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61B1 - 화장품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61B1
KR101959261B1 KR1020170044775A KR20170044775A KR101959261B1 KR 101959261 B1 KR101959261 B1 KR 101959261B1 KR 1020170044775 A KR1020170044775 A KR 1020170044775A KR 20170044775 A KR20170044775 A KR 20170044775A KR 101959261 B1 KR101959261 B1 KR 10195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container
cosmetic
contents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352A (ko
Inventor
남광우
Original Assignee
남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광우 filed Critical 남광우
Priority to KR102017004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테두리 둘레를 각진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각각의 변에 해당하는 부위에 복수개로 구성된 용기안착구를 배치시킴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을 화장품용기에 충진하는 내용물 주입과정에서 복수개의 화장품용기내에 동시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안착구가 턴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용물 주입을 위한 주입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충진되는 내용물이 다른 화장품용기에도 충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테두리 둘레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로터리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화장품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 각 변 가장자리 부위의 동일 선상에 복수로 관통되게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과, 하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단턱과 돌출부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받침구; 및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충전블록과, 상기 충전블록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충전블록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복수의 화장품용기 내에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을 갖는 내용물 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충진장치{Filling Apparatus of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의 테두리 둘레를 각진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각각의 변에 해당하는 부위에 3개이상이 1조씩 구성된 용기안착구를 배치시킴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을 화장품용기에 충진하는 내용물 주입과정에서 복수개의 화장품용기내에 동시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안착구가 턴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용물 주입을 위한 주입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충진되는 내용물이 다른 화장품용기에도 충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 및 특성을 가지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중 일부의 제품 즉,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우더,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등은 화장품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접시와 내부접시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며, 상기의 내부접시에는 화장품의 케이스에 의한 최종 생산 공정 전에 내용물의 충전과 압축 및 오일 제거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공정을 매우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메이크업용 화장품의 개략적인 생산과정을 살펴보면, 화장품 내부접시가 거치된 상태의 운반치구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고, 운반치구의 이송과정 중에 원료의 투입공정과, 프레스에 의한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을 거치게 되고, 용기를 배출하여 완성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원료투입공정에서는 파우더정량주입기가 사용되고, 파우더정량주입기는 파우더를 컨베이어벨트와 자동 디스펜서에 의해 토출시키는 것이며,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공정은, 그 용기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가압치구에 의해 용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원료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산된 파우더접시는 그 상부면이 고르지 못하고 그 접시의 외측표면이 잔류 내용물에 의해 오염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표면연마 장치와 소제장치에 의해 파우더접시 내의 내용물 표면을 평활하게 가공하거나 접시의 외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이나 불필요한 내용물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가압성형공정을 하는 경우 프레스장치의 펀치 가압력에 의해 펀치 외면과 접시 내면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이탈하거나, 과다한 내용물의 주입에 의해 가압 성형된 파우더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를 균일하게 보정하기 위한 표면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품의 생산과정에 있어 외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 접시에는, 주지한 바와 같이 원료 주입 및 내부 파우더의 가압 성형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접시의 외측표면과 상부면에 불필요한 파우더나 이물질 등이 점착되거나 고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접시의 외부면과 파우더 상부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파우더 및 이물질은 그 접시를 외부 케이스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외부 케이스를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을 하게 되므로, 후 작업을 통해 외부 케이스 전체의 이물질이나 불필요한 파우더 잔류물을 제거하는 소제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파우더 표면 가공공정과 접시 외면소제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지한 바와 같은 각 제조공정을 통해 생산된 파우더접시를 트레이에 담아 이를 각각의 추가공정을 담당하는 생산라인에 재차 투입하여야 함은 물론 투입 시 각각의 추가공정에 요구되는 많은 작업인원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파우더접시의 생산라인과 파우더 표면 가공라인 및 접시 소제라인이 각기 구분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공정에 따라 그에 준하는 작업자의 배치가 필요하므로 많은 인건비가 요구되는 것이며, 각각의 공정에 따라 이들 파우더접시를 수거하여 운반하고 다시 재투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노동력의 손실은 물론 작업시간의 지연과 불량품 발생의 요인이 증대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이면서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의 일 예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969호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등록일자 : 2013.07.