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708B1 - 광 살균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광 살균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708B1
KR100918708B1 KR1020090049903A KR20090049903A KR100918708B1 KR 100918708 B1 KR100918708 B1 KR 100918708B1 KR 1020090049903 A KR1020090049903 A KR 1020090049903A KR 20090049903 A KR20090049903 A KR 20090049903A KR 100918708 B1 KR100918708 B1 KR 100918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pipe
air
thermo
hygrost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범
Original Assignee
(주)동양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동양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4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살균과 예냉 및 가열 작용을 통하여 여름철 제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재열에너지 및 난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 제거하기 위한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코일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냉각코일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예냉하는 제1히트파이프와, 상기 전기히터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전기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재열하는 제2히트파이프와,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간 작동유체가 이동되어 열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그루브관을 포함하는 항온항습부와; 상기 항온항습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항온항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광플라즈마부재로 살균하는 광살균부를 포함한다.
항온항습기, 히트파이프, 광살균부, 현열교환기

Description

광 살균 항온항습기{PHOTOSTERILIZING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살균과 예냉 및 가열 작용을 통하여 여름철 제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재열에너지 및 난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온항습기를 포함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인하여 항온 항습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기기 또는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서, 식품회사, 크린룸, 제약회사 등의 강력한 멸균력이 요구되고, 정밀한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요구되는 곳에 설치되어 냉방, 난방, 제습, 가습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이 호흡하는 공기 중에 먼지 등을 비롯한 많은 공해 물질이 존재하고, 이러한 공해 물질로 인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과 함께, 실내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사람들이 짜증을 내거나 피로감을 느껴 업무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다양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어, 전산실, 반도체부품 생산공장, 연구실, 통신실, 광학기계 생산업체, 병원의 C/T 및 MRI 촬영실, 정밀기계 조립장치 등 의 첨단산업기기가 설치된 장소 및 대합실, 극장, 교회, 회관 등의 많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에 비치되어 주위의 온ㅇ습도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대체적으로 다수의 필터층에 의한 먼지제거와 적정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환경조건에 중점을 두어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필터층의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한 위생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생 및 환경 등이 중요시되는 시대흐름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일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94-2564호의『바닥 상치형 냉난방 공기 조화기』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공기공급부에 바이오필터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신선한 공기를 순환공급하도록 하였고, 국내공개특허공보 제93-8383호『전자파를 이용한 냉ㆍ온풍기』에서는 열교환부에 고주파를 주사시켜 흡착된 세균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먼지입자를 제거하고자 필터의 성능을 높이거나, 일반자외선 또는 살균램프와 음이온 발생기로 해결하려 하였지만, 단순히 필터만으로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크기가 미세한 이물질은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공기공급부에 바이오필터를 설치하거나 열교환부에 고주파를 주사시키는 등의 일부개선에 의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국부적으로 해결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살균, 정화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동파이프로 구성된 증발기(냉각코일)로 냉각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 제거한후 전기히터(재열코일)를 이용 재열하여 냉각된 온도만큼 상승 보상함으로써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증발기에서 공기중 포함된 습기 제거 효율이 좋지 못하여, 여름철 고온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다량의 습기 제거가 불가능하여 쾌적한 습도 범위로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가 차갑고 축축하게 느껴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증발기에서 과냉각된 공기를 히터(재열코일)로 재열하여 적정 공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재열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며, 이럴 경우 건물의 적정 온도는 유지될 수 있으나 여전히 습기 찬 느낌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항온항습기 또는 공기조화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실내 공기의 살균과 예냉 및 가열 작용을 통하여 여름철 제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재열에너지 및 난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광살균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 제거하기 위한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코일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냉각코일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예냉하는 제1히트파이프와, 상기 전기히터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전기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재열하는 제2히트파이프와,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간 작동유체가 이동되어 열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그루브관을 포함하는 항온항습부와; 상기 항온항습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항온항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광플라즈마부재로 살균하는 광살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히트파이프는 냉각코일의 전면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제2히트파이프는 전기히터의 후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냉각코일간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와 제2히트파이프간에 열전도가 수행된다.
