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287A - 얼음 컵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컵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287A
KR20180136287A KR1020170075046A KR20170075046A KR20180136287A KR 20180136287 A KR20180136287 A KR 20180136287A KR 1020170075046 A KR1020170075046 A KR 1020170075046A KR 20170075046 A KR20170075046 A KR 20170075046A KR 20180136287 A KR20180136287 A KR 2018013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up
unit
ice cu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899B1 (ko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17007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99B1/ko
Priority to PCT/KR2017/006876 priority patent/WO2018230762A1/ko
Publication of KR2018013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a fixed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제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결정체들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얼음결정체들을 외부배출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호퍼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배출구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의 공급량을 계량하여 배출하는 계량기를 포함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기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수직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어 제1 구동모터와 연동하는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계량기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컵 형상의 캐비티가 내부에 마련된 성형금형을 포함하는 금형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성형금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성형금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며, 일단에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장치가 설치된 가이드패널, 상기 금형부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파지장치를 통해 코어에서 추출된 얼음 컵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컵 성형장치{A ICE CUP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얼음 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얼음결정체들을 가압, 성형 및 추출하여 얼음 컵을 성형하기 위한 얼음 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음 컵은 예컨대, 여름철 맥주나 탄산수 등의 음료를 보다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얼음으로 제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얼음 컵은 순수한 얼음으로 제조됨에 따라 일회용으로 사용되면서도 환경오염의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얼음 컵은 예컨대, 얼음결정체들을 투입 및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얼음 컵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얼음 컵 제조장치는 예컨대,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컵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컵 제조장치는 얼음결정체들과 물의 혼합물이 위치되는 하부금형(20), 하부금형(20)의 상측에 위치되고,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배출유로(EP)가 형성된 상부금형(10) 및 상ㆍ하부금형(10, 20)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구동시켜 혼합물을 가압함으로써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하되, 혼합물이 상ㆍ하부금형(10, 20)에 의해 가압되어 얼음 컵으로 성형시 혼합물이 몰딩되는 몰딩 영역 내부로부터 물과 공기가 복수의 배출유로(EP)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컵 제조장치는 얼음 컵의 성형시 얼음결정체들의 입자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들이 상단부에 집적되면서 얼음 컵의 상단부 곳곳에 공기들에 의한 공동(Cavity)이 형성되면서 얼음 컵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는 등 얼음 컵의 제조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얼음 컵 성형시 상ㆍ하부금형(10, 20) 내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몰딩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의 수축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얼음 컵의 형상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컵 제조장치는 얼음결정체들(IP)이 소량이라도 적거나 많게 하부금형(20)에 공급될 경우 불량이 쉽게 발생하여 얼음 컵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유압방식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얼음 컵을 성형하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2)는 실린더를 통해 얼음의 투입, 가압 및 성형하여 얼음 컵을 제조토록 하고,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추출하여 얼음 컵의 안정적인 성형 및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34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96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결정체들을 계량하여 투입할 수 있어 얼음결정체들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압방식 대신 모터구동방식을 통해 얼음결정체들을 가압, 성형 및 추출하여 얼음 컵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얼음 컵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제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결정체들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얼음결정체들을 외부배출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호퍼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배출구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의 공급량을 계량하여 배출하는 계량기를 포함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기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수직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어 제1 구동모터와 연동하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계량기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컵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내부에 마련된 성형금형을 포함하는 금형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성형금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성형금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며, 일단에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장치가 설치된 가이드패널;
상기 금형부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파지장치를 통해 코어에서 추출된 얼음 컵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는 계량기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하는 봉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성형금형의 외부에 연결된 연결장치;
상기 연결장치가 축 조립되며, 둘레에 스크루가 형성된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를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구동부는 코어가 하단에 구비되고,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축 조립되며, 둘레에 스크루가 형성된 수직축; 및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플랜지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코어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핀;
상기 스토퍼 핀과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
상기 스토퍼 핀의 상부에 배치된 높이제한패널; 및
상기 코어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높이제한패널을 통한 스토퍼 핀의 높이제한시 상기 스토퍼 핀의 하단과의 접촉을 통해 하강하여 상기 코어에서 얼음 컵을 벗겨내는 스트리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성형금형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하는 금형가이드, 제1,2 구동모터 및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수직가이드; 및
