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154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154A
KR20170048154A KR1020160125434A KR20160125434A KR20170048154A KR 20170048154 A KR20170048154 A KR 20170048154A KR 1020160125434 A KR1020160125434 A KR 1020160125434A KR 20160125434 A KR20160125434 A KR 20160125434A KR 20170048154 A KR20170048154 A KR 2017004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heel
toe
cen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481B1 (ko
Inventor
다카시 나카무라
다이스케 고노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053/04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과제) 헤드 본체에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된 구조의 헤드에 있어서, 새로운 효과가 부가된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
(해결 수단) 헤드(2)는, 헤드 본체(h1)와, 이 헤드 본체(h1)에 고정되는 페이스 플레이트(p1)를 구비한다. 페이스 플레이트(p1)는, 플레이트 전면(f1)과, 플레이트 후면(b1)과, 플레이트 측면(s1)을 갖는다. 플레이트 후면(b1)은, 도심(CF)을 갖는다. 헤드 본체(h1)는, 플레이트 후면(b1)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면(u1)을 갖는다. 플레이트 후면(b1)의 외주연부(16)는, 받침면(u1)에 접촉하는 돌출부(pr1)를 갖는다. 돌출부(pr1)의 토우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이 제1 구분(SG1)이 되고, 돌출부(pr1)의 힐측 영역이 제2 구분(SG2)이 될 때, 제1 구분(SG1)에 있어서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한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헤드 본체에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된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제2691496호는, 페이스체의 오목부와 맞물려 페이스체를 헤드 본체에 고정하는 볼록부가, 상기 헤드 본체의 일부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헤드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691496호
본 발명자는,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된 헤드에 있어서, 종래에 없는 새로운 구조가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이 새로운 구조는, 종래와는 이질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본체에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된 구조의 헤드에 있어서, 새로운 효과가 부가된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에 있다.
바람직한 골프 클럽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에 고정되는 페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는, 타구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전면과, 이 플레이트 전면과는 반대의 면인 플레이트 후면과, 플레이트 측면을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 후면은, 도심을 갖는다. 상기 헤드 본체는, 상기 플레이트 후면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면을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 후면의 외주연부가, 상기 받침면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의 토우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이 제1 구분이 되고, 상기 돌출부의 힐측 영역이 제2 구분이 될 때, 상기 제1 구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측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도심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하는 중앙 배치부와, 상기 도심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배치부와, 상기 도심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배치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배치부의 폭이, 상기 힐 배치부의 폭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배치부의 폭이, 상기 토우 배치부의 폭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톱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톱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힐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토우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는, 이하의 (a) 및/또는 (b)를 만족한다.
(a) 상기 힐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고, 이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상기 도심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b) 상기 토우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고, 이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상기 도심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헤드 본체에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구조를 이용하는 새로운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헤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헤드에 관련된 헤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과 동일한 배면도이다. 도 8에서는, 돌출부가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3의 F9-F9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F10-F10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F11-F11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소성 변형부가 형성되는 공정(코킹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제7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에 있어서 이하의 용어가 정의된다.
[기준 상태]
기준 상태란, 소정의 라이각 및 실제 로프트각으로 헤드가 수평면(h) 상에 놓여진 상태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헤드의 샤프트 구멍의 중심 축선(샤프트 축선)이, 수직면(VP1) 내에 배치된다. 수직면(VP1)은, 수평면(h)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페이스면(타구면)이 상기 수직면(VP1)에 대하여 실제 로프트각으로 경사져 있다. 소정의 라이각 및 실제 로프트각은, 예컨대, 제품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다.
[토우-힐 방향]
상기 기준 상태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VP1)과 상기 수평면(h)의 교선의 방향이 토우-힐 방향이다. 본원에 있어서, 토우측 및 힐측이라고 할 때는, 이 토우-힐 방향이 기준이 된다.
[페이스-백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며 또한 상기 수평면(h)에 평행한 방향이 페이스-백 방향이다. 본원에 있어서, 페이스측 및 백측이라고 할 때는, 이 페이스-백 방향이 기준이 된다.
[전후 방향]
타구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정의된다. 바꾸어 말하면, 타구면의 법선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원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이라고 할 때는, 이 전후 방향이 기준이 된다.
[상하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며 또한 타구면에 평행한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본원에 있어서, 상측 및 하측이라고 할 때는, 이 상하 방향이 기준이 된다.
