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499B1 - 캡슐제 생산용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제 생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499B1
KR101872499B1 KR1020180025262A KR20180025262A KR101872499B1 KR 101872499 B1 KR101872499 B1 KR 101872499B1 KR 1020180025262 A KR1020180025262 A KR 1020180025262A KR 20180025262 A KR20180025262 A KR 20180025262A KR 101872499 B1 KR101872499 B1 KR 10187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moving
bar
box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티케이
Priority to KR102018002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7Manufacturing capsule sh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Package making
    • Y10S53/90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캡슐제를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 과정에서 내부에 원료가 충진되어야할 캡슐이 그 공정 과정 상에 생략된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우해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회전테이블, 캡슐공급부, 캡슐검출부, 원료공급부, 불량배출부, 캡슐결합부 및 캡슐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제 생산용 장치{DEVICE FOR CAPSULE TABLET MAKING}
본 발명은 캡슐제를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 과정에서 내부에 원료가 충진되어야할 캡슐이 공정 과정 상에 생략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원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캡슐제 생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건강증진 목적이나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품은 그 제형에 따라 분말 원료가 층층이 쌓인 다중정제, 분말 원료가 정제 원료를 감싸는 핵정제, 그리고 캡슐의 내부에 분말 원료가 충진된 캡슐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캡슐제는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하나의 캡슐 내부에 분말 원료가 충진된다. 이러한 캡슐제는 분말 원료가 적층되어 가압되는 다중정제나 정제 원료가 분말 원료에 감싸인 핵정제와는 달리, 결합된 제 1 및 제 2 캡슐몸체를 서로 분리하여 그 내부에 분말 원료를 충진해야하기 때문에 다중정제 및 핵정제와 서로 다른 공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캡슐제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 과정은 캡슐제 생산용 장치에 의해 진행된다. 종래의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축 회전하는 회전테이블, 회전테이블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로 캡슐을 공급하는 캡슐공급부,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캡슐몸체의 내부에 분말 원료를 충진하는 원료공급부, 내부에 분말 원료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캡슐몸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캡슐결합부, 제 1 및 제 2 캡슐몸체가 결합된 캡슐제를 배출하는 캡슐배출부로 구성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캡슐공급부로부터 캡슐을 공급받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에 캡슐이 생략된 경우, 회전테이블이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원료공급부 또한 분말 원료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상황이 발생하곤 했다. 즉, 종래의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분말 원료가 투입되어야할 캡슐이 생략되더라도 작업자가 인지하지 않는 한, 분말 원료를 끊임없이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650431호 (2016.11.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캡슐제를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 과정에서 내부에 원료가 충진되어야할 캡슐이 그 공정 과정 상에 생략된 경우를 감지하여 원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캡슐제 생산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회전테이블, 캡슐공급부, 캡슐검출부, 원료공급부, 불량배출부, 캡슐결합부 및 캡슐배출부를 포함한다. 회전테이블은 상기 캡슐제 생산용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축 회전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짝을 지은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를 축 회전에 동반하여 이동시킨다. 캡슐공급부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둘레 상에 위치하고,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을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로 공급한다. 캡슐검출부는 상기 캡슐공급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캡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검출한다. 원료공급부는 캡슐검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세그먼트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안착홀에 위치한 상기 제 1 캡슐몸체 내부에 원료를 공급한다. 불량배출부는 상기 원료공급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원료공급부를 통과한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거치홀에 위치한 제 2 캡슐몸체의 하부에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결합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캡슐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캡슐을 배출시킨다. 캡슐결합부는 상기 불량배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가 상기 불량배출부를 통과 후 각각의 상기 안착홀 및 상기 거치홀이 서로 마주보게 맞닿아 이동되면, 상기 거치홀의 상방향으로 핀을 밀어올려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상기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되도록 한다. 캡슐배출부는 상기 캡슐결합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캡슐결합부를 통과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자리잡은 상기 캡슐을 배출시킨다.
