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13B1 -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413B1
KR101930413B1 KR1020170039209A KR20170039209A KR101930413B1 KR 101930413 B1 KR101930413 B1 KR 101930413B1 KR 1020170039209 A KR1020170039209 A KR 1020170039209A KR 20170039209 A KR20170039209 A KR 20170039209A KR 101930413 B1 KR101930413 B1 KR 10193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pening
closing
suction
liqu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448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7003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4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73Sterilising, aseptic filling and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의 액상물을 노즐부재로 이송하는 이송관로와, 이송관로에 구비되고, 흡입통로와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에 구비되어 흡입통로로 유입된 액상물을 설정된 정량으로 흡입하여 배출통로로 배출하는 정량공급부와, 정량공급부에서 액상물을 노즐부재를 통해 음료용기로 공급하도록 바디부에서 흡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OPEN AND CLOSE TYPE LIQUIDS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부재의 단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개폐봉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통로를 순차적으로 반복 개폐하므로 액상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은 물론, 기존처럼 개폐부위의 교체 필요성이 없으므로 부품 교체를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송관로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액상물의 온도를 간편하게 감지하며, 이송관로에 드레인부를 형성하여 저장통의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중간 경로에서 드레인할 수 있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등의 음료용기에 액상물을 정량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형 저장탱크에 액상물을 자장하고, 액상물을 관로를 따라 정량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액상물을 음료용기에 정량 공급하게 된다.
기존의 액상물 공급장치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물을 관로를 따라 이송하고 내용물 충전수단의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필요한 액상물의 공급량을 정하여 정량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노즐부재는 피스톤의 상사점 및 하사점 작동을 이용하여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공급량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내용물 충전장치는 피스톤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에 공급되는 공급량을 결정하고 있으며, 음료용기의 공급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장착된 노즐부재를 분리하고 용량이 다른 또 다른 노즐부재를 교체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내용물 충전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공급관로에 내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급관로를 모두 분리하고 청소함으로써, 청결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내용물 충전장치는 액상물의 이동을 에어 작동에 의한 패킹 또는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개폐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패킹 또는 다이아프램의 파손으로 수시로 교체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661969호(2006.12.20, 발명의 명칭: 스파우트 파우치의 내용물 충전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피스톤부재의 단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개폐봉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통로를 순차적으로 반복 개폐하므로 액상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은 물론, 기존처럼 개폐부위의 교체 필요성이 없으므로 부품 교쳬를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송관로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액상물의 온도를 간편하게 감지하며, 이송관로에 드레인부를 형성하여 저장통의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중간 경로에서 드레인할 수 있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액상물을 노즐부재로 이송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에 구비되고, 흡입통로와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통로로 유입된 액상물을 설정된 정량으로 흡입하여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하는 정량공급부; 및 상기 정량공급부에서 액상물을 상기 노즐부재를 통해 음료용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흡입통로와 상기 배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개폐부는, 상기 바디부의 흡입통로에서 정량흡입부로 액상물 흡입시 개방되고, 정량공급부에서 액상물 배출시 차단되는 흡입개폐부; 및 상기 바디부의 배출통로에서 정량공급부로 액상물 흡입시 차단되고, 정량공급부에서 액상물 배출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개폐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흡입실린더; 상기 흡입실린더의 축에 연결되는 흡입지지축; 및 상기 흡입지지축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통로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흡입통로를 개폐하는 흡입개폐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개폐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의 축에 연결되는 배출지지축; 상기 배출지지축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배출통로를 개폐하는 배출개폐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로에는 상기 저장통에서 이동하는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로에는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부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부와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이송관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작동공간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흡입개폐부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상기 배출개폐부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을 구비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축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편심부재; 상기 편심부재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도록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티측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는, 피스톤부재의 단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개폐봉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통로를 순차적으로 반복 개폐하므로 액상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은 물론, 기존처럼 개폐부위의 교체 필요성이 없으므로 부품 교체를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로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이송관로를 통과하는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이송과정의 액상물의 온도를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로에 드레인부를 형성하여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중간 경로에서 드레인함으로써, 사용 및 운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저장통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선택개폐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정량흡입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액상물 흡입상태로서, 유입개폐부의 개방과 배출개폐부의 폐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액상물 배출상태로서, 유입개폐부의 폐쇄와 배출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세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저장통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선택개폐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정량흡입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액상물 흡입상태로서, 유입개폐부의 개방과 배출개폐부의 폐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액상물 배출상태로서, 유입개폐부의 폐쇄와 배출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에서 세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는, 프레임(2)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00)과, 저장통(100)의 액상물을 노즐부재(6)로 이송하는 이송관로(200)와, 이송관로(200)에 구비되고, 흡입통로(252)와 배출통로(254)를 구비하는 바디부(250)와, 바디부(250)에 구비되어 흡입통로(252)로 유입된 액상물을 설정된 정량으로 흡입하여 배출통로(254)로 배출하는 정량공급부(300)와,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을 노즐부재(6)를 통해 음료용기(4)로 공급하도록 바디부(250)에서 흡입통로(252)와 배출통로(25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부(400);를 포함한다.
