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520A -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 Google Patents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520A
KR20170049520A KR1020177006357A KR20177006357A KR20170049520A KR 20170049520 A KR20170049520 A KR 20170049520A KR 1020177006357 A KR1020177006357 A KR 1020177006357A KR 20177006357 A KR20177006357 A KR 20177006357A KR 20170049520 A KR20170049520 A KR 2017004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pport
flange
camera
lens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에이치. 제너드
피터 제레드 랜드
스테판 지. 피조
헥터 오테가
Original Assignee
후디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디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후디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중앙 개구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248),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잠금 링(246) 및 상기 잠금 링(246)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238-240)를 포함하는 카메라에 잠금가능한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224)로서, 상기 잠금 링(246)의 회전은 상기 돌출부들(238-240)을 상기 요소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돌출부들(238-240)을 고정 플레이트(248)의 방향으로 상기 축을 따라 진행시킨다.

Description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LOW-PROFILE LENS MOUN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8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4/820,439 및 2014년 8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034,44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앞선 출원들의 전체는 이에 의해 여기에 참조로 결합된다.
배경 기술
작은 폼-팩터, 로우 프로파일 촬상 장치들의 능력은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보고 찍기만 하면 되는 카메라들, 액션 카메라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들 및 다른 카메라-탑재 핸드헬드 전자 장치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 레벨 및/또는 프레임률에서 스틸 이미지 및 모션 비디오 캡처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단지 하나의 예를 들면, 약 142 밀리미터(mm) 높이, 약 70 mm 폭 및 단지 약 7 mm 인치 두께의 삼성 갤럭시 S6 스마트폰은 16 메가픽셀(MP) 센서를 가지며 초당 30 프레임(30 fps)에서 슈팅 UHD 4K 해상도 비디오(3840 x 2160 픽셀)의 배면 카메라를 갖는다. 이러한 고급 능력 및 특징 세트들은 디지털 일안 반사식(DSLR) 카메라들 및 고급(예를 들어, 시네마급)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들을 포함하여, 이미 대형 전문가 수준 디지털 카메라들에 결합되어 있다.
일부 영역들에서 이러한 기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더욱 컴팩트한 촬상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고급 DSLR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는 상기 유형들의 고급 렌즈들과 종종 호환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잠금 및 탈착 가능한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Positive Lock; PL) 카메라 요소가 개시된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다음을 포함한다: 중앙 어퍼처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및 상기 잠금 링에 결합되고 카메라 요소의 렌즈 측과 마주보는 카메라 요소의 카메라 측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2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 상기 잠금 링의 회전은 중심축에 대하여 돌출부들을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돌출부들을 진행시킨다.
앞선 단락의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전화기 하우징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 각각은 고정 플레이트의 압축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의 압축 표면과 마주보는 압축 표면을 가지며, 돌출부들의 압축 표면들은 돌출부들이 축을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의 압축 표면에 근접하게 이동한다. 상기 카메라 요소는 카메라 렌즈이다. 상기 카메라 요소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이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은 촬상 장치 하우징 상의 대응 인터페이스에 카메라 요소의 분리가능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요소는 카메라 렌즈의 분리가능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요소 상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요소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있는 대응 서포트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약 25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은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를 형성한다.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20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다.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18 밀리미터이다.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기리는 19.25 밀리미터이다. 제1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수(male) 인터페이스이고 제2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암(femail)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적어도 3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축에 대하여 60도 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축에 대하여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적어도 2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4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6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은 그들이 고정 플레이트 상의 돌출부들과 회전적으로 정렬되는 제1 위치와, 그들이 고정 플레이트 상의 돌출부들로부터 회전적으로 옵셋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는 렌즈 마운트의 카메라 측 상에 제1 복수의 전기 접점들 및 렌즈 마운트의 렌즈 측 상의 제2 복수의 전기 접점들을 포함한다. 제1 복수의 전기 접점들은 제2 복수의 전기 접점들과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잠금 링은 고정 플레이트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가 개시된다. 상기 서포트부는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로 연장되는 어퍼처의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어퍼처 내로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아치형 플랜지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다.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팅 시스템의 암(female) 측을 형성한다.
앞선 단락의 서포트부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는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플랜지 전면 표면으로 연장되는 측벽의 전방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주변부를 갖는 광학 요소 안착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 캐비티의 주변부는 광학 요소의 대응 윤곽을 갖는 주변부 표면을 수용하도록 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 캐비티의 주변부의 윤곽은 어퍼처 내로 광학 요소의 단일-방향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키(keying)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카메라 상의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휴대폰 상의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부는 휴대폰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어퍼처 내로 측벽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4개의 아치형 플랜지들은 어퍼처의 주변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부는 광학 요소의 단일-방향 삽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측벽 상에 구비되는 정렬 키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가 개시된다. 상기 서포트부는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어퍼처; 및 어퍼처 내로 측벽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아치형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플랜지는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 및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광학 요소를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앞선 단락의 서포트부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는 베요넷식(bayonet style; 삽입형) 마운트를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트의 암(female) 부분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촬상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은 어퍼처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이미지 센서 상에 입사된다. 상기 서포트부는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어퍼처; 및 어퍼처 내로 측벽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암 측을 형성한다.
앞선 단락의 촬상 시스템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들 각각은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 및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다.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native)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15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다.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10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다.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8 밀리미터이다. 상기 촬상 시스템은 포지티브 락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수(male) 측을 구성하고 서포트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요소는 렌즈 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요소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에 부착되는 렌즈 요소를 갖는 촬상 시스템의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20mm를 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로부터 잠금 및 탈착 가능한 렌즈 마운트 어댑터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중앙 어퍼처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상기 어퍼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처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심축에 수직인 렌즈 플랜지 표면; 상기 렌즈 플랜지 표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스트; 상기 잠금 링에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잠금 링이 제1 위치로 회전할 때 포스트에 맞물리고, 잠금 링이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할 때 포스트로부터 이탈된다.
앞선 단락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및 포스트는 텅 앤 그루브(tongue and groove) 연결을 통하여 서로 맞물린다. 버튼이 포스트와 맞물릴 때 버튼의 가동은 포스트가, 포스트가 플랜지 표면까지 미치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포스트가 플랜지 표면까지 미치지 않는 수축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유발한다. 포스트는 스프링에 장착되고, 버튼이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움직일 때 스프링은 이완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 변한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잠금 링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잠금 링의 회전은 중심축에 대하여 돌출부들을 회전시키고 또한 축을 따라 돌출부들을 진행시킨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잠금 링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잠금 링의 회전은 축을 따라 돌출부들을 고정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제2 방향으로 잠금 링의 회전은 축을 따라 돌출부들을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가 약 25 mm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가 약 20 mm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18 mm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19.25 mm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우 프로파일 렌즈 요소는 중앙 어퍼처 주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상기 렌즈 요소의 카메라 측 상에 구비되는 렌즈 인터페이스; 스프링 이완 상태일 때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탑재 포스트; 기계적으로 가동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잠금 링이 제1 위치로 회전할 때, 제어부의 가동이 스프링-탑재 포스트의 스프링 힘을 극복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배치되어, 상기 포스트가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으로부터 더 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수축하도록 유발한다. 상기 제어부는 잠금 링이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때 포스트가 수축하는 것을 유발하도록 가동될 수는 없다.
앞선 단락의 로우 프로파일 렌즈 요소는 다음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은 플랜지 전면 표면이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 및 청구항과 함께 고려될 때,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1b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마운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들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촬상 장치의 서포트부로부터 분리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촬상 장치의 서포트부로부터 분리된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도 2a-2b의 서포트부 내의 어퍼처의 전면 정면도이다.
도 3b-3c는 도 2a에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 및 도 2b에 도시된 렌즈의 배면 및 전면 사시도들이다.
도 4는 촬상 장치의 서포트부의 대응 어퍼처 내에 결합된 광학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5a-5b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반전 포지티브 락(PL) 마운트 구성을 통하여 서포트부에 연결된, 로우 프로파일 렌즈 및 마이크로 포서드(Micro Four Thirds) 마운트의 측면 정면도들이다.
도 6a-6b는 도 2a에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회전 잠금 링, 고정 플랜지 링 및 회전 플랜지 링의 전면 및 배면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6c는 조립된 구성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회전 잠금 링, 고정 플랜지 링 및 회전 플랜지 링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중간 렌즈 마운트 어댑터 예의 분해도이다.
