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474A -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474A
KR20170016474A KR1020177000618A KR20177000618A KR20170016474A KR 20170016474 A KR20170016474 A KR 20170016474A KR 1020177000618 A KR1020177000618 A KR 1020177000618A KR 20177000618 A KR20177000618 A KR 20177000618A KR 20170016474 A KR20170016474 A KR 2017001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oistway
layer
eleva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121B1 (ko
Inventor
유 에노모토
히데키 나카무라
게이스케 삼본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01B11/0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 G01B11/28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Abstract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는 층상에 재치되는 베이스(8)와, 이 베이스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로 내로 돌입하는 제1 암(9)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양측으로 연장되고, 도어프레임(5)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제2 암(10)과, 이 제2 암과 평행하게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기 측프레임의 외측까지 연장된 한 쌍의 제3 암(11)과, 상기 제1 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승강로 내에서 상기 승강로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DEVICE FOR MEASURING ELEVATOR HOISTWAY DIMENSIONS, AND METHOD FOR MEASURING SAME}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치수를 측정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개수(改修)에서는, 새롭게 갱신·신규 추가하는 기기를 검토할 때, 기존의 기기나 구조물,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이나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그 자체 등의 치수가 필요하다. 현재, 그들 치수의 측정은, 작업원이 실제로 현장으로 나가, 줄자나 레이저 측거기(測距器)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원에 의한 수작업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두 명 이상의 일손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승강로 하부의 측정에서는, 측정시에 장애물이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상층층으로 올리고 실시한다.
승강로 상부를 측정할 때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서 측정을 행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을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 운전하는 작업자와,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서 측정을 행하는 작업자인 2명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한층 더 일손의 절감이 요구되고 있으며, 더하여 이들 작업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정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단시간으로의 측정도 요구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 작업도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향상도 요망된다.
그 때문에, 작업원에 의한 수작업의 측정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정 장치를 예를 들면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9878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9691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6-6279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측정 장치는, 모두 엘리베이터 칸 위에 마련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고, 작업원이 승강로 내에 들어가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측정 시간이 길어져, 그 만큼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의 작업은 안전성 관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 실제의 측정에 있어서는 레이저광 등을 이용한 삼차원 측정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기존의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기 때문에, 승강로의 치수 측정에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취득해 버려, 승강로의 전역(全域)의 치수를 원활히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작업원이 승강로 내에 들어가 측정기를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하는 일 없이 승강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결과, 측정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되고, 또 안전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로의 전역의 치수 측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는,
층상(床, 바닥)에 재치(載置)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로 내로 돌입하는 제1 암(arm)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양측으로 연장되고, 도어프레임(doorframe)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제2 암과,
이 제2 암과 평행하게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기 측프레임의 외측까지 연장된 한 쌍의 제3 암과,
상기 제1 암의 단부(端部)에 장착되어 승강로 내에서 상기 승강로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는,
도어프레임보다도 광폭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에 양단부가 맞닿는 암과,
이 암에 기단부(基端部)가 마련되고 선단부(先端部)가 승강로 내로 돌입하는 돌입 부재와,
이 돌입 부재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기 승강로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와,
상기 암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측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층상보다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퇴피(退避)시킨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설치 층상보다도 상층 층상에 있을 때는, 상기 상층 층상보다도 하측의 층상의 하층 층상측 데이터를 상기 삼차원 측정기에 의해 입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설치 층상보다도 하층 층상에 있을 때는, 상기 하층 층상보다도 상측의 층상의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상기 삼차원 측정기에 의해 입수하고,
그 후, 상기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기 상층 층상측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공통 부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기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하여, 그 통합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로의 전역의 치수를 얻는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강로 내에 들어가 측정기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일 없이, 승강로 내에 설치할 수 있어, 측정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되고, 또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에 의하면, 승강로의 치수 측정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얻고, 그러한 공통 부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기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하여, 그 통합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로의 전역의 치수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로의 전역의 치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승강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로의 치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삼차원 측정기를 제외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전역을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 층상마다의 측정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정을 행할 때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하층 층상측 데이터의 공통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층 층상측 데이터의 공통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로 치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1)(이하, 측정 장치(1)라고 대략 칭함. )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승강로(2)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승강로(2) 내 치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삼차원 측정기(13)를 제외한 측정 장치(1)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승강로(2) 내에는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4)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는, 도어프레임(5), 승강장 문턱(6) 및 승강장 도어(7)가 마련되어 있다.
