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006B1 -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006B1
KR102372006B1 KR1020210086981A KR20210086981A KR102372006B1 KR 102372006 B1 KR102372006 B1 KR 102372006B1 KR 1020210086981 A KR1020210086981 A KR 1020210086981A KR 20210086981 A KR20210086981 A KR 20210086981A KR 102372006 B1 KR102372006 B1 KR 10237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variable
screw
conveyor bel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용
Original Assignee
이해용
주식회사 우일에프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용, 주식회사 우일에프피엠 filed Critical 이해용
Priority to KR102021008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장치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Conveyor belt tension adjuster }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원료나 기타 완성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제철소에서도 컨베이어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수의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에는 적당한 장력이 필요하다.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이 떨어지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와 롤로 사이에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고, 컨베이어 벨트는 원활한 회전을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컨베이어벨트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벨트드럼에 벨트가 감겨져 컨베이어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벨트가 회전되면서 탑재된 제품을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사향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데, 수시로 조정볼트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벨트의 균형을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7885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24604호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지면에 안착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프레임과,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롤러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컨베이어벨트 일측 끝단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일측 끝단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텐션조절롤러와, 텐션조절롤러를 텐션조절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텐션조절롤러 내부로 형성되는 조절롤러축과, 조절롤러축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텐션조절패널과, 조절롤러축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텐션조절패널 상에 형성되는 텐션조절홈과, 컨베이어벨트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텐션조절롤러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지지관에 각각 삽입 형성되는 텐션조절스크류와, 텐션조절스크류의 회전시 텐션조절롤러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스크류와 연결되고, 타측이 조절롤러축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텐션조절스크류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의 고정을 위해 조절부재와 스크류지지관 사이에서 텐션조절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1조절너트와, 텐션조절스크류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의 고정을 위해 조절부재 타측방향으로 텐션조절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2조절너트와, 텐션조절스크류를 지지하며, 내부로 형성되는 나사산에 결합되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지지관과, 스크류지지관을 텐션조절패널 상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패널과 접촉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스크류지지관이 용접접합을 통해 고정 형성되는 관고정패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자동텐션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자동텐션조절부는, 모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수단; 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선택되되, 상기 스크류수단은, 텐션조절모터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가변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지지대에 고정 형성되는 텐션조절모터와, 가변스크류와 가변조절스크류를 지지하도록 컨베어이어프레임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지지대와, 텐션조절모터의 회전동력을 가변조절스크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지지대에 안착 형성되는 가변스크류와, 가변스크류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가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가변스크류에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와 연결 형성되는 가변조절스크류와, 조절롤러축에 결합되어 가변조절스크류의 슬라이드 회전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변조절스크류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부재와, 가변조절스크류의 회전시 가변부재 상에서 공회전되어 가변부재가 이동되도록 가변부재 일측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조절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수단은, 텐션조절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지지대와, 가변조절축을 당기거나, 밀어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실린더지지대에 형성되는 텐션조절실린더와, 텐션부재를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텐션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텐션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부재 일측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변조절축과,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변조절축 일측으로 조절롤러축에 삽입되어 조절롤러축을 텐션조절실린더의 작동시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동텐션조절부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일측으로 형성성되는 장력감지부재와, 장력감지부재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가변부재의 일측과 텐션부재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눌러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장력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장력조절부는, 바지지대를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바와, 컨베이어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바 사이에 장력실린더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바지지대와, 고정패널을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바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실린더와,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패널과,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장력롤러가 컨베이어벨트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와 장력롤러 간의 완충작용되도록 고정패널과 텐션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장력롤러의 완충작용시 완충스프링을 고정패널 측으로 수축 및 이완 시키기 위해 일측이 완충스프링과 연결되고, 타측이 롤러지지바와 연결 형성되는 텐션패널과, 장력롤러를 지지하도록 텐션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롤러지지바와,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롤러지지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롤러와, 