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275B1 -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75B1
KR101448275B1 KR1020130093598A KR20130093598A KR101448275B1 KR 101448275 B1 KR101448275 B1 KR 101448275B1 KR 1020130093598 A KR1020130093598 A KR 1020130093598A KR 20130093598 A KR20130093598 A KR 20130093598A KR 101448275 B1 KR101448275 B1 KR 101448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receptacle
separating
beverag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809A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벡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to PCT/KR2013/0113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92406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71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a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를 끼운 리셉터클을 음료 추출부에 장착시킨 후 음료 추출을 행하는 음료 메이커에 있어서,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시켜 카트리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다량의 음료 추출을 쉽게 행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에 남은 잔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승하강되어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이탈, 분리시키는 이탈체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BEVERAGE MAKER EQUIPPED WITH SEPARATOR CARTRIDGE}
본 발명은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를 끼운 리셉터클을 음료 추출부에 장착시킨 후 음료 추출을 행하는 음료 메이커에 있어서,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시켜 카트리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다량의 음료 추출을 쉽게 행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에 남은 잔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승하강되어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이탈, 분리시키는 이탈체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안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 음료 메이커, 보다 한정하여 커피 메이커, 보다 더 한정하여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온ㅇ고압 추출형 커피 메이커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가 제조사 마다 모두 다르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receptacle)의 형상도 모두 달라 소비자가 다양한 커피를 마시려고 하는 경우 커피 메이커를 그에 맞게 다시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과도한 구매 비용이 소요되며, 마음대로 원하는 커피제품을 맛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동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다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을 행해야 할 경우, 음료 추출 시 열수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리셉터클과 카트리지의 취급이 쉽지 않으며, 추출 후 남은 열수(잔수)로 인해 카트리지 교체 작업이 어려워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잔수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의 교체를 쉽게 행할 수 있어, 다량의 음료 추출 시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화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가압체를 가압하여 이탈체가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리셉터클위 끼움부에서 이탈, 분리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소운동을 하는 제1작동부와 상기 제1작동부에 의하여 분리홀을 승하강하면서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끼움부에서 이탈시키는 제1분리부를 도입한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리셉터클 손잡이의 사면부를 타고 회전하는 제2작동부를 통해 카트리지가 지지되는 제2분리부가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카트리지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시키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분리부와 리셉터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카트리지 분리 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3작동부가 리셉터클에 회동축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제3작동부를 가압하며 제3분리부가 승강하여 카트리지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시키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을 음료 추출부에 손쉽게 장착시켜 카트리지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 장착부를 갖는 홀더와 핸들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부재는 홀더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상기 리셉터클의 가압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추출대상체가 내장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음료 추출부에 결합되어 음료의 추출이 행해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에 수용된 카트리지의 플렌지 하면을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끼움부에서 카트리지를 이탈시키는 이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상기 분리수단에서 상기 이탈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가 지지되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벽에 형성된 분리홀에 상하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제1분리부와, 상기 제1분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축설부에 승강축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연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체는 상기 제1연동부와 연결되어 가압 시 상기 제1분리부가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음료 메이커의 상기 분리수단에서 상기 이탈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가 지지되고,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몸체의 상부 측벽에 구속되어 승하강되는 제2분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체는 상기 제2분리부와 연결되어 손잡이와 접하면서 제2분리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작동부와, 상기 손잡이 상면에 상기 제2작동부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사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회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3분리부를 리셉터클의 끼움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리셉터클을 음료 추출부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리셉터클 장착부를 갖는 홀더와, 