도 6e는 부착된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와 함께 조립된 구성에 있어서 도 6d의 중간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렌즈 안전 릴리스 기구를 포함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사시 컷어웨이 도면으로서, 회전 잠금 링(미도시)이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릴리스 기구를 나타낸다.
도 7b는 도 7a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사시 컷어웨이 도면으로서, 회전 잠금 링(미도시)가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릴리스 기구를 나타낸다.
도 7c-7d는 도 7a의 렌즈 안전 릴리스 기구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8a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촬상 장치의 서포트부의 다른 실시예로부터 분리된, 렌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서포트부의 전면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라 장치의 다양한 전자적 양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는 촬상 시스템(100)을 도시하는데, 이는 촬상 장치(102) 및 탈착가능 렌즈(104)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102)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탑재 휴대폰과 같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촬상 시스템(100)은 마운팅 시스템(118)을 구성하는데, 마운팅 시스템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과 같이, 반전 포지티브 락(PL) 마운팅 시스템이 될 수 있고 전통적인 베요넷식 마운팅 시스템과 유사한 로우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한편 PL 마운트의 탄탄한 클램핑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및 모션 카메라들, 스마트폰들, 개인 네비게이션 장치들, 모바일 인터넷 장치들, 핸드헬드 게임 콘솔들 또는 아래의 도 9와 연계하여 설명되는 기능들 중 하나나 그 조합을 갖는 장치들과 같이 휴대폰 기능을 갖거나 갖지 않는 카메라-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핸드헬드 전자 장치들 중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촬상 장치(102)는 하우징(106) 및 상기 하우징(106)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108)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08)는 하우징(106) 내에 배치되어, 렌즈(104)가 카메라 하우징(106)에 부착될 때, 촬상 시스템(100)의 광학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광이 렌즈(104)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부(110)를 통과하고 이후 하우징(106)의 전면 표면(112) 상에 구비되는 어퍼처(미도시)를 통과한다. 광학부(110)는 포커스 및/또는 줌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굴절성 글래스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8)는 예를 들어, 그렇지만 제한없이, CMOS, CCD, Foveon® 센서와 같은 수직-적층 CMOS 장치들 또는 센서들 간에 광을 분할하기 위한 프리즘을 이용하는 멀티-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어느 타입의 비디오 센싱 장치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예를 들어, 그렇지만 제한없이, 2:1, 2.4:1, 16:9 등의 종횡비와 함께 6144 x 3160 만큼 높은 또는 더 높은 픽셀들과 같은 다양한 및/또는 조정가능한 해상도 및 종횡비를 갖는 스틸 이미지 캡처에 대한 능력 및 촬상 장치(102)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의 사이즈에 따라, 예를 들어, 그렇지만 제한없이, 6K(2:1, 2.4:1), 5K(풀 프레임, 2:1, 2.4:1 및 애너모픽 2:1), 4.5K(2.4:1), 4K(16:9, HD, 2:1 및 애너모픽 2:1), 3K(16:9, 2:1 및 애너모픽 2:1), 2K(16:9, 2:1 및 애너모픽 2:1), 1080p RGB(16:9), 720p RGB(16:9) 및 다른 해상도 및 포맷을 포함하여 약 "6K"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해상도에서의 모션 이미지 캡처 능력 및 전자기기 지지 능력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장치(102)는 압축된 로우(raw) 모자이크 이미지 센서 데이터, 압축된 완전히 렌더링된 비디오 데이터 및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여 많은 압축 옵션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보드 메모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4GB의 용량을 포함하고, 그리고 다양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약 128GB, 256GB, 또는 512GB의 용량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모리는 하우징(106)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분리형 기록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촬상 장치(102)가 전화기인 경우, 그것은 상기 휴대폰이 2 이상의 전화 번호를 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SIM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 또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2)가 전화기인 경우, 이것은 상기 휴대폰의 전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하나와 상기 휴대폰의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하나와 같이,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시된 센서(108)는 상기 휴대폰의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카메라의 일부를 형성한다.
촬상 장치(102)는 또한 카메라 바디(106)로부터 렌즈(104)의 부착 및 탈착 각각동안 렌즈(104) 상에 구비되는 대응 마운트부(116)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맞물림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부(114)를 포함한다. 서포트부(114)와 마운트부(116)는 함께 마운팅 시스템(118)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운트부(116)는 암 지향적 서포트부와 함께 포지티브 락을 확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플랜지 및 회전가능한 잠금 링을 포함하는 수 지향적 인터페이스이다.
도 1b에 도시된 촬상 시스템(101)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운팅 시스템(118)의 마운트부(116)는 렌즈(104) 대신 렌즈 마운트 어댑터(120) 상에 구성된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120)는 어댑터(120)의 렌즈 측 상에 어댑터 마운트부(122)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렌즈 및 촬상 시스템(101)이 있는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 타입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식에서, 마운팅 시스템(118)을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들은 선택적으로, 광범위한 다른 렌즈들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렌즈 제조사 중 렌즈 마운트들의 비표준화에 기인하여, 어댑터들(120)은 렌즈 마운트들 중 하나에 맞춰지도록 써드 파티(third party) 마운트부(122)를 구성하도록 고려되며 상기 렌즈 마운트들은 다음과 같다: 펜탁스 Q-마운트; D-마운트(8mm 무비 카메라들); CS-마운트(감시 카메라들); 니콘 1-마운트; C-마운트(볼렉스, 에끌레어 및 벨 & 하월); 후지필름 X-마운트; 캐논 EF-M-마운트; 소니 E-마운트; 소니 FZ-마운트; 마이크로 포서드 시스템; 삼성 NX-마운트; 레드원 호환 마운트; 라이카 M-마운트; M39 (라이카) 스크류마운트; 올림푸스 PEN F; 콘탁스 G-마운트; 콘탁스 RF-마운트; 니콘 S-마운트; 올림푸스 포서드 시스템; 코니카 AR-마운트; 캐논 FL-마운트; 캐논 FD-마운트; 스타트(소비에트 SLR) 미놀타 SR-마운트; 후지카 X-마운트; 캐논 EF 마운트; 캐논 EF-S-마운트; 프락티카 B-마운트; 시그나 SA-마운트; 미놀타/코니카 미놀타/소니 A-마운트; 펜탁스 K-마운트; M42; 콘탁스 C/Y-마운트; 올림푸스 OM-마운트; 니콘 F-마운트; 라이카 R-상보 마운트; 소니 B4-마운트; 콘탁스 N-마운트; 아리 STD; 아리 B; 아리 PL; T-마운트; 파나비전 PV-마운트; OCT-19; 마미야 645; 콘탁스 645; 펜탁스 645; 하셀블라드 2000 & 500; 펜탁스 6x7. 앞선 마운트들 중 하나를 갖는 렌즈들은 어댑터 마운트부(122) 상에 상보적인 마운트부에 직접적으로 마운트될 수 있다.
