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693A -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693A
KR20160049693A KR1020140147161A KR20140147161A KR20160049693A KR 20160049693 A KR20160049693 A KR 20160049693A KR 1020140147161 A KR1020140147161 A KR 1020140147161A KR 20140147161 A KR20140147161 A KR 20140147161A KR 20160049693 A KR20160049693 A KR 2016004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passenger transport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710B1 (ko
Inventor
김동수
주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4014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7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기차 출발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는 철도운행 정보부, 철도운행 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를 포함하며, 승객운송수단이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감시제어부는 철도운행 정보부로부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승객운송수단을 탑승하기 위한 방향을 정지시키며,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열차 또는 항공기가 도착하고 출발하는 신호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방향을 자동으로 상, 하향운행 방향을 설정하여 여객의 이동효율을 향상시키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의 기차를 승차하는 방향은 여객이 분산 이용하여 적은 수의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반면 기차를 하차하는 방향은 기차가 도착한 후 한꺼번에 하차하므로 이용부하가 높고 탑승 입구 쪽이 혼잡하여, 넘어져 다치는 사고, 여객 이동시간의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하 운전방향이 고정된 운영방식을 여객이 하차시에는 두 에스컬레이터 같은 하차방향으로 운전하여 장비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안내 모니터가 설치 됨으로써, 기차도착, 도어 개폐유무, 도착시간 등을 여객에게 실시간 송출하도록 하여, 여객의 이동에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승객운송수단운행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은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출발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는 운행 정보부, 운행 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를 포함하며, 승객운송수단이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감시제어부는 운행 정보부로부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승객운송수단을 탑승하기 위한 방향을 정지시키며,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객운송수단 주변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카메라는 CCTV일 수 있으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 승객운송수단의 도착유무, 도어개방, 도어닫힘, 여객하차등을 촬영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화면을 표출하는 안내모니터는 도어 개폐상황, 승객운송수단의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출발시간, 에스컬레이터 탑승 대기의 안내글자를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객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기차 출발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기가 승객운송수단에 설치 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안테나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를 감시제어시스부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주변부에는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리모콘 수신장치는 에스컬레이터 정지, 상향운전, 하향운전등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상부 입구를 측을 차단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조명형태의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운행방향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운행방향 표시등은 에스컬레이터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에 대응하여, 점등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에서의 승객운송수단은 기차, 지하철, 항공기, 선박 일 수 있으며, 항공기일 시, 항공기의 운항스케줄이 시스템으로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항공기 운항안내 운항정보는 감시제어부와 연동하여, 항공기 도착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여객의 하기방향으로 자동전환하고 여객의 하기가 종료된 후에는 탑승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는,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안내 모니터가 설치 됨으로써, 기차도착, 도어 개폐유무, 도착시간 등을 여객에게 실시간 송출하도록 하여, 여객의 이동에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도 1은 철도운행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린도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는 운행 정보부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철도운행 정보부의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철도역사(10)에 진입하는 기차(20)는 철도운행 정보부(19)에 의해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철도운행 정보부(19)은 각 전체 운행 노선에 대해 전체 기차(20)의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 및 정보의 통신이 가능하며, 철도역사로 진입하는 기차의 일정시간 전에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로 정보제공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열차가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감시제어부는 철도운행 정보부로부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열차를 탑승하기 위한 방향을 정지시키고,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의 도면이며, 도 3은 스크린도어 시스템의 도면이며, 도 4는 철도운행 정보부와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스크린도어 감시제어부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철도 역사(10)에는 기차(20)에 탑승하기 위한 층과 탑승수속을 위한 층이 다른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차 탑승층과 탑승 수속층간에 여객 이동을 위하여 계단 외에 2대 이상의 에스컬레이터(30)가 인접하여 설치되며, 운행방향은 여객 동선을 위하여 상하로 구분하여,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 하차용 에스컬레이터(3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에스컬레이터(30)는 운행방향을 다르게 구동할 수 있다.
만약의 경우시, 기차에 승차하기 위한 쪽의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시간대와 관계없이 기차 운행시간 내내 적은 수의 이용자가 이용되는 반면에, 기차에서 하차한 여객의 이동방향의 하차용 에스컬레이터(32)는 기차가 도착한 후 일시에 이용객이 몰리면서 에스컬레이터 입구는 이용객이 많게 되면,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하차용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객이 내린 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차 역사의 구조에 따라 에스컬레이터가 하향 방향일 수 있고, 상향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한편, 기차 탑승층에는 기차의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CCTV카메라(11)가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1)는 기차(20)의 도어(22) 또는 스크린도어(25)가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잘 확인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
카메라(11)에서 촬영한 화면은 탑승 수속층의 에스컬레이터(30) 진입구 일면에 설치한 안내 모니터(12)에 실시간 표출이 가능하다.
