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97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973A
KR20140133973A KR20130052675A KR20130052675A KR20140133973A KR 20140133973 A KR20140133973 A KR 20140133973A KR 20130052675 A KR20130052675 A KR 20130052675A KR 20130052675 A KR20130052675 A KR 20130052675A KR 20140133973 A KR20140133973 A KR 2014013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ir
air outlet
opening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376B1 (ko
Inventor
장엄지
김진백
홍진우
김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도 및 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이 공기토출구에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 및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게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반대 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냉각 사이클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압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하고, 응축기는 상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한다. 팽창밸브는 상온 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감압시키고, 증발기는 감암된 냉매를 저온의 기체 상태로 증발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방식에 따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실내기가 설치되고, 실내기는 연결배관에 의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효과적인 냉방을 위해, 차가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사용자를 향하여 전면으로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이 경우, 같은 온도를 갖는 토출 공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체감 토출 온도가 크게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온도의 토출 공기라 하더라도, 특정 사용자는 쾌적하다고 느끼는 반면, 특정 사용자는 춥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토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일정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허니컴(honeycomb)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배치된 상기 스크린은 토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일정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풍량 및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변이 곡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은 풍량 및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변이 직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달리 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있는 개구부의 밀집도가 상기 스크린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재질로써,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로 움직여 공기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는 직선형태의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면서 회전운동을 하고,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토출 블레이드(blade),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크린을 회전 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스크린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 회전축 일단에 있는 기어(gear)와 상기 스크린 일 측면에 위치하는 모터에 연결된 기어(ge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공기토출구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분포를 넓게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감온도는 쾌적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허니컴(honeycomb)형태의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스크린의 길이에 따라 개구부의 밀집도가 변화하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하나의 변이 곡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스크린 회전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스크린이 상하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5), 열교환기(3), 송풍팬(4), 스테빌라이저(stabilizer)(8), 후벽(6) 및 스크린(100)을 포함한다. 열교환기(3), 송풍팬(4), 스테빌라이저(8), 후벽(6) 및 스크린(100)은 하우징(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5)의 상부 표면에는 외부 공기가 공기조화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그릴(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5)의 하부에는 열교환기(3)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9)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9)에는 블레이드(blade)(11)가 설치되어, 공기토출구(9)를 개폐하고 공기토출구(9)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9)는 하우징(5)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블레이드(11)는 공기토출구(9)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 내부에는 송풍팬(4)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4)은 실내 공기를 하우징(5)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하우징(5) 내부에는 열교환기(3)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3)에 의해 하우징(5)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4)이 회전하면 공기흡입그릴(2)을 통해 실내공기가 하우징(5)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다. 그 후, 열교환기(3)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후벽(6)에 의해 공기토출구(9)로 안내되어 공기토출구(9)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는 블레이드(11)에 의해 토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블레이드(11)는 하우징(5)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토출구(9)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11)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공기토출구(9)를 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5)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 하우징(5) 내부에 스테빌라이저(8) 및 후벽(6)을 구비해야 한다. 스테빌라이저(8) 및 후벽(6)이 없거나, 혹은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기류가 형성되지 않아 공기조화기(1)가 제 기능을 하기 어렵다. 컷오프(cut off)(10)는 스테빌라이저(8)의 일 부분으로서, 송풍팬(4) 가까이 위치하며,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다. 컷오프(10)는 하우징(5)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동압을 정압으로 회복시켜 주므로 급격한 압력의 변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스크린(100)은 공기토출구(9)에 위치하고, 공기토출구(9)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확산시킬 수 있어 체감 토출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100)은 망(mesh)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10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0)의 재질은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허니컴(honeycomb)형태의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스크린(100a)은 스크린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40),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부(30), 개구부를 형성하는 리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0a)에는 허니컴(honeycomb) 형태의 복수의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허니컴 형태의 개구부(30)는 여섯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리브(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100a)은 허니컴 형태의 복수의 개구부(30)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허니컴 형태는 적은 재료로 큰 면적 및 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100a)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100a)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30)는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크린(100a)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30)는 원(circl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30)의 형태는 상기 허니컴, 다각형 및 원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크린(100a)의 구조는 상기 허니컴, 다각형 및 원 형태의 개구부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스크린(100a)은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개구부(30)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스크린의 길이에 따라 개구부의 밀집도가 변화하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스크린(100b,100c)은 프레임(40), 복수의 개구부(30,30a,30b),바디(45a,45b)를 포함한다.
스크린(100b,100c)은 바디(45a,45b)에 복수의 개구부(30,30a,30b)가 위치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0a,30b)의 크기를 달리하여 공기토출구(9)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개구부(30a,30b)의 크기가 클수록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기 때문에 공기의 세기가 증가한다.
또한, 개구부(30)의 밀집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공기토출구(9)를 통과하는 공기의 분포를 달리 할 수 있다.
개구부(30)의 밀집도는 스크린(100)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스크린(100c) 양 측면에 있는 개구부(30)의 밀집도가 높으면 공기가 스크린(100c)의 양 측면을 통해 집중적으로 토출된다. 반대로, 스크린(100c) 중앙에 있는 개구부(30)의 밀집도가 높으면 공기가 스크린(100c)의 중앙을 통해 집중적으로 토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하나의 변이 곡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는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스크린(100d)의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40)은 풍량 및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변이 곡선 형태를 갖거나, 모든 면이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40)은 공기토출구(9)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공기는 프레임(40)이 커버하지 않은 공기토출구(9) 부분을 통해 더욱 강하게 토출된다.
스크린(100d)은 바디(45)에 복수의 개구부(30)가 형성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스크린 회전 구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스크린이 상하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공기토출구(9)에 설치되는 스크린(100)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기토출구(9)를 커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100)을 공기토출구(9)에 자유롭게 탈부착 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스크린 회전 구동장치(90)를 통해 스크린(100)이 공기토출구(9)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회전 구동장치(90)는 모터(60), 모터(60)에 연결된 제 1기어(80), 스크린(100)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 회전축(50) 및 스크린 회전축(50)에 연결된 제 2기어(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0)가 전력을 받아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모터(60)에 연결된 제 1기어(80)가 제 2기어(70)와 맞물리면서, 제 2기어(70)에 연결된 스크린 회전축(50)을 회전시켜 스크린(100)이 움직이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스크린(100)은 스테빌라이저(8)에 형성된 홀(hole)(103)을 통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공기토출구(9)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0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직선 형태의 랙기어(rack gear)(101)가 마련되고, 하우징(5) 내부에는 랙기어(101)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102)이 마련된다.
모터(200)가 전력을 받아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모터(200)에 연결된 피니언(102)이 랙기어(101)에 맞물리면서, 랙기어(101)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하고, 피니언(102)은 회전 운동을 하여, 스크린(100)이 스테빌라이저(8)에 형성된 홀(103)을 통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크린(100)이 공기토출구(9)의 일부를 커버하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2 : 공기흡입그릴
3 : 열교환기 4 : 송풍팬
5 : 하우징 6 : 후벽
8 :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9 : 공기토출구
10 : 컷오프(cut off) 11 : 블레이드(blade) 30 : 개구부 35 : 리브(rib)
40 : 프레임 45 ; 바디(body)
50 : 스크린 회전축 60 : 모터
70 : 제 2기어 80 : 제 1기어
90 : 스크린 회전 구동장치 100 : 스크린
101 : 랙기어(rack gear) 102 : 피니언(pinion)
103 : 홀(hole) 200 : 모터

