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268B1 -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 Google Patents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268B1
KR101226268B1 KR1020120086556A KR20120086556A KR101226268B1 KR 101226268 B1 KR101226268 B1 KR 101226268B1 KR 1020120086556 A KR1020120086556 A KR 1020120086556A KR 20120086556 A KR20120086556 A KR 20120086556A KR 101226268 B1 KR101226268 B1 KR 10122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eat exchanger
function
fan coi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수
나선덕
윤재동
Original Assignee
(주)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츠 filed Critical (주)구츠
Priority to KR102012008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24F2203/106Electrical r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팬 코일 유닛을 이용하여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앙난방의 장점인 높은 열효율과 개별난방의 장점인 쾌적한 실내온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설정된 온도에 따라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의 동작을 선택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토출가이드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를 이용하여 살균탈취 및 공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며, 미사용시 토출구를 닫음으로써,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은 물론 세균의 번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재가동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장치 및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자의 만족도,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with wind direction automatic control function and automatic open-close function of air vent}
본 발명은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냉난방을 위한 팬 코일과 개별난방을 위한 PTC히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중앙냉난방 및 개별난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촉매필터를 이용하여 살균탈취 및 공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며, 팬 코일 유닛의 동작시 토출구의 풍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미사용시 팬 코일 유닛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을 난방하는 방법으로는 중앙난방과 개별난방이 있다.
중앙난방은 열효율이 높고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에,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중앙난방은 계절별 외부의 온도에 따라 난방수의 공급 온도 및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각방이나 각 세대에 일정하게 공급하게 된다.
하나의 구성으로 냉방과 난방을 모두 할 수 있는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의 경우에도, 계절에 따라 냉방수 또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운용방식은 중앙난방과 유사하다.
그러나, 중앙난방은 각 세대 및 각방에 동일한 난방온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거주자들마다 다르게 느끼는 체감온도를 반영하지 못하여 오히려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도 개별난방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개별난방의 경우, 각 세대 또는 각방에 별도의 난방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운용하여 난방하는 것을 말하며, 거주자들 각자가 원하는 실내온도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전체 에너지 사용량으로 보면 중앙난방에 비하여 많은 에너지가 사용될 수 밖에 없다.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130호 "난방기용 피티씨 세라믹 히터"와 같이 전자소자를 이용한 난방장치들을 이용하여 사용에너지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소자를 이용한 난방장치들은 대부분 짧은 시간동안만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중앙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소에서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난방을 할 경우, 전체 에너지 사용량은 중앙난방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자소자의 특성상 사용시간이 오래 지속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난방장치들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130호 "난방기용 피티씨 세라믹 히터"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265호 "팬코일 유닛의 스위치 도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구가 상부방향이나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미사용시 난방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되고 세균이 번식될 수 있으며, 재가동시 난방장치의 내부에 쌓여있던 먼지나 세균이 토출구로 배출되면서 불쾌감과 건강상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130호 "난방기용 피티씨 세라믹 히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265호 "팬코일 유닛의 스위치 도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 장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팬 코일 유닛에서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앙난방이 중단되면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동작하며, 개별난방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촉매필터를 이용하여 살균탈취 및 공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며, 미사용시 토출구를 닫음으로써,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은 물론, 세균의 번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버구조를 갖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은, 냉난방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중앙냉난방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열교환하여 상기 토출구로 고온의 공기를 배출하는 개별난방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풍향조절 및 개폐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출구방향조절구; 및 상기 송풍구와 열교환기 사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광촉매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방향조절구는, 힌지회동되며 열교환된 공기의 가로방향 배출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조절날개편; 및 힌지회동되며 열교환된 공기의 세로방향 배출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조절날개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조절날개편은, 이웃하는 가로조절날개편의 힌지축 사이의 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조절날개편은, 토출구닫힘상태에서 인접한 가로조절날개편과 접촉되는 부분에 밀폐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필터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플라즈마램프; 상기 플라즈마램프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가 상기 플라즈마램프의 외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은,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및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토출가이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구는, 상기 송풍기의 후방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후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의 일측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의 다른 일측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은, 상기 중앙냉난방부와 개별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이 중단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PTC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PTC히터를 더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난방수를 차단하고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PTC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하나의 팬 코일 유닛을 이용하여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앙난방의 장점인 높은 열효율과 개별난방의 장점인 쾌적한 실내온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설정된 온도에 따라 중앙냉난방과 개별난방을 선택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촉매필터를 이용하여 살균 및 탈취, 이물질 흡착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토출가이드구를 구성하여 팬 코일 유닛 내부에서의 와류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공기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시 토출구를 닫음으로써,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은 물론 세균의 번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재가동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능 및 살균기능을 통해 거주자들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팬 코일 유닛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장치 및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자의 만족도,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출방향조절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출방향조절구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로조절날개편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광촉매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개별난방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의 커버 결합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팬 코일 유닛은 열교환기에 냉방수가 공급되면 냉방을 수행하고, 난방수가 공급되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난방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100)은 중앙냉난방부(110), 개별난방부(120), 토출구방향조절구(190) 및 광촉매필터(150)를 포함한다.
