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8959A1 -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8959A1
WO2024048959A1 PCT/KR2023/009324 KR2023009324W WO2024048959A1 WO 2024048959 A1 WO2024048959 A1 WO 2024048959A1 KR 2023009324 W KR2023009324 W KR 2023009324W WO 2024048959 A1 WO2024048959 A1 WO 20240489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outlets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3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근용
유소정
추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4473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3091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489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89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Definitions

  • Embodiments are directed to provid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 a beverage can be extracted by supplying heated water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object placed in the dripper.
  • liquid coffee liquid coffee
  • Coffee extracted in this way is called drip coffee, and in some cases, it may be called pourover coffee, filtered coffee, or brewed coffee.
  • a hand drip method is generally used in which a person directly adjusts the water using a drip pot.
  • the speed of pouring water, the method of pour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extracting the water, and even for the same person, the speed of pouring water, the method of pour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may not be consistent. You can. Accordingly, the quality of extracted coffee cannot be constant.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pours water into a dripper to extract a beverage, for example, coffee, may be considered.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pour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and includes: a water tank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discharging water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dripper.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es a first water outle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 It may include a second water outlet plate that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that can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and the second water outlet are overlapped may vary,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may vary.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include a first water outle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s.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include a ligh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stalled, and a light guide that guides the light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s is irradiated toward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3,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3.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3 from another angle.
  • FIGS. 8A to 8C are diagrams to explain how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separated from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ure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assembled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9.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10.
  •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irradiation part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of FIG. 13.
  • Figur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S. 18A to 18C are diagrams to explain that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emitted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ure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Figure 19.
  • firs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s a device that extracts a beverage by dispensing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2.
  • it may be a device for extracting a coffee bever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ffee') by pouring heated water into the extraction object, for exampl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ncludes a water tank 20 in which water is stored, a heater 11 for heating water, and water for pouring water into the dripper 2 in which coffee powder (C) can be contained.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module 100.
  • the dripper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narrows toward the bottom, and a filter 4 can be placed inside. Coffee powder (C) may be contained inside the filter (4). A server 3 that stores extracted coffee may be placed below the dripper 2.
  • the water tank 20 stores water and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tank 20 and fill it with water or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0.
  • the heater 11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nd can he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 the heater 11 can heat water to a set target temperature.
  • the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point of the heater 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
  • the target temperature heated by the heater 11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raction object, for example, the type of coffee powder (C), extraction time, etc.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discharge water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toward the dripper 2. As water is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by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water is poured into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and coffee is extracted. The extracted coffee is stored in the server (3).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ump 12 that provides pressure to direc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toward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water discharge speed and the water discharge time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by controlling the pump 12.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ripper holder 31 on which the dripper 2 is mounted, and a server holder 32 on which the server 3 is mounted.
  • the dripper holder 31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move up and down.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dripper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rver 3 or the dripper 2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ripper holder 31.
  • a container detection sensor 13 may be placed on the server stand 32 to detect whether the server 3 is mounted.
  • 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pump 12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iner detection sensor 13.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14 for detecting the flow rat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 the flow sensor 14 may be plac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heater 11.
  • the arrangement of the flow sensor 14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positioned to detec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of FIG. 3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or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of FIG. 3.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dripper 2 (see FIG. 1 ).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201 that discharge water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dripper 2.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ncludes a piping unit 110 that provides at least one flow path for receiving water, and a water outlet 200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t can be included.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120 that supports the piping part 110 and the water outlet part 2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see FIG. 1) and forms an exterior.
  • the support portion 12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122 that suppo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ortion 200 and an upper housing 121 that prevents the piping portion 110 from being exposed.
  • the upper housing 121 and the lower housing 122 may be assembled.
  •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12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s long as it supports the water outlet part 200 and prevents the piping part 110 from being exposed.
  • the pip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heated water to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 the pip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pipe 111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rea of the water outlet 200, for example,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and , may include a second pipe 112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cond area of the water outlet 200, for example, the outer area 2102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the piping unit 110 may include a piping plate 113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
  • the pipe plate 113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31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11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112.
  •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water outlet 20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32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outer area 2102 of the water outlet 200.
  • An upper housing 121 may be disposed on the piping plate 113.
  • the upper housing 121 can prevent the piping unit 1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irst pipe 111 may be arranged to supply water to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water outlet 200.
  • the first pip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31 of the pipe plate 113.
  •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toward the center area 210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Water mov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may be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may be singular. However, the number of first pipes 111 and first connection parts 113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lural.
  • the second pipe 112 may be arranged to supply water to the outer area 2102 of the water outlet 200.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11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ortions 1132 of the pipe plate 113.
  •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112 may supply water at regular intervals to the outer area 2102 of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32.
  •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toward the outer area 210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provided by the second pipe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Water mov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4) of the dripper (2).
  • the second flow path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rinsing water for rinsing the filter 4 moves.
  • the nu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pipe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in the embodiment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second pipe 112 and the first pipe 111 may be connected by a valve 16 (see FIG. 2).