도 1a-1b에 도시되지 않은 특정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120)는 중간 어댑터이고, 이는 실제로는 어댑터 마운트(122)를 포함하지 않거나 렌즈에 직접 부착되지 않는다. 대신, 중간 어댑터는 어댑터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는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원하는 타입의 렌즈 마운트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예가 아래의 도 6d 및 도 6e에 대하여 도시 및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118)은 상기 서포트부(114)가 촬상 장치(102)의 하우징(106) 상에 구비되는 대신 광학적 경로 내의 중간 요소 상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포트부(114)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될 수 있는 한편,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카메라 측은 카메라 또는 다른 촬상 장치 상의 대응 인터페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다른 타입의 마운트를 포함할 것이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120)는, 어댑터(120)로부터 렌즈의 원하지 않는 탈착을 방지하기 위한 렌즈 릴리스 기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렌즈 릴리스 기구는 어댑터의 회전 잠금 링 상에 배치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 링 상의 버튼의 포지셔닝은 어댑터의 로우 프로파일을 유지하고 감소된 플랜지 초점 거리들을 가능하게 한다. 잠금 링의 회전은 버튼이 렌즈 릴리스 핀(예를 들어, 텅 앤 그루브 기구를 통하여)과 맞물리는 제1 위치로부터 버튼이 릴리스 포스트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제2 위치로 버튼을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여기에 설명된 마운팅 시스템들은 2014년 4월 7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구조화된 표면들을 갖는 휴대폰(Cellphone With Contoured Surfaces)인 미국 특허출원 14/247,160(이하 '160 출원)에 설명된 휴대폰들 중 하나와 같이 카메라-탑재 구조화된 윤곽을 갖는 휴대폰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1b의 서포트부들(114) 및 도 2a-2b의 서포트부(220)를 포함하여 여기에 설명된 서포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160 출원에 설명된 구조화된 윤곽 프로파일을 갖는 휴대폰들 중 어느 하나의 배면 표면 상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반전 포지티브 락 마운트들은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렌즈들의 서포트부로의 직접 또는 여기에 설명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들의 사용을 통한 부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구조화된 윤곽 프로파일은 이러한 렌즈들의 추가된 크기 하에서 휴대폰을 핸들링할 때 특히 유용한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 시스템의 예들
도 2a-2b는 각각 도 1의 촬상 장치(100)와 같은 핸드헬드 촬상 장치와 함께 활용될 수 있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및 렌즈(225)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b의 렌즈(225)는 도 1a의 렌즈(104)일 수 있고, 도 2a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도 1b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120)일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서포트부(220)는 도 1a-1b에 도시된 서포트부(114)일 수 있고, 카메라 또는 다른 촬상 장치의 전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구비되거나 이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부(220)가 촬상 장치 상에 구비되는 경우, 그것은 촬상 장치의 원래의 또는 빌트인 렌즈 마운트로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부(220)는 휴대폰의 하우징 또는 카메라 바디의 벽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구비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이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부(220)에는 일반적으로 조립된 카메라 또는 다른 촬상 장치의 광학 축과 정렬되는, 중앙 어퍼처(222)가 구비된다. 또한, 서포트부(220)는 카메라, 휴대폰, 또는 다른 촬상 장치에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것과 같은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서포트부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또는 다른 호환가능한 광학 요소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222)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보적인 맞물림 구조물들 중 어느 하나가 어퍼처(22)의 주변부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또는 다른 호환가능한 광학 요소의 대응하는 주변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보적인 맞물림 구조물들은 바람직하게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서포트부(220)에 단단히 연결되고, 또한 탈착가능하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어퍼처(222)는 렌즈(225)(도 2b), 또는 렌즈 마운트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간 렌즈 마운트 어댑터(도 6d-6e)와 같은 서포트부에 부착을 위한 유사한 맞물림 구조물을 갖는 다른 광학 요소들을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는 서포트부(220)에 부착을 위한 제1 상보적인 맞물림 구조물 세트, 및 일반적인, 상업적 렌즈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맞물림 구조물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렌즈용 마운트를 포함하는 렌즈 측(234)을 가지도록 고려된다.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소니 E-마운트 인터페이스를 갖는 렌즈에 부착을 위해 구성되었지만,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렌즈 마운트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이한 마운트 인터페이스 타입을 갖는 렌즈에 부착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렌즈(225)의 렌즈 측(234)는 초점 및/또는 줌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굴절성 글래스 조각을 포함할 수 있는 렌즈 광학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a는 렌즈(225)의 최전면 광학 요소(277)의 전면 표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렌즈(225)의 최후면 광학 요소(275)의 배면 표면을 나타낸다.
카메라 측(236)은 렌즈 측(234)과 마주보며, 카메라 측으로 언급되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단지 방향적인 참조이며 마운트 어댑터(224)가 다양한 서포트 구조물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참고적인 목적을 위해, 서포트부(220)는 렌즈 마운트 측(243) 및 마주보는 센서 측(245)을 갖는 것으로 언급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어퍼처(222)에는 구조화된 주변부 에지(226)가 구비된다. 적어도 제1 리세스(228)는 어퍼처(222)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리세스(230)는 제1 서포트 플랜지(232)에 의해 제1 리세스(228)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분리된다. 주변부 에지(226)에는, 도 3a를 참조하면, 제3, 제4, 제5 및 제6 리세스들(231, 233, 235, 239)와 같이 리세스(228)와 유사한 2개 또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 또는 7개 또는 9개 또는 그 이상의 리세스들 및 동일한 수의 매개 플랜지들(2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카메라 측(236)은 적어도 제1 회전 마운트 플랜지(238)를 포함하여,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제1 리세스(228)와 같은 어퍼처의 주변부 에지(226) 내에 있는 리세스들 중 하나를 관통하는 회전 마운트 플랜지(238)와 함께 어퍼처(222)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주변부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6개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238, 239, 240, 241, 242, 244)이 구비되어 있다(도 3b). 전형적으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는 서포트부(220) 상에 구비되는 리세스들(228)의 수와 동일한 수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이 구비될 것이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마운팅 시스템은 정렬 또는 키잉(keying)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부(220)의 주변부(226)는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렬 노치(221) 또는 다른 정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노치(221)는 어퍼처(222) 내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삽입 시에 표면 플레이트(248) 상에 구비되는 정렬 플랜지(223)에 대한 대응부가 정렬 노치(2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이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성공적으로 어퍼처(22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단일 회전 방향을 제공한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촬상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와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정렬 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며,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6개의 서로 다른 회전 방향들 중 하나로 삽입될 수 있다. 정렬 노치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상에 배치되고 정렬 플랜지가 서포트부(220) 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같이, 정렬 장치의 다른 구성들도 가능하다.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후술하는 도 8a-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246)이 구비되고, 이는 표면 플레이트(248)에 대하여 회전하고,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이 표면 플레이트(24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유발한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각각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가 서포트부(220)의 대응 리세스를 관통하도록, 광학 축을 따라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를 진행시키는 것에 의해 서포트부(220) 상에 장착된다. 일단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서포트부(220) 상에 안착되면, 회전 잠금 링은 각각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를 회전시켜 그것이 서포트 플랜지(232)와 같은 대응 서포트부 플랜지의 아래에(센서 측(245) 상에) 위치된다. 앞서 말한 것은 예를 들어 4개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을 갖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실시예의 카메라의 내부로부터 보여진 도면인 도 4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단한 끼움 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4개의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238, 240, 242 및 244) 각각은 대응 리세스(230)와의 정렬을 벗어나도록, 그리고 대응 서포트부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회전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추가의 특징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이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6a-6b를 참조한다.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에는 구조화된 윤곽을 갖는 또는 그렇지 않다면 비원형의 외측 주변부가 구비되어, 플레이트(248)가 서포트부(220)의 상보적인 캐비티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보적인 캐비티의 외측 주변부는 안착 표면(250)을 정의하고 서포트 플랜지들의 전면(렌즈 마운트 측) 표면과 서포트부(220)의 전면 표면(252) 사이에 있는 어퍼처(222)의 주변부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어퍼처(222)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가 따라서 상보적인 캐비티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 표면 플레이트(248)의 전면(카메라 측(236)) 표면은, 서포트 플랜지들(232)의 전면(렌즈 마운트 측(243)) 표면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 전면 표면(252)으로부터 카메라의 방향으로 이격된, 서포트부(220)의 간섭 표면에 인접한다. 