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 상측 중앙에는 간헐적 회전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구비되어 화장품 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홀더; 상기 턴테이블 가장자리에서 이격되어 마련된 프레스수단; 상기 화장품케이스에 수용되는 고형의 파우더 표면을 밀링커터로 절삭하는 절삭수단; 상기 절삭수단에 의해 발생된 파우더의 잔해를 흡입하는 석션수단 및 상기 케이스홀더에 수용되는 화장품 케이스를 이탈시켜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스수단은 가압공급관의 단부가 화장품 케이스의 상측에 근접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조정핸들; 상기 조정핸들과 같이 회전하는 기둥나사에 의해 이동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을 양측에서 안내하는 안내봉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화장품 충진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761호 "화장품 용기의 반제품박스 자동공급 장치"(등록일자 : 2014.01.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치구가 마련된 턴테이블과, 상기 화장품용기치구에 화장품용기를 안착시키고 화장품용기에 내용물 주입하는 내용물주입부와, 화장품용기에 뚜껑을 결합하며, 화장품용기와 뚜껑을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는 나사결합기기와, 화장품용기를 배출시키는 화장품용기배출부와, 상기 화장품용기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화장품용기를 반제품박스로 안내하는 미끄럼틀 부재를 포함한 화장품용기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기기와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화장품용기 개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미끄럼틀부재에는 화장품용기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화장품용기개폐수단; 상기 미끄럼틀부재의 끝단과 이격된 하부에는 반제품박스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반제품박스에 화장품용기를 적재할 수 있는 양이 모두 채워지면 다음의 공정으로 반제품박스를 이동시키는 박스배출수단; 상기 박스배출수단에서 박스가 배출되면 자동으로 새로운 반제품박스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 상기 감지센서와 화장품용기개폐수단 및 박스배출수단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내용물 주입부는 원형의 턴테이블 상측에서 화장품 내용물을 주입하게 되므로, 원형의 턴테이블 가장자리의 구조적 특성상 2개를 초과하는 화장품용기에 내용물을 동시에 주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원형의 턴테이블의 로터리 회전 중에 두개의 화장품용기 치구만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내용물 주입부는 두개의 화장품용기에만 내용물을 동시 주입할 수 밖에 없는 단점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969호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등록일자 : 2013.07.09)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761호 "화장품 용기의 반제품박스 자동공급 장치"(등록일자 : 2014.01.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턴테이블의 테두리 둘레를 각진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각각의 변에 해당하는 부위에 3개이상이 1조씩 구성된 용기안착구를 배치시킴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을 화장품용기에 충진하는 내용물 주입과정에서 복수개의 화장품용기내에 동시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안착구가 턴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용물 주입을 위한 주입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충진되는 내용물이 다른 화장품용기에도 충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충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팅기를 턴테이블의 주변에 근접 배치시켜 화장품 내용물을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턴테이블의 하측에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용기안착구를 회전시키거나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구를 구비함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공정을 보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충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테두리 둘레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로터리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화장품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 각 변 가장자리 부위의 동일 선상에 복수로 관통되게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과, 하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단턱과 돌출부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받침구와; 상기 단턱받침구의 단턱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에 화장품용기가 끼워지며, 배출수단의 리프터 단부가 진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용기안착구와;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승강수단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승동작시 상부가 상기 단턱받침구의 돌출부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단턱받침구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구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열선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가열플레이트 상에서 가열된 후에 상기 용기안착구의 상측과 화장품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를 가열시키는 열전달판을 갖는 히팅기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승강모터에 의해 상기 통공과 중공으로 승강동작되어 상기 용기안착구로부터 화장품용기를 밀어 올려 분리시키는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충전블록과, 상기 충전블록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충전블록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복수의 화장품용기 내에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을 갖는 내용물 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작업테이블에 