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448B1 -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448B1
KR102603448B1 KR1020170015109A KR20170015109A KR102603448B1 KR 102603448 B1 KR102603448 B1 KR 102603448B1 KR 1020170015109 A KR1020170015109 A KR 1020170015109A KR 20170015109 A KR20170015109 A KR 20170015109A KR 102603448 B1 KR102603448 B1 KR 10260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ngerprint sensor
area
key modu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104A (ko
Inventor
이용호
최원진
박민호
원창배
황세연
이명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448B1/ko
Priority to US15/663,264 priority patent/US10558833B2/en
Publication of KR2018009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2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an image communication mode and a non-image communicatio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지문센서부 및 누름키부가 장착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영역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면이 노출되고 상기 누름키부는 상기 지문센서부의 타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키부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키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지문감지센서와 누름키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키모듈이 구현되고 있다. 다만, 누름키모듈의 경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이 된 이후에 외력을 인가하여 구동 상태를 체크해야한다. 불량인 경우 조립된 본체를 다시 분해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방수가 가능하며 단말기 본체에 장착하기 전에 작동 테스트가 가능한 키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모듈은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지문센서부 및 누름키부가 장착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영역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면이 노출되고 상기 누름키부는 상기 지문센서부의 타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키부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돔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1 영역은 상기 지문센서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센서브라켓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지지부재와 접착되는 러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키모듈 내에서 누름키부가 작동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에 고정되기 전에 키모듈의 작동이 가능 확인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은 방수형 접착부재에 의하여 후면커버 또는 리어케이스에 접착되므로, 키모듈의 내부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내부의 방수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모듈은 일체로 형성되며 누름키부가 키모듈의 내부에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기 전에 누름키부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누름키부와 제2 브라켓이 탄성변형가능한 러버부로 연결되므로, 누룸키부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러버부에 의하여 키모듈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수구조의 키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키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키모듈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키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방수형 키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방수형 키모듈을 후면 커버에 고정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모듈이 리어케이스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300)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300)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30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300)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30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터치 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합하여 터치 스크린(151)으로 칭한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 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3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300)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300)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에 지문센서부를 포함하는 키모듈(200, 300)이 배치된다. 다만, 상기 키모듈(200, 300)은 전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키모듈(200, 300)은 노출되어 있는 일 면에 지문센서가 배치되고, 외력에 의한 눌림에 의하여 제어명령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지문센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키모듈(200, 300) 및 방수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키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키모듈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200)은 제1 브라켓(210), 접착층(221), 센서브라켓(230), 지문센서부(240), 제2 브라켓(250), 누름키부(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50)은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측벽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212)는 돌출된 방향으로부터 절곡되는 접착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212)의 높이만큼 상기 지지부(211)와 상기 측벽부(212)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지문센서부(240) 및 상기 누름키부(260)가 장착된 센서브라켓(230)이 수납된다.
한편, 상기 제2 브라켓(211)은 중심에 개구영역이 형성되는 개루프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영역으로 상기 지문센서부(24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브라켓(230)이 관통한다.
상기 제2 브라켓(211)의 외주는 상기 접착부(213)의 외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211)과 상기 접착부(213) 사이에 상기 접착층(221)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221)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50)이 일체로 고정된다. 즉, 상기 접착부(213)의 일면에 상기 접착층(221)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221) 상에 상기 제2 브라켓(250)이 부착된다.
한편, 상기 센서브라켓(230)은 상기 개구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지문센서부(240)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231) 및 외주가 상기 개구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브라켓(250)에 걸리는 제2 영역(2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231)은 상기 제1 브라켓(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영역(231)에 의하여 상기 센서브라켓(230)은 상기 제2 브라켓(2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상기 센서브라켓(230)은 상기 제2 브라켓(250)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50)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영역(231)은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231')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231')는 상기 지문센서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지문센서부(240)는 상기 제1 영역(231)에 걸림 조립되므로, 상기 센서브라켓(230)과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브라켓(230)의 일면에 상기 지문센서부(240)가 배치되고, 타면에 상기 누름키부(260)가 배치된다. 상기 누름키부(260)는 상기 제1 브라켓(210)의 상기 지지부(211)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누름키부(260)는 돔스위치(261) 및 회로기판(262)로 이루어지며, 상기 돔스위치(261)은 외부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지지부(21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브라켓(230) 또는 상기 지문감지부(240)에 의하여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센서브라켓(230) 자체가 상기 제1 브라켓(210)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211)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돔스위치(261)가 눌리며, 상기 회로기판(262)에 의하여 전기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전기신호 및 상기 지문센서부(240)에 의하여 획득된 지문정보를 메인 회로기판에 전달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241)이 상기 센서브라켓(23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241)이 외부로 연장되기 위하여,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상기 연성회로기판(241)이 안착되는 홈(2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210')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착층(211')도 개구홀(2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50)에 의한 일체형 키모듈(200)은 이동 단말기에 조립되기 전 상태로 눌림 테스트가 가능하다. 상기 누름키부(260)가 상기 제1 브라켓(21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센서브라켓(230) 또는 상기 지문감지부(24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누름키부(26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50)에 의한 일체형 키모듈(20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케이스(102) 및 후면 커버(103)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브라켓(210)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250)은 상기 후면 커버(103)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의 상기 접착부(213)의 타면에 접착부재(222)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213)의 타면과 상기 리어 케이스(102)가 접착된다.