중앙냉난방부(110)는 중앙냉난방시스템에서 공급되는 난방수를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열교환기(111), 송풍기(112) 및 토출구(113)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11)는 난방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것으로, 난방수가 공급되는 공급구, 공급된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코일 및 순환된 난방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12)는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11) 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송풍기(112)의 하부로 유입된 저온의 실내공기 열교환기(111)의 순환코일로 공급한다.
따라서, 저온의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11)의 순환코일에서 난방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구(113)는 송풍기(112)에 의해 공급되어 열교환기(111)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으로, 개방된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홀의 내부에는 토출구방향조절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토출구방향조절구(19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개별난방부(1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실내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교환기(111) 및 토출구(113)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파이프(121) 및 히트파이프(121)의 일측에 결합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히터(122)를 포함하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방제어부(128)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러한 개별난방부(12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방제어부(128)는 설정된 온도와 실내온도를 비교하고 PTC히터(122)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PTC히터(122)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방제어부(128)는 중앙냉난방시스템으로부터 중앙난방이 중단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온도에 따라 PTC히터(1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앙난방이 중단됨을 알리는 신호는 전력선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각방제어부(128)는 중앙냉난방시스템이 가동되는 상태에서도 각 세대 또는 각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설정온도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온도에 따라 PTC히터(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방제어부(128)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PTC히터(122)를 더 동작시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보다 더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각방제어부(128)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열교환기(111)로 공급되는 난방수를 차단하여 실내온도를 낮추고, 설정온도에 따라 PTC히터(1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난방수의 차단은 공급구(111a)와 연결되는 난방수공급호스(도시하지 않음)에 전자식밸브를 구성하고, 각방제어부(128)가 전자식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방제어부(128)는 송풍기(112)와 연동하여 토출방향조절구(2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방제어부(128)는 송풍기(112)가 가동되면 토출방향조절구(2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송풍기(112)의 가동이 중단되면 토출방향조절구(20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팬 코일 유닛(100)의 경우 토출구(113) 측의 모서리부분(도 1에서 좌측상부 모서리)에서 와류(일점쇄선)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류는 정상적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난방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출가이드구(13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구(130)는 송풍기(1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열교환기(111) 및 토출구(113)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일측단은 송풍기(112) 상부의 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고 다른 일측단은 토출구(113)에 인접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팬 코일 유닛(1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0)가 송풍구(112)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팬 코일 유닛(1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광촉매필터 (150)가 송풍기(112)와 열교환기(1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토출방향조절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출구방향조절구(200)는 힌지회동되며 열교환된 공기의 가로방향 배출 및 세로방향 배출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조절날개편(210) 및 세로조절날개편(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가로조절날개편(210) 및 세로조절날개편(220)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가로조절날개편(210)의 가로힌지축(211)에 랙기어를 구성하고, 다수의 랙기어에 하나의 피니언기어를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피니언기어를 제어하여 다수의 가로조절날개편(210)을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가로조절날개편(210) 및 세로조절날개편(220)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다수의 가로조절날개편(210) 및 세로조절날개편(220)의 각도는 도 1에 나타난 각방제어부(12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방제어부(128)의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풍향을 조절하면, 각방제어부(1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로조절날개편(191) 및 세로조절날개편(19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221'는 세로조절날개편(220)의 힌지축이다.