그리고, 실내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여 열을 회수하고, 상 기 제1히트파이프에 회수된 열을 전달하는 현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재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내공기유입구와; 상기 실내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 구비되는 외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외부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열회수부재는 제1히트파이프와 그루브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히트파이프에서의 예냉에 의해 제습 효과가 상승하고, 제2히트파이프의 재열 작용 및 현열교환기의 작용에 의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광플라즈마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실내공기에 포함된 각종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및 악취와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다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현열교환기가 구비된 광 살 균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채용된 광살균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100)는 본체(110), 항온항습부(120), 컨트롤러부(130), 송풍부(140) 그리고 광살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2)와, 상부 일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대체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는 흡입구(112)는 실내의 공기를 항온항습기 본체(110) 내부로 흡입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12) 내측에는 공기중의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필터(116)가 구비되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는 배출구(114)는 후술하는 항온항습부(120) 및 광살균부(150)를 거친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그릴(118)이 구비된다.
상기, 항온항습부(1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의 상태변화를 통하여 항온항습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냉각코일(122), 전기히터(124), 제1히트파이프(126), 제2히트파이프(128)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코일(122)은 통상적인 공기조화기 및 항온항습기에 공통적으로 구비되어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흡입구(112)를 통하여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며 실내 공기 내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각코일(122)의 냉각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는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180)에 일시 수용된 후 드레인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124)는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공기조화기 및 항온항습기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냉각코일(122)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여 냉각된 온도만큼 상승 보상함으로써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100)는 상기 냉각코일(122)의 전방측에 제1히트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히터(124)의 후방측에 제2히트파이프(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트파이프는 비압축성 작동유체로 채워진 속이 빈 원통파이프 구조로 구성되며, 열이 증발부에서 흡수되어 작동유체가 증발하고, 증발기체는 응축부에 도달하여 열을 주위로 발산하면서 응축하게 된다. 그리고, 응축된 작동유체는 중력 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증발부로 되돌아오고 이러한 사이클의 반복에 의해 일측에서는 냉각이 일어나고 타측에서는 가열이 일어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의 구성 및 작용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와 제2히트파이프(128)가 그루브관(129)으로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관(129)을 통하여 작동유체가 이동되어 제1히트파이프(126)와 제2히트파이프(128) 사이의 열전달이 수행되며, 이 때,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는 증발부가 되고, 제2히트파이프(128)는 응축부가 된다.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는 냉각코일(12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흡입구(112)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예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는 증발부로 작용하여 내부 작동유체의 증발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는 냉각코일(122)의 전면에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제1히트파이프(126)의 냉기는 전도현상에 의해 냉각코일(122)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히트파이프는 구리보다 1000배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기 때문에 냉각코일(122)로 냉기가 효과적 으로 전달되어 냉각코일(122)에서의 냉각 효과가 증대된다. 따라서, 냉각코일(122)에서 현격히 더 많은 양의 열과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예냉된 온도만큼의 냉각을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파이프(128)는 전기히터(124)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내부 작동유체의 응축에 의한 가열작용으로 전기히터(124)를 통과한 공기를 재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히트파이프(128)는 전기히터(124)의 후면에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히터(124)의 열기가 전도현상에 의해 제2히트파이프(128)로 전달되어, 제2히트파이프(128) 자체의 가열 작용과 전기히터(124)로부터 전달된 열기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므로 가열 효율이 우수하고, 제2히트파이프(128)에서 가열되는 온도만큼의 가열을 위해 소요되는 전기히터(124)에서의 재열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히트파이프(126)에서는 3℃ 정도의 예냉효과가 발생하여, 약 10 내지 15% 정도 예냉 효율이 상승하며, 약 30% 정도의 제습 효과 상승을 가져온다. 