  • the valve 16 may be a 3-way valve. Heated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pipe 111 or the second pipe 112 by the valve 16.
  • the valve 16 may open the second pipe 112 and block the first pipe 111 so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ipe 112. .
  • the valve 16 may open the first pipe 111 and block the second pipe 112 so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pipe 111 in the drip stage for coffee extraction.
  • the water outlet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 ports 2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supported on the lower housing 122 of the support part 120.
  • the first water discharge plate 210 may include a center area 2101, an outer area 2102, and a border wall 2103 to separate them.
  • the border wall 2103 has a ring shape and blocks water from moving between the central area 2101 and the outer area 2102.
  •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2101 and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13 provided in the outer area 2102.
  • the drip water outlet 212 is disposed at a first radial distance (R1)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the rinsing water outlet 213 is disposed at a first radial distance (R1)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It may be disposed at a second radial distance (R2) greater than R1).
  •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may have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may be the same.
  •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are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ameters of some of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may be different.
  • Water is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through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of the pipe unit 110, and to the central area 2101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 the supplied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12.
  • the wate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falls on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and coffee can be extracted.
  •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13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outer area 2102.
  •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13 may be the same.
  •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3 for rins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2 for drip.
  •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3 for rinsing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2 for drip.
  •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3 for rinsing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12 for drip.
  • a rinsing step of rinsing the filter 4 may be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13 before placing the coffee powder C in the dripper 2.
  • Water supplied to the outer area 2102 of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econd pipe 112 may be discharg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13. Wate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may fall on the filter 4, and a rinsing step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filter 4 is rinsed with water.
  • the rinsing step is an optional step, it may be omitted depending on user selection or settings.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can easily control the water discharged flow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pensed water amount')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e adjustment of the discharged water amount.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provided.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by a rotating shaft 215 disposed at the center.
  • the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may be installed in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first water discharge plate 210, for exampl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20.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drip water outlets 222 disposed at a first radial distance R1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of different sizes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include a first opening 2211, a second opening 2212, and a third opening 2213 of different sizes, which are repetitive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first radial distance R1. It can be arranged as The first opening 2211 has a first size, the second opening 2212 has a second size different from the first size, and the third opening 2213 has a third size different from the first size and the second size. You can have The first size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size, and the second size may be larger than the third size.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a second water outlet 221, illustrating a structure including three openings of different sizes.
  • the second water outlet 22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has two openings of different sizes. It may include four openings or four or more openings of different sizes.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n tim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n may be an integer of 2 or more.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three tim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the number of second drip water outlets 222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18.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be provided to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the distance d2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to the second water outlet 221 is the distance d1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to the first outlet 211. may be the same.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 openings 2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 openings 221 overlap may vary.
  • the water outlet area of the water outlet 201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may vary.
  •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201 may vary.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ment lever 240 protru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 the control lever 2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rotating the control lever 240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50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 the display unit 250 includes a mobile display unit 251 that moves together when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rotated, and a fixed display unit 252 that does not move when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rotated. It can be included.
  • the movable display unit 251 may be placed on the control lever 240, and the fixed display unit 252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unit 120.
  • the fixed display unit 25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housing 121 of the support unit 120.
  • the arrangement of the mobile display unit 251 and the fixed display unit 252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 the display unit 250 may indicate the degree of water extraction amount. 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250 may displa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in numbers. For example, the fixed display unit 252 may be displayed with a number on the upper housing 121. However,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25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isplayed as letters or symbols.
  • the control lever 240 moves, and the position of the fixed display unit 252 indicated by the moving display unit 251 changes accordingly.
  • the user can know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xed display unit 252.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22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insing water outlet 223 disposed at a second radial distance R2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 the second radial distance R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radial distance R1.
  • the second rinsing water outlet 2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of different sizes.
  •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insing water outlet 223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for opening the rinsing water outlet 213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the second rinsing water outlet 223 may be a single ring-shaped opening.
  • FIGS.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may vary.
  • the first opening 2211 of the second water outlet 221 is in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may be the first area of the first opening 2211.
  • the second opening 2212 of the second water outlet 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may be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opening 2212.
  • the third opening 2213 of the second water outlet 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water outlet area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may be the third area of the third opening 2213.
  •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01 This may vary.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when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in the first rotation position 220-1, the largest flow rate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01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When is in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220-2), a medium flow rate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201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in the third rotation position 220-3.
  • the lowest flow rate may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201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has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aintenance unit 230 for maintai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
  • the position holding unit 230 has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at a first rotation position 220-1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first opening 2211 overlap, and the first water outlet 211. ) and the second opening 2212 overlap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220-2 and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third opening 2213 overlap the third rotation position 220-3. It can be.
  • FIG. 9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230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shows the second water discharge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ith the plate 220 separated, and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assembled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and FIG. 11 is the water of FIG. 10. This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module 100.
  •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osition maintaining unit 230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230 may include a groove 231 and a protrusion 232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separated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ncludes a protrusion 232 protruding toward the first outlet plate 210, and the first outlet plate 210 has a plurality of grooves into which the protrusion 232 can be inserted ( 231) may be included.
