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466A - 급유구 장치 - Google Patents

급유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466A
KR20170042466A KR1020160119403A KR20160119403A KR20170042466A KR 20170042466 A KR20170042466 A KR 20170042466A KR 1020160119403 A KR1020160119403 A KR 1020160119403A KR 20160119403 A KR20160119403 A KR 20160119403A KR 20170042466 A KR20170042466 A KR 2017004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closing member
pair
guid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426B1 (ko
Inventor
다카츠구 히로세
겐스케 오고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7004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32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 B60K2015/0445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usin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9Mean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ller nozzle in the fille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8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open or close mechanism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앞측 통과구(6)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1쌍의 플랩체로 구성하면서, 삽입된 급유 노즐을 원활하게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 위치하는 안측 통과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상기 폐쇄 부재(11)는 1쌍의 플랩체(14, 14)와, 각 플랩체(14)를 탄성 지지에 의해 급유 노즐(N)의 앞측 통과구(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1쌍의 플랩체(14, 14)는 각각,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41)와, 타방의 플랩체(14)에 대한 맞닿음부(142)를 구비함과 아울러, 폐쇄 부재(11)의 안측에는 급유 노즐(N)의 안측 통과구(7)와, 상기 안측 통과구(7)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23a)으로 하고 앞측 통과구(6) 근방을 경사 상단(23b)으로 하는 경사면으로서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14)의 맞닿음부(142)의 직하 위치(x)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x)의 양측에 형성된 급유 노즐(N)의 가이드 경사면(2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급유구 장치{FUEL FILLER PORT DEVICE}
본 발명은 급유 노즐의 삽입에 의해 급유구를 열어서 상기 삽입을 허용하여 급유를 가능하게 하는 급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러 파이프(인렛 파이프 등으로도 불린다.)의 상단에 장착되어 급유 건의 급유 노즐의 삽입에 의해 개방되어 급유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 및 2에 나타내어지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장치는 상기 급유 노즐에 의해 눌려 열어지는 상측의 밸브체와, 하측의 밸브체를 가지며, 이에 따라, 나사식의 급유구 캡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밸브체는 1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밸브체의 하방에 필요하게 되는 밸브체의 개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없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장치에서는, 상측의 밸브체가 되는 더스트 플랩은 1쌍의 반원 형상의 플랩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플랩은 폐쇄에 있어서 타방의 플랩에 맞대어지는 부분과 반대의 부분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며, 플랩의 하방에 필요하게 되는 개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들의 장치에 있어서는, 급유 건의 삽입에 의해 개방되는 상측의 밸브체의 하방에 상기 공간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단순히 이들의 장치를 구성시켜 버리면, 삽입된 급유 노즐이 상측의 밸브체를 개방시켜서 들어가지만 하측의 밸브체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통과구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부딪히는 등으로 하여 하측의 밸브체를 개방시키기에 이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566633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15-9636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앞측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1쌍의 플랩체로 구성하면서, 삽입된 급유 노즐을 원활하게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 위치하는 안측 통과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급유구 장치를, 급유 노즐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급유구 장치로서, 상기 폐쇄 부재는 1쌍의 플랩체와, 각 플랩체를 탄성 지지에 의해 급유 노즐의 앞측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쌍의 플랩체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와, 타방의 플랩체에 대한 맞닿음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는 상기 급유 노즐의 안측 통과구와, 상기 안측 통과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으로 하고 상기 앞측 통과구 근방을 경사 상단으로 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의 상기 맞닿음부의 직하(直下) 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급유 노즐의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급유 건의 급유 노즐의 급유구로의 삽입 조작이 이루어지면, 우선 상기 폐쇄 부재를 구성하는 1쌍의 플랩체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앞측 통과구에서 안쪽으로의 급유 노즐의 진입이 허용된다. 상기 앞측 통과구에서 안쪽으로 급유 노즐이 진입되면, 상기 급유 노즐의 선단을 안측 통과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으로 하고 상기 앞측 통과구 근방을 경사 상단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의 상기 맞닿음부의 직하 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경사면에 부딪히게 하여 상기 안측 통과구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경사 상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안측 통과구의 가상의 중심축과의 거리를 점증시키는 경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점감시켜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외측에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체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급유구 장치는, 연직선에 대해 상기 쪽 측 통과구의 가상의 중심축을 비스듬하게 교차시켜서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경사면을 상기 가상의 중심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종류의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앞측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1쌍의 플랩체로 구성하면서, 삽입된 급유 노즐을 원활하게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 위치하는 안측 통과구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급유구 장치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를 필러 파이프측이 되는 홀더 부재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상기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상기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밀봉 부재를 더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커버 부재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버 부재를 구성하는 1쌍의 플랩체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상기 1쌍의 플랩체만을 표해서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있어서 1쌍의 플랩체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 상태의 주요부 사시 구성도이다.
