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360A -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360A
KR20160092360A KR1020150012895A KR20150012895A KR20160092360A KR 20160092360 A KR20160092360 A KR 20160092360A KR 1020150012895 A KR1020150012895 A KR 1020150012895A KR 20150012895 A KR20150012895 A KR 20150012895A KR 20160092360 A KR20160092360 A KR 2016009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lectrode
stylus pen
variable
conductiv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남
한세현
김병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360A/ko
Priority to PCT/KR2015/011117 priority patent/WO2016122084A1/en
Priority to US14/926,114 priority patent/US10488951B2/en
Priority to TW104139047A priority patent/TWI587183B/zh
Priority to EP15197733.7A priority patent/EP3051396B1/en
Priority to CN201610027999.8A priority patent/CN105824442B/zh
Publication of KR2016009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Abstract

스타일러스 펜이 개시된다. 본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전도성 팁, 전기장 송신 신호에 대응한 전기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부, 전도성 팁과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전도성 팁에 가해지는 필압에 따라 전기장 수신 신호를 가변하는 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커패시터 외부에 배치되어, 전도성 팁과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STYLUS PEN AND TOUCH PENEL}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도 가변 커패시터의 제2 전극을 회로부에 연결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장되는 접촉 위치 측정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스마트폰에 특정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최근의 터치 스크린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에서의 필압도 감지하여, 위치 및 필압에 따른 다양한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의 필압을 감지하기 위하여, 펜의 필압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커패시터가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변 커패시터는 두 전극 간의 거리 또는 두 전극 간의 면적에 의하여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에는 두 전극 간의 면적 변화에 의하여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가변 커패시터가 채용된 스타일러스 펜에서, 커패시터의 두 전극은 펜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밖에 없으며, 공진 회로는 펜의 후단 측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펜의 앞 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전극을 공진 회로에 연결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스타일러스 펜은 직경을 최소화하여 구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직경 변화없이 가변 커패시터의 두 전극 모두를 공진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도 가변 커패시터의 제2 전극을 회로부에 연결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전도성 팁, 상기 전기장 송신 신호에 대응한 전기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부,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팁에 가해지는 필압에 따라 상기 전기장 수신 신호를 가변하는 가변 커패시터, 및, 상기 가변 커패시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바디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가지는 유전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전도성 팁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면적이 가변되는 전도성 가변 전극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하는 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하는 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전도성 러버(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직접적인 접촉 및 커패시티브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전도성 바디와 절연되며,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전도성 팁의 위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가변 커패시터를 수용하는 튜브형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상기 전도성 바디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팁은 외주면에 절연체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변 커패시터와 절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체는, 제1 및 제2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캡은 상기 하우징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 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캡은 상기 전도성 팁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 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전도성 팁의 외주면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팁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일 단이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 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비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바디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일단과 결합하는 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부재는 상기 전도성 팁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스타일러스 펜은, 양단에 수용 홈이 각각 형성된 전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수용 홈에는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타 단에 형성된 제2 수용 홈에는 상기 전도성 팁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는, 외주면에 절연체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절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부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 제2 커패시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일 단이 상기 회로부의 일 단에 직접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전도성 바디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일 단에 돌출되게 배치된 전도성 팁,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가지는 유전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전도성 팁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면적이 가변되는 전도성 가변 전극, 및, 상기 유전체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및 상기 제1 전극과는 절연된 전도성 바디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터치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전기장 송신 신호에 대응한 전기장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루는 필압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루는 필압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를 이루는 유전체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를 이루는 제1 전극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를 이루는 전도성 가변 전극의 단면도,
도 9는 도 5의 가변 커패시터의 다른 예에 의한 전도성 가변 전극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전도성 가변 전극의 단면도,
도 11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의 또 다른 예에 의한 전도성 가변 전극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전도성 가변 전극의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전도성 바디의 사시도,
도 14는 도 5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절연체를 이루는 복수의 캡의 사시도,
도 16은 도 5의 절연체를 이루는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17a 및 17b는 도 5의 제1 및 제2 전도성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도 5의 다른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측면도,
도 19는 도 5의 또 다른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측면도,
도 20은 도 4의 Ⅰ-Ⅰ'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도 3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루는 다른 예에 의한 필압모듈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필압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Ⅱ-Ⅱ'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200) 및 스타일러스 펜(100)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200)은 스타일러스 펜(100)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200)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전기장 송신 신호(즉,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장 송신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터치 패널로 접근한 물체(즉, 스타일러스 펜)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200)은 스타일러스 펜(100)의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즉, 전기장 수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200)은 태블릿, 디지타이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이거나, 태블릿, 디지타이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전자 칠판 등일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형성된 커패시턴스를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즉,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100)은 공진 회로에서 야기되는 응답 신호(즉, 전기장 수신 신호)를 터치 패널(2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100)은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타일러스 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200)이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전기장 송신 신호를 제공하는바, 스타일러스 펜(100)은 자체적인 전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이 패시브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스타일러스 펜은 자체 전원을 구비하여 패시브 방식으로도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200)이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100)의 위치만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손가락의 위치에 따른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인한 신호 크기 변화 등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만,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200)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은 널리 알려진 기술인바, 본 건에서는 스타일러스 펜(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 패널(200)에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100)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1대의 터치 패널(200)에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패널(200)은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100)은 전도성 팁(110), 공진 회로부(120), 접지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100)은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은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도성 팁(1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팁(1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도성 팁(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1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부(120)(또는 회로부)는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공진회로와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진 회로부(120)는 터치 패널(2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즉,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120)는 터치 패널(2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장 송신 신호에 공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120)는 전기장 송신 신호의 입력이 중단된 이후에도 공진에 의한 전기장 수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부(120)는 공진 회로부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120)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공진 회로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120)는 인덕터(125), 커패시터(126), 가변 커패시터(12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120)의 일 단이 전도성 팁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될 수 있다.