저장통(100)에는 액상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부재(110)가 구비된다.
교반부재(110)는 저장통(100)의 상측에 구비된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저장통(100) 내에는 교반부재(110)에 걸리지 않도록 높이별로 다수개의 레벨센서부재(130)가 구비된다.
저장통(100)은 위치이동걸이부(140)에 의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위치이동걸이부(140)는, 저장통(100)의 측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장착브라켓(142)과, 장착브라켓(142)에 관통 형성되는 설치구멍(144)과. 설치구멍(144)에 결합되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걸림부재(146)와, 걸림부재(146)의 단부에 구비되어 리프팅장치의 걸이수단에 걸려지는 고리부재(148);를 포함한다.
걸림부재(146)는 설치구멍(144)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높여 있다가 고리부재(148)를 들어 올리면 상측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고리부재(148)는 원형 링으로 이루어져 리프팅장치의 후크 등을 걸어주어 상측으로 저장통(100)을 리프팅하고 소정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선택개폐부(400)는,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에서 정량흡입부(300)로 액상물 흡입시 개방되고,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 배출시 차단되는 흡입개폐부(410)와,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에서 정량공급부(300)로 액상물 흡입시 차단되고,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 배출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부(420)를 포함한다.
흡입개폐부(410)와 배출개폐부(420)는 상호 직교하게 배치되되, 흡입개폐부(410)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배출개폐부(420)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흡입개폐부(410)는, 바디부(250)에 설치되는 흡입실린더(412)와, 흡입실린더(412)의 축에 연결되는 흡입지지축(414)과, 흡입지지축(414)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흡입통로(252)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흡입통로(252)를 개폐하는 흡입개폐봉부재(4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개폐부(420)는, 바디부(250)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422)와, 배출실린더(422)의 축에 연결되는 배출지지축(424)과, 배출지지축(424)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254)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배출통로(254)를 개폐하는 배출개폐봉부재(42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실린더(422)는 설치부(430)에 의해 바디부(25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430)는, 바디부(25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지봉부재(432)와, 지지봉부재(43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배출실린더(422)의 전측을 고정하는 설치플레이트(4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부재(432)는 4개 형성되되, 바디부(250)의 상측 네 모서리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434)는 사각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송관로(200)에는 저장통(100)에서 이동하는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관로(200)에는 저장통(100)에 저장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감지부(210)와 드레인부(220)는 이송관로(200)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온도감지부(210)는, 이송관로(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액상물에 접촉되는 온도감지봉(212)과, 이송관로(2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온도감지봉(212)과 연결되어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재(214);를 포함한다.
드레인부(220)는, 이송관로(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드레인관(222)과, 드레인관(222)에 구비되어 드레인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개폐하는 드레인개폐밸브(224)를 포함한다.
드레인관(222)은 이송관로(200)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세척액 또는 액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레인관(222)에는 드레인개폐밸브(224)의 개폐에 의해 배출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재(22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온도감지부(210)와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이송관로(200) 부분은 다른 이송관로(200) 부분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지되, 온도감지부(210)와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이송관로(200) 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설정 구간(a)이 점차 협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송관로(200)의 설정 구간(a)으로 인해 온도감지부(210)와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이송관로(200) 부분과 온도감지부(210)와 드레인부(220)가 설치되지 않는 이송관로(200) 부분이 단이져서 연결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되게 해준다.
정량공급부(300)는, 바디부(25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312)이 형성되고, 작동공간(312)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314)가 형성되는 하우징(310)과, 작동공간(312)에서 흡입개폐부(410)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배출개폐부(420)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330)을 구비하는 작동축(320)과, 작동축(320)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작동축(32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편심부재(340)와, 편심부재(42)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프레임(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도록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부재(350)와, 레버부재(350)의 티측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60)를 포함한다.
편심부재(340)는 복수개 구비되어 중심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36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62)와, 구동모터(62)의 회전을 상기 레버부재(350)에 정역회전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환부재(364)를 포함한다.
레버부재(350)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장 길이의 장공(355)이 형성된다. 레버부재(350)의 일측단부에는 이송거리조절나사(380)가 설치되어 장공(355)으로 결합되어 편심부재(340)에 체결되어 정방향, 역방향 조임에 의해 편심부재(340)를 레버부재(350)의 장공(355)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피스톤(330)의 왕복이동거리(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하측 둘레에는 세척액을 이용하여 저장통(100), 이송관로(200), 바디부(250) 및 하우징(310)의 내부를 세척한 후 세척액이 배출되는 배수관로부재(370)가 구비된다.