다수의 사용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컨베이어벨트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쳐짐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척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제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배출시 적정개수의 제품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용커튼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용커튼장치는, 복수의 제품이 담겨지도록 이송컨베이어 일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세척함과, 세척함에 세척보관되는 제품을 일측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세척함 내부로 위치되고, 타측이 지면 상에 안착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프레임과, 이송컨베이어프레임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와, 이송컨베이어벨트 상에 안착되는 제품을 안착시켜 상승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판과, 이송판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제품의 갯수와 수량을 조절하도록 커튼고정프레임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튼판과, 커튼판이 고정되며, 이송판에서 낙하되는 제품이 안착되도록 세척함 상부로 형성되는 커튼고정프레임과, 이송판에서 낙하되는 제품이 커튼고정프레임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커튼고정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이탈방지판과, 제1세척관이 내장되도록 이송컨베이어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세척함과, 이송판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제품 상으로 세척액 또는 살균액 중 어느 하나의 액을 분사하도록 제1세척함 내부로 형성되는 제1세척관과, 제2세척관이 내장되도록 이송컨베이어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세척함과, 이송판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제품 상으로 세척액 또는 살균액 중 어느 하나의 액을 분사하도록 제2세척함 내부로 형성되는 제2세척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용커튼장치는, 커튼판을 센싱에 의해 자동 조절하기 위한 커튼판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커튼판조절부는, 커튼작동판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커튼작동판 양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튼고정프레임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판가이드와, 커튼작동판의 양측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판가이드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일측으로 연결되는 커튼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커튼작동판과, 커튼작동판의 슬라이드 이동시 커튼작동판에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가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판가이드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거리감지부재와, 거리감지부재를 감지하도록 커튼작동판 상에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튼판조절부는, 커튼작동판을 실린더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판실린더수단; 또는 커튼작동판을 모터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판모터수단;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되, 상기 판실린더수단은, 커튼작동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실린더고정대에 연결되고, 타측인 실린더 축은 커튼작동판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판구동실린더와, 판구동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커튼고정프레임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모터수단은, 판구동모터를 지지하도록 커튼고정프레임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고정대와, 판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판구동모터와, 판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일측으로 연결되는 커튼작동판을 당겨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커튼작동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판구동모터에 연결 형성되는 판구동스크류와, 판구동스크류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판구동스크류가 삽입되며, 타측이 커튼고정프레임 상에 고정 형성되는 스크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용커튼장치는, 이동되는 제품 상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품을 감지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미세척배출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미세세척배출부는, 세척감지센서가 이송컨베이어벨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키기 위해 이송컨베이어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센서지지대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제품 중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품을 감지하도록 센서지지대 상에 형성되는 세척감지센서와, 배출패널을 개폐문 측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이송컨베이어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실린더와, 배출실린더의 작동시 개폐문 측으로 미세척 제품을 밀어주도록 배출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배출패널과, 배출패널에 의해 이동되는 미세척제품이 배출되도록 배출패널 반대측 이송컨베이어프레임 상에 자동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문과, 배출패널에 의해 이동되는 미세척제품이 접촉되어 접촉힘에 의해 개폐문이 자동개폐될 수 있도록 개폐문일측과 이송컨베이어프레임 간의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개폐힌지와, 개폐문을 통해 배출되는 미세척제품이 배출함 측으로 낙하되도록 개폐문 위치의 이송컨베이어프레임에 연결 형성되는 배출판과, 배출판을 따라 낙하되는 미세척제품이 보관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배출함과, 낙하되는 미세척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판이 배출함 상에서 완충작동을 하도록 완충판 일측과 배출함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완충힌지와, 낙하되는 미세척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가능하도록 완충힌지에 연결 형성되는 완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 컨베이어벨트를 반영구적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비를 절감하며, 제품의 이동이 지정된 속도로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세척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제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배출시 적정개수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포장과 제품의 수량을 쉽게 카운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텐션조절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텐션조절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텐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텐션조절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조장력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텐션조절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끝단가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텐션조절장치(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111)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장치(100)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컨베이어벨트(111), 텐션조절롤러(112), 조절롤러축(113), 텐션조절패널(114), 텐션조절홈(115), 텐션조절스크류(116), 조절부재(117), 제1조절너트(118), 제2조절너트(119), 스크류지지관(120), 관고정패널(121)을 포함한다.
