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499A - 위치 지시기 - Google Patents

위치 지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499A
KR20170029499A KR1020177000633A KR20177000633A KR20170029499A KR 20170029499 A KR20170029499 A KR 20170029499A KR 1020177000633 A KR1020177000633 A KR 1020177000633A KR 20177000633 A KR20177000633 A KR 20177000633A KR 20170029499 A KR20170029499 A KR 2017002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elastic member
conductive
conductive elastic
co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709B1 (ko
Inventor
신야 아오키
다케노리 가네다
야스히로 바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7002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심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추가로, 내부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심체에 전달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위치 지시기를 제공한다. 도전성을 가지는 심체와, 이 심체를 파지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를 구비하고, 심체를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도전성 탄성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고, 도전성 탄성 부재를 감합하여, 도전성 탄성 부재에 감합된 심체를 유지하기 위한 심체 홀더와, 신호 발신부와, 심체 홀더와 신호 발신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용 부재를 가진다. 신호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전기적 접속용 부재, 심체 홀더 및 도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심체로부터 송신한다.

Description

위치 지시기{POSITION INDICATOR}
이 발명은 위치 검출 장치와 함께 사용되며, 필압(筆壓) 검출 기능을 가지는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형 PC(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손가락에 의해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터치 패널)가 이용되고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11-243081호 공보) 참조), 근래 지시체로서, 손가락뿐만이 아니라, 펜형으로 구성된 위치 지시기의 이용이 많아지고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용의 위치 지시기로서는, 패시브 정전 펜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패시브 정전 펜은 심체(芯體)의 선단부(先端部)(펜 끝)에 도전성 고무 등을 부착하고, 이 도전성 고무와, 펜형의 위치 지시기의 도전성의 케이스를 통해서, 인체에 정전기를 흘림으로써, 손가락 대신에,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의 패시브 정전 펜이라고 불리는 종래의 위치 지시기는 정전기를 흡취(吸取)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터치 패널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접촉 면적이 필요하다. 즉, 종래의 패시브 정전 펜에 있어서는, 도전 고무와 터치 패널의 접촉 면적은, 터치 패널과 손가락의 접촉 면적과 동등한 크기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패시브 정전 펜에서는, 펜형의 위치 지시기라도, 터치 패널에 있어서 세밀한 조작 입력이 곤란했다.
이에, 최근에는, 정전기를 흡취하는 방식이 아니라, 위치 지시기측으로부터 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의해서, 터치 패널측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의 펜형의 위치 지시기(액티브 정전 펜)가 등장해 오고 있다. 이 액티브 정전 펜의 이점은, 펜 끝으로부터 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펜 끝을 가늘게 하더라도, 터치 패널로 위치 지시기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점이다.
그런데, 위치 지시기의 심체의 선단부인 펜 끝이 가늘어지니, 위치 지시기의 추가적인 기능 요소로서, 종이와 연필과 같이, 필기감이 요구되게 되었다. 필기감에 변화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위치 지시기의 심체의 펜 끝의 재질을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제의 펜 끝, 수지제의 펜 끝, 펠트 모양의 펜 끝 등이 제안되어 있다. 특히, 수지제의 펜 끝의 경우에는, 수지 자체로, 다양한 재질을 가지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각각의 재질에 따라 필기감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액티브 정전 펜에 있어서는, 심체를 이들의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진 펜 끝을 가지는 심체로 교환함으로써, 필기감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1-243081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의 펜 끝을 가지는 심체를 준비하는 경우, 각각의 소재의 재질의 차이에 의해, 정확한 지름을 가지는 심체를 만들어 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 사용 환경이나 소재의 경도(硬度)의 차이 등을 고려하면, 심체의 지름은,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없어, 약간, 상이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으로, 액티브 정전 펜에 있어서는, 당해 액티브 정전 펜의 내부 회로로부터 신호를 인출하여, 당해 신호를 심체에 확실하게 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교환 가능한 심체를 유지하는 부분의 전기적인 접촉을 견고하게 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종래의 액티브 정전 펜에 있어서는, 심체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금속제의 심체에 대해서, 홀더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금속제의 와셔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금속제의 와셔로 고정하는 경우, 심체의 지름의 다소의 편차도 허용되지 않고, 또, 펠트심과 같이 섬유 다발인 경우는 걸려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심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추가로, 내부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심체에 전달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위치 지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도전성을 가지는 심체와,
상기 심체를 파지(把持)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심체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도전성 탄성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를 감합하여,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에 감합된 상기 심체를 유지하기 위한 심체 홀더와,
신호 발신부와,
상기 심체 홀더와 상기 신호 발신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용 부재를 가지고,
상기 신호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전기적 접속용 부재, 상기 심체 홀더 및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심체로부터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심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심체 홀더에 감합되는 도전성 탄성 부재에 감합됨으로써, 심체 홀더에 유지된다. 그리고 신호 발신부로부터의 신호가, 도전성의 심체 홀더 및 도전성 탄성 부재를 통해 도전성의 심체에 공급되고, 이 심체로부터 외부에 송신된다.
이 발명의 위치 지시기에 의하면, 심체는, 심체를 파지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도전성 탄성 부재에 감합되므로, 심체의 지름에 편차가 있더라도, 그 지름의 편차는 도전성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파지부로 파지 고정되므로, 심체는 도전성 탄성 부재에 대해서 견고하게 감합하는 상태가 됨과 아울러, 심체가 예를 들면 펠트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섬유의 다발이 금속 와셔에 걸려 버리는 것과 같은 상태로는 되지 않아, 양호한 감합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심체는, 도전성 탄성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구성이므로, 심체는 용이하게 교환이 가능하다. 또, 도전성 탄성 부재에 도전성의 심체가 감합되고, 당해 심체가 감합된 도전성 탄성 부재가 도전성의 심체 홀더에 감합되는 유지 기구의 구성이고, 심체 홀더와 신호 발신부의 사이는 전기적 접속용 부재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이므로,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로부터 심체까지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하게 되어, 내부 회로로부터의 신호는, 확실하게 심체에 전달되어, 당해 심체로부터 외부에 송출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탄성 부재에 도전성의 심체가 감합되고, 당해 심체가 감합된 도전성 탄성 부재가 도전성의 심체 홀더에 감합되는 구성이므로, 심체의 지름에 편차가 있더라도 심체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추가로, 내부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심체 홀더 및 도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심체에 전달 가능한 위치 지시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는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터치 패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간이를 위하여, 위치 검출 장치(터치 패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고, 설명을 위해서, 위치 지시기(1)의 케이스(2)(하우징)의 일부를 파단(破斷)하여, 그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2 (A)는 위치 지시기(1)에 있어서, 도 1에서는 파단하고 있지 않은 펜 끝측의 부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2 (B)는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의 주요부를 발출하여, 보다 상위 개념을 고려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위치 지시기(1)는 축심 방향으로 가늘게 길고, 축심 방향의 한쪽이 펜 끝측으로 되어, 개구(開口)를 가지도록 됨과 아울러, 축심 방향의 다른 쪽이 닫혀진 원통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2)를 구비한다.
이 케이스(2)는 도전성 재료, 이 예에서는 알루마이트(alumite) 가공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中空部)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21)와, 이 케이스 본체(21)와 결합되는 프런트 캡(22) 및 리어 캡(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런트 캡(22) 및 리어 캡(23)이, 케이스 본체(21)에 압입(壓入) 감합됨으로써, 케이스(2)가 형성된다.