안착 표면(250)의 외측 주변부는 표면 플레이트(248)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서포트부(220)에 대한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회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안착 표면(250)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크기에 의해 플레이트 전면 표면(252)로부터 리세스된다. 이 방식에서,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는 안착 표면(250) 내로 들어가고 플레이트 전면 표면(252)과 동일 높이의 인터페이스 및 플레이트 전면 표면과 평활한 연속 표면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서, 잠금 링(246)은, 제1 방향으로의 잠금 링(246)의 회전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방향으로(렌즈 측(234)을 향하여)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을 드로우하도록, 그리고 제2 방향으로의 잠금 링(246)의 회전이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을 카메라의 방향으로(카메라 측(236)을 향하여) 진행시키도록,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에 또는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에 대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링(246)이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을 회전적으로 진행시키도록 회전함에 따라,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대응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과 고정 플레이트(248) 사이에 서포트 플랜지들(232)의 압축 또는 핀칭(pinching)을 인가한다. 이러한 압축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와 서포트부(220) 간에 단단한 포지티브 락(PL)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또는 다른 광학 요소와 서포트부(220) 간의 연결은 카메라의 진동 또는 움직임에 기인한 실질적인 작용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c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될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잠금 링(246)은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에 직접 결합되고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들에서, 잠금 링(246)의 회전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에 대하여 광학적 축을 따라 잠금 링(246) 및 회전 마운트 플랜지들의 이동을 유발하고, 광학적 축을 따르는 이동 방향은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및 서포트부(220)의 마운팅 작용의 양태들의 요약의 형태로, 도 2a-3b를 참조하면, 잠금 링(246)은 초기에 비잠금 위치로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링이 비잠금 위치에 있을 때, 회전 플랜지들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주변부 상의 대응 고정 플랜지들(291)과 정렬된다. 사용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회전 플랜지들, 고정 플랜지들(291) 및 정렬 탭(223)을 서포트부(220)의 대응 리세스들(230) 및 정렬 노치(221)와 정렬하고,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를 어퍼처(222) 내로 삽입한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센서의 방향으로 어퍼처(222) 내로 정렬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회전 플랜지들은 대응 서포트부 리세스들을 통과하고 클리어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248)는, 키 요소, 플랜지들 및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그것의 주변부의 윤곽이 안착 캐비티(250)의 주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대응 윤곽과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어댑터(224)는 고정 플레이트(248)의 전면(카메라 측(235)) 표면이 서포트 플랜지들(232)의 전면 표면들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 축방향으로 어퍼처 내로 삽입된다. 이 시점에서, 고정 플레이트(248)는 안착 표면(250)에 대하여 안착된다. 사용자는 이제 잠금 링(246)을 회전시켜, 회전 플랜지들이 서포트 플랜지들(232) 뒤쪽(센서 측(245))으로 슬라이딩을 시작하는 것을 유발한다. 동시에, 이 회전은 회전 플랜지들이 고정 플레이트(248)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유발하여, 서포트 플랜지들(232)이 회전 플랜지들의 배면 표면들(렌즈 측(225))과 고정 플레이트(248)의 전면 표면(카메라 측(236)) 사이에 핀치되는 것을 유발한다. 잠금 링(246)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한다. 어댑터(224)를 릴리스하기 위해, 잠금 링(246)은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하고, 어댑터(224)는 어퍼터(222)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잠금 기구는 매우 작은 동작으로 서포트부(220)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간에 신뢰성있는 연결을 제공하고, 이는 모션 슈팅동안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렌즈(225) 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5)와 같은 광학 요소(예를 들어,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수-방향 측)는 회전 잠금 링(246) 및 회전 플랜지들과 같은, 잠금 기능과 관련된, 이동가능하고, 기계적으로 활성인 요소들을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특정한 이들 실시예들에 따른 서포트부(220)(예를 들어,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암-방향 측)은 서포트 플랜지들(232) 및 안착 캐비티(250)와 같은, 잠금 기능과 관련된, 단지 기계적으로 수동적인, 비-이동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포트부(220)는 렌즈 요소와 서포트, 또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간에 고정 힘을 제공하기 위한 편향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잠재적인 단점들 중에서, 베요넷식 렌즈 마운트에 있는 것과 같은 스프링의 포함은 모션 동안 렌즈 요소와 서포트부(220) 간의 동작을 허용한다. 또한, 서포트 플랜지들(232)의 전면 및 배면은 나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비정상적인 힘없이 고정 플레이트(248)의 대응 표면들과 회전 플랜지들 간에 서포트 플랜지들(232)의 고정된 표면 핀칭에 대한 고정된 표면을 허용한다. 스프링의 포함은 어느 정도의 비정상적인 힘을 생성할 수 있어, 잠금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클램핑 힘을 지원하기 위해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포트 플레이트(220)에 마운트된, 마이크로 4/3 (MFT) 어댑터와 같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60)의 측면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서포트 플레이트(220)에 마운트된 렌즈(265)를 나타낸다. 여기에 설명된 마운팅 기구는 전통적인 베요넷식 마운팅 시스템의 낮은 스택 높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포지티브 락(positive lock) 마운트의 높은 클램핑 강도를 제공한다. 이 마운트는 또한 매우 얕은 백 초점 또는 플랜지 초점 거리(262)를 가능하게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마운팅 시스템의 자연 플랜지 초점 거리(262)는 서포트부(220)의 플랜지 전면 표면(264)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267)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 평면(266)까지로 측정될 수 있다. 도 2a를 간략히 참조하면, 도 2a의 서포트부(220)의 플랜지 전면 표면은 어퍼처(222)의 개구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서포트부의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인접한 면(252)을 포함할 것이지만 버튼(280)이나 이 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리세스되는 다른 어떠한 부분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도 5a-5b를 다시 참조하면, 자연 플랜지 초점 거리(262)는 15 mm 미만으로부터 약 1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m 미만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자연 플랜지 초점 거리(262)는 8 mm이다. 도 5a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260)는 어댑터 마운트(261)를 포함하는데, 이는 암 마이크로 4/3 베요넷식 마운트가 될 수 있어, 수 마이크로 4/3 마운트를 갖는 렌즈의 부착을 허용한다. 부착된 어댑터(260)에 따라, 시스템의 유효 초점 깊이(263)는 이미지 평면(266)과 어댑터 마운트(261)의 렌즈 마운팅 플랜지(269) 사이로 측정될 수 있다. 얕은 자연 플랜지 초점 거리(262)는 상대적으로 얕은 플랜지 초점 거리들(예를 들어, 소니 E-마운트의 18 mm 또는 마이크로 4/3 마운트의 19.25 mm)을 갖는 마운팅 시스템들 뿐만 아니라 현저히 큰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갖는 렌즈를 포함하여, 카메라 상의 광범위한 렌즈의 호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렌즈 마운트 어댑터들은 여기에 설명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렌즈 마운트들 중 어느 하나와 호환가능한 마운팅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1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mm 미만으로부터 45 mm 초과 또는 50 mm 초과 범위의 플랜지 초점 깊이를 갖는 마운팅 시스템들을 구성할 수 있다.
용어 "백(back) 초점", "백 초점 거리", "플랜지 초점 거리" 및 "플랜지 초점 깊이"들은 여기에서 통용되고, 대체로 자연 마운팅 플랜지와 이미지 평면 간의 거리(예를 들어, 도 5a 및 5b에 도시된 거리(262))에 대응할 수 있거나, 렌즈 마운트 어댑터가 사용되는 경우, 어댑터의 마운팅 플랜지 또는 표면과 이미지 평면 간의 거리(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거리(263))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볼록 렌즈의 배면 정점과 같은 렌즈에 있어 광학부의 최후단 부분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렌즈의 디자인에 의존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서 이 거리는 플랜지 초점 거리(26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265)가 어퍼처 내에 삽입될 때, 렌즈(265) 내부에 있는 (도 3b에 도시된 렌즈(225)에서 보일 수 있는) 최후단 광학 요소(275)의 정점은 서포트부(220)의 이미지 센서 측 상에 있을 수 있다. 이는 플랜지 초점 깊이(262)보다 작은 역 렌즈-투-이미지 평면 거리(271)을 가져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역 렌즈-투-이미지 평면 거리(271)는 약 15, 10 또는 8mm를 넘지 않는 것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약 5mm를 넘지 않는 것까지의 범위이다. 일실시예에서, 렌즈-투-이미지 평면 거리(271)는 약 2mm이고, 플랜지 초점 거리(262)는 약 8mm이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현대의 렌즈 마운트 형태들 중 많은 것들이 요구하는 신호/파워 통과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광학적-전자적-기계적 기능을 추가로 보유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마운트는 또한 "돔" 마운트(광학적-기계적 전용)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카메라 측(236) 및 렌즈(225)의 카메라 측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가 부착될 촬상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바디 또는 휴대폰 바디)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253)의 패턴과 매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전극(251)을 포함한다. 노치(221) 및 플랜지(223)를 포함한 정렬 기구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전극들(251)과 촬상 장치의 전극들(253) 간의 적절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렌즈 측(234)은 한 쌍의 렌즈와 전기적 연통을 제공하도록 포고(pogo) 핀들과 같은 제2 복수의 전극들(254)을 포함한다(도 3c). 따라서, 어댑터(224)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되는 마운트가 소니 E-마운트 렌즈 또는 MFT 렌즈에 기계적 고정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면, 마운트의 렌즈 측 상의 전기적 커넥터들은 동일한 E-마운트 또는 MFT 렌즈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렌즈 마운트의 카메라 바디 측 상의 전기적 커넥터들은 대상이 되는 카메라 바디의 전기적 커넥터 패턴에 대응할 것이다.