핸들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에는 수직절개홈과 수평절개홈으로 구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리셉터클의 가압체가 상기 수직절개홈에 삽입 후 수평절개홈으로 회전하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이종의 카트리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카트리지 교체가 매우 쉬워 다량의 음료 추출 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리셉터클에 가압체와 이탈체로 대별되는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의 분리를 손쉽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여러가지 실시예로 구현되는 상기 가압체와 상기 이탈체로 구성된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카트리지를 리셉터클로부터 매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잔수에 의하여 카트리지 교체 작업 중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상기 가압체와 이탈체로 구현되는 분리수단을 통해 카트리지와 리셉터클의 측벽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카트리지를 손쉽게 파지하여 리셉터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리셉터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화상 위험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리셉터클 장착부와 핸들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도입하고, 리셉터클의 가압체를 이용하여 장착부재에 리셉터클을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리셉터클 교체뿐만 아니라, 분리수단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교체 또한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외관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리셉터클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에서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에서 거품발생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장착부재 설명을 위한 사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추출대상체(P)가 내장되는 카트리지(C);
상기 카트리지(C)가 수용되는 끼움부(31A)를 갖는 본체(31)와, 이 끼움부(31A)에서 상기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과, 손잡이(39)를 구비한 몸체(30')로 구성되고, 음료 추출부(11)에 결합되어 음료의 추출이 행해지는 리셉터클(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트리지(C)는 개구부(Ca)와 플렌지(Cb)를 구비한 바디, 추출대상체(P)가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플렌지(Cb)에 결합되어 개구부(Ca)를 덮는 커버시트(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인 53B와 57은 카트리지에 바디에 내장되어 커피 추출 시 크레마 향상을 위한 거품발생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상기 카트리지(C)에서 상기 개구부(Ca) 즉, 바디의 크기는 제조사별로 다르므로 본 발명은 제조사별로 다양한 카트리지(C)를 수용할 수 있는 리셉터클(30)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30)들을 음료 추출부(11)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카트리지(C)의 종류에 따라 리셉터클(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료추출부(11)와 음료 추출용 노즐(미도시) 등이 구비된 전단부를 제외한 상부에 이종의 리셉터클(30)들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관부(11A)와 상기 음료추출부(11)를 개폐할 수 있는 제1커버덮개(15A)를 구비하여 리셉터클(30)의 보관 및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보관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덮개(15A)와 이 제1커버덮개(15A)에서 상기 음료추출부(11)만을 개폐할 수 있는 제2커버덮개(11B)를 구비함으로써, 리셉터클(30)의 교체 없이 카트리지(C)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 리셉터클(30)의 탈착을 용이하도록 하고, 음료 메이커의 구성부를 손쉽게 청소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를 이루는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용부(10A)가 마치 동물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커피 등의 잔액이 떨어져 수용되는 잔액트레이(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가능한 그릴(19a)이 잔액트레이(19)의 저장 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부에는 상기 음료추출부(11)와 리셉터클(30) 보관부(11A)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덮개(15A)와 상기 제2커버덮개(11B)에 의하여 덮여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음료수용부(10A) 상부 위치에 해당하는 음료 추출부(11)의 하면에는 추출 음료 배출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수 공급을 위하여, 또 휴대성을 위하여 물탱크가 후면에 장착된다.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이를 대표하여 '추출용매'라 할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잔액트레이(19)가 구비된 베이스와 음료 추출부(1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ㅇ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시된 형태는 음료 메이커 중 커피 추출형 커피 메이커이나,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용기형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C)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C)에 포장 제공될 수 있는 추출대상체(P)는 커피뿐 아니라 홍차, 녹차 등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음료 제공을 위한 카트리지(C)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까지 보호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음료수용부'는 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 개구된 형태를 갖는데, 이는 단지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을 대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순히(또는 악위적으로) 통상의 컵 외에 병이나 다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의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음료수용부'는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도시된 구조 외에 비노출형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로부터 호스나 튜브를 통하여 다른 장소로 추출된 음료를 이송하여 컵, 병, 보온용기 등 다양한 용기에 담는 방식을 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리셉터클(30)은 카트리지(C) 끼움부(31A)를 형성하는 본체(31)와, 이 본체(31)를 둘러싼 상부측벽(30'a)을 갖는 몸체(3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30')에는 상기 음료추출부(11)에 장착을 위한 암 또는 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추출부(11)에는 상기 암 또는 수 결합부에 대응하는 대응결합부가 형성된다.
본질적으로 상기 끼움부(31A)의 형상 및 크기는 카트리지(C)에 따라 변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카트리지(C)에 대해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는 음료 메이커 구현을 위하여 복수의 리셉터클(30)을 도입하고 있으며, 본체(31)의 끼움부(31A)는 이종 또는 동종의 것이다.