안내 모니터(12)에는 철도운행 정보부(19)로부터 전송받은 기차 도착 예정시간, 예를 들면 도착 2분전, 1분전, 도착유무, 도착 예정시간, 스크린 도어(25)개방, 기차도어(22)개방, 여객 하차, 스크린 도어(25)닫힘, 기차도어(22)닫힘, 기차 출발 등의 기차 운행상태를 탑승층 상태 화면과 탑승대기의 안내글과 함께 표시될 수 잇다.
또한 철도역사에 도착한 기차(20)는 철도역사(10)에 설치한 수신안테나(23)와 기차(10)에 설치된 무선통신장치(21)로도 기차 도착 예정시간, 도착유무, 스크린 도어(25)개방, 기차도어(22)도어개방, 여객하차, 스크린 도어(25)닫힘, 기차도어(22)도어닫힘, 기차 출발 등의 기차 운행상태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 혹은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29)로 신호를 전송하여 탑승층 에스컬레이터 입구에 설치된 안내모니터(12)에 표시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탑승층의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 진입구에 설치된 모니터(12)는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이용객의 시야에 가장 잘 들어오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기차(20) 탑승용인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철도운행 정보부(19), 기차(20)의 무선통신장치(21),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29)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기차의 운행상태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도어 닫는 시간 이후에는, 승객이 출구측으로 나가는 방향인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적게 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를 정지하는 시간은 기차(20)가 도착한 후 여객이 다 내리고 스크린 도어(25), 기차도어(22)가 닫히는 순간에 운행을 정지하고 하차하는 방향으로 역회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30) 정지는 내부에 인버터를 활용하여 서서히 감속후 정지하도록 구성가능하며, 완전한 정지 후 역회전 가동되도록 구성가능하다.
또한, 열차에 기차운전상태 무선 통신기(21)가 구비되어, 열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기차 출발상태 신호를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23)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가능하다. 기차운행상태수신안테나(23)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열차의 운행상태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정지, 역가동은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30) 장치 일측에 리모콘용 수신안테나(13)를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용 리모콘(14)으로 동작신호를 입력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 및 상향, 하향의 역회전 운전을 하도록 수동 조작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철도역사에 배치된 스크린 도어는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에 의하여, 스크린 도어(25)의 개폐유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된,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 받은 열차의 운행상태와 연동하여 스크린 도어를 구동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열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시간, 도착유무, 기차 출발상태를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 받아 스크린 도어(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는 운행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스크린 도어를 구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에스컬레이터(30) 상, 하부입구에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을 설치하여 에스컬레이터 정지신호를 받게 되면, 여객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차단장치가 작동하여 여객의 진입을 막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는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시작되고 일정시간 후, 예를 들어 3초 후, 탑승층에서 진입한 여객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자동 전환되며, 이용객이 다 빠져나갔을 경우, 차단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역회전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이 종료되면 에스컬레이터는 다시 원래 운행방향으로 구동가능하다.
예를들어,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는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는 상부 입구 측을 차단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운행방향이 원래상태로 구동될시, 에스컬레이터가 서서히 감속하다 정지된 후,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위하여, 정지할 시, 정지신호 전달과 동시에 에스컬레이터 입구측에 설치된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가 차단되어, 여객을 진입 못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정 역회전의 가동 중지 및 역회전 운전신호는 에스컬레이터 운전감시제어장치(39)에서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리모콘(14) 신호 수신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30) 상, 하부 입구에 에스컬레이터 운전방향을 불빛에 의한 발광되는 운행방향표시등(34)이 구비될 수 있다.
운행방향표시등은 에스컬레이터의 상하 입구측에 구비되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방향에 대응되게,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 형태의 화살표 표시등이 발광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하차용 에스컬레이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 상하부 입구에 상승, 하강의 2개 방향의 화살표 전등형태의 표시등이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 운행방향과 함께 연동하여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향표시등은 에스컬레이터 진입발판이나 건축바닥 또는 에스컬레이터 입구의 별도의 장치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방식이든 위치와 방법은 현장에 따라 어떤 형태든 적용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 운행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점등될 수 있다.
열차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기차, 지하철뿐만 아닌 항공기, 선박등의 승객운송수단일 수 있으며, 승객운송수단은 에스컬레이터와 연계되어 에스컬레이터 방향을 자동으로 변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항공기가 주기하고 여객이 탑승 및 하기하는 공항터미널에 항공기 탑승용 게이트가 배치되고 항공기는 탑승교로 터미널과 연결되어 여객이 직접 탑승 및 하기 할 수 있으며, 하기한 승객은 탑승 게이트와 연계되어 에스컬레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에스컬레이터는 1대 이상 복수대로 설치 운영될 수 있다.
