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652A -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652A
KR20110074652A KR1020100098903A KR20100098903A KR20110074652A KR 20110074652 A KR20110074652 A KR 20110074652A KR 1020100098903 A KR1020100098903 A KR 1020100098903A KR 20100098903 A KR20100098903 A KR 20100098903A KR 20110074652 A KR20110074652 A KR 2011007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indicator
sensor unit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511B1 (ko
Inventor
야스오 오다
요시히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1007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Abstract

[과제]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지시체의 지시 위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 정보의 검출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해결 수단] 지시체(2)에는 거의 봉 형상의 제1 전극(20)과, 제1 전극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거의 통 형상의 제2 전극(21)과,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1 주파수(f1)와는 다른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지시체(2)에 인가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서로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제어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28)를 구비하고, 위치 검출 장치측에서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를 지시체(2)의 위치 검출에 이용하여,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시간차(위상차)로부터 지시체(2)의,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 정보의 검출을 행한다. 또는 지시체(2)에 인가되는 압력에 대응한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위치 검출 장치측에서는 펄스 신호 및 펄스폭으로부터 위치 및 필압 등을 각각 검출한다.

Description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POINTING MEMBE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결합 방식을 적용한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장치 상에서 묘화나 일러스트 작성 등에 이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펜 타블렛으로 불리는 위치 검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검출 장치는 통상, 거의 평판 형상의 위치 검출기(타블렛)와, 유저가 위치 검출기 상에서 조작하는 펜 형상의 전용 지시체로 구성된다.
상술과 같은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종래, 예를 들어, 정전 결합 방식을 채용한 위치 검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는 주로,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지시체와, 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도체군을 가지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위치 검출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부 상에 놓여진 지시체로부터 도체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위치 검출기에서 그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지시체의 지시 위치를 특정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8-50535 공보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통상, 지시체로부터 센서부에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한 종류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위치 검출 장치에서 지시체의 지시 위치의 검출은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지시체의 필압(筆壓)에 관한 정보, 펜 다운에 관한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검출 장치, 특히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지시체와,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시체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중 적어도 일방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지시체와,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시체는 소정의 펄스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존재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위치 지시기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pen tip)과, 이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위치 지시기에서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과, 이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펄스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검출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위치 검출용 신호를 생성한다. 즉, 지시체로부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센서부에서는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검출기에서는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위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지시체에서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에서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중 적어도 일방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도록 한 검출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위치 검출 방법에서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시체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신호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를 2개 신호 사이의 위상차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지시체에 의해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정보를 송신하고 있어, 지시체의 지시 위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시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검파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시체에 있어서 필압에 따른 위상차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위치 검출기에 있어서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을 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및 제2 주파수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시체의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 1의 지시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변형예 2의 지시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3의 위치 검출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4의 위치 검출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4의 위치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 5의 지시체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
도 1에, 본 실시 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장치로서 펜 타블렛을 이용한 예를 설명한다. 위치 검출 장치(1)은 펜 형상의 지시체(2)와 평판 형상의 위치 검출기(3)로 구성된다.
지시체(2)는 위치 검출기(3)의 스캔 가능 영역(3a) 상에서 이용한다. 이 스캔 가능 영역(3a) 상에서는 위치 검출기(3)에 의해 지시체(2)의 지시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3)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 등)에 접속된다. 위치 검출기(3)는 지시체(2)가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에 출력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의 표시 화면(미도시) 상에서는 위치 검출기(3)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가 표시된다.
[지시체의 구성]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지시체(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지시체(2)는 제1 전극(20), 제2 전극(21), 가변 용량 컨덴서(22), 집적 회로(23), 코일(24), 전원 생성 회로(25), 및 이러한 구성 부재를 내포하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9)을 구비한다.
제1 전극(20)은 봉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일방의 선단부(先端部)는 하우징(129)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펜 팁이다. 즉, 하우징(129)으로부터 돌출한 선단부는 지시체(2)의 펜 팁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제1 전극(20)으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제2 전극(21)은 거의 원통 형상의 전극이며, 제1 전극(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21)은 집적 회로(23)에 접속되고, 집적 회로(23)로부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21)에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에 의해, 집적 회로(23)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가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21)을 통해 위치 검출기(3)에 송신된다.
필압 검출 소자로서의 가변 용량 컨덴서(22)는 펜 팁에 인가된 압력, 이른바 필압에 의해 용량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0)을 구성하는 펜 팁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전극(20)에 가해진 압력이 가변 용량 컨덴서(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미도시) 중 일방의 전극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지시체(2)를 위치 검출기(3)에 접촉시켰을 때에 제1 전극(20)이 위치 검출기(3)로부터 눌려지면,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일방의 전극이 프레스되고,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한 쌍의 전극 사이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그 결과적으로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이 변화한다. 즉,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은 필압에 대응하여 변화하게 된다. 또한, 필압을 검출하는 소자로서는 가변 코일 또는 가변 저항을 이용해도 되고, 가변 용량 컨덴서, 가변 코일 및 가변 저항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집적 회로(23)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 및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28)를 구비한다. 또, 집적 회로(23)의 그라운드 단자는 하우징(129)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f1)의 고주파 신호(제1 송신 신호)를 위치 검출을 위해 이용하고, 제1 주파수(f1)의 고주파 신호(제1 송신 신호)와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로부터 출력되는 제2 주파수(f2)의 고주파 신호(제2 송신 신호)를 필압 검출을 위해 이용한다. 또, 집적 회로(23)의 출력은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21)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21)에 각각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제1 주파수(f1)는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제2 주파수(f2)와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와 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 변화에 따라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발생 타이밍이 제어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 변화에 따라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변화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지시체(2)에 가해진 압력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집적 회로(23)는 송신 신호 생성부(2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를 구비하고, 동작 제어에 필요한 클록 신호 등은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집적 회로(23)는 후술하는 코일(24) 및 전원 생성 회로(25)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코일(24)은 위치 검출기(3)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센서부(30)의 여자(勵磁) 코일(35)로부터 송출되는 여자 신호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코일(24)에 고주파 신호가 유기(誘起)된다. 그리고 이 유기된 고주파 신호는 전원 생성 회로(25)에 공급된다.
전원 생성 회로(25)는 정류 회로(미도시)를 가진다. 전원 생성 회로(25)에서는 코일(24)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원 생성 회로(25)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집적 회로(23)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집적 회로(23)에 공급한다.
[위치 검출기의 구성]
도 3에, 위치 검출기(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위치 검출기(3)는 주로, 지시체(2)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30)와, 센서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40)와, 위치 검출 회로(50)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수신 신호의 처리의 흐름을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제어 신호, 클록 신호 등의 흐름은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단, 도 3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수신계 회로군(51)의 제어 신호, 클록 신호 등의 흐름을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는 생략한다.
센서부(30)는 도 3 중의 x 방향(소정 방향)으로 연재(延在)한 복수의 제1 도체(31; 제1 도체)로 이루어진 제1 도체군(32)과, 제1 도체(31)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도 3 중의 y 방향으로 연재한 복수의 제2 도체(33; 제2 도체)로 이루어진 제2 도체군(34)과, 그러한 도체군의 주위에 마련된 여자 코일(35)을 구비한다.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도체(31)는 소정 간격으로 도 3 중의 y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한편,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도체(33)도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도 3 중의 x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또한,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막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나, 동박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도체군(32) 및 제2 도체군(34)은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나 유리 기판 등(미도시)에 적층된다. 또, 유리 등의 기판의 일방 면에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제1 도체(31)와 제2 도체(33)가 교차하는 영역에 절연재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도체(31)와 제2 도체(33)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의 일방 면에 있어서 동일층에 실질적으로 제1 도체(31)와 제2 도체(33)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도체군(32) 및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각 도체는 선택 회로(40)에 접속되고, 여자 코일(35)은 위치 검출 회로(50) 내의 후술하는 드라이브 회로(61)에 접속된다.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의 갯수 및 피치는 센서부(30)의 사이즈나 필요로 하는 검출 정밀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로서 직선 형상의 도체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가 함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사행(蛇行)하고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제1 도체(31) 및 제2 도체(33)의 일방을 링 형상의 도체로 구성하고, 타방을 링 형상 도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체로 구성해도 된다.
