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117A -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117A
KR20020019117A KR1020020008172A KR20020008172A KR20020019117A KR 20020019117 A KR20020019117 A KR 20020019117A KR 1020020008172 A KR1020020008172 A KR 1020020008172A KR 20020008172 A KR20020008172 A KR 20020008172A KR 20020019117 A KR20020019117 A KR 2002001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ag
hopper
unit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604B1 (ko
Inventor
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10-2002-000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6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05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20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volume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이나 숙주나물 등과 같은 제품을 세척이 끝남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송시켜 일정량씩 포장하는 포장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의 일측에 세척기에서 세척된 제품을 탈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이송부(2)에서 이송되는 제품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이송하는 계량부(3)를 설치하며, 그 일측 하단에는 계량된 제품을 봉투에 공급하는 호퍼부(4)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포장부(5)를 설치하되, 포장부(5)는 본체(1)의 일측에 비닐봉투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6)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비닐봉투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원지공급부(7)와 인출된 봉투를 벌리는 봉투개폐부(8)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용 봉투의 상단부만을 마감 처리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가의 포장기계로서 소자본의 사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병인 것이다.

Description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awlo motic product packing and device for it}
본 발명은 콩나물이나 숙주나물 등과 같은 제품을 세척이 끝남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송시켜 일정량씩 포장하는 포장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제품을 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일정한 량만큼만 계량하여 봉투의 내부에 정확하게 투입 되도록 한 것으로서, 전 라인이 무인으로 작동되므로 인력의 낭비와 불필요한 인건비의 절감및 대량 포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이나 숙주나물, 또는 마늘 등과 같은 식물을 소비자가 구입하여 먹기 쉽도록 세척한 후에 일정량을 비닐봉투에 포장하여 낱개로 판매하고 있는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포장방법은 자동세척기에 의하여 세척된 제품을 사람이 건진 다음 물기를 털고 저울을 이용하여 일정량을 계량한 다음 포장용 봉투를 벌려 투입하고 다시 봉투의 상단부를 밀폐되게 폐쇄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가내공업을 하는 소형의 공장에서는 그래도 불편함을 참고 할 수는 있으나, 제품이 대량으로 출고되는 대단위의 공장에서는 취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제품을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생산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고가의 인력을 이용함으로서 불필요한 인건비를 지출함으로서 생산자가 포장에 대한 마진률의 손실이 큰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경쟁력을 상실하게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생산라인에 작업자가 늘어선 다음 세척부에서 오는 제품의 물기를 터는 물기배출부와 제품을 일일이 일정량씩 계량하는 계량부: 계량된 제품을 봉투에 넣는 투입부: 봉투를 마감하는 마감부로 나누어져 있어 작업자가 쉴새없이 계속 일을 하게 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장시간 일을 할 경우 피로감이 쌓이게 됨으로서 생산량이 감소하게 됨으로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인력이 고가인 현대에서는 생산비용과 인건비가 맞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용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더라도 생산량을 늘일 수가 없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면 포장 방법및 그 장치가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방법은 원형으로 감겨 있는 봉투를 자동포장기에 넣고 작동시킬 경우 비닐봉투의 3면을 융착시켜 자동으로 완제품이 포장되도록 한 방법으로서, 빠르고 정확한 장점은 있으나, 상기의 기계는 제작단가가 고가이기 때문에 대단위의 공장에서 무인생산라인으로 작동되는 방법으로서 소자본의 공장에서는 설치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포장라인이 