마련된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회전모터의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각 지지구의 외주면에 서로 치합되는 기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주입노즐은 상기 턴테이블의 한 변에 위치하는 용기안착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작업테이블에 마련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의 단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리프터를 연동하여 승강시키도록 각각의 리프터 하부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는 승강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턴테이블은 테두리 둘레가 8각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 둘레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변에 3개 이상의 용기안착구가 배치되므로, 각 용기안착구에 결합된 화장품용기에 화장품 내용물을 동시에 충진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블록에 주입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턱받침구의 단턱에 용기안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충진하고자 하는 화장품 내용물에 따라 적합한 용기안착구 및 주입노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 호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측에 내용물 주입부가 위치하는 턴테이블의 하측에 지지구가 마련됨에 따라, 충진되는 화장품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단턱받침구를 회전 또는 정지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시 스월타입 또는 쿠션 마블등의 여러 타입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과 근접된 위치의 작업테이블에 히팅기를 탑재시킴으로써, 턴테이블의 로터리 회전중에 쿠션 또는 마블 타입으로 충진되는 액상 화장품을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충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단턱받침구와 화장품용기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턴테이블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지구 및 승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구의 상단부가 단턱받침구의 하부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구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화장품용기와 용기안착구 사이에 열전달판이 개재되어 화장품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a, 8b는 본 발명 턴테이블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리프터의 승강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충진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테이블(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테두리 둘레(105)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수단(153)에 의해 로터리 회전되는 턴테이블(100)과; 화장품용기(5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100) 각 변(102) 가장자리 부위의 동일 선상에 복수로 관통되게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210)과, 하부가 상기 턴테이블(100)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11) 및 상기 단턱(210)과 돌출부(211)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통시키는 통공(205)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받침구(200); 및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충전블록(410)과, 상기 충전블록(4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충전블록(4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복수의 화장품용기(50) 내에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420)을 갖는 내용물 주입부(4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턴테이블(100)은 테두리 둘레(105)가 각진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한 변(102)에 3개 이상의 용기안착구(300)가 배치되도록 8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턴테이블(100)의 테두리 둘레(105)가 4각형일 경우에는 턴테이블(100)의 회전시 주변설비와 간섭되어 회전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8각형을 초과할 경우에는 한 변(102)에 3개 이상의 용기안착구(300)가 구비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3개 또는 그 이상의 용기안착구(300)가 배치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8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수단(153)은 서보모터인 구동모터(150)를 이용하여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회전축(151)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한편 회전수단(153)은 다른 예로 인덱스를 이용하여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단턱받침구(200)는 턴테이블(100)의 각 변(102) 가장자리 부위의 동일 선상으로 3개씩 배치되어 있으나, 규격화된 용기안착구(300)의 구조상 4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턱받침구(200)는 화장품용기(5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가 턴테이블(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단턱(210)이 형성되고, 하부는 턴테이블(100)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단턱(210)과 돌출부(211)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통시키는 통공(205)가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100)의 각 가장자리에 관통되게 결합된다.
또한, 단턱받침구(200)는 상부에 용기안착구(300)의 하부가 끼워지는 단턱(2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용기안착구(300)는 단턱받침구(200)의 단턱(210)에 하부가 끼워지고, 중앙 상부에 화장품용기(50)가 끼워지며 배출수단(700)의 리프터(710) 단부가 진입되도록 중공(310)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용기안착구(300)는 겔 또는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화장품용기(50)의 형태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구분되지만, 동일 도면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내용물 주입부(400)는 충전블록(410)이 작업테이블(10)의 가장자리에 고정대를 매개로 턴테이블(1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충전블록(410)의 하측(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충전블록(4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복수의 화장품 용기(50)에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420)이 구비된다.