선택 회로(40)는 제1 도체군(32) 및 제2 도체군(34)으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예를 들어 순차 선택하는 등, 소정의 순서로 선택한다. 이 선택 회로(40)에 의한 도체 선택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부(63)가 중앙 연산 처리부(62)와 협동하는 것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신호(도 3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제어된다.
위치 검출 회로(50)는 수신계 회로군(51), 발진기(60), 드라이브 회로(61), 중앙 연산 처리부(62;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제어부(63)를 구비한다.
수신계 회로군(51)은 수신 앰프(52)와 A/D(Analog to Digital) 변환 회로(53), 검파부(54), 기억부(55),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 검출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 앰프(52), A/D 변환 회로(53), 검파부(54), 기억부(55),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선택 회로(40)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접속된다.
수신 앰프(52)는 선택 회로(40)에서 선택된 소정의 도체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신호를 증폭한다. 그리고 수신 앰프(52)는 이 증폭된 수신 신호를 A/D 변환 회로(53)에 출력한다. A/D 변환 회로(53)는 증폭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고,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검파부(54)에 출력한다.
검파부(54)는 수신 신호에 대해 동기 검파를 행하여,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파부(54)는 도체마다 검출한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기억부(55)에 출력한다.
도 4에, 검파부(54)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시체(2)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로서 이용하는 주파수가 두 종류 있으므로, 검파부(54)를 2개의 동기 검파기(제1 동기 검파기(54a) 및 제2 동기 검파기(54b))로 구성한다. 제1 동기 검파기(54a)에서는 동기 신호로서 이용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가 추출된다. 한편, 제2 동기 검파기(54b)에서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추출된다. 또한, 제1 동기 검파기(54a) 및 제2 동기 검파기(54b)는 함께, 통신 기술의 분야에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동기 검파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검파부(54)에는 2개의 동기 검파기가 구비되어 있지만, 검파부(54)에 마련되는 검파기의 수는 지시체(2)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의 수에 대응한다. 또, 검파기로서는 동기 검파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으로 돌아와,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기억부(55)에 기억된 주파수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체(2)의 지시 위치(좌표) 및 필압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제1 주파수(f1)의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그 레벨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주파수(f1)가 지시체(2)로부터 송신된 것을 인식하여, 지시체(2)의 위치 검출을 행한다. 또, 동일하게 하여,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그 레벨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2 주파수(f2)가 지시체(2)로부터 송신된 것을 인식한다. 그 외의 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주파수 인식 처리가 행해진다. 또,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제1 주파수(f1)의 수신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구하고, 이 위상차에 기초하여 필압을 구한다.
발진기(6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드라이브 회로(61)에 출력한다. 드라이브 회로(61)는 발진기(60)로부터 입력된 교류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여자 코일(35)에 공급한다.
중앙 연산 처리부(62)와 협동하는 제어부(63)는 위치 검출 회로(50) 내의 각부에 제어 신호(도 3 중의 파선 화살표)를 출력함과 아울러, 수신계 회로군(51) 내의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의 산출 결과를 중앙 연산 처리부(62)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63)는 중앙 연산 처리부(62)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위치 검출 장치의 동작]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1)의 동작과, 위치 및 필압 검출의 원리를, 도 5 ~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시체에 있어서 필압에 따른 위상차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위치 검출기에 있어서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을 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 및 제2 주파수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시체의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지시체(2)가 구비하는 집적 회로(23)의 주요부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1 전극(20)의 펜 팁을 통해 인가되는 프레스력에 따라 용량(C)이 변화하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일단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그 타단은 저항(10)을 통해 전원 생성 회로(25)에 접속되어 소정의 전압(Vcc)이 공급된다. 또, 스위치(11)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양단에 병렬적으로 접속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13)는 소정의 주기로 스위치(11)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즉, 스위치(11)는 일단 온으로 되어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전하를 방전시킨 후에 오프로 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13)는 스위치(11)를 오프로 함과 아울러,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에 작용하여 제1 주파수(f1)의 신호의 생성을 지시한다. 스위치(11)가 오프로 되면, 가변 용량 컨덴서(22)는 저항(10)을 통해 점차 충전되기 때문에,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양단에서의 전위는 필압에 대응하여 변화한 용량(C)에 의존하여 점차 상승한다. 지연 설정 회로(12)는 저항(10)과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접속점의 전위를 소정의 임계값(Vth)과 비교한다.
지연 설정 회로(12)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전위가 소정의 전위(Vth)에 도달하면,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에 작용하여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생성을 지시한다. 이 구성에 의해, 펜 팁에 인가된 필압에 대응하여 변화한 용량(C)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에 의한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에 의한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신호 생성 타이밍, 즉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시간차(Δt), 즉 위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 위상차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필압이 검출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펜 팁이 센서부로부터 이간한 상태, 즉 호버링(hovering) 상태도 또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 팁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시간차(Δt)가 필압 검출을 위해 통상에 이용되는 시간차보다 길어(또는 짧아)지도록, 지연 설정 회로(12)의 지연 특성을 설정하거나, 또는 지연 설정 회로(12)를 구성한다.
위치 검출기(3)에서는 검출된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지시체(2)가 센서부(30)에 터치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검출된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시간차가 소정의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지시체(2)가 호버링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펜 팁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타이밍 제어 회로(13)의 주기보다 긴 시간 지연량을 지연 설정 회로(12)에 설정하고, 위치 검출기(3)에서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존재 유무를 인식함으로써 지시체(2)가 터치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에 있어서 일방의 신호만이 존재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지시체(2)는 호버링 상태에 있고,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함께 검출된 경우에 지시체(2)는 터치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위치 검출기(3)의 동작을, 도 6(a),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는 주파수 다중되어 지시체(2)로부터 송신된다. 또, 이 주파수 다중화된 신호는 소정의 주기 Δt1마다 송신 동작이 반복된다. 이 구성에 의해, 소정의 주기 Δt1마다, 제1 전극(20)을 통해 인가되는 프레스력에 대응한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C)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검출된다. 위치 검출기(3)는 지시체(2)의 위치 검출을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우선, 선택 회로(40)는 센서부(30)의 도체군으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선택한다(단계 S11). 그 다음에, 수신계 회로군(51)은 수신 신호(Sp1; 도 7(b) 참조)을 검출하고(단계 S12), 수신 신호(Sp1)를 증폭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다.
그 다음에, 검파부(54) 내의 제1 동기 검파기(54a)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P1)를 추출한다. 그리고 기억부(55)는 제1 동기 검파기(54a)로부터 출력된 제1 주파수(f1)의 신호(P1; 도 7(c) 참조)를 기억한다(단계 S13).
그 다음에, 위치 검출기(3)는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를 모두 선택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4).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의 모두가 아직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단계 S14가 아니오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11의 동작으로 돌아와, 수신계 회로군(51)은 수신 신호(Sp1)를 검출한다. 그 후, 수신계 회로군(51)은 단계 S14의 판정이 예 판정으로 될 때까지, 상기 단계 S11 ~ S14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가 모두 선택된 경우, 즉 단계 S14가 예 판정으로 된 경우, 수신계 회로군(51) 내의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기억부(55)에 기억된 제1 주파수(f1)의 수신 신호(P1)의 신호 레벨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고, 지시체(2)에 의해 지시 위치를 검출한다(단계 S15).
상술한 단계 S11 ~ S15의 동작에 의해, 지시체(2)의 위치 검출이 행해진다. 또한, 위치 검출기(3)는 지시체(2)의 필압을 다음과 같이 하여 위치 검출 동작과 동시에 검출한다. 도 6(b)를 참조하여, 우선 선택 회로(40)는 센서부(30)의 도체군으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선택한다(단계 S16). 다음에, 수신계 회로군(51)은 수신 신호(Sp1; 도 7(b) 참조)를 검출하고(단계 S17), 수신 신호(Sp1)를 증폭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다.
그 다음에, 검파부(54) 내의 제2 동기 검파기(54b)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P2)를 추출한다. 그리고 기억부(55)는 제2 동기 검파기(54b)로부터 출력된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P2; 도 7(d) 참조)를 기억한다(단계 S18).
