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2020090001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0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드립퍼, 상기 드립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을 수용하는 서버, 상기 서버가 안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드립퍼와 상기 서버를 이격하고 상기 드립퍼가 거치되는 거치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바닥판에는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동 드립, 드립퍼, 서버, 주전자, 거치대, 노즐캡, 히팅수단

Description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Coffee maker for manual-drip}
본 고안은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드립이 능숙하지 않은 작업자도 용이하게 커피 제조를 할 수 있으며, 드립퍼의 이동시 커피가 관통공을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서버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바닥면에 히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드립이란, 드립퍼의 필터종이에 담긴 커피분말 위로 주전자를 이용하여 물을 골고루 뿌려주면서 커피 성분을 용해시키는 것으로, 이 때, 드립퍼에 물을 붓는 주전자의 각도, 물의 양 조절 및 물을 붓는 방법 등에 따라 제조되는 커피의 맛이 달라질 수 있는 커피 제조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가늘고 긴 파이프(대략 8 내지 12mm)의 주둥이를 갖는 주전자와, 플라스틱 혹은 자기로 된 드립퍼, 그리고 상기 드립퍼의 구멍으로 흘러내리는 커피를 수용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전자는 0.7L~.1.5L 상당의 용량의 주전자를 긴 주둥이와 가는 꼭지로 일반주전자보다 물의 양이 적게 나오게 주둥이 사이즈가 7~9mm(내경)로 스텐 혹은 동을 원자재로 활용 제조된다.
드립퍼는 상단은 원형을 가졌으나 필터의 구조상 아래는 삼각구조를 가지고 하단에 커피가 흘러내릴 수 있는 구멍이 하나에서 셋 정도 있으며, 구멍의 크기는 약 3~4mm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성형 제품이 많으나, 최근에는 자기로 된 제품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버는 일반적으로 유리로 제조되며 커피의 추출량을 가늠하는 스케일(scale) 혹은 잔수 표시 등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 혹은 정지시키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버는 유리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커피의 색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커피잔에 따르기도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커피가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이 구비되기도 하지만, 커피 추출 시에는 반드시 뚜껑을 제거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필터종이는 펄프로 제조된 종이필터로 1회 사용 후 버린다. 부채꼴의 형상 내부에 분쇄된 커피가루를 넣고, 여기에 물을 따라 커피의 액상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커피의 액상만 추출 하강하게 되고, 찌꺼기 분말은 일체 걸러지게 된다.
수동드립을 이용한 커피 제조는 우선, 분쇄된 커피가루를 종이필터 등에 담아 플라스틱 혹은 자기로 된 드립퍼에 올려놓고, 주둥이가 가늘고 긴 주전자를 손 으로 잡고 물을 뿌려주게 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을 뿌려주는 기술에 달려있다.
가령, 초기에 드립퍼에 골고루 물을 붓고 뜸을 들인다거나, 이후 주전자의 물을 드립퍼의 가운데부터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안에서 바깥쪽으로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가며 물을 붓는 등의 기술에 따라 커피의 맛이 좌우된다.
이러한 드립방식은 사람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커피드립용 주전자는 주둥이의 내경이 7 내지 9mm이고, 절수 등을 목적으로 주둥이의 상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조금만 경사를 주어도 물이 많이 나오게 되어 드립의 필수 조건인 물의 양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대로 된 수동드립 방식의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보통 약 1개월의 교육과정과 5~6개월간의 숙련 과정이 요구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직접 제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의 보급률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주전자의 사용 능숙도가 수동드립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열쇠로 작용하긴 하지만, 단지, 작업자가 주전자를 능숙하게 사용한다고만 해서 커피의 맛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가령, 커피를 내리는 시간이 일정해야 하고, 드립퍼, 유리포트 등의 온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때, 보다 우수한 맛과 향의 커피가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차가운 유리포트에 의해 커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 커피의 맛과 향을 잃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커피를 내리기 전 드립퍼와 유리포트를 뜨거운 물로 일단 데워서 물을 버린 후 커피를 내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커피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큰 효과를 가져다주지 못해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이 외에도, 드립퍼는 사용 후 커피를 가져가기 위해서 서버에서 내려놓을 때, 드립퍼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배출구)을 통해 커피의 잔량이 계속 배출되어 주변을 더럽히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무게가 있는 자기 드립퍼의 경우, 유리 서버와의 접촉 시 마찰에 의해 깨질 우려가 있어 사용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는 불편함도 있다.