인덕터(125) 및 커패시터(126)는 병렬 연결되어, 공진 회로로 동작한다. 이러한 공진 회로는 특정 공진 주파수에서 고-임피던스(high-imped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121)는 공진 회로와 병렬 연결되며,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되면, 전체 공진회로의 커패시턴스도 가변하게 되어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즉, 가변 커패시터(121)는 전도성 팁에 가해지는 필압에 따라 전기장 수신 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커패시터(121)의 구체적인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200)에 제공되는 응답 신호는, 터치 패널(200)과의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 되는바, 터치 패널(200)은 스타일러스 펜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200)의 필압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가변 커패시터(121)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인덕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진 회로부(1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루는 필압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루는 필압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루는 필압모듈(190')은 가변 커패시터(121), 전도성 팁(110), 탄성부재(160), 하우징(140), 절연체(150), 전도성 바디(127) 및 전도성 지지부재(170)를 포함한다.
전도성 팁(110)은 스타일러스 펜(100)의 앞 단에 배치되며, 터치 패널(100) 상에 스타일러스 펜(100)이 놓이면, 사용자의 필압에 따른 압력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전도성 팁(110)은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도성 팁(110)이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110)의 외부에는 절연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121)는 하우징(140) 등을 통하여 전도성 팁(1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성 팁(110)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따라 가변 커패시터(121)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가변 커패시터(121)는 유전체(122), 제1 전극(123), 전도성 가변 전극(124)을 포함한다. 유전체(122)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제1 전극(123)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도성 바디(127)는 전도성 팁(110)과 병렬 공진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바디(127)는 가변 커패시터 외부에 배치되어, 전도성 팁(100)과 병렬 공진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전도성 바디(127)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140)은 가변 커패시터를 수용하는 튜브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인 하우징(140)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절연체(150)는 전도성 팁(11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절연체(150)는 제1 및 제2 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15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탄성부재(160)는 전도성 팁(110)의 위치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3)를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전도성 지지부재(170) 양단에 수용 홈이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절연체가 배치되어 탄성 부재와 절연된다. 구체적인 전도성 지지부재(170)의 기능 및 형태에 대해서는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121)를 이루는 유전체(122)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전체(1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122)는 제1 면(122a) 및 상기 제1 면(122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122b)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전체(122)는 기설정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유전체(122)는 제1 및 제2 면(122a, 122b)이 후술하게 될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을 이루도록 하우징의 타 단에 형성된 개구에 수용될 수 있다. 개구에 수용된 유전체(122)의 제1 면(122a)은 가변 커패시터(121)의 제1 전극과 접촉할 수 있으며,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은 가변 커패시터(122)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이격된 채 마주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121)를 이루는 제1 전극(123)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극(12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23)은 제1 면(123a) 및 상기 제1 면(123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123b)을 포함한다.
