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95A - 핵정 타정기 - Google Patents

핵정 타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95A
KR20170039395A KR1020150138461A KR20150138461A KR20170039395A KR 20170039395 A KR20170039395 A KR 20170039395A KR 1020150138461 A KR1020150138461 A KR 1020150138461A KR 20150138461 A KR20150138461 A KR 20150138461A KR 20170039395 A KR20170039395 A KR 2017003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llow mold
core
rotary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298B1 (ko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김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102015013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2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30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using directly-acting flui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는,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중공 금형이 배열되는 하부 회전테이블과, 상단이 상기 중공 금형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펀치와, 1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중공 금형으로 제1분말을 투입한 후, 핵정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의 상부에 핵정을 투입하고, 2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의 상부에 제2분말을 투입하는 원료 투입부 및, 상기 하부 펀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분말 투입 후 하강에 의한 압축 성형을 통해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과 상기 제2분말을 하나의 완제품으로 일체화시키는 상부 펀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핵정 타정기{PUNCH PRESS MACHINE}
본 발명은 핵정 타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 투입 공정과 핵정 투입 공정이 각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말 투입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핵정이 분말의 내부에 위치된 형태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고,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함량의 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핵정 타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tablet)는 분말 형태의 약재를 원판 등의 모양으로 압축하여 복용하기 쉽도록 제조한 알약을 말한다.
이러한 정제는, 약재를 과립상의 분말로 성형한 후, 타정기의 펀치를 이용해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적정 형태로 제조하고 있다.
종래의 타정기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배열되어 분말이 투입되는 금형과,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금형의 내부로 출몰하여 분말을 압축하는 다수의 펀치와, 성형이 완료된 정제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 등이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타정기는 분말을 일정 형태로 압축하여 하나의 분말로 이루어진 정제로 제조하고 있으나, 분말의 내부에 핵정이 투입된 형태로 제조하기에는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핵정을 내부에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없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2712호(2001년 04월 2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정제의 제조방법 및 정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분말 투입 공정과 핵정 투입 공정 및 2차 분말 투입 공정이 각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말 투입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핵정이 분말의 내부에 위치된 형태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고,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함량의 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핵정 타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핵정 투입 위치에 센서를 배치시킴으로써, 핵정의 투입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정 타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는,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중공 금형이 배열되는 하부 회전테이블과, 상단이 상기 중공 금형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펀치와, 1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중공 금형으로 제1분말을 투입한 후, 핵정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의 상부에 핵정을 투입하고, 2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의 상부에 제2분말을 투입하는 원료 투입부 및, 상기 하부 펀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분말 투입 후 하강에 의한 가압을 통해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과 상기 제2분말을 하나의 완제품으로 일체화시키는 상부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 투입부는 상기 1차 분말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제1분말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키는 1차 분말 투입기와, 상기 핵정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핵정을 투입시키는 핵정 투입기 및, 상기 2차 분말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제2분말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키는 2차 분말 투입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핵정 투입기는 테두리 부위를 따라 핵정이 투입되도록 핵정 투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 회전되면서 상기 핵정 투입홀에 삽입된 핵정이 상기 중공 금형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회전 디스크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된 핵정를 상기 핵정 투입홀에 순차적으로 투입시키는 투입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관에는 내부에 적층된 핵정을 순차적으로 하향 배출시켜, 상기 핵정 투입홀로 투입시키는 투입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는 상기 핵정 투입홀로 핵정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상부에는 상기 중공 금형으로 핵정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측부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기와 맞물림 회전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2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디스크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3회전기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 