한편, 서버는 추출된 커피가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뚜껑을 덮어놓는데, 커피 추출 시에는 드립퍼를 올려놓아야 함에 따라 뚜껑을 제거해야 하므로 이 때, 뚜껑 개방에 따른 온도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가 차가운 경우 커피가 내려올 때 곧바로 식게 되어 커피의 맛이 가장 좋게 느껴지는 온도(가령, 85~92℃)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동드립이 능숙하지 않은 작업자도 용이하게 커피 제조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서버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바닥면에 히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드립퍼, 상기 드립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을 수용하는 서버, 상기 서버가 안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드립퍼와 상기 서버를 이격하고 상기 드립퍼가 거치되는 거치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바닥판에는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드립퍼에 물을 붓는 주전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전자에서 물이 배출되는 주둥이의 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노즐캡이 결합되어 물줄기의 각도와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노즐캡은 연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치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거치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구멍에는 둘레를 따라 안착시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립퍼 하단에는 거치구멍에 거치되는 원형재치부와 원형돌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재치부와 원형돌턱에는 연성 재질의 패킹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립퍼의 하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안치되는 원형볼로 이루어진 볼 밸브가 설치되되, 이때, 베이스부의 외벽에는 오링이 끼워지는 스롯트 홀(hole)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원형볼은 원적외선 방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버의 뚜껑에는 거치대에 안치되었을 때, 원형볼과 접촉하여 상기 원형볼을 위로 밀어 올리는 누름돌기가 구비되며, 이때, 뚜껑의 상면에는 경사진 홈에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에 따르면, 거치대를 이용하여 드립퍼와 서버를 이격시킴으로써, 커피 제조 후 별도로 서버로부터 드립퍼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서버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히팅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좋은 온도대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립퍼에 볼밸브가 설치됨에 따라 드립퍼를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이동 할 때, 드립퍼 내에 잔류하고 있는 커피(액상)가 관통공을 통해 흘러내려 바닥을 더럽히는 일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평상시 뿐만 아니라, 드립퍼로부터 커피를 받을 때에도 뚜껑을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열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주전자의 주둥이 단부에 끼워지는 노즐캡을 통해 별도의 교육 또는 훈련을 받지 않은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물 내림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볼밸브에 원적외선 방출 소재의 원형볼을 적용함에 따라, 커피가 볼을 타고 내려오면서 원적외선을 받아 커피가 더 부드럽게 제조될 수 있다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를 나타낸 구성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드립퍼(10), 서버(20), 거치대(40) 및 주전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립퍼(10)는 분쇄된 커피가루가 담겨진 필터종이(필터) 위에 고온의 물을 부어 커피가 추출되어 하단의 관통공을 통해 흘러내리도록 한 것으로, 가급적 전체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드립퍼(10)에 커피가루 대신 차 재료 등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서버(20)는 드립퍼(10)를 통해 여과된 커피를 담는 것으로, 커피 추출 시 후술되는 거치대(40)의 바닥판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서버(20)는 주로 유리로 되어 있어 커피가 드립퍼(10)로부터 추출되어 내려오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게다가, 서버(20)의 투명한 외벽에는 잔 또는 액량(cc) 등을 나타내는 눈금(scale)이 기재되어 있어 커피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드립퍼(10)를 서버(2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거치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거치대(40)는 상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인 것으로 드립퍼(10)와 서버(20)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판과 바닥판의 이격거리는 서버(20)의 높이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에는 드립퍼(10)가 거치되는 거치구멍(44)이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서버(20)가 놓이는 위치에 히팅수단(42)이 구비된다. 