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21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218A
KR20200022218A KR1020180098088A KR20180098088A KR20200022218A KR 20200022218 A KR20200022218 A KR 20200022218A KR 1020180098088 A KR1020180098088 A KR 1020180098088A KR 20180098088 A KR20180098088 A KR 20180098088A KR 20200022218 A KR20200022218 A KR 20200022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air
duct
flow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815B1 (ko
Inventor
이소민
전치훈
이상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으로 아우터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과, 램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와, 램프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팬과, 공기를 아우터 렌즈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구비한 방열부 및 덕트에 구비되고,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 및 전환하고,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용 램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열 및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서 LED가 사용되고 있는데, LED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에서 가장 취약한 것이 온도 및 습도이다. LED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더욱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되고, 고온의 열은 LED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차량용 램프의 광원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히트 싱크 및 팬과 덕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팬에 의해 에어가 히트 싱크 측으로 블로우딩 되어, 히트 싱크의 열을 전달 받아 히트 싱크의 열을 저하시키고, 고온이 된 에어는 덕트를 통해 램프의 아우터 렌즈의 전면 측으로 블로우딩 된다.
다만, 덕트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에어는 램프의 아우터 렌즈의 전면의 소정 위치로만 집중됨에 따라, 고온의 에어가 집중되는 아우터 렌즈 부분은 변형이 발생되거나, 내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LED에 따라 램프 내외의 온도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온도차이에 의해 램프 내측에는 습기가 차게 되고, 심한 경우 램프 전면으로 물방울이 맺혀 조명 기능 저하는 물론 램프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에서 광원에 의한 고온 및 습도 발생 시, 온도를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 싱크의 열을 전달 받은 고온의 에어가 아우터 렌즈로 블로우딩 될 때 고온의 에어가 아우터 렌즈의 일부 위치에 집중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램프 내의 습도를 저하시켜 습기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8256944 B2(2012.09.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고온을 전달 받은 고온의 에어가 아우터 렌즈로 블로우딩 될 때 아우터 렌즈의 일부 위치에 집중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의 에어를 아우터 렌즈의 전체로 블로우시켜 램프 내외의 온도차에 따라 램프 내측에 발생되는 습기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면으로 아우터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 상기 램프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팬과, 공기를 상기 아우터 렌즈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구비한 방열부;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 및 전환하고, 상기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팬에서 블로잉된 공기가 제1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아우터 렌즈 측으로 배출하되, 상기 아우터 렌즈의 중심에서 일측영역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로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커브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덕트 내측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의 진입을 위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챔버부; 및 상기 공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로 방향으로 수평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연장되는 제2 챔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커브 구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 및 전환하는 제1 유동제어부; 및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제2 유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브 구간에서 상기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정렬하고, 정렬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유동제어부 측으로 유동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유동제어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서 정열 및 전환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아우터 렌즈의 일측 및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에 실장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과 타단 사이 적어도 일부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경사진 유동 전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고, 상기 제2 유동제어부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규칙적인 배열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면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공기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경사면에 ㅔ의해 유동 경로가 전환되고, 상기 유동경로가 전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덕트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에어를 아우터 렌즈의 전면 전체로 유동되게하여, 아우터 렌즈의 전면으로 고온의 에어를 분산시킬 수 있어, 고온의 에어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되던 아우터 렌즈의 내열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덕트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에어의 흐름을 아우터 렌즈의 전면 전체로 분산시켜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내부의 습도를 낮춰 습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램프 내부에서 습기 발생으로 인해 발생되던 문제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덕트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덕트 내측에 구비된 유동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유동방지부재의 제1 유동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유동방지부재의 제2 유동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유동방지부재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유동제어부에 의한 공기의 토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실험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유동제어부재의 유무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램프 하우징(11), 광원부(12), 방열부(13) 및 유동제어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의 전면의 양측 또는 후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11)은 그 내측으로 상기의 광원부(12), 방열부(13) 및 유동제어부재(14)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11)의 전면에는 상기 광원부(12)에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아우터 렌즈(101)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렌즈(101)는 상기 램프 하우징(11)의 전면에 실링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램프 하우징(11) 내부로 외부 환경에 따른 수분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광원부(12)는 상기 램프 하우징(11)의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는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는 광을 발광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반사시키거나 각도를 제어하는 리플렉터,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광을 투사시키는 이너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렌즈(11)는 일단(101a)에서 타단(101b) 사이의 중앙(101c)을 중심으로 일측 영역(101d)과 타측영역(101e)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차량용 램프(10)의 실장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방열부(13)의 구성 중 하나인 덕트(130)의 배출구(133)는 상기 아우터 렌즈(11)의 일측영역(101d) 또는 타측영역(101e)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의 