크기 때문에 넓은 장소를 요하였으며, 이 방법에 적용되는 필름이 고가이기 때문에 소규모의 공장에서는 사용할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생산된 제품을 세척기에 투입하면 세척부에서 세척되어 나오는 제품을 받아 탈수와 함께 계량및 일정량씩 포장되어 자동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서, 작업자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용 봉투의 상단부만을 마감 처리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가의 포장기계로서 소자본의 사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장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 제조 라인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라인을 보인 개략 정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봉투 공급부를 보인 개략 사시도로서 봉투를 공급받기 위 하여 좌, 우작동용 흡착구가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봉투공급부로서 좌, 우작동용 흡착구가 봉투를 인출한 상 태의 개략 평면도
도 6 는 본 발명의 봉투공급부로서 봉투의 상단부를 벌리기 위하여 전, 후작 동용 흡착구가 작동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7 는 본 발명의 봉투공급부로서 전, 후작동용 흡착구가 작동되어 봉투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 봉투개폐부가 작동하여 봉투의 상단부가 벌려진 상태를 보 인 개략 사시도
도 9 은 본 발명 봉투공급부가 호퍼부로 공급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개략 사 시도
도 10 은 본 발명 호퍼부의 하단부로 봉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도
도 11 는 본 발명 이송부의로서 콘베어벨트에 골로루 펼처지게 하는 분산부 와 콘베어벨트에 있는 제품의 물기를 에어를 분사하여 물기를 배출시키는 상태를 보인 측 개략 단면도도 11 은 본 발명의 호전브러시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 계량부의 계량컵을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 호퍼부의 작동구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개략 발췌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 호퍼부의 작동구가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어 벌려진 상태 를 보인 개략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이송부 3. 계량부
4. 호퍼부 5. 포장부 6. 보관케이스
7. 원지공급부 8. 봉투개페부 9. 이송부본체
10. 회전풀리 11. 16. 콘베어벨트 12. 회전브러시
13. 모우터 14. 노즐 15. 계량부본체
17. 계량컵 18. 지지대 19. 28. 34. 지주
20. 수직 가이드레일 21. 30. 상, 하작동구 22. 25. 31. 32. 37. 실린더
23. 수평 가이드레일 24. 좌, 우작동구 26. 33. 흡입구
27. 차단판 29. 가이드레일 35. 호퍼
36. 작동구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봉투를 좌우 이송용 흡착구가 이송하여 봉투를 인출하는 단계:
인출된 봉투에 전후 작동용 흡착구가 이송하여 봉투의 상단부를 벌리는 단계:
봉투가 벌려진 상태에서 전, 후, 좌, 우흡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호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봉투가 유입되면서 호퍼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봉투를 잡고 있는 단계:
세척기에서 세척되어 나오는 제품을 받아 이송부에서 이송되면서 회전브러시 의하여 펼치는 단계:
배출공이 형성된 이송용 콘베어벨트에 펼 처진 제품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물기를 탈수하는 단계:
계량컵의 내부로 제품이 유입되는 단계:
계량컵 하단에 설치된 저울에 의하여 일정량이 투입되었을 경우 이송부의 이송컨베어가 작동을 멈추고 계량컵이 이송하는 단계:
계량컵에 담겨 있는 제품이 호퍼의 내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호퍼의 내부로 투입된 제품이 하단부의 작동구를 통하여 포장용 봉투의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포장용 봉투가 호퍼에서 이탈하는 단계:
포장용 봉투를 인출하여 상단부를 밀폐되게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일측에 세척기에서 세척된 제품을 탈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이송부(2)에서 이송되는 제품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이송하는 계량부(3)를 설치하며, 그 일측 하단에는 계량된 제품을 봉투에 공급하는 호퍼부(4)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포장부(5)를 설치하되, 포장부(5)는 본체(1)의 일측에 비닐봉투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6)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비닐봉투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원지공급부(7)와 인출된 봉투를 벌리는 봉투개폐부(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이송부(2)는 이송부 본체(9) 양측에 회전 풀리(10)를 설치하여 전체에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컨베어밸트(11)를 설치하여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 되게 하고, 콘베어벨트(11)의 상부 일측에는 세척기에서 공급된 제품을 콘베어벨트(11)에 골고루 펼치는 회전브러시(12)를 설치하여 모우터(13)에 의하여 회전되게 하며, 그 타측에는 물기를 떨 수 