프런트 캡(22)은, 도 1 및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축심 방향의 관통공(22a)을 가지는 통상체(筒狀體)의 구성으로 됨과 아울러, 위치 지시기(1)의 펜 끝측의 부분이, 펜 끝에 가까울수록 외경(外徑)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런트 캡(22)의 펜 끝측의 단부(端部)에는, 펜 끝 가이드 부재(24)가 감합되어 마련된다. 이 펜 끝 가이드 부재(24)는 절연성 재료, 예를 들면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축심 방향의 관통공(24a)을 가짐과 아울러, 프런트 캡(22)의 테이퍼 형상과 연속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이 펜 끝 가이드 부재(24)의 관통공(24a)의 펜 끝측의 개구가, 위치 지시기(1)의 심체(4)가 삽입되는 개구부(1a)가 된다.
심체(4)는 도전성 재료, 이 예에서는 금속 분말이 혼입된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축부를 구성하는 심체 본체부(41)와, 심체 본체부(41)의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선단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심체(4)는 펜 끝 가이드 부재(24)의 관통공(24a) 내에, 개구부(1a)로부터 삽입되어 마련된다. 심체(4)의 선단부(42)의 최대 외경은, 펜 끝 가이드 부재(24)의 관통공(24a)의 내경보다도 작게 선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심체(4)는 펜 끝 가이드 부재(24)의 관통공(24a) 내를 자유롭게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케이스(2)의 중공부 내에는, 도 1 및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판 홀더(3)와 전지(5)와 심체 홀더(6)가 수납된다.
기판 홀더(3)는 절연성의 수지,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고, 케이스(2)의 중공부 내에 수납되었을 때, 위치 지시기(1)의 축심 방향이 되는 길이 방향으로,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와,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가 연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는 내부의 중공부에 감압용 부품(7)(필압 검출용의 복수 개의 부품)을 수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된다.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는 프린트 기판(8)을 재치하여 유지하는 보트 모양의 형상으로서, 통상체를 축심 방향으로 대략 절반 절단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판 홀더(3)는 감압용 부품 유지부(3a)가 심체(4)측이 되도록, 케이스(2)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이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심체(4)를 유지하는 심체 홀더(6)가 결합되어, 심체(4)에 인가되는 압력(필압)이,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감압용 부품(7)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외경은, 프런트 캡(22)의 관통공(22a)의 내경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는 프런트 캡(22)의 관통공(22a) 내에 수납된다. 또,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의 외경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외경보다도 크고, 케이스 본체(21)의 내경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는 케이스 본체(21)의 부분에 수납된다.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외경 차이에 의해,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연결부에는 단부(段部)(3c)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홀더(3)는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단부(3c)에 있어서, 프런트 캡(22)의 단면과 충합(衝合)함으로써, 케이스(2) 내의 축심 방향의 심체(4)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규제되어 있다.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단자 도체(5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자 도체(51)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전지(5)의 플러스측 단자(5a)와 전기적으로 충합함과 아울러, 프린트 기판(8)의 전원 라인의 동박(銅箔)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리어 캡(23)의 케이스 본체(21)와의 압입 감합부에는, 전지(5)의 마이너스측 단자(5b)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용수철 단자(52)가 마련되어 있다.
전지(5)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플러스측 단자(5a)를 단자 도체(51)에 접속하도록 케이스(2) 내에 삽입된다. 그 후, 리어 캡(23)이, 코일 용수철 단자(52)에 의해 전지(5)의 마이너스측 단자(5b)를 압압(押壓)하도록 하여, 케이스 본체(21)에 압입 감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21)는, 후술하는 것처럼, 전기적으로, 프린트 기판(8)의 어스 도체와 접속되어 있다. 리어 캡(23) 및 케이스 본체(21)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지(5)의 마이너스측 단자(5b)는, 이들 리어 캡(23) 및 케이스 본체(21)를 매개로 하여, 프린트 기판(8)의 어스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전지(5)의 플러스측 단자(5a)는 단자 도체(51)를 통해서 프린트 기판(8)의 전원 라인의 동박 패턴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전지(5)의 전압이, 프린트 기판(8)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의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린트 기판(8)상에는, 위치 지시기(1)의 심체(4)로부터 송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회로 및 당해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의 신호의 심체(4)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C(Integrate Circuit)(10) 및 그 주변 회로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가 마련되어 있다. 주변 회로부에는, 압하(押下)되었을 때 온이 되고, 압하를 정지하면 오프로 돌아가는 푸쉬 스위치(사이드 스위치)(11, 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탄성을 가지는 절연성의 수지, 예를 들면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압압부(11a, 12a)가 마련되고, 푸쉬 스위치(11, 12)는 이 압압부(11a, 12a)의 압압 조작에 의해, 온·오프된다.
이 푸쉬 스위치(11, 12)의 온·오프 상태는,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소정의 기능의 온·오프에 대응지어지고, IC(10)는 푸쉬 스위치(11, 12)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치 검출 장치에 송출하는 신호에 포함하여, 심체(4)를 통해서 송출하도록 동작한다.
심체(4)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심체 본체부(41)가, 도전성 탄성 부재(9)를 통해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체 홀더(6)에 감합됨으로써, 심체 홀더(6)에 대해서 결합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심체 홀더(6)가,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의 감압용 부품(7)의 유지 부재(73)에 감합됨으로써, 심체(4)에 인가되는 압력(필압)이 감압용 부품(7)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심체 홀더(6)는 당해 심체 홀더(6)와 기판 홀더(3)의 사이에 마련되는, 도전성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의 예로서의 코일 용수철(13)에 의해, 기판 홀더(3)에 대해서 항상 심체(4)측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용수철(13)은 후술하는 도체 단자 부재(14)와 함께, 프린트 기판(8)에 배설되어 있는 IC(10)로부터의 신호를 심체(4)에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용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3 (A)는 심체(4), 도전성 탄성 부재(9), 심체 홀더(6), 코일 용수철(13) 및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전성 탄성 부재(9)는, 예를 들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고,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감합되는 구멍 부분을 구비하는 원통 모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탄성 부재(9)에는, 구멍 부분의 예로서,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의 지름과 대략 동등하거나, 혹은 약간 작은 지름의 관통공(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성 탄성 부재(9)의 심체(4)측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외경이 작아져 박부(thin part)로 된 파지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도전성 탄성 부재(9)에는 그 원통 중심축 방향의 심체(4)측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원통 중심축 방향을 따른 슬릿부(92, 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슬릿부(92, 93)는 도전성 탄성 부재(9)의 원통 중심축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부(92, 93)의 원통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파지부(91)의 부분을 넘어서, 도전성 탄성 부재(9)의 외경이 큰 부분에도 걸친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탄성 부재(9)의 둘레 측면(周側面)에는, 원통 중심축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용 돌기부(94, 9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파지부(91)는 슬릿부(92, 93)의 존재에 의해, 2개의 호상(弧狀)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과, 이 예에서는 박부인 것과 함께,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도전성 탄성 부재(9)에 삽입하여 감합할 때, 심체 본체부(41)에 의해 파지부(91)는, 용이하게, 바깥쪽으로 탄성적 변위를 할 수 있어,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는 도전성 탄성 부재(9)에 대해서 용이하게 삽입 감합된다. 그리고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을 관통하여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파지부(91)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심체(4)를 도전성 탄성 부재(9)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한, 파지부(91)는 도 2 (B)에 도시하는 것처럼, 특히 박부로 할 필요는 없지만, 이 예와 같이 박부이면, 원통 중심축 위치로부터 방사(放射)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변위가 용이하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도전성 탄성 부재(9)의 파지부(91) 이외의 큰 외경 부분의 둘레 측면의, 원통 중심축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용 돌기부(94 및 95)가 형성되어 있다.
