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69B1 -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69B1
KR102133169B1 KR1020180108680A KR20180108680A KR102133169B1 KR 102133169 B1 KR102133169 B1 KR 102133169B1 KR 1020180108680 A KR1020180108680 A KR 1020180108680A KR 20180108680 A KR20180108680 A KR 20180108680A KR 102133169 B1 KR102133169 B1 KR 10213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ead
rotary
unit
manufactu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182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8010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78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heat-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프레임에서 구동부를 통해 회전축에 의해 스텝 회전되는 회전테이블과, 회전테이블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회전테이블의 스텝 회전의 등분수 증가에 따른 기어비를 맞춰 조절하는 기어비조절부와, 회전플레이트에서 컵을 안착시키는 몰드플레이트를 분리가능하게 착탈하는 몰드착탈부와, 컵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하고,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흡착부재를 승강하므로 몰드플레이트 상에 컵을 하강 공급하는 컵공급장치와, 컵에 액상물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작동을 수행하는 액상물공급장치와, 안내프레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다수개의 리드를 하강시켜 적재하고,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작동하는 반전기구를 통해 컵 상측에 리드를 반전시켜 공급하는 리드공급장치와, 컵 상측에 안착된 리드에 열을 가해 컵에 융착 고정시키는 리드히팅장치와, 제조된 컵을 배출컨베이어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컵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CUP MERCHANDISE MANUFACTURE SYSTEM OF ROTARY TYPE}
본 발명은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테이블의 하측에 기어비조절부를 구비하여 회전 및 정지구간 등분수의 증가를 수용하여 조절하고, 몰드플레이트를 회전테이블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컵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컵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 및 승강을 통해 몰드플레이트 상에 공급하므로 컵의 대량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작동구간 조절이 가능한 액상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액상물 공급량을 조절하며, 리드공급장치를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하강시켜 적재하고 반전기구를 통해 컵 상측에 공급하며, 리드히팅장치를 회전작동을 통해 젖혀주어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제품(cup merchandise)은 컵에 유제품 또는 아이스크림 등의 액상물을 공급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리드(lid, 커버)를 컵 상측에 안치하고, 열을 가해 융착하고, 다시 캡(cap)을 씌워서 판매하거나 캡을 삭제하고 리드만 융착시켜 판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컵 제품은 컵 제품용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컵을 흡착하강 이송장치로 흡착 공급하는 컵 공급과정과, 공급된 컵을 이송하여 액상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액상물을 정량 공급하는 액상물 수용과정과, 액상물이 수용된 컵을 이송하고 리드공급장치로 컵 상측에 리드를 공급하는 리드 공급과정과, 공급된 리드를 컵의 상측 테두리에 리드히팅장치로 리드에 열을 가하여 컵에 융착하는 리드 융착과정과, 이송된 컵의 상측에 캡을 공급하여 덮어주는 캡 공급과정과, 완성된 컵 제품을 컵배출장치로 배출하는 컵 배출괴정을 거치면서 컵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기존의 컵 제품용 제조시스템은 직선 이동라인에 길이 방향으로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컵이 순차적으로 직진 이동하면서 상기한 과정을 거쳐 컵 제품을 제조하였으나, 제조시스템의 설치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컵 제품 제조시스템을 원형 회전방식으로 구성하여 설정 각도 마다 컵 흡착하강 이송장치, 액상물공급장치, 리드공급장치, 리드히팅장치 및 컵배출장치를 순서대로 배치하여 수직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에 컵을 안치하고 이송하면서 상기한 과정을 거쳐 컵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š, 컵 흡착하강 이송장치, 리드공급장치 등은 플레이트 하측에 구성된 동력장치에서 동력을 전달하여 플레이트를 통해 승강축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거나 상측 밀어주면서 컵, 리드 및 캡을 하강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회전테이블 하측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컵 흡착하강 이송장치, 액상물공급장치, 리드공급장치, 리드히팅장치, 캡공급장치 및 컵배출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분배장치를 통해 동력을 분배하여 승강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원형테이블에 여러가지 장치등이 추가됨에 따라 구간의 등분수가 증가하게 되고, 기존의 동력분배장치의 기어비로는 구간별로 정지시간과 작동시간 간의 동력 분배를 충분하게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컵의 형상이 액성물만 수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최근에는 액상물과 시리얼등을 수용하는 복합한 구성으로 컵이 형성됨에 따라, 컵공급급장치와, 액상물공급장치와, 리드공급장치 등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47224호(2015.08.19, 발명의 명칭: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컵 제품용 회전식 제조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회전테이블의 하측에 기어비조절부를 구비하여 회전 및 정지구간 등분수의 증가를 수용하여 조절하고, 몰드플레이트를 회전테이블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컵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컵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 및 승강을 통해 몰드플레이트 상에 공급하므로 컵의 대량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작동구간 조절이 가능한 액상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액상물 공급량을 조절하며, 리드공급장치를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하강시켜 적재하고 반전기구를 통해 컵 상측에 공급하며, 리드히팅장치를 회전작동을 통해 젖혀주어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컵 제품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프레임에서 구동부를 통해 회전축에 의해 스텝 회전되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스텝 회전의 등분수 증가에 따른 기어비를 맞춰 조절하는 기어비조절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서 컵을 안착시키는 몰드플레이트를 분리가능하게 착탈하는 몰드착탈부; 상기 컵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흡착부재를 승강하므로 상기 몰드플레이트 상에 컵을 하강 공급하는 컵공급장치; 상기 컵에 액상물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작동을 수행하는 액상물공급장치; 안내프레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다수개의 상기 리드를 하강시켜 적재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작동하는 반전기구를 통해 컵 상측에 리드를 반전시켜 공급하는 리드공급장치; 상기 컵 상측에 안착된 리드에 열을 가해 상기 컵에 융착 고정시키는 리드히팅장치; 및 제조된 상기 컵을 배출컨베이어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컵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비조절부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분할수를 맞추기 위한 상기 구동부의 운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늘리기 위해 기어비를 조절하고, 상기 기어비조절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는 적은수의 기어치를 갖는 제1스퍼기어;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퍼기어에 비해 많은 기어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스퍼기어의 회전수가 많더라도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수를 줄여 상기 회전테이블의 등분수에 따른 회전 기어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스퍼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착탈부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하관통공 