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282B1 - 얼음용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얼음용기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5282B1 KR100695282B1 KR1020050105338A KR20050105338A KR100695282B1 KR 100695282 B1 KR100695282 B1 KR 100695282B1 KR 1020050105338 A KR1020050105338 A KR 1020050105338A KR 20050105338 A KR20050105338 A KR 20050105338A KR 100695282 B1 KR100695282 B1 KR 100695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container
- lower mold
- ice container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F25C5/142—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extrusion of ice cryst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가루를 이용하여 얼음용기를 성형할 때 얼음가루가 균일하게 퍼져서 용기의 각 부분이 균일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와, 이 본체(20)에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인접면에는 얼음용기형상의 볼록성형부(22)와 오목성형부(23)가 각각 형성된 상, 하부금형(24,26)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금형(24) 또는 하부금형(26)을 승강시켜 상기 성형부(22,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얼음용기(18)를 성형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4)의 볼록성형부(22)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푸셔(32,34)와, 이 푸셔(32,34)를 하향가압하는 탄성부재(36,38)가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될 때, 상기 푸셔(32,34)가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내어 얼음가루(2)가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얼음그릇, 얼음용기, 제조장치, 받침대, 푸셔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조한 얼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금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조한 얼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본체 22. 볼록성형부
23. 오목성형부 24,26. 상, 하부금형
32,34. 푸셔 36,38. 탄성부재
본 발명은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가루를 이용하여 용기를 성형할 때 얼음가루가 균일하게 퍼져서 용기의 각부분이 균일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외식산업이 활기를 띠어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새롭게 개발되고, 이에 맞춰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얼음을 이용하여 제작된 용기를 개발하고, 이를 제작하는 장치와 용기에 관해 특허출원한 바 있다.(출원번호 10-2005-0056479호)
도 1은 이러한 얼음용기를 제조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체(4)와, 이 본체(4)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하부금형(6)과, 이 하부금형(6)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금형(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8)과 하부금형(6)의 인접면에는 용기형태의 성형부(10)가 각각 형성되어, 하부금형(6)의 성형부(10)에 얼음가루(2)를 투입한 후, 하부금형(6)을 상승시켜 상부금형(8)에 결합 및 가압하므로써 얼음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얼음용기 제조장치는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용기를 제작하므로, 각 부분에 얼음가루(2)가 성형부(10) 전체에 골고루 퍼져야 전체적으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져 균일한 강도와 질감을 주는 얼음용기를 제작할 수 있 다. 그러나, 이와같은 얼음용기 제조장치는 단순히 하부금형(6)에 얼음가루(2)를 수북하게 넣은 상태에서 면적이 넓은 상부금형(8)으로 얼음의 중간부를 누르기만 하므로, 얼음가루(2)가 옆으로 잘 퍼지지 않고, 아래쪽에서만 집중적으로 가압되어 얼음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얼음용기 특히, 컵과 같이 내부가 깊은 용기를 제작할 경우, 하측의 얼음은 매우 튼튼하게 성형되는 반면, 측면방향의 얼음은 매우 약해지거나, 얼음가루(2)가 충분치 않아 모양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얼음용기 제조장치는 하부금형(6)에서 얼음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완성된 얼음용기를 밀어올리는 이젝터의 구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이젝터는 이젝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될 뿐 아니라, 작동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가루를 이용하여 얼음용기를 성형할 때 얼음가루가 균일하게 퍼져서 용기의 각 부분이 균일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와, 이 본체(20)에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인접면에는 얼음용기형상의 볼록성형부(22)와 오목성형부(23)가 각각 형성된 상, 하부금형(24,26)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금형(24) 또는 하부금형(26)을 승강시켜 상기 