그 다음에, 위치 검출기(3)는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가 모두 선택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의 모두가 아직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단계 S19가 아니오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16의 동작으로 돌아와, 수신계 회로군(51)은 수신 신호를 검출한다. 그 후, 수신계 회로군(51)은 단계 S19의 판정이 예 판정으로 될 때까지, 상기 단계 S16 ~ S19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신호 수신에 제공되는 도체가 모두 선택된 경우, 즉 단계 S19가 예 판정으로 된 경우, 수신계 회로군(51) 내의 위치 및 필압 산출부(56)는 기억부(55)에 기억된 제1 주파수(f1)의 수신 신호(P1) 및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P2)를 독출하여, 각 주파수의 수신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위상차에 기초하여 지시체(2)의 필압을 검출한다(단계 S20).
상술한 단계 S11 ~ S15 및 S16 ~ S20의 동시적 동작에 의해, 지시체(2)의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이 행해진다. 즉, 수신 신호(Sp1)가 검파부(54)에 입력되면, 제1 동기 검파기(54a)로부터는 수신 신호(Sp1)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P1)가 추출되고, 제2 동기 검파기(54b)로부터는 수신 신호(Sp1)에 포함되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P2)가 추출된다(도 7(c) 및 도 7(d) 참조). 따라서, 지시체(2)로부터,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해도, 검파부(54)에 의해, 제1 주파수(f1)의 신호(P1)와 제2 주파수(f2)의 신호(P2)가 별개로 추출된다.
그러므로, 검출 기간 Δt1에 있어서, 제1 동기 검파기(54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P1)의 레벨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지시체(2)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검출 기간 Δt1에 있어서, 제1 동기 검파기(54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f1)의 수신 신호(P1)와 제2 동기 검파기(54b)로부터 출력되는 제2 주파수(f2)의 수신 신호(P2) 사이의 위상차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지시체(2)의 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2개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계 S11 ~ S15 및 S16 ~ S20로 나타나는 각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면,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의 동작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 Δt1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고, 그 후 상기의 단계 S11 ~ S15 및 S16 ~ S20의 동작이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시체(2)로부터 주파수가 다른 2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이러한 송신 신호를 위치 검출기(3)에서 수신하고, 적어도 일방의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지시체(2)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에 더하여, 2개 송신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구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필압 정보 등의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시체(2)로부터 송신되는 2개의 다른 주파수의 신호(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이용하여 지시체(2)의 위치 및 필압을 구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시체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이용하여 지시체의 위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지시체가 센서부에 접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이하, 펜 다운 정보라 함)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2로 돌아와,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전극(20)이 프레스된 것에 대응한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의 변화에 따라 지시체(2)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변화하고, 이 위상차의 변화로 필압이 검출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위상차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펜 다운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이 프레스되어 있지 않을 때의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지시체(2)는 펜 다운 상태가 아니고, 및 이 위상차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지시체(2)는 펜 다운 상태에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8을 참조하여, 펜 다운 정보의 취득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제1 전극(20)이 프레스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0)이 프레스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구성을 구비한다. 변형예 1에서는 지시체 내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지시체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를 이용하여, 지시체의 위치 및 지시체가 센서부에 근접하고 있는 상태(호버링 상태) 및 지시체가 센서부에 접하고 있는 상태(펜 다운 상태)를 검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이 예의 지시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도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이 예의 지시체(100)는 봉 형상의 제1 전극(20), 스위치(101; 제1 스위치), 집적 회로(102), 코일(24), 전원 생성 회로(25), 및 이러한 구성 부재를 내포하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9)을 구비한다. 스위치(101) 및 집적 회로(102)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스위치(101) 및 집적 회로(10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위치(101)의 일단은 후술하는 집적 회로(102) 내의 전환 스위치(103)에 마련된 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129)에 접속된다. 또, 스위치(101)는 제1 전극(20)에 맞물림(계합(係合))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전극(20)이 센서부에서 프레스되면, 스위치(101)가 온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집적 회로(102)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 및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28)와, 전환 스위치(103; 제2 스위치)를 구비한다. 또한, 송신 신호 생성부(28)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 집적 회로(102)의 그라운드 단자는 하우징(129)에 접속된다.
전환 스위치(103)는 그 입력 단자가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 및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의 출력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가 제1 전극(20)에 접속된다. 그리고 전환 스위치(103)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송신할지를 선택한다. 이 전환 스위치(103)의 전환 동작은 스위치(101)의 접속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01)가 오프 상태인 경우, 즉 지시체(100)가 센서부(30) 상에 남아 있는 호버링 상태의 경우에, 전환 스위치(103)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에 접속되고, 스위치(101)가 온 상태인 경우, 즉 지시체(100)가 센서부(30)에 접하고 있는 펜 다운 상태가 된 경우에, 전환 스위치(103)는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에 접속된다.
지시체(100)가 센서부(30) 상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경우, 즉 지시체(100)가 호버링 상태에 있는 경우에, 지시체(100)로부터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가 센서부(30)에 송신된다. 검파부(54)에서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P1)가 검출되거나 또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P2)가 검출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지시체(100)가 호버링 상태에 있는 것, 및 제1 주파수(f1)의 신호(P1)의 검출에 기초하여, 호버링 상태에 있어서 지시체(100)의 위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지시체(100)가 센서부(30)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지시체(100)로부터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 대신에, 제2 주파수(f2)의 신호가 센서부(30)에 송신된다. 이 변형예 1의 실시 양태에서는 검파부(54)에서 제2 주파수(f2)의 신호(P2)가 검출되거나 또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P1)가 검출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지시체(100)가 펜 다운 상태에 있는 것,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P2)의 검출에 기초하여, 펜 다운 상태에 있어서 지시체(100)의 위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지시체(1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이용 상황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지시체(100)가 센서부(30)에 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예 2에서는 지시체로부터 송신되는 3개의 다른 주파수의 신호(제1 주파수(f1)의 신호, 제2 주파수(f2)의 신호, 및 제3 주파수(f3)의 신호)를 이용하여, 지시체의 위치, 필압 및 지시체에 마련된 사이드 스위치의 조작 정보를 검출 가능한 지시체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9에, 이 예의 지시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나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이 예의 지시체(110)는 봉 형상의 제1 전극(20),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a) 및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으로 구성되는 제2 전극(21), 가변 용량 컨덴서(22), 집적 회로(111), 코일(24), 전원 생성 회로(25), 이러한 구성 부재를 내포하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9), 및 하우징(129)의 측면의 일부에는 손가락 등으로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 이른바 사이드 스위치(113)를 구비한다. 집적 회로(111), 사이드 스위치(113),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a), 및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집적 회로(111), 사이드 스위치(113),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a), 및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집적 회로(111)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 및 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29)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115)와, 전환 스위치(11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와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에 추가로, 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29)를 구비한다.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는 봉 형상의 제1 전극(20)에 공급된다.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로부터 출력되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는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a)에 공급된다. 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29)로부터 출력되는 제3 주파수(f3)의 신호는 전환 스위치(112)를 통해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에 공급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지시체(110)가 지시하는 센서부 상의 위치는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에 의해 검출된다. 또,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체(110)에 인가되는 압력, 이른바 필압은 봉 형상의 제1 전극(20)이 필압에 따라 가변 용량 컨덴서(22)를 프레스하고, 이로 인해 가변 용량 컨덴서의 용량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즉, 가변 용량 컨덴서의 용량이 변화함으로써,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에 대한,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생성 타이밍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주파수(f2)의 신호와 제1 주파수(f1)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위치 검출 회로측에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필압을 구할 수 있다.
전환 스위치(112)는 그 입력 단자의 일단이 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29)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제1 전극(20)을 구성하는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에 접속된다. 전환 스위치(112)는 사이드 스위치(113)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3 주파수(f3)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에 공급한다.