양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측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가이드돌부; 상기 가이드돌부에 걸리도록 상기 몰드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턱부; 및 상기 몰드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공급장치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둘레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컵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배열하여 이송하는 매거진부; 상기 매거진부에서 전후로 배열된 상기 컵 중에서 제1열의 컵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테이블 상에 상기 컵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컵멀티수용부; 상기 컵멀티수용부를 상기 회전테이블과 상기 매거진부 사이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 및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컵멀티수용부에서 낙하된 컵을 적재하고, 상기 흡착부재의 상하이동 및 흡착을 통해 상기 몰드플레이트 상에 컵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컵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거진부는, 상기 컵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경사지게 배열하는 틀부재; 상기 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구동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컵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컵전후이송부; 및 상기 컵전후이송부를 통해 상기 컵이 이송되지 않고 일시 정자될 때 상기 컵이 전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전후이송부는, 상기 틀부재의 하측에서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이격되도록 상기 틀부재의 후측 또는 전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피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에 감겨지고, 컵이 안착되어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 및 상기 구동풀리를 설치한 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틀부재 상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상기 작동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 틀부재의 너비방향으로 작동하는 너비작동부재;
상기 너비작동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레버 작동하는 다수개의 힌지레버부재; 및 상기 힌지레버부재에 수직으로 축 연결되고, 상기 틀부재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컵을 스토퍼돌가를 통홰 전측으로 공급하거나 정지하도록 회전 작동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멀티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에 연결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수직상태에서 상기 매거진부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회전하거나 경사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하는 회동실린더; 상기 회전브라켓에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부 측으로 전후진 동작하는 전후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브라켓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전후진실린더; 상기 전후진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부에 적재된 상기 컵의 하측을 걸어 안착하고,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에 의해 회전테이블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젖혀져 컵을 상기 컵디스펜서부 측으로 낙하하는 컵안착젖힘부재; 및 상기 전후진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컵안착젖힘부재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을 통해 상기 컵안착젖힘부재를 회전하는 젖힘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는, 상기 회전테이블 상측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매거진부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컵멀티수용부에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컵멀티수용부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바디가 설치되고, 축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에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상기 컵멀티수용부를 상기 레일부재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장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물공급장치는, 호퍼에 연결되는 유입관로와 배출관로가 연결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내부에 액상물이 수용되는 펌프본체; 상기 유입관로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 상기 배출관로에 연결되고, 액상물을 상기 컵에 공급하는 노즐부재; 및 상기 펌프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욍복작동하어 액상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작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부;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치합되고,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를 통해 욍복 작동되는 작동축부재; 및 상기 작동축부재를 상기 레버부재의 반경축소방향 또는 확장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축부재의 왕복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공급장치는, 상기 안내프레임에 외부에서 리드를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리드를 상측으로 적재하는 리드안내봉;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의 양측을 걸어주는 한 쌍의 리드걸이부재; 상기 리드걸이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리드걸이부재의 너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너비안내부재; 상기 너비안내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직진방향으로 작동함에 따라 상기 너비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걸이부재를 오므려주거나 벌려주어 상기 리드를 지지하거나 낙하시키는 너비조절실린더; 및 상기 너비조절실린더의 작동으로 낙하 이동된 리드를 상기 반전기구의 작동으로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안치된 컵의 상측에 공급하는 리드디스펜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히팅장치는, 상기 컵 상에 안착된 리드의 상측에 열을 가하여 컵에 부착하는 열가열부재; 상기 열가열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재; 상기 히터부재의 상측으로 축 연결되고,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열가열부재를 승강하여 상기 리드를 상기 컵 상측에 가압하는 가압실린더; 상기 가압실린더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 상기 연결지지부재에 연결되고, 레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히팅레버부재; 상기 히팅레버부재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신축 작동을 통해 상기 레버부재를 통해 상기 열가열부재, 상기 히터부재 및 상기 가압실린더를 젖혀주므로 수리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히팅실린더; 및 상기 직진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열가열부재를 상기 리드에 가압할 때 충격을 완충 흡수하는 다수개의 완충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회전테이블의 하측에 기어비조절부를 구비하여 회전 및 정지구간 등분수의 증가를 수용하여 조절하고, 몰드플레이트를 회전테이블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컵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컵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 및 승강을 통해 몰드플레이트 상에 공급하므로 컵의 대량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작동구간 조절이 가능한 액상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액상물 공급량을 조절하며, 리드공급장치를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하강시켜 적재하고 반전기구를 통해 컵 상측에 공급하며, 리드히팅장치를 회전작동을 통해 젖혀주어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동료ㄱ전달장치 및 기어비조절부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몰드착말부를 보인 분해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몰드플레이트의 설치 상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 및 