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07B1 -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07B1
KR102356007B1 KR1020210143980A KR20210143980A KR102356007B1 KR 102356007 B1 KR102356007 B1 KR 102356007B1 KR 1020210143980 A KR1020210143980 A KR 1020210143980A KR 20210143980 A KR20210143980 A KR 20210143980A KR 102356007 B1 KR102356007 B1 KR 10235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phing
switch
skin
vehic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현
권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몰핑 방식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스위치 구조물이 다단으로 팝업됨으로써 스위치 돌출에 따라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몰핑 스위치와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Morphing switch for vehicle and morphing surface structure to which this is applied}
본 발명은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몰핑 방식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스위치 구조물이 다단으로 팝업됨으로써 스위치 돌출에 따라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몰핑 스위치와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관련 장치나 다양한 편의 제공을 위한 장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에는 푸쉬 버튼 방식의 기계식 스위치가 적용되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터치 방식이나 광 센싱 방식의 전자식 스위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스위치 구조물은 구성물 간의 연결 부위 및 접촉 부위에 빈 공간이나 틈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스위치 구조물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시 스위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며, 전자적 스위치의 경우 액체 등의 이물질 유입에 따라 그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서 스위치 구조물들은 그 외관이 외부로 드러나 차량 내부의 디자인적 심미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미니멀라이프를 추구하는 추세에 따라 복잡한 스위치 구조물들이 외관에 드러나는 것을 꺼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 구조물의 여러 제반 문제를 해소하고, 사회 분위기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몰핑 스위치를 차량에 적용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몰핑 스위치는 평시에는 스킨 표면에 스위치 구조물이 드러나지 않으나, 스위치 동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스위치 구조물이 스킨을 밀어 올리며 팝업되어 나타나는 방식이다.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은 차량 내장재 스킨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며, 팝업 동작이 반복될수록 스킨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킨 표면에는 스위치 자국이 그대로 남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에 따라 스위치의 외각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영역에 외력이 집중됨으로써 해당 스킨 영역이 늘어나 쳐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몰핑 스위치 적용시 나타나는 단점은 스킨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므로 결국 몰핑 스위치가 적용된 차량 내장재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127139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1017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시 스킨에 인가되는 외력을 분산시키는 스위치 구조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몰핑 스위치의 반복적인 팝업 동작으로 스킨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킨 표면에는 스위치 자국이 그대로 남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에 따라 스위치의 외각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영역에 외력이 집중됨으로써 해당 스킨 영역이 늘어나 쳐지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일실시예는, 스위치 조작 필요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과 차량 내장재 스킨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 모듈의 전방 돌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이 순차적으로 다단 인출되어 상기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상기 스킨 외면을 밀어 스위치 형상을 시현시키는 몰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핑 부재는, 중심 블록; 및 상기 중심 블록과 분리되어 상기 중심 블록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나 이상의 외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몰핑 부재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중심 블록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멀어지면서 배치된 복수의 외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조작 필요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이동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버튼부는, 표면이 외각으로부터 중심부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를 향하는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버튼부는, 표면이 평탄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를 향하는 하면이 외각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버튼부의 양 측면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몰핑 부재의 일측면으부터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몰핑 부재를 지지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링크가 관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블록의 순차적으로 다단 인출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링크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링크 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는, 상기 스킨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스킨으로 안내하는 광 안내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는, 상기 스킨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광이 투과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스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일실시예는. 