심체 홀더(6)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SUS(Steel Special Use Stainless)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탄성 부재(9)를 수납 감합하는 오목 구멍(61a)을 가지는 수납 감합부(61)와, 감압용 부품(7)의 유지 부재(73)에 감합하는 봉상부(棒狀部)(6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수납 감합부(61)의 오목 구멍(61a)의 축심 방향의 깊이는, 도전성 탄성 부재(9)의 파지부(91)를 뺀, 지름이 큰 부분의 축심 방향의 길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의 측면에는, 도전성 탄성 부재(9)가 오목 구멍(61a) 내에 수납되었을 때,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걸림용 돌기부(94, 9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63 및 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성 탄성 부재(9)가,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 내로 압입되면,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걸림용 돌기부(94, 95)가, 수납 감합부(61)의 개구부(63 및 64)에 위치하고, 걸림용 돌기부(94, 95)의 단부가, 개구부(63, 64)의 벽에 충합하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도전성 탄성 부재(9)는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에 대해서, 축심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즉, 도전성 탄성 부재(9)는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 내에 걸린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의 오목 구멍(61a)의 바닥부에는,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을 통해 관통하여 돌출되는,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의 부분을 수납하는 오목 구멍(6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성 탄성 부재(9)가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 내에 수납되어 걸린 상태일 때, 도전성 탄성 부재(9)와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의 오목 구멍(61a)의 축심 방향의 치수가 상술한 것처럼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탄성 부재(9)의 파지부(91)는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 내에 수납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당해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 내에 수납된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 내에,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압입 감합할 때, 파지부(91)는 상술한 것처럼 탄성 변위가 가능하여,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용이하게 압입 감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입 감합된 심체 본체부(41)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하여 도전성 탄성 부재(9)를 수납한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에 도전성의 코일 용수철(13)이 장착된 후,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는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의 감압용 부품(7)의 유지 부재(73)에 감합된다.
이 경우에,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에 있어서는, 프린트 기판(8)상에 구성되어 있는 회로에서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심체(4)에 공급해야 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판 홀더(3) 및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수납된 감압용 부품(7)의 유지 부재(73)는, 절연성의 재료인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심체 홀더(6)와 유지 부재(73)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심체(4)에 대해서, 프린트 기판(8)의 회로로부터의 신호의 공급을 위한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는 할 수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심체 홀더(6)와,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사이에 마련된,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된 코일 용수철(13)과,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마련된 도체 단자 부재(14)에 의해 전기적 접속용 부재를 구성하고, 이 전기적 접속용 부재에 의해, 프린트 기판(8)의 신호 발신 회로(8S)로부터의 신호 공급을 위한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고 있다(도 2 (B) 참조).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A)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는,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가 삽입되는 오목 구멍(31)의 개구부를 덮도록,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SUS로 이루어지는 도체 단자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이 도체 단자 부재(14)는, 도 3 (A), (B)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오목 구멍(31)을 덮고, 또한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가 삽통(揷通)하는 관통공(141a)을 구비하는 맞닿음판부(141)와, 이 맞닿음판부(141)에 대해서 직교하고, 서로 대향하는 장착용 판부(142. 143)를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판부(141)와 장착용 판부(142. 143)는, 1매의 가늘고 긴 SUS의 평판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구성된다.
장착용 판부(142 및 143)에는, 각각 관통공(142a 및 143a)이 마련되어 있다. 또, 장착용 판부(143)에는, 도 3 (B)에 도시하는 것처럼, 당해 장착용 판부(143)와 일체로,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부분을 넘어서,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의 부분까지 연신(延伸)하는 연신부(14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연신부(144)의 선단부에는, 이 예에서는, 프린트 기판(8)의 이면(裏面)에 예를 들면 납땜되는 단자부(14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오목 구멍(31)을 사이에 두는 상하의 측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평면에는 돌기부(32, 33)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판부(142 및 143)의 대향 거리는, 돌기부(32, 33)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의 대향 거리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용 판부(142 및 143)의 관통공(142a 및 143a)은, 돌기부(32 및 33)의 위치에 따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 단자 부재(14)는 장착용 판부(142 및 143)에 의해,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돌기부(32, 33)가 형성되어 있는 2평면을 사이에 두고,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장착한다. 이 장착에 있어서, 장착용 판부(142 및 143)의 관통공(142a, 143a)에 돌기부(32, 33)가 감합하도록 되어, 도체 단자 부재(14)가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체 단자 부재(14)가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체 단자 부재(14)로부터 연신하는 연신부(144)의 선단의 단자부(144a)는,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에 재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8)의 이면측의 도체와 맞닿아, 예를 들면 납땜된다. 이것에 의해, 도체 단자 부재(14)와 프린트 기판(8)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발생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탄성 부재(9)가 감합된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가, 코일 용수철(1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오목 구멍(31) 내에, 도체 단자 부재(14)의 맞닿음판부(141)의 관통공(141a)을 통해 삽입되어,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감합된다. 코일 용수철(13)의 내경은,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의 외형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장착된 도체 단자 부재(14)의 맞닿음판부(141)의 관통공(141a)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용수철(13)은 심체 홀더(6)에 탄성적으로 접촉됨과 아울러, 도체 단자 부재(14)의 맞닿음판부(141)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코일 용수철(13)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전성 탄성 부재(9) 및 심체 홀더(6)는 도전성을 가지므로, 코일 용수철(13) 및 도체 단자 부재(14)를 매개로 하여, 심체 홀더(6)에 감합되어 있는 도전성 탄성 부재(9)는, 프린트 기판(8)의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케이스(2) 내에 수납된 심체 홀더(6)에 감합된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에 대해서,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전술한 것처럼 하여 삽입 감합되어, 심체(4)가 심체 홀더(6)에 대해서, 도전성 탄성 부재(9)를 통해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심체(4)는 프린트 기판(8)의 신호 발신 회로(8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신호 발신 회로(8S)로부터의 신호가 심체(4)에 공급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심체(4)가 심체 홀더(6)를 매개로 하여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심체(4)의 선단부(42)의 일부가, 케이스(2)의 개구부(1a)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드러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및 감압용 부품(7)의 구성, 추가로, 감압용 부품(7)의 유지 부재(73)와, 심체 홀더(6)의 감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에 수납되는 감압용 부품(7)의 분해 사시도이다.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감압용 부품(7)이,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수납됨으로써, 필압 검출용 모듈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필압 검출용 모듈에, 심체 홀더(6)를 매개로 하여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결합됨으로써, 심체(4)의 선단부(42)에 인가되는 필압이 필압 검출용 모듈의 감압용 부품(7)으로 검출된다. 이 경우에, 필압 검출용 모듈은 이것을 구성하는 감압용 부품(7)의 일부가, 심체(4)의 선단부(42)에 인가되는 필압에 따라서, 심체(4) 및 심체 홀더(6)와 함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필압을 검출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에 프린트 기판(8)을 재치하여 고정하고, 또,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감압용 부품(7)을 수납함과 아울러, 심체 홀더(6)를 매개로 하여 심체(4)를 기판 홀더(3)에 결합시킨 것을, 하나의 모듈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모듈 부품을 케이스(2)의 중공부 내에 수납시킴으로써, 위치 지시기(1)를 완성시킬 수 있다. 또한, 심체(4)는 전술한 것처럼, 심체 홀더(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에서는, 심체(4)는 교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의 필압 검출용 모듈은, 심체(4)에 인가되는 필압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용량 가변 콘덴서를 이용했을 경우이다.