배수관로부재(370)은 하우징(310)의 확장부(31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세척과정을 살펴보면, 흡입실린더(412)를 후진작동하여 흡입지지축(414)에 결합된 흡입개폐봉부재(416)를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에서 분리시켜 개방(OPEN) 하고, 배출실린더(422)를 직진작동하여 배출지지축(424)에 결합된 배출개폐봉부재(426)를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에 접촉시켜 폐쇄(CLOSE) 한다.
연이어, 피스톤(330)을 하우징(310)의 확장부(314)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저장통(100)에 세척액을 투입하면, 세척액이 저장통(100), 이송관로(200), 바디부(250) 및 라우징(310)의 내부를 세척한 후, 배수관로부재(37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면서 세척이 완료된다. 이때, 세척액에는 살균액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액상물 흡입과정과 배출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물 흡입과정을 살펴보면, 흡입실린더(412)를 후진작동하여 흡입지지축(414)에 결합된 흡입개폐봉부재(416)를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에서 분리시켜 개방(OPEN) 한다.
동시에, 배출실린더(422)를 직진작동하여 배출지지축(424)에 결합된 배출개폐봉부재(426)를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에 접촉시켜 폐쇄(CLOSE)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362)를 구동하여 동력전환부재(364)를 거쳐 레버부재(350), 편심부재(340), 작동축(320), 피스톤(330)을 하측으로 이동하면, 이송관로(200)내의 액상물이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를 거쳐 하우징(310)의 작동공간(312)에 수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물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흡입실린더(412)를 직진작동하여 흡입지지축(414)에 결합된 흡입개폐봉부재(416)를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에 접촉시켜 폐쇄(CLOSE) 한다.
동시에, 배출실린더(422)를 후진작동하여 배출지지축(424)에 결합된 배출개폐봉부재(426)를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에서 분리시켜 개방(OPEN)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362)를 구동하여 동력전환부재(364)를 거쳐 레버부재(350), 편심부재(340), 작동축(320), 피스톤(330)을 상측으로 이동하면, 하우징(310)의 작동공간(312)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물이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를 거쳐 노즐부재(6)를 거쳐 공급되어 음료용기(4)에 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는, 피스톤부재의 단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개폐봉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통로를 순차적으로 반복 개폐하므로 액상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은 물론, 기존처럼 개폐부위의 교체 필요성이 없으므로 부품 교체를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로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이송관로를 통과하는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이송과정의 액상물의 온도를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로에 드레인부를 형성하여 저장통에 저장된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중간 경로에서 드레인함으로써, 사용 및 운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프레임 4 : 음료용기
6 : 노즐부재 100 : 저장통
110 : 교반부재 120 : 구동모터
130 : 레벨센서부재 140 : 위치이동걸이부
142 : 장착브라켓 144 : 설치구멍
146 : 걸림부재 148 : 고리부재
200 : 이송관로 210 : 온도감지부
212 : 온도감지봉 214 : 온도센서부재
220 : 드레인부 222 : 드레인관
224 : 드레인개폐밸브 226 : 저장부재
300 : 정량공급부 310 : 하우징
312 : 작동공간 314 : 확장부
320 : 작동축 330 : 피스톤
340 : 편심부재 350 : 레버부재
360 : 구동부 362 : 구동모터
364 : 동력전환부재 355 : 장공
380 : 이동거리조절나사 400 : 선택개폐부
410 : 흡입개폐부 412 : 흡입실린더
414 : 흡입지지축 416 흡입개폐봉부재
420 : 배출개폐부 422 : 배출실린더
424 : 배출지지축 426 : 배출개폐봉부재
430 : 설치부 432 : 지지봉부재
434 : 설치플레이트

Claims (6)

  1. 프레임(2)에 구비되고 액상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00);
    상기 저장통(100)의 액상물을 노즐부재(6)로 이송하는 이송관로(200);
    상기 이송관로(200)에 구비되고, 흡입통로(252)와 배출통로(254)를 구비하는 바디부(250);
    상기 바디부(250)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통로(252)로 유입된 액상물을 설정된 정량으로 흡입하여 상기 배출통로(254)로 배출하는 정량공급부(300); 및
    상기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을 상기 노즐부재(6)를 통해 음료용기(4)로 공급하도록 상기 바디부(250)에서 상기 흡입통로(252)와 상기 배출통로(25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개폐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로(200)에는 상기 저장통(100)에서 이동하는 액상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로(200)에는 상기 저장통(100)에 저장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부(220)는, 상기 이송관로(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드레인관(222); 및 상기 드레인관(222)에 구비되어 드레인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개폐하는 드레인개폐밸브(224)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관(222)에는 상기 드레인개폐밸브(224)의 개폐에 의해 배출되는 액상물 또는 세척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재(22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부(210)와 상기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상기 이송관로(200) 부분은 다른 이송관로(200) 부분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온도감지부(210)와 상기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이송관로(200) 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설정구간(a)이 점차 협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관로(200)의 경사진 설정구간(a)은 상기 온도감지부(210)와 상기 드레인부(220)가 설치되는 이송관로(200) 부분과 상기 온도감지부(210)와 상기 드레인부(220)가 설치되지 않는 이송관로(200) 부분이 단이지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연결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개폐부(400)는,