컵멀티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멀티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멀티수용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디스펜서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디스펜서부의 평면도 및 일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이물질제거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시리얼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시리얼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액상물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액상물공급장치에서 컵승강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리드공급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공급장치에서 번전기구를 이용하여 리드를 반전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히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배출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배출장치에서 승강된 컵을 푸쉬하여 배출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동료ㄱ전달장치 및 기어비조절부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몰드착말부를 보인 분해 및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몰드플레이트의 설치 상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 및 컵멀티수용부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매거진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멀티수용부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멀티수용부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디스펜서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공급장치에서 컵디스펜서부의 평면도 및 일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이물질제거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시리얼공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시리얼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액상물공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액상물공급장치에서 컵승강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공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에서 리드공급장치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공급장치에서 번전기구를 이용하여 리드를 반전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리드히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배출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의 컵배출장치에서 승강된 컵을 푸쉬하여 배출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은, 프레임(2)에서 구동부(21)를 통해 회전축(34)에 의해 스텝 회전되는 회전테이블(30)과, 회전테이블(30)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부(21)의 동력을 회전축(34)으로 전달하고, 회전테이블(30)의 스텝 회전의 등분수 증가에 따른 기어비를 맞춰 조절하는 기어비조절부(40)와, 회전테이블(30)에서 컵을 안착시키는 몰드플레이트(6)를 분리가능하게 착탈하는 몰드착탈부(100)와, 컵(4)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하고, 구동부(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20)를 거쳐 흡착부재(280)를 승강하므로 몰드플레이트(6) 상에 컵(4)을 하강 공급하는 컵공급장치(200)와, 컵(4)에 액상물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작동을 수행하는 액상물공급장치(500)와, 안내프레임(605)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다수개의 리드(5)를 하강시켜 적재하고, 동력전달장치(20)를 거쳐 작동하는 반전기구(680)를 통해 컵(4) 상측에 리드(5)를 반전시켜 공급하는 리드공급장치(600)와, 컵(4) 상측에 안착된 리드(5)에 열을 가해 컵(4)에 융착 고정시키는 리드히팅장치(700)와, 컵(4)을 배출컨베이어(860)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컵배출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장치(20)는, 구동부(21)의 동력 일부를 분기하여 회전하는 메인구동풀리(22)와, 메인구동풀리(22)에 이격 배치되는 메인피동풀리(23)와, 메인구동풀리(22)와 메인피동풀리(23)에 감겨지는 동려전달벨트(24)와, 메인피동풀리(23)의 축에 연결되고 다수개의 구동베벨기어 및 메인피동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분배부(25)와, 동력분배부(25)에서 출력되어 회전하는 다수개의 연결축(26)과, 어느 하나의 연결축(26)에 연결되고, 컵공급장치(200)의 흡착부재(280)에 연결된 컵승강축(276)을 승강 작동하도록 동력을 전환하는 캠작동부(27)와, 다른 하나의 연결축(26)에 연결되고, 리드공급장치*600)의 리드승강축(672)을 승강작동하도록 동력을 전환하는 레버작동부(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테이블(20)은 18°간격으로 20등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구건마다 필요한 위치에 캡공급장치(200), 이물질제거장치(300), 2개(구간)의 시리얼공급장치(400), 액상물공급장치(500), 리드공급장치(600), 리드히팅장치(700), 컵배출장치(800) 및 캡공급장치(미도시) 등외 다양한 장치 20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테이블(30)의 구간별 등분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구동부를 그대로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기어비를 충분하개 발휘하지 못하여 작동시간 및 전지시간을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호ㅓㅣ전테이블(30)의 등분수 증가에 따른 기어비를 맞추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어비조절부(400)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 기어비조절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30)의 분할수를 맞추기 위한 상기 구동부(21)의 운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늘리기 위해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다.
기어비조절부(40)는, 구동부(2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는 적은수의 기어치를 갖는 제1스퍼기어(42)와, 회전축(34)에 연결되고, 제1스퍼기어(42)에 비해 많은 기어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스퍼기어(42)의 회전수가 많더라도 회전테이블(30)의 회전수를 줄여 회전테이블(30)의 등분수에 따른 회전 기어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스퍼기어(44);를 포함한다.
몰드착탈부(100)는, 회전테이블(30)의 상하관통공(32)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몰드플레이트(6)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안내하는 롤러지지부(110)와, 회전테이블(30)의 상하관통공(320) 양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측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가이드돌부(120)와, 가이드돌부(120)에 걸리도록 몰드플레이트(6)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턱부(130)와, 몰드플레이트(6)를 장착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140)는 탄성걸이방식, 나사결합방식, 후크방식 등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착탈방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컵공급장치(200)는, 회전테이블(30)의 둘레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컵(4)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배열하여 이송하는 매거진부(210)와, 매거진부(210)에서 전후로 배열된 컵(4) 중에서 제1열의 컵(4)을 수용하고 회전테이블(30) 상에 컵(4)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컵멀티수용부(250)와, 컵멀티수용부(250)를 회전테이블(30)과 매거진부(210) 사이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260)와,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의해 이동된 컵멀티수용부(250)에서 낙하된 컵(4)을 적재하고, 흡착부재(280)의 상하이동 및 흡착을 통해 몰드플레이트(6) 상에 컵(4)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컵디스펜서부(270)를 포함한다.
매거진부(210)는, 컵(4)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경사지게 배열하는 틀부재(220)와, 틀부재(220)의 하측에 구비되고, 구동부(21)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여 컵(4)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컵전후이송부(230)와, 컵전후이송부(230)를 통해 컵(4)이 이송되지 않고 일시 정자될 때 컵(4)이 전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240)를 포함한다.