이 예의 감압용 부품(7)은, 도 4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유전체(71)와, 단자 부재(72)와, 유지 부재(73)와, 도전 부재(74)와, 탄성 부재(75)의 복수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단자 부재(72)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SUS로 이루어지고, 감압용 부품(7)으로 구성되는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제1 전극을 구성한다. 또, 도전 부재(74)는 예를 들면 도전성 고무로 구성되고, 탄성 부재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SUS로 이루어지는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 부재(74)와 탄성 부재(75)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제2 전극을 구성한다.
한편,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는, 도 4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중공부를 구비하는 통상체(34)에 의해 구성되고, 감압용 부품(7)을, 그 중공부 내에 있어서 축심 방향으로 배열하여 수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감압용 부품(7) 중, 통상체(34)로 이루어지는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에서,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부품인 유전체(71)와 단자 부재(72)는, 도 4 (A)에 도시하는 것처럼,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를 구성하는 통상체(34)의 측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개구로 하는 개구부(35)를 통해서, 당해 통상체(34)의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프린트 기판(8)의 기판면(8a)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수납된다.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를 구성하는 통상체(34)는, 그 축심 방향의 심체(4)측은 오목 구멍(31)의 개구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측은 벽부(37)에 의해 폐색(閉塞)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체(34)의 측주면과 벽부(37)의 연결부에는, 축심 방향으로, 단자 부재(72)의 두께보다 약간 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슬릿(38a, 38b)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부재(72)는 이 슬릿(38a, 38b)에 감합하는 돌출부(overhang part)(72a, 72b)를 구비한다. 따라서 단자 부재(72)는, 돌출부(72a, 72b)가 통상체(34)의 슬릿(38a, 38b)에 감합함으로써, 축심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통상체(34)에 걸린다.
또, 통상체(34)의 내벽에는, 슬릿(38a, 38b)과 축심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 있어서, 통상체(34)의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의 오목홈(39)(도 4 (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71)는, 오목홈(39)에 감합하는 외형을 가지고, 오목홈(39)의 축심 방향의 폭에 대응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체(板狀體)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전체(71)는 개구부(35)를 통해서 통상체(34)의 오목홈(39)에 삽입되어 감합됨으로써, 감합 상태에서는, 통상체(34) 내에서 축심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제1 전극의 역할을 하는 단자 부재(72)는, 리드부(72d)를 구비한다. 이 리드부(72d)는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에 수납되었을 때, 통상체(34)의 벽부(37)를 넘어서,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상에 재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8)의 기판면의 랜드부(도시는 생략)에 납땜되어 접속된다.
또한, 단자 부재(72)는 유전체(71)와 단자 부재(72)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에 수납되었을 때, 유전체(71)의 개구부(35)측의 측면부를 누르도록 하는 L자 모양 돌기(72e)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73)는 비도전성 재료, 이 예에서는 절연성 재료인 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그 축심 방향의 심체(4)측이 되는 측에,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가 압입 감합되는 오목 구멍(73b)이 마련되어 있는 원주상 형상부(73a)와, 오목 구멍(73b)측과는 축심 방향의 반대측에, 도전 부재(74)를 감합하는 오목 구멍(73d)이 마련되어 있는 링모양 돌기부(73c)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에는,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의 오목 구멍(73b)으로의 압입 감합의 용이함을 보조하는 것을 기도하여, 오목 구멍(73b)의 축심 방향을 따른 슬릿(73e)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는 이 슬릿(73e)을 구비함으로써,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에 대응한 파지부를 구성하고, 유지 부재(73)는 심체 홀더(6)를 확실하게 파지하여 유지한다. 즉,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는 심체 홀더 유지부를 구성하고, 유지 부재(73)는 유지부를 구성한다.
또,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도, 오목 구멍(73d)을 사이에 두고 연통(連通)하도록 된 슬릿(73f)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릿(73f)의 존재에 의해, 도전 부재(74)는 링모양 돌기부(73c)에 의해서 확실하게 파지되어, 유지 부재(73)에 유지된다.
또,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의 측면부에는, 오목 구멍(73b)에 연통하는 개구부(73g, 73h)가, 원통 중심축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의 둘레 측면에는, 맞물림 돌기부(73i 및 73j)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의 선단부(62a)의 근방에는, 개구부(73g, 73h)와 맞물리는 단부(段部)(62b, 62c)가 형성되어 있다.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는, 도 2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유지 부재(73)의 오목 구멍(73b)에 압입 감합되면, 단부(62b, 62c)가 개구부(73g, 73h)의 벽부에 충합되어, 심체(4)측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맞물려진다.
도전 부재(74)는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실리콘 도전 고무나, 가압 도전 고무에 의해 구성된다. 도전 부재(74)는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의 오목 구멍(73d)에 감합되는 돌기부(74a)를 구비한다. 또, 탄성 부재(75)는,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는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권회부(75a)와, 이 권회부(75a)의 일단부에 단자편(75b)을 가지고, 권회부(75a)의 타단부에 접속부(75c)를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75)는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를 그 권회부(75a) 내에 수납되도록 하여, 유지 부재(73)의 축심 방향으로 조합된다. 그리고 도전 부재(74)의 돌기부(74a)가,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의 오목 구멍(73d)에 감합된다. 이때, 탄성 부재(75)의 접속부(75c)는,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의 슬릿부로부터 링모양 돌기부(73c)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 구멍(73d)의 바닥부에 삽입하도록 된다. 따라서 도전 부재(74)의 경소부(徑小部)(74b)가 유지 부재(73)의 링모양 돌기부(73c)에 압입 감합되었을 때에는, 도전 부재(74)의 경소부(74b)의 단면이,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75)의 접속부(75c)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75)의 단자편(75b)은 통상체(34)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유전체(71), 단자 부재(72) 및 벽부(37)를 넘어서,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상에 재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8)의 기판면의 도전 패턴에, 납땜되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73)에 대해서, 그 축심 방향으로, 탄성 부재(75)를 매개로 하여 도전 부재(74)가 결합된 것(도 2 (A) 참조)이, 오목 구멍(31)의 개구측으로부터 통상체(34)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유지 부재(73)의 원주상 형상부(73a)의 측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돌기부(73i 및 73j)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를 구성하는 통상체(34)의 측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단부(34a 및 34b)(도 2 (A) 참조)에 맞물림으로써, 유지 부재(73)는 통상체(34)의 오목 구멍(31)으로부터 심체(4)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린다. 다만, 유지 부재(73)는 통상체(34)의 중공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심체(4)측으로부터 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통상체(34)의 중공부 내를, 그 축심 방향의 심체(4)와는 반대측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탄성 부재(75)의 탄성 편의력(偏倚力)에 의해, 심체(4)측으로부터의 필압의 인가가 없어졌을 때에는, 맞물림 돌기부(73i, 73j)가 맞물림 단부(34a 및 34b)에 맞물리는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감압용 부품(7)을, 감압용 부품 유지부(3a)를 구성하는 통상체(34) 내에 수납한 후, 통상체(34)의 오목 구멍(31)의 개구측의 단면에는, 도 4 (B)에 도시하는 전술한 도체 단자 부재(14)를, 전술한 것처럼, 그 장착용 판부(142 및 143)에 의해, 통상체(34)의 돌기부(32, 33)가 형성되어 있는 2평면을 사이에 두고, 장착용 판부(142 및 143)의 관통공(142a, 143a)에 돌기부(32, 33)를 감합시키도록 하여 탄성적으로 장착한다. 그 후,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탄성 부재(9)가 감합된 심체 홀더(6)의 봉상부(62)를, 도체 단자 부재(14)의 맞닿음판부(141)의 관통공(141a)을 통해서, 통상체(34)의 오목 구멍(31) 내에 삽입하여, 유지 부재(73)에 감합한다. 이것에 의해,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대해서, 심체 홀더(6)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기판 홀더(3)의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심체 홀더(6)가 감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심체 홀더(6)에 감합되어 있는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에 압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심체(4)는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탄성 부재(9)에 의해 심체 홀더(6)에 대해서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심체(4), 도전성 탄성 부재(9), 심체 홀더(6)는, 모두 도전성을 가지므로, 도전성의 코일 용수철(13) 및 도체 단자 부재(14)를 통해서 심체(4)와 프린트 기판(8)의 신호 발신 회로(8S)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2 (B) 참조). 따라서 프린트 기판(8)의 신호 발신 회로(8S)로부터의 신호가 심체(4)로부터 송출되도록 된다.