측정 장치(1)는 이동성(portability)이 뛰어난, 예를 들면 카트인 바퀴 달린 베이스wheeled base)(8)와, 설치 층상(19)에 재치되는 바퀴 달린 베이스(8)의 진행 방향의 선단부의 중심부에서부터 진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암(9)과, 바퀴 달린 베이스(8)의 진행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진행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2 암(10)과, 제2 암(10)의 상기 진행 방향의 뒤측이고 제2 암(10)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암(11)과, 제1 암의 선단부에 장착된 받침대(pedestal)(12)와, 이 받침대(12)에 고정된 삼차원 측정기(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삼차원 측정기(13)는 비접촉식 측정기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를 대상물에 조사함으로써, 위상차에 의해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식 삼차원 측정기이다.
또한, 각 제2 암(10)의 선단부에는, 고무 등의 완충 부재(16)가 마련되어 있고, 또 제3 암(11)의 선단부로서 도어프레임(5)에 대면하는 측에도 완충 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완충 부재(16)가 맞닿는, 도어프레임(5)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25)의 면이 경사면인 경우에는, 경사를 흡수하는 로터 모양의 고무 부재가 이용된다.
또, 엘리베이터 출입구폭이 특수한 경우, 예를 들면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의 엘리베이터 등, 일반적인 승용 엘리베이터보다 출입구폭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은, 제2 암(10)을 장척 타입으로 교환함으로써 대응하면 된다.
또, 바퀴 달린 베이스(8)의 바퀴(14)는, 도시하지 않는, 스톱퍼 또는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암(9)은 지축(支軸)(15)에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바퀴 달린 베이스(7)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암(9)은 내통과, 내통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외통으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고, 또 내통과 외통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암(9)은 지축(15)을 중심에 앙부각(仰俯角, 올림 또는 내림각)을 조정함으로써, 삼차원 측정기(13)의 수평 위치가 조정된다.
각 제2 암(10)은 기단부가 바퀴 달린 베이스(8)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암(10)은 제1 암(9)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신축 기능 및 고정 기능을 가진다.
이 제2 암(10)은 각각 신축하여, 선단면이 도어프레임(5)의 측프레임(25)의 내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측정 장치(1)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층상(19)으로부터 출입구를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의 삼차원 측정기(13)의 위치 결정이 된다.
각 제3 암(11)은 지축(18)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바퀴 달린 베이스(7)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3 암(11)은 제2 암(10)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신축 기능과 고정 기능을 가진다. 이 제3 암(11)은 측정 장치(1)가 승강로(2)에 낙하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즉, 한 쌍의 제3 암(11)은, 각각 좌우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도어프레임(5)의 폭보다 커서, 도어프레임(5)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걸림값(掛代)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암(9), 제2 암(10) 및 제3 암(11)은, 내통과 외통의 통에 의한 신축 방식 이외의 방식이라도 되고, 그 밖에도 예를 들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슬라이더를 매개로 하여 접속되고, 또 고정 기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측정 장치(1)의 삼차원 측정기(13)를 승강로(2) 내에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측정을 개시하는 사전 준비로서 엘리베이터를 통상의 운전 상태로부터,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칸(4)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측정 장치(1)가 설치되는 설치 층상(19)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을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시켜 측정 범위 밖으로 퇴피시킨다.
다음에, 지축(15)을 중심으로 수평이 되도록 제1 암(9)을 회동한 후, 받침대(12)에 삼차원 측정기(13)를 고정한다.
그 후, 한 쌍의 제3 암(11)을 각각 좌우로 신장한 후, 바퀴 달린 베이스(8)를 도어프레임(5)을 향해서, 제3 암(11)의 완충 부재(17)가 도어프레임(5)에 맞닿을 때까지 전진시킨다.
다음에, 케이블 등의 장애물에 방해받지 않고 삼차원 측정기(13)가 측정할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좌우 각각의 제2 암(10)을 신축하여 길이를 조정하여, 한 쌍의 제2 암(10)의 각각 완충 부재(16)가 도어프레임(5)의 측프레임(25)의 내측면에 맞닿게 한 후, 제2 암(10)의 내통과 외통을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양 승강장 도어(7)를 제1 암(9)의 부근까지 접근시켜 닫는다.