상기 수직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설치된 선반;
상기 수직가이드와 선반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구동방식으로 구동하는 계량기를 통해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이 성형금형에 공급되고, 상기 성형금형의 수평방향 이동 및 코어의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을 통해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고,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배출함으로써, 얼음 컵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계량기를 통해 얼음 컵의 성형에 필요한 만큼의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을 성형금형에 공급 가능함으로써, 얼음결정체들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컵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의 구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의 외곽프레임 및 제어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통상의 제빙기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되는 얼음결정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 및 상기 저장부(10)와 연계하여 얼음결정체들의 공급량을 계량하여 배출하기 위한 계량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0)는 제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결정체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11a)이 내부에 마련되며, 얼음결정체들을 외부배출하는 배출구(11b)가 하부에 형성된 호퍼(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1 구동부(30)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패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20)는 호퍼(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배출구(11b)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 컵의 성형에 필요한 만큼의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을 공급하는 계량기(21)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결정체들을 호퍼(11)를 통해 저장부(10)에 저장하고, 계량기(21)를 통해 계량하여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을 후술하는 금형부(40)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계량부(20)는 계량기(21)의 상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장공간(11a)에 내장되는 봉체(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량부(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상기 계량부(2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30)는 계량기(21)의 상부에 수평패널(31)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패널(31)의 측면에 수직패널(32)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패널(32)의 외부에 통상의 스텝모터(Step Motor)로 실시 가능한 제1 구동모터(33)와 연동하는 랙(34)과 피니언(35)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동모터(33)의 구동시 이와 연동하여 피니언(35)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35)을 회전에 의해 랙(34)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계량기(21) 및 봉체(22)를 포함하는 계량부(2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봉체(22)를 통해 저장공간(11a)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얼음결정체들을 얼음 컵으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부(40), 가이드패널(42) 및 성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금형부(40)는 계량기(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계량기(21)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컵 형상의 캐비티(41a)가 내부에 마련된 성형금형(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금형(41)은 예컨대, 통상의 스텝모터로 실시 가능한 제2 구동모터(47)와 수평축(46) 및 상기 수평축(46)과 성형금형(41)을 연결하는 연결장치(45)를 포함하는 제2 구동부(44)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구동부(44)는 성형금형(41)의 외부에 예컨대, 통상의 패널(Panel)과 부시(Bush)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4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45)는 예컨대, 둘레에 스크루(Screw)가 형성된 수평축(46)에 축 조립되며, 상기 수평축(46)을 제2 구동모터(47)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성형금형(41)이 연결장치(45)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패널(42)은 계량기(21)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성형금형(4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성형금형(4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됨으로써, 평상시 상기 계량기(21)의 하부를 밀폐하고 있다가 얼음 컵의 성형시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을 상기 성형금형(41)의 캐비티(41a)에 투입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계량기(2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개구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2a)의 상부에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장치(43)가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파지장치(43)는 말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집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집게는 가이드패널(4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구동부(44)를 통한 가이드패널(42)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 성형부(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므라지거나 펼쳐짐으로써, 상기 성형부(50)를 통해 성형한 얼음 컵을 파지하고, 이후 상기 가이드패널(42)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 후술하는 이송부(60)에 상기 얼음 컵을 올려놓게 된다.
상기 성형부(50)는 성형금형(41)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41a)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코어(51)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51)는 캐비티(41a)와 대응하게 형성하되, 상기 캐비티(41a)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을 가압시 코어(51)와 캐비티(41a) 사이에서 얼음결정체들이 성형되도록 방식으로 얼음 컵을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부(50)는 예컨대, 제3 구동모터(56)와 수직축(55) 및 상기 수직축(55)과 코어(51)를 연결하는 이동체(54)를 포함하는 제3 구동부(53)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체(54)의 하부에 코어(51)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체(54)는 예컨대, 둘레에 스크루가 형성된 수직축(55)에 축 조립되며, 통상의 스텝모터로 실시 가능한 제3 구동모터(56)를 통해 상기 수직축(55)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체(54)가 수직축(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코어(51)의 승, 하강을 통한 얼음 컵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3 구동부(53)를 통한 코어(51)의 승, 하강시 코어(51)의 상승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이동체(54)의 하단에 플랜지(54a)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4a)에 스토퍼 핀(57)이 상부방향으로 조립되며, 상기 스토퍼 핀(57)과 플랜지(54a) 사이에 코일스프링(58)이 개재되고, 상기 스토퍼 핀(57)의 상부에 높이제한패널(59)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코어(51)의 상부에는 코어(51)에서 얼음 컵을 벗겨내기 위한 스트리퍼(52)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트리퍼(52)는 상기 코어(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높이제한패널(59)을 통한 스토퍼 핀(57)의 높이제한시 상기 스토퍼 핀(57)의 하단(57a)과의 접촉을 통해 하강하여 코어(51)에 얼음 컵을 벗겨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코어(51)의 상승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얼음 컵의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상기 코어(51)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어 