제1 전극(123)은 제1 및 제2 면(123a, 123b)이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제1 면(123a)이 병렬 공진회로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제2 면(123b)이 유전체(122)의 제1 면(122a)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23)은 병렬 공진회로의 일단에 직접 연결되는 제2 면(123a)에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3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면(123b)의 크기는 유전체(122)의 제1 면(122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121)를 이루는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면(124a)은 중앙부분이 가장자리 부분보다 일단면(124a)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타 단면(124b)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은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타 단면(124b)은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타 단면(124b)이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전달받으면 즉시 일단면(124a)이 유전체(124b)의 제2 면(122b)과 접촉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압력이 계속해서 인가되는 경우,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일단면(124a)이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을 인가되는 압력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면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이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을 가압하는 힘의 크기 역시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과의 접촉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이 완전히 해제되면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은 더 이상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을 가압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은 후술하게될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가변 커패시터(121)의 다른 예에 의한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은 가장자리부(124'c)가 일단면(124'a)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오목한 부분(124'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부(124'c)와 오목한 부분(124'e)간의 경계(124'd)는 일단면(124'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타 단면(124'b)이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전달받으면 즉시 일단면(124'a)에 돌출되게 형성된 경계(124'd)가 유전체(124'b)의 제2 면(122'b)과 접촉하여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알력에 대해 접촉하는 면적도 다르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접촉면적의 변화는 앞선 예에 의한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전도성 러버(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버는 일반적으로 절연재료이지만, 금속이나 탄소 등 전도재료를 배합함으로써 전도성을 갖게 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전도성 가변 전극(124)에 압력이 해제되면, 전도성 러버의 탄성에 의해 윈 위치를 회복할 수 있다. 원 위치를 회복함에 따라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 단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과의 접촉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가변 커패시터(121)의 또 다른 예에 의한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전도성 가변 전극(124")은 내부에 탄성부재(124"d)가 삽입되어 탄성력이 강화될 수 있다. 탄성부재(124"d)는 전도성 러버로 이루어진 전도성 가변 전극에도 삽입될 수 있다.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에 접촉하는 면적은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뿐만 아니라, 전도성 러버의 탄성력에 따라 변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이 동일한 경우, 전도성 러버의 탄성력이 클수록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의 크기는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에 접촉하는 면적의 넓이에 따라 가변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의 크기는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일한 압력에 대하여,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형태 및 탄성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와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에 접촉하는 면적의 넓이와의 관계는 미리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리 측정된 값에 기반하여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로부터 전도성 팁(110)에 인가되는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 변화에 따라 전도성 가변 전극(124)의 일단면(124a)과 유전체(122)의 제2 면(122b)과의 접촉면적이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 즉, 정전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전도성 가변 전극(124") 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 도 4 및 도 5와 같은 탄성부재(160)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가변 전극 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전도성 가변 전극 이외에 별도의 탄성 부재의 이용이 불필요해 지는바, 치수관리, 조립성, 수율 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가변 커패시터(121)의 형태가 원형의 디스크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가변 커패시터(121)는 다각형의 디스크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변 커패시터(121)의 유전체 및 제1 전극의 제1 면의 형태 역시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전도성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도성 바디(127)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 및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 각각의 일단과 결합하는 원형부재(1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바디(127)는 원형부재(127c)의 중심부에 개구(127d)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127d)에는 전도성 팁(110) 및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팁(110) 및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이 전도성 바디(127)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바디(127)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의 타 단이 병렬 공진회로의 타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바디(127)는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병렬 공진회로의 타 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과 병렬 공진회로의 타 단과 연결하기 위하여 터미널과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전도성 가변 전극과 병렬 연결 회로의 타 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도성 가변 전극 외부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해당 탄성 부재의 일 측에 금속의 막대를 납땜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납땜 등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기구적으로 보다 안정성 있으며, 조립 및 수리에 보다 용이하다.
도 14는 도 5의 하우징(150)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150)은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50)은 내부에 가변 커패시터(12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일단으로부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45)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45)에는 전도성 바디(127)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가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40)은 전도성 팁(110)이 관통하는 개구(146)가 일단에 형성되고, 가변 커패시터(121)의 제1 전극(123)이 위치하는 타 단에 개구(147)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외측면에 전도성 바디(127)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145)가 형성됨으로써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에 연결된 전도성 바디(127)가 개구(145)를 통과하여 하우징(15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50)은 가변 커패시터(121)의 제1 전극(123) 및 유전체(122)로부터 전도성 가변 전극(124)을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 타 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도성 바디(127)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가 관통되어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 홈(142a, 143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지지부(142, 143)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부(142, 143)에 의해 지지되는 전도성 바디(127)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는 가변 커패시터(121)의 제1 전극(12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전도성 바디(127)와 가변 커패시터(121)의 제1 전극(123)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위험이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게될 탄성부재(160)의 타 단을 지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도 5의 절연체(150)를 이루는 복수의 캡(151, 152)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절연체(150)는 예를 들면, 제1 캡(151) 및 제2 캡(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151)은 하우징(140) 일단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 채 전도성 팁(110)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어 탄성부재(160)의 타 단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2 캡(152)은 하우징(140) 일단에 배치되어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캡(151)은 구체적으로, 전도성 팁(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팁(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15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캡(151)은 외주면(151a)을 둘러싸며 외주면(151a)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의 돌기(151b)를 포함한다.