사이드 스위치(113)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로 이용되는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버튼 또는 왼쪽 클릭 버튼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고, 집적 회로(111) 내의 전환 스위치(112)에 작용하고, 전환 스위치(112)의 전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시체(110)에서는 필압 즉,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 변화에 따라, 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송신하는 제1 주파수(f1)의 신호에 대한 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27)로부터 송신하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의 생성 타이밍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양 신호 사이의 위상이 변화하게 되어, 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이 예의 지시체(110)에서는 사이드 스위치(113)를 누르는 것에 의해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전환 스위치(112)가 제어되고, 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29)에 의해 생성되는 제3 주파수(f3)의 신호가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을 통해 위치 검출기측에 송신된다. 위치 검출 회로측에서는 주파수(f3)의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스위치(113)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2 전극(21)은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a)과 거의 반원통 형상의 제2 전극(21b)으로 2 분할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f1)와 제2 주파수(f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전극(21)을 4 분할하여, 서로가 마주 보는 전극편을 쌍으로 하여 구성하고, 쌍을 구성하는 전극편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공급해도 좋다. 제1 주파수(f1), 제2 주파수(f2), 및 제3 주파수(f3)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전극(21)을 6 분할하여, 서로가 마주 보는 전극편을 쌍으로 하여 구성하고, 쌍을 구성하는 전극편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공급해도 좋다. 즉, 제2 전극(21)을, 이용하는 주파수의 수에 대응한 소정의 수로 분할함과 아울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전극편을 쌍으로 하고, 쌍을 구성하는 전극편에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부(30)에 대한 지시체의 외주면(外周面)의 위치 의존성, 즉 센서부(30)에 대한 전극편의 물리적인 원근 관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예에서, 제1 주파수(f1)의 신호는 제1 전극(20)에 공급되고, 제2 주파수(f2)의 신호는 제2 전극(21a)에 공급되고, 제3 주파수(f3)의 신호는 제2 전극(21b)에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각각의 신호를 소정의 전극을 통해 송신하는 다른 예로서, 각 신호는 서로 변별 가능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를 저항 등을 통해 신호 가산한 후에 소망한 전극에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f1)의 신호, 제2 주파수(f2)의 신호, 및 제3 주파수(f3)의 신호 각각을 저항을 통해 신호 가산하고, 제1 전극(2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주파수(f2)의 신호와 제3 주파수(f3)의 신호 각각을 저항을 통해 신호 가산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제2 전극(21)에,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제2 전극(21a) 및/또는 제2 전극(21b)에 공급할 수도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의 위치 검출기(3)에서는 선택 회로(40)에 의해, 제1 도체군(32) 및 제2 도체군(34) 내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회로를 2개의 선택 회로로 구성하고, 그 일방을 제1 도체군(32)으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로서 이용하고, 타방을 제2 도체군(34)으로부터 소정의 도체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로서 이용해도 된다. 변형예 3에서는 그러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변형예 3의 위치 검출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상기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또, 도 10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선택 회로(201) 주변의 구성만을 나타낸다.
이 예의 위치 검출기(200)의 선택 회로(201)는 제1 도체군(32)으로부터 소정의 제1 도체(31)를 소정의 순서로 선택하는 제1 선택 회로(202)와, 제2 도체군(34)으로부터 소정의 제2 도체(33)를 소정의 순서로 선택하는 제2 선택 회로(203)로 구성된다. 또, 제1 선택 회로(202) 및 제2 선택 회로(203)는 수신계 회로군(51)에 접속된다. 또한, 이 예의 위치 검출기(200)에 있어서, 선택 회로(201)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예의 위치 검출기(200)에서는 제1 도체군(32)으로부터 소정의 제1 도체(31)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회로(202)의 동작과, 제2 도체군(34)으로부터 소정의 제2 도체(33)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회로(203)의 동작을, 중앙 연산 처리부(62)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제어부(63)의 제어 하에서 행한다. 이 경우, 제1 선택 회로(202)의 출력 신호와 제2 선택 회로(203)의 출력 신호의 각각이 수신계 회로군(51)에 입력된다. 이 예에서는 제1 선택 회로(20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제2 선택 회로(20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수신계 회로군(51)의 내부에서 신호 중첩됨과 아울러, 제어부(63)의 제어에 의한 소정의 제1 도체(31)와 소정의 제2 도체(33)의 선택 동작에 대응하여, 지시체의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이 행해진다. 또한, 제1 선택 회로(202) 및 제2 선택 회로(203)의 전환 동작은 제어부(6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예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선택 회로(202)와 제2 선택 회로(203)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도체군(32)과 제2 도체군(34)을 동시에 신호 수신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선택 회로를 규모가 작은 회로로 구성할 수 있어, 위치 검출기(200)로서의 회로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 변형예 3의 위치 검출기(200)의 구성에 있어서는 주파수가 다른 신호로 구성되는 각각의 출력 신호를 수신계 회로군(51)에서, 예를 들어 저항 등을 통해 신호 가산하여 하나의 신호로서 신호 처리한다. 한편, 제1 선택 회로(202)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계 회로군과, 제2 선택 회로(203)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계 회로군을 별개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양쪽의 수신계 회로군의 각각에서, 지시체의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의 양쪽을 행해도 되고, 양쪽의 수신계 회로군에서 지시체의 위치 검출을 행함과 아울러 한쪽의 수신계 회로군에서 지시체의 필압 검출을 추가로 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후자를 적용한 경우, 그 구성은 전자의 구성보다 간단하고 쉽게 된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 3에서는 위치 검출 장치가 펜 타블렛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검출 장치가, 펜 타블렛의 기능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을 위치 검출기의 화면에 터치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터치 패널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변형예 4는 펜 타블렛 및 터치 패널 겸용의 위치 검출 장치를 설명하는 것이고, 지시체로서의 펜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도체 및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도체를 각각 수신 도체로서 기능시키고, 펜과는 종류가 다른 지시체로서의 손가락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도체 및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도체 중 일방의 도체를 송신 도체로서 기능시켜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고, 타방의 도체는 수신 도체로서 기능시키는 것이다.
도 11에, 이 예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위치 검출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예의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지시체로서의 펜은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 3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위치 검출기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나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또, 도 11에서는 수신 신호의 처리의 흐름을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제어 신호, 클록 신호 등의 흐름은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단, 도 11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수신계 회로군(51)의 제어 신호, 클록 신호 등의 흐름을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는 생략한다. 또, 이 예에서는 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라고 하는 다른 종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지시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의 위치 검출기(210)는 주로, 펜, 손가락 등 종류가 다른 복수의 지시체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30)와, 센서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220)와, 위치 검출 회로(230)로 구성된다. 또한, 센서부(30)는 도 3에 나타나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 센서부(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 지시체로서는 펜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또는 복수의 손가락, 손바닥 등도 포함한다.
선택 회로(220)는 제1 선택 회로(221)와 제2 선택 회로(222)로 구성된다. 제1 선택 회로(221)는 도 11 중의 y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 도체(31)로 이루어진 제1 도체군(32)에 접속되고, 제1 도체군(32)으로부터 소정의 제1 도체(31)를 소정의 순서로 선택한다. 한편, 제2 선택 회로(222)는 도 11 중의 x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2 도체(33)로 이루어진 제2 도체군(34)에 접속되고, 제2 도체군(34)으로부터 소정의 제2 도체(33)를 소정의 순서로 선택한다. 또한, 제1 선택 회로(221) 및 제2 선택 회로(222)의 전환 제어는 중앙 연산 처리부(62)와 협동하는 제어부(6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도체 선택 순서의 일례로서는 우선 제1 선택 회로(221)에 의해,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소정의 제1 도체(31)를 선택함과 아울러, 제2 선택 회로(222)에 의해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도체(33)를 소정의 순서로 순차 선택한다.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도체(33)가 모두 선택되면, 제1 선택 회로(221)에 의해, 소정의 순서로 다음의 제1 도체(31)를 선택하고,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도체(33)를 소정의 순서로 순차 선택한다. 이와 같은 도체 선택 순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센서부(30)에 놓여진 펜, 손가락 등 종류가 다른 지시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검출 가능하게 된다.