이 경우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체(4), 도전성 탄성 부재(9), 심체 홀더(6) 및 코일 용수철(13)은, 축심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가 되어 있지만, 필압 검출용 모듈을 구성하는 유지 부재(73)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필압 검출용 모듈의 부분에서, 축심 방향의 전기적 접속은 중단되게 된다. 그렇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필압 검출용 모듈에 걸려 있는 도체 단자 부재(14)에 의해, 필압 검출용 모듈을 우회하여 축심 방향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압 검출용 모듈이 축심 방향으로 존재하고 있더라도, 축심 방향으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전술한 것처럼, 심체(4)는 심체 홀더(6)에 감합되어 있는 도전성 탄성 부재(9)의 관통공(9a)에 압입 감합되어 심체 홀더(6)에 유지된 상태에서, 선단부(42)측의 방향으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것처럼, 심체(4)는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판 홀더(3)의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와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段部)(3c)에는, 당해 단부(3c)를 넘도록 하는 도체편(15)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체편(15)의 일단부(15a)는,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3b)의 프린트 기판(8)의 어스 도체와 접속된다. 한편, 이 도체편(15)의 타단부(15b)는, 단부(3c)와 충합하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런트 캡(22)과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기판(8)의 어스 도체는, 프런트 캡(22) 및 케이스 본체(21) 및 리어 캡(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위치 지시기(1)에 있어서, 심체(4)의 선단부(42)에 압력이 인가되면, 그 압력에 따라서, 심체(4)는 축심 방향으로 리어 캡(23)측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이 심체(4)의 변위에 의해, 심체 본체부(41)가 결합되어 있는 감압용 부품 유지부(3a) 내의 유지 부재(73)가 탄성 부재(75)의 탄성 편의력에 저항하여, 유전체(71)측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유지 부재(73)에 감합되어 있는 도전 부재(74)가, 유전체(71) 측으로 변위하여, 도전 부재(74)와 유전체(71) 사이의 거리, 추가로는, 도전 부재(74)와 유전체(71)의 접촉 면적이, 심체(4)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극을 구성하는 단자 부재(72)와, 제2 전극을 구성하는 도전 부재(74)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심체(4)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이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프린트 기판(8)에 마련되어 있는 IC(10)로 검출되어 필압이 검출된다.
위치 지시기(1)의 IC(10)는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해서, 예를 들면, 위치 검출을 위한 버스트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위치 지시기(1)의 프린트 기판(8)에 구성되어 있는 회로에서는, 버스트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기간에, 상술한 필압 검출용 모듈로 구성되는 가변 용량 콘덴서의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필압을 검출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위치 지시기(1)는 버스트 신호의 송출 기간의 종료 후, 검출한 필압에 따른 부호화 신호를 심체(4)로부터 송출한다.
위치 검출 장치는, 예를 들면, 제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기(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위치 지시기(1)로부터의 버스트 신호를,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 중 어느 것으로 수신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지시기(1)에 의한 지시 위치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 중 어느 것으로 수신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지시기(1)에 의한 지시 위치의 Y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부상에 있어서의 위치 지시기(1)에 의한 지시 위치의 X좌표 및 Y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위치 검출 장치는 버스트 신호 후에 위치 지시기(1)로부터 보내져 오는 필압에 따른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필압을 검출하도록 한다.
이 위치 검출 장치의 회로 구성은, 기존의 것을 적용 가능하므로, 이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지시기(1)에 의하면, 심체(4)를 교환 가능하게 하면서, 심체 홀더(6)에 대해서 도전성 탄성 부재(9)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린트 기판(8)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발생 회로와 심체(4)를, 심체 홀더(6), 코일 용수철(13), 도체 단자 부재(14)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8)의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심체(4)로부터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심체(4), 도전성 탄성 부재(9), 심체 홀더(6), 코일 용수철(13), 도체 단자 부재(14)를 감압용 부품 유지부(3a)에 장착한 기판 홀더(3)를, 축심 방향으로 배열하여, 감합 및 결합하도록 하고, 그 결합한 것을 위치 지시기(1)의 케이스(2) 내에 수납하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는,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에 바람직한 구조이다.
[위치 지시기의 주요부의 변형예]
<제1 변형예>
도 5는 심체(4)를, 도전성 탄성 부재(9)를 매개로 하여 심체 홀더(6)에 대해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구성의 위치 지시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의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는, 도전성 고무로 구성되는 도전성 탄성 부재와, 심체 홀더의 구성이, 전술한 예의 위치 지시기(1)와는 약간 다르다. 그 외는, 상술한 예의 위치 지시기(1)와 모두 같게 구성된다.
즉, 도 5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변형예의 위치 지시기의 도전성 탄성 부재(9A)는 전술한 도전성 탄성 부재(9)와 마찬가지로 원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파지부(91)를 구비함과 아울러, 걸림용 돌기부(94, 95)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예의 도전성 탄성 부재(9A)는, 그 원통 모양 형상부의 걸림용 돌기부(94, 95)의 위치로부터 파지부(91)까지의 원통 모양 형상부의 외경이, 파지부(91)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예의 도전성 탄성 부재(9A)에는 구멍부로서, 도 5 (A)에 도시하는 것처럼, 관통공이 아니고,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감합되는 오목 구멍(9A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전성 탄성 부재(9A)가 감합되는 심체 홀더(6A)의 수납 감합부(61)의 오목 구멍(61Aa)에는, 전술한 위치 지시기(1)의 경우의 심체 홀더(6)의 오목 구멍(61b)과 같은 심체 본체부(41)의 선단이 삽입되는 오목 구멍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도전성 탄성 부재(9A)가 이용되므로, 도 5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심체 홀더(6)의 수납 감합부(61)의 오목 구멍(61Aa)에 도전성 탄성 부재(9A)가 감합되어 걸림용 돌기부(94, 95)가 심체 홀더(6)의 개구부(63, 64)에 맞물리는 상태가 되면, 도전성 탄성 부재(9A)의 걸림용 돌기부(94, 95)의 위치로부터 파지부(91)까지의 원통 모양 형상부의 외경이, 파지부(91)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크게 되어 있으므로, 도전성 탄성 부재(9A)의 오목 구멍(9Aa)은 파지부(91)측이 오므라지도록 변위한다.