제조편의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가이드패널(42)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트리퍼(52)와 파지장치(43)를 통해 코어에서 추출된 얼음 컵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컨베이어(61)를 포함하는 이송부(6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컨베이어(61)는 컨베이어모터(62)를 통해 구동하는 컨베이어벨트로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컨베이어(61)의 외부에 보호케이스(63)를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61)에서 얼음 컵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61)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62) 및 제1,2 구동모터(33)(47)는 금형부(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70)의 상면에 통상의 브래킷(bracket)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70)의 상면 중심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금형가이드(71)가 설치되어 성형금형(41)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70)의 각 모서리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의 수직가이드(72)가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수직가이드(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반(73)이 다단 설치되어 제1,3 구동부(33)(53)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얼음 컵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성형방법을 통해 얼음 컵을 성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로써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먼저, 호퍼(11)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성형체들은 제1 구동부(30)를 통한 계량기(21)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계량기(21)의 내부에 공급된다. 여기서 계량기(21)의 하부는 가이드패널(42)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얼음결정체들이 외부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구동부(44)를 통한 성형금형(41)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 계량기(21)에 저장된 정량의 얼음성형체들은 상기 성형금형(41)의 캐비티(41a)에 투입된 후 상기 제2 구동부(44)의 반대방향으로의 구동시 코어(51)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3 구동부(53)를 통한 코어(51)의 하강시 상기 코어(51)를 통해 가압이 이루어짐으로써, 얼음 컵으로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코어(51)를 통해 얼음 컵의 성형이 완료되면, 제3 구동부(53)를 통해 상기 코어(51)는 상승하고, 제2 구동부(44)를 통해 성형금형(41)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파지장치(43)가 코어(51)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구동부(53)를 통한 코어(51)의 상승과정에서 스토퍼 핀(57)의 상단이 높이제한패널(59)에 닿게 되면, 상기 코어(51)는 코일스프링(58)을 압축하면서 상승하는데, 이와 반대로 스트리퍼(52)는 상기 스토퍼 핀(57)의 하단(57a)에 걸려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스트리퍼(52)의 하강을 통해 얼음 컵이 코어(51)에 분리된다.
상기 코어(51)에서 분리된 얼음 컵은 파지장치(43)가 파지한 상태에서 제2 구동부(44)를 통한 이송부(60)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계량기(21)를 통해 얼음 컵의 성형에 필요한 만큼의 정량의 얼음결정체들을 성형금형(41)에 공급 가능하면서 얼음 컵을 성형할 수 있어 얼음결정체들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금형(41)의 수평방향 이동 및 코어(51)의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 등을 통해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고,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외부 배출함으로써, 얼음 컵의 효과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베이스프레임(70), 수직가이드(72) 및 선반(73)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곽프레임(8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곽프레임(80)은 수직프레임(80a)과 수평프레임(80b)으로 구성되어 예컨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80)의 외부에 제어부(81)가 설치되어 얼음 컵 성형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토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위험 없이 안전하게 얼음 컵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컵 성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저장부 11 - 호퍼
11a - 저장공간 11b - 배출구
12 - 보조패널 20 - 계량부
21 - 계량기 22 - 봉체
30 - 제1 구동부 31 - 수평패널
32 - 수직패널 33 - 제1 구동모터
34 - 랙 35 - 피니언
40 - 금형부 41 - 성형금형
41a - 캐비티 42 - 가이드패널
42a - 개구부 43 - 파지장치
44 - 제2 구동부 45 - 연결장치
46 - 수평축 50 - 성형부
51 - 코어 52 - 스트리퍼
53 - 제3 구동부 54 - 이동체
54a - 플랜지 55 - 수직축
56 - 제3 구동모터 57 - 스토퍼 핀
57a - 스토퍼 핀의 하단 58 - 코일스프링
59 - 높이제한패널 60 - 이송부
61 - 컨베이어 62 - 컨베이어모터
70 - 베이스프레임 71 - 금형가이드
72 - 수직가이드 73 - 선반
80 - 외곽프레임 80a - 수직프레임
80b - 수평프레임 81 - 제어부

Claims (7)

  1. 제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결정체들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얼음결정체들을 외부배출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호퍼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배출구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의 공급량을 계량하여 배출하는 계량기를 포함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기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수직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어 제1 구동모터와 연동하는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계량기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얼음결정체들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컵 형상의 캐비티가 내부에 마련된 성형금형을 포함하는 금형부;
    상기 계량기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성형금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성형금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며, 일단에 성형이 완료된 얼음 컵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장치가 설치된 가이드패널;
    상기 금형부의 상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을 가압하여 얼음 컵으로 성형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파지장치를 통해 코어에서 추출된 얼음 컵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는 계량기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결정체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하는 봉체;
    를 더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성형금형의 외부에 연결된 연결장치;
    상기 연결장치가 축 조립되며, 둘레에 스크루가 형성된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를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구동부는 코어가 하단에 구비되고,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축 조립되며, 둘레에 스크루가 형성된 수직축; 및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플랜지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코어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핀;
    상기 스토퍼 핀과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
    상기 스토퍼 핀의 상부에 배치된 높이제한패널; 및
    상기 코어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높이제한패널을 통한 스토퍼 핀의 높이제한시 상기 스토퍼 핀의 하단과의 접촉을 통해 하강하여 상기 코어에서 얼음 컵을 벗겨내는 스트리퍼;
    를 더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성형금형의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하는 금형가이드, 제1,2 구동모터 및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수직가이드; 및
    상기 수직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설치된 선반;
    상기 수직가이드와 선반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얼음 컵 성형장치.
