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997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997B1
KR101963997B1 KR1020177031793A KR20177031793A KR101963997B1 KR 101963997 B1 KR101963997 B1 KR 101963997B1 KR 1020177031793 A KR1020177031793 A KR 1020177031793A KR 20177031793 A KR20177031793 A KR 20177031793A KR 101963997 B1 KR101963997 B1 KR 10196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quot
door
group management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877A (ko
Inventor
신이치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선택 스위치(7)를 이용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1)의 피난용 운전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3)에 마련된 선택 스위치(7)와, 상기 선택 스위치(7)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1)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하고,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도어 열림 대기시킨 엘리베이터 칸(2)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닫힘 대기시키는 그룹 관리 장치(10)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당해 제어 시스템은 긴급 사태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행하는 피난용 운전을 지시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구출층에서 피난층까지 엘리베이터 칸을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586785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1개의 선택 스위치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을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경우는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수와 같은 수의 선택 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피난용 운전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선택 스위치와,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하고,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도어 열림 대기시킨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닫힘 대기시키는 그룹 관리 장치를 구비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대기한다. 도어 열림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은 도어 닫힘 대기한다. 이 때문에,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피난용 운전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1)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와 그룹 관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1)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1)는 건축물에 마련된다.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승강로의 각각은,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승강로는 인접한다.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로의 각각의 내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건축물의 각 층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로에 대향한다.
복수의 조작 표시 장치(4)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표시 장치(4)의 각각은, 복수의 엘리베이터(1) 사이의 벽면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에 있어서, 조작 표시 장치(4)의 수는, 엘리베이터(1)의 수보다도 적다. 복수의 조작 표시 장치(4)는 상방 버튼(5) 및 하방 버튼(6) 중 적어도 일방과 선택 스위치(7)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어 장치(8)의 각각은, 복수의 엘리베이터(1)의 각각에 대응한다. 기억 장치(9)는 복수의 제어 장치(8)의 각각에 접속된다. 기억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기억한다.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은 엘리베이터 칸(2)의 도착순(到着順)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제어 장치(8)의 각각과 기억 장치(9)에 접속된다.
건축물의 화재 등의 긴급 사태시에 있어서, 그룹 관리 장치(10)는 건축물에 남겨진 이용자를 건축물의 외부로 피난시킬 수 있는 층상 중에서 피난층을 선정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최하층을 피난층으로서 선정한다.
이 때, 피난 유도원(11)은 건축물에 남겨진 이용자가 있는 층상의 승강장(3)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피난 유도원(11)은 제1 층상의 승강장(3)에 배치된다. 피난 유도원(11)은 미리 훈련을 받은 인물 중에서 선정된다. 예를 들면, 피난 유도원(11)은 당해 건축물에 거주하는 인물 중에서 선정된다. 예를 들면, 피난 유도원(11)은 당해 건축물에 내부에 있는 회사에 근무하는 인물 중에서 선정된다.
피난 유도원(11)은 도시하지 않은 키를 소지한다. 피난 유도원(11)은 키를 선택 스위치(7)에 끼워 넣는다. 피난 유도원(11)은 선택 스위치(7)를 OFF측에서 ON측으로 돌린다. 이 때, 선택 스위치(7)는 ON 정보를 그룹 관리 장치(10)에 송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ON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층상을 구출층으로 설정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구출층과 피난층의 사이를 왕래하는 피난용 운전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제어 장치(8)의 각각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피난층으로 이동시키는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8)의 각각은,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피난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8)의 각각은, 엘리베이터(1)를 도어 열림하여 이용자를 하차시킨다. 이용자는 피난층으로부터 건축물의 외부로 피난한다.
그 후, 제어 장치(8)의 각각은 엘리베이터(1)를 도어 닫힘한다. 그 후, 제어 장치(8)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칸(2)을 구출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8)의 각각은, 엘리베이터(1)를 도어 열림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칸(2)은 구출층에 있어서 도어 닫힘 상태로 지시를 기다린다. 이 때, 기억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2)의 도착순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2)을 선택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2)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도어 열림 대기의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제어 장치(8)는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열림 대기시킨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2)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2)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도어 닫힘 대기의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제어 장치(8)는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닫힘 대기시킨다.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2)이 피난층을 향해 출발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예를 들면,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닫힘되었을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그 후, 그룹 관리 장치(10)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2)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2)을 피난층을 향해 출발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8)의 각각은, 당해 엘리베이터(1)를 도어 열림하여 이용자를 하차시킨다. 이용자는 피난층으로부터 건축물의 외부로 피난한다.