이어서 상기 리셉터클(3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31A)에 수용된 카트리지(C)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분리수단은 리셉터클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에 수용된 카트리지의 플렌지 하면을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카트리지를 상기 리셉터클에서 이탈시키는 이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체와 상기 이탈체로 구성되는 분리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분리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수단은 제1실시예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3a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천공디스크(55)를 포함하는 본체(31)에 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상기 본체(31)가 리셉터클(30) 몸체(30')에 내장되었기 때문이며, 도 3a의 좌측 상부 일점 쇄선 원내 평면도에서 그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도면부호 미표기)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체와 상기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1분리부재로 구현되는데,
상기 제1분리부재(33)는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지지되는 리셉터클(30) 몸체(30')의 상부측벽(30'a)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분리홀(34)에 인출입되는 제1분리부(33D)와,
상기 제1분리부(33D)와 연결되고 승강축(33C)을 구비한 제1연동부(33B)와, 상기 제1연동부(33B)와 연결된 제1작동부(3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동부(33B)와 상기 제1작동부(33A)의 연결부에는 승강축(33C)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축(33C)은 상기 몸체(30')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30')의 상부측벽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축설부(35)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부(33A)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시소운동이 되면서 상기 제1연동부(33B)가 승강되면서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 상측으로 승강하여 인출되고,
따라서 결국에는 상기 몸체(30')의 상부측벽(30'a)에 지지되는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리게 됨으로써,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부재(33)가 상기 승강축(33C)을 통해 상기 몸체(30')의 축설부에만 힌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연동부(33B)는 자중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결국에는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종국적으로 상기 분리홀(34)에서 상기 제1분리부(33D)가 이탈할 경우,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작동부(33A)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로 정확하게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몸체(30') 둘레에 상기 제1연동부(33B)를 지지하는 받침부(30'b)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분리부(33D)의 상측 일부가 상기 분리홀(34)에 이탈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제2실시예로써, 상기 가압체와 상기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2분리부재로 구현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리부재는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지지되고, 상기 본체(31)를 둘러싸는 몸체(30')의 상부측벽(30'a) 일부에 구속되어 승하강되는 제2분리부(37A)와,
상기 제2분리부(37A)와 연결되어 몸체에 구비된 손잡이(39)와 접하면서 제2분리부(37A)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작동부(37B)와,
상기 손잡이(39) 상면에 상기 제2작동부(37B)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사면부(39A)로 구성된다.
상기 제2분리부(37A)와 상기 제2작동부(37B)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31A) 둘레의 상부측벽(30'a)에 회전하면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부(37B)는 상기 손잡이(39)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된 형태의 사면부(39A)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제2분리부(37A)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손잡이(39)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사면부(39A)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작동부(37B)가 일측 저부(39Aa)에서 타측 고부(39Ab)로 상기 사면부(39A)를 타고 회전하게 되면,
사면부(39A)의 높이 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2분리부(37A)는 상부측벽(30'a)을 타고 회전하면서 승강되어 떼어낸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면부(39A)의 저부(39Aa)는 상기 제2분리부재(37)의 락킹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사면부(39A)의 고부(39Ab)는 제2분리부재(37)의 개방위치를 의미한다.
즉, 카트리지(C) 수용 시 상기 제2작동부(37B)를 일측 저부(39Aa)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의 끼움부(31A)에 끼운 후 리셉터클(30)을 음료 추출부(11)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고,
카트리지(C) 교체가 필요할 경우 리셉터클(30)을 음료 추출부(11)에서 빼낸 후 상기 제2작동부(37B)를 회전시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킨 후 사용자는 카트리지(C)의 플렌지(Cb)를 파지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카트리지(C)의 완전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으며, 이후 다른 카트리지(C)를 끼운 후 음료 추출을 수행하여 다량의 음료가 필요할 때 카트리지(C)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의 제3실시예로써, 상기 가압체와 상기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3분리부재로 구현되는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분리부재는 상기 카트리지(C)가 지지되고, 상기 본체(31)를 둘러싸는 몸체(30')의 상부측벽(30'a)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리셉터클(30)에 힌지 결합된 제3분리부(38)와,
상기 제3분리부(38A)와 연결되어 하측으로 가압 시 상기 제3분리부(38A)가 회동축(38C)을 축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3작동부(38B)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측벽이 몸체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체(31)의 결합관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순서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상부측벽(30'a)과 상기 몸체(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분리부(38A)는 끼움부(31A) 둘레의 몸체(30') 상부측벽(30'a)으로써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상면에 지지되고, 이후 제3분리부(38A)의 승강에 의하여 카트리지(C)의 분리가 완료되는 것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나,
상기 제3분리부(38A)는 상기 제2분리부(37A)와 달리, 상기 끼움부(31A) 둘레의 상부측벽(30'a) 중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회동축(38C)을 통해 상기 제3작동부(38B)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3분리부(38A)가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3작동부(38B)와 제3분리부(38A)로 구성되는 제3분리부재(38)는 시소운동에 의하여 회동축(38C)에 구속된 상태로 제3분리부(38A)가 승강되며 따라서 제3분리부(38A)의 말단부는 호선 형태의 궤적을 이룬다.
이에 반해 상기 카트리지(C)는 상기 끼움부(31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승하강될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제3분리부(38A)는 상기 상부측벽(30'a)의 일부만을 대체하도록 형성되어 제3작동부(38B)의 작동 시 카트리지(C) 플렌지(Cb) 저면 일부에 접촉하는 제3분리부(38A)의 말단부에 힘이 집중되면서 상승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카트리지(C)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 카트리지(C) 분리 시 상기 플렌지(Cb)와 상기 상부측벽(30'a)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격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를 보다 쉽게 파지하여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3분리부재는 도 5에 도시된 제3분리부재와 그 작동 원리가 동일하며, 그 구체적 구성만이 약간 다를 뿐이고,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분리수단은 시소운동을 통한 카트리지 분리라는 점에서 그 본질이 같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분리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38C)에 구비되어 상기 제3분리부(38A)를 리셉터클(30)의 끼움부(31A)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38D)가 구비된다.