실장 위치는 덕트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13)는 상기 광원에서 발열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12)의 주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13)는 상기 광원부(12)의 후면 및 일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13)의 실장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용 램프(10)의 형상이나 구조, 실장되는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방열부(13)는 히트 싱크(120), 팬(110) 및 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120)는 상기 광원의 후면에 실장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 받아 방열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1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고열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지고, 슬롯 형태로 핀들이 정렬 배치되어 방열 면적을 넓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110)은 상기 히트 싱크(120)와 인접하여 상기 히트 싱크(120)로 공기를 블로잉 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110)에서 블로잉된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120)의 열을 전달받은 후, 상기 덕트(130)의 유입구(132)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덕트(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덕트(130)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130)는 상기 광원부(12)의 측면의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는 상기 히트 싱크(120)에서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인입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31a)의 전면, 구체적으로 아우터 렌즈(101) 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110)은 상기 히트 싱크(12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덕트(130)는 상기 광원부(12)의 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팬(110)과 상기 덕트(130)의 실장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팬(110)의 실장 위치나 상기 덕트(130)의 실장 위치는 상기 차량용 램프(10)의 형상이나, 램프 하우징(11)의 형상, 실내에 구성들이 적층되는 구조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덕트(130)는 본체(131)와 유입구(132), 배출구(133) 및 커브 구간(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31)는 하우징(131a)과 상기 하우징(131a)을 커버(131b)하는 커버(131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131b)가 상기 하우징(131a)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32)와 상기 배출구(133) 사이의 내측으로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130)가 상기 광원부(12)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렌즈(101)는 상기 광원부(12)의 전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덕트(130) 내측의 공기 유동 경로는 'ㄱ'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덕트(130)의 유입구(132)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오픈 형성되면서 상기 팬(110)의 블로잉 방향으로 상기 히트 싱크(120)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110)을 통해 상기 히트 싱크(120) 상기 제1 방향으로 블로잉된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120)의 열을 흡수하여 고온이 된 후, 상기 덕트(130) 유입구(132)를 통해 상기 덕트(13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오픈되게 형성되되,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는 상기 아우터 렌즈(101)를 향하여 오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32)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덕트(130)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구(133)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토출됨에 따라 상기 공기 유동 경로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33)는 상기 아우터 렌즈(101)를 향하여 오픈되되,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중심(101c)에서 일측영역(101d)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12)에서 배출되는 광원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발광되는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33)가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으로 편향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13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의 소정 위치에 집중 포화될 수 있다. 후술하는 유동제어부재(14), 구체적으로 제2 유동제어부(140b)에 의해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의 소정 위치에 집중되는 공기를 분산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구(133)가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량용 램프의 형상에 따라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타측 영역(101e)로 편향되어 배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입구(132)와 상기 배출구(133)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는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상기 유입구(132)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방향(Y 축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133)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덕트(130)의 내측으로 상기 유입구(132)과 상기 배출구(133) 사이로 상기 공기의 유동공간에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커브 구간(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등 공기의 소용돌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33)로 토출되어야 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데, 후술하는 유동제어부재(14), 구체적으로 제1 유동제어부(140a)가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발생된 공기의 불규칙적이고 소용돌이 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시키고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130)의 내면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공기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3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1311)은 상기 덕트(130)의 몸체(131a) 내측으로 커브 구간(134)과 상기 유동제어부재(14) 중 제2 유동제어부(1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의 내측으로 상기 공기 유동 경로에는 후술하는 유동제어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130)의 유입구(132)로 유입되고 배출구(133)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공기는 후술하는 상기 유동제어부재(14)에 의해 정렬됨과 아울러 토출되는 상기 공기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14)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구조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덕트(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덕트(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상기 덕트(130)는 하나의 본체(131)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실장되는 상기 덕트(13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130)에 이웃하여 보조 덕트(이하 '제2 덕트(135)'라 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는 상기 덕트(130)에 인접하여 상기 덕트(130)와 결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덕트(135)의 유입구(136)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으로 공기 유동 라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되, 후술하는 상기 유동제어부재(14)의 제1 유동제어부(140a)와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덕트(135)의 유입구(136)는 상기 경사면(1311)의 위치 중 소정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덕트(130)의 유입구(132)에서 유입된 상기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1)를 지나 상기 경사면(1311)에 의해 유동 경로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311)을 통해 높은 방향으로 상승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경사면(1311)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덕트(135)의 유입구(136)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덕트(135)의 