이때, 거치구멍(4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뿐만 아니라 다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히팅수단(42)은 3구의 경우, 100~150w 단구의 경우는 60w 미만 정도의 소비전력으로 서버(20)가 접촉되는 부위를 100℃± 5℃로 유지시킴으로써 커피의 온도를 약 85℃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팅수단(42)은 면상발열체 또는 히터코일 등의 발열체로 바닥판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히팅수단(42)이 구비된 바닥판에는 실리콘 러버(rubber)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러버(rubber)는 얇게 철판 하단에 접착시켜 열효율이 좋고, 가열수단 케이스 제작을 얇게 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거치대(40)의 거치구멍 둘레에는 안착시트(46)가 끼워져 드립퍼(10)가 거치구멍(44)에 부드럽게 올려놓고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착시트(46)는 금속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거치대(40)의 찬 온도가 드립퍼(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층 구조로 이루어진 거치대(40)에 드립퍼(10)는 상판의 거치구멍(44)에 끼워넣고, 서버(20)는 드립퍼(1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서 버(20)와 드립퍼(10)는 거치대(40)에 의해 이격된다.
이후, 종이필터(필터)가 끼워진 드립퍼(10)에 커피 가루를 적당량 투입한 후, 주전자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주게 되면 커피 가루는 뜨거운 물에 의해 녹으면서 여과되어 드립퍼(10) 하단의 관통공을 통해 서버(20)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주전자(50)는 주로 스테인레스나 동의 재질로 주둥이가 가늘고 길게 만들어져 있으며, 최소 직경이 7 내지 9mm인 주둥이가 상단으로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따를 수 있게 형성된다.
도 2는 드립퍼 하단에 설치되는 볼밸브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때, 드립퍼(10)의 일측에는 드립퍼(10)를 거치대(4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드립퍼(10)의 하단에는 드립퍼(10)가 거치대(40)에 안착되도록 하는 원형돌턱(14)과 원형재치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형돌턱(14)과 원형재치부(15)에 연성 재질의 패킹(미도시)을 결합시킴으로써, 거치대(40)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원형돌턱(14)의 지름은 거치구멍(44)의 지름 크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퍼(10)는 저면에 볼밸브(12)가 설치된다.
볼밸브(12)는 드립퍼(10) 하단에 관통공(13)이 형성된 베이스부(12b)와 관통 공(13)을 개폐하기 위한 원형볼(12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관통공(13)이 형성된 베이스부(12b)의 단부 지름은 원형볼(12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자중에 의해 원형볼(12a)이 아래로 향할 때, 원형볼(12a)이 관통공(13)을 막음으로써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베이스부(12b)의 내부 지름은 단부 측보다 넓게 하여 원형볼(12a)이 외력을 받았을 시, 안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밸브(12)는 후술되는 서버 뚜껑(30)의 누름돌기(32)와의 접촉을 통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볼밸브(12)를 구성하는 원형볼(12a)은 세라믹 원적외선 방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별도로 가공된 볼 밸브(12)를 드립퍼(10)에 고정시킬 때 일반적으로 도자기+금속접합 시멘트(본드의 일종)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베이스부(12b)의 외벽에 오링(12c)이 끼워지기 위한 스롯트 홀(hole)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여기에 오링(12c)이 끼워짐으로써, 베이스부(12b)를 포함하는 볼밸브(12)가 드립퍼(10) 하단에 결합될 때 오링(12c)에 의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2b)의 외벽에 오링(12c)을 끼우는 작업은 볼밸브(12)를 일정한 사이즈로 관통공(13)에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추후 발생할 지 모를 누수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해주기 위함이다.