컵전후이송부(230)는, 틀부재(220)의 하측에서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구동풀리(231)와, 구동풀리(231)에 이격되도록 틀부재(220)의 후측 또는 전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피동풀리(232)와, 구동풀리(231)와 피동풀리(232)에 감겨지고, 컵(4)이 안착되어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233)와, 구동풀리(231)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234)를 포함한다.
작동부(234)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고, 속도를 감속하면서 파워를 증가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240)는, 틀부재(2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241)와, 작동실린더(241)에 연결되고, 틀부재(220)의 너비방향으로 작동하는 너비작동부재(242)와, 너비작동부재(24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레버 작동하는 다수개의 힌지레버부재(243)와, 힌지레버부재(243)에 수직으로 축 연결되고, 틀부재(220)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컵(4)을 스토퍼돌가(245)를 통홰 전측으로 공급하거나 정지하도록 회전 작동하는 스토퍼부재(244)를 포함한다.
컵멀티수용부(250)는,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연결되는 이동프레임(251)와, 이동프레임(251)에 설치되고, 수직상태에서 매거진부(210)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회전하거나 경사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252)와, 이동프레임(251)에 설치되고, 회전브라켓(252)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회전브라켓(252)을 회전하는 회동실린더(253)와, 회전브라켓(252)에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매거진부(210) 측으로 전후진 동작하는 전후진브라켓(257)과, 회전브라켓에 설치되어 전후진브라켓(257)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전후진실린더(256)와, 전후진브라켓(25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매거진부(210)의 틀부재(220)에 적재된 컵(4)의 하측을 걸어 안착하고,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의해 회전테이블(30)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젖혀져 컵(4)을 컵디스펜서부(270)측으로 낙하하는 컵안착젖힘부재(254)와, 전후진브라켓(257)에 설치되고, 컵안착젖힘부재(254)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을 통해 컵안착젖힘부재(254)를 회전하는 젖힘실린더;를 포함한다.
젖힘실린더(255)는 컵멀티수용부(250)가 회전테이블(30) 상측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만 수축 작동하여 후장으로 젖혀지는 구성으로서, 컵안착젖힘부재(254)에 안착된 컵(4)을 젖혀 컵디스펜서부(270) 측으로 낙하시킨다.
전후진브라켓(257)은 매거진부(210)의 컵전후이송부(230)측으로 전진하여 접근하고, 컵전후이송부(230)의 이송벨트(233) 잔후 작동을 통해 상하측으로 다수개 적재된 컵(4)을 낙하하여 컵안착젖힘부재(254)에 안착시켜 수용한 후, 경사진 상태에서 주직으로 복귀하고, 슬라이드작동부(260)를 통해 회전테이블(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작동부(260)는, 회전테이블(30)의 상측에 배치된 프레임(2)과 매거진부(210)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부재(261)와, 레일부재(261)에 결합되도록 컵멀티수용부(250)에 상측에 구비되고, 컵멀티수용부(2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재(262)와, 프레임(2)에 바디가 설치되고, 축이 슬라이드안내부재(262)에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컵멀티수용부(250)를 레일부재(261)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장축실린더(263)를 포함한다.
컵디스펜서부(270)는 컵(4)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안내하는 안내봉(271)과, 안내봉(271)을 따라 하강하는 컵(4) 중 최하측 컵(4)의 저면을 양측에서 걸어주거나 하강을 위해 벌려주는 한 쌍의 하측걸림판부재(272)와, 하측걸림판부재(272)의 작동을 각각 수행하는 한 쌍의 제1수평실린더(273)와, 하측걸림판부재(272)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걸림판부재(272)가 컵(4)을 벌려 하강할 때, 컵(4) 중 최하측에서 두번째 컵(4)을 걸어주고, 하측걸림판부재(272)가 컵(4)을 걸어줄 때, 컵(4)의 하측 안내를 위해 벌려지는 상측걸림판부재(274)와, 상측걸림판부재(274)의 작동을 각각 수행하는 한 쌍의 제2수평실린더(275)와, 상기 동력전달장치(20)의 동력을 전달 받아 승강하는 컵승강축(276)과, 컵승강축(276)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재(280)가 설치되는 승강브라켓(277)을 포함한다.
제1수평실린더(273)와 제2수평실린더(275)는 신장과 수축을 반대로 수행하므로 컵(4)을 다수의 라인별로 1개씩 순차적으로 회전테이블(30)에 구비된 몰드플레이트(6) 상에 하강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컵(4)은 회전테이블(30)의 반경방향으로 설정 간격마다 5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회전테이블(30)의 반경방향으로 컵(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컵(4)은 액상물저장용 또는 시리얼저장용 공간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컵(4)에서, 액상물저장용 공간부를 시리얼저장용 공간부 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공급장치(200)의 후속 위치에는 컵(4)의 내부에 에어를 불아주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물질제거장치(300)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10)와, 에어공급부(310)에서 공급된 에어를 이동하는 에어이동관(320)과, 에어이동관(320)에서 공급된 에어를 컵(4)의 내부로 위치시켜 에어를 불어주므로 컵(4) 내부에 잔류한 이물질을 불어 제거하는 이물제거노즐(330)과, 상기 이물질제거노즐(330)을 승강시켜 상기 컵(4)의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이탈시키는 노즐승강부(340);를 포함한다.
이물질제거노즐(330)은 컵(3) 중에서 액상물이 주입되는 공간부와, 시리얼이 공급되는 공간부에 각각 위치시켜 에어주도록 한 쌍 형성된다.