성형부(22,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얼음용기(18)를 성형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4)의 볼록성형부(22)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푸셔(32,34)와, 이 푸셔(32,34)를 하향가압하는 탄성부재(36,38)가 구비되고, 상기 푸셔(32,34)는 봉부재(32)와, 이 봉부재(32)의 외부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재(34)를 동심원상으로 끼움결합한 다단 푸셔로 구성되고 상기 봉부재(32)와 중공부재(34)는 탄성부재(36,38)에 의해 하향가압되어, 상기 상,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푸셔(32,34)가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낼 때, 상기 봉부재(32)부터 외측의 중공부재(34)로 차례대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점차 측면으로 밀어내어 얼음가루(2)가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푸셔(32,34)의 하단면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는 상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이젝터(40)와, 이 이젝터(40)를 상향가압하는 탄성부재(4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오목성형부(23)에는 중앙부에 관통공(48)이 형성된 용기받침대(46)가 설치되는 안착부(49)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받침대(46)의 상부에 얼음가루(2)를 투입한 후, 상기 상,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되어 얼음용기(18)를 성형하면, 압력에 의해 상기 이젝터(40)가 하부금형(26)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금형(24)이 상승되면, 상기 이젝터(40)가 상부로 돌출되어 성형된 얼음용기(18)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하부금형(26)으로부터 탈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 중앙에는 하향 관통된 관통공(50)이 형성되며, 이 하부금형(26)은 상기 관통공(50)을 중심으로 분할 제작되어, 다리부재(52)가 구비된 용기받침대(54)를 다리부재(52)가 상기 관통공(50)에 삽입되도록 하부금형(26)에 설치한 후, 이 용기받침대(54)의 상측에 얼음용기(18)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20)와, 이 본체(20)에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인접면에는 볼록성형부(22)와 오목성형부(23)가 각각 형성된 상, 하부금형(24,26)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얼음용기 제조장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지지프레임(28)과, 이 지지프레임(28)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24)에 연결되어 상부금형(24)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3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금형(24)을 하강시켜 상기 성형부(22,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얼음용기(18)를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4)의 볼록성형부(22)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푸셔(32,34)와, 이 푸셔(32,34)를 하향가압하는 탄성부재(36,38)가 구비된다. 상기 푸셔(32,34)는 상기 상, 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될 때,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내어 얼음가루(2)가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것으로, 그 하단면이 상기 얼음용기(18)의 바닥면 면적보다 조금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푸셔(32,34)는 봉부재(32)와, 이 봉부재의 외부에 끼워지는 중공부재(34)를 동심원상으로 겹쳐지게 끼움결합한 2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봉부재(32)는 상기 중공부재(34)에 비해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공부재(34)의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봉부재(32)와 중공부재(34)의 하단면은 중심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얼음가루(2)를 측 면방향으로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6,38)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봉부재(32)와 중공부재(34)에 각각 연결되어 각기 별도로 하향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는 상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이젝터(40)와, 이 이젝터(40)를 상향가압하는 탄성부재(42)가 구비된다. 