이렇게 하여, 승강로(2) 내의 원하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된 삼차원 측정기(13)는, 원격 조작으로 기동되어, 승강로(2)의 치수가 측정된다.
측정 종료 후는, 승강장 도어(7)를 개방하여, 바퀴 달린 베이스(8)를 후퇴시켜, 삼차원 측정기(13)를 승강로(2)의 외부로 반출한다.
이렇게 하여, 어느 설치 층상(19)에서의 승강로(2)의 치수 측정은 종료하지만, 상기 삼차원 측정기(13)의 설치, 승강로(2)의 치수 측정은,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각 설치 층상(19)마다 반복됨으로써, 각 설치 층상(19)마다의 승강로(2)의 치수에 관한 삼차원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이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 의하면, 승강로(2)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13)는, 설치 층상(19)에 설치된 바퀴 달린 베이스(8)로부터 승강로(2) 내로 돌입한 제1 암(9)의 선단부에 받침대(12)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으므로, 삼차원 측정기(13)를 승강로(2)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승강로(2) 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간단하게 승강로(2) 내에 설치할 수 있어, 측정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되고, 또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베이스는 바퀴 달린 베이스(8)여서, 측정 장치(1)를 간단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제1 암(9), 제2 암(10) 및 제3 암(11)은, 모두 신축 가능하고, 고정 기능도 가지고 있으므로, 삼차원 측정기(13)를 케이블 등으로 측정에 방해되는 지점을 피한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 암(10) 및 제3 암(11)은, 각각 선단부에 완충 부재(16, 1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삼차원 측정기(13)를 승강로(2) 내에 설치할 때의 제2 암(10) 및 제3 암(11)의 충돌에 의한 도어프레임(5)의 파손, 흠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암(9)은 기단부가 바퀴 달린 베이스(8)에 앙부(仰俯)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승강로(2) 내에서 삼차원 측정기(13)를 수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제3 암(11)은 기단부가 바퀴 달린 베이스(8)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3 암(11)은 도어프레임(5)의 측프레임(25)의 승강장측의 면과 맞닿고, 바퀴 달린 베이스(8)는 도어프레임(5)에 대해서 안정된 위치 결정이 된다.
또한, 상기 측정 장치(1)에 있어서, 바퀴가 없는 베이스여도 된다.
또, 제1 암, 제2 암 및 제3 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암이 신축 가능해도 되고, 제1 암, 제2 암 및 제3 암의 모두 일정한 길이의 것이어도 된다.
또, 제1 암, 제3 암의 각각의 기단부가 베이스에 고정된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얻어진 각 설치 층상(19)마다의 치수 데이터를 기본으로 승강로(2)의 전역의 치수를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측정 장치(1)가 설치되는 설치 층상(19)(중층 층상(21))에 엘리베이터 칸(4)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4)을 상층 층상(20)으로 퇴피시키고, 중층 층상(21), 하층 층상(22)에서 삼차원 측정기(13)를 이용하여 승강로(2)의 치수를 측정한다. 이 경우, 각각의 층상(21, 22)에서 얻어진 하층 층상측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닥면의 데이터를 취득해 버릴 우려 있지만, 그때는, 컴퓨터상에서 불필요해지는 부분을 말소시킴으로써 승강로(2)의 치수만의 데이터를 구축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4)을 하층 층상(22)으로 퇴피시키고, 중층 층상(21), 상층 층상(20)에서 삼차원 측정기(13)를 이용하여 승강로(2)의 치수를 측정한다. 이 경우, 각각의 층상(21, 20)에서 얻어진 상층 층상측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면의 데이터를 취득해 버릴 우려 있지만, 그때는, 컴퓨터상에서 불필요해지는 부분을 말소시킴으로써 승강로(2)의 치수만의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하층 층상측 데이터와 상층 층상측 데이터의 사이에서는, 치수 데이터의 불일치가 생길 우려가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각각의 승강로(2)의 공통 부위를 측정하고, 이 공통 부위의 치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치수 데이터의 불일치를 수정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3)이 상층 층상(20)에 있을 때 얻어진 하층 층상측 데이터는, 도 6에 도시하는 중층 층상(21)의 승강장 문턱 상면(23), 도어프레임 상프레임 하면(24)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3)이 하층 층상(22)에 있을 때 얻어진 상층 층상측 데이터는, 도 7에 도시하는 중층 층상(21)의 승강장 문턱 상면(23), 도어프레임 상프레임 하면(24)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는, 공통 부위인 중층 층상(21)의 승강장 문턱 상면(23), 도어프레임 상프레임 하면(24)에 관해서 공통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삼차원 측정기(13)는 각 설치 층상(19)에서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이 삼차원 측정기(13)에서 얻어진,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의 공통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승강로(2)의 전역의 치수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층의 층상의 예로 설명했지만, 4층 이상의 층상더라도, 엘리베이터 칸을 최상 층상으로 퇴피시키고, 최상 층상보다도 하측의 층상의 하층 층상측 데이터를 입수하고, 또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 층상으로 퇴피시키고, 최하 층상보다도 상측의 층상의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입수하고, 그 후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의 공통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하여, 그 데이터로부터 승강로(2)의 전역의 치수를 알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측정 장치(1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 2의 측정 장치(1A)는 도어프레임(5)보다도 광폭으로 설치 층상(19)을 따라서 좌우로 연장된 암(30)과, 이 암(30)의 양측에 마련되어 좌우로 이동하고, 고정 가능한 한 쌍의 접촉 부재(31)와, 접촉 부재(31)의 중심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로(2) 내로 돌입하는 돌입 부재(32)와, 이 돌입 부재(32)의 선단부에 장착된 삼차원 측정기(13)를 구비하고 있다.