있도록 에어분사용 노즐(14)을 설치하되 에어분사용 노즐은 상, 하로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계량부(3)는 계량부 본체(15)를 콘베어벨트(16)로 구성하여 회전되게 하되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계량컵(17)을 설치하며, 계량컵(17)의 하단부에는 저울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원지 공급부(7)는 본체(1)의 일측에 비닐봉투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6)를 설치하되 케이스의 배면을 관통되게 한 다음 그 상하 중간부에 지지대(18)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지지대(18)의 일측은 용접하여 고정하되 타측은 개방되게 하여 비닐봉투가 인출될 수 있게 하며, 케이스(6)의 전면에는 지주(19)를 설치하되, 지주(19)의 일측에 수직 가이드레일(20)을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21)를 설치하여 실린더(22)에 의하여 상, 하 작동되게 하고, 상, 하작동구(21)의 일측에는 수평 가이드레일(23)을 설치하여 좌, 우작동구(24)를 체결하며, 상, 하작동구(21)와 좌우작동구(24)사이에는 실린더(25)를 설치하여 좌, 우작동구(24)가 좌우로 작동되게 하며, 좌우작동구(24)의 끝부분에는 흡입구(26)를 설치하되 흡입구의 중앙부에는 차단판(27)을 설치하여 봉투가 흡입구(2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봉투 개폐부(8)는 원지공급부(7)의 일측 후미에 지주(28)를 설치하고, 이 지주(28)의 전면에 수직으로 가이드레일(29)을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30)를 체결하며, 상, 하작동구(30)의 저면과 본체(1) 사이에는 상, 하 작동용 실린더(31)를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30)가 상하 작동을 하게 하고, 상, 하작동구(30)의 전면에는 실린더(32)를 설치하며 실린더의 로드에는 흡입구(33)를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호퍼부(4)는 원지공급부(7)와 봉투개폐부(8)의 같은 선상의 전면에 지주(34)를 설치하고, 지주(34)의 상측에 호퍼(35)를 설치하되 호퍼(35)의 하단부에는 원뿔형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작동구(36)를 설치하여 실린더(37)에 의하여 좌우로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6)의 뚜껑을 열고 비닐봉투를 투입한 다음 뚜껑을 닫으면 뚜껑에 설치된 압착구에 의하여 비닐봉투를 전면으로 밀어 압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원지공급부(7)의 좌, 우작동용 실린더(25)가 작동하여 좌,우작동구(24)를 후미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좌, 우작동구(24)에 설치된 흡입구(26)가 작동하여 에어를 흡입하게 되므로 케이스(6)에 내장되어 있는 비닐봉투를 흡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흡입구(26)의 흡입공에는 차단판(27)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닐 봉투가 흡입구의 내측으로 빨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흡입구가 단순히 비닐봉투를 흡입하여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닐봉투가 흡입구(26)에 고정되면 지주에 설치된 좌우작동용 실린더(25)가 작동하여 좌우작동구(24)를 밀게되며, 이때 비닐봉투는 흡입구에 의하여 지지대(18)의 일측으로 통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흡입구(26)가 비닐봉투를 고정한 상태에서 봉투개폐부(8)로 이동하게 되면 케이스(6)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33)가 실린더(32)에 의하여 전진하여 비닐봉투를 흡입한 다음 실린더(32) 원상 복귀하게 되면 흡입구(33)가 원상 복귀되므로 비닐봉투의 투입구가 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닐봉투의 투입구가 벌려지게 되면 양측의 상하작동용 실린더(22)(32)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비닐봉투를 벌린 상태에서 양측의 흡입구(26)(33)가 상승하게 되므로 비닐봉투가 호퍼(35)의 하단부에 설치된 원뿔형의 작동구를 삽입하게 된다.
비닐봉투가 호퍼(35)의 하단부에 체결되면 호퍼부(4)에 설치된 실린더(37)가 작동하여 원뿔형의 작동구를 벌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구(36)가 비닐봉투를 벌려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구가 비닐봉투를 고정하게 되면 양측의 흡입구는 실린더가 원상 복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원지 공급부측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원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시 케이스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세척기에서 세척된 제품이 이송부(2)의 콘베어벨트에 떨어지게 되면 제품은 콘베어벨트(11)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브러시(12)에 의하여 제품이 콘베어벨트에 넓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베어벨트(11)에 의하여 제품이 일측으로 이송하게되면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분사용 노즐(14)을 통하여 에어가 분사되면서 제품에 있는 물기를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물기는 컨베어밸트 전체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기가 배출된 제품이 콘베어벨트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하게되면 제품은 콘베어벨트를 벗어나 하단으로 떨어져 계량부(3)로 공급하게된다.
