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773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773A
KR20170046773A KR1020177008667A KR20177008667A KR20170046773A KR 20170046773 A KR20170046773 A KR 20170046773A KR 1020177008667 A KR1020177008667 A KR 1020177008667A KR 20177008667 A KR20177008667 A KR 20177008667A KR 20170046773 A KR20170046773 A KR 2017004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elevator
layer
operation mode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424B1 (ko
Inventor
치아키 혼다
마사시 고마츠
아쉬큐어 라만
데이비드 빌렘 로데비크 오페하우스
타카하루 우에다
신이치 구로다
고지 야마기시
겐지 다니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4Mechanical devices that can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를 계속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4a~4c)과 피난층(5)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하고, 당해 구출층(4a~4c)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4a~4c)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4a~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하고, 당해 구출층(4a~4c)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4a~4c)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4a~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당해 구출층(4a~4c)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시한다.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출층과 피난층이 설정된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는 각 구출층에 마련된다.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피난 유도원은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를 조작한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은 피난 운전 모드에 의한 동작을 유지한다. 피난 운전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은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의 사이를 왕래한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에 남겨진 피난자는, 피난층으로 피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3/001643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당해 구출층에 남겨진 피난자가 피난한 후, 피난 유도원이 피난 운전 요구 장치의 조작을 해제하는 일 없이 비상 계단 등으로 피난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은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의 사이의 왕래를 유지한다. 이때, 당해 구출층 이외의 구출층에 남겨진 피난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없다.
이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를 계속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와,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와, 상기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하고,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하고,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이 때문에, 타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가 설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를 계속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건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구출층의 승강장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피난층의 승강장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의 표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건물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건물은 복수의 층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층은, 1층에서부터 12층으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는 건물의 일측에 마련된다. 승강로(1)는 건물의 각층을 관통한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은 건물의 각층에 마련된다. 각 승강장(2)은 승강로(1)에 대향한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3)은 승강로(1)의 내부에 있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건물에 대해, 적어도 1개의 구출층이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3개의 구출층이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구출층(4a)은 5층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구출층(4b)은 8층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구출층(4c)은 11층으로 설정된다. 건물에 대해, 적어도 1개의 피난층이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피난층(5)은 최하층인 1층으로 설정된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는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는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알림 장치(8)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알림 장치(8)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소리로 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점등 장치(9)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점등 장치(9)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구출층(4a, 4b, 4c)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에 마련된다.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12)는 승강로(1)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어장치(12)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와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와 알림 장치(8)와 점등 장치(9)와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와 진입 금지 표시장치(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건물에 있어서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를 피난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피난 유도원(13a)은 담당 구출층(4a)의 승강장(2)에 즉시 달려간다. 피난 유도원(13b)은 담당 구출층(4b)의 승강장(2)에 즉시 달려간다. 피난 유도원(13c)은 담당 구출층(4c)의 승강장(2)에 즉시 달려간다.
피난 유도원(13a)은 엘리베이터 칸(3)을 이용하여 피난자(14a)를 피난층(5)으로 피난 유도한다. 피난 유도원(13b)은 엘리베이터 칸(3)을 이용하여 피난자(14b)를 피난층(5)으로 피난 유도한다. 피난 유도원(13c)은 엘리베이터 칸(3)을 이용하여 피난자(14c)를 피난층(5)으로 피난 유도한다.
예를 들면, 피난 유도원(13a)은 구출층(4a)에 있어서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를 조작한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과 피난층(5)을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한다.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피난 유도원(13a)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를 조작했을 경우, 제어장치(12)는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한다. 이때,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이동시킨다.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피난 유도원(13a)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12)는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이동시킨다.