노즐승강부(340)는, 프레임(2)에 설치되는 노즐승강실린더(341)와, 노즐승강실린더(341)의 축에 연결되고, 다수개의 이물질제거노즐(330)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42)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이물질제거장치(300)와 액상물공급장치(500) 사이에는 컵(4)의 공간부에 시리얼을 공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시리얼공급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시리얼공급장치(400)는, 시리얼을 저장하는 호퍼(410)와, 호퍼(410)의 하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 작동으로 시리얼을 하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부재(420)와, 호퍼(410)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1개폐부재(420)의 개방으로 이동한 시리얼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케이스(430)와, 수평안내케이스(430)의 전측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안내케이스(440)와, 수직안내케이스(440)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으로 시리얼을 하측으로 이동하여 컵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개폐부재(450)를 포함한다.
수직안내케이스(440)의 단부에는 시리얼을 토출하는 출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안내케이스(440)의 출구부는 컵(4)의 2개의 공간부 중에서 면적이 좁은 작은 공간부에 시리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시리얼공급장치(400)는 제2개폐부재(450)의 개폐를 통해 시리얼이 컵에 공급될 때, 수직안내케이스(440)의 출구측에 컵(4)의 공간부를 배치하도록 컵(4)을 승강시키는 시리얼승강부(460)를 포함한다.
시리얼승강부(460)는, 시리얼승강실린더(461)와, 시리얼승강실린더(461)의 축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연결브라켓(462)과. 연결브라켓(462)의 단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컵(4)의 저면을 각각 받쳐주는 받침돌부(464)를 구비하는 컵승강판부재(463)를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액상물공급장치(500)는, 호퍼(510)에 연결되는 유입관로(521)와 배출관로(522)가 연결되고, 호퍼(510)를 통해 내부에 액상물이 수용되는 펌프본체(520)와, 유입관로(521)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530)와, 배출관로(522)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540)와, 배출관로(522)에 연결되고, 액상물을 컵(4)에 공급하는 노즐부재(550)와, 펌프본체(52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505)을 욍복작동하어 액상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작동부(560)를 포함한다.
노즐부재(550)는 컵(4)의 2개의 공간부 중에서 면적이 넓은 큰 공간부에 액상물을 공급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펌프작동부(560)는, 구동모터(561)와, 구동모터(561)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부(562)와, 피니언기어부(562)에 치합되고,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랙기어부(563)와, 랙기어부(563)에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564)와, 피스톤(505)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564)를 통해 욍복 작동되는 작동축부재(565와, 작동축부재(565)를 상기 레버부재(564)의 반경축소방향 또는 확장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축부재(565)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570)를 포함한다.
스트로크조절부(570)는, 레버부재(564)의 자유단측에 설치되는 설치부재(571)와, 설치부재(571)에 외측으로 다수개 연장되는 안내축(572)과, 안내축(57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축부재(565)의 축이 힌지 연결되는 지지블록(573)과, 안내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블록(57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74)와, 이탈방지부재(574)를 통해 지지블록(573)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작동으로 지지블록(573)을 레버부재(56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축부재(575)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재(575);를 포함함다.
액상물공급장치(500)는 컵(4)을 상측으로 밀어 주어 노즐부재(550)측으로 근 접시키는 컵승강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컵승강부(580)는, 컵강실린더(581)와, 컵실린더(581)의 축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연결브라켓(582)과. 연결브라켓(582)의 단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컵(4)의 저면을 각각 받쳐주는 받침돌부(584)를 구비하는 컵승강판부재(63)를 포함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리드공급장치(600)는, 안내프레임(605)에 외부에서 리드(5)를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610)와, 슬라이드부재(610)를 따라 이동하고, 리드(5)를 상측으로 적재하는 리드안내봉(620)와, 슬라이드부재(610)에 구비되고, 리드(5)의 양측을 걸어주는 한 쌍의 리드걸이부재(630)와, 리드걸이부재(630)에 각각 연결되고, 리드걸이부재(630)의 너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너비안내부재(640)와, 너비안내부재(64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650)와, 링크부재(650)에 연결되어 링크부재(650)를 직진방향으로 작동함에 따라 너비안내부재(640)에 의해 리드걸이부재(630)를 오므려주거나 벌려주어 리드(5)를 지지하거나 낙하시키는 너비조절실린더(660)와, 너비조절실린더(660)의 작동으로 낙하 이동된 리드(5)를 반전기구(680)의 작동으로 몰드플레이트(6)에 안치된 컵(4)의 상측에 공급하는 리드디스펜서부(670)를 포함한다.
너비안내부재(640)는 너비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너비가이드레일(642)이 구비될 수 있다.
안내프레임(605)은 회전테이블(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리드디스펜서부(670)는, 리드(5)가 적재되고, 리드(5)가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리드지지부재(671)와, 리드지지부재(671)의 하측에 구비되고, 동력전달장치(20)를 거쳐 동력을 전달 받아 승강하는 리드승강축(672)와, 리드승강축(672)에 설치된 반전기구(680)를 통해 상측에서 리드(5)의 저면을 흡착하고, 하측으로 리드(5)를 반전시켜 컵(4)의 상측에 덮어주는 리드흡착부재(673)를 포함한다.
도 21을 첨조하면, 리드히팅장치(700)는, 컵(4) 상에 안착된 리드(5)의 상측에 열을 가하여 컵(4)에 부착하는 열가열부재(710)와, 열가열부재(7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재(720)와, 히터부재(720)의 상측으로 축 연결되고, 히터부재(720)와 열가열부재(710)를 승강하여 리드(5)를 컵(4) 상측에 가압하는 가압실린더(730)와, 가압실린더(730)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740)와, 연결지지부재(740)에 연결되고, 레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히팅레버부재(750)와, 히팅레버부재(750)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신축 작동을 통해 히팅레버부재(750)를 통해 열가열부재(710), 히터부재(720) 및 가압실린더(730)를 젖혀주므로 수리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직진실린더(760)와, 직진실린더(760)의 작동으로 열가열부재(710)를 리드(5)에 가압할 때 충격을 완충 흡수하는 다수개의 완충탄성부재(770)를 포함한다.