상기의 차량용 몰핑 스위치;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되는 몰핑 영역이 마련된 스킨 부재; 및 상기 스킨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 가능하도록 몰핑 안내홀이 마련된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스킨 부재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는, 상면에는 상기 스킨 부재의 걸림 돌기가 끼워져 체결되는 걸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스킨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몰핑 안내홀의 외각 둘레에 삽입되는 끼워지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스킨 부재의 결합부는,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재의 몰핑 안내홀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 돌기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킨 부재는, 쿠션감과 소프트감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영역; 및 상기 기능성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되는 몰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스킨 부재의 기능성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가압 접촉되는 상면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가 배열되어 상기 상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오목부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는 기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수단을 갖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 간의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와 상기 기재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시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스킨에 부여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거나 제거하여 반복적인 스위치 팝업 동작에 따라 스킨에 스위치 자국이 남거나 스킨이 늘어나 쳐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와 몰핑 부재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스킨 부재가 팝업되는 스위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킨 상에 몰핑 방식으로 스위치 형상을 시현시키면서, 몰핑 영역 이외의 부분에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 형상이 배열된 기능성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 접촉시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발휘될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에 고정된 링크를 통해 몰핑 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몰핑 부재의 돌출 정도가 링크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몰핑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후크 체결 방식으로 몰핑 부재와 스킨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등의 접착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몰핑 부재 상에 스킨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몰핑 부재의 돌출에 따라 스킨 부재의 해당 부위가 팝업된 후 몰핑 부재가 후방으로 복귀하면서 스킨 부재를 당겨서 함께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가 적용된 차량 암레스트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내장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스킨 부재에 대한 동작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5 실시예가 적용된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몰핑 방식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스위치 구조물이 다단으로 팝업됨으로써 스위치 돌출에 따라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몰핑 스위치와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은, 도어트림, 트렁크 내의 측벽, 인스트루먼트패널 등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주행관련 장치나 다양한 편의 제공을 위한 장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내 스위칭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가 적용된 차량 암레스트의 예시를 도시한다.
차량 도어(10)의 암레스트(11) 상에는 다양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어락 스위치, 윈도우 개폐 스위치, 시트 조작 스위치, 사이드미러 조작 스위치 등 주행관련 장치나 다양한 편의 제공을 위한 장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11) 상의 스위치 요소를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스위치로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로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1과 같이 암레스트(11)의 스킨 하부에 스위치(50a)가 위치되어 평시에는 스위치(50a) 형태가 드러나지 않지만, 스위치 조작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도 2과 같이 암레스트(11) 상의 스킨을 밀러 올리며 스위치(50b)가 팝업되어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서, 스위치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탑승자가 몰핑 서비스 영역을 터치하거나 몰핑 서비스 영역 부근에서 특정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암레스트(11) 상의 스위치(50b)가 팝업되어 스킨 표면에 드러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의 팝업 동작에 따라 스킨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몰핑 스위치와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몰핑 스위치와 몰핑 서피스 구조물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은, 차량용 몰핑 스위치와 내장재(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몰핑 스위치는, 스위치 모듈(200), 몰핑 부재(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200)은 스위치 조작이 필요한 경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몰핑 부재(250)는 스위치 모듈(200)의 돌출에 따라 내장재(100)의 스킨 부재(110)를 밀어 스킨 부재(110) 상에 스위치 형상을 시현시킬 수 있다.
스위치 모듈(200)은 버튼부(210), 샤프트(220), 구동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샤프트(2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30)가 샤프트(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샤프트(220)의 끝단에 연결된 버튼부(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스위치 모듈(200)의 전방에 몰핑 부재(250)가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부(230)의 동작에 따라 버튼부(210)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부(210)의 전방 돌출에 따라 상기 도 3의 (b)와 같이 몰핑 부재(250)가 스킨 부재(210)를 전방으로 밀어 스킨 부재(210) 표면이 팝업됨으로써 스위치 형상이 나타날 수 있다.
스위치 모듈(200)의 버튼부(210)에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부(210)에 구비되는 스위치는 누름 동작에 따라 동작되는 기계식 스위치일 수도 있고, 터치 동작에 따라 동작되는 전자식 스위치일 수도 있다.
가령, 기계식 스위치 방식의 경우, 스킨 부재(210) 표면의 팝업된 스위치 형상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그 힘이 몰핑 부재(250)를 통해 버튼부(210)의 스위치로 전달되어 스위치가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전자식 스위치 방식의 경우, 버튼부(210)에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전극 패턴이 구비되고, 몰핑 부재(250)가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여 버튼부(210)의 전극 패턴과 몰핑 부재(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킨 부재(210) 표면의 팝업된 스위치 부근을 사용자가 터치시 몰핑 부재(250)를 통해 버튼부(210)의 전극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전달될 수 있다.