이제 도 6a 및 도 6b로 돌아가면, 전면 및 배면 분해 사시도들에는 도 2a에 도시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회전 잠금 링(246),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 및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이 도시되어 있다. 잠금 링(246) 및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과 유사하게, 도시된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는 고리형이다. 표면 플레이트(248)는 한 세트의 고정 플랜지들(258)을 추가로 지지한다.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은 회전 플랜지들(238, 239, 240, 241, 242, 244)을 지지하고 회전 잠금 링(24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서포트 링(237)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에 있는 대응 슬롯들(247)을 관통하는 한 세트의 3개의 탭들(249)을 포함한다. 탭들(237)은 잠금 링(246) 상에 구비되는 파스너 개구들(257)의 쌍들을 관통하여 탭들(249) 상에 구비되는 대응 암 파스너 홀들 내로 스크류, 볼트 또는 다른 파스너의 삽입을 통해 잠금 링(246)에 고정된다. 비록 3개의 결합 탭들(249)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1개나 2개의 또는 3개보다 많은 탭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몰드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접착제를 가지고 연결되는 것과 같이, 잠금 링(246) 및 회전 링(237)은 실시예들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플레이트(248)의 주변부 상에 포함되는 슬롯들(247)은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 링(248)의 주변부를 따라 신장되고 커브진다. 이는 탭들(249)이 관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잠금 링(246)의 플랜지 서포트 링(237)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로부터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부착 및 탈착동안 결합된 잠금 링(246)/플랜지 서포트 링(237)이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 링(24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는 지지 플레이트(248)로부터 잠금 링(246)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잠금 링(246)의 내측 주변부 상에 구비되는 대응 나사 표면(256)과 결합되는 고리형 나사 표면(255)을 지지한다.
도 6c는 조립된 구성에 있어, 도 6a-6b의 잠금 링(246),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 링(248) 및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 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슬롯(247)을 관통하고, 서포트 링(247)을 회전 링(246)에 결합시키는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47)의 탭(249)을 나타낸다. 또한 도 6c는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나사결합된 표면(255)와 잠금 링(246)의 나사결합된 표면(256) 간의 연결을 나타낸다. 잠금 링(246)의 회전은 나사결합된 연결을 적용하여,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에 대하여 광학 축을 따라 잠금 링(246)과 플랜지 서포트 링(247)의 움직임을 가져오는데, 회전 방향에 따라서, 잠금 링(246) 및 플랜지 서포트 링(247) 중 하나는 서포트 플레이트(248)에 근접하도록 움직이고, 다른 하나는 서포트 플레이트(248)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도 2a, 6b 및 6c를 참조하면, 이 메카니즘은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과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의 카메라 측(236) 사이에서 서포트부(220)의 플랜지들(232)의 렌즈 마운트 측(243)의 압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a-6c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렌즈와 같은 다른 광학 요소들이 포지티브 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촬상 장치의 서포트부(220)와 맞물리도록 함께 기능하는 도 6a-6b에 도시된 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렌즈(225)는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잠금 링(246),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 링(248) 및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37)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잠금 링(246), 고정된 표면 플레이트(248) 및 회전 플랜지 서포트 링(247)을 포함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7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렌즈 마운트 어댑터(270)는 중간 어댑터인데, 렌즈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 분리된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전면 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e는 조립된 구성의 렌즈 마운트 어댑터(270)를 나타내는데, 그 위에 장착된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274)를 가지고 있다. 제2 렌즈 마운트 어댑터(27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가지 가능성만 말하면 캐논 EF 베요넷식 인터페이스 또는 니콘 F-마운트와 같이, 여기에 설명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렌즈 마운트 시스템들 중 어느 것도 구성할 수 있는, 렌즈 마운트 인터페이스(276)를 포함한다.
릴리스 기구들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렌즈(225) 및 렌즈 마운트 어댑터(270)와 같은 여기에 설명된 광학 요소들은 어퍼처(222) 내로의 정렬된 삽입, 및 포지티브 락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후속 회전을 통하여 서포트부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적인 잠금 기능에 더하여, 서포트부(220)로부터 광학 요소의 돌발적인 탈착 가능성을 추가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로 돌아가면, 돌발적인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안전 기구는 랜딩 패드(282) 및 포스트 또는 핀(284)를 포함하는 서포트부(220) 상에 구비되는 버튼(280)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 기구는 잠금 링(246)의 외측 주변부의 배면/카메라 측(236) 상에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및 렌즈(225)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86)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홀은 포스트(284)를 수용하는 형상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서포트 플레이트(248)에 있는 리세스들 중 하나에 의해 노출되는 잠금 링(246)의 배면/카메라 측(236)의 부분 상에 위치한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또는 다른 광학 요소의 플랜지들/리세스들을 서포트부(220)의 주변부의 대응 플랜지들/리세스들과 정렬하고 또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정렬 플랜지(223)를 서포트부(220)의 정렬 노치(221)와 정렬하고,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를 어퍼처(222) 내로 삽입할 때, 서포트부의 포스트(284)와 렌즈 마운트 상의 홀(286)은 정렬에서 벗어난다. 특히, 버튼(280)이 스프링 부하를 받고, 사용자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를 삽입할 때, 잠금 링(246)의 배면/카메라 측(236)의 일부분(288)은 포스트(284)와 접촉하여, 포스트(284)를 포함하여, 버튼을 누름동작할 것이다. 사용자가 렌즈 아운트 어댑터(224)를 포지티브 락, 고정 위치로 회전시킬 때, 포스트(284)는 결국 홀(286)과 정렬할 것이고, 스프링은 포스트(284)가 홀(286) 내로 연장되도록 이끌어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회전 및 돌발적인 탈착을 방지할 것이다. 사용자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 또는 다른 광학 요소를 분리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버튼(282)의 패드를 눌러, 포스트(284)가 홀(286)로부터 후퇴되도록 유발하여, 서포트부(220)로부터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회전 및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렌즈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a로 돌아가서,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로부터 렌즈(미도시)의 원하지 않는 탈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기구는 버튼(290) 또는 핑거 랜딩 패드(291)를 갖는 다른 제어부를 포함하고, 추가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 포스트 또는 핀(292)을 포함한다. 상기 핀(292)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대응 캐비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플랜지 전면 표면(227)에 있는 홀은 캐비티의 개구를 정의한다. 스프링 이완된,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핀(292)은 전면 플랜지 표면(227)을 넘어, 캐비티의 개구까지 미친다. 위에 설명된 안전 기구와 유사하게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와 서포트부(220) 사이에서, 사용자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 렌즈를 삽입할 때, 포스트(292)는 초기에는 렌즈의 배면 플랜지 표면과의 접촉을 통해 수축된다. 이후,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에 렌즈를 고정하기 위해 렌즈를 회전시키면, 포스트(292)는 렌즈 상에 구비되는 홀과 정렬되고, 스프링은 포스트(292)를 렌즈 상의 홀 내로 이끌어서, 렌즈의 회전 및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로부터 렌즈의 돌발적인 탈착을 방지한다.
버튼(29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92)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렌즈를 탈착하는 것을 원할 때, 사용자는 버튼(290)의 랜딩 패드(291) 상에서 누름 동작하여, 핀(292)이 홀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유발한다. 결국, 핀(292)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전면 플랜지 표면(227)에 대하여 같은 높이 또는 리세스되어, 렌즈의 회전 및 이어지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로부터 렌즈의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90)은 회전 잠금 링(246) 상에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회전 잠금 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290)은 잠금 링(264)에 형성되는 컷-아웃부(259)(도 6a)에 대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의 컷-아웃부(259)는 잠금 링(246)의 주변부의 전면(렌즈 측(234)) 에지에 형성되어 있고, 일정 크기의 버튼(290)을 수용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버튼(29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잠금 링(246) 상에 또는 그렇지 않다면 잠금 링에 결합되는 버튼(290)의 포함은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감소된 스택 높이를 가능하게 하면서, 대응하는 감소된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를 유지한다. 그러나, 잠금 링(246) 및 버튼(290)이 이동가능한 반면 포스트(292)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링(246)의 회전은 포스트(292)에 대하여 버튼의 변위를 유발할 것이다. 이는 도 7a(버튼(290) 및 포스트(292)가 정렬되어 있음) 및 도 7b(버튼(290) 및 포스트(292)가 서로 변위되어 있음)에 도시된 부분적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잠금 링은 도시의 목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도 7c-7d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안전 기구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서포트부(293)는 포스트(292)를 지지하며, 스프링(295)을 수용하는 하부 부분을 갖는다. 텅부(295)는 포스트 서포트부(293)로부터 버튼(290) 방향으로 연장된다. 버튼(290)은 독립적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으며, 한 쌍의 스프링(297)을 수용하는 하부 부분(296)을 포함한다. 잠금 링(246)의 중앙과 대면하는 버튼의 측면을 절단하는 그루브(298)가 있다.
