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009B1 -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009B1
KR102220009B1 KR1020200061203A KR20200061203A KR102220009B1 KR 102220009 B1 KR102220009 B1 KR 102220009B1 KR 1020200061203 A KR1020200061203 A KR 1020200061203A KR 20200061203 A KR20200061203 A KR 20200061203A KR 102220009 B1 KR102220009 B1 KR 10222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tail
beverage
cup
fixing memb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근
Original Assignee
정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근 filed Critical 정동근
Priority to KR102020006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52Liquid products; Soli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flakes or granules for making liquid products ; Finished or semi-finished solid products, frozen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23L2/12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by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1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with a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액이 저수된 컵부에 투입되어 상기 음료액의 냉각과 맛을 가미하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음료액을 저수하는 설정깊이의 상부 개방형 저수공간이 형성된 음료컵과, 상기 음료컵의 바닥면에 고정된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컵부와;
가미액을 냉각한 동결 가미체와, 상기 동결 가미체에 배치되어 컵부의 저수공간 바닥에 형성된 자력 고정부재와 자력 결합되어서, 저수공간 내에 동결 가미체를 자력 고정하는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칵테일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Description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COOLING COCKTAIL BEVERAGE-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액이 저수된 컵부에 투입되어 상기 음료액의 냉각과 맛을 가미하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칵테일이라 함은, 여러가지의 내용물을 혼합시켜 주므로서 만들어지는 주류의 일종으로서 알콜의 농도가 낮으면서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칵테일은 주로 레스토랑등과 같은 장소에서 식사전, 후 또는 식사도중에 누구나 부담없이 간단히 마실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칵테일은 많은 량을 마시는 것이 아니고, 맛과 향을 음미하면서 마실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맥주나 물을 마시는 컵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 생산된 칵테일잔을 이용하여 마시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칵테일 잔은 전체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용부내에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연장부 부위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물이 병에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얼음 등에 묻혀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일정시간이 지나더라도 내용물 자체의 맛과 향을 그대로 느낄수 있는 적정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고 있어 칵테일잔에 내용물을 덜은 상태에서 바로 마실 경우에는 맛과 향을 느낄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칵테일 잔에 내용물을 덜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실내온도에 의해 잔에 부어져 있는 내용물의 온도가 변화되어 특유의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칵테일 잔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와 맛은 한정된 관계로, 취식자의 개별적인 기호를 충족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KR 10-2014-0083585 A KR 20-0274408 Y1 KR 10-2002-0076223 A KR 10-2014-0114129 A KR 20-2019-0002897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액이 저수된 컵부에 투입되어 상기 음료수의 냉각과 맛을 가미함에 있어, 컵부를 흔드는 과정에 음료수의 냉각과 가미를 도모하고, 특히 음료수의 섭취과정에 식도를 통해 삼키는 현상을 예방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는,
음료액을 저수하는 설정깊이의 상부 개방형 저수공간이 형성된 음료컵과, 상기 음료컵의 바닥면에 고정된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컵부와;
가미액을 냉각한 동결 가미체와, 상기 동결 가미체에 배치되어 컵부의 저수공간 바닥에 형성된 자력 고정부재와 자력 결합되어서, 저수공간 내에 동결 가미체를 자력 고정하는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칵테일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칵테일 볼에는 동결 가미체 내에 실장된 상태로 동결되며 자력 고정부재가 고정된 흡입 방지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동결 가미체가 음료액에 용해되더라도 흡입 방지부재의 자체 부피에 의해 자력 고정부재가 취식자의 구강 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 방지부재의 편심부에는 편심추가 형성되어, 상기 동결 가미체는 편심추에 의해 편심구조를 형성하여서, 취식자가 파지한 컵부를 일방향으로 선회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칵테일 볼은 자력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컵부에 저수된 음료액에 신속히 용해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는, 개별 포장된 칵테일 볼을 음료액이 저수된 컵부에 단순 투입하여서, 음료액의 냉각과 요하는 맛의 가미가 가능하다.
따라서, 취식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요하는 맛의 칵테일 볼을 개봉 및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서, 요하는 맛과 농도의 냉각 음료의 간편한 취식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칵테일 볼을 자력을 통해 컵부에 고정하여 컵부에 투입된 칵테일 볼은 자력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음료액에 안정적인 용해가 가능하고, 특히 흡입 방지부재에 의해 섭취과정에 식도로 칵테일 볼을 삼키는 현상을 예방되므로, 보다 안전한 섭취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LED 램프부재와 전원부재를 포함하는 발광구조가 형성되어, 섭취과정에 발산되는 빛에 의해 은은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칵테일 볼들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있어, 칵테일 볼의 용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있어, 칵테일 볼의 개별 포장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칵테일 볼들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있어, 칵테일 볼의 용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에 있어, 칵테일 볼의 개별 포장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료액의 저수하는 컵부(10)와; 상기 컵부(10)에 저수된 음료액에 낱개씩 투입되어 음료액에 용해되면서 음료액의 냉각과 가미를 도모하는 칵테일 볼(20)을 포함한다.