암(30)은 실시 형태 1의 제3 암(11)에 상당하며, 측정 장치(1A)가 승강로(2)에 낙하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또, 접촉 부재(31)는 실시 형태 1의 제2 암(10)에 상당하며, 각각 이동, 고정함으로써, 설치 층상(19)에서 볼 때 도어프레임(5)에 대한 횡방향의 삼차원 측정기(13)의 위치가 설정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측정 장치(1)와 같다.
이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A)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절차에 따라서 승강로(2)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고, 또 실시 형태 1의 바퀴 달린 베이스(8)가 없어, 이동성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 형태 1의 측정 장치(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측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2)의 전용으로서, 암(30)에 대해서 접촉 부재(31)가 고정된 것이어도 된다.
또, 암(30), 돌입 부재(32)에 대해서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신축 가능하고 고정 기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삼차원 측정기(13)는 레이저식 삼차원 측정 기기였지만, 초음파의 송수신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식 삼차원 측정기여도 된다.
또,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로프식 엘리베이터 중 어디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데이터의 통합에 관해서는, 승강장 문턱(6), 도어프레임(5) 외, 승강로(2)의 구조물(벽면, 철골 등)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에 있어서 공통의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 그것들도 기준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1, 1A: 엘리베이터용 승강로 내 치수 측정 장치
2: 승강로 3: 가이드 레일
4: 엘리베이터 칸 5: 도어프레임
6: 승강장 문턱 7: 승강장 도어
8: 바퀴 달린 베이스 9: 제1 암
10: 제2 암 11: 제3 암
12: 받침대 13: 삼차원 측정기
14: 바퀴 15, 18: 지축
16, 17: 완충 부재 19: 설치 층상
20: 상층 층상 21: 중층 층상
22: 하층 층상 23: 승강장 문턱 상면
24: 도어프레임 상프레임 하면 25: 측프레임
30: 암 31: 접촉 부재
32: 돌입 부재

Claims (11)

  1. 층상(床, 바닥)에 재치(載置)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로 내로 돌입하는 제1 암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양측으로 연장되고, 도어프레임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맞닿는 한 쌍의 제2 암과,
    이 제2 암과 평행하게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기 측프레임의 외측까지 연장된 한 쌍의 제3 암과,
    상기 제1 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승강로 내에서 상기 승강로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암, 상기 제2 암 및 상기 제3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신축 가능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바퀴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 및 상기 제3 암은, 각각 선단부에 완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암은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앙부(仰俯)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상기 제3 암은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6. 도어프레임보다도 광폭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대향한 한 쌍의 측프레임에 양단부가 맞닿는 암과,
    이 암에 기단부가 마련되어 선단부가 승강로 내로 돌입하는 돌입 부재와,
    이 돌입 부재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기 승강로를 삼차원 측정하는 삼차원 측정기와,
    상기 암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측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암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암 및 상기 돌입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신축 가능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측정기는 레이저식 삼차원 측정기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로의 치수를 측정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층상보다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퇴피(退避)시킨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설치 층상보다도 상층 층상에 있을 때는, 상기 상층 층상보다도 하측의 층상의 하층 층상측 데이터를 상기 삼차원 측정기에 의해 입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설치 층상보다도 하층 층상에 있을 때는, 상기 하층 층상보다도 상측의 층상의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상기 삼차원 측정기에 의해 입수하고,
    그 후, 상기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기 상층 층상측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공통 부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층 층상측 데이터 및 상기 상층 층상측 데이터를 통합하여, 그 통합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로의 전역의 치수를 얻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위는 승강장 문턱 상면 및 도어프레임 상프레임 하면인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