버튼(290)과 포스트 서포트(293)가 정렬될 때(도 7a 및 도 7c), 포스트 서포트(293)의 텅부(295)는 버튼(290)의 그루브부(298) 내로 슬라이딩한다. 이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랜딩 패드(291) 상에서 누름 동작을 하면, 텅부(295)의 상부 표면은 그루브부(295)의 상부 표면의 이동과 간섭하여, 포스트 서포트(293) 및 포스트(292)가 버튼(290)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렌즈의 회전 및 탈착이 가능해진다. 반면, 잠금 링(246)의 회전에 기인하여 버튼(290)과 포스트 서포트(293)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도 7b), 버튼(290)과 포스트 서포트(293)는 맞물리지 않으며, 버튼(290)을 눌러도 포스트(292)를 이동시키지 않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92)로부터 버튼(290)의 디커플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에 설명된 릴리스 기구는 이동가능 잠금 링 상에 버튼(290)의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감소된 스택 높이, 그리고 여기에 설명된 플랜지 초점 거리들 중 어느 것도 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를 유지한다. 단지 몇가지 예들과 같이, 이러한 릴리스 기구와 결합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들은 약 18 mm의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갖는 소니 E-마운트 인터페이스 또는 약 19.25 mm의 플랜지 초점 거리를 갖는 마이크론 4/3 렌즈 마운트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핀(292)은 원통형이지만, 직각 프리즘과 같은 다른 형상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핀들 모두가 동일한 버튼에 결합되는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 별개의 버튼이 각각의 핀을 위해 제공되는 경우와 같이, 복수의 핀들이 렌즈 마운트 어댑터(224)의 전면 플랜지 표면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이 잠금 링 및 포스트에 대하여 도 7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버튼은 움직이지 않으며, 대신 포스트에 부착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잠금 링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신장 아치형 컷-아웃이 잠금 링의 일부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버튼은 상기 컷-아웃 부분에 안착되어, 잠금 링(246)의 회전동안 상기 버튼은 컷-아웃 부분에 남아 있고 잠금 링(246)을 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아치형 컷-아웃은 버튼을 치지 않으면서 잠금 및 해제 위치들 사이에서 잠금 링이 완전히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아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특징들 및 실시예들
도 8a는 촬상 장치의 광학 서포트부(220) 상의 어퍼처의 다른 실시예로부터 분리된, 광학 요소(225)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광학 요소(225)는 예를 들어, 렌즈, 렌즈 마운트 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가 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광학 서포트부(220)의 전면 정면도이다. 광학 요소(225)는 도 2a-2b, 도 3a-3c 및 도 6a-6d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유사하게 부호가 부여된 요소들과 같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한가지 차이점은 도 8a-8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6개가 아니라 4개의 회전 플랜지들(238, 240, 242 및 244) 및 서포트부 주변부 내의 대응 리세스들(228, 230, 234, 236)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 8a-8b의 광학 서포트부(220) 상의 정렬 요소(221)는 플랜지(221)이고, 광학 요소(225)의 고정 플레이트(248) 상의 대응 정렬 요소(223)는 노치이고, 이는 앞선 도면들에 묘사된 정렬 시스템의 대체로 반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추가의 전자적 양태들 및 특징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하우징은 다양한 특징들 중 하나를 갖는 전자 장치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고, 이하는 단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잠재적인 전자적 양태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예를 들어 2014년 2월 27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공개번호 2014/0055394에서 발견될 수 있고, 그 내용들은 그 전체를 참조로 여기에 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또는 다른 카메라-장착 핸드헬드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300)는 서브-통신 모듈(330), 커넥터(365) 및 이어폰 연결잭(367)과 같은 외부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예를 들어 도 1a-1b의 촬상 장치(102)가 될 수 있고, 반전 포지티브 락 마운팅 시스템들 중 하나를 포함하여, 여기에 설명된 마운팅 시스템들 중 하나를 가지고 사용하기 위해 구현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어폰, 외부 스피커,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레이들/도크, DMB(디지털 Multimedia Broadcasting) 안테나, 전자 지불 관련 장치, 헬스 케어 장치(예를 들어, 혈당 테스터), 게임 콘솔, 차량 네비게이션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전자 장치로부터 탈착가능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거기에 연결된다.
"외부 장치"는 또한 블루투스, 블루투스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사(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2.4 GHz 밴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 근거리 무선 통신(NFC) 및 이와 유사한 것, 그리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이용한 통신 장치,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무선 기술,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단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30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거리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서버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유닛(39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300)는 제어기(310), 이동 통신 모듈(320), 서브-통신 모듈(330), 멀티미디어 모듈(340), 카메라 모듈(350), GPS 모듈(355), 입/출력 모듈(360), 센서 모듈(370), 저장부(375) 및 파워 서플라이(3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33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331) 및 단거리 통신 모듈(3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340)은 방송 통신 모듈(341), 오디오 재생 모듈(342) 및 비디오 재생 모듈(3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350)은 제1 카메라(351), 제2 카메라(352) 및 제3 카메라(3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360)은 버튼들(361), 마이크(362), 스피커(363), 진동 모터(364), 커넥터(365) 및 키패드(3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및 제3 카메라들(352, 353)은 3-D 스틸 사진 또는 모션 비디오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진 툴 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효과들을 수용하기 위해 모두 장치(3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300)은 하나 이상의 라이트(354, 3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10)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해 중앙 처리 유닛(CPU)(311), 운영 체제(OS)와 같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ROM)(312) 및 외부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또는 전자 장치(300) 내에 작업 결과물에 대한 메모리 공간으로 이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을 포함할 수 있다. CPU(311)는 단일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311), ROM(312) 및 RAM(313)은 내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310)는 이동 통신 모듈(320), 서브-통신 모듈(330), 멀티미디어 모듈(340), 카메라 모듈(350), GPS 모듈(355), 입/출력 모듈(360), 센서 모듈(370), 저장부(375), 파워 서플라이(380), 디스플레이 유닛(39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를 제어한다.
이동 통신 모듈(320)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대일 안테나 또는 일대다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장치에 연결한다. 이동 통신 모듈(32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로/로부터 음성 통화, 화상 컨퍼런스 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메시지들에 대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며, 상기 휴대폰들은 전자 장치(300) 내에 입력된 전화 번호를 갖는다.
서브-통신 모듈(330)은 WLAN 모듈(331) 및 단거리 통신 모듈(3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브-통신 모듈(330)은 WLAN 모듈(331) 및 단거리 통신 모듈(33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WLAN 모듈(331)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있는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WLAN 모듈(331)은 WLAN 전기전자학회(IEEE) 802.11x 표준을 지원한다. 단거리 통신 모듈(332)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전자 장치(300)와 이미지 렌더링 장치 간의 단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단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블루투스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2.4 GHz 밴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 DIRECT,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무선 기술, NFC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호환될 수 있는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의 성능 요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모듈(320), WLAN 모듈(331) 및 단거리 통신 모듈(3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의 성능 요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모듈(320), WLAN 모듈(331) 및 단거리 통신 모듈(332)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40)은 방송 통신 모듈(341), 오디오 재생 모듈(342) 또는 비이도 재생 모듈(3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341)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방송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텔레비젼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추가의 방송 정보(예를 들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또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342)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저장된 또는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예를 들어, mp3, wma, ogg 또는 way와 같은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다. 비디오 재생 모듈(343)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저장된 또는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파일들(예를 들어 mpeg, mpg, mp4, avi, move 또는 mkv와 같은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다. 비디오 재생 모듈(343)은 또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40)은 방송 통신 모듈(341)을 제외하고는 오디오 재생 모듈(342) 및 비디오 재생 모듈(343)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40)의 오디오 재생 모듈(342) 또는 비디오 재생 모듈(343)은 제어기(3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스틸 이미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제1 카메라(351) 및 제2 카메라(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카메라(351 또는 352)는 각각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광량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51)는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카메라(352)는 전자 장치(3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카메라(351 및 352)는 각각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예를 들어, 제1 및 제2 카메라(351 및 352) 간의 거리가 1 cm. 내지 8 cm. 범위에 있을 수 있다), 3차원(3D) 스틸 이미지 또는3D 비디오 이미지를 캡처한다.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카메라(351, 352)는 여기에 설명된 촬상 장치들 및 마운팅 시스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마운팅 시스템들 또는 적절한 그 요소들 중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
GPS 모듈(355)은 지구 주위 궤도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며, GPS 위성로부터 전자 장치(300)까지의 도착 시간을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360)은 복수의 버튼(361), 마이크(362), 스피커(363), 진동 모터(364), 커넥터(365) 및 키패드(3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들(361)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파워/락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백 버튼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62)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음성 또는 소리를 수신함으로써 전기 신호들을 생성한다.