제1 캡(151)의 외주면(151a) 상에 탄성부재(160)의 내주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캡(151)의 외주면(151a) 상에 형성된 링 형상의 돌기(151b)의 일면은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제2 캡(152)은 구체적으로, 전도성 팁(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팁(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152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캡(152)은 외주면(152a)을 둘러싸며 외주면(152a)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의 제1 돌기(152b)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캡(152)은 제1 캡을 마주보는 제2 캡(152)의 측면에 전도성 팁(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의 제2 돌기(152d)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152d)의 외주면상에 탄성부재(160)의 내주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기(152b)의 일면은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도성 팁(110)에 의해 탄성부재(160)가 가압되어 수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캡(152)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160)는 제1 캡(151)을 제2 캡(1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력 해제시 제1 캡(151)에 고정된 전도성 팁(110)의 위치가 탄성부재(160)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150)인 제1 및 제2 캡(151, 152)에 의해 전도성 팁(110)을 탄성부재(16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5의 절연체를 이루는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절연체(150)는 다른 예를 들면, 전도성 팁(110)의 외주면 상에 고정 배치되어 전도성 팁(110)을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153)는 구체적으로, 개구(153a)가 형성되어 개구(153a)를 관통하는 전도성 팁(110)의 외주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53)는 외주면(153f)을 둘러싸며 외주면(153f)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의 돌기(153b)를 포함한다.
링 형상의 돌기(153b)는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도성 바디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가 관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3g)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53g)를 관통하는 전도성 바디의 복수의 플레이트(127a, 127b)는 링 형상의 돌기(153b)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부(153d, 153e)에 의해 지지된 채 가이드부재(153)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3d, 153e)의 측면은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53)는 링 형상의 돌기(153b)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3c)가 형성되어 하우징(140) 측면 상에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홈(144a, 144b)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3c)가 하우징(150)의 측면상에 형성된 장홈(154)에 수용됨에 따라, 가이드부재(153)는 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된 채 하우징(15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53)가 하우징(15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가이드부재(153)에 고정된 전도성 팁(110) 역시 하우징(15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전도성 팁(110)이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141)에 의해 타 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160)는 가압되어 수축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3)를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력 해제시 전도성 팁(110)의 위치가 탄성부재(160)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인 가이드부재(153)는 전도성 팁(110)으로부터 탄성부재(160)를 절연시킬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도 5의 제1 및 제2 전도성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a 및 17b를 참조하면,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부분적으로 하우징(140)에 수용되어 하우징(1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일단부 및 하우징(140)의 일단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 수용 홈(171c, 172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전도성 팁(110)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타 단에 제1 수용 홈(17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가변 전극(124)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에 제2 수용 홈(17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제1 및 제2 전도성 지지부재(171, 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도성 지지부재(171)는 타 단에 전도성 팁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 홈(171c)이 형성되고 타 단은 직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지지부재(171)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 캡(151, 152)의 내주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연장부(171b)에는 제1 캡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지지부재(172)는 일 단에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 홈(17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도성 지지부재(172)의 타 단부(172b)는 가이드부재(153) 개구(153a)의 내주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53)의 개구(153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타 단에는 제1 전도성 지지부재(171)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수용 홈(172c)이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팁(110)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힘에 의해 전도성 팁(110)이 수용되는 수용 홈(171c)이 헐거워 지는 경우, 전도성 팁(110)이 결합되는 수용 홈(171c)이 형성된 제1 전도성 지지부재(171)만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1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패널(200)과 스타일러스 펜(100)과의 접촉압력이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전도성 지지부재(170)에 인가되는 경우,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인가된 압력을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에 전달할 수 있다. 전도성 지지부재(170)에 의해 전달된 압력은 가변 커패시터(121)의 전도성 가변 전극(124)을 변형시킬 수 있다.
전도성 팁(1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8은 도 5의 다른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5의 또 다른 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16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9를 참조하면 탄성부재는 자라바 스프링(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서 도시된 판 스프링(160')이나 도 19에서 도시된 자라바 스프링(160")은 외부를 절연체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전도성 팁(110)이나 전도성 지지부재(170)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도 20은 도 4의 Ⅰ-Ⅰ'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60)가 제1 및 제2 캡(151, 152) 사이에 배치되는 필압모듈(190')을 도시하였다.