긴급 사태가 해소되면, 피난 유도원(11)은 선택 스위치(7)를 ON측에서 OFF의 측으로 돌린다. 이 때, 선택 스위치(7)는 OFF 정보를 그룹 관리 장치(10)에 송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OFF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용 운전을 정지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선택 스위치(7)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이다.
도 2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7)는 도시하지 않은 키에 대응한 구멍을 구비한다. 키가 구멍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좌측으로 돌려져 있으면, 선택 스위치(7)는 OFF 정보를 송신한다. 키가 구멍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우측으로 돌려지면, 선택 스위치(7)는 ON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은 구출층 마다 미리 기억 장치(9)에 기억된다.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에 있어서는, 「명칭」과「도착순」과「정원(명)」과「최고 운행 속도(m/분)」가 대응지어진다.
「명칭」은 엘리베이터(1)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착순」은 구출층에 도착한 순번(順番)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원(명)」은 엘리베이터 칸(2)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최고 운행 속도(m/분)」는 엘리베이터 칸(2)의 최고 운행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초기 상태의 「도착순」은 도착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0」이 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엘리베이터 칸(2)이 있는 경우, 처음에 구출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는, 「도착순」은 「1」이 된다. 다음에 구출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는, 「도착순」은 「2」가 된다.
도 3은 명칭 「A」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처음에 구출층에 도착한 후에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다음에 구출층에 도착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 경우, 「A」의 「도착순」은 「1」이 된다. 「B」의 「도착순」은 「2」가 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8)와 그룹 관리 장치(10)의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1)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와 그룹 관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은, 제1 처리 회로(12a)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회로(12a)는 적어도 1개의 제1 프로세서(13a)와 적어도 1개의 제1 메모리(14a)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회로(12a)는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여도 된다.
제1 처리 회로(12a)가 적어도 1개의 제1 프로세서(13a)와 적어도 1개의 제1 메모리(14a)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記述)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적어도 1개의 제1 메모리(14a)에 격납된다. 적어도 1개의 제1 프로세서(13a)는 적어도 1개의 제1 메모리(14a)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적어도 1개의 제1 프로세서(13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제1 메모리(14a)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다.
제1 처리 회로(12a)가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인 경우, 제1 처리 회로(12a)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8)의 각 기능 각각은, 제1 처리 회로(12a)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은 통합하여 제1 처리 회로(12a)로 실현된다.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로 실현하고, 일부를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도어 열림 대기에 대해서는 전용 하드웨어로서의 제1 처리 회로(12a)로 그 기능을 실현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에 대해서는 적어도 1개의 제1 프로세서(13a)가 적어도 1개의 제1 메모리(14a)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그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처리 회로(12a)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어 장치(8)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은, 제2 처리 회로(12b)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회로(12b)는 적어도 1개의 제2 프로세서(13b)와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회로(12b)는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여도 된다.
제2 처리 회로(12b)가 적어도 1개의 제2 프로세서(13b)와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를 구비하는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에 격납된다. 적어도 1개의 제2 프로세서(13b)는,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적어도 1개의 제2 프로세서(13b)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다.