스피커(363)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이동 통신 모듈(320), 서브-통신 모듈(330), 멀티미디어 모듈(340) 또는 카메라 모듈(350)로부터 다양한 신호들(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비디오 파일 또는 포토그래피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들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63)는 전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에 대응하는 소리들(예를 들어, 버튼-누름 소리 또는 통화연결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다중의 스피커들(363)이 있을 수 있다.
진동 모터(364)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전기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서 전자 장치(300)는 음성 통화를 수신할 때 다른 장치로부터 진동 모터(364)를 작동시킨다.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터(364)가 있을 수 있다. 진동 모터(364)는 디스플레이 유닛(390) 상의 사용자의 터치 활동 또는 연속적인 터치들에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다.
커넥터(365)는 전자 장치(300)를 외부 장치 또는 파워 소스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의 저장부(3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커넥터(365)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00)는 커넥터(365)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파워 소스에 의해 파워를 공급받을 수 있거나, 파워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366)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366)는 전자 장치(300)에 형성된 기계적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39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패드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300)에 형성된 기계적 키패드는 전자 장치(300)의 성능 요건 또는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3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이어폰은 이어폰 연결잭(367)에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전자 장치(3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368)은 전자 장치(300)에 삽입되고 탈착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고, 늘려지고 전자 장치(3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368)의 부착 및 탈착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펜-탈착가능 인식 스위치(369)는 스타일러스 펜(368)이 탈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전자 장치(300) 내의 영역에 설치되고, 스타일러스 펜(368)의 부착 또는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기(300)로 전송한다. 펜-탈착가능 인식 스위치(369)는 스타일러스 펜(368)이 상기 영역 내에 삽입될 때 스타일러스 펜(368)과 직접 또는 간접 접촉할 수 있다. 펜-탈착가능 인식 스위치(369)는 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368)의 부착 또는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기(310)에 신호를 제공한다.
센서 모듈(370)은 전자 장치(30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70)은 전자 장치(300)에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전자 장치(300)의 주변 조도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조도 센서, 전자 장치(300)의 모션(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의 회전, 전자 장치(300)에 인가되는 가속 또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 지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를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중력 센서 및 대기압을 측정함으로써 고도를 감지하기 위한 고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기(310)로 전송하기 위해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370)의 센서는 전자 장치(300)의 성능 요건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저장부(375)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이동 통신 모듈(320), 서브-통신 모듈(330), 멀티미디어 모듈(340), 카메라 모듈(350), GPS 모듈, 입/출력 모듈(360), 센서 모듈(370), 디스플레이 모듈(390)의 작동에 따라 입/출력된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375)는 전자 장치(300) 또는 제어기(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용어 "저장부"는 저장부(375)를 나타내고, 또한 제어기(310)에 있는 ROM(312), RAM(313), 또는 전자 장치(300)에 설치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시큐어 디지털(SD) 카드, 메모리 스틱 및 이와 유사한 것)를 나타낸다. 또한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80)은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서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는 전자 장치(300)에 파워를 제공한다. 파워 서플라이(380)는 커넥터(365)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파워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파워로 전자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서플라이(3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파워 소스로부터 무선 파워로 전자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는 제어기(31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또는 사진을 만들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39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39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통화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통화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이와 유사한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출력 장치로서 또한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터치 스크린으로서 작동을 위하여 터치스크린 패널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UI 또는 GUI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사용자의 물리적 접촉(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들에 의해)에 의해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터치의 드래깅 움직임을 수신하고 드래깅 움직임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예를 들어, 저항 방식,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음파 방식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터치'는 사용자의 물리적 접촉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물리적 터치에 제한되지 않고, 터치없는 근접(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3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 간에 1 mm 미만의 검출가능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으로부터 검출가능한 거리는 전자 장치(300)의 성능 요건 또는 전자 장치(300)의 구조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특히,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및 접촉없는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 이벤트)을 구별가능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터치 검출 및 호버링 검출을 위한 상이한 값들(예를 들어 전류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곳으로부터의 거리를 호버링 검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값들(예를 들어, 전류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는 디스플레이 유닛(390)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XY 좌표로)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제어기(310)로 전송한다. 제어기(310)는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3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어기(310)는 디스플레이 유닛(39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숏컷 아이콘을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는 제어기(3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는 디스플레이 유닛(3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를 들어, 전류값)을 감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390)과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위치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Z 좌표를 가지고)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제어기(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300)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90)은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들 모두를 수신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 입력 장치에 의한 터치 또는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터치스크린 패널들은 상이한 출력값들을 디스플레이 제어기(395)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제어기(395)는 적어도 2개의 터치스크린 패널들로부터 입력된 값들을 상이하게 인식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 및 터치가능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을 구별할 수 있다.

Claims (55)

  1. 카메라로부터 잠금 및 분리 가능한,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로서:
    중앙 어퍼처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및
    상기 잠금 링에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요소의 렌즈 측과 마주보는 상기 카메라 요소의 카메라 측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2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링의 회전은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들을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들을 진행시키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전화기 하우징의 일부분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압축 표면과 나란히 배열되면서 마주보는 압축 표면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들의 압축 표면들은 돌출부들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압축 표면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요소는 카메라 렌즈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요소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은 상기 카메라 요소가 촬상 장치 하우징 상의 대응 인터페이스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요소는 카메라 렌즈가 거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카메라 요소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요소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의 대응 서포트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약 25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를 형성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20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18 밀리미터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19.25 밀리미터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수(male)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암(female) 인터페이스인,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대하여 6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6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대하여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적어도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6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돌출부들과 회전적으로 정렬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돌출부들로부터 회전적으로 옵셋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19. 제1항에 있어서,
    렌즈 마운트의 카메라 측 상에 있는 제1 복수의 전기 접점 및 렌즈 마운트의 렌즈 측 상에 있는 제2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전기 접점은 상기 제2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이한 구성을 갖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로우 프로파일, 포지티브 락 카메라 요소.
  22.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로서,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어퍼처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어퍼처 내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각각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 및 상기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아치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팅 시스템의 암(female) 측을 형성하는, 서포트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 전면 표면으로 연장되는 측벽의 전방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주변부를 갖는 광학 요소 안착 캐비티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포트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캐비티의 주변부는 상기 광학 요소의 대응 윤곽을 갖는 주변부 표면을 수용하도록 하는 윤곽을 갖는, 서포트부.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캐비티의 주변부의 윤곽은 상기 어퍼처 내로 상기 광학 요소의 단일-방향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키 요소를 포함하는, 서포트부.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카메라 상에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서포트부.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휴대폰 상에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서포트부.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의 렌즈 측 상에 구비되는, 서포트부.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휴대폰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서포트부.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어퍼처 내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서포트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4개의 아치형 플랜지는 상기 어퍼처의 주변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서포트부.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의 단일-방향 삽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측벽 상에 구비되는 정렬 키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포트부.
  33.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로서,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어퍼처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어퍼처 내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각각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 및 상기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아치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광학 요소를 상기 서포트부에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 서포트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베요넷식 마운트를 구성하지 않는, 서포트부.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트의 암(female) 부분을 구성하는, 서포트부.
  3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광학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어퍼처를 갖는 서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은 상기 어퍼처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입사되고, 상기 서포트부는:
    서포트 전면 표면, 서포트 배면 표면 및 이들 사이의 두께부;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과 서포트 배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어퍼처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어퍼처 내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포지티브 락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암 측을 형성하는, 촬상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들 각각은 상기 서포트 전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전면 표면 및 상기 서포트 배면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플랜지 배면 표면을 갖는, 촬상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15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 촬상 시스템.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10 밀리미터를 넘지 않는, 촬상 시스템.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시스템의 기본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8 밀리미터인, 촬상 시스템.