상기 캡슐공급부는, 상기 캡슐공급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보관된 다수의 상기 캡슐을 개방된 하부로 이탈시키는 캡슐보관함; 상기 캡슐보관함의 개방된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보관함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캡슐을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는 캡슐이동관; 상기 캡슐이동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상기 캡슐을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공급몸체; 및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 상기 공급몸체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을 밀어내리는 캡슐배치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이동관은, 상기 캡슐이동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이 이동되도록 하는 캡슐통로; 및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된 상기 캡슐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연장바;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이동관은, 상기 캡슐이동관의 상부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통로의 상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통기공;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공급몸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동관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하여 상기 캡슐이동관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 1 회전바; 및 상기 제 1 회전바와 일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하는 제 2 회전바;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제 2 회전바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평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수평이동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상기 캡슐을 수평하게 밀어내는 제 1 요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공급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공과 연결되고, 상기 캡슐검출부에서 캡슐이 생략되었다고 검출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기공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피팅;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공급부는,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 상기 공급몸체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캡슐을 밀어내리는 캡슐배치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배치박스는, 상기 캡슐배치박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캡슐배치박스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평이동바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된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밀어내리는 제 2 요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검출부는, 상기 캡슐검출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상기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상기 캡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박스는, 일측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박스가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수단의 하부와 밀착되는 접촉뭉치가 중간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거치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접촉바; 및 상기 접촉바의 측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뭉치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접촉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접촉뭉치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거치홀 내에 상기 캡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에어피팅이 상기 캡슐보관함으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불량배출부는, 상기 불량배출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단부에 형성된 배출핀이 상기 거치홀 내외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캡슐몸체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 2 캡슐몸체의 내부에 그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된 상기 제 1 캡슐몸체의 하부를 밀어올리는 이동몸체; 및 상기 불량배출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캡슐몸체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캡슐을 수용하는 수거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용 장치는 캡슐제를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 과정에서 내부에 원료가 충진되어야할 캡슐이 그 공정 과정 상에 생략된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전테이블과 캡슐공급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회전테이블과 캡슐검출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 1 세그먼트와 접촉바의 관계를 표현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첫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두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세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의 회전테이블과 불량배출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10)는 본체(도면부호 생략) 상에 회전테이블(100), 캡슐공급부(200), 캡슐검출부(300), 원료공급부(400), 불량배출부(500), 캡슐결합부(600) 및 캡슐배출부(700)가 각기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10)는 캡슐공급부(200)로부터 회전테이블(100)의 가장자리 일측 및 타측 각각에 배치된 제 1 세그먼트(110)와 제 2 세그먼트(120)로 캡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캡슐검출부(300)에서 캡슐의 공급 유무가 검출되게끔 작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 생산 장치(10)는 캡슐공급부(200) 및 캡슐검출부(300)를 통과하여 원료공급부(4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야할 캡슐이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로 서로 분리되지 않아 원료를 공급받지 못 한 경우, 제 1 캡슐몸체 및 제 2 캡슐몸체로 분리되지 못 한 캡슐을 불량으로 판단하여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은 원료가 담기는 용기의 역할을 하는 제 1 캡슐몸체와 제 1 캡슐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제 1 캡슐몸체에 끼움 고정되어 뚜껑 역할을 하는 제 2 캡슐몸체로 구분 지을 수 있다.
먼저, 회전테이블(100)은 캡슐제 생산 장치(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축 회전한다. 회전테이블(100)의 가장자리 일측과 타측 각각에는 다수의 제 1 세그먼트(110)와 다수의 제 2 세그먼트(120)가 서로 짝을 지어 대응되게끔 위치한다. 즉, 회전테이블(100)은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짝을 지은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를 축 회전에 동반하여 이동되게끔 할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110)는 회전테이블(100)의 가장자리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안착홀(도면부호 생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안착홀(도면부호 생략)은 캡슐의 제 1 캡슐몸체 하부가 안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제 1 세그먼트(110)의 하부에는 이젝터 등의 흡입 수단이 포함된 석션기가 마련되어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의 제 1 캡슐몸체 하부를 끌어당길 수 있다. 아울러, 제 1 세그먼트(110)는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런더 등의 실린더에 의해 회전테이블(100) 일측에 연결되고, 공정 과정에 따라 회전테이블(100)에 밀착하거나 떨어지는 등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세그먼트는 회전테이블(100)의 가장자리 타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도면부호 생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거치홀(도면부호 생략)은 안착홀(도면부호 생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 2 캡슐몸체 하부를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홀(도면부호 생략)은 하부 내측 둘레방향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 2 캡슐몸체의 하단부가 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세그먼트(120)는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에 의해 회전테이블(100) 타측에 연결되고, 공정 과정에 따라 회전테이블(100)에 밀착하거나 떨어지는 등의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과 더불어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도 1의 회전테이블과 관계되는 캡슐공급부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회전테이블과 캡슐공급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캡슐공급부(2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 위치하여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을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로 공급한다. 이러한 캡슐공급부(200)는 캡슐보관함(210), 캡슐이동관(220), 공급몸체(230) 및 캡슐배치박스(240)를 포함한다.