위치 검출 회로(230)는 수신계 회로군(51), 발진기(60), 드라이브 회로(61), 중앙 연산 처리부(62), 제어부(63), 송신 신호 생성부(231),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를 구비한다. 이 예의 위치 검출 회로(230)는 도 3에 나타나는 실시 형태의 위치 검출 회로(50)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송신 신호 생성부(231),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를 구비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231),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송신 신호 생성부(231)는 위치 검출기(210)를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로서 동작시킬 때에, 제1 도체군(32) 내의 소정의 제1 도체(31)에 공급하기 위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송신 신호 생성부(231)에서는 펜 형상의 지시체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예를 들어, 제1 주파수(f1)의 신호 및 제2 주파수(f2)의 신호)와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f3)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손가락 조작 및 펜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즉, 주파수 정보에 의한 식별, 위상 정보에 의한 식별, 또는 펜과 손가락의 조작을 시분할적으로 식별하는 것에 의해, 펜 또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이면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위치 검출 장치가 터치 패널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 유저의 손가락이 접하고 있는 위치에서는 예를 들어 손가락을 통해 전류가 그라운드에 분류(分流)되는 것에 의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도체 사이에 있어서 전류 이동이 생기는 것에 의해, 터치 위치에 있어서 도체의 교차점을 통해 얻어지는 수신 신호의 레벨이 변화하기 때문에, 수신계 회로군(51)에서는 이 레벨 변화를 검출하고 터치 위치를 2 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1 전환부(232)는 위치 검출기(210)를 펜 형상의 지시체의 조작을 접수하는 펜 타블렛으로서 동작시킬 때의 신호의 흐름과, 지시체로서의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로서 동작시킬 때의 신호의 흐름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기(210)를 펜 타블렛으로서 동작시킬 때, 제1 도체군(32)은 수신 도체로서 작용하므로, 제1 선택 회로(221)의 출력 단자는 제1 전환부(232)의 스위치(SW2)를 통해 제2 전환부(233)의 일방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제1 전환부(232)의 스위치(SW1)는 스위치(SW2)와 연동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231)와 제1 선택 회로(221)를 비접속 상태로 한다. 위치 검출기(210)를 터치 패널로서 동작시킬 때, 제1 도체군(32)은 송신 도체로서 작용하므로, 송신 신호 생성부(231)의 출력 단자는 제1 전환부(232)의 스위치(SW1)를 통해 제1 선택 회로(221)에 접속된다. 한편, 제1 전환부(232)의 스위치(SW2)는 스위치(SW1)와 연동하여, 제1 선택 회로(221)와 제2 전환부(233)의 입력 단자의 일방을 비접속 상태로 한다. 또한, 이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의 전환 동작은 중앙 연산 처리부(62)와 협동하는 제어부(6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도 11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제어된다. 또,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로서 동작시킬 때, 제2 전환부(233)는 제어부(63)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제1 전환부(232)를 통한 송신 신호 생성부(231)와 제1 선택 회로(221)의 접속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선택 회로(222)가 제2 전환부(233)의 타방의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 앰프(52)에 접속된다.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가 이와 같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 제1 선택 회로(221)를 통해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제1 도체(31)에, 송신 신호 생성부(231)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가 차례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2 선택 회로(222)에 의해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제2 도체(33)가 순차 선택되어 수신 앰프(52)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2 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펜의 조작을 접수하는 펜 타블렛으로서 동작시킬 때, 제2 전환부(233)는 제어부(63)의 제어에 따라, 제1 전환부(232)를 통한 제1 선택 회로(221)와, 제2 선택 회로(222)를 교대로 수신 앰프(52)에 접속한다.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가 이와 같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 펜의 조작을 2 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예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과 펜 타블렛으로서 기능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12에 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터치 패널의 동작과 펜 타블렛으로서의 동작을 소정 시간마다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3)의 제어에 따라, 제1 전환부(232) 및 제2 전환부(233)를 소정 시간마다 연동시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및 펜 등의 지시체의 존재, 또는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를 검출한다. 이 예에서는 소정 간격(예를 들어 10 ms)으로 펜의 위치 및 필압 검출 동작(펜 타블렛 기능)과, 터치 위치의 검출 동작(터치 패널 기능)을 교대로 반복한다. 또, 이 예의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지시체로서의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과, 다른 종류의 지시체로서의 펜을 검출하기 위한 펜 타블렛으로서의 기능을 시분할로 전환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어느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제2 도체(33)는 항상 신호 수신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신계 회로군(51)으로서, 손가락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송신 신호 생성부(231)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신호와, 펜으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신호를 동시에 검출 가능한 회로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x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위치를 구할 때에 펜 위치도 동시에 구한다. 즉, x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위치뿐만 아니라 펜 위치도 동시에 구하는 것에 의해, 펜 위치를 구하는 다음의 처리로서는 x 방향으로의 펜 위치는 이미 취득되고 있기 때문에, y 방향에 있어서 펜 위치를 구하면 양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센서부(30)에 있어서 펜과 손가락의 동시 검출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위치 검출 장치의 동작은 도 12의 예에 나타내는 시분할 동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분할 동작을 채용하는 일 없이, 센서부(30) 상에서 손가락 및 펜의 존재를 동시에 검출할 수도 있다. 펜으로부터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 도 11에 있어서 송신 신호 생성부(231)에 있어서, 펜에 할당된 이러한 주파수와는 다른 제3 주파수의 신호를 구비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전환부(232)의 스위치(SW1), 제1 선택 회로(221)를 통해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도체(31)에 소정의 순서로 제3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반복하여 공급한다. 수신계 회로군(51)을 구성하는 수신 앰프(52)에는 제2 선택 회로(222) 및 제2 전환부(233)를 통해, 선택된 도체가 접속된다. 또한, 제2 선택 회로(222)는 제2 도체군(34)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도체(33)에 대해, 소정의 순서에 의한 선택 동작에 의해 소정의 도체를 선택한다. 검파부(54)에서는 공급된 신호로부터 제1, 제2, 및 제3 주파수 각각의 유무를 검출함과 아울러, 그 신호 레벨도 또한 검출한다. 즉, 상기의 동작은 터치 위치의 검출 동작(터치 패널 기능)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동작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 위치의 검출 동작은 기술한 바와 같다. 이 동작 상태에 있어서, 펜이 조작된 경우에는, 펜으로부터 송신된 제1 주파수 또는 제2 주파수 중 적어도 일방의 주파수를 검파부(54)에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펜 조작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펜 조작의 존재의 인식에 기초하여 펜 타블렛으로서의 기능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펜 위치를 2 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위치 검출 회로(230)에 있어서, 손가락 및 펜이라고 하는 2개 지시체의 존재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 기능과 펜 타블렛 기능을 시분할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흡사 동시에 손가락과 펜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 펜과 손가락이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펜 또는 손가락 중 일방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터치 패널 기능 또는 펜 타블렛 기능)으로 이행하도록, 제어부(63)에 그 기능 선택의 우선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5]
도 5에서는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지시체에 가해진 압력(필압)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에 대응하여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 제1 주파수(f1)의 신호와는 주파수가 다른 제2 주파수(f2)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로부터 필압을 검출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3에 나타나는 집적 회로(15)에서는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주파수 정보와 지시체에 가해진 압력(필압)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에 대응한 시간 정보를 1개의 신호에 포함시켜 지시체로부터 송신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제1 전극(20)을 통해 인가되는 프레스력에 따라 용량(C)이 변화하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일단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그 타단은 저항(10)을 통해 전원 생성 회로(25)에 접속되어 소정의 전압(Vcc)이 공급된다. 또, 스위치(11)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양단에 병렬적으로 접속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13)는 소정의 주기로 스위치(11)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즉, 스위치(11)는 일단 온으로 되어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전하를 방전시킨 후에 오프로 된다. 도 13에서, 타이밍 제어 회로(13)는 스위치(11)를 오프로 함과 아울러, 예를 들어 RS형 플립 플롭으로 구성되는 펄스 신호 생성 회로(14)의 리세트 단자(R)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반전 출력 단자(QINV)에 초기값으로서 논리 신호 1을 출력한다. 스위치(11)가 오프로 되면, 가변 용량 컨덴서(22)는 저항(10)을 통해 점차 충전되기 때문에,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양단에서의 전위는 필압에 대응하여 변화한 용량(C)에 의존하여 점차 상승한다. 지연 설정 회로(12)는 저항(10)과 가변 용량 컨덴서(22) 사이의 중점의 전위를 소정의 임계값(Vth)과 비교한다. 