도 3은 서버의 뚜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뚜껑(30)의 상부에는 경사진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중앙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누름돌기(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누름돌기(32)는 드립퍼(10)가 서버(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때, 드립퍼(10) 밑의 원형볼(12a)을 위로 밀어 올려 관통공(13)을 개방시킴으로써, 드립퍼(10) 내부의 액상(커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누름돌기(32)의 하단부 둘레에는 다수개의 구멍(34)이 형성되어, 드립퍼(10)의 관통공(13)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액상(커피)이 서버(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노즐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동드립을 이용한 커피 제조는 주전자에서 나오는 물줄기의 굵기와 속도에 따라 커피의 맛이 달라질 수 있음은 이미 전술한 바 있다.
가령, 얇은 물줄기로 오랜 시간 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커피의 향과 맛이 진하고, 커피의 온도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반면, 굵은 물줄기로 짧은 시간에 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연하고 부드러운 맛을 내게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물줄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전자에 착탈이 용이한 노즐캡(55a, 55b)을 구비한다.
노즐캡(55a, 55b)은 주전자 주둥이(52)에 끼워지는 것으로, 물의 양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을 나타낸다.
이때, 노즐캡(55a, 55b)은 고온의 물에 의한 변형 방지와 위생 및 신축성 등 을 고려하였을 때,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 내림 조절 노즐캡(55a, 55b)은 실리콘 재질로 신축성이 있어 사이즈가 다른 주전자(50)의 주둥이(52)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주전자의 주둥이에 끼우는 방법에 따라 물량이 자연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캡(5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90° 내지 110°로 구부러진 곡선형 노즐캡(55a)이 적용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 노즐캡(55b)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노즐캡(55a, 55b)은 주전자 주둥이의 각도가 각양각색임에 따라 다양한 주전자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직선형과 곡선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노즐캡(55a, 55b)은 물의 하강 각도를 일정하게 해줌으로써, 비전문가도 수동드립용 주전자(50)를 이용한 물 드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캡(55a, 55b)의 내경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물이 나오는 쪽을 일단부라 가정하였을 때, 주전자(50)의 주둥이(52)에 끼워지는 타단부는 일단부의 내경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결되는 내경은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서버 뚜껑과 볼밸브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볼(12a)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볼밸브(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이 서버(20)가 거치대(40)에 안착하게 됨으로써, 서버 뚜껑(30)에 형성된 누름돌기(32)가 원형볼(12a)의 저면과 접촉하면서 원형볼(12a)을 위로 밀어내게 되면, 베이스부(12b)로 이루어진 드립퍼(10)의 관통공과 원형볼(12a)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며, 바로 이 공간을 통해 드립퍼(10) 내의 액상(가령, 커피)이 서버(20)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평상시 뿐만 아니라, 드립퍼(10)로부터 커피를 받을 때에도 뚜껑을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열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드립퍼(10)에 볼밸브(12)가 설치됨에 따라 드립퍼(10)를 거치대(40)에서 분리하여 이동할 때, 드립퍼(10) 내에 잔류하고 있는 커피(액상)가 관통공(13)을 통해 흘러내려 바닥을 더럽히는 일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를 나타낸 구성설명도이다.