[연직 상하 방향]
상기 수평면(h)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의 방향이 연직 상하 방향이다. 본원에 있어서, 연직 상측 및 연직 하측이라고 할 때는, 이 연직 상하 방향이 기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헤드(2)를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헤드(2)를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헤드(2)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타구면의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헤드(2)의 배면도이다.
헤드(2)는, 페이스(4), 호젤(6) 및 솔(8)을 갖는다. 호젤(6)은, 호젤 구멍(10)을 갖는다. 페이스(4)는 타구면이다. 페이스(4)의 표면에는, 페이스 홈이 형성되지만, 이 페이스 홈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솔(8)에는, 웨이트 부재(wt)가 배치된다. 헤드(2)는,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이다.
페이스(4)의 반대측에는, 백 캐비티(12)가 형성된다. 헤드(2)는, 캐비티백 아이언이다.
헤드(2)는, 헤드 본체(h1)와, 헤드 본체(h1)에 고정되는 페이스 플레이트(p1)를 갖는다. 헤드 본체(h1)의 재질은 금속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본체(h1)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다.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재질은 금속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재질은 티탄계 금속이다. 티탄계 금속이란, 순티탄 또는 티탄 합금을 의미한다. 헤드 본체(h1) 및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티탄 합금은, 티탄의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합금이다. 티탄 합금으로서, α 티탄, αβ 티탄 및 β 티탄을 들 수 있다. α 티탄으로서, 예컨대, Ti-5Al-2.5Sn, Ti-8Al-1V-1Mo를 들 수 있다. αβ 티탄으로서, 예컨대, Ti-6Al-4V, Ti-6Al-2Sn-4Zr-6Mo, Ti-6Al-6V-2Sn 및 Ti-4.5Al-3V-2Fe-2Mo를 들 수 있다. β 티탄으로서, 예컨대 Ti-15V-3Cr-3Sn-3Al, Ti-20V-4Al-1Sn, Ti-22V-4Al, Ti-15Mo-2.7Nb-3Al-0.2Si 및 Ti-16V-4Sn-3Al-3Nb를 들 수 있다. 순티탄으로서, 공업용 순티탄이 예시된다. 이 공업용 순티탄으로서, 일본 공업 규격으로 규정되는 1종 순티탄, 2종 순티탄, 3종 순티탄 및 4종 순티탄이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비중은, 헤드 본체(h1)의 비중보다 작다. 비중이 작은 페이스 플레이트(p1)는, 헤드(2)에 있어서의 중량을 주변에 배분하는 데 기여한다.
도 5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페이스 플레이트(p1)는, 플레이트 전면(f1)과, 플레이트 후면(b1)과, 플레이트 측면(s1)을 갖는다. 플레이트 전면(f1)은 타구면을 포함한다. 이 타구면은, 페이스 홈을 제외하고, 평면이다. 플레이트 후면(b1)은, 플레이트 전면(f1)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플레이트 측면(s1)은, 플레이트 전면(f1)과 플레이트 후면(b1) 사이에 연장된다.
플레이트 후면(b1)은, 환형의 외주연부(16)와, 이 외주연부(16)의 내측인 내측부(18)를 갖는다. 내측부(18)는, 외주연부(16)에 둘러싸인다. 외주연부(16)는, 받침면(u1)(후술)에 접촉하는 돌출부(pr1)를 갖는다.
외주연부(16)는, 플레이트 후면(b1)의 윤곽선(20)을 포함한다. 즉, 외주연부(16)의 외윤곽선은 윤곽선(20)이다.
도 7은 헤드 본체(h1)의 정면도이다. 헤드 본체(h1)는 개구부(14)를 갖는다. 이 개구부(14)의 윤곽은,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윤곽과 대략 동일하다.
헤드 본체(h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플레이트 후면(b1)을 지지하는 받침면(u1)과, 플레이트 측면(s1)에 대향하는 본체 측면(v1)을 갖는다. 받침면(u1)의 전체가, 단일의 평면으로 구성된다. 받침면(u1)은 개구부(14)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본체 측면(v1)은 페이스 플레이트(p1)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플레이트 후면(b1)의 일부가, 받침면(u1)에 접촉한다. 또, 도 7에서는, 소성 변형부(d1)(후술)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8은, 도 6과 동일하게, 플레이트 후면(b1)을 나타낸다. 도 8에서는, 돌출부(pr1)가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다. 돌출부(pr1)는 윤곽선(20)을 포함한다. 즉, 돌출부(pr1)의 외윤곽선은 윤곽선(20)이다.