파지부(91)는 전술한 것처럼 박부임과 아울러, 슬릿(92, 93)(도 5에서는 도시는 생략)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를 압입할 때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변위하여,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는, 도 5 (C)에 도시하는 것처럼 압입 감합된다. 그리고 이 심체(4)의 도전성 탄성 부재(9A)를 매개로 한 심체 홀더(6)로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는, 도 5 (C)에 도시하는 것처럼,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파지부(91)의 오무라짐에 의해, 보다 강고하게 유지된다. 물론, 심체(4)를 심체 홀더(6)와의 감합에 저항하여 당김으로써, 심체(4)를 도전성 탄성 부재(9A)로부터 뽑아낼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도전성 탄성 부재(9A)의 걸림용 돌기부(94, 95)의 위치로부터 파지부(91)까지의 원통 모양 형상부의 외경을, 파지부(91)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크게 하도록 했지만, 도전성 탄성 부재(9A)의 원통 모양 형상부의 외경의 전체에 걸쳐, 파지부(91)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예의 도전성 탄성 부재(9A)에 있어서도, 구멍부로서는, 오목 구멍(9Aa)이 아니고, 상술한 예의 도전성 탄성 부재(9)와 마찬가지로 관통공(9a)의 구성으로 해도 되고, 그 경우에도,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가 파지부(91)의 오무라짐에 의해, 보다 강고하게 유지된다.
<제2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의 위치 지시기(1)에 있어서는, 심체 홀더(6)에 대해서, 별도의 부재의 도전성 탄성 부재(9)가 감합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도전성 탄성 부재는, 심체 홀더의 오목 구멍 내에 미리 피착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6은 그처럼 구성되는 예의 위치 지시기에서 이용되는 심체 홀더(6B)와, 심체(4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예에 있어서는, 심체 홀더(6B)의 수납 감합부(61B)의 오목 구멍(61Ba)의 벽면에는, 예를 들면 도전 고무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탄성 부재(9B)가 미리 피착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예의 심체(4B)는, 심체 본체부(41)와 선단부(42)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심체(4)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도전성 수지(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감합부(43)가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심체(4)와 상이하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심체 홀더(6B)의 수납 감합부(61B)의 오목 구멍(61Ba) 내에, 심체(4B)의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의 도전성 감합부(43)가 삽입되어, 심체 홀더(6B)에 심체(4B)가 감합되어 유지된다.
도 7은 이 예의 심체(4B)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7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소정의 용기(44)에 용융(溶融)한 도전성 고무의 액체(43Lq)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 예의 심체(4B)는 심체 본체부(41)의 단부를, 용기(44) 내의 도전성 고무의 액체(43Lq)에 침지(浸漬)하여, 당해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도전성 고무의 액체(43Lq)를 부착시킨 후, 들어올리고, 당해 부착한 도전성 고무의 액체(43Lq)를 건조시켜, 심체 본체부(41)에 제대로 부착시킨다. 이상의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의, 용기(44) 내의 도전성 고무의 액체(43Lq)로의 침지, 들어올림, 건조를 반복함으로써,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도전성 감합부(43)를 형성한다(도 7 (B) 참조).
또한, 미리 도전성 감합부(43)를 형성해 두고, 심체(4)의 심체 본체부(41)에 감합시키고, 접착제에 의해 심체 본체부(41)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3 변형예>
제3 변형예는 제2 변형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고, 제2 변형예의 심체 홀더(6B)는 그대로 이용한다. 그리고 이 제3 변형예에서는, 심체의 구성이 제2 변형예와는 상이하다.
도 8은 제3 변형예의 위치 지시기에서 이용되는 심체 홀더(6B)와, 심체(4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예의 심체(4C)는 심체(4)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체 본체부(41)와 선단부(42)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나사산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사산부(41a)가 형성되어 있는 심체 본체부(41)의 부분이, 심체 홀더(6B)의 수납 감합부(61B)의 오목 구멍(61Ba) 내에 압입 감합된다. 이때, 심체 본체부(41)의 나사산부(41a)가 심체 홀더(6B)의 수납 감합부(61B)의 오목 구멍(61Ba)의 벽면에 피착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탄성 부재(9B)와 맞물려서, 양자의 마찰력에 의해, 심체(4C)는 심체 홀더(6B)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심체 본체부(41) 자신을 돌려 깎아, 나사산부(41a)를 형성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나사 부재를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고착하여, 나사산부(41a)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4 변형예>
도 9는 제4 변형예의 위치 지시기에서 이용되는 심체 홀더(6D)와, 심체(4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예의 심체 홀더(6D)는 수납 감합부(61D)의 수납 오목부(61Da) 내에, 도전성 재료의 폼(거품) 부재가, 도전성 탄성 부재(9D)로서 미리 수납되어 고착되어 있다.
한편, 이 예의 심체(4D)는 심체(4)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체 본체부(41)와 선단부(42)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심체 본체부(41)의 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첨예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심체(4D)는 심체 본체부(41)의 첨예부(41b)에 의해, 도전성 탄성 부재(9D)의 폼 부재를 찌르도록 하여 감합시킨다.
이 제4 변형예에서는, 심체 본체부(41) 자신의 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첨예부(41b)를 형성했지만, 선단이 뾰족하고, 비틀어 넣을 수 있는 나사 부재를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에 고착하여, 첨예부(41b)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4 변형예에서는, 심체 홀더(6D)의 수납 오목부(61Da)에는, 도전성 재료의 폼(거품) 부재를 수납하도록 했지만, 폼 부재가 아니고, 도전성 재료로서, 심체 본체부(41)의 단부의 첨예부(41b)에 의해 찔러서, 심체(4)를 심체 홀더(6)에 유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심체(4)를 빼고 꽂을 수 있는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여도 된다.
<제5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심체(4)는 도전성의 수지에 의해, 심체 본체부(41)와 선단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이용했다. 그러나 심체는 다양한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또, 심체의 심체 본체부와 선단부는 별도의 몸체(별도의 재료)의 구성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도 10에 심체의 변형예의 몇 가지를 도시한다. 즉, 도 10 (A)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심체 본체부(41)와 선단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지만, 도전성 재료로서 도전성 금속을 이용했을 경우의 심체(4E)이다. 또한, 이 경우의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수지나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전성의 펠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 (B)에 도시하는 예의 심체(4F)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된 심체 본체부(41F)와 선단부(42F)를,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심체 본체부(41F)와 선단부(42F)의 결합 방법으로서는, 접착이나, 나사 끼움 결합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예의 심체 본체부(41F)는 심체로서 강도를 고려한 경도가 높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이나 경질의 도전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 선단부(42F)는 심체(4F)의 위치 검출 장치의 입력면과의 사이의 접촉감으로서, 미끄러짐이 좋다는 감촉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다소 걸리는 감이 있는 감촉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또한 비교적 부드러운 접촉감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하는 것을 고려한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도전성 수지로 구성된다.