제어장치(12)는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 후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닫기 전에 구출층(4a)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알림 장치(8)가 알리게 한다. 피난 유도원(13a)은 피난 운전 모드의 유지를 희망할 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완전 닫히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를 조작한다.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때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의 예정을 취소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a)과 피난층(5)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피난 유도원(13b)이 구출층(4b)에 있어서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를 조작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12)는 구출층(4b)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예약한다. 이때, 구출층(4b)의 점등 장치(9)는 점등한다. 구출층(4b)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b)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휴지(休止) 모드로 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또는 엘리베이터 칸(3)이 고온이 되었을 경우,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휴지 모드로 한다. 이러한 경우, 구출층(4a, 4b, 4c)의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엘리베이터 칸(3)으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상과는 상이한 내용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엘리베이터 칸(3)으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점멸시켜 표시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제어장치(12)를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CPU와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과 알림 제어 수단(12b)과 점등 제어 수단(12c)과 제1 표시 제어 수단(12d)과 제2 표시 제어 수단(12e)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엘리베이터 칸(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되었을 때 송신하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당해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 등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때 송신하는 이동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당해 이동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 등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때 송신하는 이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은 구출층(4a) 등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완전 닫히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때 송신하는 취소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취소 신호에 기초하여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의 예정을 취소한다.
알림 제어 수단(12b)은 알림 장치(8)의 알림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알림 제어 수단(12b)은 엘리베이터 칸(3)이 구출층(4a) 등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지 않음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기 전에, 구출층(4a) 등의 알림 장치(8)에 알림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구출층(4a) 등의 알림 장치(8)는 당해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알린다.
점등 제어 수단(12c)은 점등 장치(9)의 점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점등 제어 수단(12c)은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12a)이 구출층(4b) 등과 피난층(5)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를 예약했을 때 구출층(4b) 등의 점등 장치(9)에 점등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구출층(4b) 등의 점등 장치(9)는 당해 점등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된다.
제1 표시 제어 수단(12d)은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표시 제어 수단(12d)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예약 상태 신호를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에 송신한다. 이때,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당해 예약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2 표시 제어 수단(12e)은 진입 금지 표시장치(11)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2 표시 제어 수단(12e)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휴지 모드로 되었을 경우에 진입 금지 신호를 구출층(4a) 등의 진입 금지 표시장치(11)에 송신한다. 이때, 구출층(4a) 등의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엘리베이터 칸(3)으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상과는 상이한 내용으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구출층(4a~4c)의 승강장(2)을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구출층의 승강장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어(15a)는 승강장(2)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6a)은 승강장(2)의 출입구의 일측의 하방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6a)은 제어장치(12)(도 3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승강장 조작반(16a)은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와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는 승강장 조작반(16a)의 하방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는 조작 버튼을 겸한다. 조작 버튼은 상방 버튼(17a)과 하방 버튼(18a)으로 이루어진다. 조작 버튼은 버튼등(button lamp)을 구비한다. 버튼등은 점등 장치(9)를 겸한다. 표시장치는 승강장 조작반(16a)의 상부에 마련된다. 표시장치는 위치 표시장치(19a)와 이동 방향 표시장치(20a)로 이루어진다. 위치 표시장치(19a)는 표시장치의 하방에 마련된다. 위치 표시장치(19a)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위치 표시장치(19a)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층을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a)는 표시장치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a)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방향 표시장치(20a)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피난 유도 조작반(21)은 승강장(2)의 출입구의 일측의 상부에 마련된다. 피난 유도 조작반(21)은 제어장치(12)(도 3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피난 유도 조작반(21)은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와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와 진입 금지 표시장치(11)와 통보 장치(22)를 구비한다.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는 피난 유도 조작반(21)의 중앙에 마련된다.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를 겸한다.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의 상방에 마련된다.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와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사이에 마련된다. 통보 장치(22)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의 하방에 마련된다. 통보 장치(22)는 통화 버튼(22a)과 스피커 마이크(22b)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피난층(5)의 승강장(2)을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피난층의 승강장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어(15b)는 승강장(2)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6b)은 승강장(2)의 출입구의 일측의 하방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6b)은 제어장치(12)(도 4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승강장 조작반(16b)은 조작 버튼과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조작 버튼은 승강장 조작반(16b)의 하방에 마련된다. 조작 버튼은 상방 버튼(17b)으로 이루어진다. 표시장치는 승강장 조작반(16b)의 상부에 마련된다. 표시장치는 위치 표시장치(19b)와 이동 방향 표시장치(20b)로 이루어진다. 위치 표시장치(19b)는 표시장치의 하방에 마련된다. 위치 표시장치(19b)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위치 표시장치(19b)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층을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b)는 승강장 조작반(16b)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b)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방향 표시장치(20b)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소방원용 조작반(23)은 승강장(2)의 출입구의 일측의 상부에 마련된다. 소방원용 조작반(23)은 제어장치(12)(도 4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소방원용 조작반(23)은 강제 귀착(return) 운전 모드 요구 장치(24)와 통보 장치(25)와 진입 금지 표시장치(26)와 사용 상태 표시장치(27)를 구비한다.