돌출부(pr1)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두께는, 내측부(18)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두께보다 크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pr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 돌출부(pr1)가 헤드 본체(h1)에 접촉한다. 돌출부(pr1)를 제외한 플레이트 후면(b1)은, 헤드 본체(h1)에 접촉하지 않는다.
헤드 본체(h1)에, 돌출부(pr1)에 상당하는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헤드 본체(h1)의 비중이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비중보다 큰 경우, 이 돌출부의 설치는 헤드 중량의 증가로 이어진다. 덧붙여, 헤드 본체(h1)의 형상은 페이스 플레이트(p1)에 비교하여 복잡하기 때문에, 가공(예컨대 NC 가공)이 어렵다. 페이스 플레이트(p1)는, 플레이트 형상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도 8에 있어서 부호 CF로 표시된 것은, 플레이트 후면(b1)의 도심이다. 이 도심(CF)은, 플레이트 후면(b1)의 윤곽선(20)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8의 평면도에 있어서, 직선(x) 및 직선(y)이 정의된다. 직선(x)은, 도심(CF)을 통과하여 토우-힐 방향에 평행한 직선이다. 직선(y)은, 도심(CF)을 통과하여 상하 방향에 평행한 직선이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x) 및 직선(y)에 의해, 윤곽선(20)은 4개로 구분된다. 이들 4개의 구분의 각각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최소인 점이 결정된다. 토우 상측의 구분에 있어서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점이 부호 A로 표시되어 있다. 힐 상측의 구분에 있어서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점이 부호 B로 표시되어 있다. 힐 하측의 구분에 있어서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점이 부호 C로 표시되어 있다. 토우 하측의 구분에 있어서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점이 부호 D로 표시되어 있다. 점(A)과 도심(CF)을 연결하는 직선이, 직선(La)이다. 점(B)과 도심(CF)을 연결하는 직선이, 직선(Lb)이다. 점(C)과 도심(CF)을 연결하는 직선이, 직선(Lc)이다. 점(D)과 도심(CF)을 연결하는 직선이, 직선(Ld)이다.
이들 직선을 삼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헤드(2)가 4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직선(La)을 포함하며 또한 타구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Pa)과, 상기 직선(Lb)을 포함하며 또한 타구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Pb)과, 상기 직선(Lc)을 포함하며 또한 타구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Pc)과, 상기 직선(Ld)을 포함하며 또한 타구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Pd)이 정의된다(도 3 참조). 이들 4개의 평면(Pa, Pb, Pc 및 Pd)에 의해, 헤드(2)는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예컨대, 헤드 본체(h1) 및 페이스 플레이트(p1)의 각각도,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본원에 있어서의 4개의 영역(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이 정의된다. 이들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이, 4구분 영역이라고 총칭된다.
이 4구분 영역은, 헤드(2)의 모든 부분에 적용된다. 예컨대, 돌출부(pr1)는,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플레이트 측면(s1)은,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받침면(u1)은,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본체 측면(v1)은, 토우측 영역, 힐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으로 구분된다.
본원에서는, 돌출부(pr1)가, 제1 구분(SG1)과 제2 구분(SG2)으로 구획된다. 제1 구분(SG1)은, 토우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을 합친 부분이다. 제2 구분(SG2)은, 힐측 영역이다. 따라서, 제1 구분(SG1)과 제2 구분(SG2)의 경계는, 도 3에 도시된 평면(Pb) 및 평면(Pc)이다.
도 9는 도 3의 F9-F9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F10-F10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F11-F11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pr1)는, 받침면(u1)에 접촉한다. 한편, 내측부(18)는, 받침면(u1)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 9, 도 10 및 도 1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h1)는, 소성 변형부(d1)를 갖는다. 이 소성 변형부(d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전방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성 변형부(d1)는, 단차면(t1)의 전방에 위치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소성 변형부(d1)의 형성 순서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12의 (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전면(f1)의 주연부는, 타구면(페이스(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단차면(t1)을 갖는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면(t1)은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도 12의 (b)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변형부(d1)는, 단차면(t1)의 전방을 덮는다. 소성 변형부(d1)는, 플레이트 전면(f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단차면(t1)의 전체를 덮는다.