도 8에서는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분리수단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의 형태에도 상기 탄성부재(38D)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38D)를 통해 상기 끼움부(31A) 방향으로 제3분리부(38A)가 탄성,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제3작동부(38B)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제3분리부(38A)는 원상 복귀하여 상기 상부측벽(30'a)을 구성하게 되므로 다른 카트리지(C)를 끼움부(31A)에 끼울 때 사용자는 고온으로 상승된 제3분리부(38A)를 가압하여 제자리 위치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화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를 몸체에 탈착시키기 쉬우면서 체결 후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후술하는 거품증가수단을 통한 크레마 향상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의 본체(31)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돌기(301)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301)가 상기 몸체(30') 상부측벽(30'a)에 형성된 결합홈(302)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30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결합홈(302)은 리셉터클(30)의 최초 장착 시 결합돌기(301)가 쉽게 결합홈(30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측벽(30'a)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수직절개부(302A)를 갖고,
수직절개부(302A)에 삽입 완료 시 상기 결합돌기(301)가 상기 수직절개부(302A)와 수평된 방향 일측, 또는 타측 회전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갖도록 하는 수평절개부(302B)를 갖는다.
상기 수직, 수평절개부(302A)(302B)를 통해 리셉터클(30)의 본체(31)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몸체(30')와 본체(31)를 분리하여 청소하기 쉽고, 리셉터클(30) 저면부에 형성되는 거품발생수단 등 다양한 구성부 또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이 도 3, 도 5 내지 도 7의 리셉터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추출부(11)에 상기 리셉터클(30)이 직접 장착되어 음료 추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 3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을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재(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리셉터클(30)이 음료 추출부에 직접 장착된 후 음료 추출이 행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장착부재(320)를 도입하여 리셉터클(3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면서 카트리지의 교체 시 장착부재(320)를 통해 리셉터클을 손쉽게 취급한 상태에서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3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330)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30)이 장착되는 장착부(321A)를 갖는 홀더(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착부재를 통한 리셉터클의 음료 추출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홀더의 저면에는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321)는 상측 외주면에 돌출된 장착돌기(322)를 통해 상기 음료추출부에 장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음료추출부(11) 하측에 구비되는 열수 공급 노즐을 상기 홀더(321)의 장착부(321A)가 덮으면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착부재(320)가 음료추출부 하부에 장착될 경우 상기 음료 추출부는 열수가 유통되는 유통수단만이 구비되어 열수 공급 노즐을 통해 장착부재(320)에 결합된 리셉터클(30)에 직접 열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음료추출부는 열수 공급 노즐 주변에 상기 장착부재(320)의 장착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장착부재(320)를 상기 배출 노즐을 덮도록 한 후 핸들(330)을 회전시켜 장착돌기(322)가 장착홈에 삽입되면서 리셉터클(30) 상부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다.
핸들(330)을 갖는 장착부재(320)를 통해 리셉터클(30)의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제2커버덮개(15B)를 일일이 개폐하여 카트리지 교체를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종의 리셉터클(30)을 구비하여 다양한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상기 장착부재(320)에 상기 리셉터클(30) 결합수단을 차용한 장착수단을 도입하여, 하나의 장착부재(320)만으로 다수의 리셉터클(3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321)는 상기 장착부(321A)를 형성하는 측벽이 절개된 형태의 고정홈(3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323)에 상기 리셉터클(30)의 제1작동부(33A)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고정홈(323)은 홀더(321)의 측벽 상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수직절개홈(323A)과, 이 수직절개홈(323A)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수평절개홈(32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절개홈(323B)은 상하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작동부가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하여 승하강 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30)은 제1작동부(33A)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상기 결합돌기와 같은 형상의 고정돌기(30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더(321)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셉터클(30)의 고정돌기를 상기 걸림홈에 끼운 후 상기 제1작동부를 상기 수직절개홈(323A)으로 삽입하여 끼운 다음,
제1작동부를 회전시켜 수평절개홈(323B)에 손잡이(39)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리셉터클(30)을 상기 홀더(321)의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지 수평절개홈(323B)에는 상기 제1작동부(33A)가 결합 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9)에는 이에 대응하는 대응돌기 또는 대응홈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돌기와 홈의 형태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셉터클을 상기 홀더에 체결한 후 리셉터클(30) 끼움부(31A)에 카트리지를 끼우고 장착부재(320)를 상기 음료추출부에 장착한 후 음료 추출을 행한다.