강제 귀착 운전 모드 요구 장치(24)는 소방원용 조작반(23)의 중앙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강제 귀착 운전 모드 요구 장치(24)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통보 장치(25)는 강제 귀착 운전 모드 요구 장치(24)의 하방에 마련된다. 통보 장치(25)는 통화 버튼(25a)과 스피커 마이크(25b)로 이루어진다. 진입 금지 표시장치(26)는 강제 귀착 운전 모드 요구 장치(24)의 상방에 마련된다. 사용 상태 표시장치(27)는 진입 금지 표시장치(26)의 상방에 마련된다.
또한, 구출층(4a~4c)과 피난층(5) 이외의 층의 승강장(2)에도, 진입 금지 표시장치(11, 26)와 거의 동등한 금지 표시장치가 마련된다. 구출층(4a~4c)과 피난층(5) 이외의 층의 승강장(2)에도, 승강장 조작반(16a, 16b)과 거의 동등한 승강장 조작반이 마련된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를 설명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어(15c)는 엘리베이터 칸(3)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은 엘리베이터 칸(3)의 일측의 측벽(側壁)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은 제어장치(12)(도 5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은 조작 버튼(29)과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조작 버튼(29)은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의 하방에 마련된다. 표시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의 상부에 마련된다. 표시장치는 위치 표시장치(19c)와 이동 방향 표시장치(20c)로 이루어진다. 위치 표시장치(19c)는 표시장치의 하방에 마련된다. 위치 표시장치(19c)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위치 표시장치(19c)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층을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c)는 표시장치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동 방향 표시장치(20c)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방향 표시장치(20c)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연락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일측의 측벽의 상부에 마련된다. 연락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28)보다도 엘리베이터 칸(3)의 안쪽에 마련된다. 연락 장치(30)는 제어장치(12)(도 5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연락 장치(30)는 스피커 마이크(31)와 피난 유도 표시장치(32)를 구비한다.
스피커 마이크(31)는 연락 장치(30)의 하방에 마련된다. 피난 유도 표시장치(32)는 연락 장치(30)의 상부에 마련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블록(33a)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를 나타낸다. 블록(33b)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가 1번째인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를 나타낸다. 블록(33c)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가 2번째 이후인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의 표시를 나타낸다.
블록(33a)에 있어서,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항상 점등된다. 블록(33b)에 있어서,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1초의 간격으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블록(33c)에 있어서, 당해 구출층(4a) 등의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0.5초의 간격으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제어장치(12)는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것을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제어장치(12)는 스텝 S1에서 조작되었다고 판단된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있는 구출층과는 상이한 구출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이미 조작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당해 구출층과는 상이한 구출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이미 조작된 상태에 있는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예약한다. 이때,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층의 점등 장치(9)를 점등시킨다.
스텝 S2에서 당해 구출층과는 상이한 구출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가 아닌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 당해 구출층과는 상이한 모든 구출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의 조작이 해제되었을 경우도,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층을 구출 선택층으로 설정한다. 그 후,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을 당해 구출 선택층으로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3)이 당해 구출 선택층에 도착하면,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를 연다. 이때,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유도원은, 당해 구출 선택층에 남겨진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로 유도한다.
스텝 S5의 후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이 당해 구출 선택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판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 시간은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의 피난 유도원의 피난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건물 전체의 피난 활동을 효율 좋게 행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판정 시간은 5분으로 미리 설정된다.