상기 주입노즐(420)의 개수는 턴테이블(100)의 한 변(102)에 위치하는 용기안착구(3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블록(410)은 도면에 미도시된 내용물 저장탱크로부터 호스부재를 통해 공급받은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고, 내용물 저장탱크는 실린더와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충전블록(410)측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내용물 주입부(400)가 배치된 턴테이블(100)의 하측에는 상기 턴테이블(100)의 하측에 승강수단(500)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모터(5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승동작시 상부가 상기 단턱받침구(200) 하측의 돌출부(21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구(5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실린더(51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5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복수의 지지구(550)는 서보모터인 회전모터(540)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각 지지구(550)의 외주면에 서로 치합되는 기어부재(55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구(550)는 상승동작시 상부가 단턱받침구(200)의 하부의 돌출부(211)의 하측에 접촉되어 내용물 주입부(400)의 내용물 주입과정에서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화장품용기(50)의 종류에 따라 회전모터(540)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단턱받침구(200)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단턱받침구(20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화장품용기(50)가 퍼프가 수용된 용기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안착구(300)의 상측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에서 단턱받침구(200)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로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다단 충진되어 띠가 형성되도록 화장품 내용물을 화장품용기(50) 내에 충진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받침구(200)를 회전시키면서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내용물 주입부(400)가 배치된 작업테이블(10)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는 용기안착구(300)로부터 화장품용기(50)를 분리시키기 위한 배출수단(700)의 리프터(710)가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터(71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모터(720)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상기 화장품용기(50)를 밀어 올려서 상기 용기안착구(300)로부터 화장품용기(50)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모터(720)는 모터축의 단부에 연결된 승강기어(730)가 각각의 리프터(710)의 하부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이후에, 리프터(710)에 의해 분리된 화장품용기(50)는 고무래 형태의 배출기(미도시)를 통해 배출컨베이어(미도시)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열선(620)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플레이트(610)와, 상기 가열플레이트(610) 상에서 가열된 후에 상기 용기안착구(300)의 상측과 화장품용기(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50)를 가열시키는 열전달판(630)을 갖는 히팅기(6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열전달판(630)은 가열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쉽게 가열되도록 열전도가 우수한 박판 형태의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히팅기(600)는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용기에 충진할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플레이트(610)가 가열된 후에 가열플레이트(610)의 상측에 안착된 열전달판(630)을 가열시키고, 열전달판(630)이 화장품용기(50)의 하측에 배치된 후에 화장품용기(50)를 가열하여 충진된 화장품 내용물을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턴테이블(100)의 상측에 돌출된 단턱받침구(200)의 단턱(210)에 화장품용기(50)에 따라 적합한 용기안착구(300)를 선택한 후에, 용기안착구(300)의 중공(310) 내에 단턱받침구(200)의 단턱(210)이 끼워지도록 결합시키고, 화장품용기(50)가 원통형이고 화장품용기(50)의 공간부 내에 내용물이 충진될 경우에는 용기안착구(300)의 중공(310) 내에 화장품용기(50)가 수용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방식이 다단충진되는 스월(swirl)타입의 화장품 또는 마블(Marble)타입 혹은 쿠션타입으로 충진시키는 화장품 내용물에 따라 화장품용기(50) 및 주입노즐(420)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용기안착구(300)는 화장품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단턱받침구(200)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스월타입으로 내용물이 충진되는 경우에는 화장품용기(50)가 용기안착구(300)의 중공(310) 내에 화장품용기(5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끼워진 상태로 턴테이블(100)의 회전시 내용물 충진, 냉각, 뚜껑 밀폐, 배출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주입노즐(420)의 하단부가 화장품용기(50)의 공간부 내부로 하강동작된 후에, 지지구(550)를 승강실린더(510)로 상승시켜 지지구(550)의 상단이 단턱받침구(200)의 하부에 접촉된 후에 회전모터(540)로 회전시켜 단턱받침구(200) 및 용기안착구(300)를 회전시켜 화장품용기(50)가 회전되는 상태로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함에 따라 스월 방식으로 다단 충진된다.
상기한 화장품 내용물의 일 예로는 겔타입의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물이 충진된 화장품용기(50)는 공간부 내에 다단 층으로 이루어진 방식으로 충진되며, 내용물 주입부(400)가 배치된 턴테이블(100)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된 배출수단(700)의 리프터(710)에 의해 용기안착구(300)로부터 분리된 후에, 리프터(710)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된 화장품용기(50)는 배출컨베이어측으로 끌어 당기는 고무래 타입의 배출기에 의해 배출컨베이어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마블이나 쿠션타입으로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경우에는, 지지구(550)가 회전될 필요없이 단턱받침구(200) 하부의 돌출부(211)에 지지구(550)의 상단부를 접촉시켜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중에 화장품용기(50)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또, 이 경우에는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이 신속하게 경화되도록 히팅기(6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히팅기(600)는 외부 전원이 열선(620)을 통해 가열플레이트(610)를 가열시키면, 가열플레이트(610)의 상측에 안착된 열전달판(630)이 가열된다.