몰핑 부재(250)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 모듈(200)의 버튼부(2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몰핑 부재(250)의 복수의 블록이 순차적으로 다단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몰핑 부재(250)의 순차적인 다단 인출 동작을 통해 스킨 부재(110)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스위치 팝업시 스위치 외각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부재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몰핑 부재(25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내장재(10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그 외면이 탑승자 등에게 노출되는 부위로서, 스킨 부재(110)와 기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150)는 내장재(100)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스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기재(150)에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250)가 돌출 가능하도록 몰핑 부재(250)의 형태에 대응되어 관통된 몰핑 안내홀(151)이 마련될 수 있다.
기재(150)의 외면에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이 접촉되어 장찰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는 기능성 영역(100a)과 몰핑 영역(10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영역(100a)은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보유하여 차량 탑승자의 접촉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몰핑 영역(100b)은 기능성 영역(100a)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서,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210)의 돌출 가능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을 통해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에 따른 스킨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스킨 부재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와 내장재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몰핑 부재(250)는 하부에 배치된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 상부면 단면적에 대응되는 하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심 블록(251)과 중심 블록(251)을 둘러싸며 배치된 복수의 외각 블록(252, 253, 254, 255, 2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몰핑 부재(250)의 외각 블록(252, 253, 254, 255, 256)은 내부가 관통되어 중심 블록(251)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멀어지면서 배치된 다단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는 상부면이 외각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몰핑 부재(250)는 하단면이 평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의 샤프트(220) 동작에 따라 버튼부(210)가 이동하면서 몰핑 부재(250)를 전방으로 밀어 돌출시킬 수 있는데, 이때 버튼부(210)의 단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되어 버튼부(210)의 이동에 따라 몰핑 부재(250)의 중심 블록(251)이 버튼부(210)의 상면에 먼저 접촉되어 돌출되고 그 후 버튼부(210)가 계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심 블록(251)과 가까운 순차적인 순서로 복수의 외각 블록(252, 253, 254, 255, 256)이 버튼부(21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밀려 돌출될 수 있다.
몰핑 부재(250)가 돌출됨에 따라 스킨 부재가 팝업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는, 버튼부(210)의 이동에 대응되어 순차적으로 다단으로 돌출되는 몰핑 부재(250)가 구비됨으로써, 몰핑 부재(250)에 의해 스킨 부재(110)가 밀려 팝업되는 경우, 스킨 부재(110)에 인가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팝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 몰핑 부재(260)는 중심 블록(261)을 중심으로 중심 블록(251)을 둘러싸며 배치된 복수의 외각 블록(262a, 262b, 262c, 262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외각 블록은 복수의 조각 블록(262a, 262b, 262c, 262d)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조각 블록(262a, 262b, 262c, 262d)이 모여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의 샤프트(220) 동작에 따라 버튼부(210)가 이동하면서 먼저 중심 블록(261)을 밀며 그 이후 순차적으로 복수의 조각 블록(262a, 262b, 262c, 262d)을 밀어 몰핑 부재(260)의 돌출에 따라 스킨 부재가 팝업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살펴본 상기 제1 실시예 및 상기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 상부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몰핑 부재(270)의 상부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나 하부가 외각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몰핑 부재(270)는 중심 블록(271)이 가장 긴 길이로 형성되고 중심 블록(271)으로부터 순차적인 순서로 복수의 외각 블록(272, 273, 274, 275, 276)이 점차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의 샤프트(220) 동작에 따라 상부면이 평탄한 버튼부(210a)가 이동하면서 몰핑 부재(270)를 전방으로 밀어 돌출시킬 수 있는데, 몰핑 부재(270)에서 중심 블록(271)이 하방으로 가장 긴 길이를 가지므로 버튼부(210a)에 가장 먼저 접촉하여 버튼부(210a)의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후 버튼부(210a)가 계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인 순서로 복수의 외각 블록(272, 273, 274, 275, 276)이 버튼부(210a)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밀려 돌출될 수 있다.