제2 처리 회로(12b)가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인 경우, 제2 처리 회로(12b)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 각각은, 제2 처리 회로(12b)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은, 통합하여 제2 처리 회로(12b)로 실현된다.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로 실현하고, 일부를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8)로의 지시 신호의 송신에 대해서는 전용 하드웨어로서의 제2 처리 회로(12b)로 그 기능을 실현하고,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의 갱신에 대해서는 적어도 1개의 제2 프로세서(13b)가 적어도 1개의 제2 메모리(14b)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그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처리 회로(12b)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그룹 관리 장치(10)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제어 장치(8)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의 「도착순」이 「1」인 엘리베이터 칸(2)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의 「도착순」이 「1」인 엘리베이터 칸(2)이 없는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구출층에 있어서 피난층으로의 출발 준비가 된 엘리베이터 칸(2)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서 구출층에 있어서 피난층으로의 출발 준비가 된 엘리베이터 칸(2)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스텝 S1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했을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 「도착순」이 「1」인 엘리베이터 칸(2)이 있는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도어 열림 지령을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 구출층에 있어서 피난층으로의 출발 준비가 된 엘리베이터 칸(2)이 있는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읽어들인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 칸(2)의 「도착순」을 「1」에서 「0」으로 갱신한다. 당해 엘리베이터 칸(2)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2)의 「도착순」을 차례로 앞당긴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새로운 「도착순」을 기억 장치(9)에 기억시킨다.
그 후,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구출층에 있어서 피난층으로의 출발 준비가 된 엘리베이터 칸(2)을 출발시킨다. 그 후, 스텝 S1에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열림 대기한다. 도어 열림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칸(2)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2)은 도어 닫힘 대기한다. 이 때문에, 1개의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선택 스위치(7)를 이용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1)의 피난용 운전을 적절히 실행하는 시스템을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또,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2) 중, 구출층에 처음에 도착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열림 대기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를보다 빨리 엘리베이터 칸(2)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스텝 S2에 있어서, 「정원(명)」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대기시킬 엘리베이터 칸(2)을 선정해도 된다. 명칭 「A」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과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하는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정원(명)」의 값이 큰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면 된다. 이 경우, 정원이 가장 많은 엘리베이터 칸(2)을 먼저 피난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많은 이용자를 피난시킬 수 있다.
또, 도 5의 스텝 S2에 있어서, 「최고 운행 속도(m/분)」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대기시킬 엘리베이터 칸(2)을 선정해도 된다. 명칭 「A」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과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해 있는 경우, 「최고 운행 속도(m/분)」의 값이 큰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면 된다. 이 경우, 최고 운행 속도가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 칸(2)을 먼저 피난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용자를보다 빨리 피난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의 기억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기억한다. 이것에 대해, 실시 형태 2의 기억 장치(9)는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을 기억한다.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은, 구출층 마다 미리 기억 장치(9)에 기억된다.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는, 「명칭」과「도착순」과「제어 대상 플래그」가 대응지어진다.
「제어 대상 플래그」는 피난 유도원(11)이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을 조작했을 때의 제어 대상에 관한 플래그이다. 「제어 대상 플래그」의 「0」은, 제어 대상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제어 대상 플래그」의 「1」은, 제어 대상인 것을 나타낸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1개의 엘리베이터(1)에만 대해 「제어 대상 플래그」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구출층에 있어서 정지 중인 엘리베이터 칸(2)이 없는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모든 엘리베이터(1)의 「제어 대상 플래그」를 「0」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1개의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하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1)의 「제어 대상 플래그」를 「1」로 한다. 그 후, 다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하더라도,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1)의 「제어 대상 플래그」를 「0」으로 유지한다.
그 후, 먼저 도착한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피난층을 향해 출발하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1)의 「제어 대상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갱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후에 도착한 엘리베이터(1)의 「제어 대상 플래그」를 「0」에서 「1」로 갱신한다.
도 6은 명칭 「A」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처음에 구출층에 도착한 후에 명칭 「B」인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다음에 구출층에 도착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 경우, 「A」의 「도착순」은 「1」이 된다. 「B」의 「도착순」은 「2」가 된다. 「A」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1」이 된다. 「B」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0」이 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갱신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대상 플래그」에 관해, 현시점에서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제어 대상 플래그」가 「1」에서 「0」으로 갱신된다. 현시점에서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의 「도착순」 다음의 「도착순」인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제어 대상 플래그」가 「0」에서 「1」로 갱신된다.
「도착순」에 관해, 현시점에서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도착순」이 가장 큰 값으로 갱신된다. 당해 엘리베이터(1) 이외의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도착순」이 1개 앞당겨진다.