이 예와 같이, 심체 본체부와 선단부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필기감을 현출하는 다종의 심체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는 그 다종의 심체 중에서, 원하는 필기감의 심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0 (C)에 도시하는 예의 심체(4G)는, 도 10 (B)의 예와 마찬가지로, 심체 본체부(41G)와 선단부(42G)를 별도의 부재로 하지만, 심체 본체부(41G)는 선단부(42G)와의 결합부(41Ga)를 구비하고, 선단부(42G)와의 결합 면적을, 도 10 (B)의 예보다도 크게 하여, 보다 강고하게 양자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 10 (C)의 예에 있어서는, 심체 본체부(41G)와 선단부(42G)를, 모두 도전성의 수지로 구성해도, 서로 다른 재료로 하여, 용착, 특히 열용착의 예로서의 2색 성형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한다. 선단부(42G)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으로 구성되고, 또 심체 본체부(41G)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수지는, 도전성을 가지는 것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도 10 (C)의 예에 있어서는, 선단부(42G)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서, 다양한 경도, 재질감을 나타내는 것을 채용함으로써, 다종 다양한 필기감을 실현할 수 있는 심체(4)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 (D)에 도시하는 예의 심체(4H)는, 선단부(42H)를, 기대부(42Ha)와 돌출부(42Hb)로 나누고, 이들을 2색 성형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선단부(42H)의 기대부(42Ha)에 형성한 오목부에, 심체 본체부(41H)를 감합시키고, 예를 들면 접착재에 의해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돌출부(42Hb)는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로 구성되고, 기대부(42Ha)는 돌출부(42Hb)보다도 경질의 도전성 수지,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도록 된 폴리카보네이트나 ABS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또, 심체 본체부(41C)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심체는 적어도 선단부의 재질이 상이한 것이 복수 종,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체의 선단부와 위치 검출 장치의 입력면의 사이의 접촉감으로서, 미끄러짐이 좋다는 감촉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다소 걸리는 감이 있는 감촉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또 비교적 부드러운 접촉감이 얻어지는 재질로 하거나 한 것을 준비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위치 지시기의 구동 전원은 전지로 했지만, 전원 전압을 축적하는 콘덴서를 위치 지시기에 마련하고, 당해 콘덴서를 구동 전원으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 콘덴서에 전원 전압을 축적하는 구성은, 전자 유도나 전계 결합에 의해서 전력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수취하여 충전하는 충전 회로의 구성으로 해도 되고, 위치 지시기에 추가로 충전 단자를 마련하고, 전용의 충전 장치로부터 당해 충전 단자를 통해서 충전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력 에너지(전자 에너지나 전계 에너지)는,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위치 지시기에 공급하도록 해도 되고, 전용의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기적 접속용 부재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용수철(13)과 도체 단자 부재(14)로 구성하도록 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심체 홀더(6)와 신호 발신 회로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특히, 필압 검출 모듈을 탑재하지 않은 위치 지시기의 경우에는, 심체 홀더(6)는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코일 용수철(13)과 같은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도전 부재는 불필요하고, 전기적 접속용 부재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1 … 위치 지시기, 2 … 케이스,
21 … 케이스 본체, 22 … 프런트 캡,
23 … 리어 캡, 3 … 기판 홀더,
3a … 감압용 부품 유지부, 3b … 프린트 기판 재치대부,
4 … 심체, 5 … 전지,
6 … 심체 홀더, 7 … 감압용 부품,
8 … 프린트 기판, 9 … 도전성 탄성 부재,
10 … IC, 13 … 코일 용수철,
14 … 도체 단자 부재.

Claims (23)

  1. 도전성을 가지는 심체(芯體)와,
    상기 심체를 파지(把持)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심체를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도전성 탄성 부재와,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를 감합하여,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에 감합된 상기 심체를 유지하기 위한 심체 홀더와,
    신호 발신부와,
    상기 심체 홀더와 상기 신호 발신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용 부재를 가지고,
    상기 신호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전기적 접속용 부재, 상기 심체 홀더 및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심체로부터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심체가 감합하는 구멍부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원통 중심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원통 중심축 방향을 따른 슬릿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 형상의 상기 원통 중심축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감합되는 상기 심체를 파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심체가 감합하는 구멍부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통 형상의 원통 중심축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원통 형상의 최대 외경(外徑)보다도 작은 지름의, 상기 구멍부에 감합되는 상기 심체를 파지 고정하기 위한 상기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구멍부에 감합되는 상기 심체를, 상기 파지부에 의해 파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의 상기 구멍부는, 상기 심체가 관통하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체 홀더는
    상기 원통 형상의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가 감합되는,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의 상기 최대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의 원주(圓柱) 형상의 오목 구멍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가 상기 오목 구멍에 감합되었을 때,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원통 중심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구멍부에 감합되는 상기 심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심체 홀더는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의 외벽에는 돌기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심체 홀더에는,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가 감합되었을 때,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의 외벽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맞물림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가 상기 심체 홀더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체 홀더의, 상기 감합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에 심체가 감합되는 측과는 반대측은, 필압 검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심체 홀더는,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를 매개로 하여 유지되고 있는 상기 심체에 인가되는 필압을, 상기 필압 검출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압 검출부는 상기 심체 홀더를 유지 고정하는 심체 홀더 유지부를 가지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심체 홀더가 위치 지시기의 축심 방향으로 감합되는 오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심체 홀더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상기 축심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축심 방향을 따른 슬릿을 구비하여 상기 유지부의 상기 축심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심체 홀더를 유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용 부재는 도전성의 코일 용수철과, 상기 신호 발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도체 단자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의 코일 용수철의 일단측이 상기 심체 홀더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심체 홀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도전성의 코일 용수철의 타단측이 상기 도체 단자 부재와 충합(衝合)함으로써 상기 신호 발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용수철에 의해 상기 심체 홀더는, 중심축 방향의 상기 심체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심체 홀더는 상기 심체에 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필압의 인가가 없어졌을 때, 상기 코일 용수철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심체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선단부(先端部)와, 상기 선단부에 연속해 있는 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상기 선단부보다도 상기 축부는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축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선단부가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축부가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선단부가 제1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부가 제2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축부가 도전성 펠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상기 축부의 상기 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미단부(尾端部)는 첨부(尖部)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상기 축부의 상기 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미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심체의 상기 축부의 상기 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미단부에는 도전성 수지가 용착(溶着)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수지의 부분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와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 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는 기포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심체 홀더에 매립되어 있어, 상기 심체의 상기 첨부로 된 상기 미단부가 꽂힘으로써, 상기 심체의 유지와 전기적 도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KR1020177000633A 2014-07-08 2014-07-08 위치 지시기 KR102248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8117 WO2016006030A1 (ja) 2014-07-08 2014-07-08 位置指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499A true KR20170029499A (ko) 2017-03-15