도 21은 도 3의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루는 다른 예에 의한 필압모듈(19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필압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Ⅱ-Ⅱ'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2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60)가 가이드부재(153)와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배치된 필압모듈(19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필압모듈(190")은 탄성부재(160)가 제1 및 제2 캡(151, 152) 사이에 배치되는 필압모듈(19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공진 회로부(120')는 인덕터(125), 커패시터(126), 가변 커패시터(121), 제2 커패시터(128) 및 스위치(129)로 구성될 수 있다.
인덕터(125) 및 커패시터(126)는 병렬 연결되어 병렬 공진회로(125, 126)로 동작한다. 이러한 병렬 공진 회로(215, 126)4는 특정 공진 주파수에서 고-임피던스(high-imped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121)는 병렬 공진회로(125, 126)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며, 전도성 팁(1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성 팁(110)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팁(110)의 접촉 압력이 변화하게 되면, 가변 커패시터(121)의 커패시턴스도 가변하게 되고, 공진 시스템 내의 커패시턴스도 가변하게 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128)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가지며, 상술한 병렬 공진 회로(125, 126) 와 병렬 연결된다.
스위치(129)는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온/오프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커패시터(128)를 병렬 공진 회로(125, 126))에 병렬 연결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하면, 제2 커패시터(128)가 병렬 공진 회로(125, 126)에 병렬 연결되어, 공진 시스템 내의 공진 주파수는 가변된다. 이때 가변되는 공진 주파수는 앞선 가변 커패시터(121)의 변화 범위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변 커패시터의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 범위가 5kHz 이내인 경우, 스위치(129)의 동작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 범위는 5kHz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패널(200)에서는 변화된 공진 주파수의 범위를 통하여 가변 커패시터의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인지,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한 변화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가변 커패시터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 및 스위치에 의한 공진 주파수의 변호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사용자의 스위치(129) 동작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 되는바, 터치 패널(200)은 손쉽게 스타일러스 펜(100')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스위치와 직렬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커패시터 대신에 인덕터 또는 다른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상술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진 회로부(120')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의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외면에 스위치(129)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하는 행위에 의해 병렬 공진회로의 일부가 그라운드로 접지되도록 외면에 전도성 케이스(131)가 배치되며, 전도성 케이스(131)와 병렬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PCB(134)간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PCB(134)를 관통하여 전도성 케이스(131)에 접속되는 나사(133)를 포함하는 접속부(132)를 포함한다.
전도성 케이스(131)는 전도성 바디(127)와 절연되며, PCB(134) 내의 접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에서는 전도성 케이스(131)를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 25 및 도 26의 전도성 케이스(131)에서 스위치가 배치되는 홈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7은 도 1의 터치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200)은 채널 전극부(210), 구동부(220), 수신부(230) 및 제어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전극부(2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전극부(2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극부(21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211)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211)은 제1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211-1, 211-2, 211-3, 211-4, 211-5, 2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그룹(211) 내의 복수의 제1 전극(211-1, 211-2, 211-3, 211-4, 211-5, 211-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소정의 송신 신호(Tx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용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 그룹(212)은 제2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212-1, 212-2, 212-3, 212-4, 212-5, 212-6)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그룹(212) 내의 복수의 제2 전극(212-1, 212-2, 212-3, 212-4, 212-5, 212-6)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1 전극에서 입력된 Tx 신호에 의하여 야기되는 Rx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전극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각각에 6개의 전극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의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각 전극의 형상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채널 전극부(210) 내의 전극들에 대해 전기장 송신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장 송신 신호(또는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터치 패널(200)로 접근한 물체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20)는 채널 전극부(210) 내의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장 송신 신는 기결정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일 수 있다.