몰핑 부재(270)가 돌출됨에 따라 스킨 부재가 팝업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는 광 방출 수단을 구비하여 스킨 부재 상에 스위치 기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광 방출로 시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에는 광 방출부가 구비되고, 몰핑 부재에는 광 안내홀이 형성되거나 몰핑 부재 자체가 광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4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상기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b)에는 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2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광 방출부(280)는 LED 소자 등을 포함하여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몰핑 부재(270a)에는 버튼부(210b)의 광 방출부(280)에서 방출되는 광을 스킨 부재까지 안내하기 위한 광 안내 통로(27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몰핑 부재(270a)의 중심 블록(271a)에만 광 안내 통로(271b)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버튼부(210b)의 광 방출부(280) 크기에 대응되어 중심 블록(271a) 뿐만 아니라 외각 블록(272, 273, 274, 275, 276)에도 광 안내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b)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몰핑 부재(270a)에 접촉되면, 버튼부(210b)의 광 방출부(280) 상부에 중심 블록(271a)의 광 안내 통로(271b)가 밀착됨으로써 광 방출부(28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스킨 부재까지 안내할 수 있다.
광 방출부(28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손실없이 최대한 스킨 부재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광 안내 통로(271b)의 측벽에는 반사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광 안내 통로는 버튼부의 광 방출부에 형성되는 아이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내장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내장재(100)는, 기능성 영역(100a), 몰핑 영역(10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영역(100a)은 일정한 형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탑승자의 신체 접촉에 따른 가압시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부여되는 영역일 수 있다.
몰핑 영역(100b)은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함에 따라 스킨 부재(110)의 일정 부분이 팝업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내장재(100)는 스킨 부재(110)와 기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 부재(110)는 외면으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직접적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상면과 쿠션감,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수단을 갖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150)는 내장재(100)의 형태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스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스킨 부재(110)는 기능성 영역(100a)과 몰핑 영역(100b)에 대응되어 그 두께 정도와 기능성 수단의 구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기재(150)는, 기능성 영역(100a)에서 스킨 부재(110)가 기능성을 발휘 가능하도록 스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몰핑 영역(100b)에 대응되어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 가능하도록 몰핑 가이드(155)와 몰핑 가이드(155)의 내측으로 관통된 몰핑 안내홀(1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 9의 (a)와 같이 스킨 부재(110)에는 기재(150)의 몰핑 가이드(155)의 내측 외각 둘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몰핑 안내홀(151)의 외각 둘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서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 경우에도 스킨 부재(110)가 기재(15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도 9의 (b)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결합부(115)에는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 돌기(117)가 마련되고, 기재(150)의 몰핑 가이드(155)로부터 연장되어 몰핑 안내홀(151)의 측면에 스킨 부재(110)의 후크 돌기(117)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157)가 마련될 수 있다.
내장재(100)의 기능성 영역(100a)에서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수행하는 스킨 부재(110)의 기능성 수단에 대하여 상기 도 10을 통해 살펴본다.