  • the plurality of grooves 231 may be dispos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protrusion 232 when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rotates.
  • the protrusion 232 may be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31.
  • the protrusio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2311.
  • the protrusion 2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2311, so that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can maintain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220-1.
  • the protrusio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2312.
  • the protrusion 23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2312, so that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can maintain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220-2.
  • the protrusio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2313.
  • the protrusion 232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2313, so that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can maintain the third rotation position 220-3.
  •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holding unit 23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lect one water extraction quantity among a plurality of determined water extraction quantities.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in a random rotation position rather than a fixed rotation position, the second water outlet 221 does not overlap the first water outlet 211, or the second water outlet 221 and the first water outlet ( 211), the overlapping water outlet area may not be constant. In this case,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200, the quality of the extracted beverage may not be constant because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01 or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s random.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llows the user to easily position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holding portion 230, so that the dripper 2 A set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target.
  • the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230A is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lever 240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plate 210 or the support portion 120. It may include a groove 233. By rotating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the control lever 240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33, thereby positioning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position.
  •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of FIG. 13.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light irradiation unit 300 that radiates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211 .
  •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may irradiate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12.
  •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may be supported by the light support unit 330.
  •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may include a light plate 310 and a light guide 320 that guides light.
  •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that generate light may be installed on the light plate 310.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be light emitting diodes (LEDs).
  •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generate light of various colors.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gener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at different times.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generate light of a first color in a first period, light of a second color in a second period, and light of a third color in a third period. there is.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generate red light in a first period, yellow light in a second period, and blue light in a third period.
  • the colors that the light source 311 can generate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ypes of colors may vary.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be arrang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water outlet 211 (see FIG. 4).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may be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 the light guide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plate 310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plate 210 .
  • the light guide 320 may guid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311 to be irradiated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light guide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321 protruding toward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plurality of lenses 321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lenses 321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321 may be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311.
  •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in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311, and the generated light is guided by the light guide 320 and may be irradiated toward the first water outlet 211.
  • the light irradiated toward the first water outlet 211 may be emitted from the water outlet 201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lapping openings of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light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 Figur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dripper is extracted by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 the reference position where (2) is placed can be displayed.
  •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where the water is discharged before the water is discharged.
  • the user can align the dripper 2 so that it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using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 the server 3 can be placed at the reference position using the irradiated light.
  • light may be irradiated at the same time as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 the irradiated light may be scattered by discharged water. As the scattered light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aesthetics can be secured.
  • FIG. 1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15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S. 18A to 18C are diagrams to explain that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emitted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22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7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extraction plate 220.
  •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detected by the sensor 17.
  • the control unit 15 may adjust the color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311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is at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220-1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first opening 2211 of the second water outlet 221 overlap, the control unit 15 ) may generate light of a first color, for example, red, from the light source 31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8A, water W1 is discharged along with red light L1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and the discharged water W1 may appear red.
  • a first color for example, red
  • the control unit 15 may generate light of a second color, for example, yellow, from the light source 31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8B, water W2 is discharged along with yellow light L2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and the discharged water W2 may appear yellow.
  • a second color for example, yellow
  • the control unit 15 may generate light of a third color, for example, blue, from the light source 31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8C, water W3 is discharged along with blue light L3 through the water outlet 201, and the discharged water W3 may appear blue.
  • a third color for example, blue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whe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01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The water discharged appears in a different color. In this way, as the discharged water appears to be a different color,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01 has changed.
  • control unit 15 can control the light source 311 to gener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an be detected through a sensor or determined by the operating time of the heater, etc.
  • the control unit 15 changes the color of the emitted ligh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water has changed.
  • the description focuses 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21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21.
  • applic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ncludes a first water outlet plate 2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211,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300 that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s 211. It can be included.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not include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220.
  • the light irradia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late 220. Light may also be irradiated through (211).
  • Figure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of Figure 19.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supplied with power by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supplied with power wirelessly by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receive power wirelessly from the power station 1000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include a power line connected to an outlet.
  • the power supply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wireless method, and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a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an object located on the top plate, for example,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Power station 1000 may be a heating devic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expressed as an induction range or an electric rang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1001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002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1001.
  •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may mean transmitting power using the receiving coil 402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 the power station 1000 can cause a magnetic field to be induc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by flowing current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001 to form a magnetic field.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include a pickup coil 401, a receiving coil 402, and a printed circuit board 403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 a communication interface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15 (see FIG. 2)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03.
  • the pickup coil 401 may receive initial power from the power station 1000.
  • the initial power received may be transfer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03.
  • the initial power deliv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03 may activat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ntrol unit 15.
  • the control unit 15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eg,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NFC communication unit, BLE communication unit, etc.), a mobile communication unit, etc.
  • the initial power is pow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ay be, for example, 100 W to 300 W.
  •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betwee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nd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nd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paired.
  • the receiving coil 402 may receive power from the transmitting coil 1001 of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can be operated using the received power.
  • the power received to operate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greater than the initial power.
  • the received pow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ower greater than 800 W.