투입부에는 제어부가 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말과 상기 제2분말의 투입량이 기설정되며, 상기 제1분말과 상기 제2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펀치는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로 상기 제1분말이 투입 후 1차 높이에서 2차 높이로 하강 위치되며, 상기 2차 높이에서 상기 제1분말의 상부로 상기 핵정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1차 분말 투입 공정과 핵정 투입 공정 및 2차 분말 투입 공정이 각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말 투입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핵정이 분말의 내부에 위치된 형태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고,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함량의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핵정 투입 위치에 센서를 배치시킴으로써, 핵정의 투입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의 1차 분말과 핵정 및 2차 분말 투입 후 압축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의 1차 분말과 핵정 및 2차 분말 투입 후 압축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는 하부 회전테이블(100)과, 하부 펀치(200)와, 원료 투입부(300-1)(300-2)(300-3) 및, 상부 펀치(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은 회전 구동부(10)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은 수직 회전중심(C)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10)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은, 1차 분말 투입 구간과 핵정 투입 구간과 2차 분말 투입 구간 및 정제 취출 구간을 따라 설정 피치만큼 연속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은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중공 금형(110)이 배열되며, 상기 중공 금형(110)의 내부 공간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측부에는 후술 될 회전 구동부(10)와 원료 투입부를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상부 펀치(40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테이블(1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테이블(101)에는, 후술 될 상부 펀치(400)가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0)는,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구동부(10)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제1회전기어(11)와, 제2회전기어(12) 및, 제3회전기어(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하부 회전테이블(10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C) 또는 제1회전기어(11)와 제2회전기어(12) 및 제3회전기어(13) 중 어느 하나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어(11)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기어(11)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가 후술 될 제2회전기어(12)의 톱니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기어(12)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측부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기어(1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가 제1회전기어(11)의 톱니와 맞물림 결합된다.
제3회전기어(13)는, 후술 될 회전 디스크(310-2)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회전기어(13)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가 제2회전기어(12)의 톱니와 맞물림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기어(11)가 수평회전 함과 동시에 제2회전기어(12)와 제3회전기어(13)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3회전기어(13)에 연결된 회전 디스크(310-2)가 회전될 수 있다.
하부 펀치(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중공 금형(110)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하부에는 하부 펀치(200)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하부 레일(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일(30)은,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회전중심(C)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레일(30)은, 지지하는 높낮이 편차를 이용해 하부 펀치(200)를 승강 또는 정 위치에 대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레일(30)의 상부에는 직선 레일부(미도시)와, 롤 레일부(미도시)와, 테이퍼 레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하부 펀치(200)를 해당 위치에서 승강 또는 정 위치에 대기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하부에는 하부 펀치(200)를 압축 성형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하부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펀치(200)는, 도 5에서와 같이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제1분말(A1)이 투입된 후, 1차 높이에서 2차 높이로 하강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펀치(200)는 중공 금형(110)의 내부에 투입된 제1분말(A1)의 상부에 핵정(B) 투입 후, 2차 높이에서 3차 높이로 하강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펀치(200)는 중공 금형(110)에 제1분말(A1)이 투입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핵정(B) 및 제2분말(A2)이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원료 투입부는, 1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중공 금형으로 제1분말(A1)을 투입한 후, 핵정 투입 구간에서 제1분말(A1)의 상부에 핵정(B)을 투입한다.
이후, 상기 원료 투입부는 2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제1분말(A1)과 핵정(B)의 상부에 제2분말(A2)을 투입하며, 이때 제1분말(A1)과 제2분말(A2)의 사이에 핵정(B)이 위치된다.
이를 위한 상기 원료 투입부는, 제1분말(A1)투입을 위한 1차 분말 투입기(300-1)와, 핵정(B) 투입을 위한 핵정 투입기(300-2) 및, 제2분말(A2) 투입을 위한 2차 분말 투입기(300-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차 분말 투입기(300-1)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1차 분말 투입 구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중공 금형(110)의 내부에 제1분말(A1)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1차 분말 투입기(300-1)는 외부로부터 제1분말(A1)이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 분말 투입기(300-1)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이 동작을 시작할 때,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제1분말(A1)을 투입한다.