그리고, 제2히트파이프(128)에서 재열하여 상승온도를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재열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냉각코일(122)과 전기히터(124)의 코일 단면적이 매우 작은 실정에서, 히트파이프를 채용함으로써 전열면적의 극대화로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트파이프의 우수한 열전도율로 인하여, 각 히트파이프와 냉각코일(122) 또는 전기히터(124) 사 이의 열전도가 원활하게 수행되어 냉각 및 재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100)에는 현열교환기(17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현열교환기(170)는 실내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여 열을 회수하는 수단으로서, 챔버(172) 내부에 히트파이프로 구성된 열회수부재(174)가 구비되며, 챔버(172)의 일측에는 실내공기유입구(17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외부공기유입구(178)가 구비되며, 상기 실내공기유입구(176)에는 제1댐퍼(176a)가, 외부공기유입구(178)에는 제2댐퍼(178a)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현열교환기(170)의 챔버(172) 내부에 구비된 열회수부재(1740는 상기 제1히트파이프(126)와 그루브관(179)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관(179)을 통하여 써모싸이폰(thermosyphon) 효과에 의해 제1히트파이프(126)와 열회수부재(174) 사이의 열전달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1댐퍼(176a)를 차단하고 제2댐퍼(178a)만을 개방하는 경우, 챔버(172) 내부로 약 0℃ 내지 5℃의 차가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회수부재(174)에서 낮은 온도의 열(냉기)이 회수된다. 회수된 열은 그루브관(179)을 통하여 제1히트파이프(126)로 전달되어 제1히트파이프(126)의 냉각을 극 대화시켜 제습효과를 향상시키고 냉각코일(122)에서 냉각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댐퍼(176a)만을 개방하는 경우 또는 제1댐퍼(176a)와 제2댐퍼(178a)를 동시에 개방하는 경우에는, 20 내지 25℃의 실내공기가 열회수부재(174)에서 열회수되거나, 상기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열교환에 의해 적정 온도로 평형을 이루면서 열이 회수되어 제1히트파이프(126)로 전달됨에 따라 난방시 전기히터(124)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여 난방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겨울철에 실내공기가 과열된 경우, 제1댐퍼(176a)를 차단한 상태에서 제2댐퍼(178a)를 개방하여 차가운 외부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자연 환기 및 실내공기 냉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130)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동시에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토록 상기 항온항습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부(130)는 측정하고자 하는 실내의 현재 온도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면 그에 따른 온도와 습도를 희망하는 온도와 습도의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항습부(120)의 냉각코일(122), 전기히터(124)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입력된 설정 온도와 습도에 부합되는 적정온도와 습도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140)는 상기 항온항습부(120)에 의해 변화된 공기를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블로워팬(142)과 구동모터(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워팬(142)은 구동모터(144)를 이용하는 시로코(sirocco)타입의 원형팬으로 축방향의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직각 방향으로 토출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항온항습부(120)에 의해 냉각, 가열, 가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온항습부(120)의 후방측, 구체적으로, 상기 항온항습부(120)와 송풍부(140) 사이에는 광살균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광살균부(150)는 상기 항온항습부(120)를 통과한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에는 상기 광살균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살균부(150)는 다수개의 광플라즈마부재(152)와,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가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재(154)와, 상기 소켓부재(154)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156)을 포함한다.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는 공기 중의 산소와 물 분자의 광분해를 통하여 광 플라즈마를 형성함에 따라, 각종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및 악취와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는 광촉매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부재로서,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원자핵과 전자로 각각 광분해하고, 이로부터 발생된 활성산소 라디칼(Radical)이 각종 유독성 화학물질을 비롯한 악취와 세균까지 용이하게 파괴한다. 특히, 이러한 활성 산소 라디칼들은 진핵 세포인 사람에게는 무해하지만 원핵 세포인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질은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는 광촉매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부재로서, 자외선 발생을 위해 UV램프가 사용되며, 상기 UV램프에는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TiO2)이며, 이산화티타늄(TiO2)은 반도체 성질을 가진 광촉매로서, 그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그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와 물 분자가 깨어지면서 플라즈마가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산소 라디칼이 정화 및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자외선 파장 도달 범위에만 살균력을 유지하는 일반적인 자외선 살균방식과는 전혀 상이한 살균방식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는, 항온항습기 본체(110) 내부, 특히 항온항습부(120)와 송풍부(140) 사이에 구비되되, 다수의 광플라즈마부재(152)가 본체(110)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된 광살균부(150)는 소켓부재(154)와, 프레임(156)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소켓부재(154)는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를 커먼케이블(155)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의 길이방향 양 끝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프레임(156)은 다수개의 광플라즈마부재(1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소켓부재(154)를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대체로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내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부에 고정클립(158)을 구비하여 나사(S)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56) 상ㆍ하 수평부의 내측에는 상기 소켓부재(154)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켓부재(154)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56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56a)에는 상기 소켓부재(154)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롤 베어링(B)이 구비된다.
