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08Y1 -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 Google Patents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08Y1
KR200274408Y1 KR2019990007864U KR19990007864U KR200274408Y1 KR 200274408 Y1 KR200274408 Y1 KR 200274408Y1 KR 2019990007864 U KR2019990007864 U KR 2019990007864U KR 19990007864 U KR19990007864 U KR 19990007864U KR 200274408 Y1 KR200274408 Y1 KR 200274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ocktail
contents
i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645U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19990007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0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양각색의 종류를 갖고있는 여러종류의 칵테일을 마실때 내용물에 얼음이 담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을 장시간에 걸쳐 마실때 까지도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칵테일의 맛을 일정하게 느끼면서 마실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에 관한 것으로, 이는 칵테일이 담겨질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비닐용기(10)를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 물로 얼려진 고형연장부(21)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용기가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22)이 갖추어진 고형잔(20)을 형성하며, 상기 고형연장부가 상부로 부터 끼워질수 있도록 한 고정관(31)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잔의 하부를 받쳐줄수 있도록 하는 받침관(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관의 하단부가 중앙에 나선체결되어 고정관이 수직으로 세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내부로 요입되는 요입홈(41)을 갖는 받침판(4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갖추어진 요입면에 끼워져 고형잔이 녹아 하부로 떨어지는 물을 흡수할수 있도록 하는 흡수재(50)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a ice cocktail glass}
본 고안은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양각색의 종류를 갖고있는 여러종류의 칵테일을 마실때 내용물에 얼음이 담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을 장시간에 걸쳐 마실때 까지도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칵테일의 맛을 일정하게 느끼면서 마실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칵테일이라 함은 여러가지의 내용물을 혼합시켜 주므로서 만들어지는 주류의 일종으로서 알콜의 농도가 낮으면서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칵테일은 주로 레스토랑등과 같은 장소에서 식사전, 후 또는 식사도중에 누구나 부담없이 간단히 마실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이러한, 칵테일은 많은량을 마시는 것이 아니고, 맛과 향을 음미하면서 마실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맥주나 물을 마시는 컵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 생산된 칵테일잔을 이용하여 마시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칵테일잔(1)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를 재질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수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 중앙으로 부터 하부로 길게 연장시켜 손을 잡을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갖는 연장부(3)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하여 외측으로 연장시켜 수용부가 세워질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4)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칵테일잔은 보편적으로 유리를 주 재질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분리 성형시켜 준 상태에서 분리된 각각의 제품을 부착시켜 하나의 완제품으로 형성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칵테일잔으로서의 기능및 분위기를 높여주기 위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여러가지의 색상으로 첨가시켜 은은함을 가질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칵테일잔은 전체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셩형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용부내에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연장부 부위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도록 하고있는데, 내용물이 병에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얼음등에 묻혀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일정시간이 지나더라도 내용물 자체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낄수 있는 적정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고 있어 칵테일잔에 내용물을 덜은 상태에서 바로 마실 경우에는 맛과 향을 느낄수 있으나, 칵테일잔에 내용물을 덜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실내온도에 의해 잔에 부어져 있는 내용물의 온도가 변화되어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하게 됨에 따라 수용부에 내용물을 부어줄때 상기 수용부내에 얼음이 함께 담겨지도록 하여 내용물 자체의 적정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내에 얼음과 함께 내용물을 담겨져 있을 경우 얼음에 의해 내용물이 적정온도를 유지시켜 줄수는 있으나, 얼음이 녹아 내용물의 농도를 약하게 만들어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칵테일잔은 맛과 향에 맞추어 분위기를 높여주기 위해 잔에 여러종류의 색상으로 디자인시켜 주기위해서 주로 유리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의 유리는 취급도중 파손의 우려가 있고, 조그마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관계로 인해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으며, 파손이 발생시 유리 자체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안전사고를 입게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칵테일잔에 칵테일과 얼음이 담겨지지 않고 단순히 여러종류의 내용물만이 담겨진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더라도 내용물 자체인 특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도중 파손될 우려가 없고 이롱니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종래의 칵테일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용기 20:고형잔
21:고형연장부 30:받침관
31:연장관 40:받침판