도 9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10은 상기 급유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며, 1쌍의 플랩체가 개방 위치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2의 상태에 있어서의 필러 파이프측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도 1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급유구 장치는 필러 파이프(도시는 생략한다.)에 장착되어 급유구(5)를 구성하는 것이며, 급유 노즐(N)의 삽입에 의해 상기 급유구(5)를 개방하여 상기 삽입을 허용하고, 삽입된 급유 노즐(N)이 뽑혔을 때는 상기 급유구(5)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급유구 장치는, 급유 건의 급유 노즐(N)(도 11 참조)이 급유구(5)에 삽입되었을 때는 후술하는 폐쇄 부재(11) 및 안측 폐쇄 부재(31)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켜서 급유 노즐(N)의 삽입을 허용하여 급유를 가능하게 하고, 삽입된 급유 노즐(N)이 뽑혔을 때는 후술하는 폐쇄 부재(11) 및 안측 폐쇄 부재(31)를 폐쇄 위치로 복동(復動)시켜서 상기 급유구(5)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급유구 장치는 나사식의 급유구(5)의 캡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급유구 장치는 도시하지 않는 필러 파이프(연료 주입 파이프)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급유구 장치는 커버 부재(1), 가이드 부재(2), 밀봉 부재(3), 홀더 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 부재(4)는 필러 파이프에 장착되고, 필러 파이프와 일체로 되어 상기 커버 부재(1), 가이드 부재(2), 밀봉 부재(3)에 대해서는 필러 파이프측이 된다. 상기 홀더 부재(4) 내에는 밀봉 부재(3)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밀봉 부재(3) 내에 가이드 부재(2)가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커버 부재(1)는 밀봉 부재(3) 및 가이드 부재(2)가 내장된 홀더 부재(4)의 상단(42)측을 그 내측에 수납하여 홀더 부재(4)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홀더 부재(4)에 끼워 넣어진 밀봉 부재(3)는 도 4 중 부호 "32"로 나타내는 밀봉 부재(3)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 볼록부를 홀더 부재(4)에 형성된 창 구멍(40)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밀봉 부재(3)에 끼워 넣어진 가이드 부재(2)는 도 3 중 부호 "21"로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2)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 단차부에 밀봉 부재(3)의 내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편(33)을 걸어 맞추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홀더 부재(4)에 장착된 커버 부재는 도 2 중 부호 "12"로 나타내는 창 구멍에 홀더 부재(4)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 볼록부(41)를 걸어 맞추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 부재(1)에 구비된 후술의 폐쇄 부재(11)의 안측에는 상기 급유 노즐(N)의 가이드 부재(2)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2)의 안측에는 상기 급유 노즐(N)에 의해 개폐되는 안측 폐쇄 부재(31)를 구비한 밀봉 부재(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1)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필러 파이프측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2)의 제거가 허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2)의 제거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3)의 제거가 허용되도록 하여 이루어져 있다.