수신부(230)는 전기장 송신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 내에서 채널 전극부(210) 내의 각 전극에서의 전기장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30)는 하나의 전극 단위로 모든 전극의 전기장 수신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230)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모든 전극의 전기장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부(230)는 수신된 응답 신호(또는 전기장 수신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30)는 각 응답 신호를 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30)는 두 응답 신호 단위로 차동 증폭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30)는 수신된 응답 신호 중 기설정된 주파수 영역 내의 정보만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기장 송신 신호의 인가 및 각각의 전극에 대한 전기장 수신 신호의 수신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도록 구동부(220) 및 수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1 시간 구간에서 모든 제1 전극(211-1, 211-2, 211-3, 211-4, 211-5, 211-6)에 동일한 전기장 송신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하고, 전기장 송신 신호 인가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예를 들어, 211-1)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240)는 제3 시간 구간에서 다시 모든 제1 전극(211-1, 211-2, 211-3, 211-4, 211-5, 211-6)에 동일한 전기장 송신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하고, 전기장 송신 신호 이후의 제4 시간 구간에서 다른 전극(예를 들어, 211-2)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모든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만큼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채널 전극부(210)는 1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바, 제어부(240)는 12번의 인가/수신 동작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전극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제1 전극(211-1, 211-2, 211-3, 211-4, 211-5, 211-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212-1, 212-2, 212-3, 212-4, 212-5, 212-6)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1-3)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1 전극(211-1, 211-2, 211-4, 211-5, 211-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고, 제2 전극(212-2)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2 전극(212-1, 212-3, 212-4, 212-5, 212-6)의 응답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면, 제어부(240)는 제1 전극(211-3)과 제2 전극(212-2)이 교차하는 위치를 스타일러스 펜(100)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패널(2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터치 패널(2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20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200)가 스마트폰, PMP 등의 장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저장부, 통신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7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채널 전극부(210)가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채널 전극부(210)는 복수의 안테나 루프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전극부(210)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안테나 루프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구동부(220), 수신부(230) 및 제어부(24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기 각 구성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 스타일러스 펜 110: 전도성 팁
111: 전도성 팁 러버 120: 공진 회로부
121: 가변 커패시터 122: 유전체
123: 제1 전극 130: 접지부
131: 케이스 132: 접속부
133: 나사 134: PCB
140: 하우징 141: 돌기
142, 143: 외측 지지부 144a, 144b: 장홈
145: 개구 150: 절연체
151: 제1 캡 151a: 제1 캡의 외주면
151b: 링 형상의 돌기 151c: 개구
152: 제2 캡 152a: 제2 캡의 외주면
152b: 링 형상의 제1 돌기 152c: 개구
152d: 링 형상의 제2 돌기 160: 탄성부재
170: 전도성 지지부재 171: 제1 전도성 지지부재
171b: 외측연장부 171c: 수용 홈
172: 제2 전도성 지지부재 172a: 개구
172b: 제2 전도성 지지부재의 타 단부 172c: 수용 홈
190', 190': 필압모듈 200: 터치 패널
210: 채널 전극부 220: 구동부
230: 수신부 240: 제어부
300: 좌표 측정 시스템

Claims (23)

  1. 터치 패널에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전도성 팁;
    상기 전기장 송신 신호에 대응한 전기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부;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팁에 가해지는 필압에 따라 상기 전기장 수신 신호를 가변하는 가변 커패시터; 및
    상기 가변 커패시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바디;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가지는 유전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전도성 팁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면적이 가변되는 전도성 가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하는 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하는 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전도성 러버(Rubb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직접적인 접촉 및 커패시티브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전도성 바디와 절연되며,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팁의 위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를 수용하는 튜브형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상기 전도성 바디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팁은
    외주면에 절연체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변 커패시터와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제1 및 제2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캡은 상기 하우징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 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캡은 상기 전도성 팁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 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전도성 팁의 외주면상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팁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일 단이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 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전도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바디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의 일단과 결합하는 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부재는 상기 전도성 팁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7. 제9항에 있어서,