페이스 플레이트(p1) 고정의 관점에서, 단차면(t1)의 폭(Wt1)(도 5 참조)은, 0.2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성 변형부(d1)의 형성을 고려하면, 폭(Wt1)은, 2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성 변형부(d1)의 형성 방법에서는, 우선, 변형전 볼록부(d2)(도 12의 (a) 참조)를 갖는 헤드 본체(h1p)가 준비된다. 이 헤드 본체(h1p)는, 변형전 본체라고도 칭해진다. 도 12의 (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전 본체(h1p)에 페이스 플레이트(p1)가 세트된다. 이 단계에서는, 단차면(t1)의 전방에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은, 단차면(t1)을 저면으로 하는 홈형상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타구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는 지그에 의해, 변형전 볼록부(d2)가 압착된다. 변형전 볼록부(d2) 및 그 주변 부분은 소성 변형된다. 소성 변형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면(t1)의 전방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단차면(t1)의 전방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소성 변형부(d1)가 형성된다. 이 공정은, 코킹 공정이라고도 칭해진다. 이러한 소성 변형부(d1)는, 코킹부라고도 칭해진다.
이러한 가공 방법에서 기인하여, 소성 변형부(d1)에는 응력이 잔류할 수 있다. 소성 변형부(d1)가 페이스 플레이트(p1)를 압박하는 경우도 있다. 소성 변형부(d1)는, 단차면(t1)을 압박하는 경우도 있다.
소성 변형부(d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페이스 플레이트(p1)가 전방으로 벗어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소성 변형부(d1)는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페이스 플레이트(p1)를 압박한다. 소성 변형부(d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고정에 기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형전 볼록부(d2)가, 상기 개구부(14)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 변형전 볼록부(d2)의 전체에, 상기 가공이 실시된다. 결과적으로, 소성 변형부(d1)는,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도 8에 있어서 양화살표(WP)로 표시된 것은, 돌출부(pr1)의 폭이다. 이 폭(WP)은, 플레이트 후면(b1)의 평면시(도 8)에 있어서 측정된다. 폭(WP)은, 윤곽선(20)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따라서, 윤곽선(20)이 곡선인 경우, 윤곽선(20) 상의 점(T)에 있어서의 폭(WP)은, 그 점(T)에 있어서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이 돌출부(pr1)에서는, 솔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돌출부(pr1)는, 솔측 영역에서, 제1 폭(WP1)을 갖는 제1 부분(j1)과, 제2 폭(WP2)을 갖는 제2 부분(j2)과, 제3 폭(WP3)을 갖는 제3 부분(j3)을 갖는다. 제1 폭(WP1)은, 제2 폭(WP2)보다 크다. 제1 폭(WP1)은, 제3 폭(WP3)보다 크다. 제2 폭(WP2)은, 제3 폭(WP3)과 동일해도 좋고, 제3 폭(WP3)과 상이해도 좋다. 헤드(2)에서는, 솔측 영역에서,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한다.
제1 부분(j1)은,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이 제1 부분(j1)은, 중앙 배치부라고도 칭해진다. 제2 부분(j2)은,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이 제2 부분(j2)은, 토우 배치부라고도 칭해진다. 제3 부분(j3)은,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이 제3 부분(j3)은, 힐 배치부라고도 칭해진다.
이와 같이, 헤드(2)에서는, 돌출부(pr1)가,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하는 중앙 배치부(j1)와,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배치부(j2)와,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배치부(j3)를 갖는다. 중앙 배치부(j1)의 폭(WP1)이, 토우 배치부(j2)의 폭(WP2)보다 크다. 중앙 배치부(j1)의 폭(WP1)이, 힐 배치부(j3)의 폭(WP3)보다 크다. 또한, 이 구성이 솔측 영역에서 성립된다.
솔측 영역은, 전술한 제1 구분(SG1)에 포함된다. 따라서, 헤드(2)에서는, 제1 구분(SG1)에 있어서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한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과 상이하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또, 평균폭은, 윤곽선(20)의 길이로 전체 면적을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pr1)의 솔측 영역의 면적이 S가 되고, 솔측 영역에서의 윤곽선(20)의 길이가 L이 되고,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Wz가 될 때, 평균폭(Wz)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Wz = S/L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작다.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톱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중앙 배치부(j4)와, 토우 배치부(j5)와, 힐 배치부(j6)를 갖는다. 중앙 배치부(j4)는,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힐 배치부(j6)는,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토우 배치부(j5)는,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은, 힐 배치부(j6)의 폭(WP)보다 크다.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이, 토우 배치부(j5)의 폭(WP)보다 크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또한, 솔측 영역에서의 폭(WP)이 작다.
