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345A - 다단식 증자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증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345A
KR20170015345A KR1020167035969A KR20167035969A KR20170015345A KR 20170015345 A KR20170015345 A KR 20170015345A KR 1020167035969 A KR1020167035969 A KR 1020167035969A KR 20167035969 A KR20167035969 A KR 20167035969A KR 20170015345 A KR20170015345 A KR 2017001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veyor
body portion
line group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30B1 (ko
Inventor
다카아키 히비
시게루 야스다
고헤이 노무라
미츠루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Noodl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다단식 증자 장치(200)는, 증기고 본체부(2)에 반입된 면선군이 일방향을 따라 복수회의 왕복을 거쳐, 상기 증기고 본체부(2) 내를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반송시키는 컨베이어를 다단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단식 증자 장치(200)는, 증기고 본체부(2)의 상단부에서 반송되고 있는 면선군에 대해서 증기관(5)으로부터 증기를 부여하고, 상기 면선군을 하단으로까지 반송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증자 장치{MULTISTAGE STEAM-COOKING DEVICE}
본 발명은 다단식(多段式) 증자(蒸煮)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면선군(麵線群)의 증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단식 증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석면은, 잘라내어진 생면선(生麵線)을 소정의 처리 후에 건조시킨 것이며, 열탕을 따른 후에 몇 분 방치하던지, 냄비 등에서 몇 분 데치는 것에 의해, 복원시켜 섭취할 수 있는 즉석 식품이다. 이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즉석면의 제조 공정에서는, 면선군에 증자 공정을 실행한다.
이러한 증자 공정을 실행하려면, 제면(製麵) 공장 내에 증자 장치를 설치한다. 이 때,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기 위해서 증자 장치 내를 복수단(複數段)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증자하는 대상이 되는 면선군은 증자 장치의 길이 방향을 복수회 왕복하도록 컨베이어 상에서 반송되고, 반송중에 내부에 도입되는 증기에 의해 증자된다. 이러한 다단식 증자 장치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타입이 공개되어 있다.
또, 근래의 에너지 절약화의 목적에 따라 증자 장치에 사용하는 증기를 보다 효율 좋게 이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증자 장치에 몇 단(段)의 컨베이어를 마련하고, 내부에 과열한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고(蒸氣庫)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증기의 누출을 막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62961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증자 장치를 재검토하여, 증기를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개선할 여지가 있는 것을 찾아냈다. 특히, 증자 장치의 상단부에서 반송되는 면선군에 증기를 부여하면, 효율적인 증자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본 발명자들의 예의(銳意) 연구의 결과, 다단식(多段式) 증자 장치에서, 반입된 면선군(麵線群)이 증기고 본체부 내를 일방향을 따라서 복수회의 왕복을 거쳐, 증기고 본체부 내를 상단(上段)으로부터 하단(下段)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컨베이어를 다단(多段)으로 마련한다. 이것과 아울러, 증기고(蒸氣庫) 본체부 내의 상단부에서 반송되는 면선군에 증기를 부여하고, 이것을 하단으로까지 반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증자(蒸煮)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1) 증자되어야 할 면선군이 도입되는 입구측과 증자 후의 면선군이 배출되는 출구측을 가지는 증기고 본체부와,
2)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에 면선군을 반송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입구측으로부터 반입된 면선군이 일방향을 따라서 복수회의 왕복을 거쳐,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를 상단(上段)으로부터 하단(下段)까지 반송된 후에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다단(多段)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3)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의 상단에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반송되는 면선군에 대해서 증기를 부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증기관이 마련되어 있는 다단식 증자 장치이다.
또, 청구항 1의 다단식 증자 장치에서,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의 스페이스에 증기가 충전되는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를 마련하면, 증기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즉,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의 스페이스에,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에 증기가 충전되는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가 마련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다단식 증자 장치이다.
또, 특히 상기의 부재가, 컨베이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의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다단식 증자 장치이다.
게다가 상기의 다단식 증자 장치에서는,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입구측에 터널형 면도입부를, 출구측에 터널형 면배출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1)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경사진 상향으로 증자되어야 할 면선군이 반송되는 터널형 면도입부와,
2)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경사진 하향으로 증자 후의 면선군이 반송되는 터널형 면배출부를 가지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단식 증자 장치이다.