KR1020177000618A 2014-06-13 2015-01-13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101883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2398 2014-06-13
JP2014122398 2014-06-13
PCT/JP2015/050678 WO2015190121A1 (ja) 2014-06-13 2015-01-13 エレベーター昇降路寸法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474A true KR20170016474A (ko) 2017-02-13
KR101883121B1 KR101883121B1 (ko) 2018-07-27

Family

ID=5483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618A KR101883121B1 (ko) 2014-06-13 2015-01-13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51577B2 (ko)
EP (1) EP3156359B1 (ko)
JP (2) JP6242485B2 (ko)
KR (1) KR101883121B1 (ko)
CN (1) CN106458514B (ko)
WO (1) WO2015190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3033B1 (ja) * 2015-06-10 2016-08-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マシンビームの掛り代寸法算出システム、およびマシンビームの掛り代寸法算出方法
JP5973032B1 (ja) * 2015-06-10 2016-08-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昇降路形状情報生成装置、昇降路形状情報生成方法
JP6602275B2 (ja) * 2016-08-09 2019-11-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機械室図面生成装置、エレベータ機械室モデリングデータ生成装置、エレベータ機械室図面生成方法、及びエレベータ機械室モデリングデータ生成方法
JP6734806B2 (ja) * 2017-03-31 2020-08-0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データ統合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56896B2 (ja) 2018-10-09 2022-10-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昇降路内計測システム
US11702316B2 (en) * 2020-03-16 2023-07-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inspection system with robotic platform configured to develop hoistway model data from sensor data
US20210284503A1 (en) * 2020-03-16 2021-09-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inspection system with robotic platform configured to inspect operational and alignment conditions of components in a hoistway
US20210403279A1 (en) * 2020-06-28 2021-12-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elevator door components
CN114234885B (zh) * 2021-12-31 2023-11-21 杨武鹏 一种建筑设计用室外测量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614439B1 (ko) 2023-07-12 2023-12-15 주식회사 네이비 드론을 이용한 승강로 측정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434A (ko) * 1999-11-26 2001-06-15 고영균 레이저광을 이용한 관 내부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JP2005098786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寸法測定装置
JP2005096919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方法
JP2006062796A (ja) 2004-08-25 2006-03-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寸法測定装置および昇降路内事前調査方法
JP2007261794A (ja) *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寸法測定装置
JP2009051574A (ja) * 2007-08-23 2009-03-12 Yahagi Elevator Kk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JP2010235218A (ja) * 2009-03-30 2010-10-21 Ntt Gp Eco Communication Inc エレベータ昇降路内の位置情報取得装置とそのガ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585A (ja) 1982-08-30 1984-03-07 東芝昇降機サ−ビス株式会社 エレベ−タ出入口の三方枠据付調整装置
JPS60190782U (ja) * 1984-05-30 1985-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位置決め装置
JPS61117365A (ja) 1984-11-14 1986-06-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出入口の養生装置
JPH02144393A (ja) 1988-11-28 1990-06-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場出入口開口部の養生装置
EP0468677B1 (en) * 1990-07-18 1996-05-15 Spectra Precision, Inc. Three dimensional posi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JPH05340085A (ja) 1992-06-10 1993-12-2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昇降路作業用足場装置
JP3079186B2 (ja) 1995-09-28 2000-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構造物計測システム
FI109291B (fi) 1997-03-07 2002-06-28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asentamiseksi
JP2002081935A (ja) 2000-09-08 200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装置
JP4666842B2 (ja) 2001-08-23 2011-04-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装置
JP2003066143A (ja) * 2001-08-28 2003-03-05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路内寸法測定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装置