톱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중앙 배치부(j4)와, 토우 배치부(j5)와, 힐 배치부(j6)를 갖는다. 중앙 배치부(j4)는,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힐 배치부(j6)는,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토우 배치부(j5)는,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은, 힐 배치부(j6)의 폭(WP)보다 크다.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은, 토우 배치부(j5)의 폭(WP)보다 크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작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솔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제1 중앙 배치부(j1)와, 제1 토우 배치부(j2)와, 제1 힐 배치부(j3)를 갖는다. 제1 중앙 배치부(j1)는,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제1 토우 배치부(j2)는,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제1 힐 배치부(j3)는,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제1 중앙 배치부(j1)의 폭(WP)이, 제1 토우 배치부(j2)의 폭(WP)보다 크다. 제1 중앙 배치부(j1)의 폭(WP)은, 제1 힐 배치부(j3)의 폭(WP)보다 크다.
톱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제2 중앙 배치부(j4)와, 제2 토우 배치부(j5)와, 제2 힐 배치부(j6)를 갖는다. 제2 중앙 배치부(j4)는, 도심(CF)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제2 토우 배치부(j5)는, 도심(CF)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제2 힐 배치부(j6)는, 도심(CF)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제2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이, 제2 토우 배치부(j5)의 폭(WP)보다 크다. 제2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은, 제2 힐 배치부(j6)의 폭(WP)보다 크다.
제1 중앙 배치부(j1)의 토우-힐 방향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중앙 배치부(j4)의 토우-힐 방향 위치와 중복된다. 제1 토우 배치부(j2)의 토우-힐 방향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토우 배치부(j5)의 토우-힐 방향 위치와 중복된다. 제1 힐 배치부(j3)의 토우-힐 방향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힐 배치부(j6)의 토우-힐 방향 위치와 중복된다.
도 18은 제7 실시형태에 관련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배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우측 영역에서 폭(WP)이 변화한다.
힐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상배치부(j7)와, 이 상배치부(j7)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배치부(j8)를 갖는다. 하배치부(j8)의 폭(WP)은, 상배치부(j7)의 폭(WP)보다 작다. 하배치부(j8)의 폭(WP)의 평균치는, 상배치부(j7)의 폭(WP)의 평균치보다 작다.
토우측 영역에서, 돌출부(pr1)는, 상배치부(j9)와, 이 상배치부(j9)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배치부(j10)를 갖는다. 하배치부(j10)의 폭(WP)은, 상배치부(j9)의 폭(WP)보다 작다. 하배치부(j10)의 폭(WP)의 평균치는, 상배치부(j9)의 폭(WP)의 평균치보다 작다.
상배치부(j7)의 상하 방향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배치부(j9)의 상하 방향 위치와 중복된다. 하배치부(j8)의 상하 방향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하배치부(j10)의 상하 방향 위치와 중복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a) 및 (b)를 만족한다. (a) 또는 (b) 중 어느 한쪽만이 만족되어도 좋다.
(a) 힐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하고, 이 폭(WP)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도심(CF)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b) 토우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하고, 이 폭(WP)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도심(CF)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어느 실시형태에서도, 제1 구분(SG1)에 있어서 돌출부(pr1)의 폭(WP)이 변화한다. 즉, 제1 구분(SG1)에 있어서, 폭(WP)이 비교적 작은 부분과, 폭(WP)이 비교적 큰 부분이 존재한다.
폭(WP)이 작으면,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두께(플레이트 두께)가 작은 영역이 확대된다. 또한, 폭(WP)이 작으면,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플레이트 후면(b1)과 헤드 본체(h1)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헤드 본체(h1)에 의한 페이스 플레이트(p1)의 구속이 감소한다. 이들에서 기인하여, 타구시에 있어서의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변형이 촉진된다. 작은 폭(WP)은, 타구시에 있어서의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탄성 변형을 촉진한다. 폭(WP)이 작게 된 부위에서는, 반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폭(WP)이 큰 부위에서는, 반발 성능이 억제된다. 또한, 폭(WP)이 크게 됨으로써, 페이스 플레이트(p1)의 두께가 큰 영역이 확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6(도 8)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부(j1)에 의해, 타점이 집중되는 페이스 중앙부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덧붙여, 폭(WP)이 작은 토우 배치부(j2) 및 힐 배치부(j3)에 의해, 타점이 토우측 및 힐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헤드(2)에서는, 페이스의 중앙부와 그 토우측 및 힐측에서 반발 성능을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점의 변동에서 기인하는 비거리의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작기 때문에, 타점이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타점이 토우 하측 또는 힐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부(j1)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배치부(j2) 및 힐 배치부(j3)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도 13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의 폭(WP)이 작다. 이 때문에,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톱측의 중량이 감소하고, 헤드의 저무게중심화가 가능해진다. 덧붙여, 타점이 상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4 mm 이하가 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도 14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의 폭(WP)이 작다. 이 때문에, 타점이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아이언에서는, 티업하지 않고 잔디 위의 공을 치는 기회가 많다. 아이언에서는, 타점이 하측(솔 근처)이 되기 쉽다. 이 제3 실시형태는, 비교적 타점이 집중되기 쉬운 하측에서의 반발 성능을 높인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6 mm 이하가 된다.