캡슐보관함(210)은 캡슐공급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캡슐보관함(210)은 내부에 제 1 캡슐몸체 및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다수의 캡슐을 보관하고, 보관된 다수의 캡슐을 개방된 하부로 이탈시킨다.
캡슐이동관(220)은 캡슐보관함(210)의 개방된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캡슐이동관(220)은 캡슐보관함(210)의 개방된 하부로 이탈되는 캡슐을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캡슐이동관(220)은 캡슐통로(221), 연장바(222) 및 통기공(223)을 포함한다.
캡슐통로(221)는 캡슐이동관(22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캡슐이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연장바(222)는 캡슐이동관(220)의 하부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캡슐통로(221)를 통과하여 캡슐이동관(220)의 하부로 이동된 캡슐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통기공(223)은 캡슐이동관(220)의 상부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캡슐통로(221)가 찌그러진 캡슐 또는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 캡슐통로(221)의 상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한다.
공급몸체(230)는 캡슐이동관(2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캡슐이동관(220)을 통해 수직하게 이동되는 캡슐을 수평하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공급몸체(230)는 회전축(231), 수평이동바(232) 및 에어피팅(233)을 포함한다.
아울러, 캡슐이동관(220)은 한 쌍의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31)은 공급몸체(23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캡슐이동관(220)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축(231)은 제 1 회전바(231a)와 제 2 회전바(231b)를 포함한다. 제 1 회전바(231a)는 회전축(2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캡슐이동관(220)의 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회전바(231a)는 회전축(231)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하여 캡슐이동관(220)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여기서 제 1 회전바(231a)는 캡슐이동관(220)과 가이드레일(도면부호 생략)을 사이에 두고 상호 체결되어 캡슐이동관(220)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회전바(231b)는 제 1 회전바(231a)와 일정 각도를 이루게끔 회전축(2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축(231)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한다. 즉, 회전축(231)은 그 회전에 따라 제 1 회전바(231a)와 제 2 회전바(231b)를 동시에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수평이동바(232)는 제 2 회전바(231b)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 2 회전바(231b)의 회전에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캡슐이동관(220)의 하부가 위치한 전방과 공급몸체(230)의 후방에 대응되는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여기서 수평이동바(232)는 다른 가이드레일(도면부호 생략)이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바(232)는 제 1 요부(232a)를 포함한다. 제 1 요부(232a)는 수평이동바(232)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 1 요부(232a)는 캡슐이동관(220)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캡슐을 수평하게 밀어낸다. 이때, 제 1 요부(232a)는 수직하게 우치한 캡슐의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의 상하 위치에 따라 제 1 캡슐몸체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수평하게 밀어낼 수 있다.
에어피팅(233)은 공급몸체(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캡슐이동관(220)의 통기공(223)과 연결된다. 즉, 에어피팅(233)은 캡슐검출부(300)에서 캡슐이 생략되었다고 검출되면, 제어부(미도시 됨)의 제어에 따라 통기공(223)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캡슐통로(221)를 막고 있는 찌그러진 캡슐 또는 이물질을 캡슐통로(221)의 상방향으로 흩어지게 한다.
캡슐배치박스(240)는 캡슐이동관(2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캡슐이동관(220)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캡슐이 공급몸체(230), 즉 수평이동바(232)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캡슐을 밀어내린다. 이러한 캡슐배치박스(240)는 일측에 제 2 요부(241a)가 형성된 수직이동바(241)가 위치한다. 수직이동바(241)는 캡슐배치박스(24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수평이동바(232)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된 캡슐의 제 1 캡슐몸체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밀어내린다. 제 2 요부(241a)는 캡슐과 맞닿는 면의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슐배치박스(240)는 캡슐이 수평이동바(232)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캡슐을 밀어내림으로써, 밀어내린 캡슐이 제 1 세그먼트(110)와 제 2 세그먼트(120)에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세그먼트(110)와 제 2 세그먼트(120)는 각각이 짝을 지어 각각의 안착홀(111)과 거치홀(112)이 맞닿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과 더불어 도 7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도 1의 회전테이블과 관계되는 캡슐검출부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회전테이블과 캡슐검출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 1 세그먼트와 접촉바의 관계를 표현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첫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두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세 번째 사용상태도이다.