지연 설정 회로(12)는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전위가 소정의 전위(Vth)에 도달하면, 펄스 신호 생성 회로(14)의 세트 단자(S)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반전 출력 단자(QINV)로부터 출력되고 있던 논리 신호 1을 논리 신호 0으로 변화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펄스 신호 생성 회로(14)의 반전 출력 단자(QINV)로부터는, 타이밍 제어 회로(13)가 스위치(11)를 온/오프 제어하는 주기 t에서 논리 신호 1이 정기적으로 출력됨과 아울러, 필압에 대응하여 변화한 가변 용량 컨덴서(22)의 용량(C)에 의존한 시간 t1의 경과 후에 논리 신호 0으로 변화한다. 즉, 필압에 따라 펄스폭이 변동하는 PWM(펄스폭 변조) 신호가 주기적으로 집적 회로(15)로부터 출력되고, 이 펄스 신호의 존재를 위치 검출기(3)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지시체에 가해진 압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회로 및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구하기 위한 회로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도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회로(40)를 구비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 회로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제1 도체군(32)을 구성하는 제1 도체(31)의 각각에 대해 개개의 수신 회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선택 회로(40)는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또, 동일한 이유로 인해, 도 10에 나타나는 위치 검출기(200)에 있어서도, 제1 선택 회로(202), 제2 선택 회로(203)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 11에 나타나는 검출 장치(230)에 있어서 제1 선택 회로(221)는 송신 신호를 소정의 도체에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지만, 서로가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로부터, 신호 송신 도체로서의 제1 도체(31) 각각에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수신 도체로서의 제2 도체(33) 각각에 상기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주파수의 분석을 행할 수 있는 개개의 수신 회로를 마련하는 것으로 인해, 제1 선택 회로(221), 제2 선택 회로(222)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 4에서는 센서부의 여자 코일로부터의 여자 신호를 수신하여, 지시체 내의 집적 회로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지시체 내부에 예를 들어 축전지와 같은 전원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수신계 회로군(51) 내의 검파부(54)에는 각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참조 신호로 동기 검파 가능한 복수의 동기 검파기를 마련한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펜의 조작을 접수하는 펜 타블렛으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지시체로서의 펜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신호의 신호 레벨 외에, 주파수의 정보, 또는 필요에 따라 주파수 및 위상의 정보를 추출 가능한 수신 신호 분석 기능이 발휘되면 좋으며, 아날로그 필터, 또는 디지털 필터,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로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로서 동작시키는 경우도 동일하며, 위치 검출 회로에 구비된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신호의 신호 레벨 외에, 주파수의 정보, 또는 필요에 따라 주파수 및 위상의 정보를 추출 가능한 수신 신호 분석 기능으로서 발휘되면 좋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사이드 스위치(113)의 조작 유무의 검출에 관해, 사이드 스위치(113)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도 5의 지연 설정 회로(12)에 공급하고, 전위(Vth)를 전환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이드 스위치(113)가 조작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스위치(113)가 조작된 것에 대응하여 지연 설정 회로(12)에서 설정되는 전위(Vth)를, 예를 들어 고전위로 전환한다. 전위(Vth)가 고전위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지시체에 의한 프레스력이 동일해도, 전위(Vth)가 고전위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지연 설정 회로(12)로부터의 출력되는 신호가 추가로 소정의 시간 지연되어 출력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이드 스위치(113)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1 주파수의 신호에 대한 제2 주파수의 신호의 생성 타이밍이 제어되고, 이 결과 사이드 스위치(113)의 조작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1ㆍㆍㆍ위치 검출 장치,
2ㆍㆍㆍ지시체,
3ㆍㆍㆍ위치 검출기,
14ㆍㆍㆍ펄스 신호 생성 회로,
15ㆍㆍㆍ집적 회로,
20ㆍㆍㆍ제1 전극,
21ㆍㆍㆍ제2 전극,
22ㆍㆍㆍ가변 용량 컨덴서,
23ㆍㆍㆍ집적 회로,
24ㆍㆍㆍ코일,
25ㆍㆍㆍ전원 생성 회로,
26ㆍㆍㆍ제1 주파수 신호 생성부,
27ㆍㆍㆍ제2 주파수 신호 생성부,
28ㆍㆍㆍ송신 신호 생성부,
29ㆍㆍㆍ제3 주파수 신호 생성부,
30ㆍㆍㆍ센서부,
31ㆍㆍㆍ제1 도체,
32ㆍㆍㆍ제1 도체군,
33ㆍㆍㆍ제2 도체,
34ㆍㆍㆍ제2 도체군,
40ㆍㆍㆍ선택 회로,
50ㆍㆍㆍ위치 검출 회로,
51ㆍㆍㆍ수신계 회로군,
52ㆍㆍㆍ수신 앰프,
53ㆍㆍㆍA/D 변환 회로,
54ㆍㆍㆍ검파부,
55ㆍㆍㆍ기억부,
56ㆍㆍㆍ위치 및 필압 산출부,
60ㆍㆍㆍ발진기,
61ㆍㆍㆍ드라이브 회로,
62ㆍㆍㆍ중앙 연산 처리부,
63ㆍㆍㆍ제어부,
129ㆍㆍㆍ하우징,
232ㆍㆍㆍ제1 전환부,
233ㆍㆍㆍ제2 전환부

Claims (20)

  1.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지시체와,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로서,
    상기 지시체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중 적어도 일방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는 지시체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pen tip)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는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이 압력 검출 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펜 팁은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1개의 신호는 상기 펜 팁을 통해 송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여자 코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시체에는 상기 여자 코일로부터 송출된 여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시체에 구비된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 생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 또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의 존재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 대해 터치 상태 또는 호버링(hovering)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의 측면에는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이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부터 추가로 제3 주파수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위치 검출기에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와,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로의 공급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에 발생한 신호의 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시체와는 종류가 다른 타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센서부 상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를 소정의 주기로 전환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도체에 발생한 신호를 상기 위치 검출기에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시체에 의한 지시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도체에 상기 위치 검출기에 구비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도체에 발생한 신호를 상기 위치 검출기에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시체와는 종류가 다른 타 지시체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종류가 다른 타 지시체는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기에 구비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신호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복수 종류의 신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기에 구비된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지시체에 구비된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1 주파수와는 다른 제2 주파수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3.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과, 이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한 지시체로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에는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이 압력 검출 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의 하우징 측면에는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이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부터 추가로 제3 주파수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펜 팁은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1개의 신호는 상기 펜 팁을 통해 송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17.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지시체와,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로서,
    상기 지시체는 소정의 펄스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존재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8.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과, 이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 생성부를 구비한 지시체로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펄스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체.
  19. 지시체로부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센서부에서는 상기 지시체에 의해 위치 지시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로부터 송신된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검출기에서는 이 센서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 지시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위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지시체에서는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검출기에서는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지시한 위치를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중 적어도 일방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체가 상기 센서부에서 위치 지시했을 때의 프레스력을 검출하도록 한 위치 검출 방법.
  20.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 지시에 제공되는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위치 지시 방법으로서,
    제1 주파수의 신호 및 이 제1 주파수의 신호와는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펜 팁으로의 프레스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생성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위치 지시 방법.