음료 추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장착부재(320)를 음료추출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리셉터클(30)에 구비된 분리수단(도 3a 내지 도 7에 도시된)을 통해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음료추출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이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셉터클(30)의 고정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를 돌려 홀더로부터 리셉터클을 분리시키고 다른 리셉터클(30)을 다시 고정한 후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다른 음료의 추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형태의 리셉터클 뿐만 아니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을 모두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도 3a에서 설명한 장착수단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치환, 수정하여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도 3b 에서는 도 6의 리셉터클을 변형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카트리지 교체 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핸들(330)에 힌지 결합되어 리셉터클(30)의 측벽을 파지, 고정할 수 있는 파지부재(331)를 더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재(331)는 회동 가능하도록 핸들(330)에 구비되어 있어, 음료추출 시에는 핸들(330)에 접은 상태로 음료 추출을 행하고,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파지부재(331)를 회동 시켜 파지부재(331)의 말단부가 리셉터클(30)의 측벽을 가압, 파지하도록 한 후, 그 상태에서 쓰레키통 등의 수거통에 장착부재(320)를 털어내는 것만으로 카트리지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였다.
즉,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 교체 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재(331)를 펼친 상태에서 리셉터클(30)을 고정시킨 후, 상기 분리수단을 통해 카트리지를 분리시키고, 장착부재(320)를 기울여 털어내는 동작만으로 카트리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켰다.
본 발명은 결합돌기(301; 도 4 참고)를 통해 리셉터클(30) 몸체(31)가 본체(30')에 결합되어 있으나, 장착부재(320)를 흔들어 털면서 카트리지를 제거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지부재(331)를 이용하여 리셉터클(30)이 분리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캡슐형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부직포 또는 분말 형태의 추출대상체를 도 7의 리셉터클(30)을 이용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되는데,
즉, 도 7의 리셉터클(30)에서 부직포나 분말 형태 등의 추출대상체가 거름망(20)에 수용될 경우 교체 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추출대상체를 제거하면 고온에 의하여 화상의 위험이 있고, 제거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므로,
상기 파지부재(331)를 회전시켜 거름망을 리셉터클(30)에 단단히 고정시킨 후 그 상태에서 장착부재(320)를 쓰레기통 등에 털어내는 것만으로 추출대상체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에 수용되는 용기(pod)형 카트리지(C)는 바디 저면의 천공이 필수적이어서,
천공돌기(55a)를 본질로 하는 천공디스크(55)로 구성된 하부 파괴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시트(C1)를 천공하여 열수를 공급하는 상부 파괴수단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그러나 카트리지(C)의 파괴, 천공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를 포괄하여 추출용매 '유통수단'으로 지칭하고 있다.
도시된 용기(pod)형 카트리지(C)의 바디 하면은
카트리지(C)의 리셉터클(30) 본체(31) 끼움부(31A) 장착 즉시,
또는 상부 파괴수단을 통한 고온ㅇ고압의 추출용 물 공급으로 수압에 의하여 카트리지(C) 바디 저면이 변형 하강시
천공디스크(55)의 천공돌기(55a)와 접촉하여 천공, 파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디스크(55) 하부에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거품디스크는 열에 강하고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 내지 도 6에서 천공디스크(55) 중앙에 치우친 추출 음료 통과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음료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를 따라 거품디스크(59) 외곽으로 퍼진 후,
각 안내로 끝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의 증대로 커피, 특히 에스프레스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리셉터클(30)은 크레마 향상을 위하여 거품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제1거품발생수단(60A)과 관련하여 도 10의 [A]의 결합사시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9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대상체(P), 특히 커피(P)가 내장된 카트리지(C)를 수용하는 끼움부(31A)를 갖고, 추출액 소통로가 형성된 본체(31)를 구비한 리셉터클(30)에 배열되며, 소통로와 연통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제1거품발생수단(60A)은 고정력 보장을 위하여 별도의 패널부재를 도입하고, 이 패널부재 역시 리셉터클(30) 본체(31)의 소통로와 연통되는 통과부를 갖는다.
특히 제1거품발생수단을 리셉터클(30) 본체(31)에 고정하기 위한 패널부재(F)는 원소스 멀티유즈(One-source Multi-use 또는 One-source Multi-tasking) 경향에 맞게 천공디스크(55)가 기능하며,
패널부재의 통과부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55b)가 기능하게 된다. 천공돌기(55a)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세 통과부(55b)에 대응되게 상기 제1거품발생수단은 연통이 가능한 세 배출부(61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핵심은 통과부(55b)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가요성 차폐부(61a)이다.