상기 도 10의 (a)에 도시된 내장재의 경우, 스킨 부재(110)와 스킨 부재(110)의 기능성 발휘를 지지하는 기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 부재(110)는 일정 수준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는 기능성 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다. 기능성 수단(120)은 스킨 부재(110)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복수의 오목부(121)를 포함하며, 스킨 부재(110)의 상면 가압에 따라 오목부(121)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면서 가압하는 외력을 흡수함으로써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수단(120)은, 복수의 지지 다리(125)와 복수의 캐비티 공간(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다리(125)는 오목부(121)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인접한 오목부(121) 간의 사이에 형성되어 오목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오목부(121)는 지지 다리(125)의 지지를 받으면서 중심부위가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121)가 일률적인 패턴으로 배열된 경우, 지지 다리(125)는 각 측면이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오목부(121)가 랜덤하게 분산되어 배열된 경우, 지지 다리(125)는 인접한 오목부(121)의 측면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 다리(125)는 오목부(121)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어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다리(125)는 휨 방향성이 설정되지 않으며 가압시 특정 방향으로 휨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지지 다리(125)의 형태로 인해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에도 지지 다리(125)는 변형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오목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오목부(121)의 내부와 기재(1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오목부(121)와 지지 다리(125)의 형태에 따라 그 모양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빈 공간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력을 갖거나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되는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 공간(125)은 액체나 젤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기재(150)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스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내장재 부품이 장착되는 부위 형태에 대응되어 기재(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차량의 암레스트에 적용되는 내장재 부품의 경우, 암레스트 형상에 대응되어 기재(150)가 마련될 수 있고, 도어 트림에 적용되는 내장재 부품의 경우, 도어 트림의 형상에 대응되어 기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150)의 형상에 따라 스킨 부재(110)의 형상도 변형될 수 있다. 즉, 기재(150) 상에 스킨 부재(110)가 접촉되어 설치됨으로써 기재(150)의 형태에 대응되어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변형되며, 기재(150)에 의해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 10의 (b)에 도시된 내장재의 경우, 스킨 부재(110)의 하면과 기재(150) 사이에는 완충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부재(1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스폰지나 섬유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완충 부재(130)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마련된 기능성 수단(120)과 접촉되며, 완충 부재(130)를 통해 기능성 수단(120)의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기능성 수단(120)의 지지 다리(125)가 완충 부재(130)에 맞닿아 위치되며,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지지 다리(125) 자체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가압 외력에 따라 지지 다리(135)가 완충 부재(130)를 하방으로 밀어 완충 부재(130)가 변형됨으로써 지지 다리(125)에 가해지는 외력이 완충 부재(130)에 흡수될 수 있다.
즉,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오목부(121)는 지지 다리(125)의 지지를 받으면서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될 수 있고, 지지 다리(125)는 그 자체가 휨 변형되지 않으므로 완충 부재(130)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가압에 따라 오목부(121)가 하방의 개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되면서 1차적으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고, 지지 다리(125)가 완충 부재(130)를 하방으로 밀어 변형시키면서 2차적으로 외력이 흡수되므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에서 내장재의 기능성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스킨 부재에 대한 동작도를 나타낸다.
먼저 기능성 수단(120)의 오목부(121)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되는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도 11의 (a)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상면이 탑승자의 신체 등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 11의 (b)와 같이 가압되는 스킨 부재(110)의 상면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된 오목부(121)가 가압에 따라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으로 휨 변형되면서 가압에 따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오목부(121)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오목부(121)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에 따라 변형된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완충 부재(130)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되는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도 11의 (c)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상면이 탑승자의 신체 등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 11의 (d)와 같이 가압되는 스킨 부재(110)의 상면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된 지지 다리(125)가 가압에 따라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지지 다리(125)가 하방으로 밀리면서 그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130)가 지지 다리(125)에 의해 변형되면서 가압에 따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완충 부재(130)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완충 부재(130)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에 따라 변형된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기능성 수단(120)은 작은 크기의 오목부(121)들과 지지 다리(125)들이 배열된 형태로서,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스킨 부재(110)가 가압되면 다수의 오목부(121)와 다수의 지지 다리(125)가 동시에 동작하게 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12에 도시된 손가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을 가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스킨 부재(110)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가압시 다수의 오목부(121a, 121b, 121c)에 대하여 동시에 가압에 따른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 12와 같이 손가락으로 스킨 부재(110)의 상면 가압으로 인해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가 가압되는 경우,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가 점차적으로 휨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가압에 따른 외력이 가장 집중되는 오목부(121b)가 가장 크게 휨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125a, 125b)는 가압에 따른 외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밀리면서 완충 부재(130)를 가압하게 된다. 지지 다리(125a, 125b)의 가압에 따라 지지 다리(125a, 125b)와 접하는 완충 부재(130)의 일부분이 휨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은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그 표면이 가압되는 경우, 가압되는 면적과 외력의 크기에 따라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가 하방으로 휨 변형되고 아울러 지지 다리에 의해 완충 부재가 휨 변형됨으로써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은 몰핑 영역과 기능성 영역을 포함하여, 몰핑 영역에서는 스위치 팝업에 따라 스킨 부재의 표면에 스위치 형상이 시현될 수 있고, 기능성 영역에서는 탑승차의 신체 접촉시 소프트감과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와 몰핑 서피스 구조물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를 통해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제5 실시예가 적용된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5 실시예의 차량용 몰핑 스위치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변형예로서, 상기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5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210) 양 측면 상에 고정 연결된 링크(215)를 포함할 수 있다.