현시점에서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을 향해 이동을 개시했을 경우, 당해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도착순」과「제어 대상 플래그」는, 「0」으로 갱신된다. 당해 엘리베이터(1) 이외의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도착순」과「제어 대상 플래그」가 갱신된다.
도 7에 있어서는, 「A」의 「도착순」은 「1」이다. 「A」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1」이다. 「B」의 「도착순」은 「3」이다. 「B」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0」이다. 「C」의 「도착순」은 「2」이다. 「C」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0」이다.
이 경우,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이 갱신되면, 「A」의 「도착순」은 「1」에서 「3」으로 갱신된다. 「A」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1」에서 「0」으로 갱신된다. 「B」의 「도착순」은 「3」에서 「2」로 갱신된다. 「B」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0」을 유지한다. 「C」의 「도착순」은 「2」에서 「1」로 갱신된다. 「C」의 「제어 대상 플래그」는 「0」에서 「1」로 갱신된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1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제어 장치(8)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서 상방 버튼(5) 및 하방 버튼(6)이 모두 눌려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로 돌아간다. 스텝 S11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구출층에 도착했을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도착순」과「제어 대상 플래그」를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이 눌렸을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제어 대상 플래그」가 「1」인 엘리베이터(1)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도어 닫힘 지령을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 후,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가 당해 엘리베이터(1)의 문이 모두 닫히기 전에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6에서 상방 버튼(5) 및 하방 버튼(6)이 어느 것도 눌려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6이 반복된다. 스텝 S16에서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이 눌렸을 경우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시간의 계측을 정지한다. 이 때, 그룹 관리 장치(10)는 당해 엘리베이터(1)에 대응한 제어 장치(8)에 도어 닫힘 동작의 정지와 도어 열림 동작의 개시의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당해 엘리베이터(1)의 제어 장치(8)는, 당해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닫힘 동작을 정지한 후에 도어 열림 동작을 개시한다.
그 후, 스텝 S19로 진행한다. 스텝 S19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계측한 시간의 값(예를 들면, 초수)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 TH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계측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TH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9에서 계측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TH보다도 작은 경우는, 스텝 S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제어 대상 플래그」와「도착순」을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11로 돌아간다.
스텝 S19에서 계측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TH 이상인 경우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지 않고, 스텝 S11로 돌아간다. 이 때문에, 그룹 관리 장치(10)는 기억 장치(9)에 기억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제어 대상 플래그」와「도착순」을 갱신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도어 닫힘 지령을 송신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의 엘리베이터(1)를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 도어 열림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보다 많은 이용자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2)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피난 유도원(11)이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을 누른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도어 닫힘 지령의 송신을 유지하고, 상방 버튼(5) 또는 하방 버튼(6)이 눌린 상태로부터 해방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도어 열림 지령을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피난 유도원(11)이 상방 또는 하방 버튼(6)을 계속 누르고 있는 시간을 계측하면 된다.
피난 유도원(11)이 상방 또는 하방 버튼(6)을 계속 누르고 있는 시간이 임계치 TH보다도 작은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에 의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갱신을 행하면 된다. 그 결과,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피난 유도원(11)이 상방 또는 하방 버튼(6)을 계속 누르고 있는 시간이 임계치 TH 이상인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에 의한 도어 개폐 제어 테이블의 갱신을 행하지 않으면 된다. 그 결과, 제어 대상의 엘리베이터(1)에 대한 조작을 계속할 수 있다.