[홀더 부재(4)]
상기 홀더 부재(4)는 실질적으로 통 형상을 나타냄과 아울러, 상단(42) 및 하단(43)을 모두 개방시키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홀더 부재(4)는 그 하단(43)측을 필러 파이프에 끼워 넣어서 필러 파이프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홀더 부재(4)는 상단(42)으로부터 그 상하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까지의 사이를 굵은 직경부(44)로 하고, 그 하단(43)측을 가는 직경부(45)로 하며, 상기 굵은 직경부(44)와 가는 직경부(45)의 사이를 하부로 향함에 따라서 홀더 부재(4)의 내외 직경을 모두 점감시키는 테이퍼부(46)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밀봉 부재(3)는 홀더 부재(4)의 상단(42)으로부터 굵은 직경부(44) 내로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7"로 나타내는 것은 테이퍼부(46)에 상단을 연통시켜서 하부로 연장되는 분기관이다.
[밀봉 부재(3)]
상기 밀봉 부재(3)는 통 형상 주체(主體, 34)와, 안측 폐쇄 부재(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 형상 주체(34)는 상단 및 하단을 모두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있어서, 통 형상 주체(34)의 내부 공간은 격벽(35)에 의해서 상하로 구분되어 있다. 통 형상 주체(34)의 외경은 홀더 부재(4)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기 격벽(35)에는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를 허용하는 원형의 통과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측 폐쇄 부재(31)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탄성 지지 수단(도시는 생략한다.)의 탄성 지지에 의해 상기 격벽(35)에 하측으로부터 압접하여 상기 통과구(36)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급유 노즐(N)이 삽입되지 않는 한 상기 급유구(5)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 부재(1)]
상기 커버 부재(1)는 통 형상 주체(13)와, 폐쇄 부재(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 형상 주체(13)는 하단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단에 둘레 형상을 이루는 내측 플랜지(13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측 플랜지(13a)에 의해서 상단 개구를 압착하여 급유 노즐(N)의 통과구를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하, 커버 부재(1)의 상기 통과구를 앞측 통과구(6)로 부른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통 형상 주체(13)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통 형상 주체(13)의 내경은 홀더 부재(4)의 상단(42)측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11)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13a)에 하측으로부터 압접하여 상기 앞측 통과구(6)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급유 노즐(N)이 삽입되지 않는 한 상기 급유구(5)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련되는 상기 폐쇄 부재(11)는 1쌍의 플랩체(14, 14)와, 각 플랩체(14)를 탄성 지지에 의해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4, 14)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41)와, 타방의 플랩체(14)에 대한 맞닿음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앞측 통과구(6)는 원형 구멍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4, 14)는 각각, 평면에서 보는 상태에서 반원 형상을 나타내는 주체부(143)를 가지고 있다. 즉, 1쌍의 플랩체(14, 14)의 주체부(143)는 각각, 직선 형상 부분(143a)과, 원호 형상 부분(143b)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직선 형상 부분(143a)끼리를 맞대어 2개의 주체부(143, 143)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플랩체(14)의 주체부(143)에 있어서의 상기 직선 형상 부분(143a)이 상기 맞닿음부(14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플랩체(14)는 상기 주체부(143)의 원호 형상 부분(143b)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직선 형상 부분(143a)에 축 중심선을 평행으로 하는 회동축(144)을 가지고 회동 가능하게 통 형상 주체(13)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체부(143)의 원호 형상 부분(143b)으로부터는 외방에 1쌍의 암(arm)부(145, 145)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145)에 형성된 축 구멍(145a)에 상기 회동축(144)을 통해서 상기 통 형상 주체(13)의 내측에 상기 플랩체(14)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 수단(15)은 상기 1쌍의 암부(145, 145)의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 감기부(15b) 내에 상기 회동축(144)을 통해서 배치됨과 아울러, 스프링 일단을 플랩체(14)의 이면부(146)에 맞닿게 하고, 또한, 스프링 타단을 상기 통 형상 주체(13)측에 고정시킨 비틀림 코일 스프링(15a)으로 되어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4, 14)의 표면부(146)에는 각각,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급유 노즐(N)의 앞측 통과구(6)의 입구 가장자리부, 즉, 상기 내측 플랜지(13a)의 내면(13b)에 맞닿는 밀봉 볼록 돌조(148)와, 상기 밀봉 볼록 돌조(148)의 단말(148a)에 연속해서 상기 맞닿음부(142)의 적어도 일부를 가장자리 