또한 공항터미널은 항공기의 운항스케쥴이 시스템으로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최신정보가 공항 전체의 항공기운항안내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항공기운항시스템은 각 탑승 게이트마다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항공기의 출발,도착 예정시간 및 운항편 등이 안내되도록 모니터에 출력 될 수 있다.
항공기운항시스템과 연동한 감시 제어부는 항공기가 도착하는 시간에는 에스컬레이터를 여객이 내려 도착하는 방향으로 자동운전 할 수 있고, 하기가 완료되고 탑승시간대에는 자동으로 탑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철도역사 11: CCTV카메라
12: 안내 모니터 13: 리모콘 수신 안테나
14: 에스컬레이터 운전용 리모콘 19: 철도운행 정보부
20: 기차 21: 기차 운전상태 무선 통신장치
22: 기차 도어 23: 기차 운행상태 수신안테나
25: 스크린 도어 29: 스크린도어 감시제어부
30: 에스컬레이터 31: 승차용 에스컬레이터
32: 하차용 에스컬레이터 33: 여객 진입차단장치
34: 운행방향 안내등 39: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Claims (9)

  1.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승객운송수단 출발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부;
    상기 운행 정보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객운송수단이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상기 감시제어부는 상기 운행 정보부로부터 상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상기 승객운송수단을 탑승하기 위한 방향을 정지시키며,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운송수단 주변부에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는 CCTV이며,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도착유무, 도어개방, 도어닫힘, 여객하차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화면을 표출하는 안내모니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모니터는 상기 도어 개폐상황,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출발시간, 에스컬레이터 탑승 대기의 안내글자를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의 출발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안테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를 상기 감시제어시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주변부에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정지, 상향운전, 하향운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이용자 진입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 진입차단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상기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상기 상부 입구를 측을 차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전등형태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운행방향표시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행방향 표시등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에 대응하여,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운송수단은 기차, 지하철, 항공기, 선박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의 운항스케줄이 시스템으로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항공기 운항안내 운항정보부를 더 포함하며, 항공기 운항안내 운항정보는 상기 감시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항공기 도착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여객의 하기방향으로 자동전환하고 여객의 하기가 종료된 후에는 탑승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KR1020140147161A 2014-10-28 2014-10-28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KR10168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ko) 2014-10-28 2014-10-28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ko) 2014-10-28 2014-10-28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93A true KR20160049693A (ko) 2016-05-10
KR101686710B1 KR101686710B1 (ko) 2016-12-14

Family

ID=5602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ko) 2014-10-28 2014-10-28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61A (zh) * 2018-12-28 2019-03-19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与自动门联动系统
KR102475327B1 (ko) * 2022-01-06 2022-1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172A (ja) * 1997-10-06 1999-04-20 Morio Denki Co Ltd エスカレータ監視自動制御装置
JP2001019336A (ja) * 1999-07-09 2001-01-23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3054864A (ja) * 2001-08-14 2003-02-26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04256187A (ja) * 2003-02-24 2004-09-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運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172A (ja) * 1997-10-06 1999-04-20 Morio Denki Co Ltd エスカレータ監視自動制御装置
JP2001019336A (ja) * 1999-07-09 2001-01-23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3054864A (ja) * 2001-08-14 2003-02-26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04256187A (ja) * 2003-02-24 2004-09-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運転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61A (zh) * 2018-12-28 2019-03-19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与自动门联动系统
KR102475327B1 (ko) * 2022-01-06 2022-1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710B1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7995B1 (en) Elevator system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013113625A (ru) Лифтовая сисиема и способ нахождения обслуживающих лифтов в ответ на каждый рекомендованный вызов кабины лифта
US8439169B2 (en) Elevator group supervision controlling apparatus
US10577219B2 (en)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CN106044419A (zh) 自动进出电梯的系统及方法
CA2967838C (en) Aerial cableway system
KR101686710B1 (ko)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JP4934227B1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18974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835246A1 (en) Improved passenger interface for shuttle elevator system
WO2013092373A1 (en) Informing passengers of person-conveying device operation
CN111971246A (zh) 电梯与自主行驶车的协同运行系统
JP7379646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3110879A (en) Elevator traffic control
KR101915011B1 (ko)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하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의 엘리베이터에 호출명령을 전송하는 홀 랜턴
KR101813872B1 (ko) 승객의 카 내 탑승위치를 지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491464B1 (ko) 안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15004B1 (ko)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하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도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홀 랜턴
JP2015199564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4224548A (ja) エスカレータシステム
KR101915001B1 (ko)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하며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홀 랜턴
KR102476748B1 (ko) Pi 정보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의 잔여닫힘시간 및 탑승안내 시스템
JP6898578B2 (ja) 利用者検知装置及び昇降移動システム
JP2009083848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