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10B1 - 액상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10B1
KR101441510B1 KR1020130034980A KR20130034980A KR101441510B1 KR 101441510 B1 KR101441510 B1 KR 101441510B1 KR 1020130034980 A KR1020130034980 A KR 1020130034980A KR 20130034980 A KR20130034980 A KR 20130034980A KR 101441510 B1 KR101441510 B1 KR 10144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haft
opening
liquid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3003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30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measurement
    • B65B3/32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measurement by pistons co-operating with measur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액상물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액상물 공급장치는: 본체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물을 노즐유닛으로 이송하는 공급관로와, 노즐유닛을 통해 음료용기로 공급되는 액상물을 설정된 량으로 흡입하여 공급하기 위해 정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부와, 정량공급부의 흡입측에 구비되어 정량공급부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개방되고, 액상물이 정량공급부에서 배출될 때 차단되는 제1개폐부와, 정량공급부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정량공급부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차단되고, 액상물이 정량공급부에서 배출될 때 개방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공급장치{APPRATUS FOR SUPPLYING LIQUIDS}
본 발명은 액상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조절함으로써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액상물 공급량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고, 공급관로에 배수부재를 구비하여 공급관로 내부를 청소함으로써 청소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에 액상물을 정량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형 저장탱크에 액상물을 자장하고, 이를 관로를 따라 정량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액상물을 읍료용기에 정량 공급하게 된다.
기존의 액상물 공급장치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물을 관로를 따라 이송하고 내용물 충전수단의 노즐본체를 이용하여 필요한 액상물의 공급량을 정하여 정량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노즐 본체는 피스톤이 상사점 및 하사점 작동을 이용하여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공급량을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 10-0661969호(발명의 명칭: 스파우트 파우치의 내용물 충전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기존의 내용물 충전장치는 피스톤의 상하점과 하사점의 이동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공급량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 기존에 장착된 노즐본체를 분리하고 용량이 다른 또 다른 노즐본체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공급관로에 내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급관로를 모두 분리하고 청소해야 하므로 청소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정량공급부의 피스톤 스트로크를 조절함으로써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액상물 공급량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액상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부재를 구비하여 세척액, 살균액을 이용해 공급관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액상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의 작동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구면베어링을 이용하여 교정함으로써 작동부위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본체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회전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액상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클린에어공급부를 구비하여 저장탱크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클린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상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상물 공급장치는, 본체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물을 노즐유닛으로 이송하는 공급관로; 상기 노즐유닛을 통해 음료용기로 공급되는 액상물을 설정된 량으로 흡입하여 공급하기 위해 정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부; 상기 정량공급부의 흡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부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개방되고, 액상물이 상기 정량공급부에서 배출될 때 차단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정량공급부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부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차단되고, 액상물이 상기 정량공급부에서 배출될 때 개방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탱크에는 내부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해 연결관로를 통해 세척액 또는 살균액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세척살균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에는 연결관로를 통해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클린에어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로에는 개폐를 위한 작동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로의 단부에는 세척액, 살균액 또는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개폐부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제2실린더; 및 상기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제2실린더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개폐부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제2게뮤(gemu)밸브; 및 상기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제2게뮤밸브에 의해 작동하는 제1,제2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부는, 상기 제1개폐부와 상기 제2개폐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작동공간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제1개폐부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개폐부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을 구비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축의 하측에 힌지축으로 상측이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편심부재; 상기 편심부재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배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축에 구비된 피스톤이 상기 확장부로 이동하여 노출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분사노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이 공급관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배수부재로 배출되거나, 상기 배수부재로 유입되어 상기 확장부 상측을 거쳐 상기 공급관로를 통해 배출되므로 이동경로 내부를 세척 살균하며, 상기 편심부재는 상기 작동축의 스크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로크조절부는, 상기 레버에 길게 형성된 장공; 상기 편심부재의 하측에 측면으로 관통되어 장공에 설치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축을 전후 이동시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에 정역회전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도록 다수 개의 축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축과 편심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축의 상,하측에는 구면베어링이 구비되어 작동축과 편심부재 사이의 위치 오차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는, 정량공급부의 피스톤 스트로크를 조절함으로써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액상물 공급량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부재를 구비하여 세척액, 살균액을 이용해 공급관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의 작동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구면베어링을 이용하여 위치를 교정함으로써 작동부위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본체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회전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클린에어공급부를 구비하여 저장탱크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클린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제1,제2갸폐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2개폐부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의 제1,제2갸폐부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링크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공급부 및 스트로크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하우징의 본체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공급장치는, 저장탱크(10), 공급관로(20), 정량공급부(30), 제1개폐부(70)(170), 제2개폐부(80)(180)를 포함한다.