따는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1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 볼록 돌조(148)는 상기 플랩체(14)의 주체부(143)의 원호 형상 부분(143b)의 전체를 가장자리 따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체(14)는 상기 밀봉 볼록 돌조(148)를 상기 내측 플랜지(13a)의 내면(13b)에 틈새 없이 맞닿게 하여 상기 주체부(143)의 원호 형상 부분(143b)과 통 형상 주체(13)의 사이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플랩체(14, 14)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이 그 회동축(144)의 축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 위치보다 약간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도 7 참조)라도, 상기 앞측 통과구(6)의 입구 가장자리부, 즉, 상기 내측 플랜지(13a)의 내면(13b)에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체(14)의 상기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149)를 압접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 폐쇄 부재(11)의 밀봉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랩체(14)의 표면부(147)에는 상기 회동의 중심축, 즉, 상기 회동축(144)의 축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는 홈 형상 오목부(143c)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홈 형상 오목부(143c)는 플랩체(14)의 원호 형상 부분(143b)의 중앙과 직선 형상 부분(143a)의 중앙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 1 직선(L1) 위의 위치를 바닥으로 하고, 상기 직선 형상 부분(143a)과 원호 형상 부분(143b)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가상의 제 1 직선(L1)을 따르는 방향을 홈의 길이 방향으로 하며, 상기 가상의 제 1 직선(L1)에 직교하는 방향을 홈의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원호 형상 부분(143b)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의 예에서는, 1쌍의 플랩체(14, 14)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142)에 있어서 일방의 플랩체(14)의 홈 형상 오목부(143c)와 타방의 플랩체(14)의 홈 형상 오목부(143c)가 정합(整合)해서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도 6).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149)는 상기 맞닿음부(142)에 있어서의 상기 홈 형상 오목부(143c) 외측에 위치하는 개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급유 노즐(N)의 삽입시에는 급유 노즐(N)의 선단은 플랩체(14)에 홈 형상 오목부(143c)를 이용하여 맞닿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149)가 상기 맞닿음을 발생하지 않는 개소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2)]
상기 가이드 부재(2)는 상기 밀봉 부재(3)의 상단과 상기 격벽(35)의 사이에 상기 밀봉 부재(3)의 상단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에는 상기 끼워 넣음 상태에 있어서 밀봉 부재(3)의 통과구(36) 위에 위치하는 통과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밀봉 부재(3)의 통과구(36)와, 가이드 부재(2)의 통과구(22)에 의해, 상기 폐쇄 부재(11)의 안측에 상기 급유 노즐(N)의 안측 통과구(7)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의 상면에는 상기 통과구(22)의 입구 가장자리, 즉, 상기 안측 통과구(7)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23a)으로 하고 상기 커버 부재(1)의 후술의 앞측 통과구(6) 근방을 경사 상단(23b)으로 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폐쇄 부재(11)를 구성하는 플랩체(14)의 상기 맞닿음부(142)의 직하 위치(x, 도 12 참조)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x)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급유 노즐(N)의 가이드 경사면(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은 상기 경사 상단(23b)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안측 통과구(7)의 가상의 중심축(y)과의 거리를 점증시키는 경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중심축(y)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점감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1, 도 12 참조).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유구 장치는 연직선(z, 도 11 참조)에 대해 상기 안측 통과구(7)의 가상의 중심축(y)을 비스듬하게 교차시켜서 설치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을 상기 가상의 중심축(y)을 사이에 둔 상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형성시키고 있다(도 11).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은 상기 플랩체(14)의 회동축(144)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상의 직선이며 상기 직하 위치(x)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의 집합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은 평면에서 보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안측 통과구(7)의 측을 바닥변(23c)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도 14).