보다 본질적으로는 패널부재와 무관하게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핵심은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 특히 저면부(37)의 소통로와 연결되는 추출액 배출부(61b)와, 상기 배출부 둘레에 구비된 가요성 차폐부(61b)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충분히 가요성 차폐부(61b)가 진동하고, 이에 의하여 낙하, 배출되는 추출액에 충격을 가하면서 거품 또는 크레마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로 인하여 가요성 차폐부(61b)가 자유단 형태로 노출되고, 추출액은 추출액 통과부(55b)를 거쳐 배출되므로 추출액은 보다 집중적으로 가요성 차폐부(61b)와 접촉, 충돌하게 된다.
가요성 차폐부(61b)가 추출액 통과부(55b)를 가리는 정도는 거품 또는 크레마 발생량과, 추출액 배출유량 등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거품발생수단(60A)은 도 10 [A] 및 [A]의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단독 사시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9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30) 본체(31), 천공디스크(55), 이후 도 10 [B]와 관련하여 설명할 제2거품발생수단(60B) 사이의 밀폐성 확보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한 몸으로 성형될 수 있으나,
가요성 차폐부(61a)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가요성 합성수지나, 실리콘 시트(또는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가요성 차폐부 또는 제1거품발생수단(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까지)은 고온에서도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可撓性) 차폐부(61a)는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 또는 충격이나, 펌프 등으로 인한 음료메이커 자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미세하게 진동하여 추출액을 튕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그만큼 거품 또는 크레마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 크기 및 수에 맞게 이러한 가요성 차폐부(61a) 및 추출액 배출부(61b)의 배열 위치, 크기, 수가 정해지며,
이 가요성 차폐부(61a)(또는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두께는 진동특성 보장, 밀폐성 보장, 내구성 보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도 10 [B]의 분해 단면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9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30), 특히 본체(31)에 수용되고, 상기 제1거품발생수단 하부에 배열되어, 추출액이 통과하는 소통공(63)을 갖고,
이 소통공은 상부의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배출부(61b)와 연결되고,
하부의 리셉터클(30) 본체(31) 저면부의 소통로와 연결된다.
도 10 [B] 및 [B]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내 단독 확대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액 소통공(6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지름이 가변되어, 협(狹)-광(廣)-협(狹)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3 소통부(63a,63b,63c)로 구성되거나 ,
더 바람직하기로는 협(狹)-광(廣)-협(狹)-광(廣)-협(狹)를 갖는 제1 내지 제5 소통부(63a,63b,63c,63d,63e)로 구성되어 있어, 특유의 오리피스 구조로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발생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실리콘, 기타 엘라스토머 소재나, 그 외 다양한 가요성 소재로 제2거품발생수단(60B)을 제조하는 경우, 1mm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소통공(63)이 막힐 수 있는데, 추출액의 압력에 의하여 소통공이 변형(하부로 쳐지는 형태로 변형됨)되는 경우 ,
소통공의 광(廣)폭 부위인 제2 및 제4 소통부(63b)(63d)로 인하여 협(狹)폭 부위인 제1, 제3, 제5 소통부(63a)(63c)(63e)가 확장될 수 있어, 그만큼 소통공(63)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2거품발생수단(60B)의 소통공(63)은 도 10 [B] 및 [B]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내 단독 확대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소통부 보다 큰 제2소통부, 제2소통부 보다 작은 제3소통부, 제3소통부 보다 큰 제4소통부, 제4소통부 보다 작은 제5소통부가 상부에서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세한 크기(각 소통부의 평단면도를 관찰했을 때, 각 단면적의 크기)는
제2소통부 ≒ 제4소통부 〉 제5소통부 〉제1소통부 〉제3소통부의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제1소통부 ≒ 제3소통부 ≒ 제5소통부의 크기여도 무방하며, 가능한 제1 내지 3 또는 제1 내지 5의 소통부 크기라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소통부에서의 압력차이로 거품 또는 크레마의 양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소통공에서 지름이 가변되어 협(狹)폭과 광(廣)폭이 반복되는 소통부의 수는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이때 박판 형태의 연결체(63A)에 형성된 소통부(63c)의 구조는 상호 이격된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와, 제1거품발생수단(60A),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각각 가장자리에 중첩부 또는 테두리(55c)(61c)(65a)를 갖고, 이 부분에서 추출액 누설 방지를 위한 밀폐성 및 고정력을 얻으며,
제1거품발생수단(60A) 및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상부의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와 하부의 리셉터클(30) 본체(31)의 저면부(37)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사발 형태와 유사하여, 제1거품발생수단(60A) 하부에 공간부(65)를 형성하게 되어 추출액의 체류 공간을 확보하고,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가요성 차폐부(61a)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장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리셉터클(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는 상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7의 각 [B]는 분해사시도와 함께 하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인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추출대상체(P)가 내장되는 카트리지(C)는 캡슐 형태뿐만 아니라 부직포 또는 커피가루 형태로 가능하며, 이때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몸체(30')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C)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거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름망(20)은 상기 리셉터클을 구성하는 몸체(30')와 그 형태를 달리하고 추출대상체(P)가 직접 수용되어 음료 추출이 행해진다.