유입구(136)가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와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제1 유동제어부(140a)에 의해 정렬된 공기가 상기 제2 덕트(1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유입구(132)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과 다른 제3 방향(Z축 방향)의 공기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는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와 별도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와 동일방향, 즉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도 상기 아우터 렌즈(101) 측을 향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도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도 상기 차량용 램프의 형상이나 설치되는 위치나 구조 등에 따라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타측 영역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상기 유입구(136)와 상기 배출구(137)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는 상기 제2덕트(135)의 유입구(136)로 유입되면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2 방향(Y 축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137)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덕트(135)의 내측으로 상기 유입구(136)과 상기 배출구(137) 사이로 상기 공기의 유동공간에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커브 구간(1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커브 구간(138)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등 공기의 소용돌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37)로 토출되어야 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데, 후술하는 유동제어부재(14), 구체적으로 제1 유동제어부(140a)가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발생된 공기의 불규칙적이고 소용돌이 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시키고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커브 구간(138) 및 배출구(137)에 인접하여 후술하는 상기 유동제어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에 형성된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에서 토출되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135)의 배출구(137)에 형성된 상기 유동제어부재(14)의 형상은 후술하는 제2 유동제어부(140b)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는 후술하는 도 6 내지 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덕트(130) 내측에 구비된 유동방지부재(1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유동방지부재(14)의 제1 유동제어부(14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유동방지부재(14)의 제2 유동제어부(140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유동방지부재(14)의 블레이드(14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덕트(130), 구체적으로 상기 덕트(130) 내측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에서 적어도 두 가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덕트(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고, 두번째로 상기 덕트(13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덕트(130) 내측에서 상기의 적어도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즉, 상기 공기의 흐름 정렬하고, 상기 배출구(13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덕트(130) 내측에 적어도 두 군데로 구획되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30) 내측에서 구획되어 실장된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두 군데로 구획되어 실장되되, 각 구획에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를 실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 상, 하면 사이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의 가이드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141)는 제1 챔버부(141a) 및 제2 챔버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부(141a)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일단, 구체적으로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의 진입을 위해 폭이 좁은 선단에서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챔버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그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부(141b)는 상기 제1 챔버부(141a)의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1 챔버부(141a)와 동일 폭을 가지며 연장되되, 상기 공기의 이동경로 방향으로 수평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는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상기 덕트(130) 내측으로 적어도 두 군데로 구획되어 실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제어부재(14)는 제1 유동제어부(140a)와 제2 유동제어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공기의 유동경로상에 형성되되, 상기 덕트(130)의 커브 구간(134)의 일측, 즉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하부측으로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는 상술한 상기 유동제어부재(14)의 첫번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는 상기 팬(110)에서 히트 싱크(120)로 블로잉되어 상기 덕트(130)의 유입구(132)로 인입된 상기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정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히트 싱크(120)의 열을 전달 받아 상기 덕트(130)의 유입구(13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덕트(130) 내측의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와류가 발생된다. 상기 덕트(130)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정렬되지 않거나 와류가 발생된 고온의 공기를 정렬하면서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방향 즉, 제2 방향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가 배치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블레이드(141)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으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블로잉되어 상기 커브 구간(134)에서 발생되는공기의 와류와 같은 불규칙한 흐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제2 유동제어부(140b) 방향으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형성되되,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 의해 정렬 및 전환된 상기 공기를 전달 받아 상기 램프 하우징(11)의 내측으로 배출하되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에서 타측 영역(101e) 전체로 분산되게 유동 경로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가 배치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블레이드(141)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 실장된 상기 블레이드(141)의 일단과 타단 사이 적어도 일부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경사진 유동 전환면(141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전환면의 방향에 의해 상기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에서 타측 영역(101e) 전체로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제2 유동제어부(140b)에 의한 공기의 토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실험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 유동제어부재(14)의 유무에 따른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는 상기 덕트(130)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공기의 유동경로상에 형성되되, 상기 덕트(130)의 배출구(133)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는 상술한 상기 유동제어부재(14)의 두번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서 정렬된 상기 공기를 전달 받아 상기 배출구(133)로 토출될 때 상기 배출구(133)에서 토출되는 상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서 정렬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공기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서 정렬된 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130) 내측에서 유동된 후 상기 배출구(133)로 토출되는데, 단순히 제1 유동제어부(140a)에 의해 정렬된 방향 및 상기 덕트(130) 내측의 유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 후 토출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구(133)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133) 전면에 있는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의 소정 부분(이하 '핫스팟'이라 함.)