KR1020100098903A 2009-12-25 2010-10-11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KR101368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5890A JP5345050B2 (ja) 2009-12-25 2009-12-25 指示体、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JPJP-P-2009-295890 2009-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52A true KR20110074652A (ko) 2011-07-01
KR101368511B1 KR101368511B1 (ko) 2014-02-27

Family

ID=4379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903A KR101368511B1 (ko) 2009-12-25 2010-10-11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18070B2 (ko)
EP (1) EP2339432A3 (ko)
JP (1) JP5345050B2 (ko)
KR (1) KR101368511B1 (ko)
CN (1) CN102109923B (ko)
IL (1) IL207950A0 (ko)
TW (1) TWI485579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30B1 (ko) * 2012-03-26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압력 검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30104649A (ko) * 2012-03-14 2013-09-25 이명우 터치스크린 입력용 도전성 펜
KR20140035854A (ko) * 2012-09-13 2014-03-2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유도 방식의 위치 지시기 및 전자 잉크 카트리지
KR20150050929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31295A (ko) * 2014-09-12 2016-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 터치 펜 및 터치 패널
KR20160111406A (ko) * 2014-01-22 2016-09-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위치 검출 장치, 위치 검출 회로 및 위치 검출 방법
KR20170072231A (ko) * 2014-10-24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발신형 전자 펜
KR2017008112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한 터치 센싱 시스템
US10296108B2 (en) 2015-07-06 2019-05-21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8879B2 (en) 2000-07-06 2006-12-12 At&T Corp. Bioacoustic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417738B2 (en) * 2009-06-12 2016-08-16 Synaptics Incorporated Untethered active pen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ing the untethered active pen
CN102576276B (zh) 2010-08-23 2017-05-10 谱瑞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扫描邻近侦测
US9310923B2 (en) 2010-12-03 2016-04-12 Apple Inc. Input device for touch sensitive devices
WO2012123951A2 (en) 2011-03-17 2012-09-20 N-Trig Ltd. Interacting tips for a digitizer stylus
US11327599B2 (en) 2011-04-26 2022-05-10 Sentons Inc. Identifying a contact type
US9189109B2 (en) 2012-07-18 2015-11-17 Sentons Inc. Detection of type of object used to provide a touch contact input
US9477350B2 (en) 2011-04-26 2016-10-25 Sent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ultrasonic touch devices
US10198097B2 (en) 2011-04-26 2019-02-05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force
US9639213B2 (en) 2011-04-26 2017-05-02 Sentons Inc. Using multiple signals to detect touch input
US8928635B2 (en) 2011-06-22 2015-01-06 Apple Inc. Active stylus
US9329703B2 (en) 2011-06-22 2016-05-03 Apple Inc. Intelligent stylus
US20120327040A1 (en) * 2011-06-22 2012-12-27 Simon David I Identifiable stylus
US8878823B1 (en) 2011-07-27 2014-1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shield electrode of a stylus
US10235004B1 (en) 2011-11-18 2019-03-19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or with an integrated antenna
KR101850680B1 (ko) 2011-11-18 2018-04-20 센톤스 아이엔씨. 터치 입력 힘 검출
US11340124B2 (en) 2017-08-14 2022-05-24 Sentons Inc. Piezoresistive sensor for detecting a physical disturbance
EP2780782B1 (en) 2011-11-18 2020-05-13 Sentons Inc. Localized haptic feedback
US8908894B2 (en) 2011-12-01 2014-12-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ata through a human body
KR20130061958A (ko) * 2011-12-02 2013-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펜의 필압 측정장치
US8878824B2 (en) * 2012-04-11 2014-11-04 Blackberry Limited Force-sensing stylus pointing device
US9495036B2 (en) 2012-04-23 2016-11-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Input system utilizing stylus pen which receives electrical signals via connection link
KR102066017B1 (ko) * 2012-05-11 2020-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좌표 표시 장치 및 좌표 표시 장치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측정 장치
US10379666B2 (en) * 2012-05-11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pen and position measuring method
CN103455232B (zh) * 2012-05-29 2016-08-10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信号的控制方法、电磁感应检测装置及电磁手写系统
US9348468B2 (en) 2013-06-07 2016-05-24 Sentons Inc. Detecting multi-touch inputs
US9652090B2 (en) 2012-07-27 2017-05-16 Apple Inc.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capacitive coupling
US9557845B2 (en) 2012-07-27 2017-01-31 Apple Inc. Input device f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apacitive devices through frequency variation
KR101913817B1 (ko) * 2012-08-29 2018-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3677457B (zh) * 2012-09-17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入装置的识别方法、识别装置、电子设备及输入装置
US9921626B2 (en) * 2012-09-28 2018-03-20 Atmel Corporation Stylus communication with near-field coupling
KR101989408B1 (ko) * 2012-10-25 2019-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연 소자를 이용한 전자 펜 및 그의 터치 입력 방법과 터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10101905B1 (en) * 2012-12-07 2018-10-16 American Megatrends, Inc. Proximity-based input device
KR20140089766A (ko)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펜을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10048775B2 (en) 2013-03-14 2018-08-14 Apple Inc. Stylus detection and demodulation
FR3005288B1 (fr) 2013-05-06 2015-05-15 Bic Soc Dispositif manuel adapte pour un ecran capacitif
US9658717B2 (en) 2013-05-14 2017-05-23 Otter Products, Llc Virtual writing surface
US9229583B2 (en) 2013-05-29 2016-01-05 Otter Products, Llc Object location determination including writing pressure information of a stylus
TW201500977A (zh) * 2013-06-18 2015-01-01 Waltop Int Corp 觸控輸入方法
US9170685B2 (en) * 2013-06-20 2015-10-27 Otter Products, Llc Object location determination
KR20140148156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스크린 모듈
KR102106779B1 (ko) * 2013-06-28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JP2015028712A (ja) * 2013-07-30 2015-02-12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845901B2 (en) 2013-07-31 2020-11-24 Apple Inc. Touch controller architecture
US9785263B2 (en) * 2013-08-22 2017-10-1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ouch screen stylus with force and/or angle sensing functionality
US9262025B2 (en) * 2013-09-10 2016-02-16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Touch input device and system thereof
US9513721B2 (en) 2013-09-12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stylus for a digitizer
US9459715B1 (en) 2013-09-20 2016-10-04 Sentons Inc. Using spectral control in detecting touch input
KR102111274B1 (ko) 2013-09-26 2020-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
TW201516814A (zh) * 2013-10-18 2015-05-01 Waltop Int Corp 觸控輸入裝置及其之感應線圈
US10108984B2 (en) 2013-10-29 2018-10-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cting body language via bone conduction
US9594433B2 (en) 2013-11-05 2017-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sture-based controls via bone conduction
CN104636006B (zh) 2013-11-08 2019-01-01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同时发信的发信器组合与其发信方法及触控系统
CN104636009B (zh) * 2013-11-08 2019-05-07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发信器及其发信方法
CN104731424B (zh) * 2013-11-08 2018-09-28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侦测近接于触控装置的发信器的方法、装置、与系统
CN107885398B (zh) 2013-11-08 2021-03-12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处理装置及其方法
US9823791B2 (en) * 2013-11-08 2017-11-21 Egalax_Empia Technology Inc. Transmitter, touch sensitive system and transmitting method thereof
CN104636010B (zh) * 2013-11-08 2018-07-10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发信器与其发信方法
US9349280B2 (en) 2013-11-18 2016-05-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rupting bone conduction signals
US10678322B2 (en) * 2013-11-18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ssure sensing via bone conduction
US9715774B2 (en) 2013-11-19 2017-07-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henticating a user on behalf of another user based upon a unique body signature determined through bone conduction signals
US9335866B2 (en) 2013-11-20 2016-05-10 Otter Products, Llc Retractable touchscreen adapter
US9405892B2 (en) 2013-11-26 2016-08-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venting spoofing attacks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s
CN103838376B (zh) * 2014-03-03 2016-09-28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交互方法和立体交互系统
JP6355471B2 (ja) * 2014-08-01 2018-07-11 株式会社ワコム 入力装置、位置指示器及び位置検出装置
US9703433B2 (en) * 2014-08-18 2017-07-11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apacitive touch screen and an active stylus
US9582071B2 (en) 2014-09-10 2017-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hold determination using bone conduction
US10045732B2 (en) 2014-09-10 2018-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asuring muscle exertion using bone conduction
US9589482B2 (en) 2014-09-10 2017-03-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one conduction tags
US9882992B2 (en) 2014-09-10 2018-01-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ata session handoff using bone conduction
EP3206111B1 (en) * 2014-10-06 2018-12-19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US9600079B2 (en) 2014-10-15 2017-03-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urface determination via bone conduction
US9874951B2 (en) 2014-11-03 2018-01-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for operating a digitizer system
CN107077224B (zh) * 2014-11-17 2020-11-03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器