도 2는 드립퍼 하단에 설치되는 볼밸브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은 서버의 뚜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노즐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서버 뚜껑과 볼밸브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도 6은 외벽에 오링(O-ring)이 끼워진 볼밸브가 결합되는 드립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립퍼 12 : 볼 밸브
12a : 원형볼 12b : 베이스부
14 : 원형돌턱 20 : 서버
22 : 서버 손잡이 30 : 뚜껑
32 : 누름돌기 34 : 구멍
40 : 거치대 42 : 히팅수단
44 : 거치구멍 46 : 안착시트
50 : 주전자 52 : 주전자 주둥이
55a : 곡선형 노즐캡 55b : 직선형 노즐캡

Claims (11)

  1. 드립퍼;
    상기 드립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을 수용하는 서버;
    상기 서버가 안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드립퍼와 상기 서버를 이격하고 상기 드립퍼가 거치되는 거치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 이층 구조의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바닥판에는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구멍에는 둘레를 따라 안착시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에 물을 붓는 주전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전자에서 물이 배출되는 주둥이의 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노즐캡이 결합되어 물줄기의 각도와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캡은 연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거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 하단에는 상기 거치구멍에 거치되는 원형재치부와 원형돌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재치부와 원형돌턱에는 연성 재질의 패킹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의 하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안치되는 원형볼로 이루어진 볼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벽에는 오링(O-ring)이 끼워지는 스롯트 홀(hole)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볼은 원적외선 방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뚜껑에는 거치대에 안치되었을 때, 상기 원형볼과 접촉하여 상기 원형볼을 위로 밀어 올리는 누름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에는 경사진 홈에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KR2020090001684U 2009-02-16 2009-02-16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KR200459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84U KR200459202Y1 (ko) 2009-02-16 2009-02-16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84U KR200459202Y1 (ko) 2009-02-16 2009-02-16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06U KR20100008406U (ko) 2010-08-25
KR200459202Y1 true KR200459202Y1 (ko) 2012-03-22

Family

ID=4445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84U KR200459202Y1 (ko) 2009-02-16 2009-02-16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05A (ko) 2015-04-28 2016-11-07 송유진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KR20180082186A (ko) 2017-01-10 2018-07-18 박혜정 회전형 드립퍼 홀더
KR20190113257A (ko) 2018-03-28 2019-10-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KR20210001259U (ko) 2019-11-28 2021-06-07 이의선 회전형 커피 드립퍼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31Y1 (ko) * 2010-09-29 2013-04-09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101511011B1 (ko) * 2015-01-16 2015-04-17 조재만 핸드드립 주전자
KR101720015B1 (ko) * 2015-04-08 2017-03-28 주식회사지티빈스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KR20160125807A (ko) 2015-04-22 2016-11-01 김진균 드립커피 제조장치
KR102262293B1 (ko) * 2020-09-18 2021-06-08 (주)휴럼 드립커피용기가 부착된 친환경 무전원 가정용 요구르트 간편 발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583A (en) * 1986-01-14 1987-05-26 King-Seeley Thermos Company Automatic drip coffee m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583A (en) * 1986-01-14 1987-05-26 King-Seeley Thermos Company Automatic drip coffee mak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05A (ko) 2015-04-28 2016-11-07 송유진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KR20180082186A (ko) 2017-01-10 2018-07-18 박혜정 회전형 드립퍼 홀더
KR20190113257A (ko) 2018-03-28 2019-10-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KR20210001259U (ko) 2019-11-28 2021-06-07 이의선 회전형 커피 드립퍼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06U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202Y1 (ko)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US6422133B1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after termination of steeping period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EP1778061B1 (en) Equipment for the preparation of a hot beverage
US10674858B2 (en) Pour over beverage system
US20060283332A1 (en) Hot beverage maker
US7228790B2 (en) Spoon brewing apparatus
US20100000416A1 (en) Percolator device
KR200466331Y1 (ko) 수동형 커피 드립퍼
CN108309054A (zh) 多功能咖啡机
US7032505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secondary filter
TWM562072U (zh) 陶瓷製手沖壺
JP5563929B2 (ja) コーヒー用ポット
JP2008507318A (ja) ホット飲料の生成用装置
JP2021518794A (ja) 懸濁液から抽出物を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120886A1 (en) Infusion tea maker
US2592279A (en) Variable-strength beverage dispenser
EP3967188B1 (en) Teapot
US20020166452A1 (en) Domestic machine to make cappuccino
US136703A (en) Improvement in coffee-pots
TW572743B (en) A beverage urn assembly, a hot beverage urn assembly and a method of serving a freshly brewed fresh beverage
CN207928186U (zh) 一种功夫汤盅
US3396654A (en) Coffee maker
CN208925912U (zh) 多功能咖啡机
CN216569550U (zh) 一种冲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