41:요입홈 50:흡수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칵테일이 담겨질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비닐용기(10)를 형성하고, 물이 얼려진 고형얼음을 이용하여 하부 중앙에 고형연장부(21)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용기가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22)이 갖추어진 고형잔(20)을 형성하며, 상기 고형연장부가 상부로 부터 끼워질수 있도록 한 고정관(31)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잔의 하부를 받쳐줄수 있도록 하는 받침관(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관의 하단부가 중앙에 나선체결되어 고정관이 수직으로 세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내부로 요입되는 요입홈(41)을 갖는 받침판(4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갖추어진 요입면에 끼워져 잔이 녹아 하부로 떨어지는 물을 흡수할수 있도록 하는 흡수재(50)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형연장부(21)가 일체로 갖추어진 고형잔(20)은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고형얼음 성형틀내에서 얼려 이를 일정한 온도를 갖고 있는 저장고내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사용시에만 저장고로 부터 꺼내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합성 비닐재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수 있는 비닐용기(10)와, 고정관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관(30)과, 받침판(40)은 금속재로 하여 파손의 우려가 없도록 제작하여 상기 받침판(40)의 상면에 갖추어진 요입홈(41)내에 흡수재(50)가 요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판의 상면 중앙으로 부터 고정관(31)의 하단부를 나선체결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로 하여 제작된 칵테일잔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저장고내에 저장되어 있는 고형얼음으로된 고형잔(20)의 하부에 일체로 얼려진 고형연장부(21)를 받침관(30)의 중앙을 통해 연장관(31)내에 끼워지도록 하면 고형잔(20)의 하단부분이 받침관(30)에 받혀진 상태로 한 다음 잔의 내면에 합성비닐재로 제작되어 있는 비닐용기(10)가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비닐용기내에 내용물을 부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 고형잔(20)의 내부에 씌어지는 비닐용기(10)의 상단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형잔(20)의 상단 외주연부를 감싸주도록 하고있어 비닐용기(10)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마시고자할때 입이 고형잔(20)에 닫지않고 용기부분이 닫게되어 있어 얼음의 차가운 느낌을 받지않게 됨은 물론, 내용물을 마시기에 아무런 불편이 없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진 칵테일잔은 고형잔(20)이 비닐용기(10)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에 얼음을 담아주지 않게 되더라도 고형잔(20)이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비닐용기(10)를 통해 얼음의 냉각열을 내용물에 전도시켜 주므로서 일정시간이 지난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시더라도 내용물 자체의 맛과 향을 느낄수 있는 적정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줄수 있음은 물론, 얼음에 의한 내용물이 희석되는 일이 없어 향과 맛을 그대로 음미한 상태에서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때 손으로 고정관(31) 부위를 잡게 되는데, 이때상기 고정관 부분은 고형얼음이 아니고 금속재로 되어있어 녹는 일이 없고 손으로 잡더라도 손이 차가운 느낌을 받지 않아 사용에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내의 온도에 의해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고형잔과 고형연장부가 녹아 하부로 물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고형잔의 외면으로 부터 녹아내리는 물은 받침판(40)에 끼워져 있는 흡수부(50)에 직접적으로 떨어지고, 고형잔의 내면으로 부터 녹아내리는 물은 중앙에 갖추어진 통공(22)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려 흡수부에 흡수된 상태이므로서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칵테일잔을 기울이더라도 고형잔이 녹아 흘러내린 물이 흡수부(50)에 흡수되어 있는 관계로 인해 외부로 흘러내리는 일이 없어 안심하고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가지의 내용물을 혼합시켜 맛과 향을 느낄수 있는 칵테일 등의 주류를 마시고자 할때 특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잔에 내용물과 함께 혼합되는 얼음이 없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온도의 변화가 없고, 얼음에 의한 내용물이 희석되는 일이 없이 특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칵테일이 담겨질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비닐용기(10)를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 물로 얼려진 고형연장부(21)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용기가 내면에 씌워질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22)이 갖추어진 고형잔(20)을 형성하며, 상기 고형연장부가 상부로 부터 끼워질수 있도록 한 고정관(31)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잔의 하부를 받쳐줄수 있도록 하는 받침관(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관의 하단부가 중앙에 나선체결되어 고정관이 수직으로 세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내부로 요입되는 요입홈(41)을 갖는 받침판(4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갖추어진 요입면에 끼워져 고형잔이 녹아 하부로 떨어지는 물을 흡수할수 있도록 하는 흡수재(50)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KR2019990007864U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KR200274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64U KR200274408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64U KR200274408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5U KR19990033645U (ko) 1999-08-16
KR200274408Y1 true KR200274408Y1 (ko) 2002-05-08

Family

ID=5475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64U KR200274408Y1 (ko) 1999-05-10 1999-05-10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09B1 (ko) 2020-05-21 2021-02-24 정동근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09B1 (ko) 2020-05-21 2021-02-24 정동근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5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892B1 (en) Thermally insulated beverage glass
US4273245A (en) Insulated glass vessel
US5361987A (en) Straw
JP2004523439A (ja) 飲用カップ
US20030132233A1 (en) In-situ straw container
US6629618B1 (en) Thermally insulated glass bottle
JP2006502923A (ja) 二室を有する飲料用ボトル
US3065606A (en) Drinking cup
KR200274408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US5067328A (en) Cooling vessel for beverages
JP3622961B2 (ja) コップホルダ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KR20016534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US2362223A (en) Liquid container with receptacle for refrigerant
KR200168661Y1 (ko) 2중컵구조
KR19980067412A (ko) 맥주피처
KR200258426Y1 (ko) 음료 용기
KR200209732Y1 (ko) 냉각컵
CN218892912U (zh) 一种可加冰的饮品袋
CN209915609U (zh) 一种食品饮品组合杯
KR200224460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CN211155017U (zh) 一种新型酒瓶托
KR200351679Y1 (ko) 냉각이 용이한 맥주 용기
KR100525074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냉각컵
JPH09266842A (ja) 氷飲料コップ補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