상기 켄베이어프레임(110)은 지면에 안착되어 컨베이어벨트(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11)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롤러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롤러(112)는 컨베이어벨트(111) 일측 끝단에서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롤러(112)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일측 끝단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롤러축(113)은 텐션조절롤러(112)를 텐션조절홈(1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롤러축(113)은 텐션조절롤러(112)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패널(114)은 조절롤러축(11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패널(114)은 켄베이어프레임(110)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홈(115)은 조절롤러축(11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홈(115)은 텐션조절패널(114)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스크류(116)는 컨베이어벨트(111)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텐션조절롤러(112)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스크류(116)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지지관(120)에 각각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117)는 텐션조절스크류(116)의 회전시 텐션조절롤러(112)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부재(117)는 일측이 텐션조절스크류(116)와 연결되고, 타측이 조절롤러축(113)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절너트(118)는 텐션조절스크류(116)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116)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조절너트(118)는 조절부재(117)와 스크류지지관(120) 사이에서 텐션조절스크류(116)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조절너트(119)는 텐션조절스크류(116)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116)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조절너트(119)는 조절부재(117) 타측방향으로 텐션조절스크류(116)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지지관(120)은 텐션조절스크류(116)를 지지하며, 내부로 형성되는 나사산에 결합되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고정패널(121)은 스크류지지관(120)을 텐션조절패널(114) 상에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고정패널(121)은 일측이 텐션조절패널(114)과 접촉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스크류지지관(120)이 용접접합을 통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텐션조절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텐션조절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텐션조절부(200)는 텐션조절장치(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텐션조절부(200)는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텐션조절부(200)는 스크류수단(210)과 실린더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수단(210)은 모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수단(210)은 모터지지대(211), 텐션조절모터(212), 스크류지지대(213), 가변스크류(214), 가변조절스크류(215), 가변부재(216), 조절베어링(217)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지지대(211)는 텐션조절모터(212)를 지지하도록 켄베이어프레임(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모터(212)는 가변스크류(21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모터(212)는 모터지지대(211)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지지대(213)는 가변스크류(214)와 가변조절스크류(215)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지지대(213)는 컨베어이어프레임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스크류(214)는 텐션조절모터(212)의 회전동력을 가변조절스크류(215)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스크류(214)는 일측이 텐션조절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지지대(213)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조절스크류(215)는 가변스크류(214)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가변부재(216)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조절스크류(215)는 일측이 가변스크류(214)에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가변부재(216)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재(216)는 조절롤러축(113)에 결합되어 가변조절스크류(215)의 슬라이드 회전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부재(216)는 가변조절스크류(2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베어링(217)은 가변조절스크류(215)의 회전시 가변부재(216) 상에서 공회전되어 가변부재(216)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베어링(217)은 가변부재(216) 일측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수단은 실린더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수단은 실린더지지대, 텐션조절실린더, 연결부재, 가변조절축, 텐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지지대는 텐션조절실린더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지지대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실린더는 가변조절축을 당기거나, 밀어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조절실린더는 실린더지지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텐션부재를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텐션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조절축은 텐션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조절축은 연결부재 일측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재는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변조절축 일측으로 조절롤러
Figure 112021076543923-pat00001