게다가, 상기의 다단식 증자 장치에서는, 상기 면도입부의 입구단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면배출부의 출구단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증기의 누출을 더 감소시켜 증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즉,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상기 면도입부의 입구단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면배출부의 출구단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다단식 증자 장치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다단식 증자 장치에 있어서는, 증기고 본체부 내의 상단(上段)에 증기관을 마련하기 때문에, 중단(中段)이나 하단(下段)에 증기관을 마련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증기고 본체부 내에서 증기가 충전되는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단식 증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증기를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다단식 증자 장치는 근래의 에너지 절약화의 요청에 합치(合致)하여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 증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 증자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 증자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 증자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 증자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을 통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다단식(多段式) 증자(蒸煮)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단식 증자 장치(200)는, 일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면선군(麵線群)이 도입되는 입구측과 면선군이 배출되는 출구측을 마련한 증기고(蒸氣庫) 본체부(2)와, 증기고 본체부(2)의 입구측 상부(21)에 접속되어 있고, 경사진 상향 방향으로 면선군이 반입되도록 배치된 터널형 면도입부(1)와, 증기고 본체부(2)의 출구측과 접속되어 있고, 경사진 하향 방향으로 증자 후의 면선군이 반출되도록 배치된 터널형 면배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이하, 면도입부(1)측으로부터 면배출부(3)측으로 향하는 수평의 반송 방향을 "순방향", 면배출부(3)측으로부터 면도입부(1)측으로 향하는 수평의 반송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따라서, 상기의 일방향은 "순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을 포함한다.
다단식 증자 장치(200)는 게다가, 면도입부(1)로부터 증기고 본체부(2)의 입구측 상부(21)로부터 도입된 면선군이,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을 따라 복수회의 왕복을 거쳐 증기고 본체부(2)의 하부까지 반송되고, 면배출부(3)로부터 면선군이 배출되도록 다단으로 마련된 컨베이어와, 증기고 본체부(2)에 증기(가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증기관(5)을 더 구비하고 있다.
면도입부(1)의 입구단 및 면배출부(3)의 출구단은,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면(下端面)보다도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는, 면도입부(1)의 입구단으로부터 증기고 본체부(2)로까지 면선군을 반송하고, 또한 순방향을 따라서 면배출부(3)까지 면선군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41)와,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순방향으로 반송된 면선군을 제1 컨베이어(41)로부터 넘겨 받은 후에, 역방향을 따라서 증기고 본체부(2)의 입구측으로 반송한 후, 재차 제1 컨베이어(41)에 면선을 넘겨주는 제2 컨베이어(42)를 가지고 있다. 제1 컨베이어(41) 및 제2 컨베이어(42)의 상세한 구조는 후에 기록한다.
또, 상기의 면도입부(1), 증기고 본체부(2), 면배출부(3)는 각각 지지대(100)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각 부의 설명-
<면도입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도입부(1)는 세로로 길고 직선 모양의 터널형 통로이며, 증기고 본체부(2)의 입구측의 상부(21)와 접속하고 있다. 상기 면도입부(1)의 내부를 제1 컨베이어(41)가 통과한다.
또, 면도입부(1)의 단면의 크기는 제1 컨베이어(41) 및 상기 제1 컨베이어(41) 상에 재치(載置)된 면선군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라면 충분하다. 면도입부(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성과 보온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게다가, 면도입부(1)의 내부에 충만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구조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면도입부(1)의 입구단(1a)은,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5 참조). 증자 공정에서는, 증기고 본체부(2)의 충만된 증기가 면도입부(1)의 입구단(1a)까지 채워진다. 상기 입구단(1a)이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보다도 하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의 증기의 누출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열된 증기는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만일 면도입부(1)의 입구단(1a)이,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입구단(1a)으로부터 가열 증기가 빠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면도입부(1)에서는 그러한 우려는 없다.
<증기고 본체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면도입부(1)로부터 제1 컨베이어(41)로 반입된 면선군이 상하 3단에 걸쳐서 증자되는 증기고 본체부(2)를 나타내고 있다.
증기고 본체부(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성과 보온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 내부에 충만되는 증기가 가능한 한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면도입부(1)나 면배출부(3)와의 접속 부분 등을 포함하여, 증기의 누출을 줄일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해 둠으로써, 증기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증기고 본체부(2)의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충만시켜 갈 수 있기 때문에, 증기고 본체부(2) 전체에 증기를 충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증기고 본체부(2)의 내부의 면선군을 효과적으로 증기에 쬘 수 있다.
<면배출부>
면배출부(3)는 세로로 길고 직선 모양의 터널형 통로이며, 증기고 본체부(2)의 출구측의 하부(2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면배출부(3)의 내부를 제1 컨베이어(41)가 통과한다.
또, 면도입부(1)와 마찬가지로 면배출부(3)의 단면부의 크기는 제1 컨베이어(41) 및 상기 제1 컨베이어(41) 상에 재치된 면선군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라면 충분하다.