  • the heater 11 and pump 12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operate.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example of being used to extract coffee as an example of a beverage, but the u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offee.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used to extract a beverage other than coffee, for example, tea, etc., in a manner similar to extracting coffee.
  •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Can be represent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etc. used herein are used to be understood as terms of the open end of the technology.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have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adjustment of the amount of water extracted.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how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pensed.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pour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comprising: a water tank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discharging water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dripper, where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es a first water outle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and the first water outlet.
  • It includes a second water outlet plate that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plat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that can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As for the water outlet, the water outlet area overlapping the first water outlet and the second water outlet may vary,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may vary.
  • a plurality of openings of different sizes may b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plurality of water outlets.
  •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to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may be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plate to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 the second water outlet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on positions where the water outlet area overlapping the second water outlet and the first water outle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configured to maintain one rotational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rotational position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and the second water outlet.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include a light guide including a ligh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lense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water outlet.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irradi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through the first outlet unit and the second outlet unit.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radi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and the second water outlet.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is fix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la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lever protru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 a piping unit including a first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 central area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and a second pipe to supply water to an outer area of the first water outlet plate, wherein the first water outlet i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arranged in the central area and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arranged in the outer area.
  • the plurality of second water outle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drip water outlets overlapping with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and a plurality of second rinsing water outlets overlapping with the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e status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water outlet location.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pour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comprising: a water tank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discharging water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dripper, where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es a first water outle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and the first water outlet.
  • the light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penetrating, wherein the light irradiation unit includes a ligh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stalled, and a light guide that guides the light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toward the plurality of first water outlets. It can be included.
  • the light gui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water outlet.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irradi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211)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에 중첩 가능한 복수의 제2 출수구가 마련된 제2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지며,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장치
실시예들은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드립퍼에 음료 추출 대상물을 넣은 상태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가 구비된 드립퍼에 커피 빈을 분쇄한 커피 가루를 넣은 상태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커피는 드립 커피(drip coffee)라 불리며, 경우에 따라 푸어오버(pourover coffee) 커피, 필터 커피(filtered coffee) 또는 브루드 커피(Brewed coffee)라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드립 포트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물을 조절하는 핸드 드립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은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 물을 붓는 속도, 물을 붓는 방식, 물의 온도 등 이 달라지며, 동일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물을 붓는 속도, 물을 붓는 방식, 물의 온도 등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추출된 커피의 품질이 일정할 수 없다.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드립퍼에 자동으로 물을 부어 음료, 예를 들어 커피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에 중첩 가능한 복수의 제2 출수구가 마련된 제2 출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지며,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부는, 복수의 광원이 설치된 광 플레이트와,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를 향해 조사되도록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물 분배 모듈을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3의 물 분배 모듈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물 분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지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가 분리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가 조립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물 분배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위치 유지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광 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광 조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광 조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는 도 19의 음료 추출 장치의 전력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드립퍼(2)에 담겨있는 추출 대상물, 예를 들어, 커피 가루(C)에 가열된 물을 부어 커피 음료(이하, '커피'라 한다)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음료 추출 장치(1)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20), 물을 가열하는 히터(11) 및 커피 가루(C)가 담길 수 있는 드립퍼(2)에 물을 붓기 위한 물 분배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립퍼(2)는 하부로 갈수록 폭 또는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필터(4)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4)의 내부에는 커피 가루(C)가 담길 수 있다. 드립퍼(2)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서버(3)가 배치될 수 있다.