저장탱크(10)는 본체(2)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본체(2)는 본 발명의 액상물 공급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저장탱크(10), 공급관로(20), 정량공급부(30), 제1개폐부(70,170), 제2개폐부(80,18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2)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및 패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저장탱크(10)에는 내부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해 연결관로(18)를 통해 세척액 또는 살균액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세척살균공급부(12)가 구비된다. 세척액은 물을 주로 이용하고, 살균액은 가성소다액 등을 주로 이용한다. 세척액 또는 살균액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탱크(10)에는 연결관로(18)를 통해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클린에어공급부(16)가 구비된다.
연결관로(18)에는 개폐를 위한 작동밸브(19)가 구비된다.
연결관로(18)의 단부에는 세척액, 살균액 또는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분사노즐(17)이 구비된다.
세척살균공급부(12)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을 순서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은 연결관로(18)를 통해 저장탱크(10)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캥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이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는 상태로 공급관로(20)를 통해 공급하도록 도와준다.
클린에어공급부(16)에서 공급되는 클린에어를 연결관로(18)를 통해 저장탱크(1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저장캥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이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는 상태로 공급관로(20)를 통해 공급하도록 도와준다.
저장탱크(10)에는 내부에 수용된 액상물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벨센서는 액상물의 레벨(저장 높이)에 따라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이다. 저정탱크(10)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에는 내부에 이상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을 낮추어주는 안전변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전변은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낮추어주는 안전장치이다.
공급관로(20)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을 노즐유닛(8)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공급관로(20)는 저장탱크(10)의 하측 중심부에서 시작되어 후술하는 제1,개폐부(70,170), 정량공급부(30), 제2개폐부(80,180)를 거쳐 노즐유닛(8)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정량공급부(30)는 노즐유닛(8)을 통해 음료용기(4)로 공급되는 액상물을 설정된 량으로 흡입하여 공급하기 위해 정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정량공급부(30)는 6개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6개 미만 구비되거나 7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노즐유닛(6)은 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4)에 액상물 공급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 구성이다.
정량공급부(30)는, 제1개폐부(70,170)와 제2개폐부(80,180)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34)이 형성되고, 작동공간(34)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36)가 형성되는 하우징(32)과, 작동공간(34)에서 제1개폐부(70,170)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제2개폐부(80,180)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40)을 구비하는 작동축(38)과, 작동축(38)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작동축(38)의 하측에 힌지축(44)으로 상측이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한 쌍의 편심부재(40)와, 편심부재(40)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본체(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는 회전축(48)에 의해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46)와, 회전축(48)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60)를 포함한다.
하우징(32)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수평방향 등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작동공간(34) 내에 정량의 액상물을 작동축(38)에 구비된 피스톤(40)의 상하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측 제1개폐부(70,170)에서 흡입하여 배출측 제2개페부(80,180)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확장부(36)는 하우징(32) 내부의 작동공간(34)의 관경보다 더 큰 관경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하우징(32)의 측면에는 배수부재(47)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축(38)에 구비된 피스톤(40)이 확장부(36)로 이동하여 노출되어 저장탱크(10)의 분사노즐(17)에서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이 공급관로(20)를 통해 이동하여 배수부재(47)로 배출되므로 액체 이동경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즉, 피스톤(40)을 작동공간(34)에서 확장부(36)로 이동한 상태에서, 저장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분사노즐(17)에서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을 공급관로(20) 및 제1개폐부(70,170)를 거쳐 하우징(32)의 작동공간(34) 및 확장부(36)를 거쳐 배수부재(4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세척액 또는 살균액 이동경로 내부에 축적된 고형화된 액상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배수부재(47)로 세척액(물) 또는 살균액이 유입되어 확장부(36) 상측을 거쳐 공급관로(20)를 통해 배출되므로 이동경로 내부를 세척 살균 할 수도 있다.