Claims (13)

  1.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토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일정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허니컴(honeycomb)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토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일정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풍량 및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변이 곡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풍량 및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변이 직선 형태인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에 있어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달리 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에 있는 개구부의 밀집도가 상기 스크린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재질로써,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하로 움직여 공기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는 직선형태의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면서 회전운동을 하고,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토출 블레이드(blade);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토출구에 마련된 망(mesh)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공기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회전 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스크린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 회전축 일단에 있는 기어(gear);와
    상기 스크린 일 측면에 위치하는 모터에 연결된 기어(ge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30052675A 2013-05-09 2013-05-09 공기조화기 KR10204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75A KR102046376B1 (ko) 2013-05-09 2013-05-0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75A KR102046376B1 (ko) 2013-05-09 2013-05-0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973A true KR20140133973A (ko) 2014-11-21
KR102046376B1 KR102046376B1 (ko) 2019-11-20

Family

ID=5245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675A KR102046376B1 (ko) 2013-05-09 2013-05-0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07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62A (ko) * 1997-10-24 1999-05-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상하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KR19990065980A (ko) * 1998-01-20 1999-08-16 구자홍 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JP2001304674A (ja) * 2000-04-20 2001-10-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506194A (ja) * 1998-03-10 2002-02-26 ケムファブ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したポリマーの空気拡散スクリーン
JP2013021062A (ja) * 2011-07-08 2013-01-31 Nitto Kogyo Co Ltd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62A (ko) * 1997-10-24 1999-05-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상하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KR19990065980A (ko) * 1998-01-20 1999-08-16 구자홍 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JP2002506194A (ja) * 1998-03-10 2002-02-26 ケムファブ コーポレイション 成形したポリマーの空気拡散スクリーン
JP2001304674A (ja) * 2000-04-20 2001-10-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021062A (ja) * 2011-07-08 2013-01-31 Nitto Kogyo Co Ltd 換気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07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WO2017078354A1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N108351112A (zh) * 2015-11-02 2018-07-31 三星电子株式会社 除湿器
EP3339759A4 (en) * 2015-11-02 2018-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US20180320910A1 (en) * 2015-11-02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CN108351112B (zh) * 2015-11-02 2020-09-01 三星电子株式会社 除湿器
US11614241B2 (en) 2015-11-0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76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2290B (zh) 一种立式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EP2821716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mprising a wind-visor for air discharge opening
EP2719969B1 (en) Air conditioner
CN106369797B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EP3514459B1 (en) Air conditioner
ES2892327T3 (es) Unidad interior de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KR101554722B1 (ko)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090038555A (ko)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2007192480A (ja) 空気調和機
CN108758798A (zh) 空气处理装置
CN110657495B (zh) 空调内机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US20220049854A1 (en) Air conditioner
CN106152447B (zh) 一种空调出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控制方法
KR20240020721A (ko) 공기조화기
JP4708199B2 (ja) 空気調和機
JP2005164065A (ja) 空気調和機
JP4004458B2 (ja) 空気調和機
CN106225077B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7796048B (zh) 一种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20140133973A (ko) 공기조화기
CN106247587B (zh) 一种空调出风装置、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6287971B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209944510U (zh) 空调柜机
JP4004459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