몰핑 부재(250)에는 링크(215)가 관통되어 연결되는 링크 연결홀(217)이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연결홀(217)은 버튼부(210)의 이동에 따라 몰핑 부재(250)가 돌출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핑 스위치가 팝업되지 않은 상황에서 링크(215)는 몰핑 부재(250)의 링크 연결홀(217)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몰핑 스위치가 팝업되면, 상기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10)의 이동에 따라 버튼부(210)에 고정된 링크(215)도 함께 이동하면서 몰핑 부재(250)의 복수의 블록(251, 252, 253, 254, 255, 256)을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복수의 블록(251, 252, 253, 254, 255, 256)이 다단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인출되는 중심 블록(251) 상의 링크 연결홀(217) 하단에 링크(215)가 접촉되어 위치되며,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인출되는 최외각 블록(256) 상의 링크 연결홀(217) 상단에 링크(215)가 접촉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215)를 통해 몰핑 부재(25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버튼부(210)의 이동에 따라 몰핑 부재(250)의 돌출시 링크(215)가 몰핑 부재(250)의 돌출되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5 및 상기 도 16의 몰핑 서피스 구조물은 앞서 살펴본 상기 도 13 및 상기 도 14의 몰핑 서피스 구조물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킨 부재(110)에는 하면 상에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일방으로 굴곡되어 꺾인 걸림 돌기(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몰핑 부재(250) 상면에 스킨 부재(110)의 걸림 돌기(117)에 대응되면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걸림 돌기(117)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 홈(290)이 마련될 수 있다.
몰핑 부재(250)의 복수의 블록 중 중심 블록(251) 상면에만 걸림 홈(290)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어 스킨 부재(110)의 하면 상에 하나의 걸림 돌기(117)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몰핑 부재(250)의 복수의 블록 중 선택된 다수의 블록에 걸림 홈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어 스킨 부재(110)의 하면 상에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체결 방식으로 몰핑 부재(250) 상면에 스킨 부재(110)의 하면이 체결됨으로써 몰핑 부재(250)의 돌출에 따라 스킨 부재(110)의 해당 부위가 팝업된 후 몰핑 부재(250)가 후방으로 복귀하면서 스킨 부재(110)를 당겨서 함께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후크 체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킨 부재(250)와 몰핑 부재(250)를 접착제 등의 접착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킨 부재(250) 표면과 몰핑 부재(250)의 표면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을 통해 몰핑 스위치의 팝업 동작시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스킨에 부여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거나 제거하여 반복적인 스위치 팝업 동작에 따라 스킨에 스위치 자국이 남거나 스킨이 늘어나 쳐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내장재,
100a : 기능성 영역,
100b : 몰핑 영역,
110 : 스킨 부재,
150 : 기재,
200 : 스위치 모듈,
210 : 버튼부,
220 : 샤프트,
230 : 구동부.
250, 260, 270 : 몰핑부재.

