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040U -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 Google Patents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040U
KR19980032040U KR2019980008304U KR19980008304U KR19980032040U KR 19980032040 U KR19980032040 U KR 19980032040U KR 2019980008304 U KR2019980008304 U KR 2019980008304U KR 19980008304 U KR19980008304 U KR 19980008304U KR 19980032040 U KR19980032040 U KR 19980032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olid ice
contents
wat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5344Y1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19980008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나 음료 등의 내용물에 얼음이 희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까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시원함과 아울러, 원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용물을 담아줄 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시원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과; 상기 고형얼음컵이 삽입되어 받쳐지어 안전하게 세워짐은 물론,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30)와; 상기 받침 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흡수 부(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

Description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본 고안은 주로 호프 등을 판매하는 업소에서 맥주나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맥주나 음료 등의 내용물에 얼음이 희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까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시원함과 아울러, 원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나 음료 또는 생수를 마실 때에는 컵에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컵은 보편적으로 유리, 금속 및 합성수지를 제질로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분리시켜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담아주는 컵에 있어 주류를 판매하는 업소 즉, 생맥주(호프)를 판매하는 업소에서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호프용 컵을 별도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들어 생맥주는 맥주 자체의 온도와 신선도에 따라 맛의 차이가 결정됨에 따라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게되고,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 또한 낮은 온도를 유지시켜 주었다가 상기 컵에 내용물을 담아주더라도 컵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이 시원함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컵은 보관 시에만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가 내용물을 담아줄 때부터 상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섭취할 때까지 실내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실내의 높은 온도를 갖고있는 열기에 의해 컵과 내용물의 온도가 서서히 높아져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맛을 느낄 수 없는 상태에서 섭취하게 된다.
특히, 겨울철의 경우 사람이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히터 및 난로 등과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어있어 상기 실내의 온도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쉽게 높아져 짧은 시간 내에 내용물을 섭취한다 하더라도 내용물 자체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가 없어 애주가로서는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맛을 느끼지 못한 상태에서 주류를 마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컵은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것이 아니고 깨끗이 세척한 뒤 재차 사용하는 것으로서, 세척이 깨끗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여성이 사용한 컵에는 립스틱이 묻게되고, 상기의 립스틱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혐오감 및 비위생적인 느낌을 주게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콜라 및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음료를 마실 때에는 음료를 시원한 상태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료 자체에 얼음을 투입시켜 상기 얼음에 의해 음료가 시원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음료를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음료에 투입되어 있는 얼음이 녹아 음료에 희석됨에 따라 음료의 농도가 낮아져 음료 자체의 맛을 상실한 상태에서 마시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을 고형얼음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여 얼음에 의해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내용물의 신선도와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컵을 재 사용하는 일이 없어 청결함을 유지시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류가 아닌 음료를 담아 마실 때에는 얼음이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농도가 낮아지지 않아 음료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용기 20:고형얼음컵
21:통 공 30:받침 부
31:받침 컵 32:단 턱
33:지지 편 34:걸림 홈
35:손잡이 40:흡수 부
41:받침 편 42:관통 공
43:스폰지 44:삽입 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담겨지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합성 비닐재를 재질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얇은 두께를 갖는 용기(10)를 형성하고, 상기의 용기가 상부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실온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고형얼음컵의 바닥 면 중앙에 통 공(21)을 형성시켜 내면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이 통 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형얼음컵(20)이 삽입되어 받쳐주어 고형얼음컵이 안전하게 세워지고 편리하게 잡고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30) 즉, 고형얼음컵(20) 하단부가 삽입되어 하단 외주 연 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내주 면에 단 턱(32)이 형성된 받침 컵(3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 컵의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얼음컵의 외측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 편(33)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편의 상단 외면에 밴드(도시되지 않음)가 걸려 지지 편이 외부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편중 어느 하나의 지지 편 외면에 일체로 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5)로 형성하여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 컵(31) 내부에 삽입되어 고형얼음컵(20)으로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흡수 부(40)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흡수 부(40)는 물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판상으로 되어 있다가 물이 원활히 흡수되고, 상기 흡수되는 량에 따라 부피가 부풀어져 물이 쏟아지지 않게 되는 천연펄프를 압축시켜 사용하게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컵(31)의 내부에 흡수 부(4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20)을 받침 컵(31)내에 삽입시켜 주게되면 고형얼음컵(20)의 하단 외주 면이 받침 컵(31)의 내주 면에 돌출 되어 있는 단 턱(32)에 걸쳐지게 됨과 아울러, 외면이 지지 편(33)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형얼음컵(20)의 내부에 상부로부터 용기(10)를 삽입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10)의 크기가 고형얼음컵(20)의 내주 면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어있어 이들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0)내에 내용물(얼음, 음료 등)을 담아준 상태에서 받침 부(3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있는 손잡이(35)를 잡고 내용물을 마시게 되는데, 이때 용기(10)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은 용기(10)와 접촉되어 있는 고형얼음컵(20)의 차가운 온도가 전도되어 내용물이 시원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실온의 온도에 구애됨이 없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내용물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고 오히려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나 내용물을 완전히 마실 때까지도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 됨과 아울러, 내용물(맥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내용물을 섭취하는 도중 실온의 높은 온도에 의해 고형얼음컵(20)이 서서히 녹아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고형얼음컵(20)의 외부로부터 녹아 내린 물은 받침 컵(31)으로 직접 흘러내려 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흡수 부(40)에 흡수되고, 내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바닥 면 중앙에 형성된 통 공(21)을 흡수 부(40)로 흡수되도록 되어있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받침 컵(31)을 기울여 주더라도 고형얼음컵(20)으로 부터 녹아 내린 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아 안심하고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수 부(40)는 소재가 천연펄프로 되어있어 흡수되는 물의 량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 많은 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게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는 고형얼음컵(20)으로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주는 흡수 부(40)를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턱(32)에 얹혀진 상태에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공(42)이 형성된 받침 편(4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관통 공(4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단 외주 연 부에 삽입 홈(44)이 형성된 스폰지(43)를 형성하며, 받침 편 상단 면에 위치하는 지점인 받침 컵(31) 일 측에 형성된 핀 공(36)을 관통시켜 상기 받침편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핀(45)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받침 편(41)의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 공(42)에 스폰지(44)의 상단 부에 형성된 삽입 홈(43)이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시켜 준 뒤 상기 받침 편(41)을 받침 컵(31)의 내부에 형성된 단 턱(32)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 컵(31)의 일 측에 형성된 핀 공(36)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핀(45)이 받침 편(41)의 상면에 얹혀져 받침 편을 잡아주고 있으므로 상기의 받침편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맥주나 각종의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에 담아준 상태에서 실온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고형얼음컵에 의해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시원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시원한 상태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됨은 물론, 내용물(맥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내용물을 담아줄 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시원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과; 상기 고형얼음컵이 삽입되어 받쳐지어 안전하게 세워짐은 물론,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30)와; 상기 받침 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흡수 부(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
  2. 제 1 항에 있어서, 고형얼음컵(20)의 내면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이 고이지 않고 외부로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바닥 면 중앙에 통 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 부(30)는 고형얼음컵(20) 하단부가 삽입되어 하단 외주 연 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내주 면에 단 턱(32)이 형성된 받침 컵(3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 컵의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얼음컵의 외측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 편(33)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편의 상단 외면에 밴드가 걸려 지지 편이 외부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편중 어느 하나의 지지 편 외면에 일체로 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 부(40)는 물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가 물이 흡수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천연펄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5. 제 1항에 있어서, 흡수 부(40)는 단 턱(32)에 얹혀진 상태에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공(42)이 형성된 받침 편(4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관통 공(4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단 외주 연 부에 삽입 홈(44)이 형성된 스폰지(4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
KR2019980008304U 1998-05-19 1998-05-19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KR200165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ko) 1998-05-19 1998-05-19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ko) 1998-05-19 1998-05-19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40U true KR19980032040U (ko) 1998-08-17
KR200165344Y1 KR200165344Y1 (ko) 2000-03-02