이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열전달판(630)을 화장품용기(50)와 용기안착구(30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열전달판(630)이 상측에 안착된 화장품용기(50)측에 열을 전달하여 화장품용기(50)내에 충진된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겔상태로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 화장품용기(50)가 배출수단(700)의 배출컨베이어에 도달하기 전에 용기안착구(300)와 화장품용기(5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열전달판(630)을 빼내어 다시 가열플레이트(610)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배출수단(700)을 이용하여 배출컨베이어측으로 화장품용기(50)를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턴테이블(100)과 근접된 위치의 작업테이블(10)에 히팅기(600)를 탑재시킴으로써, 턴테이블(100)의 로터리 회전중에 쿠션 또는 마블 타입으로 충진되는 액상 화장품을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외주면 둘레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변(102)에 3개 이상의 용기안착구(300)가 배치되므로, 각 용기안착구(300)에 결합된 화장품용기(50)에 화장품 내용물을 동시에 충진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블록(410)에 주입노즐(4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턱받침구(200)의 단턱에 용기안착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충진하고자 하는 화장품 내용물에 따라 적합한 용기안착구(300) 및 주입노즐(42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 호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측에 내용물 주입부(400)가 위치하는 턴테이블(100)의 하측에 지지구(550)가 마련됨에 따라, 충진되는 화장품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단턱받침구(200)를 회전 또는 정지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화장품 내용물의 충진시 스월타입 또는 쿠션 마블등의 여러 타입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턴테이블(1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00)의 테두리 둘레(105)가 팔각형이 아닌 육각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테두리 둘레(105)를 갖는 턴테이블(100)의 각 변(102) 부위에 3개씩의 단턱받침구(200)가 아닌 4개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작업테이블 50 : 화장품용기
100 : 턴테이블 102 : 변
105 : 테두리 둘레 150 : 구동모터
200 : 단턱받침구 205 : 통공
210 : 단턱 300 : 용기안착구
310 : 중공 400 : 내용물 주입부
410 : 충전블록 420 : 주입노즐
500 : 승강수단 510 : 승강실린더
520 : 승강블록 540 : 회전모터
550 : 지지구 552 : 기어부재
600 : 히팅기 610 : 가열플레이트
620 : 열선 630 : 열전달판
710 : 리프터 720 : 승강모터
730 : 승강기어

Claims (5)

  1. 작업테이블(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테두리 둘레(105)가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수단(153)에 의해 로터리 회전되는 턴테이블(100)과;
    화장품용기(50)가 안착되는 용기안착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100) 각 변(102) 가장자리 부위의 동일 선상에 복수로 관통되게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210)과, 하부가 상기 턴테이블(100)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11) 및 상기 단턱(210)과 돌출부(211)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통시키는 통공(205)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받침구(200)와;
    상기 단턱받침구(200)의 단턱(210)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에 화장품용기(50)가 끼워지며, 배출수단(700)의 리프터(710) 단부가 진입되는 중공(310)이 형성된 용기안착구(300)와;
    상기 턴테이블(100)의 하측에 승강수단(500)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모터(5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승동작시 상부가 상기 단턱받침구(200)의 돌출부(211)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모터(540)의 회전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단턱받침구(200)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구(55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열선(620)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플레이트(610)와, 상기 가열플레이트(610) 상에서 가열된 후에 상기 용기안착구(300)의 상측과 화장품용기(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50)를 가열시키는 열전달판(630)을 갖는 히팅기(6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승강모터(720)에 의해 상기 통공(205)과 중공(310)으로 승강동작되어 상기 용기안착구(300)로부터 화장품용기(50)를 밀어 올려 분리시키는 복수의 리프터(710)를 구비하는 배출수단(700); 및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는 충전블록(410)과, 상기 충전블록(4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충전블록(4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복수의 화장품용기(50) 내에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노즐(420)을 갖는 내용물 주입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500)은 상기 작업테이블(10)에 마련된 승강실린더(51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록(520)과, 상기 회전모터(540)의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각 지지구(550)의 외주면에 서로 치합되는 기어부재(5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노즐(420)은 상기 턴테이블(100)의 한 변(102)에 위치하는 용기안착구(3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700)은 상기 작업테이블(10)에 마련되는 승강모터(720)와, 상기 승강모터(720)의 단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리프터(710)를 연동하여 승강시키도록 각각의 리프터(710) 하부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는 승강기어(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00)은 테두리 둘레(105)가 8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충진장치.