캡슐검출부(3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서 캡슐공급부(20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한 쌍의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에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검출한다. 이러한 캡슐검출부(300)는 구동축(310)과 센서박스(320)를 포함한다.
구동축(310)은 캡슐검출부(300)의 일측에 위치하고, 바퀴의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바꾸는 캠(미도시 됨)이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센서박스(320)는 구동축(310)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동축(310)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함으로써, 캡슐공급부(200)로부터 한 쌍의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에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캡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박스(320)는 케이스(321), 접촉바(322) 및 접촉센서(323)를 포함한다.
케이스(321)는 일측이 구동축(310)에 연결되어 센서박스(320)가 구동축(310)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접촉바(322)는 케이스(321)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탄성수단(도면부호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접촉바(322)는 탄성수단(도면부호 생략)의 하부와 밀착되는 접촉뭉치(332a)가 중간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접촉바(322)는 구동축(310)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하여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촉센서(323)는 도 9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접촉바(322)의 측변에 위치하여 접촉뭉치(332a)와 접촉된다. 또한 접촉센서(323)는 케이스(321)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접촉바(3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내에 캡슐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구분된 작동을 할 수 있다. 먼저, 접촉센서(323)는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내에 캡슐이 존재하여 접촉바(322)의 하부가 그 캡슐의 상부에 밀착되면, 접촉바(322)의 접촉뭉치(332a)가 탄성수단(도면부호 생략)을 상부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더 이상 접촉뭉치(332a)와 접촉되지 않아 캡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접촉센서(323)는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내에 캡슐이 존재하지 않아 접촉바(322)의 하부가 거치홀(112)의 내부에 그대로 삽입되면, 접촉바(322)의 접촉뭉치(332a)에 지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캡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접촉센서(323)는 접촉뭉치(332a)와의 접촉에 따라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내에 캡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미도시 됨)로 전달하여 캡슐공급부(200)의 공급몸체(230)가 캡슐보관함(210)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캡슐통로(221)를 막고 있는 찌그러진 캡슐 또는 이물질이 캡슐통로(221)의 상방향으로 흩어지게끔 한다.
원료공급부(4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서 캡슐검출부(30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2 세그먼트(120)로부터 분리된 제 1 세그먼트(110)의 안착홀(111)에 위치한 캡슐의 제 1 캡슐몸체 내부에 원료를 공급한다. 이때, 제 1 세그먼트(110)는 하부에 위치한 석션기(미도시 됨)에 의해 제 1 캡슐몸체를 제 2 캡슐몸체와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원료공급부(400)에 대한 설명은 당 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1과 더불어 도 12a 내지 도 12b를 더 참조하여 도 1의 회전테이블과 관계되는 불량배출부를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의 회전테이블과 불량배출부의 관계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불량배출부(5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서 원료공급부(40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불량배출부(500)는 원료공급부(400)를 통과한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에 위치한 제 2 캡슐몸체의 하부에 제 1 캡슐몸체가 결합되어 있으면, 제 1 및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캡슐을 배출시킨다. 즉, 불량배출부(500)는 원료공급부(400)에서 내부에 원료를 공급받아야할 제 1 캡슐몸체가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면, 제 1 캡슐몸체의 내부에 원료가 공급되지 않았으므로, 제 1 및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불량배출부(500)는 이동몸체(510)와 수거박스(520)를 포함한다.
이동몸체(510)는 불량배출부(5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이동몸체(510)는 단부에 배출핀(511)이 형성된다. 배출핀(511)은 이동몸체(510)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제 2 세그먼트(120)의 거치홀(112) 내외부로 이동한다. 이때, 배출핀(511)은 제 1 캡슐몸체와 결합되지 않은 제 2 캡슐몸체의 내부에 그대로 삽입되거나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된 제 1 캡슐몸체의 하부를 밀어올려 수거박스(520) 내부로 배출시킨다.