도 15의 제4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부(j4)에 의해, 타점이 집중되는 페이스 중앙부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덧붙여, 폭(WP)이 작은 토우 배치부(j5) 및 힐 배치부(j6)에 의해, 타점이 토우측 및 힐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페이스의 중앙부와 그 토우측 및 힐측에서 반발 성능을 근접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점의 변동에서 기인하는 비거리의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톱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작기 때문에, 타점이 상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타점이 토우 상측 또는 힐 상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배치부(j5) 및 힐 배치부(j6)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도 16의 제5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제4 실시형태에서의 효과에 더하여, 솔측 영역의 폭(WP)이 작은 것으로 인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타점이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언에서는, 타점이 하측(솔 근처)이 되기 쉽다. 이 제5 실시형태는, 비교적 타점이 집중되기 쉬운 하측에서의 반발 성능을 높인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부(j4)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토우 배치부(j5) 및 힐 배치부(j6)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솔측 영역에서의 돌출부(pr1)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도 17의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제1 중앙 배치부(j1) 및 제2 중앙 배치부(j4)에 의해, 타점이 집중되는 페이스 중앙부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덧붙여, 폭(WP)이 작은 제1 토우 배치부(j2) 및 제2 토우 배치부(j5)와, 폭(WP)이 작은 제1 힐 배치부(j3) 및 제2 힐 배치부(j6)에 의해, 타점이 토우측 및 힐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페이스의 중앙부와 그 토우측 및 힐측에서 반발 성능을 더욱 근접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점의 변동에서 기인하는 비거리의 변동이 한층 더 억제된다.
도 18의 제7 실시형태에서는, 폭(WP)이 작은 하배치부(j8)에 의해, 타점이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언에서는, 타점이 하측(솔 근처)이 되기 쉽다. 하배치부(j8)는, 비교적 타점이 집중되기 쉬운 하측에서의 반발 성능을 높인다. 마찬가지로, 폭(WP)이 작은 하배치부(j10)에 의해, 타점이 하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하배치부(j10)는, 비교적 타점이 집중되기 쉬운 하측에서의 반발 성능을 높인다. 하배치부(j8)는, 특히 힐 하측에 있어서의 반발 성능에 기여한다. 하배치부(j10)는, 특히 토우 하측에 있어서의 반발 성능에 기여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상배치부(j7)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하배치부(j8)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상배치부(j9)의 폭(WP)이, 예컨대 1 mm 이상 8 mm 이하가 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하배치부(j10)의 폭(WP)이, 예컨대 0.5 mm 이상 5 mm 이하가 된다.
도 6 등의 실시형태에서는, 힐측 영역의 폭(WP)이 작고, 토우측 영역의 폭(WP)이 크다. 아이언에서는, 호젤 부분의 중량이 크고, 헤드 무게 중심이 힐 근처가 되는 경향이 있다. 힐측 영역의 폭(WP)을 작게 하고, 토우측 영역의 폭(WP)을 크게 함으로써, 헤드 무게 중심이 힐 근처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타점이 토우측으로 어긋났을 때의 반발 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폭(WP)이 작은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그 부분의 위치에 따른 효과가 얻어진다. 돌출부(pr1) 전체의 평균폭에 비교하여 폭(WP)이 작은 부분(소폭 부분)의 배치의 구성으로서, 이하의 (1) 내지 (18)이 예시된다. 덧붙여, 이하의 구성 (19)도 예시된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이 조합되어도 좋다.
(1)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토우측과 도심(CF)의 힐측에 배치된다.
(2)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상측과 도심(CF)의 하측에 배치된다.
(3)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과 솔측 영역에 배치된다.