KR1020170075046A 2017-06-14 2017-06-14 얼음 컵 성형장치 KR10195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46A KR101951899B1 (ko) 2017-06-14 2017-06-14 얼음 컵 성형장치
PCT/KR2017/006876 WO2018230762A1 (ko) 2017-06-14 2017-06-29 얼음 컵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46A KR101951899B1 (ko) 2017-06-14 2017-06-14 얼음 컵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87A true KR20180136287A (ko) 2018-12-24
KR101951899B1 KR101951899B1 (ko) 2019-02-25

Family

ID=6466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46A KR101951899B1 (ko) 2017-06-14 2017-06-14 얼음 컵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899B1 (ko)
WO (1) WO2018230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349A (zh) * 2019-03-01 2019-05-03 陈雅民 一种塑冰装置
CN110733197B (zh) * 2019-11-28 2021-11-09 湖北文理学院 鼓式刹车片热压成型模具上料装置
CN114043765A (zh) * 2021-10-12 2022-02-15 彭小芳 一种花朵模具制作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17A (ko) * 2002-02-15 2002-03-09 김원철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200275917Y1 (ko) * 2001-11-13 2002-05-18 장광균 얼음 용기의 제조장치
KR100414980B1 (ko) * 2002-04-23 2004-01-16 박창용 얼음가루를 이용한 얼음용기 제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KR100853425B1 (ko) 2007-08-10 2008-08-21 최만기 얼음성형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30041700A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54688B1 (ko) * 2014-03-20 2015-09-21 최영환 얼음용기 제조장치
KR20150109695A (ko) 2014-03-20 2015-10-02 최영환 얼음용기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790B2 (ja) * 1992-10-26 1996-10-09 株式会社山之内製作所 氷成形装置
KR20030039535A (ko) * 2001-11-13 2003-05-22 장광균 어름용기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17Y1 (ko) * 2001-11-13 2002-05-18 장광균 얼음 용기의 제조장치
KR20020019117A (ko) * 2002-02-15 2002-03-09 김원철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0414980B1 (ko) * 2002-04-23 2004-01-16 박창용 얼음가루를 이용한 얼음용기 제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KR100853425B1 (ko) 2007-08-10 2008-08-21 최만기 얼음성형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30041700A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54688B1 (ko) * 2014-03-20 2015-09-21 최영환 얼음용기 제조장치
KR20150109695A (ko) 2014-03-20 2015-10-02 최영환 얼음용기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899B1 (ko) 2019-02-25
WO2018230762A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99B1 (ko) 얼음 컵 성형장치
CN107467860B (zh) 一种实验室全硅胶模口红打样机器及打样方法
CN214353215U (zh) 一种陶瓷液压成型机
KR101959261B1 (ko) 화장품 충진장치
CN105211329A (zh) 一种将刀型模具应用于压制小茶饼的模具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457134A (zh) 一种换向器自动压制成型方法
CN210695795U (zh) 一种巧克力加工注模设备
CN114951598B (zh) 一种成型效率高的压铸成型设备
CN216129327U (zh) 转盘式灌注设备
KR101623937B1 (ko) 자동 성형수단이 구비된 얼음용기 성형장치
KR101588405B1 (ko) 얼음용기 성형장치
CN108032489A (zh) 一种滑块中的弹簧衬套机构
CN210679416U (zh) 连续保压机
CN109530596B (zh) 一种锻造模具
CN114103028A (zh) 一种瓶盖生产用注塑模具成品顶出装置及方法
CN210914240U (zh) 一种螺栓自动整列装置
CN108176820B (zh) 一种纤维冒口成型机及其工作方法
CN212191143U (zh) 一种壳芯机
CN220482462U (zh) 一种插头的注塑模具
CN214163878U (zh) 一种瓶盖生产用模具
TWI772175B (zh) 具雙模組及雙注料之射出成型機
CN217597715U (zh) 一种用于汽车尾灯面罩成型的面罩模具
US20190111474A1 (en) Method for molding
CN213675172U (zh) 一种带有上料装置的注塑机
CN218799017U (zh) 多腔精密压铸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