물 탱크(20)는 물을 저장하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물 탱크(20)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거나 물 탱크(2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히터(11)는 물 탱크(20)와 물 분배 모듈(100) 사이에 배치되며, 물 탱크(2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11)는 물을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히터(11)는 제어부(15)에 의해 작동 시간 및 작동 시점이 제어될 수 있다. 히터(11)에 의해 가열되는 목표 온도는 추출 대상물, 예를 들어 커피 가루(C)의 종류, 추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드립퍼(2)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됨에 따라, 드립퍼(2)에 담겨 있는 커피 가루(C)에 물이 부어져, 커피가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는 서버(3)에 저장된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물 탱크(20)에 저장된 물이 물 분배 모듈(100)을 향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펌프(12)를 제어함으로써, 물 분배 모듈(100)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수 속도 및 출수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드립퍼(2)가 거치되는 드립퍼 거치대(31)와, 서버(3)가 거치되는 서버 거치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립퍼 거치대(31)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드립퍼 거치대(3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서버(3) 또는 드립퍼(2)의 크기에 따라 드립퍼(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서버 거치대(32)에는 서버(3)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용기 감지 센서(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용기 감지 센서(1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1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물 탱크(20)에서 공급된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센서(14)는 물 탱크(20)와 히터(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유량 센서(14)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물 분배 모듈(100)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3의 물 분배 모듈(100)의 다른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드립퍼(2; 도 1 참조)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분배 모듈(100)은 드립퍼(2)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는 복수의 출수구(201)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110)와, 배관부(110)로부터 공급된 물이 복수의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출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본체(10; 도 1 참조)에 대해 배관부(110) 및 출수부(200)를 지지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지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출수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122)과, 배관부(110)의 노출을 방지하는 상부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1)과 하부 하우징(122)은 조립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1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출수부(200)를 지지하고 배관부(11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배관부(110)는 가열된 물이 출수부(200)의 복수의 영역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부(110)는 출수부(200)의 제1 영역, 예를 들어,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111)과, 출수부(200)의 제2 영역, 예를 들어,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0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110)는 출수부(200)의 상부에 배치된 배관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플레이트(113)는 제1 배관(111)에 연결된 제1 연결부(1131)와, 제2 배관(112)에 연결된 제2 연결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1)는 출수부(200)의 중심 영역(2101)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제2 연결부(1132)는 출수부(200)의 외곽 영역(210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13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배관 플레이트(113)의 상부에는 상부 하우징(12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1)은 배관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배관(111)은 출수부(200)의 중심 영역(2101)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관(111)은 배관 플레이트(113)의 제1 연결부(1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에 의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01)을 향해 물이 이동하는 제1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로를 통해 이동한 물은 드립퍼(2)에 담긴 커피 가루(C)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는 단수 개일 수 있다. 다만,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2 배관(112)은 출수부(200)의 외곽 영역(2102)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관(11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관(112) 각각은 배관 플레이트(113)의 복수의 제2 연결부(1132)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관(112)은 제2 연결부(1132)를 통해, 출수부(200)의 외곽 영역(2102)에 일정한 간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배관(112) 및 제2 연결부(1132)에 의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02)을 향해 물이 이동하는 제2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유로를 통해 이동한 물은 드립퍼(2)의 필터(4)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유로는 필터(4)를 헹구기 위한 린싱용 물이 이동하는 유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제2 배관(112) 및 제2 연결부(1132)의 개수 및 연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2 배관(112) 및 제1 배관(111)은 밸브(16; 도 2 참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밸브(16)는 3 방향 밸브(3 WAY VALVE)일 수 있다. 밸브(16)에 의해, 가열된 물이 제1 배관(111) 또는 제2 배관(112)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16)는 필터(4)를 적시기 위한 린싱 단계에서는 제2 배관(112)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제2 배관(112)을 개방하고 제1 배관(111)을 차단할 수 있다. 밸브(16)는 커피 추출을 위한 드립 단계에서는 제1 배관(111)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제1 배관(111)을 개방하고 제2 배관(112)을 차단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출수구(211)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수 플레이트(210)는 지지부(120)의 하부 하우징(122)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출수 플레이트(210)는 중심 영역(2101), 외곽 영역(2102) 및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테두리 벽(2103)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벽(2103)은 링 형상을 가지며, 중심 영역(2101)과 외곽 영역(2102) 간에 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복수의 제1 출수구(211)는 중심 영역(2101)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와, 외곽 영역(2102)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립용 출수구(212)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반경 거리(R1)에 배치되며, 린싱용 출수구(213)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반경 거리(R1)보다 큰 제2 반경 거리(R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01)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거리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의 직경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 중 일부 드립용 출수구(212)의 직경이 다를 수도 있다.