    양단에 수용 홈이 각각 형성된 전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수용 홈에는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타 단에 형성된 제2 수용 홈에는 상기 전도성 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는,
    외주면에 절연체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기설정된 커패시턴스를 갖는 제2 커패시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일 단이 상기 회로부의 일 단에 직접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전도성 바디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1.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일 단에 돌출되게 배치된 전도성 팁;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가지는 유전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전도성 팁을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유전체의 제2 면과 접촉면적이 가변되는 전도성 가변 전극; 및
    상기 유전체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팁과 상기 전도성 가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및 상기 제1 전극과는 절연된 전도성 바디;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팁과 절연되며, 상기 전도성 팁의 위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3.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한 전기장 송신 신호를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전기장 송신 신호에 대응한 전기장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50012895A 2015-01-27 2015-01-27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KR20160092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95A KR20160092360A (ko) 2015-01-27 2015-01-27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PCT/KR2015/011117 WO2016122084A1 (en) 2015-01-27 2015-10-21 Stylus pen and touch panel
US14/926,114 US10488951B2 (en) 2015-01-27 2015-10-29 Stylus pen and touch panel configured to detect input position and input pressure
TW104139047A TWI587183B (zh) 2015-01-27 2015-11-25 觸控筆
EP15197733.7A EP3051396B1 (en) 2015-01-27 2015-12-03 Stylus pen and touch panel
CN201610027999.8A CN105824442B (zh) 2015-01-27 2016-01-15 触控笔和触摸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95A KR20160092360A (ko) 2015-01-27 2015-01-27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360A true KR20160092360A (ko) 2016-08-04

Family

ID=5478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895A KR20160092360A (ko) 2015-01-27 2015-01-27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8951B2 (ko)
EP (1) EP3051396B1 (ko)
KR (1) KR20160092360A (ko)
CN (1) CN105824442B (ko)
TW (1) TWI587183B (ko)
WO (1) WO20161220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386A1 (ko) * 2017-03-21 2018-09-27 주식회사 더한 방수 기능을 갖는 위치 지시기용 전자펜
US10359869B2 (en) 2016-03-28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ylus p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63456A1 (ko) * 2021-10-15 2023-04-20 이용원 세필용 터치펜의 펜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6383B (zh) * 2016-10-17 2018-09-2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筆與其筆尖結構
TWI599919B (zh) * 2016-10-28 2017-09-21 翰碩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雙發射電極之電容筆
CN108008841A (zh) * 2016-10-28 2018-05-08 翰硕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双发射电极的电容笔
US10095329B1 (en) * 2017-03-28 2018-10-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crete high impedance implementation on push-pull outputs
CN108983996A (zh) * 2017-06-02 2018-12-11 立顶科技有限公司 触控系统以及触控感测控制器与触控笔在其中的运用
CN111033449B (zh) * 2017-09-05 2023-08-08 株式会社和冠 电子笔及电子笔用的笔芯
TWI697814B (zh) * 2018-07-16 2020-07-0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功能模組化之觸控筆
CN110794977B (zh) * 2018-08-03 2023-06-30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双向主动式触控笔及感测系统
KR2020014234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764A (en) * 1987-03-20 1988-11-22 Summagraphics Corporation Digitizer stylus with pressure transducer
WO1995011500A1 (en) * 1993-10-18 1995-04-27 Summagraphics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tylus having resiliently compressible tip element
JPH07200137A (ja) * 1993-12-28 1995-08-04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指示器
US6160539A (en) * 1998-06-08 2000-12-12 Wacom Co., Ltd. Digitizer system with cursor shape changing as a function of pointer location on menu strip
MXPA01005267A (es) * 1998-11-27 2002-04-24 Synaptics Uk Ltd Sensor de posicion.
US6252182B1 (en) * 1999-05-06 2001-06-26 Aiptek International Inc. Digital pressure sensitive electromagnetic pen
US6801192B2 (en) * 2000-12-13 2004-10-05 Wacom Company Ltd. Pen-shaped coordinate pointing device
US20030132923A1 (en) 2002-01-15 2003-07-17 Pro Eton Corporation Combination touch-sensitive screen stylus
CN1194282C (zh) 2002-04-22 2005-03-23 北京汉王科技有限公司 用于计算机录入的无线、无源手写装置
GB0213237D0 (en) * 2002-06-07 2002-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put system
JP2005288794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Pencil Co Ltd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4796768B2 (ja) 2004-12-06 2011-10-19 日本システム開発株式会社 電子ペン入力装置
JP4950679B2 (ja) * 2007-01-26 2012-06-1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装置
JP4872111B2 (ja) * 2007-04-19 2012-02-0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5109171B2 (ja) * 2007-09-18 2012-1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位置入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8184109B2 (en) * 2007-10-24 2012-05-22 Wacom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position indicator and variable capacitor
JP5206343B2 (ja) 2008-11-13 2013-06-1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EP2187289B1 (en) 2008-11-17 2013-09-25 Wacom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position indicator and variable capacitor