    상기 바디부(250)의 흡입통로(252)에서 정량흡입부(300)로 액상물 흡입시 개방되고,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 배출시 차단되는 흡입개폐부(410); 및
    상기 바디부(250)의 배출통로(254)에서 정량공급부(300)로 액상물 흡입시 차단되고, 정량공급부(300)에서 액상물 배출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폐부(410)는,
    상기 바디부(250)에 설치되는 흡입실린더(412);
    상기 흡입실린더(412)의 축에 연결되는 흡입지지축(414); 및
    상기 흡입지지축(414)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통로(252)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흡입통로(252)를 개폐하는 흡입개폐봉부재(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폐부(420)는,
    상기 바디부(250)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422);
    상기 배출실린더(422)의 축에 연결되는 배출지지축(424);
    상기 배출지지축(424)의 단부에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254)의 둘레에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배출통로(254)를 개폐하는 배출개폐봉부재(4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210)와 상기 드레인부(220)는 상기 이송관로(200)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부(300)는,
    상기 바디부(25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공간(312)이 형성되고, 작동공간(312)의 하부에 관경이 큰 확장부(314)가 형성되는 하우징(310);
    상기 작동공간(312)에서 상기 흡입개폐부(410)를 통해 액상물을 흡입하고 상기 배출개폐부(420)로 밀어주기 위한 피스톤(330)을 구비하는 작동축(320);
    상기 작동축(320)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축(32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어 편심 작동하는 편심부재(340);
    상기 편심부재(340)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프레임(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도록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부재(350); 및
    상기 레버부재(350)의 티측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KR1020170039209A 2017-03-28 2017-03-28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KR10193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09A KR101930413B1 (ko) 2017-03-28 2017-03-28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09A KR101930413B1 (ko) 2017-03-28 2017-03-28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48A KR20180109448A (ko) 2018-10-08
KR101930413B1 true KR101930413B1 (ko) 2019-03-11

Family

ID=6386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209A KR101930413B1 (ko) 2017-03-28 2017-03-28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767B1 (ko) * 2021-12-07 2024-03-11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858A (ja) * 2002-09-25 2004-04-15 Hideo Tanmachi 液体供給装置
KR101441510B1 (ko) * 2013-04-01 2014-09-17 이익재 액상물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4321B2 (ja) * 1995-09-29 2003-09-08 凸版印刷株式会社 充填装置の殺菌方法及び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858A (ja) * 2002-09-25 2004-04-15 Hideo Tanmachi 液体供給装置
KR101441510B1 (ko) * 2013-04-01 2014-09-17 이익재 액상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48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9748B2 (ja) フォイル・バッグに食品を充填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1142862B2 (en) Bulk tank detergent reservoir and dispenser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NL1031749C2 (nl) Melkklauwinrichting.
JP4933561B2 (ja) 液体製品を容器に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設備
US9986748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liquid or semi-liquid food products
KR101930413B1 (ko) 개폐식 액상물 공급장치
CN202671181U (zh) 充填机的容器清洗装置
JP2001278388A (ja) ロータリー式連続充填装置
KR101287533B1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KR101616996B1 (ko) 토출구의 양방향 개폐형 콘크리트 타설 장치
KR101441510B1 (ko) 액상물 공급장치
KR2017006310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N209829433U (zh) 一种六轴喷胶装置的供胶装置
JP3749680B2 (ja) 洗米装置
JP3689013B2 (ja) 洗米装置
JP3689014B2 (ja) 洗米装置
JP2007185592A (ja) 洗米機
EP3353110B1 (en) Container empty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cleaning a container emptying device
CN205442596U (zh) 一种果酱灌装生产线
JP5711644B2 (ja) 洗米機
KR102645767B1 (ko)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JP7463714B2 (ja) 物質排出装置
JP3737991B2 (ja) 洗米方法及び洗米装置
JP2021001792A (ja) 計量装置
JP2004009003A (ja) 穀物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