상기 컵부(10)는 음료액을 저수하는 설정깊이의 상부 개방형 저수공간(11)이 형성된 음료컵으로 구성된다.
상기 컵부(10)에 저수되는 음료액(L)은, 물이나 탄성 음료수, 또는 술 등을 포함하며, 취식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액의 투입량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컵부(10)에 저수된 음료액에 투입되는 칵테일 볼(20)은 과일 용액이나 알콜 용액 등의 가미액을 동결한 동결 가미체(21)를 포함하여, 상기 컵부(10) 내에 저수된 음료액(L)은 용해되는 동결 가미체(21)와의 열교환을 통한 냉각되고 다양한 맛이 가미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칵테일 볼(20)에는 동결 가미체(21) 내에 실장된 상태로 동결되며 자력 고정부재(22)가 고정된 흡입 방지부재(23)가 배치되며, 상기 흡입 방지부재(23)는 취식자의 구강 보다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어 음료의 취식과정에 자력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칵테일 볼(20)이 식도로 넘어가는 현상을 예방한다.
즉, 상기 칵테일 볼(20)을 구성하는 동결 가미체(21)가 음료액(L)에 용해되더라도 흡입 방지부재(23), 및 흡입 방지부재(23)에 배치된 자력 고정부재(22)가 취식자의 구강 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칵테일 볼(20)의 구조를 개량하여, 취식자가 컵부(10)를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에 칵테일 볼(20)은 음료액(L) 내에서 정형화되게 선회하여 음료액에 신속히 용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컵부(10)와 칵테일 볼(20)에 각각 자력 고정부재(12, 22)를 대응되게 배치하여, 상기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수납된 칵테일 볼(20)은 자력 고정부재(12, 22)를 통해 자기 결합되어서, 자력 고정부재(12, 22)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음료액 내에 용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 고정부재(22)는, 영구자력을 발산하는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에서 발산되는 영구자력과 자기 결합되는 강자성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컵부(10)의 저수공간(11) 바닥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 고정부재(12)를 매설하고, 상기 칵테일 볼(20)에 강자성편으로 이루어진 자력 고정부재(22)를 배치하여서, 상기 저수공간(10) 내에 투입된 칵테일 볼(20)은 컵부(10)의 바닥에 자력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음료액과 칵테일 볼(20)을 투입한 다음 파지한 컵부(10)를 일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투입된 칵테일 볼(20)은 자력 고정부재(12, 22)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동결 가미체(21)의 용해를 통해서 음료액의 냉각과 가미가 도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 방지부재(23)의 편심부에 편심추(23a)를 형성하여, 도 4와 도 5와 같이 상기 동결 가미체(21)는 편심추(23a)에 의해 편심구조를 형성하여서, 취식자가 파지한 컵부(10)를 일방향으로 선회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칵테일 볼(20)은 편심추(23a)에 의해 자력 고정부재(12, 22)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컵부(10)에 저수된 음료액(L)에 신속히 용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컵부(10)의 바닥 중심에는 반구형의 축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칵테일 볼(20)의 자력 고정부재(22)에는 반구형 돌기(22a)가 형성되어서, 상기 칵테일 볼(20)은 축홈(12a)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취식자는 자신이 요하는 기호의 맛을 갖는 칵테일 볼(20)을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투입 및 용해하면서, 요하는 기호의 맛을 갖는 음료액의 섭취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칵테일 볼(20)은 일회용 파우치(30)에 형성된 포켓(31)에 개별적으로 수납된 다음 냉동 보관 상태로 유통되어서, 음료의 섭취과정에 낱개씩 개봉되어 컵부(10)에 수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칵테일 볼을 구성하는 동결 가미체(21)의 하부에 지지 스프링(27)을 배치하여, 컵부(10) 내에 투입된 칵테일 볼(20)은 지지 스프링(27)의 탄지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하면서 음료액에 신속히 용해되도록 한다.
따라서, 취식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개별 포장된 칵테일 볼(20)을 투입하여서 요하는 기호의 음료를 취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컵부(10) 내에서 회전하는 칵테일 볼(20)이 다양한 색상의 빛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칵테일 볼(20)에 의해 발산되는 빛이 음료에 투광되어서, 취식과정에 다채로운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칵테일 볼(20)을 구성하는 흡입 방지부재(23)에, 전원부재(25)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빛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LED 램프부재(24)를 배치한다.