완충탄성부재(770)는 연결축에 감겨진 코일스프링을 포합할 수 있다.
완충탄성부재(770)는 4개 형성되고, 상하로 작동하면서 완충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히터부재(720)는 가압실린더(730)의 축의 단부와 연결된 부위에 볼이 형성되어 열가압부재(710)의 가압 작동시 좌우 균형이 비틀어지더라도 볼에 의해 히터부재(720)와 열가압부재(710)의 미세한 회전 조절 및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컵배출장치(800)는, 배출실린더(810)와, 배출실린더(810)의 축에 연결되는 배출승강부재(820)와, 배출승강부재(820)의 자유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컵(4)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쉬부재(830)와, 푸쉬부재(830) 각각에 지지되어 승강된 상기 컵(4)의 측면을 밀어주는 측면판부재(840)와, 측면판부재(840)에 결합되어 전측으로 푸쉬함에 따라 컵(4)을 이웃하게 배치된 배출컨베이어*860) 상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하게 하는 푸쉬실린더(8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프레임 4 : 컵
5 : 라드 6 : 몰드플레이트
8 : 안착홈 20 : 동력전달장치
21 : 구동부 22 : 메인구동풀리
23 : 피동메인풀리 24 : 동력전달벨트
25 : 동력분배부 26 : 연결축
27 : 캡작동부 28 : 레버작동부
30 : 회전테이블 32 : 상하관통공
34 : 회전축 40 : 기어비조절부
42 : 제1스퍼기어 44 : 제2스퍼기어
100 : 몰드착탈부 110 : 롤러지지부
120 : 가이드돌부 130 : 글라이드턱부
140 : 이탉방지부 200 : 컵공급장치
210 : 매거진부 220 : 틀부재
230 : 컵전후이송부 231 : 구동풀리
232 : 피동풀리 233 : 이송벨트
234 : 작동부 240 : 스토퍼부
241 : 작동실린더 242 : 너비작동부재
243 : 힌지레버부재 244 : 스토퍼부재
245 : 스토퍼돌기 250 : 컵멀티수용부
251 : 이동프레임 252 : 회전브라켓
253 : 회동실린더 254 : 컵안착젖힘부재
255 : 젖힘실린더 260 : 슬라이드작동부
261 : 레일부재 262 : 슬라이드안내부재
263 : 장축실린더 270 : 컵디스펜서부
271 : 안내봉 272 : 하측걸림판부재
273 : 제1수평실린더 274 : 상측걸림판부재
275 : 제2수평실린더 276 : 컵승강축
277 : 승강브라켓 300 : 이물질제거장치
310 : 에어공급부 320 : 에어이동관
330 : 이물질제거노즐 340 : 노즐승강부
341 : 노즐승강실린더 342 : 연결부재
400 : 시리얼공급장치 410 : 호퍼
420 : 제1개폐부재 430 : 수평안내케이스
440 : 수직안내케이스 450 : 제2개폐부재
460 : 시리얼승강부 461 : 시리얼승강실린더
462 : 연결브라켓 463 : 컵승강판부재
464 : 받침돌부 500 : 액상물공급장치
510 : 호퍼 520 : 펌프본체
521 : 유입관로 522 : 배출관로
530 : 제1개폐밸브 540 : 제2개폐밸브
550 : 노즐부재 560 : 펌프작동부
561 : 구동모터 562 : 피니언기어부
563 : 랙기어부 564 : 레버부재
565 : 작동축부재 570 : 스트로크조절부
571 : 설치부재 572 : 안내축
573 : 지지블록 574 : 이탈방지부재
575 : 스트로크조절부재 580 : 컵승강부
381 : 컵승강실린더 600 : 리드공급장치
605 : 안내프레임 610 : 슬라이드부재
620 : 리드안내봉 630 : 리드걸이부재
640 : 너비안내부재 650 : 링크부재
660 : 너비조절실린더 642 : 너비가이드레일
670 : 리드디스펜서부 671 : 리드지지부재
672 : 리드승강축 673 : 리드흡착부재
680 : 반전기구 700 : 리드히팅장치
710 : 열가열부재 720 : 히터부재
730 : 가압실린더 740 : 연결지지부재
750 : 히팅레버부재 760 : 직진실린더
770 : 완충탄성부재 800 : 컵배출장치
810 : 배출실린더 820 : 배출승강부재
830 : 푸쉬부재 840 : 측면판부재
850 : 푸쉬실린더

Claims (13)

  1. 프레임(2)에서 구동부(21)를 통해 회전축(34)에 의해 스텝 회전되는 회전테이블(30);
    상기 회전테이블(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1)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34)으로 전달하고, 상기 회전테이블(30)의 스텝 회전의 등분수 증가에 따른 기어비를 맞춰 조절하는 기어비조절부(40);
    상기 회전테이블(30)에서 컵을 안착시키는 몰드플레이트(6)를 분리가능하게 착탈하는 몰드착탈부(100);
    상기 컵(4)을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량 적재하여 슬라이드 이송하고, 상기 구동부(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20)를 거쳐 흡착부재(280)를 승강하므로 상기 몰드플레이트(6) 상에 컵(4)을 하강 공급하는 컵공급장치(200);
    상기 컵(4)에 액상물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작동을 수행하는 액상물공급장치(500);
    안내프레임(605)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작동을 거쳐 다수개의 리드(5)를 하강시켜 적재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20)를 거쳐 작동하는 반전기구(680)를 통해 컵(4) 상측에 리드(5)를 반전시켜 공급하는 리드공급장치(600);
    상기 컵(4) 상측에 안착된 리드(5)에 열을 가해 상기 컵(4)에 융착 고정시키는 리드히팅장치(700); 및
    상기 컵(4)을 배출컨베이어(860)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컵배출장치(800);를 포함하고,
    상기 컵공급장치(200)는,
    상기 회전테이블(30)의 둘레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컵(4)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배열하여 이송하는 매거진부(210);
    상기 매거진부(210)에서 전후로 배열된 상기 컵(4) 중에서 제1열의 컵(4)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테이블(30) 상에 상기 컵(4)을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컵멀티수용부(250);
    상기 컵멀티수용부(250)를 상기 회전테이블(30)과 상기 매거진부(210) 사이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작동부(260); 및
    상기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의해 이동된 상기 컵멀티수용부(250)에서 낙하된 컵(4)을 적재하고, 상기 흡착부재(280)의 상하이동 및 흡착을 통해 상기 몰드플레이트(6) 상에 컵(4)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컵디스펜서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비조절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30)의 분할수를 맞추기 위한 상기 구동부(21)의 운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늘리기 위해 기어비를 조절하고,
    상기 기어비조절부(40)는,
    상기 구동부(2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축에 결합되는 적은수의 기어치를 갖는 제1스퍼기어(42); 및
    상기 회전축(34)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퍼기어(42)에 비해 많은 기어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스퍼기어(42)의 회전수가 많더라도 상기 회전테이블(30)의 회전수를 줄여 상기 회전테이블(30)의 등분수에 따른 회전 기어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스퍼기어(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착탈부(100)는,