핵정 투입기(300-2)는, 핵정(B)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중공 금형(110)의 내부에 핵정(B)을 투입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핵정 투입기(300-2)는, 회전 디스크(310-2)와, 투입관(320-2) 및, 투입 구동부(33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디스크(310-2)는, 테두리 부위를 따라 핵정(B)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핵정 투입홀(311-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핵정 투입홀(311-2)은, 도 1에서와 같이 회전 디스크(310-2)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핵정 투입홀(311-2)은 도 1에서처럼 핵정(B)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핵정(B)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핵정 투입홀(311-2)은, 회전 디스크(310-2)가 회전된 후 중공 금형(110)의 삽입 공간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디스크(310-2)는 회전 구동부(10)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 회전되면서 핵정 투입홀(311-2)에 삽입된 핵정(B)이 중공 금형(110)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디스크(310-2)는 전술한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밀착 또는 근접 위치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핵정 투입홀(311-2)에 삽입된 핵정(B)이 하부로 낙하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회전 디스크(310-2)의 일부분이 플레이트(20)를 벗어나, 중공 금형(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디스크(310-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중공 금형(110)의 상부에 핵정 투입홀(311-2)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핵정 투입홀(311-2)의 하부를 통해 핵정(B)이 낙하되어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관(320-2)은, 회전 디스크(310-2)의 상부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관(320-2)의 내부에는 핵정(B)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관(320-2)은 내부에 적층된 핵정(B)을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관(320-2)의 하부에는 핵정 투입홀(311-2)로 핵정(B)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디스크(310-2)가 설정 피치만큼 연속적으로 수평 회전하는 경우, 핵정 투입홀(311-2)이 투입관(320-2)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투입관(320-2)의 내부에 적층된 핵정(B)이 핵정 투입홀(311-2)로 낙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투입 구동부(330-2)은, 투입관(320-2)의 내부에 적층된 핵정(B)을 순차적으로 하향 배출시켜, 배출된 핵정(B)을 핵정 투입홀(311-2)로 투입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 구동부(330-2)는 투입관(320-2)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32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구동부(330-2)는 다양한 개폐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투입 구동부(330-2)가 투입관(320-2)의 배출구(321-2)를 개방시키는 경우, 투입관(320-2)의 내부에 적층된 최 하단의 핵정(B)이 배출구(321-2)를 통해 핵정 투입홀(311-2) 로 낙하될 수 있다.
2차 분말 투입기(300-3)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2차 분말 투입 구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중공 금형(110)의 내부에 제2분말(A2)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2차 분말 투입기(300-3)는 외부로부터 제2분말(A2)이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2차 분말 투입기(300-3)는 하부 회전테이블(100)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제1분말(A1)과 핵정(B)이 투입된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제2분말(A2)을 투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금형(110)의 내부에 제1분말(A1)과 핵정(B)과 제2분말(A2)이 서로 다른 층으로 투입된 상태가 되며,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해 가압 구간으로 이동된다.
상부 펀치(400)는, 하부 펀치(200)와 대응되도록 중공 금형(11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펀치(200)의 상부에서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펀치(400)는, 제2분말(A2) 투입 후 하강에 의한 가압을 통해 제1분말(A1)과 핵정(B)과 제2분말(A1)을 하나의 완제품으로 일체화시켜 하나의 정제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부 회전테이블(101)의 상부에는 상부 펀치(400)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는 상부 레일(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40)은, 지지하는 높낮이 편차를 이용해 상부 펀치(400)를 승강 또는 정 위치에 대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일(40)은 상부 회전테이블(101)의 회전 중심(C)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일(40)은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부 펀치(400)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상승 테이퍼부(미도시)와, 상승된 상태로 상부 펀치(400)를 동일 높이로 가이드하는 상부 직선부(미도시)와, 상부 펀치(400)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는 하강 테이퍼부(미도시) 및, 하강된 상태로 상부 펀치(400)를 동일 높이로 가이드하는 하부 직선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부 회전테이블(101)의 상부에는 상부 펀치(300)를 압축 성형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상부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롤러의 위치에서 상부 펀치(400)가 하강하여 중공 금형(120)의 중공 내에 투입된 제2분말(A2)을 상방에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원료 투입부에는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제1분말(A1)과 제2분말(A2)의 투입량이 기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1차 분말 투입기(300-1)와 핵정 투입기(300-2)의 투입 구동부(330-2)와 2차 분말 투입기(300-3)의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제1분말(A1)과 제2분말(A2)의 투입량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회전 디스크(310-2)의 상부 또는 인접 위치에는 핵정 투입홀(311-2)로 핵정(B)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하부 회전테이블(100)의 상부 또는 인접 위치에는 중공 금형(110)으로 핵정(B)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센서(500)와 제2센서(600)는, 핵정(B)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 후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정(B)이 투입되어야 할 핵정 투입홀(311-2) 또는 중공 금형(110) 내에 핵정(B)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불량 발생으로 판단하여 구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는 하부 펀치(200)와 상부 펀치(40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위치에 이젝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젝터는 정제 취출 구간에 배치되어, 제조가 완료된 정제를 중공 금형(110)으로부터 취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이젝터는, 에어 분사 방식을 이용해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이젝터의 취출 방식은 다양한 구조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핵정 타정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처럼 1차 분말 투입기(300-1)로부터 배출되는 제1분말(A1)이 중공 금형(110)이 투입된다.