상기 이젝터(40)는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형성된 삽입공(44)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완성된 얼음용기(18)를 상측으로 밀어내어 금형(24,26)에서 얼음용기(18)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는 중앙부에 관통공(48)이 형성된 용기받침대(46)가 설치되는 안착부(49)가 구비되어, 이 안착부(49)에 상기 용기받침대(46)를 설치하면, 상기 이젝터(40)가 상기 관통공(48)을 통해 오목성형부(23)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받침대(46)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얼음으로 제작된 용기의 하부외측을 감싸 얼음용기(18)가 테이블 등에 닿아 빨리 녹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차갑고 미끄러운 얼음용기(18)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얼음용기(18)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이와같이 구성된 얼음용기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a)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6)의 안착부(49)에 용기받침대(46)를 삽입하고 이 용기받침대(46)의 상부에 얼음가루(2)를 투입한 후, 상기 액츄에이터(30)를 작동시켜 상부금형(24)을 하강시키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푸셔(32,34)의 봉부재(32)와 중공부재(34)가 순차적으로 얼음가루(2)의 중앙부를 파고들어가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4)이 더욱 하강되어, 하부금형(26)과 완전히 결합되면, 얼음가루(2) 전체가 압력을 받아 도 4의 (c)와 같이, 금형(24,26)의 성형부(22,23) 형태의 얼음그릇(18)으로 성형되며, 이때, 상기 푸셔(32,24)와 이젝터(40)가 압력을 받아 상기 상부금형(24)과 하부금형(26)의 속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4)이 상승되면,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40)가 상승되면서 완성된 얼음용기(18)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작업자가 얼음용기(18)를 꺼낼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얼음용기 제조장치는 상기 푸셔(32,34)를 이용하여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내면서 가압하므로, 얼음가루(2)가 금형(24,26)의 성형부(22,23)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완성된 얼음용기(18)의 각 부분이 균일한 강도와 형태 또는 질감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푸셔(32,34)는 다단으로 구성될 뿐 아니라 그 하단면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형태로 구성되어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4)의 안착부(49)에 중앙부에 관통공(48)이 형성된 용기받침대(46)를 설치하여, 상기 이젝터(40)가 상기 관통공(48)을 통해 하부금형(24)의 오목성형부(23)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완성된 얼음용기(18)를 자동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이젝터(40)는 탄성부재(42)에 의해 상항가압되어, 얼음용기(18)을 성형할 때는 자동으로 하부금형(26)의 속으로 삽입되었가, 상부금형(24)이 상승되면 자동으로 얼음용기(18)를 들어올리게 되므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 중앙에는 하향 관통된 관통공(50)이 형성되며, 이 하부금형(26)은 상기 관통공(50)을 중심으로 좌우로 분할 제작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재(52)가 구비된 용기받침대(46)에 얼음용기(18)를 일체로 성형할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6)을 벌려서 다리부재(52)가 관통공(50)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도 6의 (a)와 같이, 하부금형(26)을 조립한 후, 전술한 공정을 통해 상기 용기받침대(46)에 얼음용기(18)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하부금형(26)을 벌려서 얼음용기(18)를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하여, 완성된 얼음용기(18)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56은 상기 하부금형(26)을 상호 벌리거나 상호 결합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것으로, 이 액추에이터(56)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나, 기타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얼음용기 제조장치는 다리부재(52)가 구비된 용기받침대(46)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하부금형(26)에 삽입설치하기 어려운 다양한 형태의 용기받침대(46)가 구비된 얼음용기(18)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 하부금형(26)에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하여 얼음용기(18)의 표면에 문양을 성형하도록 할 경우, 하부금형(26)에서 얼음용기(18)를 꺼낼 때, 문양이 하부금형(26)의 양각 또는 음각된 부분에 걸려 손상될 수 있으나, 본실시예의 경우, 하부금형(26)이 좌우로 분할되므로, 얼음용기(18)에 새겨진 문양이 손상되지 않도록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표면에 거북이나 기타 다양한 부조가 새겨진 다양한 형태의 얼음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금형(24)에 탄성부재(36,38)에 의해 가압되는 다단의 푸셔(32,34)을 구비하여, 상부금형(24)을 하강시켜 얼음용기(18)를 제작할 때,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원활하게 밀어내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용기의 각부분이 균일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 본체(20)와, 이 본체(20)에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인접면에는 얼음용기형상의 볼록성형부(22)와 오목성형부(23)가 각각 형성된 상, 하부금형(24,26)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금형(24) 또는 하부금형(26)을 승강시켜 상기 성형부(22,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얼음용기(18)를 성형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4)의 