편심부재(40)는 한 쌍 구비되어 작동축(38)의 하단부 양측으로 접촉되는 상태에서 힌지축(44)으로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동축(38)과 편심부재(40)를 연결하는 힌지축(44)의 상,하측에는 구면베어링(45)이 구비되어 작동축(38)과 편심부재(42) 사이의 위치 오차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구면베어링(45)은 편심부재(42)가 작동축(38)에 대해 수직방향에서 측 방향으로 약간 벗어나더라도 이를 보상가능 함으로써, 작동축(38)과 편심부재(42)가 상호 어긋나서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작동축(38)의 작동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측에 구비된 구면베어링(45)을 이용하여 위치를 교정함으로써 작동부위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심부재(40)의 하단부는 레버(46)의 양측으로 접촉되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스트로크조절부(50)의 연결축(54)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편심부재(40)에는 작동축(38)의 스크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50)를 구비한다.
스트로크조절부(50)는, 레버(46)에 길게 형성된 장공(52)과, 편심부재(42)의 하측에 측면으로 관통되어 장공(52)에 설치되는 연결축(54)과, 연결축(5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공(5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연결축(5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축(48)과 연결축(5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56)을 포함한다.
레버(46)의 단부에는 조절부재(56) 조절에 의해 편심부재(42)가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제한부재(58)가 더 구비된다.
이동제한부재(58)는 편심부재(42)의 수직방향 측면 또는 연결축(54)에 접촉됨으로써 편심부재(42)가 레버(46)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32)에 유입되는 액상물의 용량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 연결축(54)의 나사공(55)에 결합된 조절부재(56)를 풀어주면 레버(46)의 장공(52)을 따라 연결축(54)이 회전축(48)에 대해 점차 멀어지면서 레버(46)의 길이가 커지는 효과를 얻게 되어 편심부재(42)에 연결된 작동축(38)의 상하 스트로크가 커지게 되어 액상물 용량 증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우징(32)에 유입되는 액상물의 용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연결축(54)의 나사공(55)에 결합된 조절부재(56)를 조여주면 레버(46)의 장공(52)을 따라 연결축(54)이 회전축(48)에 대해 점차 가까워지면서 레버(46)의 길이가 짧아지는 효과를 얻게 되어 편심부재(42)에 연결된 작동축(38)의 상하 스트로크가 작아져 액상물 용량 축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동력부(6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2)와, 구동모터(62)의 회전을 회전축(48)에 정역 회전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도록 다수 개의 축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64)를 포함한다.
링크부재(64)는 2개 이상의 축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축(48)의 일측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되, 본체(2)의 삽입공(6)에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49)의 돌출부(49a)가 삽입되어 회전축(48)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49)는 직경이 작은 돌출부(49a)가 일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49a)를 본체(2)의 측면으로 관통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삽입공(6)에 삽입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베어링하우징(49)의 돌출부(49a)의 외경이 삽입공(6)의 내경에 일치하는 상태로 결합 됨으로써, 회전축(48)에 편심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축(48)의 지지력을 높여 중심이 흔들리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48)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49)을 본체(2)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회전축(48)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개폐부(70,170)는 정량공급부(30)의 흡입측에 구비되어 정량공급부(30)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개방되고, 액상물이 정량공급부(30)에서 배출될 때 차단되는 밸브조립체 구성이다.
제2개폐부(80,180)는 정량공급부(30)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정량공급부(30)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차단되고, 액상물이 정량공급부(30)에서 배출될 때 개방되는 밸브조립체 구성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제2개폐부(70,80)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72,82)와, 제1몸체(72,8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제2실린더(74,84)와,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제2실린더(74,84)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제2패킹부재(76,86)를 포함한다.
제1패킹부재(76)는 제1실린더(74)를 당겨주면서 제1몸체(72)의 이동공간을 차단하고, 제1실린더(74)를 밀어주면서 제1몸체(72)의 이동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제2패킹부재(86)는 제2실린더(84)를 밀어주면서 제2몸체(82)의 이동공간을 차단하고, 제2실린더(84)를 당겨주면서 제2몸체(82)의 이동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그 이유는 작동축(38)의 피스톤(40)을 하방으로 이동하여 액상물을 흡입할 때, 하우징(32) 내부로의 유입을 도와주고, 작동축(38)의 피스톤(40)을 상방으로 이동하여 액상물을 배출할 때, 액상물이 제1몸체(72)의 이동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도 4의 첫 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린더(74)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패킹부재(76)를 개방하고, 제2실린더(84)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패킹부재(86)를 차단하는 상태에서, 작동축(38) 및 피스톤(40)을 하강하여 제1몸체(72)를 거쳐 하우징(32)의 작동공간(34) 내부에 정량의 액상물을 흡입한다.