Claims (16)

  1. 스위치 조작 필요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과 차량 내장재 스킨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 모듈의 전방 돌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이 순차적으로 다단 인출되어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스킨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상기 스킨을 밀어 상기 스킨 표면에 스위치 형상을 시현시키는 몰핑 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핑 부재는,
    중심 블록; 및
    상기 중심 블록과 분리되어 상기 중심 블록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나 이상의 외각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핑 부재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중심 블록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멀어지면서 배치된 복수의 외각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조작 필요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이동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표면이 외각으로부터 중심부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를 향하는 하면이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표면이 평탄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를 향하는 하면이 외각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하방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버튼부의 양 측면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몰핑 부재의 일측면으부터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몰핑 부재를 지지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링크가 관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블록의 순차적으로 다단 인출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링크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링크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는,
    상기 스킨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스킨으로 안내하는 광 안내 통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의 버튼부는,
    상기 스킨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핑 부재는,
    광이 투과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스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몰핑 스위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몰핑 스위치;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되는 몰핑 영역이 마련된 스킨 부재; 및
    상기 스킨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 가능하도록 몰핑 안내홀이 마련된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는,
    상면에는 상기 스킨 부재의 걸림 돌기가 끼워져 체결되는 걸림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몰핑 안내홀의 둘레에 삽입되는 끼워지는 결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의 결합부는,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재의 몰핑 안내홀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 돌기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는,
    쿠션감과 소프트감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영역; 및
    상기 기능성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몰핑 스위치의 몰핑 부재가 돌출되어 스위치 형상이 시현되는 몰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의 기능성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가압 접촉되는 상면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가 배열되어 상기 상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오목부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는 기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수단을 갖는 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 간의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와 상기 기재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핑 서피스 구조물.
KR1020210143980A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KR10235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80A KR102356007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80A KR102356007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07B1 true KR102356007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80A KR102356007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61U (ko) * 1998-07-22 2000-02-15 서평원 키폰의 기능버튼 구조
KR20060067219A (ko) * 2004-12-14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리프트 장치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JP2019127139A (ja) 2018-01-24 2019-08-0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KR102101754B1 (ko) 2018-10-31 2020-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위치장치
JP2020138667A (ja) * 2019-02-28 2020-09-03 南条装備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KR102277316B1 (ko) * 2020-10-08 2021-07-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작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61U (ko) * 1998-07-22 2000-02-15 서평원 키폰의 기능버튼 구조
KR20060067219A (ko) * 2004-12-14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리프트 장치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JP2019127139A (ja) 2018-01-24 2019-08-0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KR102101754B1 (ko) 2018-10-31 2020-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위치장치
JP2020138667A (ja) * 2019-02-28 2020-09-03 南条装備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KR102277316B1 (ko) * 2020-10-08 2021-07-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042U (ja) キーボードアセンブリ用のキー及びスイッチハウジング
JP4402735B1 (ja) キーシート、遮光性導光シート、押釦スイッチおよ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US6700086B2 (en) Flexible switc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902470B2 (en) Decorative key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WO2012153587A1 (ja) 2段式スイッチ
JP2002329445A (ja) 自動車用機能装置等のための容量性のコマンド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装備部品
US5739486A (en) Push-button system for control panels
US20110147181A1 (en) Three dimensional graphics with changing appearances
JP7429314B2 (ja) 車両内装部材
KR20080111047A (ko) 자동차의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KR102356007B1 (ko) 차량용 몰핑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JPH08124453A (ja) キースイッチ
KR102202518B1 (ko) 자동차용 스마트 가니쉬
KR102356009B1 (ko) 몰핑 영역의 스트레스 해소 구조를 갖는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KR102356008B1 (ko) 몰핑 영역의 인장력을 강화한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TWI604490B (zh) 按鍵結構
JP2007173184A (ja) キーシート
KR20090016398A (ko) 스위치용 가동 접점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
US11379046B2 (en)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5917432A (zh) 带有多个稳固的板状按键的键盘
US20230071280A1 (en) Lighting cover and display device
TWM446364U (zh) 薄型化之發光鍵盤
CN218471822U (zh) 一种用于汽车主控台的一体式按键面板
KR102300345B1 (ko) 자동차용 스마트 인테리어 부품
CN109872906B (zh) 发光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