이후, 하부 회전테이블(100)이 설정 피치만큼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 디스크(310-2)가 설정 피치만큼 연동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 디스크(310-2)의 핵정 투입홀(311-2)에 삽입된 핵정(B)이 제1분말(A1)이 투입된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 과정에서, 투입관(320-2)의 배출구(321-2)로 배출된 핵정(B)이 핵정 투입홀(311-2)로 삽입되면서 핵정(B)이 없는 핵정 투입홀(311-2)을 채운다.
그리고, 하부 회전테이블(100)이 설정 피치만큼 더 회전되면, 2차 분말 투입기는 제1분말과 핵정(B)이 투입된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제2분말을 투입한다.
이후, 상부 회전테이블(101)의 가이드홈에 설치된 상부 펀치(400)가 하강하면서 제2분말(A2)이 투입된 중공 금형(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상부 펀치(400)와 하부 펀치(200)가 상하 방향에서 제1분말(A1)과 핵정(B)과 제2분말(A2)을 압축 성형하여 하나의 정제로 일체화시킨다.
최종적으로, 하부 회전테이블(100)이 설정 피치만큼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 펀치(200)가 1차 높이로 상승하면서 일체화된 정제를 상승시키며, 이 상태에서 취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1차 분말 투입 공정과 핵정 투입 공정 및 2차 분말 투입 공정이 각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 2분말(A1)(A2) 투입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핵정(B)이 분말의 내부에 위치된 형태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고,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함량의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핵정 투입 위치에 제1, 2센서(500)(600)를 배치시킴으로써, 핵정(B)의 투입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핵정 타정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회전 구동부 11: 제1회전기어
12: 제2회전기어 13: 제3회전기어
20: 플레이트 30: 하부 레일
40: 상부 레일 100: 하부 회전테이블
101: 상부 회전테이블 110: 중공 금형
200: 하부 펀치 300-1: 1차 분말 투입기
300-2: 핵정 투입기 310-2: 회전 디스크
311-2: 핵정 투입홀 320-2: 투입관
330-2: 투입 구동부 300-3: 2차 분말 투입기
400: 상부 펀치 500: 제1센서
600: 제2센서 A1: 제1분말
A2: 제2분말 B: 핵정
C: 회전중심

Claims (8)

  1.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중공 금형이 배열되는 하부 회전테이블;
    상단이 상기 중공 금형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펀치;
    1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중공 금형으로 제1분말을 투입한 후, 핵정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의 상부에 핵정을 투입하고, 2차 분말 투입 구간에서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의 상부에 제2분말을 투입하는 원료 투입부; 및
    상기 하부 펀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분말 투입 후 하강에 의한 압축 성형을 통해 상기 제1분말과 상기 핵정과 상기 제2분말을 하나의 완제품으로 일체화시키는 상부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 투입부는,
    상기 1차 분말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제1분말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키는 1차 분말 투입기와,
    상기 핵정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핵정을 투입시키는 핵정 투입기 및,
    상기 2차 분말 투입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에 상기 제2분말을 설정량으로 투입시키는 2차 분말 투입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핵정 투입기는,
    테두리 부위를 따라 핵정이 투입되도록 핵정 투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설정 피치만큼 수평 회전되면서 상기 핵정 투입홀에 삽입된 핵정이 상기 중공 금형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회전 디스크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된 핵정를 상기 핵정 투입홀에 순차적으로 투입시키는 투입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에는,
    내부에 적층된 핵정을 순차적으로 하향 배출시켜, 상기 핵정 투입홀로 투입시키는 투입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는,
    상기 핵정 투입홀로 핵정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상부에는,
    상기 중공 금형으로 핵정이 삽입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하부 회전테이블의 측부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기와 맞물림 회전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2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와 맞물림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디스크를 연동 회전시키는 제3회전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 투입부에는,
    제어부가 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말과 상기 제2분말의 투입량이 기설정되며, 상기 제1분말과 상기 제2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펀치는,
    상기 중공 금형의 내부로 상기 제1분말이 투입 후 1차 높이에서 2차 높이로 하강 위치되며, 상기 2차 높이에서 상기 제1분말의 상부로 상기 핵정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정 타정기.
