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808B1 - 더치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808B1
KR102072808B1 KR1020190069717A KR20190069717A KR102072808B1 KR 102072808 B1 KR102072808 B1 KR 102072808B1 KR 1020190069717 A KR1020190069717 A KR 1020190069717A KR 20190069717 A KR20190069717 A KR 20190069717A KR 102072808 B1 KR102072808 B1 KR 10207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ilter
assembly
extraction device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근
이건집
Original Assignee
김왕근
이건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근, 이건집 filed Critical 김왕근
Priority to KR102019006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하부에 부싱이 구비되고, 상부에 필터 회전축을 구비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물에 잠긴 상태로 수용하는 보틀을 포함하는 보틀 어셈블리, 상기 보틀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보틀 어셈블리를 개폐하는 뚜껑 어셈블리 및 상기 뚜껑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회전축이 결합되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 장치{DUCH COFFEE MAKING APPARATUS}
이하의 설명은 찬물에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원두를 추출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는 크기로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커피 가루를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커피 추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드립(drip) 추출 방법은 필터 통에 커피 가루를 넣고, 커피 가루에 물을 흘리면서 커피를 추출한다. 이러한 드립 추출 방법에는 사용자가 직접 물을 흘리는 핸드 드립 방식과, 커피메이커라 불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물을 흘리는 방식이 있다.
압력 추출 방법으로는 커피 가루를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드립 추출과 압력 추출 방법은 소정 이상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게 되는데, 상온 또는 찬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도 있다. 이와 같이 찬물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커피를 더치커피(dutch coffee) 또는 콜드 브루 커피(cold brew coffee)라 한다. 더치커피는 커피 가루에 소장의 물을 한방울씩 흘리는 점적식(點滴式)과 커피 가루를 물에 넣어 일정 시간 숙성시킨 뒤 걸러내는 침출식(浸出式)으로 구분한다.
한편, 더치커피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향이 좋고, 쓴맛이 덜하며, 카페인 함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들 때문에 최근 더치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호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더치커피는 커피 추출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고, 추출 장치의 불편함 등의 이유로 크게 발전되어 있지 않다. 즉, 점적식과 침출식 모두 10~12 시간 이상 장시간에 걸쳐 커피가 추출된다. 또한,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상온에서 장시간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필터를 커피 가루가 막아서 추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도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단시간에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하부에 부싱이 구비되고, 상부에 필터 회전축을 구비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물에 잠긴 상태로 수용하는 보틀을 포함하는 보틀 어셈블리, 상기 보틀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보틀 어셈블리를 개폐하는 뚜껑 어셈블리 및 상기 뚜껑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회전축이 결합되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 중 하나에 상기 필터 회전축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보틀 어셈블리 내부에서 비스듬하게 위치하게 되고, 상기 구동 가이드가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가이드는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결합홈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가이드는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원뿔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홈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 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필터 커버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 회전축은 상기 필터 커버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는 둘레를 따라서 패킹이 구비 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보틀 어셈블리는, 상기 보틀 상단부에 구비되는 보틀 커버 및 상기 보틀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보틀 외측에 구비되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틀 커버는 상기 보틀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상단부가 장착 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보틀 어셈블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부싱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축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보틀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취출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보틀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취출 샤프트 및 상기 취출 샤프트를 지지하고, 제2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취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취출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취출 개구가 상기 제2 취출 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보틀 내부에 추출된 커피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보틀 어셈블리에서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안착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회전을 조작하는 컨트롤부가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용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착부가 구비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단시간에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커피 가루가 필터 표면에 밀착되어 필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커피 가루를 걸러주므로, 추출된 더치커피가 텁텁하고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틀 어셈블리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필터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구동 가이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보틀 어셈블리(13)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더치커피 추출 장치(10)는, 본체(11), 프레임(12), 보틀 어셈블리(13), 필터 어셈블리(14), 뚜껑 어셈블리(15), 구동 가이드(17) 및 구동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에서 보틀 어셈블리(13) 등의 구성을 지지하는 외관을 형성하고, 추출된 더치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미도시의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12)는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안착부(112)에는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2)에는 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 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1)에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의 작동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부(111)는 후술하는 구동부(16)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체(11)의 가열 또는 냉각을 조작할 수도 있다.