  41. 제36항에 있어서,
    포지티브 락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수(male) 측을 구성하고 상기 서포트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요소는 렌즈 또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요소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에 부착되는 렌즈 요소를 갖는 촬상 시스템의 유효 플랜지 초점 거리는 약 20mm를 넘지 않는, 촬상 시스템.
  44. 카메라로부터 잠금 및 분리 가능한, 렌즈 마운트 어댑터로서:
    중앙 어퍼처 주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상기 어퍼처 주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처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축에 수직인 렌즈 플랜지 표면;
    상기 렌즈 플랜지 표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운트되는 포스트;
    상기 잠금 링에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잠금 링이 제1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포스트에 맞물리고,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할 때 상기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및 포스트는 텅 앤 그루브 연결을 통해 서로 맞물리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상기 포스트와 맞물릴 때, 상기 버튼의 가동은, 상기 포스트가 상기 플랜지 표면까지 미치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포스트가 상기 플랜지 표면까지 미치지 않는 수축된 위치로, 상기 포스트가 이동하는 것을 유발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스프링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튼이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이동할 때 이완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변화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잠금 링의 회전은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들을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돌출부들을 진행시키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잠금 링의 회전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돌출부들을 진행시키고,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잠금 링의 회전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축을 따라 돌출부들을 진행시키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약 25 mm 또는 그 이하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약 20 mm 또는 그 이하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52.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18 mm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53.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 어댑터는, 촬상 장치의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대응 서포트부에 부착될 때, 19.25 mm의 유효 플랜지 초점 깊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마운트 어댑터.
  54. 중앙 어퍼처 주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가능한 잠금 링;
    렌즈 요소의 카메라 측 상에 구비되는 렌즈 인터페이스;
    스프링-이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탑재 포스트;
    기계적으로 가동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링이 제1 위치 쪽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어부의 가동이 스프링-탑재 포스트의 스프링-힘을 극복하여, 상기 포스트가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으로부터 더 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수축하도록 유발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때 상기 포스트가 수축하는 것을 유발하도록 가동될 수는 없는, 로우 프로파일 렌즈 요소.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 상의 표면은 플랜지 전면 표면인, 로우 프로파일 렌즈 요소.
KR1020177006357A 2014-08-07 2015-08-07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KR20170049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4446P 2014-08-07 2014-08-07
US62/034,446 2014-08-07
US201514820439A 2015-08-06 2015-08-06
US14/820,439 2015-08-06
PCT/US2015/044285 WO2016053476A1 (en) 2014-08-07 2015-08-07 Low-profile lens mou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520A true KR20170049520A (ko) 2017-05-10

Family

ID=5396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357A KR20170049520A (ko) 2014-08-07 2015-08-07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3385785B1 (ko)
JP (2) JP6381778B2 (ko)
KR (1) KR20170049520A (ko)
CN (1) CN106662721B (ko)
AU (1) AU2015324551A1 (ko)
CA (1) CA2956217A1 (ko)
ES (1) ES2684392T3 (ko)
WO (1) WO2016053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747B2 (ja) * 2016-02-10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マウント、交換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WO2018056075A1 (ja) * 2016-09-21 2019-06-27 株式会社nittoh 撮像装置
US10571312B2 (en) 2017-06-29 2020-02-25 Databuoy Corporation Adjustable mounting system
JP2019028112A (ja) * 2017-07-26 2019-02-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1051951B (zh) * 2017-09-01 2022-04-12 Mtd产品公司 光学传感器壳体
CN107508941B (zh) * 2017-09-27 2020-0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更换镜片的壳体组件及移动终端
JP6657513B2 (ja) * 2018-05-21 2020-03-04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撮像システム
CN109946904B (zh) * 2018-12-25 2021-10-29 卓曜(北京)科技有限公司 拍摄设备的卡口、转接环以及拍摄设备
JP6862508B2 (ja) * 2019-07-31 2021-04-2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レンズ用マウントアダプター
EP3796082B1 (en) 2019-09-18 2023-06-14 Axis AB Camera device
CN214846194U (zh) * 2020-11-17 2021-11-2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转接组件及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364A (en) * 1978-10-23 1980-12-16 Kiyoshi Doi Camera body mount
JPH0623821B2 (ja) * 1983-09-02 1994-03-30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バヨネットマウント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る光学機器
JPH078021B2 (ja) * 1988-10-20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切換機構
JP2003057742A (ja) * 2001-08-20 2003-02-26 Nikon Corp 中間リング装置
JP3846716B2 (ja) * 2002-04-05 2006-11-1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JP2004233722A (ja) * 2003-01-31 2004-08-19 Owl Support Corp カメラ付携帯電話用望遠レンズ
JP2006065209A (ja) * 2004-08-30 2006-03-0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2006251150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素子、光学素子製造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7171506A (ja) * 2005-12-21 2007-07-05 Fujifilm Corp カメラシステム
JP2007286201A (ja) * 2006-04-13 2007-11-01 Fujifilm Corp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300452B2 (ja) * 2008-12-18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8180411B2 (en) * 2009-02-08 2012-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jection molded solid mobile phone, machine, and method
JP5483233B2 (ja) * 2009-10-05 2014-05-07 宮本 和雄 レンズアダプタ
JP5446004B2 (ja) * 2009-10-28 2014-03-19 和雄 宮本 レンズアダプタ
KR101649636B1 (ko) * 2009-11-17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457701B2 (en) * 2010-06-16 2013-06-04 Incase Designs Corp.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79544B1 (en) * 2011-03-18 2012-10-02 Premier Systems USA, Inc Selectively attachable and removable lenses for communication devices
JP5810661B2 (ja) *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
JP5810659B2 (ja) *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13068833A (ja) * 2011-09-22 2013-04-18 Sony Corp アクセサリー、撮像装置及び検出方法
JP2013200473A (ja) * 2012-03-26 2013-10-03 Konica Minolta Inc 撮影補助具
JP2013217979A (ja) * 2012-04-04 2013-10-24 Panasonic Corp 取付構造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2013235074A (ja) * 2012-05-07 2013-11-21 Olympus Imaging Corp 光学機器
KR101915064B1 (ko) 2012-08-23 2018-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4043266A1 (en) * 2012-09-12 2014-03-20 Premier Systems Usa, Inc. Removable optical devic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14157248A (ja) * 2013-02-15 2014-08-28 Nikon Corp カメラ用アクセサ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5288A1 (en) 2017-06-07
EP3385785B1 (en) 2020-04-22
AU2015324551A2 (en) 2017-03-16
JP6381778B2 (ja) 2018-08-29
CN106662721A (zh) 2017-05-10
EP3175288B1 (en) 2018-06-20
CN106662721B (zh) 2020-01-21
CA2956217A1 (en) 2016-04-07
ES2684392T3 (es) 2018-10-02
JP2017532585A (ja) 2017-11-02
EP3385785A1 (en) 2018-10-10
WO2016053476A1 (en) 2016-04-07
JP2018185538A (ja) 2018-11-22
AU2015324551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1639B2 (en) Low-profile lens mount
KR20170049520A (ko) 로우 프로파일 렌즈 마운트
US10757322B2 (en) Method of setting initial position of camera, camera, and camera system
US9189028B2 (en) Portable computer-communicator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US9723196B2 (en) Imag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US9031610B2 (en) Camera attachment for phone
US9661231B2 (en) Imaging device attachable to a display device
EP3139584A1 (en) Camera-lens automatic pop-up device and terminal
US9362639B2 (en) Audio 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04221369A (zh) 摄像元件以及使用该摄像元件的摄像装置和摄像方法
KR102603448B1 (ko)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220273768U (zh) 图像捕获设备和附件
CN108780337B (zh) 包括全部装配在一起的智能手机、键盘和平板电脑而可以捕捉图像的个人数字助理
KR20210006249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34748B2 (en) Imag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lens and display device
CN104702848A (zh) 显示取景信息的方法及装置
CN219372502U (zh) 图像捕获设备
US10462345B2 (en) Deformable structure that compensates for displacement of a camera module of a camera accessory
US20240142742A1 (en) Image sensor with multiple lenses and alignment of the multiple lenses
JP2015215604A (ja) 撮像装置
KR20160075209A (ko) 클립형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형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