    상기 회전테이블(30)의 상하관통공(32)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몰드플레이트(6)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안내하는 롤러지지부(110);
    상기 회전테이블(30)의 상하관통공(320) 양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측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가이드돌부(120);
    상기 가이드돌부(120)에 걸리도록 상기 몰드플레이트(6)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턱부(130); 및
    상기 몰드플레이트(6)를 장착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부(210)는,
    상기 컵(4)을 상하측으로 적재하고, 전후측으로 경사지게 배열하는 틀부재(220);
    상기 틀부재(220)의 하측에 구비되고, 구동부(21)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컵(4)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컵전후이송부(230); 및
    상기 컵전후이송부(230)를 통해 상기 컵(4)이 이송되지 않고 일시 정자될 때 상기 컵(4)이 전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전후이송부(230)는,
    상기 틀부재(220)의 하측에서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구동풀리(231);
    상기 구동풀리(231)에 이격되도록 상기 틀부재(220)의 후측 또는 전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피동풀리(232);
    상기 구동풀리(231)와 상기 피동풀리(232)에 감겨지고, 컵(4)이 안착되어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233); 및
    상기 구동풀리(231)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240)는,
    상기 틀부재(2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241);
    상기 작동실린더(241)에 연결되고, 상기 틀부재(220)의 너비방향으로 작동하는 너비작동부재(242);
    상기 너비작동부재(24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레버 작동하는 다수개의 힌지레버부재(243); 및
    상기 힌지레버부재(243)에 수직으로 축 연결되고, 상기 틀부재(220)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컵(4)을 스토퍼돌가(245)를 통홰 전측으로 공급하거나 정지하도록 회전 작동하는 스토퍼부재(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멀티수용부(250)는,
    상기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연결되는 이동프레임(251);
    상기 이동프레임(251)에 설치되고, 수직상태에서 상기 매거진부(210)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회전하거나 경사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252);
    상기 이동프레임(251)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라켓(252)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상기 회전브라켓(252)을 회전하는 회동실린더(253);
    상기 회전브라켓(252)에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부(210) 측으로 전후진 동작하는 전후진브라켓(257);
    상기 회전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브라켓(257)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전후진실린더(256);
    상기 전후진브라켓(25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부(210)에 적재된 상기 컵(4)의 하측을 걸어 안착하고, 상기 슬라이드작동부(260)에 의해 회전테이블(30)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젖혀져 컵(4)을 상기 컵디스펜서부(270)측으로 낙하하는 컵안착젖힘부재(254); 및
    상기 전후진브라켓(257)에 설치되고, 상기 컵안착젖힘부재(254)에 축이 연결되어 신축작동을 통해 상기 컵안착젖힘부재(254)를 회전하는 젖힘실린더(2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260)는,
    상기 회전테이블(30)의 상측에 배치된 프레임(2)과 상기 매거진부(210)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부재(261);
    상기 레일부재(261)에 결합되도록 상기 컵멀티수용부(250)에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컵멀티수용부(2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재(262); 및
    상기 프레임(2)에 바디가 설치되고, 축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262)에 연결되어 신축작동으로 상기 컵멀티수용부(250)를 상기 레일부재(261)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장축실린더(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공급장치(500)는,
    호퍼(510)에 연결되는 유입관로(521)와 배출관로(522)가 연결되고, 상기 호퍼(510)를 통해 내부에 액상물이 수용되는 펌프본체(520);
    상기 유입관로(521)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530);
    상기 배출관로(522)에 설치되어 액상물의 배출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540);
    상기 배출관로(522)에 연결되고, 액상물을 상기 컵(4)에 공급하는 노즐부재(550);
    상기 펌프본체(52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505)을 욍복작동하어 액상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펌프작동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작동부(560)는,
    구동모터(561);
    상기 구동모터(561)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부(562);
    상기 피니언기어부(562)에 치합되고,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는 랙기어부(563);
    상기 랙기어부(563)에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564);
    상기 피스톤(505)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564)를 통해 욍복 작동되는 작동축부재(565); 및
    상기 작동축부재(565)를 상기 레버부재(564)의 반경축소방향 또는 확장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축부재(565)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공급장치(600)는,
    상기 안내프레임(605)에 외부에서 리드(5)를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610);
    상기 슬라이드부재(610)를 따라 이동하고, 리드(5)를 상측으로 적재하는 리드안내봉(620);
    상기 슬라이드부재(610)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5)의 양측을 걸어주는 한 쌍의 리드걸이부재(630);