이때 계량부(3)는 콘베어벨트(16)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컵(17)이 이송부의 끝단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계량컵(17)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량컵(17)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에 의하여 일정량의 무게가 되면 이송부의 콘베어벨트가 정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계량부(3)의 계량컵(17)이 회전하여 다른 계량컵이 이송부의 콘베어벨트의 하단에 위하게 되고, 다시 이송부의 콘베어벨트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계량부(3)에 설치된 계량컵이 회전을 하게되면 계량컵의 내부에 있던 제품이 호퍼부(4)의 호퍼(35)의 내부로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호퍼부(4)의 하단부에 설치된 작동구(36)가 실린더(37)에 의하여 벌려짐과 동시에 호퍼의 내부에 있던 제품이 비닐봉투의 내부로 유입하게 되고 비닐봉투는 제품의 하중에 의하여 하단으로 떨어지게 되고, 작업자가 비닐봉투를 주워 투입구를 마감처리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생산된 제품을 세척기에 투입하면 세척부에서 세척되어 나오는 제품을 받아 탈수와 함께 계량및 일정량씩 포장되어 자동으로 떨어지게함으로서, 작업자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용 봉투의 상단부만을 마감 처리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가의 포장기계로서 소자본의 사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세척기를 이용한 콩나물이나 숙주나물 또는 냉이 등의 나물등을 이용할 경우를 다루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봉투를 좌우 이송용 흡착구가 이송하여 봉투를 인출하는 단계:
    인출된 봉투에 전후 작동용 흡착구가 이송하여 봉투의 상단부를 벌리는 단계:
    봉투가 벌려진 상태에서 전, 후, 좌, 우흡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호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봉투가 유입되면서 호퍼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봉투를 잡고 있는 단계:
    세척기에서 세척되어 나오는 제품을 받아 이송부에서 이송되면서 회전브러시에 의하여 펼치는 단계:
    배출공이 형성된 이송용 콘베어벨트에 펼 처진 제품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물기를 탈수하는 단계:
    계량컵의 내부로 제품이 유입되는 단계:
    졔량컵의 하단에 설치된 저울에 의하여 일정량이 투입되었을 경우 칼수부의 이송컨베어가 작동을 멈추고 계량컵이 이송하는 단계:
    계량컵에 담겨 있는 제품이 호퍼의 내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호퍼의 내부로 투입된 제품이 하단부의 작동판을 통하여 포장용 봉투의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포장용봉투가 호퍼에서 이탈하는 단계:
    포장용 봉투를 인출하여 상단부를 밀폐되게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2. 본체(1)의 일측에 세척기에서 세척된 제품을 탈수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이송부(2)에서 이송되는 제품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이송하는 계량부(3)를 설치하며, 그 일측 하단에는 계량된 제품을 봉투에 공급하는 호퍼부(4)를 설치하고, 그 일측 하단에는 포장부(5)를 설치하되, 포장부(5)는 본체(1)의 일측에 비닐봉투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6)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비닐봉투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원지공급부(7)와 인출된 봉투를 벌리는 봉투개폐부(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부 본체(9) 양측에 회전 풀리(10)를 설치하여 전체에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컨베어밸트(11)를 설치하여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 되게 하고, 콘베어벨트(11)의 상부 일측에는 세척기에서 공급된 제품을 콘베어벨트(11)에 골고루 펼치는 회전브러시(12)를 설치하여 모우터(13)에 의하여 회전되게 하며, 그 타측에는 물기를 떨 수 있도록 에어분사용 노즐(14)을 설치하되 에어분사용 노즐은 상, 하로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계량부 본체(15)를 콘베어벨트(16)로 구성하여 회전되게하되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계량컵(17)을 설치하며, 계량컵(17)의 하단부에는 저울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일측에 비닐봉투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6)를 설치하되 케이스의 배면을 관통되게 한 다음 그 상하 중간부에 지지대(18)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지지대(18)의 일측은 용접하여 고정하되 타측은 개방되게 하여 비닐봉투가 인출될 수 있게 하며, 케이스(6)의 전면에는 지주(19)를 설치하되, 지주(19)의 일측에 수직 가이드레일(20)을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21)를 설치하여 실린더(22)에 의하여 상, 하 작동되게 하고, 상, 하작동구(21)의 일측에는 수평 가이드레일(23)을 설치하여 좌, 우작동구(24)를 체결하며, 상, 하작동구(21)와 좌우작동구(24)사이에는 실린더(25)를 설치하여 좌, 우작동구(24)가 좌우로 작동되게 하며, 좌우작동구(24)의 끝부분에는 흡입구(26)를 설치하되 흡입구의 중앙부에는 차단판(27)을 설치하여 봉투가 흡입구(2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원지공급부(7)의 일측 후미에 지주(28)를 설치하고, 이 지주(28)의 전면에 수직으로 가이드레일(29)을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30)를 체결하며, 상, 하작동구(30)의 저면과 본체(1) 사이에는 상, 하 작동용 실린더(31)를 설치하여 상, 하작동구(30)가 상하 작동을 하게 하고, 상, 하작동구(30)의 전면에는 실린더(32)를 설치하며 실린더의 로드에는 흡입구(33)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원지공급부(7)와 봉투개폐부(8)의 같은 선상의 전면에 지주(34)를 설치하고, 지주(34)의 상측에 호퍼(35)를 설치하되 호퍼(35)의 하단부에는 원뿔형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작동구(36)를 설치하여 실린더(37)에 의하여 좌우로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KR10-2002-0008172A 2002-02-15 2002-02-15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042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172A KR100424604B1 (ko) 2002-02-15 2002-02-15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172A KR100424604B1 (ko) 2002-02-15 2002-02-15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73U Division KR200283957Y1 (ko) 2002-02-16 2002-02-16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17A true KR20020019117A (ko) 2002-03-09