볼록성형부(22)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푸셔(32,34)와, 이 푸셔(32,34)를 하향가압하는 탄성부재(36,38)가 구비되고, 상기 푸셔(32,34)는 봉부재(32)와, 이 봉부재(32)의 외부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재(34)를 동심원상으로 끼움결합한 다단 푸셔로 구성되고, 상기 봉부재(32)와 중공부재(34)는 탄성부재(36,38)에 의해 하향가압되어, 상기 상,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푸셔(32,34)가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밀어낼 때, 상기 봉부재(32)부터 외측의 중공부재(34)로 차례대로 얼음가루(2)를 가압하여 점차 측면으로 밀어내어 얼음가루(2)가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32,34)의 하단면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 투입된 얼음가루(2)를 측면방향으로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에는 상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이젝터(40)와, 이 이젝터(40)를 상향가압하는 탄성부재(4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오목성형부(23)에는 중앙부에 관통공(48)이 형성된 용기받침대(46)가 설치되는 안착부(49)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받침대(46)의 상부에 얼음가루(2)를 투입한 후, 상기 상,하부금형(24,26)이 상호 결합되어 얼음용기(18)를 성형하면, 압력에 의해 상기 이젝터(40)가 하부금형(26)의 내부로 삽입되고, 얼음용기(18)가 완성되어 상기 상부금형(24)이 상승되면, 상기 이젝터(40)가 상부로 돌출되어 성형된 얼음용기(18)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하부금형(26)으로부터 탈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6)의 오목성형부(23) 중앙에는 하향 관통된 관통공(50)이 형성되며, 이 하부금형(26)은 상기 관통공(50)을 중심으로 분할 제작되어, 다리부재(52)가 구비된 용기받침대(54)를 다리부재(52)가 상기 관통공(50)에 삽입되도록 하부금형(26)에 설치한 후, 이 용기받침대(54)의 상측에 얼음용기(18)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338A KR100695282B1 (ko) | 2005-11-04 | 2005-11-04 | 얼음용기 제조장치 |
US12/092,194 US20080289356A1 (en) | 2005-11-04 | 2006-11-03 |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
JP2008538822A JP2009515128A (ja) | 2005-11-04 | 2006-11-03 | 氷容器製造装置 |
PCT/KR2006/004558 WO2007052970A1 (en) | 2005-11-04 | 2006-11-03 |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338A KR100695282B1 (ko) | 2005-11-04 | 2005-11-04 | 얼음용기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95282B1 true KR100695282B1 (ko) | 2007-03-14 |
Family
ID=3800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338A KR100695282B1 (ko) | 2005-11-04 | 2005-11-04 | 얼음용기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289356A1 (ko) |
JP (1) | JP2009515128A (ko) |
KR (1) | KR100695282B1 (ko) |
WO (1) | WO2007052970A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688B1 (ko) * | 2014-03-20 | 2015-09-21 | 최영환 | 얼음용기 제조장치 |
KR20150109695A (ko) * | 2014-03-20 | 2015-10-02 | 최영환 | 얼음용기 성형장치 |
KR101564017B1 (ko) * | 2014-03-20 | 2015-10-28 | 최영환 | Pet 컵이 구비된 얼음컵 제조장치 |
KR101623937B1 (ko) * | 2014-03-20 | 2016-05-24 | 최영환 | 자동 성형수단이 구비된 얼음용기 성형장치 |
KR20180136287A (ko) * | 2017-06-14 | 2018-12-24 | 최영환 | 얼음 컵 성형장치 |
WO2019035567A1 (ko) * | 2017-08-14 | 2019-02-21 | 최영환 | 아이스 컵 제조기 |
KR102356009B1 (ko) * | 2021-10-29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몰핑 영역의 스트레스 해소 구조를 갖는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KR102356008B1 (ko) * | 2021-10-27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몰핑 영역의 인장력을 강화한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KR102356007B1 (ko) * | 2021-10-26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29019A1 (en) * | 2011-02-15 | 2013-01-31 | Pryor Jr Ernest B | Ice pop maker wiith removable mold inser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US11009276B1 (en) * | 2020-06-07 | 2021-05-18 | Christopher K. Clark | Apparatus for forming blocks of compactable materi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2040U (ko) * | 1998-05-19 | 1998-08-17 | 김정배 |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
KR100473167B1 (ko) * | 2004-08-27 | 2005-03-09 | 김재근 | 얼음용기 제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226450A (en) * | 1983-07-29 | 1987-09-08 | Gregory S. Degaynor | Ice bowl freezing apparatus |