(4) 소폭 부분이, 토우측 영역과 힐측 영역에 배치된다.
(5)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 솔측 영역, 토우측 영역 및 힐측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소 이상에 배치된다.
(6)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 솔측 영역, 토우측 영역 및 힐측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소 이상에 배치된다.
(7)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 솔측 영역, 토우측 영역 및 힐측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개소 이상에 배치된다.
(8)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 솔측 영역, 토우측 영역 및 힐측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다.
(9) 톱측 영역에서,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토우측과 도심(CF)의 힐측에 배치된다.
(10) 솔측 영역에서,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토우측과 도심(CF)의 힐측에 배치된다.
(11) 토우측 영역에서,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하측과 도심(CF)의 상측에 배치된다.
(12) 힐측 영역에서, 소폭 부분이 도심(CF)의 하측과 도심(CF)의 상측에 배치된다.
(13) 소폭 부분이, 힐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상측의 제1 위치와, 토우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하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4) 소폭 부분이, 토우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상측의 제1 위치와, 힐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하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5)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힐측의 제1 위치와, 솔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토우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6) 소폭 부분이, 솔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힐측의 제1 위치와, 톱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토우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7)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힐측의 제1 위치와, 솔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힐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8) 소폭 부분이, 톱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토우측의 제1 위치와, 솔측 영역이자 도심(CF)보다 토우측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19) 제1 구분(SG1)에 있어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이, 제2 구분(SG2)에 있어서의 돌출부(pr1)의 평균폭보다 크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분명해지지만,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전술한 헤드(2)와 동일한 헤드가 제작되었다. 페이스 플레이트(p1) 및 헤드 본체(변형전 본체)(h1p)가 준비되었다. 헤드 본체(h1p)는, 주조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헤드 본체(h1p)의 솔부에, 웨이트 부재(wt)가 장착되었다. 웨이트 부재(wt)의 재질은, 텅스텐니켈 합금이 되었다. 이 헤드 본체(h1p)는, 변형전 볼록부(d2)를 갖고 있었다. 이 변형전 볼록부(d2)는, 개구부(14) 주위의 전체에 형성된다. 헤드 본체(h1p)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SUS630)이었다. 페이스 플레이트(p1)는, 판재(압연재)로부터 잘라내어졌다. NC 가공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p1)의 플레이트 후면(b1)을 깎아, 원하는 돌출부(pr1)를 형성했다. 페이스 플레이트(p1)를 가공했기 때문에, 돌출부(pr1)의 형성은 용이했다. 페이스 플레이트(p1)의 재질은, 티탄 합금이었다. 이 티탄 합금으로서, 신닛테츠 스미킹사 제조의 Super-TIX(등록 상표)가 이용되었다.
이 페이스 플레이트(p1)가, 헤드 본체(h1p)의 개구부(14)에 끼워 넣어졌다. 다음으로, 전술한 코킹 공정이 이루어져, 변형전 볼록부(d2)가 소성 변형부(d1)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의 헤드를 얻었다.
이와 같이, 헤드 본체(h1p)에 부착하기 전의 페이스 플레이트(p1)를 가공함으로써, 돌출부(pr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었다.