스텝 S6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당해 구출 선택층에 정지하고 나서 판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으로 돌아간다. 스텝 S7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를 닫기 시작한다. 그 후, 스텝 S9로 진행하여,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가 완전 닫히기 전에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다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가 완전 닫히기 전에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다시 조작되었을 경우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를 반전하여 연다. 그 후, 스텝 S6에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9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a, 15c)가 완전 닫히기 전에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다시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3)이 피난층(5)에 도착하면, 제어장치(12)는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도어(15b, 15c)를 연다.
이때,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아나운스로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차임(chime)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조명을 일단 소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그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12)는 도어(15b, 15c)를 닫는다. 그 후,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5에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12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제어장치(12)는 피난 운전 모드의 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에서 피난 운전 모드의 예약이 있는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제어장치(12)는 피난 운전 모드의 예약의 내용에 따라 다른 구출층을 구출 선택층으로 한다. 그 후, 스텝 S5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13에서 피난 운전 모드의 예약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제어장치(12)는 피난 운전 모드를 종료한다.
스텝 S6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당해 구출 선택층에 정지하고 나서 판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피난 선택층의 알림 장치(8)를 동작시킨다. 이때, 알림 장치(8)는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소리로 알린다. 예를 들면, 알림 장치(8)는 차임으로 당해 구출 선택층의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알린다.
스텝 S16의 후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스텝 S6에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17에서 당해 구출 선택층의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 선택층에 있어서 도어(15b, 15c)를 닫는다. 그 후,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3)이 피난층(5)에 도착하면, 제어장치(12)는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도어(15b, 15c)를 개방한다.
이때,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아나운스로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차임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조명을 일단 소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내부의 피난자를 엘리베이터 칸(3)의 외부로 유도한다. 그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12)는 도어(15b, 15c)를 닫는다. 그 후, 스텝 S13에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가 유지된다. 이때, 피난 유도원(13a) 등이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를 조작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3)은 당해 구출층(4a) 등에 계속 정지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이 때문에, 타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가 설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을 계속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12)는 당해 구출층(4a) 등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정지를 해제한다. 그 후, 제어장치(12)는 도어(15b, 15c)를 닫는다. 그 후,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을 피난층(5)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 등이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6)의 조작을 해제하는 일 없이 비상 계단 등으로 피난하더라도, 당해 구출층(4a) 등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을 피난층(5)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또, 알림 장치(8)는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알린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 등은,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의 수 등을 고려하여, 그 시점에 있어서의 적절한 대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7)가 조작되면,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의 예정이 삭제된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 등은, 많은 피난자(14a) 등이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져 있는 경우에도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점등 장치(9)는 피난 운전 모드가 예약되었을 때 점등된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 등과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은, 조금 있으면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가 설정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예약 상태 표시장치(10)는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등과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은,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를 알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과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은, 어느 정도 기다리면 당해 구출층(4a) 등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진입 금지 표시장치(11)는 엘리베이터가 휴지 모드로 되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3)으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당해 구출층(4a) 등의 피난 유도원(13a) 등과 당해 구출층(4a) 등에 남겨진 피난자(14a) 등은, 엘리베이터 칸(3)을 이용하여 피난하지 못할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에 남겨진 피난자를 계속적으로 피난시키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승강장,
3: 엘리베이터 칸, 4a~4c: 구출층,
5: 피난층, 6: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
7: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 8: 알림 장치,
9: 점등 장치, 10: 예약 상태 표시장치,
11: 진입 금지 표시장치, 12: 제어장치,
12a: 엘리베이터 칸 동작 제어 수단, 12b: 알림 제어 수단,
12c: 점등 제어 수단, 12d: 제1 표시 제어 수단,
12e: 제2 표시 제어 수단, 13a, 13b, 13c: 피난 유도원,
14a, 14b, 14c: 피난자, 15a, 15b, 15c: 도어,
16a, 16b: 승강장 조작반, 17a, 17b: 상방 버튼,
18a: 하방 버튼, 19a~19c: 위치 표시장치,
20a, 20b, 20c: 이동 방향 표시장치, 21: 피난 유도 조작반,
22: 통보 장치, 22a: 통화 버튼,
22b: 스피커 마이크, 23: 소방원용 조작반,
24: 강제 귀착 운전 모드 요구 장치, 25: 통보 장치,
25a: 통화 버튼, 25b: 스피커 마이크,
26: 진입 금지 표시장치, 27: 사용 상태 표시장치,
28: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 29: 조작 버튼,
30: 연락 장치, 31: 스피커 마이크,
32: 피난 유도 표시장치, 33a, 33b, 33c: 블록.