상기 LED 램프부재(24)는 다양한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LED 램프부재(24)의 점등에 따른 전류를 제공하는 전원부재로는 소형의 배터리(25a)가 채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 램프부재(24)와 배터리(25a) 사이에는 자력 고정부재(12)에 마련된 자력에 의해 통전상태가 설정되는 리드 스위치(26)가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점멸 상태를 형성하다가 취식자가 자력 고정부재(12)가 배치된 컵부(10)에 투입하면 자력 고정부재(12)에서 발산되는 자력에 의해 비로소 통전상태로 전환되어 LED 램프부재(24)는 점등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없이 운반이나 보관과정에서는 배터리(25a)에 축전된 전류가 소모되지 아니하며, 음료의 섭취과정에만 빛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부재(25)는 동결 가미체(21)가 컵부(10)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 컵부(10)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압전소자(25b)로 구성하여서, 취식자가 컵부(10)를 선회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전류를 발생하여 LED 램프부재(24)의 점등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전원부재(25)로 압전소자(25b)를 채택하면, 취식자에 의한 컵부(10)의 선회여부, 및 선회속도에 따라 압전소자에서 생성되는 전류량이 증감되고, 이를 통해 컵부(10)의 선회에 따른 LED 램프의 점등여부와, 점등밝기를 통해 유희감을 느끼면서 음료를 취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컵부(10) 내에 투입되는 칵테일 볼(20)에 컵부(10)의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음료액(L)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28)를 마련하고, 상기 LED 램프부재(24)는 상기 온도센서(28)를 통해 계측되는 온도값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컵부에 저수된 음료액이 칵테일 볼과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을 유지한 경우에는 제 1 색상의 빛을 발현하고, 설정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 2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취식자는 LED 램프부재(24)를 통해 발산되는 색상을 통해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과 함께, 취식을 요하는 음료액의 온도값을 미리 예측하면서 요하는 온도의 음료를 취식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7에서는 상기 칵테일볼(20')을 동결 가미체(21)가 흡입 방지부재(23)가 함께 동결된 형태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동결 성형된 동결 가미체(21)를 분리 구성된 흡입 방지부재(23)에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여서, 자력 고정부재(22)와 LED 램프부재(24)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탑재된 흡입 방지부재(23)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방지부재(23)에 클램퍼핀(27)을 형성하고, 동결 성형된 동결 가미체(21)에는 클램퍼핀(27)에 압입되는 고정슬롯(21a)을 형성하여서, 요하는 동결 가미체(21)를 흡입 방지부재(23)에 장착한 다음, 컵부(10)의 저수공간(11)에 투입하여 동결 가미체(21)를 용해하여 취식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흡입 방지부재(23)는 복수의 교반공(28a)들이 형성된 채반형으로 구성하여, 동결 가미체(21)가 용해된 음료를 취식하는 과정에 동결 가미체(21)와 음료가 보다 신속히 혼입하여 취식하도록 한다.
1.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10.컵부 11.저수공간
12. 자력 고정부재 12a. 축홈
20, 20'. 칵테일 볼 21. 동결 가미체
21a. 고정슬롯
22. 자력 고정부재 22a. 반구형 돌기
23. 흡입 방지부재 23a. 편심추
24. LED 램프부재 25. 전원부재
25a. 배터리 25b. 압전소자
26. 리드 스위치 27. 클램퍼핀
28. 혼입 채반편 28a. 교반공
30. 파우치 31. 포켓

Claims (3)

  1. 음료액을 저수하는 설정깊이의 상부 개방형 저수공간이 형성된 음료컵과, 상기 음료컵의 바닥면에 고정된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컵부와;
    가미액을 냉각한 동결 가미체와, 상기 동결 가미체에 배치되어 컵부의 저수공간 바닥에 형성된 자력 고정부재와 자력 결합되어서, 저수공간 내에 동결 가미체를 자력 고정하는 자력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칵테일 볼;을 포함하고,
    상기 칵테일 볼은 동결 가미체에 고정되며 자력 고정부재가 고정된 흡입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방지부재의 편심부에는 편심추가 형성되어, 상기 동결 가미체는 편심추에 의해 편심구조를 형성하여서, 파지한 컵부를 일방향으로 선회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칵테일 볼은 자력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컵부에 저수된 음료액에 신속히 용해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컵부의 바닥 중심에는 반구형의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칵테일 볼의 자력 고정부재에는 반구형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칵테일 볼은 축홈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1203A 2020-05-21 2020-05-21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KR10222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03A KR102220009B1 (ko) 2020-05-21 2020-05-21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03A KR102220009B1 (ko) 2020-05-21 2020-05-21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009B1 true KR102220009B1 (ko) 2021-02-24

Family