US10061450B2 (en) 2014-12-04 2018-08-28 Apple Inc. Coarse scan and targeted active mode scan for touch
US9830000B2 (en) 2014-12-12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stylus synchronization
JP6487694B2 (ja) * 2014-12-26 2019-03-2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信号処理装置
JP6544791B2 (ja) * 2015-02-20 2019-07-1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信号処理回路、信号供給制御方法及び信号処理方法
US10095361B2 (en) 2015-03-18 2018-10-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detection with capacitive based digitizer sensor
TWI574178B (zh) * 2015-03-31 2017-03-1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主動式觸控筆及其位置資訊校正方法
US9874966B2 (en) 2015-04-28 2018-01-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static device having spaced electrodes
WO2016186191A1 (ja) 2015-05-21 2016-11-24 株式会社ワコム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KR102340937B1 (ko) * 2015-07-31 2021-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JP6487807B2 (ja) * 2015-08-21 2019-03-2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US9740312B2 (en) 2015-09-09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stylus
US10048811B2 (en) * 2015-09-18 2018-08-14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provided by signal transmitting stylus
JP2017068793A (ja) * 2015-10-02 2017-04-06 株式会社ダナルジャパン 信号生成装置及びスタンプシステム
US10296146B2 (en) 2015-12-22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rip of a touch enabled device
US10423268B2 (en) 2015-12-22 2019-09-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rounding state of a touch enabled computing device
US10474280B2 (en) * 2015-12-31 2019-11-1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active stylus pen
CN108463791B (zh) * 2016-01-12 2021-08-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设备
CN105739727B (zh) * 2016-02-03 2018-10-19 西南大学附属中学校 硅胶电子签字笔
US9823774B2 (en) 2016-02-23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ise reduction in a digitizer system
KR102440965B1 (ko) * 2016-03-28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41828B2 (en) 2016-04-20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stylus
KR102523154B1 (ko) * 2016-04-22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74277B2 (en) 2016-05-31 2019-11-12 Apple Inc. Position-based stylus communication
US10120487B2 (en) * 2016-06-28 2018-11-0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device for hybrid touch sensing
JP6280297B1 (ja) 2016-07-01 2018-02-14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デュアルスタイラスとデュアルコントローラと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デュアルスタイラス
KR101835009B1 (ko) * 2016-08-19 2018-03-0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CN107861651B (zh) * 2016-09-22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方法、主动笔、触摸屏和触控显示系统
US10908741B2 (en) 2016-11-10 2021-02-02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along device sidewall
US10296144B2 (en) 2016-12-12 2019-05-21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with shared receivers
US10318022B2 (en) 2017-01-30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stylus
US10126877B1 (en) 2017-02-01 2018-11-13 Sentons Inc. Update of reference data for touch input detection
US10585522B2 (en) 2017-02-27 2020-03-10 Sentons Inc. Detection of non-touch inputs using a signature
US10466834B2 (en) * 2017-05-15 2019-11-05 Leading Ui Co., Ltd. Touch system for finger and stylus pen touch recognition
CN107422911B (zh) * 2017-07-19 2020-12-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力值的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80829B2 (en) 2017-08-14 2023-02-14 Sentons Inc. Dynamic feedback for haptics
US10585502B2 (en) 2017-08-17 2020-03-10 Apple Inc. Touch sensor excitation using transformer
JP6363807B2 (ja) * 2018-01-18 2018-07-25 株式会社ワコム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US10678348B2 (en) 2018-03-12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detection on an ungrounded pen enabled device
US10616349B2 (en) 2018-05-01 2020-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sensor centric recommendation engine
US10831316B2 (en) 2018-07-26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urface interface
KR20210011563A (ko) *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펜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34358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터치 장치, 및 터치 시스템
CN111095173B (zh) * 2019-11-22 2023-11-1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压力检测的方法、装置、系统、触控芯片和电子设备
JP7280321B2 (ja) * 2020-05-27 2023-05-2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2022014973A (ja) * 2020-07-08 2022-01-21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2915A (ja) * 1990-08-06 1992-03-25 Fujitsu Ltd 手書きタブレット
US5138118A (en) * 1991-05-06 1992-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lsed pen for use with a digitizer tablet
GB2273778A (en) * 1992-12-22 1994-06-29 Tds Cad Graphics Limited Cordless digitizer
JPH07200137A (ja) * 1993-12-28 1995-08-04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指示器
US5608390A (en) * 1994-02-23 1997-03-0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Synchronous telemetry channel
JP3186946B2 (ja) * 1994-05-31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検出装置
JP3273585B2 (ja) * 1994-09-29 2002-04-08 株式会社ワコム デジタイザ及び位置検出方法
JPH08179871A (ja) * 1994-12-20 1996-07-12 Pentel Kk タッチパネル兼用透明デジタイザ
US6744426B1 (en) * 1999-08-10 2004-06-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en coordinate reading device with pen attribute detecting function
JP2001282444A (ja) * 2000-03-31 2001-10-12 Brother Ind Ltd 座標入力器具および座標読取装置
JP2002244804A (ja) * 2001-02-16 2002-08-30 Miyota Kk ペン入力方式携帯情報端末
EP1509833A2 (en) * 2002-06-05 2005-03-02 Synaptics (UK) Limited Signal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EP1413975B1 (en) * 2002-10-25 2007-05-30 Waltop International Corp.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omagnetic digitizer tablet
JP4143462B2 (ja) * 2003-04-09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ン入力表示装置
US7995036B2 (en) * 2004-02-27 2011-08-09 N-Trig Ltd. Noise reduction in digitizer system
CN101133382B (zh) * 2004-12-01 2016-03-30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位置探测系统和用于使用和控制该位置探测系统的装置和方法
TWI307033B (en) 2006-02-15 2009-03-01 Compal Electronics Inc Digital pen
JP4773315B2 (ja) 2006-10-31 2011-09-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JP4872113B2 (ja) * 2007-09-10 2012-02-0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8482545B2 (en) 2008-10-02 2013-07-09 Wacom Co., Ltd. Combination touch and transducer input system and method
GB2466566B (en) * 2008-12-22 2010-12-22 N trig ltd Digitizer, stylus and method of synchronization therewith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649A (ko) * 2012-03-14 2013-09-25 이명우 터치스크린 입력용 도전성 펜
US9846497B2 (en) 2012-03-26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Stylus comprising signal generators to adjust amplitude ratio, pressure detec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82430B1 (ko) * 2012-03-26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압력 검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35854A (ko) * 2012-09-13 2014-03-2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유도 방식의 위치 지시기 및 전자 잉크 카트리지
KR20150050929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11406A (ko) * 2014-01-22 2016-09-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위치 검출 장치, 위치 검출 회로 및 위치 검출 방법
KR20220000960A (ko) * 2014-01-22 2022-01-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위치 검출 장치, 위치 검출 회로 및 위치 검출 방법
KR20160031295A (ko) * 2014-09-12 2016-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 터치 펜 및 터치 패널
KR20170072231A (ko) * 2014-10-24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발신형 전자 펜
US10296108B2 (en) 2015-07-06 2019-05-21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0437354B2 (en) 2015-07-06 2019-10-08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0437355B2 (en) 2015-07-06 2019-10-08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0514783B2 (en) 2015-07-06 2019-12-24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0852851B2 (en) 2015-07-06 2020-12-01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1231793B2 (en) 2015-07-06 2022-01-25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US11703962B2 (en) 2015-07-06 2023-07-18 Sigmasense, Llc. Pen system with internal pressure tilt rotation
KR2017008112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한 터치 센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9923B (zh) 2015-03-11
TW201207675A (en) 2012-02-16
TWI485579B (zh) 2015-05-21
JP2011138180A (ja) 2011-07-14
US20110155479A1 (en) 2011-06-30
EP2339432A3 (en) 2014-02-26
CN102109923A (zh) 2011-06-29
KR101368511B1 (ko) 2014-02-27
IL207950A0 (en) 2011-02-28
JP5345050B2 (ja) 2013-11-20
US9218070B2 (en) 2015-12-22
EP2339432A2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11B1 (ko) 지시체,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US11099661B2 (en) Pointe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JP6544775B2 (ja)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装置の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装置
TWI705360B (zh) 觸控面板、訊號處理裝置及耦合方法
CN104995586B (zh) 数字化系统的笔
EP2515212B1 (en) Touch screen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GB2286247A (en) Capacitive position detection
CN212061131U (zh) 传感器、信号检测装置及电子设备
KR100960942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CN102436333B (zh) 兼容电容定位和电磁定位的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CN216083667U (zh) 触控检测装置、触控屏、电子设备和触控系统
WO2019109750A1 (zh) 一种操作识别装置、操作识别方法及具有该装置的智能终端
CN113934328A (zh) 触控检测装置、触控屏、电子设备和触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