배관부(110)의 제1 배관(111), 제1 연결부(1131)를 통해 출수부(200)의 중심 영역(2101)으로 물이 공급되며, 출수부(200)의 중심 영역(2101)으로 공급된 물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를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에서 배출된 물은 드립퍼(2)에 담겨 있는 커피 가루(C)로 떨어져,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는 외곽 영역(2102)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 각각의 직경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 각각의 직경과 다를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 각각의 직경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 각각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를 이용하여, 드립퍼(2)에 커피 가루(C)를 담기 전에 필터(4)를 헹구는 린싱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배관(112)을 통해 출수부(200)의 외곽 영역(2102)에 공급된 물은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를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에서 배출된 물이 필터(4)로 떨어져, 물에 의해 필터(4)가 헹궈지는 린싱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린싱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이므로,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는, 출수되는 유량(이하, '출수량'이라 한다)의 조절이 용이하며, 출수량의 조절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물 분배 모듈(10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출수구(221)가 마련된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중심에 배치된 회전 샤프트(215)에 의해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을 위한 지지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가 아닌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지지부(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반경 거리(R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드립용 출수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크기가 다른 제1 개구(2211), 제2 개구(2212) 및 제3 개구(2213)가 제1 반경 거리(R1)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개구(2211)는 제1 크기를 가지며, 제2 개구(2212)는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가지며, 제3 개구(2213)는 제1 크기 및 제2 크기와 다른 제3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크기는 제2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크기는 제3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2 출수구(221)로서 크기가 서로 다른 3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제2 출수구(22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크기가 다른 2개의 개구 또는 크기가 다른 4개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의 개수는, 복수의 제1 출수구(211)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의 개수는, 복수의 제1 출수구(211)의 개수의 n배일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출수구(221)의 개수는, 복수의 제1 출수구(211)의 개수의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출수구(211)의 드립용 출수구가 6개일 때, 복수의 제2 출수구(221)의 제2 드립용 출수구(222)는 18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복수의 제1 출수구(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복수의 제1 출수구(211)에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중심으로부터 제2 출수구(221)까지의 거리(d2)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출수구(211)까지의 거리(d1)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제1 출수구(211)와 복수의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출수구(201)는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출수 면적이 달라짐에 따라, 출수구(201)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된 조절 레버(24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절 레버(240)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 레버(240)를 회전시켜,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출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출수구(201)를 통한 출수량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50)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될 때 함께 이동하는 이동 표시부(251)와,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회전될 때 이동하지 않는 고정 표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표시부(251)는 조절 레버(240)에 배치되며, 고정 표시부(252)는 지지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표시부(252)는 지지부(120)의 상부 하우징(12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동 표시부(251) 및 고정 표시부(252)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출수량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부(250)는 출수구(201)를 통한 출수량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표시부(252)는 상부 하우징(121)에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표시부(250)의 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 레버(240)가 이동하며, 그에 따라 이동 표시부(251)가 가리키는 고정 표시부(252)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는 고정 표시부(252)에 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수구(201)를 통한 출수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중심으로부터 제2 반경 거리(R2)에 배치된 제2 린싱용 출수구(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경 거리(R2)는 제1 반경 거리(R1)보다 클 수 있다. 제2 린싱용 출수구(223)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린싱용 출수구(223)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린싱용 출수구(213)를 개방하기 위한 구조라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린싱용 출수구(223)는 링 형태의 단일의 개구일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지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회전 위치(220-1)일 때에는, 제2 출수구(221)의 제1 개구(2211)가 제1 출수구(211)에 중첩되며,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된 출수 면적은 제1 개구(2211)의 제1 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와 같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2 회전 위치(220-2)일 때에는, 제2 출수구(221)의 제2 개구(2212)가 제1 출수구(211)에 중첩되며,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된 출수 면적은 제2 개구(2212)의 제2 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와 같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3 회전 위치(220-3)일 때에는, 제2 출수구(221)의 제3 개구(2213)가 제1 출수구(211)에 중첩되며,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된 출수 면적은 제3 개구(2213)의 제3 면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출수구(211)에 중첩되는 제2 출수구(221)의 제1, 제2, 제3 개구(2211, 2212, 2213)의 면적이 달라짐에 따라, 출수구(201)에서의 출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회전 위치(220-1)일 때, 물 분배 모듈(100)의 출수구(201)에서 가장 많은 유량이 배출되며,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2 회전 위치(220-2)일 때, 물 분배 모듈(100)의 출수구(201)에서 중간 정도의 유량이 배출되며,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3 회전 위치(220-3)일 때, 물 분배 모듈(100)의 출수구(201)에서 가장 적은 유량이 배출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대한 정해진 회전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분배 모듈(100)은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대한 회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 유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유지부(230)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1 출수구(211)와 제1 개구(2211)가 중첩되는 제1 회전 위치(220-1), 제1 출수구(211)와 제2 개구(2212)가 중첩되는 제2 회전 위치(220-2) 및 제1 출수구(211)와 제3 개구(2213)가 중첩되는 제3 회전 위치(220-3)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위치 유지부(23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분리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조립된 조립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물 분배 모듈(10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위치 유지부(23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위치 유지부(230)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삽입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 홈(231)과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 플레이트(210)를 향해 돌출된 돌기(232)를 포함하며, 제1 출수 플레이트(210)는 돌기(232)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231)은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시 돌기(232)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레버(240)를 통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회전시키는 동안, 돌기(232)는 복수의 홈(231)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회전 위치(220-1)일 때, 돌기(232)는 제1 홈(2311)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232)가 제1 홈(2311)에 삽입되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1 회전 위치(220-1)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제2 회전 위치(220-2)일 때, 돌기(232)는 제2 홈(2312)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232)가 제2 홈(2312)에 삽입되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2 회전 위치(220-2)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제3 회전 위치(220-3)일 때, 돌기(232)는 제3 홈(2313)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232)가 제3 홈(2313)에 삽입되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는 제3 회전 위치(220-3)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유지부(230)를 통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정해진 회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정해진 복수의 출수량 중 하나의 출수량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정해진 회전 위치가 아닌 임의의 회전 위치일 경우, 제2 출수구(221)가 제1 출수구(211)와 중첩되지 않거나, 제2 출수구(221)와 제1 출수구(211)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부(200)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출수구(201)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거나 출수량이 임의적이기 때문에, 추출되는 음료의 품질이 일정치 않을 수 있다.