다만, 컨트롤부(111)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더치커피 추출 장치(10)의 작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은 복수의 지지 프레임(21) 및 보틀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1)은 추출된 더치커피를 받기 위해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21)은 복수개의 기둥이 본체(1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지지 프레임(21)의 수와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 프레임(21)은 기둥 형상뿐만 아니라, 소정의 벽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틀 지지부(22)는 지지 프레임(21)의 상부 또는 지지 프레임(21)의 중도부에 구비되며, 보틀 어셈블리(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틀 어셈블리(13)는 보틀(31), 핸들(32), 취출부(33) 및 보틀 커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틀(31)은 내부에 필터 어셈블리(14)와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이다. 또한, 보틀(31)은 필터 어셈블리(14)가 보틀(31) 내부에서 물에 잠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보틀(31)은 투명한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 재질의 보틀(31)은 더치커피의 추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추출된 더치커피의 맛을 변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보틀(31)의 재질은 유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 또는 유리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틀(31)의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틀(31)의 하부에는 보틀 지지부(22)에 안착되는 부분에 실링 부재(311)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부재(311)는 보틀(31)과 보틀 지지부(22) 사이를 밀폐시켜서 보틀(31) 내부에 추출되어 있는 더치커피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32)은 사용자가 보틀(31)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보틀(31)의 외측의 일부, 예를 들어, 측면 일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틀(31)과 핸들(32)을 별도의 개체로 형성하여 조립된다. 핸들(32)은 보틀(31)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32)의 하단 지지부(322)는 보틀(3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서 보틀(31) 하부에 장착되고, 상단 지지부(321)는 보틀(3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장착된다. 그리고 핸들(32)의 하단 지지부(322) 내부에는 취출부(3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핸들(32)의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틀(31)과 핸들(3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핸들(32)에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만을 남기고, 핸들(32)의 상단 지지부(321)와 하단 지지부(322)를 생략할 수 있다. 또는, 핸들(32) 전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취출부(33)는 보틀(31) 하부를 통해 보틀(31)에 추출되어 있는 더치커피를 보틀(3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취출부(33)는 보틀(31)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취출 개구(332a)가 형성된 취출 샤프트(332)와, 취출 샤프트(332)를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노브(331), 및 취출 샤프트(332)를 지지하는 취출 브라켓(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331)를 조작함에 따라 취출 샤프트(332)가 회전하면서 보틀(31) 내부의 더치커피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노브(331)를 회전시켜서 취출 샤프트(332)의 제1 취출 개구(332a)가 취출 브라켓(333)의 제2 취출 개구(333a)와 연통되면 위치하면(이하에서는, 이 위치를 "취출 위치"라 한다), 취출 개구(332a, 333a)를 통해서 보틀(31) 내부의 더치커피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331)를 상기 취출 위치보다 더 회전시키면 취출 샤프트(332)의 제1 취출 개구(332a)가 취출 브라켓(333)의 제2 취출 개구(333a)와 위치가 어긋나면서 막히므로(이하에서는, 이 위치를 "정지 위치"라 한다), 더치커피의 배출이 중지된다.
다만, 취출부(33)의 위치 및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취출부(33)의 위치는 보틀(31)의 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취출부(33)의 형태는 회전 조작뿐만 아니라 버튼 조작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취출부(33)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직접 보틀 어셈블리(13)를 기울여서 더치커피를 따르는 것도 가능하다.
보틀(31)의 내측 하부에서 취출부(33)보다 상부에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회전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축(341) 및 브라켓(342)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부(34)가 구비된다. 회전 지지부(34)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하부에서 필터 어셈블리(14)를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틀 커버(35)는 보틀(31) 상단부에 구비되고, 필터 어셈블리(14)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보틀 커버(35)는 보틀(31)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플랜지 형태를 가지므로, 더치커피의 추출 시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틀 커버(35)는, 필터 어셈블리(14)가 임시로 장착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4)의 상단부가 보틀 커버(35)에 걸려서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뚜껑 어셈블리(15)를 닫으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4)가 보틀(3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필터 어셈블리(14)가 임시로 장착될 수 있도록 보틀 커버(35)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텐션을 갖는 탄성 지지부(351)가 구비된다. 즉, 탄성 지지부(351)가 구비되므로, 필터 어셈블리(14)가 임시로 장착되고, 뚜껑 어셈블리()를 닫으면 보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보틀 커버(35)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보틀(31)이 보틀 커버(35)에 임시 장착된 상태에서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하단부에 형성된 부싱(412)에 회전 지지부(34)의 하부 지지축(341)의 상단 일부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축(341)의 일부가 부싱(412)에 삽입된 상태로 보틀(31)이 보틀 커버(35)에 임시 장착되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 어셈블리(15)를 닫을 때, 필터 어셈블리(14)가 회전 지지부(34)의 하부 지지축(341)과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찬물에 커피 가루를 일정 시간 침지시켜서 커피를 추출하는 침출식 장치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보틀 커버(35)를 이용하여 핸드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필터 어셈블리(14)를 보틀 커버(35)에 임시 장착 시킨 상태(즉, 도 3의 상태)에서, 필터 어셈블리(14)에 커피 가루를 담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핸드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4)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필터 어셈블리(14)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14)는 내부에 커피 가루를 담는 필터 프레임(41)와, 필터 프레임(4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 커버(42)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41)는 내부에 커피 가루가 담기고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41)에는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지고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인 필터(411)가 구비된다. 여기서, 필터(411)는 필터 프레임(41)와 별도로 형성되어서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11)는 스테인리스 또는 종이 재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필터 프레임(41)에 삽입 가능한 깔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필터(411)는 필터 프레임(41)와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필터(41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411)는 필터 프레임(41)의 둘레면 전체 또는 상단부의 일부를 제외한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41)의 하부에는 회전 지지부(34)의 하부 지지축(34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인 부싱(412)이 구비된다. 부싱(412)은 필터 어셈블리(14)가 회전할 때 회전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필터 커버(42)는 필터 프레임(41)의 상단부의 개구된 부분을 덮도록 결합되는 소정의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필터 프레임(41)의 형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커버(42)의 프레임(421)은 필터 프레임(41)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원판 형상을 갖는다.