(113)에 삽입되어 조절롤러축(113)을 텐션조절실린더의 작동시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텐션조절부(200)는 장력감지부재와 장력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감지부재는 컨베이어벨트(111)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감지부재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감지센서는 장력감지부재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감지센서는 가변부재(216)의 일측과 텐션부재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텐션조절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조장력조절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장력조절부(300)는 텐션조절장치(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장력조절부(300)는 컨베이어벨트(111)를 눌러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장력조절부(300)는 고정바(310), 바지지대(311), 장력실린더(312), 고정패널(313), 완충스프링(314), 텐션패널(315), 롤러지지바(316), 장력롤러(317), 쳐짐감지센서(31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310)는 바지지대(311)를 켄베이어프레임(1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310)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지지대(311)는 켄베이어프레임(110)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바(310) 사이에 장력실린더(31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실린더(312)는 고정패널(313)을 컨베이어벨트(111) 측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실린더(312)는 바지지대(3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패널(313)은 장력실린더(312)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111)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314)은 장력실린더(312)의 작동시 장력롤러(317)가 컨베이어벨트(111)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111)와 장력롤러(317) 간의 완충작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실린더(312)는 고정패널(313)과 텐션패널(3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패널(315)은 장력롤러(317)의 완충작용시 완충스프링(314)을 고정패널(313) 측으로 수축 및 이완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패널(315)은 일측이 완충스프링(314)과 연결되고, 타측이 롤러지지바(316)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바(316)는 장력롤러(317)를 지지하도록 텐션패널(3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롤러(317)는 장력실린더(312)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111)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11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롤러지지바(3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쳐짐감지센서(318)는 다수의 사용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컨베이어벨트(111)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쳐짐감지센서(318)는 고정바(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텐션조절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끝단가변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끝단가변부(400)는 텐션조절장치(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끝단가변부(400)는 텐션조절장치(100)에는 컨베이어벨트(111)의 일측 끝단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11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끝단가변부(400)는 각도조절부재(410), 각도기어(411), 각도조절홈(412), 각도회전모터(413), 각도축(414), 가변롤러(415), 롤러축(416), 가변벨트(417)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410)는 켄베이어프레임(110) 일측 끝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기어(411)는 가변롤러(415)가 맞물려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기어(411)는 각도조절부재(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홈(412)은 각도축(414)이 삽입되어 각도조절부재(410) 상에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홈(412)은 각도조절부재(4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회전모터(413)는 각도축(414)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회전모터(413)는 각도조절부재(410) 일측으로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축(414)은 각도조절홈(412)에 삽입되어 각도회전모터(413)의 작동시 구동되는 가변롤러(415)에 의해 각도조절홈(4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롤러(415)는 가변기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각도축(414)과 가변벨트(417)로 연결되어 가변기어에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축(416)은 가변벨트(417)가 연결되도록 가변롤러(41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벨트(417)는 각도축(414)의 회전동력을 롤러축(416)으로 제공하도록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텐션조절장치 110 : 컨베이어프레임
111 : 컨베이어벨트 112 : 텐션조절롤러
113 : 조절롤러축 114 : 텐션조절패널
115 : 텐션조절홈 116 : 텐션조절스크류
117 : 조절부재 118 : 제1조절너트
119 : 제2조절너트 120 : 스크류지지관
121 : 관고정패널
200 : 자동텐션조절부 210 : 스크류수단
211 : 모터지지대 212 : 텐션조절모터
213 : 스크류지지대 214 : 가변스크류
215 : 가변조절스크류 216 : 가변부재
217 : 조절베어링
250 : 실린더수단 251 : 실린더지지대
252 : 텐션조절실린더 253 : 연결부재
254 : 가변축 255 : 텐션부재
270 : 장력감지부재 271 : 장력감지센서
300 : 보조장력조절부 310 : 고정바
311 : 바지지대 312 : 장력실린더
313 : 고정패널 314 : 완충스프링
315 : 텐션패널 316 : 롤러지지바
317 : 장력롤러 318 : 쳐짐감지센서
400 : 끝단가변부 410 : 각도조절부재
411 : 각도기어 412 : 각도조절홈
413 : 각도회전모터 414 : 각도축
415 : 가변롤러 416 : 롤러축
417 : 가변벨트
500 : 배출구용커튼장치 510 : 세척함
511 : 이송컨베이어프레임 512 : 이송컨베이어벨트
513 : 이송판 514 : 커튼판
515 : 커튼고정프레임 516 : 제품이탈방지판
518 : 제1세척함 519 : 제1세척관
520 : 제2세척함 521 : 제2세척관
600 : 커튼판조절부 610 : 판가이드
611 : 가이드홈 612 : 커튼작동판
614 : 거리감지부재 615 : 거리감지센서
620 : 판실린더수단 621 : 판구동실린더
622 : 실린더고정대
630 : 판모터수단 631 : 모터고정대
632 : 판구동모터 633 : 판구동스크류