또, 상방 버튼(5)과 하방 버튼(6)은 별개의 버튼을 조작 표시 장치(4)에 마련해도 된다. 이 때, 다른 버튼을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1)의 도어 닫힘 동작의 지시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선택 스위치로도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피난용 운전을 적절히 실행하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2: 엘리베이터 칸
3: 승강장 4: 조작 표시 장치
5: 상방 버튼 6: 하방 버튼
7: 선택 스위치 8: 제어 장치
9: 기억 장치 10: 그룹 관리 장치
11: 피난 유도원 12a: 제1 처리 회로
12b: 제2 처리 회로 13a: 제1 프로세서
13b: 제2 프로세서 14a: 제1 메모리
14b: 제2 메모리

Claims (9)

  1.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선택 스위치와,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하고,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1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도어 열림 대기시킨 엘리베이터 칸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닫힘 대기시키는 그룹 관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상기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했을 경우에,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상기 구출층에 처음에 도착한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상기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했을 경우에,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정원이 가장 많은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상기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했을 경우에, 상기 구출층에 도착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최고 운행 속도가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 칸을 도어 열림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구출층과 상기 피난층 사이의 왕래를 지시했을 경우에,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어 닫힘 지령을 송신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의 엘리베이터를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버튼이 눌린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어 닫힘 지령의 송신을 유지하고, 상기 버튼이 눌린 상태로 유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버튼이 눌린 상태로부터 해방되었을 경우에 조작 대상의 엘리베이터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버튼이 눌린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어 닫힘 지령의 송신을 유지하고, 상기 버튼이 눌린 상태로 유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버튼이 눌린 상태로부터 해방되었을 경우에 조작 대상의 엘리베이터를 전환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77031793A 2015-05-18 2015-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1963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4156 WO2016185534A1 (ja) 2015-05-18 2015-05-18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877A KR20170132877A (ko) 2017-12-04
KR101963997B1 true KR101963997B1 (ko) 2019-03-29

Family

ID=5731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93A KR101963997B1 (ko) 2015-05-18 2015-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0745B2 (ko)
KR (1) KR101963997B1 (ko)
CN (1) CN107531455B (ko)
DE (1) DE112015006548B4 (ko)
WO (1) WO2016185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80B1 (ko) * 2017-03-24 2019-09-04 (주)리프텍 리프트 장치 그룹 제어 시스템
KR20220143750A (ko) * 2020-03-31 2022-10-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N113602929B (zh) * 2021-07-27 2023-03-21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将家用别墅电梯用于应急安全屋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903A (ja) 2003-09-22 2005-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0082650A1 (ja) 2009-01-19 201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42Y2 (ko) * 1977-06-14 1982-02-23
JPS5586785A (en) 1978-12-25 1980-06-30 Daiken Trade & Ind Co Ltd Process for flexographically printing grain pattern on plate-like article
JPS5738282A (en) * 1980-08-19 198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Emergency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JP2569193B2 (ja) * 1990-03-02 1997-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5254752A (ja) * 1992-03-17 1993-10-0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3355653B2 (ja) * 1992-07-02 2002-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用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3889471B2 (ja) * 1997-03-07 2007-03-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転操作装置
JP2005255370A (ja) * 2004-03-15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749854B2 (ja) * 2005-12-08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1967477B1 (de) 2007-03-09 2013-11-13 Inventio AG Notfallvorrichtung zum Einbau in eine Aufzugskabine einer Aufzugsanlage
JP5546852B2 (ja) * 2009-12-22 2014-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CN103108823B (zh) * 2010-08-26 2015-04-08 三菱电机株式会社 监视器控制装置
JP5628752B2 (ja) * 2011-06-08 2014-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装置
JP5586785B2 (ja) 2011-06-30 2014-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903A (ja) 2003-09-22 2005-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0082650A1 (ja) 2009-01-19 201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877A (ko) 2017-12-04
JPWO2016185534A1 (ja) 2017-09-14
CN107531455B (zh) 2019-06-07
DE112015006548T5 (de) 2018-02-15
JP6350745B2 (ja) 2018-07-04
CN107531455A (zh) 2018-01-02
WO2016185534A1 (ja) 2016-11-24
DE112015006548B4 (de)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8341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10519004B2 (en) Elevator system
KR10196399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18974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5867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066053A1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722192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587978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376309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8056402A (ja) エレベータ運転システム
JP63518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災害発生時のエレベータ避難運転方法
JP6824466B2 (ja) エレベーター
CN109132740B (zh)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9171598A1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243820B2 (ja) 自動保守運転装置及び自動保守運転方法
WO2020026337A1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JP5137489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5020862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内換気方法
KR102361662B1 (ko) 하이브리드 행선층 예약시스템의 카콜 제어장치
JP201916314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9171494A1 (ja) エレベーター
WO2019064371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22070000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2312739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6749206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