연이어, 도 4의 두 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린더(74)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패킹부재(76)를 차단하고, 제2실린더(84)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패킹부재(86)를 개방하는 상태에서, 작동축(38) 및 피스톤(40)을 상승시켜 하우징(32)의작동공간(34) 내부에 저장된 정량의 액상물을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제2몸체(82)를 거쳐 배출 측 공급관로(20)와 노즐유닛(8)을 통해 음료용기(4)로 공급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제2개폐부(170,180)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172,182)와, 제1몸체(172,182)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제2게뮤(gemu)밸브(174,184)와,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제2게뮤(gemu)밸브(174,184)에 의해 작동하는 제1,제2다이아프램(176,186)을 포함한다.
제1다이아프램(176)는 제1게뮤밸브(174)를 오므려주면서 제1몸체(172)의 이동공간을 차단하고, 제1게뮤밸브(174)를 벌려주면서 제1몸체(172)의 이동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다이아프램(186) 역시 제2게뮤밸브(184)를 오므려주면서 제몸체(182)의 이동공간을 차단하고, 제2게뮤밸브(184)를 벌려주면서 제2몸체(182)의 이동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본체 4 : 음료용기
10 : 저장탱크 12 : 세척살균공급부
16 : 클린에어공급부 30 : 정량공급부
32 : 하우징 34 : 작동공간
36 : 확장부 38 : 작동축 :
40 : 피스톤 42 : 편심부재
44 : 힌지축 45 : 구면베어링
46 : 레버 47 : 배수부재
48 : 회전축 49 : 베어링하우징
50 : 스트로크조절부 52 : 장공
54 : 연결축 56 : 조절부재
60 : 동력부 62 : 구동모터
64 : 링크부재 70,170 : 제1개폐부
80,180 : 제2개폐부 72,82,172,182 : 제1몸체
74,84 : 제1,제2실린더 76,86 : 제1,제2패킹부재
174,184 : 제1,제2게뮤밸브 176,186 : 제1,제2다이아프램

Claims (7)

  1. 본체(2)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0);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물을 노즐유닛(8)으로 이송하는 공급관로(20);
    상기 노즐유닛(8)을 통해 음료용기(4)로 공급되는 액상물을 설정된 량으로 흡입하여 공급하기 위해 정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부(30);
    상기 정량공급부(30)의 흡입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부(30)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개방되고, 액상물이 상기 정량공급부(20)에서 배출될 때 차단되는 제1개폐부(70,170); 및
    상기 정량공급부(30)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공급부(30)로 액상물을 흡입할 때 차단되고, 액상물이 상기 정량공급부(30)에서 배출될 때 개방되는 제2개폐부(80,180);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공급부(30)는, 상기 제1개폐부(70,170)와 상기 제2개폐부(80,180)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34)이 형성되고, 작동공간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36)가 형성되는 하우징(32);
    상기 작동공간(34)에서 상기 제1개폐부(70,170)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개폐부(80,180)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40)을 구비하는 작동축(38);
    상기 작동축(38)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축(38)의 하측에 힌지축(44)으로 상측이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편심부재(42);
    상기 편심부재(42)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본체(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는 회전축(48)에 의해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46); 및
    상기 회전축(48)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0)에는 내부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해 연결관로(18)를 통해 세척액 또는 살균액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세척살균공급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10)에는 연결관로(18)를 통해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클린에어공급부(16)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로(18)에는 개폐를 위한 작동밸브(19)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로(18)의 단부에는 세척액, 살균액 또는 클린에어를 공급하는 분사노즐(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개폐부(70,80)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72,82);
    상기 제1,제2몸체(72,8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제2실린더(74,84); 및
    상기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제2실린더(74,84)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제2패킹부재(76,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개폐부(170,180)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제2몸체(172,182);
    상기 제1,제2몸체(172,182)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제2게뮤(gemu)밸브(174,184); 및
    상기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는 액상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제2게뮤밸브(174,184)에 의해 작동하는 제1,제2다이아프램(176,1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의 측면에는 배수부재(47)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축(34)에 구비된 피스톤(40)이 상기 확장부(36)로 이동하여 노출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분사노즐(17)에서 공급되는 세척액 또는 살균액이 이 공급관로(20)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배수부재(47)로 배출되거나, 상기 배수부재(47)로 유입되어 상기 확장부(36) 상측을 거쳐 상기 공급관로(20)를 통해 배출되므로 이동경로 내부를 세척 살균하며,
    상기 편심부재(42)와 상기 레버(46)는 상기 작동축(38)의 스크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부(50)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로크조절부(50)는,
    상기 레버(46)에 길게 형성된 장공(52);
    상기 편심부재(42)의 하측에 측면으로 관통되어 장공(52)에 설치되는 연결축(54); 및
    상기 연결축(5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공(5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축(54)을 전후 이동시켜 상기 회전축(48)에 대한 상기 연결축(54)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6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2);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에 정역회전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도록 다수 개의 축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64)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축(38)과 편심부재(42)를 연결하는 힌지축(44)의 상,하측에는 구면베어링(45)이 구비되어 작동축(38)과 편심부재(42) 사이의 위치 오차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48)의 일측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되, 상기 본체(2)의 삽입공(6)에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49)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48)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공급장치.