수거박스(520)는 불량배출부(500)의 타측에 위치하고, 이동몸체(510)에 의해 배출되는 캡슐을 수용한다. 또한 수거박스(520)는 제 2 세그먼트(120)의 상부에 배출가이드(521)가 돌출되어, 배출핀(511)에 의해 상부로 튀어오르는 캡슐이 수거박스(520) 내부로 흘러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캡슐결합부(6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서 불량배출부(50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캡슐결합부(600)는 한 쌍의 제 1 세그먼트(110)와 제 2 세그먼트(120)가 불량배출부(500)를 통과 후 각각의 안착홀(111) 및 거치홀(112)이 서로 마주보게 맞닿아 이동되면, 제 1 세그먼트(110)의 거치홀(112) 상방향으로 핀(미도시 됨)을 밀어올려 제 1 캡슐몸체가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캡슐결합부(600)에 대한 설명은 당 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캡슐배출부(700)는 회전테이블(100)의 둘레 상에서 캡슐결합부(60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캡슐결합부(600)를 통과한 한 쌍의 제 1 세그먼트(110) 및 제 2 세그먼트(120)에 자리잡은 캡슐을 완성된 캡슐제로써 배출시킨다. 아울러, 캡슐배출부(700)에 대한 설명 또한 당 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캡슐제 생산용 장치
100 : 회전테이블
110 : 제 1 세그먼트
111 : 안착홀
120 : 제 2 세그먼트
121 : 거치홀
200 : 캡슐공급부
210 : 캡슐보관함
220 : 캡슐이동관
221 : 캡슐통로
222 : 연장바
223 : 통기공
230 : 공급몸체
231 : 회전축
231a : 제 1 회전바
231b : 제 2 회전바
232 : 수평이동바
232a : 제 1 돌출요부
233 : 에어피팅
240 : 캡슐배치박스
241 : 수직이동바
241a : 제 2 돌출요부
300 : 캡슐검출부
310 : 구동축
320 : 센서박스
321 : 접촉바
322 : 접촉센서
400 : 원료공급부
500 : 불량배출부
510 : 이동몸체
511 : 배출핀
520 : 수거박스
521 : 배출가이드
600 : 캡슐결합부
700 : 캡슐배출부

Claims (10)

  1. 캡슐제 생산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제 생산용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축 회전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짝을 지은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를 축 회전에 동반하여 이동시키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테이블의 둘레 상에 위치하고, 제 1 캡슐몸체와 제 2 캡슐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을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로 공급하는 캡슐공급부;
    상기 캡슐공급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캡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검출하는 캡슐검출부;
    캡슐검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세그먼트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안착홀에 위치한 상기 제 1 캡슐몸체 내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원료공급부를 통과한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거치홀에 위치한 제 2 캡슐몸체의 하부에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결합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캡슐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캡슐을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
    상기 불량배출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가 상기 불량배출부를 통과 후 각각의 상기 안착홀 및 상기 거치홀이 서로 마주보게 맞닿아 이동되면, 상기 거치홀의 상방향으로 핀을 밀어올려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상기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캡슐결합부; 및
    상기 캡슐결합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캡슐결합부를 통과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자리잡은 상기 캡슐을 배출시키는 캡슐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공급부는,
    상기 캡슐공급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보관된 다수의 상기 캡슐을 개방된 하부로 이탈시키는 캡슐보관함;
    상기 캡슐보관함의 개방된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보관함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캡슐을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는 캡슐이동관;
    상기 캡슐이동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상기 캡슐을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공급몸체; 및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 상기 공급몸체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을 밀어내리는 캡슐배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공급몸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동관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하여 상기 캡슐이동관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제 1 회전바; 및
    상기 제 1 회전바와 일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동반 회전하는 제 2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동관은,
    상기 캡슐이동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이 이동되도록 하는 캡슐통로; 및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된 상기 캡슐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동관은,
    상기 캡슐이동관의 상부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통로의 상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제 2 회전바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평이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수평이동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상기 캡슐을 수평하게 밀어내는 제 1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몸체는,
    상기 공급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공과 연결되고, 상기 캡슐검출부에서 캡슐이 생략되었다고 검출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기공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슐공급부는,
    상기 캡슐이동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이 상기 공급몸체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캡슐을 밀어내리는 캡슐배치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배치박스는,
    상기 캡슐배치박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캡슐배치박스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수평이동바에 의해 수평하게 이동된 상기 제 1 캡슐몸체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밀어내리는 제 2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슐검출부는,
    상기 캡슐검출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에 상기 캡슐이 공급되었는지 상기 캡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박스는,
    일측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박스가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수단의 하부와 밀착되는 접촉뭉치가 중간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거치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접촉바; 및
    상기 접촉바의 측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뭉치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접촉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접촉뭉치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거치홀 내에 상기 캡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에어피팅이 상기 캡슐보관함으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량배출부는,
    상기 불량배출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단부에 형성된 배출핀이 상기 거치홀 내외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캡슐몸체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 2 캡슐몸체의 내부에 그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 2 캡슐몸체에 결합된 상기 제 1 캡슐몸체의 하부를 밀어올리는 이동몸체; 및
    상기 불량배출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캡슐몸체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캡슐을 수용하는 수거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생산용 장치.