Claims (7)

  1.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와,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와,
    상기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가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하고,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유지하고,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닫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피난층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일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구출층에 정지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지 않음으로써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가 예정되어 있는 것을 알리는 알림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알림 장치에 의해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의 예정이 알림된 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완전 닫히기 전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동작 지시 장치가 조작되었을 경우는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의 해제의 예정을 취소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 모드 요구 장치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타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가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를 예약했을 때 점등하는 점등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당해 구출층에 대응한 피난 운전 모드로 될 때까지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약 상태 표시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휴지 모드로 되었을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으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진입 금지 표시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77008667A 2014-09-24 2014-09-24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97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5262 WO2016046916A1 (ja) 2014-09-24 2014-09-2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773A true KR20170046773A (ko) 2017-05-02
KR101897424B1 KR101897424B1 (ko) 2018-09-10

Family

ID=5558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667A KR101897424B1 (ko) 2014-09-24 2014-09-2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07276B2 (ko)
JP (1) JP6210164B2 (ko)
KR (1) KR101897424B1 (ko)
CN (1) CN106715311B (ko)
DE (1) DE112014006982T5 (ko)
WO (1) WO2016046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6916A1 (ja) * 2014-09-24 2016-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02018009464A1 (de) * 2018-12-04 2020-06-04 Geda-Dechentreiter Gmbh & Co. Kg Mast, insbesondere Kranmast für einen Turmdrehkran
CN110550521A (zh) * 2019-08-13 2019-12-10 菱电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停电辅助系统
JP7036258B1 (ja) * 2021-03-24 2022-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4388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WO2013001643A1 (ja) 2011-06-30 2013-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8169B (en) * 1994-11-15 1998-12-21 Inventio Ag Evacuation system for a lift cage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4171236B2 (ja) 2002-03-25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EP1849733B1 (en) * 2005-02-14 2017-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WO2007080636A1 (ja) * 2006-01-12 2007-07-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避難時管理装置
CN101238058A (zh) * 2006-01-19 2008-08-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避难时管理装置
EP1975109A4 (en) * 2006-01-19 201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NG MANAGEMENT DEVICE FOR ELEVATOR
KR100989268B1 (ko) * 2006-02-23 2010-10-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1245966B1 (ko) * 2009-01-19 2013-03-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546223B2 (ja) * 2009-12-07 2014-07-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50334B2 (ja) * 2009-12-29 2014-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FI125122B (fi) * 2010-02-01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2013103774A (ja) * 2011-11-10 2013-05-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WO2016046916A1 (ja) * 2014-09-24 2016-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4388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WO2013001643A1 (ja) 2011-06-30 2013-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982T5 (de) 2017-06-29
WO2016046916A1 (ja) 2016-03-31
KR101897424B1 (ko) 2018-09-10
CN106715311B (zh) 2018-11-30
US10407276B2 (en) 2019-09-10
JPWO2016046916A1 (ja) 2017-04-27
CN106715311A (zh) 2017-05-24
JP6210164B2 (ja) 2017-10-11
US20170305717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695B2 (en) Fire evacuation operation system for group controlled elevators
EP2343262B1 (en) Elevator evacuation support system
US6000505A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KR1018974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068142B1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4203623A (ja)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MX2012007651A (es) Metodo de funcionamiento de ascensores durante situaciones de emergencia.
JPWO2007083364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KR20100056726A (ko)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12035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災害時の運転方法
EP2727874B1 (en) Elevator system
KR10196399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2005053639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システム
JP4842162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6824466B2 (ja) エレベーター
JPH0718752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休止制御方法
JP201115301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902957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60049693A (ko)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JPH03238593A (ja) 防災設備の集中制御装置
JPH098681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6016148A (ja) 乗客コンベヤの火災管制運転システム
JP2011190048A (ja) 避難システム
KR20220064454A (ko)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