한편, 본체(110)의 전면 일측, 즉 실내 공기를 본체(110) 내로 흡입하는 흡입구(112)의 상부에는 상기 광플라즈마부재(152)의 수리 보수 또는 교체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부(110a)가 형성하고, 이 개구부(110a)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덮개(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광플라즈마부재(152)를 수리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160)를 열고 광플라즈마부재(152)가 결합된 소켓부재(154)를 프레임(156)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출한 후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수행하고, 수리 및 교체가 완료되면 광 플라즈마부재(152)가 결합된 소켓부재(154)를 밀어 넣어 수납한 후 덮개(160)를 닫아 항온항습기(100)를 재가동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 내외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항온항습기(100)의 전원을 온 시키면 송풍부(140)의 구동모터(144)가 구동됨으로써, 블로워팬(142)이 회전하여 실내의 공기가 본 체(110)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112)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흡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공기필터(116)에 의해 분진, 미생물, 냄새와 같은 이물질 등이 제거된 후 흡입, 배출되는 송풍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감지센서에 의해 현재의 온도와 습도가 측정되면 컨트롤러부(130)에서는 입력된 설정치와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실내온도와 습도가 희망하는 온도와 습도가 되도록 항온항습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체(110) 내로 흡입된 공기는, 항온항습부(120)의 제1히트파이프(126), 냉각코일(122), 전기히터(124) 그리고 제2히트파이프(12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1히트파이프(126)에서는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약 3℃ 정도 낮추어 예냉하고, 냉각코일(122)에서는 예냉된 공기를 더욱 냉각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킨다. 냉각코일(122)의 냉각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는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180)에 일시 수용된 후 드레인관(18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공기중 습기가 제거된다.
냉각코일(122)을 통과한 공기는 전기히터(124)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냉각된 온도의 보상이 이루어지며, 제2히트파이프(128)를 통과하면서 재열되어 상승된 적정 온도로 유지된다.
항온항습부(120)를 통과한 공기는 광살균부(150)에서 광플라즈마부재(152)에 의해 각종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및 악취와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광살균부(150)에 의해 살균된 공기는 송풍부(140)를 통해 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된 배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단순한 수정 및 변경에 의한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포함한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다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현열교환기가 구비된 광 살균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에 채용된 광살균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항온항습기 내외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항온항습기 110 : 본체
110a : 개구부 112 : 흡입구
114 : 배출구 116 : 공기필터
118 : 토출그릴 120 : 항온항습부
122 : 냉각코일 124 : 전기히터
126 : 제1히트파이프 128 : 제2히트파이프
129 : 그루브관 130 : 컨트롤러부
140 : 송풍부 142 : 블로워팬
144 : 구동모터 150 : 광살균부
152 : 광플라즈마부재 154 : 소켓부재
155 : 커먼케이블 156 : 프레임
156a : 가이드홈 158 : 고정클립
S : 나사 B : 롤 베어링
160 : 덮개 170 : 현열교환기
172 : 챔버 174 : 열회수부재
176 : 실내공기유입구 176a : 제1댐퍼
178 : 외부공기유입구 178a : 제2댐퍼
179 : 그루브관 180 : 물받이
182 : 드레인관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 제거하기 위한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코일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냉각코일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예냉하는 제1히트파이프와, 상기 전기히터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전기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재열하는 제2히트파이프와,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간 작동유체가 이동되어 열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제2히트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그루브관을 포함하는 항온항습부와;
    상기 항온항습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항온항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광플라즈마부재로 살균하는 광살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히트파이프는 냉각코일의 전면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제2히트파이프는 전기히터의 후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제1히트파이프와 냉각코일간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와 제2히트파이프간에 열전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항온항습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여 열을 회수하고, 상기 제1히트파이프에 회수된 열을 전달하는 현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항온항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재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내공기유입구와; 상기 실내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 구비되는 외부공기유입구와; 상기 외부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열회수부재는 제1히트파이프와 그루브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항온항습기.