CN101847065B (zh) 2009-03-24 2013-01-23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的电路结构
US20110050651A1 (en) * 2009-08-29 2011-03-03 Eric Chen LED Stylus Pen
US8525816B2 (en) * 2010-02-10 2013-09-03 Wacom Co., Ltd. Position pointer, variable capacitor and inputting apparatus
JP5483430B2 (ja) * 2010-03-31 2014-05-07 株式会社ワコム 可変容量コンデンサおよび位置指示器
KR20110131989A (ko) 2010-06-01 2011-12-07 주식회사 메닉스 2중의 탄성력을 갖는 정전식 터치펜
JP2012022543A (ja) 2010-07-15 2012-02-02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KR101680253B1 (ko) * 2010-07-27 2016-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터치패널용 스타일러스펜
WO2012103323A1 (en) 2011-01-28 2012-08-02 More/Real Llc Stylus
KR101872255B1 (ko) * 2011-11-09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터치 기능 지원 시스템과 터치 펜
JP2013156066A (ja) * 2012-01-27 2013-08-15 Wacom Co Ltd 静電容量方式圧力センシング半導体デバイス
JP5892595B2 (ja) * 2012-02-06 2016-03-2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CN103294238A (zh) 2012-03-01 2013-09-1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JP5886661B2 (ja) 2012-03-15 2016-03-16 株式会社ワコム ペン型座標指示器
US20130249870A1 (en) 2012-03-22 2013-09-26 Motorola Mobility, Inc. Dual mode active stylus for writing both on a capacitive touchscreen and paper
JP5872444B2 (ja) 2012-04-11 2016-03-01 株式会社昭和螺旋管製作所 圧力検知装置
US9403399B2 (en) 2012-06-06 2016-08-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arking pen
JP2013254816A (ja) * 2012-06-06 2013-12-19 Wacom Co Ltd コンデンサ
KR101441396B1 (ko) 2012-08-13 2014-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JP6038572B2 (ja) * 2012-09-26 2016-12-0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電子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978487B2 (en) * 2012-12-13 2015-03-17 Blackberry Limited Capacitive force sensor with magnetic spring
JP6080256B2 (ja) * 2012-12-17 2017-02-15 株式会社ワコム 静電方式スタイラスペン
US9874949B2 (en) * 2013-02-25 2018-01-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for a digitizer system
US20140306929A1 (en) * 2013-04-10 2014-10-16 Nvidi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touch screen enabled device with a stylus
KR101327451B1 (ko) 2013-04-25 2013-11-11 주식회사 아나패스 노이즈 영향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장치
KR102050444B1 (ko) 2013-04-30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JP5667708B2 (ja) * 2013-06-20 2015-02-1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位置指示器の芯体
JP5647715B1 (ja) * 2013-06-27 2015-01-0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KR102081817B1 (ko) * 2013-07-01 202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US9256302B2 (en) 2013-07-22 2016-02-09 No Touch Technologies, Llc Stylus pen
US10228786B2 (en) * 2013-08-30 2019-03-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omprising stylus pen and touch panel
CN105829997B (zh) * 2013-12-25 2019-05-17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用模块及触控笔
US20150317001A1 (en) * 2014-05-04 2015-1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or for a stylus
CN111665957B (zh) * 2014-07-08 2024-04-23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器
KR102307692B1 (ko) * 2014-11-28 2021-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입력장치, 그 입력 좌표 보정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JP6487694B2 (ja) * 2014-12-26 2019-03-2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信号処理装置
US9785262B2 (en) * 2015-04-20 2017-10-10 Waco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ylus and stylus sensor controller
KR102369723B1 (ko) * 2015-06-26 2022-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9869B2 (en) 2016-03-28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ylus p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74386A1 (ko) * 2017-03-21 2018-09-27 주식회사 더한 방수 기능을 갖는 위치 지시기용 전자펜
WO2023063456A1 (ko) * 2021-10-15 2023-04-20 이용원 세필용 터치펜의 펜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3076A (zh) 2016-09-16
US10488951B2 (en) 2019-11-26
CN105824442A (zh) 2016-08-03
US20160216784A1 (en) 2016-07-28
CN105824442B (zh) 2019-12-31
EP3051396A1 (en) 2016-08-03
WO2016122084A1 (en) 2016-08-04
EP3051396B1 (en) 2018-08-29
TWI587183B (zh) 201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2360A (ko)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US10379642B1 (en) Positioning indicating module and stylus pen
US10754448B2 (en) Electronic stylus
US10423246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US20150138144A1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19512755A (ja) 可変静電容量式圧力センサーと筆跡表現スタイラスペン
KR20110074652A (ko)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KR20100054275A (ko) 터치입력장치, 이를 이용한 휴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9865A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JP6095420B2 (ja) 情報入力装置
JP2013191168A (ja) ペン型座標指示器
CN109074188A (zh) 附有触摸屏的显示装置
CN103064537A (zh) 压力侦测电容笔
US11372495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ositions of multiple touches
CN105677064A (zh) 电容笔
KR20140094232A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CN108205381B (zh) 主动式触控笔
KR101459535B1 (ko) 필압 감지 기능을 갖는 전자펜
JP6150369B1 (ja) 電子ペン
US20140125638A1 (en) Electromagnetic pointer
CN107835973B (zh) 输入装置和用于从输入装置接收信号的电子设备
KR102170298B1 (ko)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KR102153915B1 (ko)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150085396A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CN218413347U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