또한,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의 외측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체(14)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의 2개의 사변(斜邊, 23d, 23d)의 외측에 각각, 상기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은 상기 가이드 부재(2)의 상면측에 형성된 산 형상 융기부(23e)에 있어서의 상기 안측 통과구(7)로 향한 융기부 정면(23f)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 정면(23f)의 좌우에는 각각,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산 형상 융기부(23e)의 단면적을 점감시키도록 형성된 융기부 측면(23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융기부 정면(23f), 즉, 가이드 경사면(23)의 좌우에 각각 상기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경사면(23)의 사변(23d)과 융기부 측면(23g)은 동일면을 이룸과 아울러, 이들은 플랩의 직선 형상 부분(143a)의 회동 궤적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도 12, 도 13), 이에 따라,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체(14)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경사면(23)의 사변(23d) 및 융기부 측면(23g)과 플랩체(14)의 자유단이 되는 직선 형상 부분(143a)의 사이에는 가급적으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급유 노즐(N)을 원활하게 안측 통과구(7)로 안내함과 아울러, 급유 노즐(N)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는 나선 형상의 선재(앵커 스프링으로도 불린다.)를 개방 위치에 있는 플랩체(14)와 가이드 경사면(23) 및 융기부 측면(23g) 사이로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급유 건의 급유 노즐(N)의 급유구(5)로의 삽입 조작이 이루어지면, 우선 상기 폐쇄 부재(11)를 구성하는 1쌍의 플랩체(14, 14)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앞측 통과구(6)에서 안쪽으로의 급유 노즐(N)의 진입이 허용된다. 상기 앞측 통과구(6)에서 안쪽으로 급유 노즐(N)이 진입하면, 상기 급유 노즐(N)의 선단을 안측 통과구(7)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23a)으로 하고 상기 앞측 통과구(6) 근방을 경사 상단(23b)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14)의 상기 맞닿음부(142)의 직하 위치(x)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x)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에 부딪히게 하여 상기 안측 통과구(7)로 안내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유구 장치는 연직선(z)에 대해 상기 안측 통과구(7)의 가상의 중심축(y)을 비스듬하게 교차시켜서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진입되는 급유 노즐(N)의 전방에 상기 가상의 중심축(y)의 상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경사면(23)이 위치하고, 상기 급유 노즐(N)은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경사면(23)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안측 통과구(7)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N: 급유 노즐 11: 폐쇄 부재
14: 플랩체 141: 회동 조립부
142: 맞닿음부 147: 표면부
148: 밀봉 볼록 돌조 148a: 단말
149: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 15: 탄성 지지 수단
5: 급유구

Claims (3)

  1. 급유 노즐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급유구 장치로서,
    상기 폐쇄 부재는 1쌍의 플랩체와, 각 플랩체를 탄성 지지에 의해 급유 노즐의 앞측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쌍의 플랩체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와, 타방의 플랩체에 대한 맞닿음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는 상기 급유 노즐의 안측 통과구와, 상기 안측 통과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으로 하고 상기 앞측 통과구 근방을 경사 상단으로 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의 상기 맞닿음부의 직하 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급유 노즐의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경사 상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안측 통과구의 가상의 중심축과의 거리를 점증시키는 경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점감시켜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외측에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체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급유구 장치는, 연직선에 대해 상기 안측 통과구의 가상의 중심축을 비스듬하게 교차시켜서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경사면을 상기 가상의 중심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장치.