634 : 스크류부재
700 : 미세척배출부 710 : 센서지지대
711 : 세척감지센서 712 : 배출실린더
713 : 배출패널 714 : 개폐문
715 : 개폐힌지 716 : 배출판
717 : 배출함 718 : 완충힌지
719 : 완충판
800 : 컨베어세척부 810 : 브러쉬지지대
811 : 지지대홈 812 : 브러쉬바
813 : 세척브러쉬 814 : 브러쉬실린더
815 : 세척액분사노즐 816 : 건조노즐

Claims (3)

  1.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지면에 안착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프레임과,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롤러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컨베이어벨트 일측 끝단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일측 끝단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텐션조절롤러와,
    텐션조절롤러를 텐션조절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텐션조절롤러 내부로 형성되는 조절롤러축과,
    조절롤러축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텐션조절패널과,
    조절롤러축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텐션조절패널 상에 형성되는 텐션조절홈과,
    컨베이어벨트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텐션조절롤러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지지관에 각각 삽입 형성되는 텐션조절스크류와,
    텐션조절스크류의 회전시 텐션조절롤러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스크류와 연결되고, 타측이 조절롤러축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텐션조절스크류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의 고정을 위해 조절부재와 스크류지지관 사이에서 텐션조절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1조절너트와,
    텐션조절스크류의 이동 또는 텐션조절스크류의 고정을 위해 조절부재 타측방향으로 텐션조절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2조절너트와,
    텐션조절스크류를 지지하며, 내부로 형성되는 나사산에 결합되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지지관과,
    스크류지지관을 텐션조절패널 상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패널과 접촉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으로 스크류지지관이 용접접합을 통해 고정 형성되는 관고정패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자동텐션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자동텐션조절부는,
    모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수단; 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선택되되,
    상기 스크류수단은,
    텐션조절모터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가변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지지대에 고정 형성되는 텐션조절모터와,
    가변스크류와 가변조절스크류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지지대와,
    텐션조절모터의 회전동력을 가변조절스크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텐션조절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지지대에 안착 형성되는 가변스크류와,
    가변스크류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가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가변스크류에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와 연결 형성되는 가변조절스크류와,
    조절롤러축에 결합되어 가변조절스크류의 슬라이드 회전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변조절스크류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부재와,
    가변조절스크류의 회전시 가변부재 상에서 공회전되어 가변부재가 이동되도록 가변부재 일측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조절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수단은,
    텐션조절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지지대와,
    가변조절축을 당기거나, 밀어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실린더지지대에 형성되는 텐션조절실린더와,
    텐션부재를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텐션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텐션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부재 일측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변조절축과,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변조절축 일측으로 조절롤러축에 삽입되어 조절롤러축을 텐션조절실린더의 작동시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텐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동텐션조절부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일측으로 형성성되는 장력감지부재와,
    장력감지부재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가변부재의 일측과 텐션부재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눌러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장력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장력조절부는,
    바지지대를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컨베이어프레임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바와,
    컨베이어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바 사이에 장력실린더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바지지대와,
    고정패널을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작동시키기 바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실린더와,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패널과,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장력롤러가 컨베이어벨트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와 장력롤러 간의 완충작용되도록 고정패널과 텐션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장력롤러의 완충작용시 완충스프링을 고정패널 측으로 수축 및 이완 시키기 위해 일측이 완충스프링과 연결되고, 타측이 롤러지지바와 연결 형성되는 텐션패널과,
    장력롤러를 지지하도록 텐션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롤러지지바와,
    장력실린더의 작동시 컨베이어벨트와 접촉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롤러지지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력롤러와,