상기 거름망(20)은 리셉터클 몸체(30')의 제1장착부에 밀착 안치되는데, 거름망(20)과 몸체(30')의 제1장착부 사이에는 거품증가체(40)가 개재된다.
거품증가체는 합성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고온ㅇ고압의 열수에 대해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해물질(특히 환경호르몬)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B]에서 거품증가체(40)의 상면에는 열수에 의하여 추출된 커피가 중공인 거품증가부(41)로 안내되면서도 지체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내돌기(43)와 안내돌기(43)와 연결된 체류돌기(45)가 형성되어 있어,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가 1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B]의 일점 쇄선 원 내 단면 확대도로 과장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 형태인 거품증가부(41)는 제1통과부(41a), 제1체류부(41b), 제2통과부(41c), 제2체류부(41d), 제3통과부(41e)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 형성된 구조이며,
열수가 펌프에 의하여 가압 공급되면서 분말커피를 추출하여 제조된 에스프레소가 특유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거품증가부(41)를 통과하게 되고,
커피메이커의 펌프를 가동하는 모터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연질ㅇ가요성 거품증가체(40)가 진동하면서
액상 에스프레소는 좁은 제1통과부(41a), 확장된 제1체류부(41b), 다시 좁은 제2통과부(41c), 확장된 제2체류부(41d), 좁은 제3통과부(41e)를 통과하면서 거품이 증가하게 된다.
그 상대적인 단면적의 크기는
[ 제2통과부(41c)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 제3통과부(41e) ] 또는
[ 제2통과부(41c) > 제3통과부(41e)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인 것이
크레마가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거름망(20)은 분말커피 수용부(20a)를 갖고, 상부 외측에 플렌지(23)와, 그 내측에 지지턱(25)을 갖고, 추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복수의 추출공(21)이 저면 외곽 부위에 배열되어 있어 밀폐커버(100)의 중앙 부위 열수 주입공(102)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가능한 먼 거리에 배열되어 충분히, 그리고 골고루 열수가 분말커피와 접촉한 후 최대한 에스프레소가 추출ㅇ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추출공(21)은 금속, 특히 부식 방지를 위하여 SUS 소재로 구성된 거름망(20)의 저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향돌기(21A)를 형성하고, 이 상향돌기의 정점을 연마 가공하여 추출공(21)을 형성함으로써 추출공을 가능한 작게 형성하면서도,
상향돌기(21A) 정점에 형성된 추출공(21)이 분말커피에 의하여 잘 막히지 않게 된다(왜냐하면 상향돌기(21A)의 점점에 열수에 의하여 유동되는 분말커피가 머물지 못하고 상향돌기를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으로, 그만큼 분말커피 입자와 추출공의 직접적인 접촉시간이 짧다).
또 상향돌기(21A)로 인하여 그 반대 부위인 거름망(20)의 저면에서는 요홈(21a)이 형성되는데, 청소시, 거름망(20)의 저면에서 흐르는 물을 접촉하면 혹 추출공(21)에 끼인 커피 입자도 쉽게 분리ㅇ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외곽 부위 상향돌기(21A)의 내측에는 저항돌기(27)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역시 프레스 가공으로 가압 형성된 것이어서 그 반대면에는 요홈(2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항돌기(27)는 열수에 의하여 유동하는 커피 입자와 접촉하여 커피입자 유동특성을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하여 추출 성능을 증가시키게 되며,
그 저면의 요홈(27a)은 거품증가체(40) 상면과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거품증가체의 안내돌기(43)와 체류돌기(45)가 수행하는 크레마의 1차적으로 증가기능을 보강하여 크레마의 증대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시 도 7에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30) 몸체에 상기 거름망을 덮는 밀폐커버(100)가 힌지 결합되어, 거름망에 추출대상체를 넣은 후 밀폐커버를 덮은 후 음료 추출부에 장착하고 음료 추출을 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리셉터클과 달리 커버시트 천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밀폐커버(100) 중앙에 천공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02)이 형성되며, 밀폐커버(100)를 여닫을 수 있는 파지부(101)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밀폐커버(100)는 회동축(103)이 구비되고, 이 회동축이 도 5에서 손잡이에 구비되는 절개부(39B)에 결합됨으로써, 부직포 형태의 카트리지 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카트리지
10 : 하우징 20 : 거름망
30 : 리셉터클 30' : 몸체
31 : 본체 31A : 끼움부
33: 제1분리부재 33A : 제1작동부
33B : 제1연동부 33C : 승강축
33D : 제1분리부 34 : 분리홀
35 : 축설부
37 : 제2분리부재 37A : 제2분리부
37B : 제2작동부
38 : 제3분리부재 38A : 제3분리부
38B : 제3분리부
39 : 손잡이
320 : 장착부재 321 : 홀더
323 : 고정홈 330 : 핸들

Claims (4)

  1. 추출대상체가 내장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에서 상기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음료 추출부에 결합되어 음료의 추출이 행해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에 수용된 카트리지의 플렌지 하면을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끼움부에서 카트리지를 이탈시키는 이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수단에서
    상기 이탈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가 지지되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벽에 형성된 분리홀에 상하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제1분리부와, 상기 제1분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축설부에 승강축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연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체는 상기 제1연동부와 연결되어 가압 시 상기 제1분리부가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에서