도 3은 도 1의 토출방향조절구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조절날개편(210)은 이웃하는 가로조절날개편의 힌지축(211) 사이의 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각방제어부(128)의 제어에 의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차단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방제어부(128)의 제어에 의해 가로조절날개편(210)을 회동시켜, 토출구(113)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팬 코일 유닛(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로조절날개편(210)을 회동시켜 토출구(113)를 닫음으로써, 외부에서 팬 코일 유닛(10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구(113)의 개폐는 세로조절날개편(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과 같이 가로조절날개편(210)을 회동시켜 토출구(113)를 닫더라도, 같이 가로조절날개편(210)들 사이의 틈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가로조절날개편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조절날개편(210)이 회동되어 토출구(113)가 닫혀진 상태에서, 인접한 가로조절날개편과 접촉되는 부분에 밀폐부재(2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23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폐부재(230)에 의해 가로조절날개편(210)들 사이의 틈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광촉매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촉매필터(150)는 플라즈마램프(151), 광촉매필터(152) 및 스페이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램프(151)는 고온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프라즈마를 이용한 램프로, 내부에 유전체를 구비하여 적은 전력으로도 많은 양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촉매필터(152)는 광촉매제 및 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램프(151)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플라즈마램프(151)의 외주면과 광촉매필터(152)의 내주면 사이에 살균공간을 형성하여, 송풍기(112)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키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스페이서(153)는 광촉매필터(152)가 플라즈마램프(151)의 외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153)는 광촉매필터(152)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촉매필터(150)는 스페이서(153)의 사이에 구성되는 보강리브(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150)의 양단에는 마감부재(155)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양단 중 어느 일측의 마감부재(155)를 통해 플라즈마램프(15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15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구성되어, 팬 코일 유닛(100)의 측면에서 삽입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150)는 광촉매제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은 열교환기(111) 및 개별난방부(120)의 히트파이프(121)에 구성된 방열편(123)에 입자성물질을 산화분해하여 제거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고 필터(140) 및 열교환기(111) 등에서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개별난방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개별난방부(120)는 열교환기(111) 및 토출구(113)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파이프(121)의 일측에 PTC히터(12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방제어부(128)에 의해 PTC히터(122)에서 발생된 열은 히트파이프(121)를 따라 반대측(도 7에서 우측상부)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으며, 송풍기(112)에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히트파이프(121)에서 배출되는 열에너지가 많을수록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121)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편(123)을 구성하여, 히트파이프(121) 내부를 이동하는 열에너지의 방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드구(130)는 송풍기(112)의 후방(도 8에서 좌측)에서 열교환기(111)의 후방부(도 8에서 좌측상부)를 통과하여 토출구(113)의 일측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112)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구(130)에 의해 열교환기(111) 측으로 유도될 수 있고, 토출구(113)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도 8에서, (a)는 토출구(113)가 상부면에 구성된 경우이고, (b)는 토출구(113)가 정면에 구성된 경우이며, (c)는 토출구(113)가 상부면에서 정면으로 이어져 경사지게 구성된 경우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도 9 및 도 10에서도 동일하다.
도 9는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드구(130)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가이드구(130)는 보다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하여, 접촉면이 접선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가이드구(130)의 양측면이 후면 및 상부면에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토출구 위치에 따른 도 1의 토출가이드구의 설치구조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드구(130)는 상부가이드부(131) 및 하부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드부(131)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가이드부(132)는 송풍기(112)의 전방에서 열교환기(111)의 전방부를 통과하여 토출구(113)의 다른 일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가이드구(130)는 상부가이드부(131) 및 하부가이드부(132)로 구성하게 되면, 송풍기(11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의 커버 결합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7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7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에서, 하우징(160)은 팬 코일 유닛(100)의 외형을 이루며, 전면부에 도어커버(170)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어커버(170)의 하부에는, 도어커버(170)가 하우징(16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8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이탈방지구(180)는 고정부(181), 이동부(182) 및 탄성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81)는 도어커버(170)의 하부내측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탄성부재(183)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공간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82)의 일측은 고정부(181)의 내부에 슬라이드이동되도록 삽입되고, 다른 일측은 도어커버(170)의 하부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83)는 고정부(181) 및 이동부(182)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83)는 이동부(182)를 커버(170)의 외측면으로 밀어내는 반발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82)는 도어커버(170)를 하우징(16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81)의 내측으로 삽입되었다가, 도어커버(170)가 하우징(160)에 설치되면 결합홈(161) 측으로 돌출되면서 끼워질 수 있다.
도어커버(170)의 상부에는, 도어커버(17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개폐구(19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커버개폐구(190)는 걸림돌기(191) 및 커버손잡이(19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91)는 도어커버(170)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며, 탄성력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개폐구(190)의 내부에는 걸림돌기(191)를 돌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커버(170)를 하우징(19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 13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림돌기(191)가 커버개폐구(190)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도어커버(170)가 하우징(160)에 설치되면 걸림돌기(191)가 하우징(160)의 걸림편(162)에 걸려질 수 있다.