KR1020150138461A 2015-10-01 2015-10-01 핵정 타정기 KR10177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61A KR101777298B1 (ko) 2015-10-01 2015-10-01 핵정 타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61A KR101777298B1 (ko) 2015-10-01 2015-10-01 핵정 타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95A true KR20170039395A (ko) 2017-04-11
KR101777298B1 KR101777298B1 (ko) 2017-09-11

Family

ID=5858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61A KR101777298B1 (ko) 2015-10-01 2015-10-01 핵정 타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216B1 (ko) * 2022-08-01 2024-01-02 해강물산 주식회사 동전타입의 고체형 조미료 타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456B1 (ko) 2018-03-21 2019-08-19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핵정 타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303B1 (ja) * 1998-08-25 1999-08-09 株式会社菊水製作所 回転式有核錠剤機
JP4549504B2 (ja) * 2000-09-01 2010-09-22 バイエル薬品株式会社 回転式有核錠剤製造機
WO2005097041A1 (ja) 2004-04-09 2005-10-20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有核成型品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216B1 (ko) * 2022-08-01 2024-01-02 해강물산 주식회사 동전타입의 고체형 조미료 타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298B1 (ko) 201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443B2 (ja) 回転式粉末圧縮成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77298B1 (ko) 핵정 타정기
JP6019109B2 (ja) 錠剤出口を備えたロータリー打錠機、前記ロータリー打錠機用の錠剤出口、及び打錠機で錠剤を製造する方法
US8568630B2 (en) Rotary press for quality surveillance of powdered pressed material
CN105015013B (zh) 一种药片自动压型装置
KR101872499B1 (ko) 캡슐제 생산용 장치
KR102187863B1 (ko) 반죽시트 성형 공급구조를 갖는 만두 성형시스템
EP15369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iniature tablets
US20110024937A1 (en) Tablet Formation System for Fully-Loaded Presses
KR101215936B1 (ko) 탭핑머신용 검사장치
JPH0623018A (ja) 回転錠剤機から排出される錠剤を取り出し搬送する装置
JP2017030001A (ja) 粉体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粉体圧縮成形機
CN114085118A (zh) 一种火炸药制片生产系统
JP2012006058A (ja) ロータリプレスの不良品排出確認装置
CN113276466A (zh) 一种西咪替丁片压片工艺及其压片设备
CN110523975B (zh) 一种金属粉末冶金成型工艺
KR20180136287A (ko) 얼음 컵 성형장치
KR20110084687A (ko) 정제 압축성형장치
JP5964413B2 (ja) 回転プレス機および回転プレス機を作動させる方法
KR101596455B1 (ko) 타정기
JP2020032450A (ja) 粉体圧縮成形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419603B (zh) 一种自动压茶饼机及其工作流程
CN210557359U (zh) 药品装盒机储盒架导向安全装置
KR101029974B1 (ko) 반도체 소자용 로터리식 수지 태블릿 성형장치
RU2510672C2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роторный прес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