KR102248709B1 KR102248709B1 (ko) 2021-05-07

Family

ID=5282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633A KR102248709B1 (ko) 2014-07-08 2014-07-08 위치 지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14483B2 (ko)
EP (1) EP3168716B1 (ko)
JP (1) JP5687398B1 (ko)
KR (1) KR102248709B1 (ko)
CN (2) CN106462261B (ko)
TW (1) TWI649679B (ko)
WO (1) WO2016006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709B1 (ko) * 2014-07-08 2021-05-0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KR20160092360A (ko) * 2015-01-27 201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KR102413173B1 (ko) 2015-04-17 2022-06-2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펜
CN107533384B (zh) * 2015-04-20 2020-10-20 株式会社和冠 使用了主动式触控笔及传感器控制器的方法、传感器控制器、以及主动式触控笔
CN112181175B (zh) * 2015-04-20 2024-05-31 株式会社和冠 传感器控制器、主动式触控笔及使用了它们的方法
WO2016185915A1 (ja) * 2015-05-15 2016-11-24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TWI612446B (zh) * 2016-05-10 2018-01-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系統、觸控筆及其偵測方法
JP6037492B1 (ja) 2016-06-24 2016-12-07 株式会社ワコム 発信型電子ペンの信号発信回路及び発信型電子ペン
DE202016103403U1 (de) * 2016-06-28 2017-09-29 Stabilo International Gmbh Federnder Batteriekontakt mit Sensorschutz
TWI802191B (zh) 2016-07-22 2023-05-11 日商和冠股份有限公司 電子筆及座標輸入裝置
TWI626563B (zh) * 2017-03-08 2018-06-11 翰碩電子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其主動式電容觸控筆
JP2019046006A (ja) * 2017-08-31 2019-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ペン
JP6952591B2 (ja) * 2017-12-11 2021-10-2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本体部
CN112005199B (zh) * 2018-05-25 2024-04-09 株式会社和冠 电子笔
WO2020054163A1 (ja) * 2018-09-13 2020-03-19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および電子ペン用の芯体
TWI684122B (zh) 2019-02-26 2020-02-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腦系統以及其輸入裝置
JP7425043B2 (ja) 2019-03-22 2024-01-3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JPWO2020202761A1 (ko) * 2019-04-03 2020-10-08
JPWO2020235342A1 (ko) 2019-05-20 2020-11-26
WO2021070516A1 (ja) 2019-10-11 2021-04-15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本体部
WO2021075257A1 (ja) 2019-10-16 2021-04-22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用本体部
JP7424829B2 (ja) 2019-12-27 2024-01-3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用芯体および電子ペン
WO2021149535A1 (ja) 2020-01-21 2021-07-29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用カートリッジ並びに電子ペン用充電トレー
WO2021157295A1 (ja) 2020-02-06 2021-08-12 株式会社ワコム 静電容量方式の電子ペン及び静電容量方式の電子ペンカートリッジ並びに電子ペン用の充電トレー及び電子ペンカートリッジ用の充電トレー
WO2021246007A1 (ja) * 2020-06-01 2021-12-09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JP2022171167A (ja) 2021-04-30 2022-11-11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用芯体及び電子ペン本体部
TW202349164A (zh) * 2022-06-01 2023-12-16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筆及其筆芯結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980A (ja) * 2005-04-20 2006-11-02 Hitachi Maxell Ltd ペン型入力装置、ペン、およびペン芯を保持する保持部材
KR20110102122A (ko) * 2010-03-09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가변 용량 컨덴서 및 입력 장치
JP2011243081A (ja) 2010-05-20 2011-12-01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CN203276192U (zh) * 2013-05-03 2013-11-06 梁徽湖 用于触控界面的输入设备
JP2014081793A (ja) * 2012-10-16 2014-05-08 Sharp Corp ペン型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233U (ko) * 1984-10-15 1986-05-14
JP3150685B2 (ja) * 1990-08-06 2001-03-26 株式会社ワコム 可変容量コンデンサ
JPH0665928U (ja) * 1993-02-17 1994-09-16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座標位置入力装置用スタイラスペン及びタブレット
EP0717368B1 (en) * 1994-12-16 2001-10-04 Hyundai Electronics America Digitizer stylus and method of operation
JPH09185451A (ja) * 1995-12-27 1997-07-15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JP4972782B2 (ja) * 2007-06-22 2012-07-1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5109171B2 (ja) * 2007-09-18 2012-1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位置入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5235631B2 (ja) * 2008-11-28 2013-07-1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可変容量コンデンサ及び入力装置
US8464288B2 (en) * 2009-01-21 2013-06-1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dia in video
JP5442479B2 (ja) * 2010-02-05 2014-03-12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KR101033154B1 (ko) * 2010-03-11 2011-05-11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터치 패널
CN102870067B (zh) * 2010-03-25 2016-05-1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电子装置的扭曲
US9176630B2 (en) * 2010-08-30 2015-11-03 Perceptive Pixel, Inc. Localizing an electrostatic stylus within a capacitive touch sensor
JP5569939B2 (ja) * 2010-09-27 2014-08-13 株式会社ワコム 可変容量コンデンサ、位置指示器および入力装置
JP5892595B2 (ja) * 2012-02-06 2016-03-2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5991735B2 (ja) * 2012-04-13 2016-09-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US20130321355A1 (en) * 2012-05-31 2013-12-05 N-Trig Ltd. Writing tip for a stylus
JP2014021674A (ja) * 2012-07-17 2014-02-03 Wacom Co Ltd 位置指示器
JP5922567B2 (ja) * 2012-12-26 2016-05-24 Tdk株式会社 電子ペン用感圧素子保持装置
TWM467942U (zh) * 2013-09-02 2013-12-11 Te-Hsiang Fang 主動式觸控筆(二)
KR102248709B1 (ko) * 2014-07-08 2021-05-0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980A (ja) * 2005-04-20 2006-11-02 Hitachi Maxell Ltd ペン型入力装置、ペン、およびペン芯を保持する保持部材
KR20110102122A (ko) * 2010-03-09 2011-09-1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가변 용량 컨덴서 및 입력 장치
JP2011243081A (ja) 2010-05-20 2011-12-01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4081793A (ja) * 2012-10-16 2014-05-08 Sharp Corp ペン型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CN203276192U (zh) * 2013-05-03 2013-11-06 梁徽湖 用于触控界面的输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09B1 (ko) 2021-05-07
US10114483B2 (en) 2018-10-30
EP3168716B1 (en) 2020-09-09
CN111665957A (zh) 2020-09-15
JPWO2016006030A1 (ja) 2017-04-27
CN106462261A (zh) 2017-02-22
US10372241B2 (en) 2019-08-06
JP5687398B1 (ja) 2015-03-18
TW201602848A (zh) 2016-01-16
EP3168716A4 (en) 2018-05-30
WO2016006030A1 (ja) 2016-01-14
CN106462261B (zh) 2020-06-30
US20170102792A1 (en) 2017-04-13
CN111665957B (zh) 2024-04-23
US20190025952A1 (en) 2019-01-24
TWI649679B (zh) 2019-02-01
EP3168716A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9499A (ko) 위치 지시기
US10156915B2 (en) Position pointing device and core body for position pointing device
JP5761773B1 (ja) 位置指示用モジュールおよびスタイラスペン
JP5999803B1 (ja) 位置指示器
EP3333678B1 (en) Electronic pen
CN104808816A (zh) 主动式电容触控笔
US11880514B2 (en) Electronic pen and electronic pen body portion
JP5773472B1 (ja) 位置指示器及び位置検出装置
CN103587292A (zh) 组合式笔补充匣和有源触控笔
JP5869193B1 (ja) 位置指示器及び位置指示器用カートリッジ
CN112955853A (zh) 静电容方式的电子笔
CN112639693A (zh) 手写笔
CN111813244A (zh) 触控笔结构
JP2015212906A (ja) 位置指示器
TWI460619B (zh) 具有觸控筆頭的筆型輸入裝置
JP7513627B2 (ja) 電子ペン
CN112041793A (zh) 手写笔套及使用该手写笔套的手写笔
CN117631856A (zh) 触控笔和电子设备
JP2015125753A (ja) 位置指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