면배출부(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철, 알루미늄이나 수지(樹脂) 등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 내부에 충만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구조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면배출부(3)의 출구단(3a)은,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5 참조). 증자 공정에서는, 증기고 본체부(2)의 충만된 증기가 면배출부(3)의 출구단까지 채워지지만, 상기 출구단이 이와 같이 위치함으로써, 외부로의 증기의 누출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제1 컨베이어(41) 및 제2 컨베이어(42)는, 면도입부(1) 및 증기고 본체부(2)의 입구측 상부(21)로부터 도입된 면선군이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복수회의 순방향 및 역방향의 왕복을 거쳐 증기고 본체부(2)의 하부까지 반송되고, 또한, 면배출부(3)로부터 면선군이 배출되도록 다단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컨베이어(41)는, 그물코를 가지는 컨베이어이며, 스프로켓(sprocket) 및 가이드에 의해서 무단(無端) 모양으로 순환하고 있다. 증기고 본체부(2)의 외측으로서, 면도입부(1)의 바로 앞에는 제1 스프로켓(61)이, 면도입부(1)의 입구단에는 제1 가이드(71)가 각각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증기고 본체부(2)의 외측으로서, 면배출부(3)보다도 하부에는, 제6 내지 제9 스프로켓(66-69)이 각각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증기고 본체부(2) 내로서, 면도입부(1)측에는, 제2 가이드(72)와, 제3 스프로켓(63)이 각각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증기고 본체부(2) 내로서, 면배출부(3)측에는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하는 제2 스프로켓(62)과, 제2 컨베이어(42)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73)가 상하로 마련되어 있다. 제3 스프로켓(63)은 소경부(小徑部)(63a)와 대경부(大徑部)(63b)를 동축(同軸)에 구비하고, 대경부(63b)가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한다. 면배출부(3)의 양단부에는, 제1 컨베이어(41)를 안내하는 제4 가이드(74) 및 제5 가이드(7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42)는, 그물코를 가지는 컨베이어이며,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무단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제2 스프로켓(62)보다도, 면배출부(3)측에는 제4 스프로켓(64)과 제5 스프로켓(65)이 상하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42)는, 제4 스프로켓(64), 제5 스프로켓(65) 및 제3 스프로켓(63)의 소경부(63a)에 걸쳐진다.
제1 컨베이어(41)의 최상단부는, 제1 영역(41a)을 형성한다. 제2 스프로켓(62)과 대경부(63b)를 연결하는 직선 영역은 제2 영역(41b)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41b)은, 제3 가이드(73)와 소경부(63a)를 연결하는 제3 영역(42a)보다도 상부에 위치한다. 또, 소경부(63a)와 제5 스프로켓(65)을 연결하는 제4 영역(42b)은, 대경부(63b)와 제4 가이드(74)를 연결하는 제5 영역(41c)보다도 상부에 위치한다.
<컨베이어의 동작>
제1 컨베이어(41)는 먼저 제1 스프로켓(61)에 감아 걸어지며, 제1 가이드(71)에 의해 지지되어 면도입부(1) 내로 들어간다. 상기 제1 컨베이어(41)는, 면도입부(1) 내를 경사진 상방향으로 상승한 후, 제2 가이드(72)에 의해 지지되어 순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된다. 게다가 제1 컨베이어(41)는 제2 스프로켓(62)에 감아 걸어져 반전(反轉)하여, 역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3 스프로켓(63)의 대경부(63b)에 감아 걸어져 반전한 후,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컨베이어(41)는, 면배출부(3) 바로 앞에서 제4 가이드(74)에 의해 지지된 후, 경사진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5 가이드(75)에 의해 지지되어 면배출부(3)를 퇴출시킨다.
제1 컨베이어(41)는, 면배출부(3)로부터 퇴출한 후, 제6 내지 제9 스프로켓(66-69)에 감아 걸어져 제1 스프로켓(61)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컨베이어(41)는 무단 모양으로 순환한다.
즉, 제1 컨베이어(41)는, 면도입부(1)의 바로 앞으로부터 면도입부(1)를 통과하여, 증기고 본체부(2)에 진입하여,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순방향으로 더 이동한 후, 면배출부(3)로부터 외부로 퇴출한다. 게다가, 제1 컨베이어(41)는,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역방향으로 반전하고, 재차, 면도입부(1)로 이동한다.