KR100424604B1 KR100424604B1 (ko) 2004-04-03

Family

ID=1971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172A KR100424604B1 (ko) 2002-02-15 2002-02-15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6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62A1 (ko) * 2017-06-14 2018-12-20 최영환 얼음 컵 성형장치
KR20190018308A (ko) * 2017-08-14 2019-02-22 최영환 아이스 컵 제조기
KR102101141B1 (ko) * 2020-02-14 2020-04-14 (주)이디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KR20210074058A (ko) 2019-12-11 2021-06-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나물사랑 나물 자동 포장장치 및 그 포장장치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CN116331596A (zh) * 2023-05-29 2023-06-27 山东和美华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固定功能的饲料装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15B1 (ko) 2005-04-08 2007-03-22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자동정량 포장장치
KR100702972B1 (ko) * 2005-08-31 2007-04-11 주식회사 선영테크 토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토사선별시스템
KR100833533B1 (ko) 2006-09-25 2008-05-29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KR100815335B1 (ko) 2007-02-20 2008-03-19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자동 정량 포장장치의 계량부차단판 개폐장치
KR102459969B1 (ko) * 2020-09-10 2022-10-28 주식회사 해담솔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 포장 시스템
KR102579316B1 (ko) * 2020-12-02 2023-09-18 주식회사 해담솔 김가루 제조 및 포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372013B1 (ko) 2021-07-02 2022-03-08 이해용 세척기 배출구용 커튼
KR102372006B1 (ko) 2021-07-02 2022-03-08 이해용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623U (ko) * 1988-06-01 1989-12-15
JPH03103162A (ja) * 1989-09-18 1991-04-30 Brother Ind Ltd 加圧超音波殺菌方法
JPH0759533A (ja) * 1993-08-25 1995-03-07 Tokyo Sogo Syst Kk もやし類の水切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58730A (ja) * 1994-08-24 1996-03-05 Mitsuwa:Kk 枝豆定量供給機
JP2872627B2 (ja) * 1995-12-22 1999-03-17 株式会社旭電機製作所 野菜の袋詰め装置
JP2001018921A (ja) * 1999-07-06 2001-01-23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機
KR200213396Y1 (ko) * 2000-08-14 2001-02-15 김홍노 포대 포장장치
KR200283957Y1 (ko) * 2002-02-16 2002-07-31 김원철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EP2782975B1 (en) * 2011-10-27 2018-01-10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62A1 (ko) * 2017-06-14 2018-12-20 최영환 얼음 컵 성형장치
KR20180136287A (ko) * 2017-06-14 2018-12-24 최영환 얼음 컵 성형장치
KR20190018308A (ko) * 2017-08-14 2019-02-22 최영환 아이스 컵 제조기
KR20210074058A (ko) 2019-12-11 2021-06-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나물사랑 나물 자동 포장장치 및 그 포장장치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KR102101141B1 (ko) * 2020-02-14 2020-04-14 (주)이디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CN116331596A (zh) * 2023-05-29 2023-06-27 山东和美华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固定功能的饲料装袋设备
CN116331596B (zh) * 2023-05-29 2023-07-21 山东和美华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固定功能的饲料装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604B1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604B1 (ko)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CN208757485U (zh) 一种用于有机质肥料的自动配料机
CN204264531U (zh) 一种玉米种子称量设备
US2816427A (en) Soap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KR100833533B1 (ko)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CN211593020U (zh) 一种自动包装机
KR200433582Y1 (ko)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0697615B1 (ko)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자동정량 포장장치
KR200283957Y1 (ko)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장치
CN213649950U (zh) 一种水果麦片混合分装装置
CN103466112A (zh) 一种皂粒分装系统
CN206494227U (zh) 一种数粒旋压盖塞入一体机
CA1209105A (en) Device for dosing granular products, particularly foodstuffs
CN209160193U (zh) 一种基于plc控制的同步带自动包装系统
KR101086279B1 (ko) 떡 정량 포장장치
KR200413901Y1 (ko)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자동 정량 포장장치의 포장용 비닐 봉투 고정장치
CN209064466U (zh) 一种包装设备的撑开装置及充电转换头的包装设备
CN208515874U (zh) 一种混合坚果包装机
CN215514237U (zh) 一种中药饮片包装机
CN109533416A (zh) 一种有机肥包装机
CN204433093U (zh) 颗粒称重包装机
CN206871398U (zh) 一种全自动的高精度肥料出料装置
CN209553565U (zh) 一种有机肥包装机
CN205327463U (zh) 自动定量包装秤
CN211543961U (zh) 一种种子自动称量封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