그에 반해,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위치 유지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정해진 회전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드립퍼(2)를 향해 정해진 출수량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유지부(230)의 예로서, 제2 출수 플레이트(220)에 돌기(232)가 배치되며, 제1 출수 플레이트(210)에 홈(231)이 배치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위치 유지부(230)의 구조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위치 유지부(230A)는 제1 출수 플레이트(210) 또는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조절 레버(240)의 위치를 유지하는 복수의 홈(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회전시켜, 조절 레버(240)가 복수이 홈(233) 중 하나의 홈(233)에 삽입되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정해진 회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광 조사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광 조사부(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제1 출수구(211) 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12)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광 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광 플레이트(310)와,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플레이트(310)에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311)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11)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311) 각각은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311)은 시기를 달리하여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311)은 제1 시기에는 제1색상의 광을 생성하며, 제2 시기에는 제2색상의 광을 생성하며, 제3 시기에는 제3색상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311)은 제1 시기에는 붉은색의 광을 생성하며, 제2 시기에는 노란색의 광을 생성하며, 제3 시기에는 파란색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광원(311)이 생성할 수 있는 색상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색상의 종류 등이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11)은 제1 출수구(211; 도 4 참조)의 배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3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311)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제1 출수구(21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광 가이드(320)는 광 플레이트(310)와 제1 출수 플레이트(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320)는 광원(311)에서 발생한 광이 제1 출수구(211)를 관통하여 조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가이드(320)는 제1 출수구(211)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렌즈(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2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21)는 복수의 광원(311)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321)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광원(31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 조사부(300)에서는, 광원(311)에서 광이 발생하며, 발생한 광은 광 가이드(3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출수구(211)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제1 출수구(211)를 향해 조사된 광은, 출수구(201)에서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의 중첩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에서는, 출수구(201)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 광에 의해, 다양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에서 광 조사부(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에서는,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가 중첩된 출수구(201)를 통해 조사된 광에 의해, 드립퍼(2)가 배치되는 기준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출수구(201)를 통해 광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는 물이 배출되기 전에, 물이 배출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출수구(201)를 통해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드립퍼(2)가 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드립퍼(2)의 배치 전에는,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서버(3)를 기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출수구(201)를 통해 물이 배출될 경우, 출수구(201)를 통해 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조사된 광은 출수된 물에 의해 산란될 수 있다. 산란된 광은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심미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의 제어부(15)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5)는 광 조사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광 조사부(300)에서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음료 추출 장치(1)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광 조사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광원(311)에서 발생하는 광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의 제1 개구(2211)가 중첩되는 제1 회전 위치(220-1)일 때, 제어부(15)는 광원(311)에서 제1색상, 예를 들어, 붉은색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8a와 같이, 출수구(201)를 통해 붉은색 광(L1)과 함께 물(W1)이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W1)이 붉게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의 제2 개구(2212)가 중첩되는 제2 회전 위치(220-2)일 때, 제어부(15)는 광원(311)에서 제2색상, 예를 들어, 노란색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8b와 같이, 출수구(201)를 통해 노란색 광(L2)과 함께 물(W2)이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W2)이 노랗게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의 제3 개구(2213)가 중첩되는 제3 회전 위치(220-3)일 때, 제어부(15)는 광원(311)에서 제3색상, 예를 들어, 파란색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8c와 같이, 출수구(201)를 통해 파란색 광(L3)과 함께 물(W3)이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W3)이 파랗게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에서는, 제2 출수 플레이트(2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출수구(201)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질 때, 광 조사부(300)에 의해 조사된 광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다른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물이 다른 색상으로 보임에 따라, 사용자는 출수구(201)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졌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5)는 물의 온도에 따라, 광원(311)이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의 온도는 센서를 통해 검출되거나 히터의 작동시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물의 온도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달라졌음을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는, 광 조사부(300)가 제1 출수구(211)와 제2 출수구(221)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에서 광 조사부(300)의 적용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분배 모듈(100)은, 복수의 제1 출수구(211)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210)와, 제1 출수구(211)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분배 모듈(100)이 제2 출수 플레이트(220)가 없이 제1 출수 플레이트(210)의 제1 출수구(211)를 통해 물이 배출될 때, 광 조사부(300)는 제1 출수구(211)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는 도 19의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력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파워 스테이션(100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추출 장치(1)은 파워 스테이션(1000)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 추출 장치(1)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파워 스테이션(10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력 공급은 반드시 무선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선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판에 위치하는 대상체, 예를 들어, 음료 추출 장치(1)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가열 장치일 수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인덕션레이지 또는 전기레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자기장을 발생하는 송신 코일(1001)과 송신 코일(1001)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00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는 것은, 자기유도 방식으로 수신 코일(402)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스테이션(1000)은 송신 코일(1001)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음료 추출 장치(1)에 자기장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픽업 코일(401), 수신 코일(402) 및 인쇄회로기판(4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3)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및 제어부(15; 도 2 참조)가 실장될 수 있다.
픽업 코일(401)은 파워 스테이션(1000)으로부터 초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초기 전력은 인쇄회로기판(403)에 전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3)에 전달된 초기 전력은 통신 인터페이스, 제어부(1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통신부(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부, NFC 통신부, BLE 통신부 등), 이동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전력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으로, 예를 들어, 100 W ~ 300 W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의해, 음료 추출 장치(1)과 파워 스테이션(1000) 사이에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과 파워 스테이션(1000)이 페어링될 수 있다.