으로만 집중 포화되어 배출될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공기는 상기 배출구(133)에서 토출되면서 상기 배출구(133)와 대면된 부분의 상기 아우터 렌즈(101) 핫스팟 부분에 집중포화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상기 핫스팟 부분은 시간의 흐름 및 계속되는 상기 고온의 공기의 집중포화에 따라 변형이 발생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가 상기 배출구(133) 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덕트(13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여,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핫스팟 부분에 집중되게 토출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전체면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1)가 배치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블레이드(141)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141),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141)의 제2 챔버부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서 정렬된 상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타측 영역(101e)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 배치된 세개의 상기 블레이드(141)는 같은 곡률 또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나란하거나, 또는 서로가 서로에게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일측 영역(101d)과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타측 영역(101e)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기 제1 유동제어부(140a)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141)는 규칙적인 배열을 가져 와류가 발생되거나 정렬되지 않은 상기 공기를 정렬시켜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 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동제어부(140b)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141)는 규칙적인 배열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을 가져 상기 배출구(133)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기 아우터 렌즈(101)의 핫스팟이 아니라 전체면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용 램프
11: 램프 하우징
12: 광원부
13: 방열부
14: 유동제어부재
101: 아우터 렌즈
110: 팬
120: 히트 싱크
130: 덕트
131: 본체
131a: 하우징
131b: 커버
132: 유입구
133: 배출구
140a: 제1 유동제어부
140b: 제2 유동제어부
141: 블레이드

Claims (12)

  1.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전면으로 아우터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
    상기 램프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팬과, 공기를 상기 아우터 렌즈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구비한 방열부;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 및 전환하고, 상기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유동제어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팬에서 블로잉된 공기가 제1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아우터 렌즈 측으로 배출하되, 상기 아우터 렌즈의 중심에서 일측영역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로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커브 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덕트 내측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의 진입을 위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챔버부; 및
    상기 공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로 방향으로 수평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연장되는 제2 챔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재는,
    상기 커브 구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 및 전환하는 제1 유동제어부; 및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제2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제어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브 구간에서 상기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정렬하고, 정렬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유동제어부 측으로 유동 흐름을 전환시키는 차량용 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유동제어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서 정열 및 전환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아우터 렌즈의 일측 및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경로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제어부에 실장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과 타단 사이 적어도 일부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경사진 유동 전환면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제어부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고,
    상기 제2 유동제어부에 배치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규칙적인 배열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면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공기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유동 경로가 전환되고, 상기 유동경로가 전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098088A 2018-08-22 2018-08-22 차량용 램프 KR10216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88A KR102162815B1 (ko) 2018-08-22 2018-08-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88A KR102162815B1 (ko) 2018-08-22 2018-08-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18A true KR20200022218A (ko) 2020-03-03
KR102162815B1 KR102162815B1 (ko) 2020-10-07

Family

ID=6993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88A KR102162815B1 (ko) 2018-08-22 2018-08-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308A1 (ja) * 2002-10-18 2004-04-29 Seiko Epson Corporation 照明装置、排気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8525680A (ja) * 2004-10-07 2008-07-17 ボルボ エアロ コーポレイション ガスタービン中間構造および該中間構造を含む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US8256944B2 (en) 2008-06-06 2012-09-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170050907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308A1 (ja) * 2002-10-18 2004-04-29 Seiko Epson Corporation 照明装置、排気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8525680A (ja) * 2004-10-07 2008-07-17 ボルボ エアロ コーポレイション ガスタービン中間構造および該中間構造を含む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US8256944B2 (en) 2008-06-06 2012-09-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170050907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15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2023B1 (en) Head lamp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2733412B1 (en) Vehicular lamp
US9611994B2 (en) Vehicle headlight with laser light source
EP2194312B1 (en) Vehicular projector headlamp
EP2187115A2 (en) Vehicular lamp
CN107448860B (zh) 设有借助气流发生器冷却的发光模块的机动车辆照明和/或信号设备
US10677414B2 (en) Light emission module for motor vehicle
CN109578928A (zh) 照明组件
JP2008123756A (ja) 車両用灯具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99793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62815B1 (ko) 차량용 램프
JP5406766B2 (ja) 車輌用前照灯
WO2018088500A1 (ja) 車両用灯具
EP3584498A1 (en) Vehicular lamp
JPWO2019124188A1 (ja) 車両用前照灯
JP6674851B2 (ja) 車両用灯具
US20200018458A1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CN209944215U (zh) 一种前照灯光源组件、散热机构、变光机构、前照灯
KR10216685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3577276U (zh) 一种汽车大灯
CN211345250U (zh) 灯具单元
US20170211778A1 (en) Vehic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