    상기 리드걸이부재(63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리드걸이부재(630)의 너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너비안내부재(640);
    상기 너비안내부재(64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650);
    상기 링크부재(650)에 연결되어 링크부재(650)를 직진방향으로 작동함에 따라 상기 너비안내부재(640)에 의해 리드걸이부재(630)를 오므려주거나 벌려주어 상기 리드(5)를 지지하거나 낙하시키는 너비조절실린더(660); 및
    상기 너비조절실린더(660)의 작동으로 낙하 이동된 리드(5)를 상기 반전기구(680)의 작동으로 상기 몰드플레이트(6)에 안치된 컵(4)의 상측에 공급하는 리드디스펜서부(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히팅장치(700)는,
    상기 컵(4) 상에 안착된 리드(5)의 상측에 열을 가하여 컵(4)에 부착하는 열가열부재(710);
    상기 열가열부재(7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재(720);
    상기 히터부재(720)의 상측으로 축 연결되고, 상기 히터부재(720)와 상기 열가열부재(710)를 승강하여 상기 리드(5)를 상기 컵(4) 상측에 가압하는 가압실린더(730);
    상기 가압실린더(730)를 상호 연결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740);
    상기 연결지지부재(740)에 연결되고, 레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히팅레버부재(750);
    상기 히팅레버부재(750)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신축 작동을 통해 상기 히팅레버부재(750)를 통해 상기 열가열부재(710), 상기 히터부재(720) 및 상기 가압실린더(730)를 젖혀주므로 수리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직진실린더(760); 및
    상기 직진실린더(760)의 작동으로 상기 열가열부재(710)를 상기 리드(5)에 가압할 때 충격을 완충 흡수하는 다수개의 완충탄성부재(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KR1020180108680A 2018-09-12 2018-09-12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KR10213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80A KR102133169B1 (ko) 2018-09-12 2018-09-12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80A KR102133169B1 (ko) 2018-09-12 2018-09-12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182A KR20200030182A (ko) 2020-03-20
KR102133169B1 true KR102133169B1 (ko) 2020-07-13

Family

ID=6995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80A KR102133169B1 (ko) 2018-09-12 2018-09-12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3067A1 (it) * 2021-05-20 2022-11-20 Amc S R L Macchina confezionatrice rotativa ad alte performance per la sigillatura di contenitori di qualsiasi formato con cambio formato rapido
DE102022107552A1 (de) * 2022-03-30 2023-10-05 Ampack Gmbh Behälterzufüh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 einem Zuführen von Behältern zu einer Dosier- und/oder Abfüllvorrichtung
CN114919974B (zh) * 2022-05-06 2023-12-15 湖南省富生钢结构有限公司 一种h型钢输送用夹持翻转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36A (ja) * 2002-09-11 2004-04-02 Topack Co Ltd 粉剤充填包装機
KR101371675B1 (ko) * 2012-09-24 2014-03-07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용기의 내용물 충전 및 실링장치
KR101441510B1 (ko) * 2013-04-01 2014-09-17 이익재 액상물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013A (ja) * 1996-11-07 1998-05-26 Sukiru Eng:Kk 自動給袋自動袋入れシール機
KR101547224B1 (ko) * 2013-12-02 2015-08-25 이익재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컵 제품용 회전식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36A (ja) * 2002-09-11 2004-04-02 Topack Co Ltd 粉剤充填包装機
KR101371675B1 (ko) * 2012-09-24 2014-03-07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용기의 내용물 충전 및 실링장치
KR101441510B1 (ko) * 2013-04-01 2014-09-17 이익재 액상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182A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169B1 (ko)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US10166699B2 (en) Gravimetric blender with power hopper cover
CN109178474B (zh) 二次装袋机及其工作方法
US74308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foil bags with food
CN104444964B (zh) 一种可自动卸货的插取式抓取器
US20080256905A1 (en) Valve bag placing system and method
US20150239150A1 (en) Gravimetric blender with power hopper cover
US1879393A (en) Tray unloader
US4561238A (en) Bag filling and closing apparatus
US3107794A (en) Unloader for palletized bulk can package
KR101959261B1 (ko) 화장품 충진장치
US5452567A (en) Dual bag filling apparatus
KR100489817B1 (ko) 포장용 종이상자 제함장치
US3225515A (en) Automatic bag hanger
US915657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ling container with similar articles
US6099239A (en) Fruit tray den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4473098A (en) Container transport device for use with filling equipment
JP2001516686A (ja) 整列させた物品の山の持上げ装置
KR100515697B1 (ko) 파우치용기 자동 이송장치
GB2436322A (en) Handling of bags to be filled
US4310274A (en) Lumber stacker and method
JP2015196537A (ja) グリップ幅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機
CN210213909U (zh) 一种辊道输送机用的物料停留装置
EP2271554B1 (en) Device for discharging bags from a bagging machine
JP2631974B2 (ja) コンテナスリーブに対し順次作業を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