필터 커버(42)의 중앙 부분에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회전을 위한 필터 회전축(422)이 구비된다. 필터 회전축(4220은 필터 어셈블리(14)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며, 상측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축이다.
필터 커버(42)와 필터 프레임(41)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필터 패킹(43)이 구비된다. 필터 패킹(43)은 필터 프레임(41)에 담긴 커피 가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필터 커버(42)와 필터 프레임(41)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가이드(17)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구동 가이드(17)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4)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뚜껑 어셈블리(15)는 보틀(31)을 개폐한다. 뚜껑 어셈블리(15)는 일 측이 보틀 어셈블리(13)에 고정되어 있어서, 고정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뚜껑 어셈블리(15)는 보틀 커버(35)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어셈블리(15)와 보틀 커버(35)에는 서로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고정 해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뚜껑 어셈블리(15)가 보틀 커버(3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틀 어셈블리(13) 내부의 필터 어셈블리(14)가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서 필터 어셈블리(14)가 상측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6)는 뚜껑 어셈블리(15) 내부에 구비되며, 예를 들어, 소정의 모터이다.
뚜껑 어셈블리(15)에서 필터 어셈블리(14)를 향한 면에는 구동부(16)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필터 어셈블리(14)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동 가이드(17)가 구비된다. 또한, 구동 가이드(17)는 뚜껑 어셈블리(15)보다 하부에 위치하여서, 뚜껑 어셈블리(15)가 닫히면, 필터 어셈블리(14)를 필터 커버(42)보다 더 하부로 밀어서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동 가이드(17)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171)를 포함하고, 본체(171)에서 필터 어셈블리(14)를 향하는 일 면에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필터 회전축(422)이 결합되는 결합홈(173)이 형성된다.
여기서, 구동 가이드(17)는 복수의 격벽(172)이 구동 가이드(17)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결합홈(173)이 형성된다. 즉, 결합홈(173)은 구동 가이드(17)의 둘레 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홈(173)을 형성함으로써 필터 회전축(422)이 필터 어셈블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에서라도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173)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가이드(17)의 중앙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을 갖는 원추형의 경사면(174)이 형성된다.
구동 가이드(17)는 중앙에 경사면(174)이 형성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필터 어셈블리(14)와 구동 가이드(17)가 결합할 때, 필터 회전축(422)이 경사면(174)의 경사를 따라 결합홈(173)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필터 회전축(422)이 구동 가이드(17)의 결합홈(173)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동 가이드(17)는 복수의 격벽(172)으로 결합홈(173)을 구획하되, 결합홈(173)이 필터 회전축(422)이 움직이지 않도록 끼워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필터 회전축(422)이 결합홈(173)에 끼워진 상태를 고정시켜서 구동 가이드(17)의 회전과 같이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 가이드(17)는 결합홈(173)이 중앙 부분이 아니라 테두리 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터 회전축(422)이 결합되면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4)가 비스듬하게 위치하게 된다. 구동 가이드(17)에 의해서 필터 어셈블리(14)를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상태로 회전(즉, 편심 회전)시키므로, 커피 가루가 필터(411)를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 어셈블리(14)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서 커피 가루가 필터(411) 표면에 밀착하면서 필터(411)를 막게 되고, 커피 추출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어셈블리(14)를 편심 회전시키므로, 필터 어셈블리(14)가 회전할 때 내부의 커피 가루가 필터(411)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4) 내부에 모이게 된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14)를 편심 회전시키므로, 커피 가루가 필터 어셈블리(14)가 내부에서 교반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커피 가루가 필터(411)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필터(411)를 통해 물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어서 더치커피를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커피 가루가 필터(411)에 밀착 및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미세한 홀(또는 메쉬)을 갖는 필터(411)를 사용할 수 있어서, 커피 가루를 보다 미세하게 필터링할 수 있어서, 추출된 더치커피의 텁텁한 맛을 없애고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가이드(17)는 결합홈(173)이 본체(171)의 둘레 방향을 따라 36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 가이드(17)와 필터 회전축(422)은 어느 방향에서도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가이드(17)는 격벽(172)을 따라서도 필터 회전축(422)이 용이하게 결합홈(173)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격벽(172)의 표면이 결합홈(173)을 향해 점차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175는 구동부(16)의 모터축과 결합되는 축 결합 보스(175)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 가이드(17)가 필터 어셈블리(14)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단시간에 더치커피를 추출함과 더불어, 필터(411)에 커피 가루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맛을 향상시킨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더치커피 추출 장치
11: 본체
111: 컨트롤부