US4920762A (en) * | 1988-04-11 | 1990-05-01 | Beckstead Gary K | Cryogenic targ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
JP2540790B2 (ja) * | 1992-10-26 | 1996-10-09 | 株式会社山之内製作所 | 氷成形装置 |
US5743105A (en) * | 1994-09-30 | 1998-04-28 | Yamauchi; Keijiro |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
US5634344A (en) * | 1994-09-30 | 1997-06-03 | Yamauchi; Keijiro | Method for producing ice vessel and apparatus therefor |
JP3240299B2 (ja) * | 1995-06-17 | 2001-12-17 | 東京サンコー株式会社 | 自動氷成形装置 |
KR100414980B1 (ko) * | 2002-04-23 | 2004-01-16 | 박창용 | 얼음가루를 이용한 얼음용기 제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
-
2005
- 2005-11-04 KR KR1020050105338A patent/KR1006952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11-03 JP JP2008538822A patent/JP2009515128A/ja active Pending
- 2006-11-03 WO PCT/KR2006/004558 patent/WO200705297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1-03 US US12/092,194 patent/US2008028935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2040U (ko) * | 1998-05-19 | 1998-08-17 | 김정배 |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
KR100473167B1 (ko) * | 2004-08-27 | 2005-03-09 | 김재근 | 얼음용기 제조장치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9695A (ko) * | 2014-03-20 | 2015-10-02 | 최영환 | 얼음용기 성형장치 |
KR101564017B1 (ko) * | 2014-03-20 | 2015-10-28 | 최영환 | Pet 컵이 구비된 얼음컵 제조장치 |
KR101588405B1 (ko) * | 2014-03-20 | 2016-01-25 | 최영환 | 얼음용기 성형장치 |
KR101623937B1 (ko) * | 2014-03-20 | 2016-05-24 | 최영환 | 자동 성형수단이 구비된 얼음용기 성형장치 |
KR101554688B1 (ko) * | 2014-03-20 | 2015-09-21 | 최영환 | 얼음용기 제조장치 |
KR101951899B1 (ko) | 2017-06-14 | 2019-02-25 | 최영환 | 얼음 컵 성형장치 |
KR20180136287A (ko) * | 2017-06-14 | 2018-12-24 | 최영환 | 얼음 컵 성형장치 |
WO2019035567A1 (ko) * | 2017-08-14 | 2019-02-21 | 최영환 | 아이스 컵 제조기 |
KR20190018308A (ko) * | 2017-08-14 | 2019-02-22 | 최영환 | 아이스 컵 제조기 |
KR101979407B1 (ko) * | 2017-08-14 | 2019-05-16 | 최영환 | 아이스 컵 제조기 |
KR102356007B1 (ko) * | 2021-10-26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KR102356008B1 (ko) * | 2021-10-27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몰핑 영역의 인장력을 강화한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KR102356009B1 (ko) * | 2021-10-29 | 2022-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몰핑 영역의 스트레스 해소 구조를 갖는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515128A (ja) | 2009-04-09 |
WO2007052970A1 (en) | 2007-05-10 |
US20080289356A1 (en) | 2008-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89356A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 |
US6439536B1 (en) | Mold form and use thereof | |
CN109228181B (zh) | 一种键帽的生产和安装工艺 | |
CN106513505B (zh) | 一种弧形多腔壳体零件的冲压模具 | |
CN206343518U (zh) | 一种弧形多腔壳体零件的冲压模具 | |
CN111421770A (zh) | 一种注塑滤板把手的模具 | |
CN207447247U (zh) | 双浮式锁环冷精锻一步成形模 | |
CN214902708U (zh) | 一种半自动植生饼压模 | |
KR102106494B1 (ko) |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 |
KR101452988B1 (ko) | 주먹밥 성형틀 | |
KR200365623Y1 (ko) | 2색 멜라민수지식기 성형용 금형구조 | |
US2407123A (en) | Press | |
CN207059088U (zh) | 一种圆形灯具透镜成型模具 | |
CN218527469U (zh) | 一种中式面点自动压模成型机 | |
JP2001260184A (ja) | 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装置 | |
CN211662272U (zh) | 一种快速换模的陶瓷砖压机 | |
KR100427866B1 (ko) | 브레이크 패드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
JPS5945113A (ja) | 合成樹脂製容器等の成形用型並びにその成形方法 | |
CN221249615U (zh) | 一种高饱和鞋底的成型模具 | |
CN212288548U (zh) | 一种注塑滤板把手的模具 | |
CN220548593U (zh) | 一种伞型结构铁件安装结构 | |
KR100928082B1 (ko) | 십자형 세라믹 성형물용 프레스 성형장치 | |
KR200241550Y1 (ko) | 링형부재 사출금형 | |
CN210453578U (zh) | 大尺寸产品倒扣脱模模具 | |
KR100396936B1 (ko) | 링형부재 사출금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