제2 컨베이어(42)는, 제4 스프로켓(64)에서 감아 걸어져, 제3 가이드(73)에 의해 안내되어 역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3 스프로켓(63)의 소경부(63a)에 감아 걸어져 반전하고,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컨베이어(42)는, 제5 스프로켓(65)에 감아 걸어져 상승하고, 재차 제4 스프로켓(64)까지 이동한다. 제2 컨베이어(42)는, 이와 같이 하여 무단 모양으로 순환하고 있다.
제2 컨베이어(42)는, 제1 컨베이어(41)에 의해서 순방향으로 반송된 면선군을 제2 스프로켓(62)에서의 제1 컨베이어(41)의 반전시에 제3 영역(42a)에서 넘겨 받고, 역방향으로 반송한 후, 제5 영역(41c)에서 제1 컨베이어(41)에 면선군을 넘겨 주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컨베이어(41) 및 제2 컨베이어(42)의 벨트는 금속 메쉬(mesh) 등의 통공성의 벨트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컨베이어의 형태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컨베이어의 형태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증기관>
증기고 본체부(2) 내에는, 증기고 본체부(2)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증기관(5)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관(5)은, 제1 영역(41a)(1단째)으로 반송되는 면선군을 증자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즉, 면도입부(1)로부터 반입된 면선군이 순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면선군을 증자할 수 있도록 증기관(5)이 제1 영역(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증기관(5)은 제1 영역(41a)의 상부에 배치되어도 괜찮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제3 영역(42a)(2단째)의 하측, 제5 영역(41c)(3단째)의 하측에도 증기관(5)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2단째 또는 3단째의 하측에도 증기관(5)을 마련해도 좋다.
단, 적어도 상부의 단(段)에 대응하여 증기관(5)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3단의 증자 장치의 경우에서는, 1단째 및 2단째의 양쪽 모두의 하측이던지, 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단째의 하측에만 증기관(5)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증기관(5)을 설치함으로써, 증기관(5)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어, 증기고 본체부(2) 내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단째 또는 3단째의 하측에도 증기관(5)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증기관(5)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없애는 구성이 유효하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째로부터 하측에서 스프로켓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증기고 본체부(2)의 상하 간격(L)(도 2)이나 3단째로부터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까지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증기고 본체부(2) 전체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면선군의 이동>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면선군은, 이하와 같이 하여 증자된다. 먼저, 면도입부(1)의 바로 앞에는, 증자 전의 면선군이 반송되어 온다. 일반적으로는, 제1 스프로켓(61)의 바로 앞에 별도의 반송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증자 전의 면선군이 반송되어 온다.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주고 받아진 면선군은, 면도입부(1) 내에 옮겨져 제1 컨베이어(41)의 진행 방향인 경사진 상방향으로 옮겨지고, 증기고 본체부(2)로 반송된다.
증기고 본체부(2) 내로 반송된 면선군은, 제1 영역(41a) 상에서 제1 컨베이어(41)에 재치되어, 순방향에서의 반송중에, 제1 영역(41a)의 하부에 마련된 증기관(5)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 증자된다. 본 발명에서는, 증기고 본체부(2)에서 특히 1단째의 부근에 증기관(5)을 배치하여, 증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증기고 본체부(2)의 상부에서, 면선군을 효율적으로 증자하는 것에 의해서, 그 후, 증기고 본체부(2) 내에 충만되어 가는 증기에 면선군이 노출되면서, 순방향과 역방향을 교호로 반송되는 것에 의해서 면선군의 증자가 거의 완료된다.
구체적으로는, 면선군은 이하와 같이 반송된다. 면선군은 제1 컨베이어(41)에 의해서 면도입부(1)를 매개로 하여 증기고 본체부(2) 내에 반입된다. 제1 영역(41a)에서 순방향으로 반송된 면선군은, 제1 컨베이어(41)가 제2 스프로켓(62)에서 반전하는 것에 의해 반전하여 제3 가이드(73)에 의해 안내되어, 제3 영역(42a) 상에서 제2 컨베이어(42)에 낙하하여 넘겨진다. 면선군은 역방향으로 반송되고, 게다가, 제2 컨베이어(42)가 제3 스프로켓(63)의 소경부(63a)에서 반전하기 때문에, 면선군도 반전하여 제5 영역(41c) 상에서 제1 컨베이어(41)에 낙하하여 넘겨진다. 제1 컨베이어(41)에 다시 낙하한 면선군은 순방향으로 반송된다. 제1 컨베이어(41)의 순방향으로 반송되는 면선군은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의 출구측까지 반송된다. 면선군은, 순방향과 역방향을 교호로 반송될 때에, 상기와 같이, 증자된다.