커버손잡이(192)는 커버개폐구(190)의 전면부에 힌지회동되어, 도어커버(17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개폐구(190)의 전면부가 도어커버(17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커버손잡이(192)가 커버개폐구(190)의 전면부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개폐구(190)는 커버손잡이(192)가 도 12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되면, 걸림돌기(191)가 커버개폐구(19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손잡이(192)의 회동에 따라 걸림돌기(191)가 삽입되는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계식 또는 전자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어커버(170)를 하우징(16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커버손잡이(192)를 회동시켜 걸림돌기(191)가 커버개폐구(19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후, 커버손잡이(192)를 잡고 하우징(160)에서 도어커버(17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코일 유닛은, 전면부 또는 상면부에 중앙난반부(110) 및 개별난방부(120)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기(112)가 동작되면 팬 코일 유닛이 중앙냉난방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PTC히터(122)에 전원이 공급되면 팬 코일 유닛이 개별난방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팬 코일 유닛
110 : 중앙냉난방부 111 : 열교환기
112 : 송풍기 113 : 토출구
120 : 개별난방부 121 : 히트파이프
122 : PTC히터 123 : 방열편
128 : 각방제어부
130 : 토출가이드구 140 : 필터
150 : 광촉매필터 160 : 하우징(Housing)
170 : 커버(Cover)
180 : 이탈방지구 181 : 고정부
182 : 이동부 183 : 탄성부재
190 : 커버개폐구 191 : 걸림돌기
192 : 커버손잡이
200 : 토출구방향조절구 210 : 가로조절날개편
220 : 세로조절날개편 230 : 밀폐부재

Claims (10)

  1. 냉난방수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중앙냉난방부;
    상기 열교환기 및 토출구 사이에 구성되며 열교환을 통해 상기 토출구로 고온의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파이프와,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히트파이프에 공급하는 PTC히터를 포함하는 개별난방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풍향조절 및 개폐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출구방향조절구;
    상기 송풍구와 열교환기 사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광촉매필터; 및
    상기 중앙냉난방부와 개별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방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이 중단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PTC히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방향조절구는,
    힌지회동되며 열교환된 공기의 가로방향 배출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조절날개편; 및
    힌지회동되며 열교환된 공기의 세로방향 배출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조절날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조절날개편은,
    이웃하는 가로조절날개편의 힌지축 사이의 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조절날개편은,
    토출구닫힘상태에서 인접한 가로조절날개편과 접촉되는 부분에 밀폐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필터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플라즈마램프;
    상기 플라즈마램프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가 상기 플라즈마램프의 외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및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토출가이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구는,
    상기 송풍기의 후방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후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의 일측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의 다른 일측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PTC히터를 더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방제어부는,
    중앙난방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난방수를 차단하고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PTC히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KR1020120086556A 2012-08-08 2012-08-08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KR10122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56A KR101226268B1 (ko) 2012-08-08 2012-08-08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56A KR101226268B1 (ko) 2012-08-08 2012-08-08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268B1 true KR101226268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556A KR101226268B1 (ko) 2012-08-08 2012-08-08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2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15B1 (ko)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CN109489216A (zh) * 2017-09-12 2019-03-1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舒适性风管送风式空调的控制方法
CN113503618A (zh) * 2021-06-04 2021-10-15 三菱重工金羚空调器有限公司 空调杀菌控制方法、装置、空调器、控制器及储存介质
US11614241B2 (en) 2015-11-0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820U (ko) * 1998-05-08 1999-12-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00056577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살균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
KR200411130Y1 (ko) * 2005-12-07 2006-03-10 최홍천 난방기용 피티씨 세라믹히터기
KR100946106B1 (ko) * 2009-06-22 2010-03-10 (주)좋은물 만들기 광촉매필터모듈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820U (ko) * 1998-05-08 1999-12-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00056577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살균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
KR200411130Y1 (ko) * 2005-12-07 2006-03-10 최홍천 난방기용 피티씨 세라믹히터기
KR100946106B1 (ko) * 2009-06-22 2010-03-10 (주)좋은물 만들기 광촉매필터모듈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15B1 (ko)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US11614241B2 (en) 2015-11-0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CN109489216A (zh) * 2017-09-12 2019-03-1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舒适性风管送风式空调的控制方法
CN109489216B (zh) * 2017-09-12 2021-03-1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舒适性风管送风式空调的控制方法
CN113503618A (zh) * 2021-06-04 2021-10-15 三菱重工金羚空调器有限公司 空调杀菌控制方法、装置、空调器、控制器及储存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00B1 (ko) 습도조절 및 살균유닛이 구비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54459B2 (en) Room air purifier with pressurization relief
KR101226268B1 (ko)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WO2022042758A1 (zh)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空调器
KR101998489B1 (ko)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KR100580288B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JP4734966B2 (ja) 空気清浄装置
KR101381211B1 (ko) 외기를 이용한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KR101226269B1 (ko) 이슬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팬 코일 유닛
KR200439228Y1 (ko)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918708B1 (ko) 광 살균 항온항습기
KR102394171B1 (ko) 멸균기능을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KR101226267B1 (ko) 중앙냉난방 및 개별난방 겸용 팬 코일 유닛
KR101565068B1 (ko) 환기 제어 기능을 갖는 가습 공기순환장치
KR20170069393A (ko) 세라믹 허니컴 히터를 구비한 에어 커튼
KR101001187B1 (ko) 분기체가 일체로 형성된 전열교환기
KR200394917Y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100470483B1 (ko)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KR102320717B1 (ko) 냉난방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순환장치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KR20170079558A (ko) 환풍 장치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KR20060087298A (ko) 기능성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237456B1 (ko) 급수형 에어워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