JP2003155184A (ja) 2001-11-21 2003-05-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階床出入り口品取替工法
JP2008224323A (ja) * 2007-03-09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テレオ写真計測装置、ステレオ写真計測方法及びステレオ写真計測用プログラム
CN201137505Y (zh) * 2007-11-28 2008-10-22 上海市电力公司电缆输配电公司 用于城市电网隧道危险环境的机器人检查装置
JP4774427B2 (ja) * 2008-06-30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
FI121977B (fi) 2009-04-07 2011-06-30 Kone Corp Välineet ja menetelmä hissikuilun mittaamiseksi
US8724119B2 (en) 2010-04-21 2014-05-13 Faro Technologies, Inc. Method for using a handheld appliance to select, lock onto, and track a retroreflector with a laser tracker
CN102065280A (zh) * 2010-11-02 2011-05-18 徐州翔和电气设备有限公司 新型井筒无线网络移动视频监测装置
EP2530043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S1075480Y (es) 2011-08-31 2012-01-26 Vidal Cristobal Belles Dispositivo para escaneado 3d de arquetas de alcantarilla
JP5481513B2 (ja) * 2012-03-27 2014-04-2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
JP2013220926A (ja) * 2012-04-18 201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システム
FI123925B (fi) * 2012-08-17 2013-12-13 Kone Corp Menetelmä hissiin liittyvän tiedon hallinnoinnissa
JP6188065B2 (ja) * 2013-08-05 2017-08-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用点検装置
CN103449273A (zh) * 2013-08-20 2013-12-18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高度应急测定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434A (ko) * 1999-11-26 2001-06-15 고영균 레이저광을 이용한 관 내부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JP2005098786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寸法測定装置
JP2005096919A (ja) 2003-09-24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寸法測定方法
JP2006062796A (ja) 2004-08-25 2006-03-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寸法測定装置および昇降路内事前調査方法
JP2007261794A (ja) *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寸法測定装置
JP2009051574A (ja) * 2007-08-23 2009-03-12 Yahagi Elevator Kk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JP2010235218A (ja) * 2009-03-30 2010-10-21 Ntt Gp Eco Communication Inc エレベータ昇降路内の位置情報取得装置とその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514B (zh) 2021-06-25
EP3156359B1 (en) 2022-07-06
JP6242485B2 (ja) 2017-12-06
EP3156359A1 (en) 2017-04-19
CN106458514A (zh) 2017-02-22
EP3156359A4 (en) 2018-04-04
JP2018066741A (ja) 2018-04-26
US10151577B2 (en) 2018-12-11
US20170122723A1 (en) 2017-05-04
JP6485820B2 (ja) 2019-03-20
JPWO2015190121A1 (ja) 2017-04-20
KR101883121B1 (ko) 2018-07-27
WO2015190121A1 (ja)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12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치수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RU2324614C2 (ru) Выдвижная подножка
CN106054180A (zh) 隧道衬砌无损检测台车及其工作方法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US9347201B2 (en) Emergency egress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2014088678A (ja) 乗下船用タラップ装置
US20160122159A1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101731475B1 (ko) 궤도형 작업 이동대차 장치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EP30996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low height lift device
CN100595124C (zh) 垂直升降机
KR20190109041A (ko) 탑승교의 자동접현장치 및 그 방법
EP3816097A1 (en) Machine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rains and trams
CN105270954A (zh) 电梯的救援装置和电梯
JP2017120012A (ja) 船舶旅客搭乗橋
CN211809604U (zh) 轨道车辆
CN108603346B (zh) 用于执行轨道构建操作的轨道构建车辆
JP2015229563A (ja)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装置
RU139977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JP6525735B2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寸法測定装置
JPH11349256A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機器の位置測定装置
USRE26859E (en) Conveyance loader system
NL2015870B1 (nl) Verplaatsbare liftinrichting, werkwijze voor het gebruiksklaar maken van een verplaatsbare lift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ter transport in gereedheid brengen van een verplaatsbare liftinrichting.
RU120615U1 (ru) Складная секционная лестниц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947620A (zh) 一种基于变焦双目系统搭载的隧道限界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