KR1020160119403A 2015-10-09 2016-09-19 급유구 장치 KR10180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0984 2015-10-09
JP2015200984A JP6419054B2 (ja) 2015-10-09 2015-10-09 給油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466A true KR20170042466A (ko) 2017-04-19
KR101807426B1 KR101807426B1 (ko) 2017-12-08

Family

ID=5848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03A KR101807426B1 (ko) 2015-10-09 2016-09-19 급유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9271B2 (ko)
EP (1) EP3360714B1 (ko)
JP (1) JP6419054B2 (ko)
KR (1) KR101807426B1 (ko)
CN (1) CN108290495B (ko)
WO (1) WO2017061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8976B2 (ja) * 2015-09-09 2019-02-13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194A (en) * 1996-03-21 1998-03-24 Stant Manufacturing Inc. Capless filler neck closure system
US6923224B1 (en) * 2004-01-15 2005-08-02 Stant Manufacturing Inc. Closure and vent system for capless filler neck
US7007726B1 (en) * 2005-04-18 2006-03-07 Eaton Corporation Cover closure assembly and method for fuel tank filler
US7997307B2 (en) * 2007-10-30 2011-08-16 Eaton Corporation Fill nozzle positioning apparatus
JP5385288B2 (ja) * 2008-08-25 2014-01-08 株式会社ニフコ 誤給油防止装置
JP5221662B2 (ja) 2008-09-11 2013-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給油口構造
JP5596712B2 (ja) * 2009-03-12 2014-09-24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給油ミス防止装置
JPWO2011074593A1 (ja) 2009-12-17 2013-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給油管装置
JP5691532B2 (ja) * 2011-01-12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US8899285B2 (en) * 2011-01-31 2014-12-02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666330B2 (ja) * 2011-02-07 2015-02-12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開閉装置
JP5605340B2 (ja) * 2011-09-27 2014-10-15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US9340105B2 (en) 2011-09-27 2016-05-17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opening-closing device
JP2014125008A (ja) 2012-12-25 2014-07-07 Fts:Kk ネックエンドの取付構造
JP2015067139A (ja) 2013-09-30 2015-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開閉装置
JP6184842B2 (ja) * 2013-11-15 2017-08-23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給油口開閉構造
JP6203105B2 (ja) * 2014-04-11 2017-09-27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開閉装置
JP6468976B2 (ja) * 2015-09-09 2019-02-13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装置
JP6556014B2 (ja) * 2015-10-09 2019-08-07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装置
US9987922B2 (en) * 2016-08-1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less refuel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0714A4 (en) 2019-05-01
JP2017071360A (ja) 2017-04-13
EP3360714A1 (en) 2018-08-15
JP6419054B2 (ja) 2018-11-07
KR101807426B1 (ko) 2017-12-08
CN108290495B (zh) 2020-12-18
US10759271B2 (en) 2020-09-01
CN108290495A (zh) 2018-07-17
WO2017061572A1 (ja) 2017-04-13
US20180312055A1 (en) 2018-11-01
EP3360714B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423B2 (ja) 誤給油防止装置
KR101744453B1 (ko) 급유구 장치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101807426B1 (ko) 급유구 장치
US20160297297A1 (en)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filler opening
US20170036535A1 (en) Fuel filling aperture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12144128A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JP2016113101A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KR100902735B1 (ko)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KR100456872B1 (ko) 퓨얼필러도어의 결합구조
KR100401583B1 (ko) 필러리드 개폐용 브라켓트
KR200363764Y1 (ko)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WO2017056914A1 (ja) 誤給油防止装置
KR20050047823A (ko)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CN110962587B (zh) 燃料箱的开闭装置
KR100941091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KR100462670B1 (ko) 자동 개폐식 연료 주입구
JP5621455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JP6658502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100551267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20020022998A (ko) 자동차의 연료 주유구
KR20050065001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장치
JPH09303034A (ja) 二折型扉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