    상기 이탈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가 지지되고, 본체를 둘러싸는 몸체의 상부 측벽에 구속되어 승하강되는 제2분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체는 상기 제2분리부와 연결되어 손잡이와 접하면서 제2분리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작동부와, 상기 손잡이 상면에 상기 제2작동부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사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을 음료 추출부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리셉터클 장착부를 갖는 홀더와, 핸들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에는 수직절개홈과 수평절개홈으로 구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리셉터클의 가압체가 상기 수직절개홈에 삽입 후 수평절개홈으로 회전하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1020130093598A 2012-12-10 2013-08-07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10144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1323 WO2014092406A1 (ko) 2012-12-10 2013-12-09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2957 2012-12-10
KR1020120142957 2012-12-10
KR1020130066805A KR20140074802A (ko) 2012-12-10 2013-06-11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1020130066805 2013-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09A KR20140074809A (ko) 2014-06-18
KR101448275B1 true KR101448275B1 (ko) 2014-10-13

Family

ID=498570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05A KR101326682B1 (ko) 2012-12-10 2013-02-06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20130066805A KR20140074802A (ko) 2012-12-10 2013-06-11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1020130093598A KR101448275B1 (ko) 2012-12-10 2013-08-07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05A KR101326682B1 (ko) 2012-12-10 2013-02-06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20130066805A KR20140074802A (ko) 2012-12-10 2013-06-11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2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5677B (zh) * 2014-03-10 2017-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饮料机及饮料的制备方法
US20230284816A1 (en) * 2020-06-04 2023-09-14 Weadd, Lda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and processes, including portion holder with enhanced single por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866A (ko) * 2003-05-13 2004-11-18 넥솔테크(주) 측면에 두려빠진 홈을 가진 밀봉용기의 개봉방법 및 동방법을 이용한 개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7621T3 (es) * 2003-07-23 2006-08-01 Monodor S.A.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una bebida a partir de una capsula y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on de dicho procedimiento.
KR20100117253A (ko) * 2009-04-24 2010-11-03 이경수 필터 장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장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866A (ko) * 2003-05-13 2004-11-18 넥솔테크(주) 측면에 두려빠진 홈을 가진 밀봉용기의 개봉방법 및 동방법을 이용한 개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02A (ko) 2014-06-18
KR20140074809A (ko) 2014-06-18
KR101326682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KR101351782B1 (ko)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TWI386179B (zh) 包含用於萃取一飲料之一物質的積層匣室
US8967038B2 (en) Cartridge for use in coffee maker
US9271597B2 (en) Single serving reusable brewing material holder
CN110436060B (zh) 用于冲泡饮料的囊盒、方法和装置
US9756974B2 (en) Beverage cartridge replacement for single-serving beverage brewers
KR20140129098A (ko) 작동 버튼을 구비한 음료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40129096A (ko) 이동식 음료 카트리지 홀더를 구비한 음료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10053368A (ko) 핸드 로딩 커피 기계의 커피 홀딩 아암
KR20140129100A (ko) 카트리지 보유기를 갖는 음료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40129097A (ko) 다중 부분 음료 카트리지 홀더를 구비한 음료 형성 장치 및 방법
CN105848535B (zh) 饮料机
US20210137302A1 (en)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KR101323361B1 (ko)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101448275B1 (ko)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20140029718A (ko) 커피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KR20150066189A (ko)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1600563B1 (ko) 리셉터클 보관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CN103860020A (zh) 具备料盒分离装置的饮料机
WO2012128477A2 (ko) 음료캡슐 수용체
KR101581930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101572952B1 (ko)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KR20150106321A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