한편, 상기 제2 브라켓(210)은 상기 후면 커버(103)와 맞닿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5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51)은 복수가 형성될 수 있으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돌기(251)은 중앙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221)은 상기 홀을 덮지 않는 상기 접착부(213)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103)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돌기(251)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03a)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 커버(103)는 상기 지문감지센서(240)가 장착된 센서브라켓(2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03a)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개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103)는 상기 걸림돌기(103a)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가이드돌기(251)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영역(103b)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251)의 단부는 상기 리세스영역(103b)에 안착되며, 상기 걸림돌기(103a)는 상기 가이드돌기(251)의 측면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키모듈(200)은 후면 커버(103)와 추가적인 접착부재 없이 조립이 가능하며, 걸림돌기(103a) 및 리세스영역(103b)에 의하여 상기 키모듈(200)의 상기 후면 커버(103)로부터의 이동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센서부와 눌림키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키모듈에 의하여 키모듈을 단말기 본체에 조립하기 이전에 불량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키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방수형 키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방수형 키모듈을 후면 커버에 고정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300)은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 러버부(340), 지문센서부(351), 센서브라켓(360), 제1 및 제2 접착층(331, 332), 누름키부(380) 및 플래쉬 렌즈(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층(331, 332)은 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방수형 접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은 제1 접착층(331)에 의하여 내부공간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상기 플레쉬 렌즈(370)에 대응되는 홀(310')을 포함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제1 및 제2 홀(320a, 320b)을 포함하는 커버영역(321), 상기 커버영역(32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브라켓(32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322) 및 상기 측벽부(32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브라켓(31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접착부(3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홀(320a)은 상기 지문센서부(351)가 장착된 상기 센서브라켓(360)의 일 영역이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홀(320b)은 상기 플래쉬 렌즈(370)의 일 영역이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333)의 일 면에 상기 제1 접착층(331)이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30)을 접착한다. 상기 제1 접착층(331)은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30)을 접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접착영역(331a) 및 상기 제1 브라켓(310)에 상기 플래쉬 렌즈(370)를 부착하기 위한 제2 접착영역(33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영역(331b)은 상기 플래쉬 렌즈(370)의 중앙으로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쉬 렌즈(370) 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브라켓(230)은 상기 개구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지문센서부(351)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361) 및 외주가 상기 개구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브라켓(320)에 걸리는 제2 영역(3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361)은 상기 제1 브라켓(3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영역(231)에 의하여 상기 센서브라켓(360)은 상기 제2 브라켓(3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상기 센서브라켓(360)은 상기 제2 브라켓(250)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도 5a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영역(361)은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문센서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서브라켓(230)과 상기 지문센서부(25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브라켓(360)의 일면에 상기 지문센서부(351)가 배치되고, 타면에 상기 누름키부(380)가 배치된다. 상기 누름키부(380)는 상기 제1 브라켓(3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누름키부(380)는 돔스위치(381) 및 회로기판(382)로 이루어지며, 상기 돔스위치(381)은 외부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382)는 지지부재(383)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83)은 상기 러버부(340)와 접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브라켓(31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브라켓(360) 또는 상기 지문센서감지부(351)에 의하여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센서브라켓(360) 자체가 상기 제2 브라켓(320)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 제1 브라켓(3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돔스위치(382)가 눌리며, 상기 회로기판(382)에 의하여 전기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전기신호 및 상기 지문센서부(351)에 의하여 획득된 지문정보를 메인 회로기판에 전달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352)이 상기 센서브라켓(36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352)이 외부로 연장되기 위하여,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상기 연성회로기판(241)이 안착되는 홈(3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320)의 상기 커버영역(331)의 내면에 상기 러버부(340)가 부착된다. 상기 러버부(340)는 상기 커버영역(331)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영역(331a)의 제1 및 제2 홀(320a, 320b)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홀(341a, 341b)을 포함한다.