    다수의 사용과 날씨의 변화에 따리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컨베이어벨트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쳐짐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컨베이어벨트의 일측 끝단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끝단가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끝단가변부는,
    컨베이어프레임 일측 끝단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와,
    가변롤러가 맞물려 이동되도록 각도조절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도기어와,
    각도축이 삽입되어 각도조절부재 상에서 이동되도록 각도조절부재 상에 형성되는 각도조절홈과,
    각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각도조절부재 일측으로 밀착 형성되는 각도회전모터와,
    각도조절홈에 삽입되어 각도회전모터의 작동시 구동되는 가변롤러에 의해 각도조절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축과,
    가변기어에 맞물리도록 각도축과 가변벨트로 연결되어 가변기어에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가변롤러와,
    가변벨트가 연결되도록 가변롤러 상에 형성되는 롤러축과,
    각도축의 회전동력을 롤러축으로 제공하도록 연결 형성되는 가변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6981A 2021-07-02 2021-07-02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KR10237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981A KR102372006B1 (ko) 2021-07-02 2021-07-02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981A KR102372006B1 (ko) 2021-07-02 2021-07-02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006B1 true KR102372006B1 (ko) 2022-03-08

Family

ID=8081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981A KR102372006B1 (ko) 2021-07-02 2021-07-02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0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8120A (zh) * 2022-12-07 2023-03-21 国能(泉州)热电有限公司 基于皮带防跑偏装置及方法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550443B1 (ko) * 2022-07-14 2023-06-30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조절구조
KR102659720B1 (ko) * 2023-07-03 2024-04-23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스마트 케어가 가능한 스마트 싱크대
CN118529913A (zh) * 2024-07-26 2024-08-23 湖南巨强再生资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玻璃窑炉分级投料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06A (ja) * 1991-12-18 1994-03-15 Kawasaki Seisakusho:Kk コンベアベルトの自動調芯装置
JP2003237925A (ja) * 2002-02-13 2003-08-27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コンベヤベルトのテークアップ装置
KR100424604B1 (ko) 2002-02-15 2004-04-03 김원철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0678855B1 (ko) 2005-05-20 2007-02-0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06A (ja) * 1991-12-18 1994-03-15 Kawasaki Seisakusho:Kk コンベアベルトの自動調芯装置
JP2003237925A (ja) * 2002-02-13 2003-08-27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コンベヤベルトのテークアップ装置
KR100424604B1 (ko) 2002-02-15 2004-04-03 김원철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0678855B1 (ko) 2005-05-20 2007-02-0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252B1 (ko) * 2022-07-14 2023-06-28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550443B1 (ko) * 2022-07-14 2023-06-30 김봉주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조절구조
CN115818120A (zh) * 2022-12-07 2023-03-21 国能(泉州)热电有限公司 基于皮带防跑偏装置及方法
KR102659720B1 (ko) * 2023-07-03 2024-04-23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스마트 케어가 가능한 스마트 싱크대
CN118529913A (zh) * 2024-07-26 2024-08-23 湖南巨强再生资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玻璃窑炉分级投料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006B1 (ko) 컨베이어벨트 텐션조절장치
EP2006438B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Wäschestücken zu einer Wäschebehand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einer Mangel
CN104944109B (zh) 一种托辊皮带输送机
US11426765B2 (en) Piler conveyor system
US20060243560A1 (en) Article feeder and spacer
US8764367B2 (en) Separator for articles of laundry
US12048266B2 (en) Screening belt unit for a harvest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flap unit
SE506390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manövrering av ett objekt t ex port
WO2005054096A1 (en) Baggage positioner for baggage conveyor
EP3962841A1 (en) Bomb bay sorter and tray
JP7176726B2 (ja)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US5810175A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round produce
KR102070671B1 (ko) 농산물의 안정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KR102372013B1 (ko) 세척기 배출구용 커튼
US5515962A (en) Ice cream sandwich collator sub-assembly
KR20090028055A (ko) 과일이송장치
WO1996011139A9 (en) Ice cream sandwich collator sub-assembly
US4164280A (en) Roller conveyor
KR20130013619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US865445A (en) Machine for stemming peanuts.
KR102231126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당도 센서 및 이 당도 센서가 구비된 이송장치
CN109748037A (zh) 一种uv烤炉穿杆输送链
KR102680939B1 (ko) 물품 이송 장치
CN220578284U (zh) 一种护栏自适应防卡死装置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