KR1020090049903A 2009-06-05 2009-06-05 광 살균 항온항습기 KR10091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03A KR100918708B1 (ko) 2009-06-05 2009-06-05 광 살균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03A KR100918708B1 (ko) 2009-06-05 2009-06-05 광 살균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708B1 true KR100918708B1 (ko) 2009-09-22

Family

ID=4135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03A KR100918708B1 (ko) 2009-06-05 2009-06-05 광 살균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7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00B1 (ko) 2010-10-20 2011-01-17 (주) 남양엔지니어링 다중댐퍼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제습공조기
KR20200001422A (ko) 2018-06-27 2020-01-06 (주)이투씨테크 이중코일 방식을 이용한 냉난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715376A (zh) * 2019-10-24 2020-01-21 上海蓝色帛缔智能工程有限公司 针对数据中心的水侧余热回收系统
CN112586244A (zh) * 2020-12-11 2021-04-02 九江福莱克斯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功能的恒温恒湿机
CN111174287B (zh) * 2018-10-24 2021-09-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空调及其杀菌控制方法
KR102306174B1 (ko) * 2021-05-27 2021-09-28 글로벌하이텍전자 주식회사 살균과 펠티어 기능을 활용한 냉온풍기
KR20220121959A (ko) * 2021-02-25 2022-09-02 (주)덕산코트랜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968A (ja) * 1994-02-22 1995-09-05 Sony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430278B1 (ko) * 2004-01-26 2004-05-04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200401631Y1 (ko) 2005-07-13 2005-11-21 조학준 공기청정 항온항습기 구조
KR200439228Y1 (ko) * 2007-11-15 2008-03-27 (주)동양테크놀로지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968A (ja) * 1994-02-22 1995-09-05 Sony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430278B1 (ko) * 2004-01-26 2004-05-04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200401631Y1 (ko) 2005-07-13 2005-11-21 조학준 공기청정 항온항습기 구조
KR200439228Y1 (ko) * 2007-11-15 2008-03-27 (주)동양테크놀로지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00B1 (ko) 2010-10-20 2011-01-17 (주) 남양엔지니어링 다중댐퍼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제습공조기
KR20200001422A (ko) 2018-06-27 2020-01-06 (주)이투씨테크 이중코일 방식을 이용한 냉난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174287B (zh) * 2018-10-24 2021-09-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空调及其杀菌控制方法
CN110715376A (zh) * 2019-10-24 2020-01-21 上海蓝色帛缔智能工程有限公司 针对数据中心的水侧余热回收系统
CN112586244A (zh) * 2020-12-11 2021-04-02 九江福莱克斯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功能的恒温恒湿机
CN112586244B (zh) * 2020-12-11 2023-08-04 九江福莱克斯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功能的恒温恒湿机
KR20220121959A (ko) * 2021-02-25 2022-09-02 (주)덕산코트랜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KR102533491B1 (ko) 2021-02-25 2023-05-18 (주)덕산코트랜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KR102306174B1 (ko) * 2021-05-27 2021-09-28 글로벌하이텍전자 주식회사 살균과 펠티어 기능을 활용한 냉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08B1 (ko) 광 살균 항온항습기
KR200439228Y1 (ko)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KR100640800B1 (ko) 습도조절 및 살균유닛이 구비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1825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13576A (ko)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912662B1 (ko) 바이오크린룸을 형성시키는 공기청정시스템
KR101858806B1 (ko) 공기조화기
CN113631864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101258639B1 (ko) 제습장치
TW525219B (en) Treated ai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720786A (zh) 一种多功能高效消毒干燥柜
KR200409688Y1 (ko) 플라즈마 살균정화기가 부착된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110015229A (ko) 복합형 환기,공기 정화장치
KR102327078B1 (ko)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05319A (ko) 열전소자를 적용한 공기 청정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180116875A (ko) 내부 바닥열을 이용한 공기순환유닛
KR102461052B1 (ko) 프리히팅 기능을 포함하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2052485A1 (zh) 一种家用电器
KR2007007352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07555889U (zh) 一种空气清新系统
JP4674616B2 (ja) 空気調和機
KR102477472B1 (ko) 냉방 및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526632B1 (ko) 가전제품살균처리장치
JP4626287B2 (ja) 空気調和機
KR200326148Y1 (ko) 플라즈마 청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