KR1020170044775A 2017-04-06 2017-04-06 화장품 충진장치 KR10195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75A KR101959261B1 (ko) 2017-04-06 2017-04-06 화장품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75A KR101959261B1 (ko) 2017-04-06 2017-04-06 화장품 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2A KR20180113352A (ko) 2018-10-16
KR101959261B1 true KR101959261B1 (ko) 2019-03-19

Family

ID=6413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75A KR101959261B1 (ko) 2017-04-06 2017-04-06 화장품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0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464822B1 (ko) 2022-07-18 2022-11-09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화장품용기 이물질제거 및 내용물 충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576B1 (ko) * 2021-03-29 2023-02-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US20240099943A1 (en) * 2022-09-28 2024-03-28 B.Kolormakeup & Skincare S.P.A. Sb Method, machine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asty or semisolid cosmetic products with a relief surface finish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82Y1 (ko) * 2002-12-20 2003-03-19 홍승일 로타리형 포장기의 크립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27A (ko) * 2007-10-19 2009-04-23 (주) 우정테크 파우더 화장품 제조방법
KR200467995Y1 (ko) * 2011-09-16 2013-07-2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의 다색 내용물 충진장치
KR200467969Y1 (ko) * 2011-09-30 2013-07-1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파우더 케이스 제조장치
KR200470761Y1 (ko) 2012-11-30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의 반제품박스 자동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82Y1 (ko) * 2002-12-20 2003-03-19 홍승일 로타리형 포장기의 크립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0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464822B1 (ko) 2022-07-18 2022-11-09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화장품용기 이물질제거 및 내용물 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2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261B1 (ko) 화장품 충진장치
JP5665758B2 (ja) ペトリ皿内の製品を計量分配する装置
KR101420612B1 (ko) 파운데이션 충진장치
CN205345374U (zh) 一种全自动颗粒制剂调剂装置
CN111907044A (zh) 热成型机及一模次三动作的模内贴标传送装箱生产线
KR102133169B1 (ko)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CN110746124A (zh) 一种高品质水钻加工方法
KR101912597B1 (ko) 화장품 제조공정 시스템 및 방법
CN209755549U (zh) 一种用于转移模具的机械手
CN109682659B (zh) 一种农药残留检测用研磨设备
KR101449737B1 (ko) 플라스틱 용기의 성형장치
KR20200110875A (ko) 버섯 재배용 배양배지 자동 투입장치
CN216300142U (zh) 热成型机及一模次三动作的模内贴标传送装箱生产线
CN213565004U (zh) 包装盒喷码位置校正装置
CN210651984U (zh) 一种树脂镜片多头全自动灌胶成型系统
KR101623937B1 (ko) 자동 성형수단이 구비된 얼음용기 성형장치
CN114056619A (zh) 一种容器灌装生产装置
KR101588405B1 (ko) 얼음용기 성형장치
KR20210124591A (ko) 화장품 충전 장치 및 그에 따른 화장품 충전 방법
CN214131175U (zh) 一种粉末涂料邦定机
KR20160088037A (ko) 전두부의 가열 및 냉각장치
CN216734990U (zh) 一种自动定量包装机
TWM565482U (zh) Baked goods semi-finished product automatic molding forming device
CN216584141U (zh) 一种四头环形导轨灌装旋盖装置
CN207943227U (zh) 一种饮料自动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