도 4b 및 도 5a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러버부(340)는 러버층(341), 제1 내지 제3 접착부재(342, 343, 344)를 포함한다. 상기 러버층(341)을 상기 커버영역(331)의 내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착부재(342)가 상기 러버층(341)의 일면과 상기 커버영역(331)의 내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2 접착부재(343)는 상기 플래쉬 렌즈(370)의 일면과 접착되며, 또한, 상기 제3 접착부재(344)는 상기 지지부재(383)와 접착된다. 상기 러버층(341)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83)는 러버층(341)과 접착되므로, 상기 지문센서부(340)에 인가되는 외력에 근거하여 상기 지문센서부(340) 및 상기 눌림키부(380)를 포함하는 센서브라켓(360)이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러버층(3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외력이 없어지면, 상기 센서브라켓(360)은 원래의 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접착부재(342, 343, 344) 및 상기 러버층(341)에 의하여 상기 제2 브라켓(320)의 상기 제1 및 제2 홀(320a, 320b)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물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이 이루는 공간으로 유입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300)은 상기 제2 접착층(332)에 의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에 부착된다. 상기 제2 접착층(332)은 상기 제2 브라켓(320)의 상기 커버부(321) 상에 부착된다. 상기 제2 접착층(332)은 상기 제2 브라켓(320)의 상기 커버영역(3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홀(320a, 320b)와 대응되는 제1 및 제2 홀(332a, 332b)을 포함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커버(103)에 형성되어 상기 키모듈(300)의 일 영역 및 상기 플래쉬 렌즈(370)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개구영역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접착층(332)에 의하여 상기 키모듈(300)의 외면을 통하여 흘러들어가는 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부(340)의 상기 제1 내지 제3 접착부재(342, 343, 344)에 의하여 상기 센서 브라켓(360)의 상기 제1 영역(361)의 외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 사이로의 물의 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키모듈(300)은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키모듈(300)의 외부공간으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모듈이 리어케이스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에 따른 키모듈(300)의 구성요소는 상기 제2 접착층(332)을 빼고 도 5a의 키모듈(3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및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의 상기 커버부(321)의 외면은 상기 후면 커버(103)의 내면과 접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의 상기 접착면(323)에 접착층(322')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322')에 의하여 상기 접착면(323)과 상기 리어 케이스(104)가 접착된다.
상기 접착층(322')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10, 320)의 외부인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모듈(300)은 자체적으로 방수가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키모듈(300)을 부착하는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로의 물의 이동까지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지문센서부 및 누름키부가 장착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영역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면이 노출되고 상기 누름키부는 상기 지문센서부의 타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키부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브라켓은,
    상기 지문센서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외주가 상기 개구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브라켓에 걸리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지문센서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브라켓 및 상기 지문센서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접착되는 러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러버층;
    상기 러버층의 일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접착하는 제1 접착부재; 및
    상기 러버층의 타면과 상기 지지부재를 접착하는 제2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플래쉬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플래쉬 렌즈의 일 영역이 관통하는 추가 개구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러버부는 상기 플래쉬 렌즈와 상기 러버층을 접착하는 제3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모듈.
  8.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리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모듈은,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지문센서부 및 누름키부가 장착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 영역이 상기 개구영역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센서부의 일면이 노출되고 상기 누름키부는 상기 지문센서부의 타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키부는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후면 커버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돔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영역,
    상기 지지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일면이 상기 제2 브라켓과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타면은 상기 리어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개구영역이 형성되는 커버영역;
    상기 커버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일면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커버영역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방수형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케이스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방수형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70015109A 2017-02-02 2017-02-02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60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09A KR102603448B1 (ko) 2017-02-02 2017-02-02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15/663,264 US10558833B2 (en) 2017-02-02 2017-07-28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09A KR102603448B1 (ko) 2017-02-02 2017-02-02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04A KR20180090104A (ko) 2018-08-10
KR102603448B1 true KR102603448B1 (ko) 2023-11-17

Family

ID=6298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09A KR102603448B1 (ko) 2017-02-02 2017-02-02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8833B2 (ko)
KR (1) KR102603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71B1 (ko) * 2016-02-12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키 장치
WO2020034184A1 (zh) * 2018-08-17 2020-02-20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光学指纹传感器装置及其组装方法
KR102508823B1 (ko) * 2018-10-25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 버튼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143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834149B (zh) * 2019-04-22 2022-09-20 讯芯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按键模块及电子装置
CN110336905B (zh) * 2019-07-22 2021-05-25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带按键功能的指纹模块固定装置
CN110389626B (zh) * 2019-07-29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031728B (zh) * 2019-12-26 2021-04-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装配方法及拆卸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94135A1 (en) * 2012-11-20 2015-10-15 Crucialtec Co., Ltd. Fingerprint Sensor Modu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3731B1 (en) * 2000-04-20 2001-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essure sensitive direction switches
US20080088600A1 (en) * 2006-10-11 2008-04-17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US20150027941A1 (en) * 2011-10-24 2015-01-29 Minebay Pty Ltd Portable sewage collection system
KR101453027B1 (ko) * 2012-11-20 2014-10-2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지문센서 모듈,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4609A (ko) * 2013-04-17 2014-10-27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9697409B2 (en) * 2013-09-10 2017-07-04 Apple Inc. Biometric sensor stack structure
KR102192820B1 (ko) * 2014-04-24 2020-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 2014-12-11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79475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94135A1 (en) * 2012-11-20 2015-10-15 Crucialtec Co., Ltd. Fingerprint Sensor Modu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58833B2 (en) 2020-02-11
KR20180090104A (ko) 2018-08-10
US20180218194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99B1 (ko) 전자기기
KR102603448B1 (ko)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379913B1 (ko) 전자장치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72751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947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10163503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280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