이상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위성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우드형 헤드, 유틸리티형 헤드, 하이브리드형 헤드, 아이언형 헤드, 퍼터 헤드 등, 모든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2: 헤드 4: 페이스(타격면)
6: 호젤 8: 솔
10: 호젤 구멍 14: 개구
16: 외주연부 18: 내측부
20: 플레이트 후면의 윤곽선 h1: 헤드 본체
h1p: 헤드 본체(변형전 본체) v1: 본체 측면
p1: 페이스 플레이트 f1: 플레이트 전면
b1: 플레이트 후면 s1: 플레이트 측면
d1: 소성 변형부 t1: 단차면
pr1: 돌출부 CF: 도심
WP: 돌출부의 폭 SG1: 제1 구분
SG2: 제2 구분

Claims (7)

  1.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에 고정되는 페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가, 타구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전면과, 이 플레이트 전면과는 반대의 면인 플레이트 후면과, 플레이트 측면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후면이, 도심을 가지고,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플레이트 후면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면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후면의 외주연부가, 상기 받침면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토우측 영역, 톱측 영역 및 솔측 영역이 제1 구분이 되고, 상기 돌출부의 힐측 영역이 제2 구분이 될 때, 상기 제1 구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측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도심과 동일한 토우-힐 방향 위치를 포함하는 중앙 배치부와, 상기 도심보다 힐측에 위치하는 힐 배치부와, 상기 도심보다 토우측에 위치하는 토우 배치부를 가지고,
    상기 중앙 배치부의 폭이, 상기 힐 배치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중앙 배치부의 폭이, 상기 토우 배치부의 폭보다 큰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톱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과 상이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톱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보다 작은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힐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이, 상기 토우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평균폭보다 작은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하의 (a) 및 (b) 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a) 상기 힐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고, 이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상기 도심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b) 상기 토우측 영역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폭이 변화하고, 이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상기 도심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KR1020160125434A 2015-10-23 2016-09-29 골프 클럽 헤드 KR102608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8554 2015-10-23
JP2015208554A JP6484541B2 (ja) 2015-10-23 2015-10-23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54A true KR20170048154A (ko) 2017-05-08
KR102608481B1 KR102608481B1 (ko) 2023-11-30

Family

ID=5856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34A KR102608481B1 (ko) 2015-10-23 2016-09-29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69431B2 (ko)
JP (1) JP6484541B2 (ko)
KR (1) KR102608481B1 (ko)
CN (1) CN107007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4593B1 (ja) * 2015-06-04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428010B2 (ja) * 2020-02-28 2024-02-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2026184A (ja) * 2020-07-30 2022-0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496B2 (ja) 1992-12-16 1997-12-17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ツ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93119A1 (en) * 2005-06-22 2006-12-28 Nelson Precision Casting Co., Ltd. Striking plate for golf club head
KR20150020094A (ko) * 2013-08-13 2015-02-25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922A (en) * 1993-04-22 1994-04-19 Lo Kun Nan Composite golf club head
US5683310A (en) * 1996-07-02 1997-11-04 Chen; Archer C. C. Metal head of golf club
US6379262B1 (en) * 1999-01-23 2002-04-30 David D. Boone Set of golf club irons
JP4015541B2 (ja) * 2002-12-06 2007-11-28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7211006B2 (en) * 2003-04-10 2007-05-01 Chang Dale U Golf club including striking member and associated methods
JP4206031B2 (ja) * 2003-11-10 2009-01-07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160204B2 (en) * 2004-02-12 2007-01-09 Fu Sheng Industrial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a striking plate of a golf club head
US6962538B2 (en) * 2004-03-11 2005-11-08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multiple undercuts
US20060073912A1 (en) * 2004-10-06 2006-04-06 Nelson Precision Casting Co., Ltd. Combination of body and striking plate for golf club head
JP4410667B2 (ja) * 2004-12-01 2010-02-03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528252B2 (ja) * 2005-06-13 2010-08-18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3116162U (ja) * 2005-06-14 2005-12-02 楠盛股▲分▼有限公司 ゴルフクラブヘッド構造
TWM294959U (en) * 2006-01-27 2006-08-01 Advanced Int Multitech Co Ltd Golf club head structure
JP2007289513A (ja) * 2006-04-26 2007-11-08 Sri Sports Ltd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84542B2 (ja) * 2015-10-23 2019-03-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84543B2 (ja) * 2015-10-23 2019-03-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84540B2 (ja) * 2015-10-23 2019-03-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90225B2 (ja) * 2015-12-21 2020-04-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496B2 (ja) 1992-12-16 1997-12-17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ツ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93119A1 (en) * 2005-06-22 2006-12-28 Nelson Precision Casting Co., Ltd. Striking plate for golf club head
KR20150020094A (ko) * 2013-08-13 2015-02-25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69431B2 (en) 2019-08-06
US20170113103A1 (en) 2017-04-27
JP2017079829A (ja) 2017-05-18
CN107007980B (zh) 2020-08-28
KR102608481B1 (ko) 2023-11-30
CN107007980A (zh) 2017-08-04
JP6484541B2 (ja)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8970B2 (ja) ゴルフクラブ
JPH11114102A (ja) ゴルフクラブ
JP535098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8454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561908B2 (en) Golf club head
JP2005137787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170048154A (ko) 골프 클럽 헤드
CN106902501B (zh) 高尔夫球杆头
JP666275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07938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2608482B1 (ko) 골프 클럽 헤드
US20170113106A1 (en) Golf club head
JP4719113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11326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6196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29825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23768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12016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682602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0005356A (ja) アイアンクラブヘッド
JP627220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118157A (ja) アイアンクラブヘッド
JP200209577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0839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73670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