수신 코일(402)은 파워 스테이션(1000)과 통신이 성립된 후, 파워 스테이션(1000)의 송신 코일(1001)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음료 추출 장치(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을 작동시키기 위해 수신된 전력은 초기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전력은 800 W보다 큰 전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수신된 전력에 의해, 음료 추출 장치(1)의 히터(11)와 펌프(12) 등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료 추출 장치(1)이 음료의 예로 커피를 추출하는 데 사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커피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커피가 아닌 음료, 예를 들어, 차(tea) 등을 커피 추출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출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출수량의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출수량의 조절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에 중첩 가능한 복수의 제2 출수구가 마련된 제2 출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지며,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출수구와 상기 제1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회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회전 위치 중 하나의 회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부는, 복수의 광원이 설치된 광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1 출수부와 상기 제2 출수부를 관통하여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를 관통하여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된 조절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출수구를 통한 출수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과,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을 포함하는 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구는 상기 중심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와,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는, 상기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에 중첩되는 복수의 제2 드립용 출수구와, 상기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에 중첩되는 복수의 제2 린싱용 출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를 관통하여 조사된 광은 배출된 물에 의해 산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물의 온도, 출수 위치 등 음료 추출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조사부는, 복수의 광원이 설치된 광 플레이트와,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를 향해 조사되도록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는 상기 제1 출수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1 출수구를 관통하여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할 수 있다.

Claims (15)

  1.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201)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211)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에 중첩 가능한 복수의 제2 출수구(221)가 마련된 제2 출수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달라지며,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출수량이 달라지는,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2211, 2212, 2213)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의 개수보다 많은, 음료 추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까지의 거리(d2)는,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까지의 거리(d1)와 동일한, 음료 추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출수구와 상기 제1 출수구가 중첩되는 출수 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회전 위치(220-1, 220-2, 220-3)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회전 위치 중 하나의 회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위치 유지부(230, 230A)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300)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300)는,
    복수의 광원(311)이 설치된 광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 출수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렌즈(321)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320)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1 출수부와 상기 제2 출수부를 관통하여 다른 색상의 광(L1, L2, L3)을 조사하는, 음료 추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제2 출수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된 조절 레버(240)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출수구를 통한 출수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21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111)과, 상기 제1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210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112)을 포함하는 배관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구(211)는 상기 중심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12)와,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13)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출수구(221)는,
    상기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에 중첩되는 복수의 제2 드립용 출수구(222)와,
    상기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에 중첩되는 복수의 제2 린싱용 출수구(223)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3.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출수구(201)를 포함하는 물 분배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복수의 제1 출수구(211)가 마련된 제1 출수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 출수구를 관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광 조사부(300)는,
    복수의 광원(311)이 설치된 광 플레이트(310)와,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복수의 제1 출수구를 향해 조사되도록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320)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는 상기 제1 출수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렌즈(321)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1 출수구를 관통하여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하는, 음료 추출 장치.
PCT/KR2023/009324 2022-08-30 2023-07-03 음료 추출 장치 WO20240489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94 2022-08-30
KR20220109494 2022-08-30
KR10-2022-0144731 2022-11-02
KR1020220144731A KR20240030911A (ko) 2022-08-30 2022-11-02 음료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59A1 true WO2024048959A1 (ko) 2024-03-07

Family

ID=9009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324 WO2024048959A1 (ko) 2022-08-30 2023-07-03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489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053A (en) * 1976-03-29 1978-08-2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Variable brew coffee maker
KR20100069615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101324817B1 (ko) *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200475904Y1 (ko)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KR102123683B1 (ko) * 2019-11-04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053A (en) * 1976-03-29 1978-08-2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Variable brew coffee maker
KR20100069615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101324817B1 (ko) *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200475904Y1 (ko)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KR102123683B1 (ko) * 2019-11-04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4048959A1 (ko) 음료 추출 장치
KR0135884B1 (ko) 화학증착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온도 감지 시스템을 갖는 기판 지지 장치
WO2016148512A1 (ko)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필터전환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960032593A (ko) 반도체 회로기판을 단일 진공 챔버내에 회전 정렬시키고 탈가스화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9009552A1 (ko) 출입 통제 장치
WO2018199498A2 (en) Hot water gener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2165757A1 (ko) 종이컵 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WO2020050548A1 (ko)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WO2012074340A2 (ko) 계량기의 유량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7116040A1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19022410A1 (ko)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9240381A1 (ko) 로봇청소기의 충전 스테이션
WO2024048957A1 (ko) 음료 추출 장치
WO2019059429A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WO2014148742A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240030911A (ko) 음료 추출 장치
WO2020105972A1 (ko) 반도체 칩 마운트 테이프 릴을 위한 칩 카운터
WO2024117822A1 (ko) 음료 추출 장치
EP3956609A1 (en) Heating cooker
WO2022215926A1 (ko) 영상 출력 가능한 텀블러
KR102364607B1 (ko) 웨이퍼 형상의 물품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655627A (zh) 一种带孵育功能的清洗装置
WO2021006503A1 (ko) 커피 로스팅 색도 측정 시스템과 그 측정 방법
US4987842A (en) Detector for use on sewing machine
WO2024075985A1 (ko) 스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