ID=7468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03A KR102220009B1 (ko) 2020-05-21 2020-05-21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009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375A (en) * 1989-01-30 1990-07-03 Fantacone Ralph A Drinking receptacle and ice trap
KR19980032040U (ko) * 1998-05-19 1998-08-17 김정배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KR200274408Y1 (ko) 1999-05-10 2002-05-08 김정배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KR200286206Y1 (ko) * 2002-05-04 2002-08-22 윤화용 음료 혼합용기
KR20020076223A (ko) 2002-09-13 2002-10-09 김갑태 식용색소가 함유된 컬러 얼음
KR20110009416A (ko) * 2009-07-22 2011-01-28 정경원 음료 냉각장치
WO2012113025A1 (en) * 2011-02-21 2012-08-30 Alfio Bucceri Improved method and cup for operation of frozen beverage device
KR20130001866U (ko) * 2011-09-09 2013-03-19 안송길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US8474641B2 (en) * 2011-04-20 2013-07-02 Barrett K. Hays Ice cup
KR20140083585A (ko) 2012-12-26 2014-07-04 이준우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KR20140114129A (ko) 2013-03-18 2014-09-26 김민숙 음료병 거치유닛
KR20140135485A (ko) * 2013-05-16 2014-11-26 유제형 교반 기능을 갖는 용기 시스템
KR20160143056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동결 음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료
CN109431200A (zh) * 2018-12-06 2019-03-08 深圳市玄思文品牌管理有限公司 冰饮杯
KR20190002897U (ko) 2018-05-15 2019-11-25 조병규 액체 식음료와 섞이지 않는 매직 실리콘 아이스볼
KR20200139924A (ko) * 2019-06-05 2020-12-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컵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375A (en) * 1989-01-30 1990-07-03 Fantacone Ralph A Drinking receptacle and ice trap
KR19980032040U (ko) * 1998-05-19 1998-08-17 김정배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KR200274408Y1 (ko) 1999-05-10 2002-05-08 김정배 고형얼음을 이용한 칵테일잔
KR200286206Y1 (ko) * 2002-05-04 2002-08-22 윤화용 음료 혼합용기
KR20020076223A (ko) 2002-09-13 2002-10-09 김갑태 식용색소가 함유된 컬러 얼음
KR20110009416A (ko) * 2009-07-22 2011-01-28 정경원 음료 냉각장치
WO2012113025A1 (en) * 2011-02-21 2012-08-30 Alfio Bucceri Improved method and cup for operation of frozen beverage device
US8474641B2 (en) * 2011-04-20 2013-07-02 Barrett K. Hays Ice cup
KR20130001866U (ko) * 2011-09-09 2013-03-19 안송길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KR20140083585A (ko) 2012-12-26 2014-07-04 이준우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KR20140114129A (ko) 2013-03-18 2014-09-26 김민숙 음료병 거치유닛
KR20140135485A (ko) * 2013-05-16 2014-11-26 유제형 교반 기능을 갖는 용기 시스템
KR20160143056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동결 음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료
KR20190002897U (ko) 2018-05-15 2019-11-25 조병규 액체 식음료와 섞이지 않는 매직 실리콘 아이스볼
CN109431200A (zh) * 2018-12-06 2019-03-08 深圳市玄思文品牌管理有限公司 冰饮杯
KR20200139924A (ko) * 2019-06-05 2020-12-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899B1 (en) Combination lollipop, drinking straw and beverage cap
US6793362B2 (en) Flasher liquid container vessel
US20030026088A1 (en) Beverage accessory device
US8770588B2 (en) Novelty beverages straw
US20050073833A1 (en) Beverage accessory device
US20070286016A1 (en) Automatic stirring and rotating cup holder
KR102220009B1 (ko) 냉각 칵테일 음료 제조장치
JP4564589B2 (ja) グラス
KR20190002897U (ko) 액체 식음료와 섞이지 않는 매직 실리콘 아이스볼
US20130078337A1 (en) Dispenser and stirrer
US10045655B2 (en) Liquid-activated light and infusing apparatus
US20200352194A1 (en) Device for simultaneous consumption of a fluid and a frozen substance
JP3150760U (ja) 熱冷飲料用容器
KR20100007554A (ko) 음료용 컵
KR200290734Y1 (ko)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한 냉각컵
KR200256428Y1 (ko) 드라이 아이스가 내장된 음료용 컵
WO2006077678A1 (ja) ケーキ搬送容器
CN101238337A (zh) 饮料容器
JP3141875U (ja) 即席飲料セット
KR200309847Y1 (ko) 냉각용 이중용기
US10119699B2 (en) Liquid-activated light and infusing apparatus
CN220875803U (zh) 一种牛奶味棒棒糖
US20180110349A1 (en) Drink container
WO2007015685A1 (en) The device for controlling of drinks mixing
KR200204688Y1 (ko) 음료 급냉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