KR1020180025262A 2018-03-02 2018-03-02 캡슐제 생산용 장치 KR10187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62A KR101872499B1 (ko) 2018-03-02 2018-03-02 캡슐제 생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262A KR101872499B1 (ko) 2018-03-02 2018-03-02 캡슐제 생산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499B1 true KR101872499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262A KR101872499B1 (ko) 2018-03-02 2018-03-02 캡슐제 생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4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64B1 (ko) 2019-01-18 2019-08-06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생산용 회전식 연속원료공급장치
KR102007768B1 (ko) 2019-01-18 2019-08-06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생산용 연속원료공급장치의 핵정 고속캐치가 가능한 공급원판구조
KR102007766B1 (ko) 2019-01-18 2019-10-21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 연속생산이 가능한 회전식 핵정제제조장치
KR102333883B1 (ko) 2021-07-14 2021-12-03 주식회사 피티케이 캡슐 충진기용 원료 공급 장치
KR102413946B1 (ko) 2022-03-15 2022-06-27 한호진 캡슐충진장치
KR102514516B1 (ko) 2022-09-01 2023-03-27 주식회사 피티케이 커빅 커플링을 구비한 로터리식 정제압축성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64B1 (ko) 2019-01-18 2019-08-06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생산용 회전식 연속원료공급장치
KR102007768B1 (ko) 2019-01-18 2019-08-06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생산용 연속원료공급장치의 핵정 고속캐치가 가능한 공급원판구조
KR102007766B1 (ko) 2019-01-18 2019-10-21 주식회사 피티케이 핵정제 연속생산이 가능한 회전식 핵정제제조장치
KR102333883B1 (ko) 2021-07-14 2021-12-03 주식회사 피티케이 캡슐 충진기용 원료 공급 장치
KR102413946B1 (ko) 2022-03-15 2022-06-27 한호진 캡슐충진장치
KR102514516B1 (ko) 2022-09-01 2023-03-27 주식회사 피티케이 커빅 커플링을 구비한 로터리식 정제압축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499B1 (ko) 캡슐제 생산용 장치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US5799468A (en) Filling blister-pack strips
CN102100638B (zh) 用于对胶囊填充药剂的间歇式旋转机器
JP5043504B2 (ja) 容器を少なくとも1つの顆粒製品で充填するための機械
KR101843717B1 (ko) 캡슐 내로 충전 물질의 주입 장치
JP5934269B2 (ja) 粉体分注検知装置および方法
CN102100637A (zh) 用于对胶囊填充药剂的间歇式旋转机器
CN102100639A (zh) 用于对胶囊填充药剂的间歇式旋转机器
KR102560801B1 (ko) 캡슐 충전기
JPH01232962A (ja) カプセル充填機
US20130118638A1 (en) Minitab feeder
CN104414861A (zh) 用于填充和封闭胶囊的设备
JP6782786B2 (ja) 1周回の過程で複数のプレス作業を遂行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2つの高さ段違いラム先端部を備えたラムを有するロータリプレス
CN100594020C (zh) 滚筒式丸剂定量分料装置
JPH0623018A (ja) 回転錠剤機から排出される錠剤を取り出し搬送する装置
JP2020532473A (ja) 電子タバコ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向けの充填ユニット
KR101334241B1 (ko) 잉크콘 자동 제조장치
JP7159298B2 (ja) 電子タバコ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
KR101777298B1 (ko) 핵정 타정기
CN113984271A (zh) 一种全自动三头二元包装气雾剂内压检测机
JP7189205B2 (ja) 電子タバコ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の生産のための製造機
JP3894239B2 (ja) カプセル充填機
CN218870846U (zh) 胶囊剂制造装置
CN205723776U (zh) 一种电池粉环入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