Family

ID=1953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ko) 1998-05-19 1998-05-19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15A (ko) * 2001-06-20 2001-07-27 안영희 얼음 내재용 공간을 갖는 일회용 컵
KR20020034118A (ko) * 2002-03-14 2002-05-08 김희정 시음 전 맥주의 온도상승 지연방법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KR102220009B1 (ko) * 2020-05-21 2021-02-24 정동근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15A (ko) * 2001-06-20 2001-07-27 안영희 얼음 내재용 공간을 갖는 일회용 컵
KR20020034118A (ko) * 2002-03-14 2002-05-08 김희정 시음 전 맥주의 온도상승 지연방법
KR100695282B1 (ko)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얼음용기 제조장치
WO2007052970A1 (en) * 2005-11-04 2007-05-10 Chang Yong Park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KR102220009B1 (ko) * 2020-05-21 2021-02-24 정동근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344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194B2 (en) Coaster
US6161720A (en) Constant temperature beverage cup
US4974741A (en) Insulated carri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3814288A (en) Beverage container
US6578809B1 (en) Flex grip mimpi apparatus
KR20016534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US20110042479A1 (en) Drinking straw including an ice trapping net
US20060091141A1 (en) Weighted drink holder
US4925470A (en) Bottom ejection type instant cooling easy-opener with amusement effect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KR200274408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US20130320027A1 (en) Cold drink cup
AU2021100908A4 (en) Improved wine (beer) or beverage cooler bag ( Temperature maintaining bag)
KR100620327B1 (ko) 휴대용 냉수병 보냉 케이스
KR200188871Y1 (ko) 용기
KR102192860B1 (ko) 텀블러
KR200365407Y1 (ko) 보냉기능을 갖는 맥주용기
KR200339512Y1 (ko) 용기에 담겨진 액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패드
KR200309847Y1 (ko) 냉각용 이중용기
KR200196125Y1 (ko) 먹거리를 음료수 병 속에 보관
KR200168656Y1 (ko) 냉매를이용한음료수냉각장치
KR20040103273A (ko) 음용되는 액체가 담겨진 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패드 및 그 사용방법
KR20025532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식물용기
KR200351680Y1 (ko) 이동식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