KR1020130034980A 2013-04-01 2013-04-01 액상물 공급장치 KR10144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80A KR101441510B1 (ko) 2013-04-01 2013-04-01 액상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80A KR101441510B1 (ko) 2013-04-01 2013-04-01 액상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510B1 true KR101441510B1 (ko) 2014-09-17

Family

ID=5176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980A KR101441510B1 (ko) 2013-04-01 2013-04-01 액상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5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448A (ko) * 2017-03-28 2018-10-08 이익재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KR20200030182A (ko) * 2018-09-12 2020-03-20 이익재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20230085541A (ko) * 2021-12-07 2023-06-14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81Y2 (ja) * 1986-08-22 1994-05-18 ポ−ラ化成工業株式会社 充填機
JPH06312701A (ja) * 1993-04-30 1994-11-08 Nippon Tetrapack Kk 液体食品の計量装置
KR20030013228A (ko) * 2001-08-06 2003-02-14 가즈마사 이꾸따 유동물의 고속 소구분 충전장치
JP2006168777A (ja) * 2004-12-15 2006-06-2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Food & Packaging Machinery Co Ltd 液体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81Y2 (ja) * 1986-08-22 1994-05-18 ポ−ラ化成工業株式会社 充填機
JPH06312701A (ja) * 1993-04-30 1994-11-08 Nippon Tetrapack Kk 液体食品の計量装置
KR20030013228A (ko) * 2001-08-06 2003-02-14 가즈마사 이꾸따 유동물의 고속 소구분 충전장치
JP2006168777A (ja) * 2004-12-15 2006-06-2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Food & Packaging Machinery Co Ltd 液体充填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448A (ko) * 2017-03-28 2018-10-08 이익재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KR101930413B1 (ko) * 2017-03-28 2019-03-11 이익재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KR20200030182A (ko) * 2018-09-12 2020-03-20 이익재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KR102133169B1 (ko) * 2018-09-12 2020-07-13 이익재 회전식 컵 제품 제조시스템
KR102120941B1 (ko) * 2019-12-18 2020-06-10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액체 주입장치의 주입량 미세조정 장치
KR20230085541A (ko) * 2021-12-07 2023-06-14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KR102645767B1 (ko) * 2021-12-07 2024-03-11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10B1 (ko) 액상물 공급장치
RU2623020C2 (ru) Способ повторной обработки инструментов
CN101646607B (zh) 用于配送液体的计量泵
BR112014028378B1 (pt) Elemento e máquina de preenchimento de um sistema de preenchimento ou de uma máquina de preenchimento para preencher latas ou recipientes semelhantes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KR100877601B1 (ko) 수력 및 왕복펌프를 이용한 소독약 투입기
US8444015B2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KR100546515B1 (ko)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기
KR20200013292A (ko) 그리스 주입장치
JP5032107B2 (ja) 充填タンクの洗浄方法
CN112455745B (zh) 灌装机构、移动灌装机及灌装装置
JP2642981B2 (ja) 殺菌剤噴霧装置
KR101803230B1 (ko) 액체 정량공급장치
KR100912486B1 (ko) 무전원 펌핑식 소독약 자동투입기
KR101930413B1 (ko)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JP5192936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0495146B1 (ko) 지하수를 이용한 상수도 시설의 약품투입장치 및 방법
JP4416779B2 (ja) 縦長ポンプ用のホルダーパイプ及び該ホルダーパイプを使用した縦長ポンプ外付け型液体供給装置
JP6138398B1 (ja) 流体供給装置および内視鏡リプロセッサ
JP4138440B2 (ja) 薬液供給装置
WO2014180046A1 (zh) 一种供液系统及其供液方法
CN218097129U (zh) 一种ipa干燥设备
AU20183360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sage and administration of liquid chemicals
WO2017134891A1 (ja) 流体供給装置および内視鏡リプロセッサ
KR102645767B1 (ko)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