112: 안착부
12: 프레임
21: 지지 프레임
22: 보틀 지지부
13: 보틀 어셈블리
31: 보틀
311: 실링 부재
32: 핸들
321: 핸들의 상단 지지부
322: 핸들의 하단 지지부
33: 취출부
331: 노브
332: 취출 샤프트
332a: 취출 샤프트의 취출 개구
333: 취출 브라켓
333a: 취출 브라켓의 취출 개구
34: 회전 지지부
341: 하부 지지축
35: 보틀 커버
351: 탄성 지지부
342: 브라켓
14: 필터 어셈블리
41: 필터 프레임
411: 필터
412: 부싱
42: 필터 커버
421: 필터 커버의 프레임
422: 필터 회전축
43: 필터 패킹
15: 뚜껑 어셈블리
16: 구동부
17: 구동 가이드
171: 구동 가이드 본체
172: 격벽
173: 결합홈
174: 경사면
175: 축 결합 보스

Claims (14)

  1. 커피 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하부에 부싱이 구비되고, 상부에 필터 회전축을 구비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물에 잠긴 상태로 수용하는 보틀을 포함하는 보틀 어셈블리;
    상기 보틀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보틀 어셈블리를 개폐하는 뚜껑 어셈블리; 및
    상기 뚜껑 어셈블리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향하는 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홈 중 하나에 상기 필터 회전축이 결합되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보틀 어셈블리 내부에서 비스듬하게 위치함과 더불어,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구동 가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편심 회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결합홈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원뿔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홈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필터 커버가 더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전축은 상기 필터 커버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둘레를 따라서 패킹이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어셈블리는,
    상기 보틀 상단부에 구비되는 보틀 커버; 및
    상기 보틀을 파지할 수 있도록 보틀 외측에 구비되는 핸들;
    을 더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커버는 상기 보틀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상단부가 장착 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형성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어셈블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부싱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축을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취출부가 더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보틀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취출 샤프트; 및
    상기 취출 샤프트를 지지하고, 제2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취출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취출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취출 개구가 상기 제2 취출 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보틀 내부에 추출된 커피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보틀 어셈블리에서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안착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회전을 조작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용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0190069717A 2019-06-13 2019-06-13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07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717A KR102072808B1 (ko) 2019-06-13 2019-06-13 더치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717A KR102072808B1 (ko) 2019-06-13 2019-06-13 더치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808B1 true KR102072808B1 (ko) 2020-02-03

Family

ID=6962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717A KR102072808B1 (ko) 2019-06-13 2019-06-13 더치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17B1 (ko) *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17B1 (ko) *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2208B1 (en) Coffee maker
US5261432A (en) Dishwashing machine with multidose dispenser of powder detergent
JP5442006B2 (ja) 閉じることができる注液口を有するプランジャーフィルター飲料メーカー
CA2667423C (en) Insert for filter holders of coffee machines, particularly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EP2640234B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US7013795B2 (en) Grind and brew coffee apparatus
US6101924A (en) Coffee maker
AU2001289907A1 (en) Coffee maker
MX2009001061A (es) Mejoras en capsulas que contienen una sustancia en forma de polvo de la cual debe extraerse una bebida, preferentemente cafe expreso.
US20050017107A1 (en) Coffee grinder with coffee bean container
US5906844A (en) Coffee maker
JP2021016789A (ja) コーヒー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
KR102072808B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US20200015619A1 (en) French Press
EP0486790A1 (en) Dish-washing machine with multidose dispenser of powder detergent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US4211157A (en) Coffee maker
KR101448275B1 (ko)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EP2767198B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CN113453593B (zh) 配备有可提升的滤篮的冲泡饮料制备机
CN216962164U (zh) 气压调节装置及咖啡机
JPH0217533Y2 (ko)
JPH06292633A (ja) コーヒーメーカ
KR900007761Y1 (ko) 커피 제조기
KR200343513Y1 (ko)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