그 후, 면선군은 제4 가이드(74)를 거쳐 면배출부(3) 내를 경사진 하방향으로 반송되고, 면배출부(3)의 출구측으로부터 제5 가이드(75)를 거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옮겨진다. 증자 후의 면선군은, 제6 스프로켓(66)의 후방에 설치된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더 옮겨져, 임의의 공정, 즉, 착미(着味), 인장(引張), 컷(cut), 플라이(fly) 등의 임의의 공정으로 이동된다.
<면선군>
통상, 증자 공정에서는, 연결된 상태인 채로 복수의 면선군이 증자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즉석면의 제조 라인의 경우, 복수의 면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반송되기 때문에, 상기의 제1 컨베이어(41)와 제2 컨베이어(42)와의 사이의 면선군의 주고 받음에 있어서, 스무스하게 면선군이 이동할 수 있다. 면선군이 증기를 옮기는 것에 의해, 증기고 본체부(2) 내를 증기가 가득찬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증기고 본체부(2) 내의 스페이스를 삭감하는 것에 더하여, 면선군이 증기를 옮기기 때문에, 증기관(5)으로부터 나온 증기가 하부까지 도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증기의 이동>
이 증기의 이동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본 발명의 증기고 본체부(2)의 상단인 1단째에서 공급된 증기는, 반입된 면선에 부여된다. 증기는 그대로 컨베이어의 진행에 따라 면선군에 의해서 옮겨짐과 아울러, 휘산(揮散)하는 증기는, 증기고 본체부(2)의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축적되어 간다. 증기의 축적이 진행됨에 따라 증기고 본체부(2)의 하방향까지 증기가 충만되고, 결국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까지 도달한다. 게다가, 면도입부(1)의 입구단 및 면배출부(3)의 출구단까지 증기가 도달한다.
면선군은 연속적으로 반송되기 때문에, 증기고 본체부(2)의 상단에서 강하게 증자되면, 면선군이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더 반송되어 가는 과정에서 증기고 본체부(2) 내, 면도입부(1) 및 면배출부(3)에 축적된 증기에 의해서도 증자가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단식 증자 장치는 효율적으로 면선군의 증자를 행할 수 있다.
또, 다단식 증자 장치에 의해 증자된 면선군은, 여러 가지의 용도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증자 후의 면선군을 컷팅하고, 포장하여 증자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증자 후에, 인장, 착미, 컷, 리테이너(retainer) 충전 등의 공정을 거쳐, 플라이나 열풍 건조하는 것에 의해서 플라이 면괴(麵壞)나 열풍 건조 면괴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 충전이란, 증자한 면선군을 리테이너라고 칭하는 다공성의 금속제 프레임에 수납하는 것을 가리킨다.
<덕트>
상기의 면도입부(1)의 입구단 및 면배출부(3)의 출구단의 상부에는, 덕트를 배치해도 좋다. 상기 덕트를 이용하여 여분의 증기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증기 사용량을 줄이는 목적에서 면도입부(1) 및 면배출부(3)가 부압(負壓)이 되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의 효율적 이용>
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그 외의 구성으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42)의 내부의 스페이스인 2단째 또는 3단째를 메우도록, 예를 들면, 판 모양체인 부재(150)를 삽입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여, 증기고 본체부(2)의 내부에서, 증기가 충전되는 용적을 감소시켜 증기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스페이스에 대해서는, 특히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의 내부의 스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스페이스라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증기고 본체부(2)의 상단부로부터 제1 영역(41a)과의 사이의 스페이스나, 제3 스프로켓(63)의 경사진 하부의 스페이스 등이 고려되어진다.
(제2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컨베이어의 배치는 단순한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를 5단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3단의 증자 장치의 경우에 비해, 면선군이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왕복하는 횟수가 2회 많다. 즉, 면도입부(1)로부터 반입된 면선군이, 순방향, 역방향, 순방향의 3단 반송된 후, 역방향으로부터 순방향으로 더 반송되어, 전부 5단 반송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제3 스프로켓(63)의 하부 또한 면배출부(3)측에는, 제10 스프로켓(80) 및 제5 스프로켓(65)이 마련되어 있다. 제10 스프로켓(80)의 외측에는, 제6 가이드(76) 및 제7 가이드(77)가 마련되어 있다.
증기고 본체부(2) 내에서, 제3 스프로켓(63)의 하부에는, 제11 스프로켓(81)이 마련되어 있다. 제11 스프로켓(81)은 소경부(81a)와 대경부(81b)를 동축(同軸)에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4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스프로켓(62)에 감아 걸어져 반전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제3 스프로켓(63)의 대경부(63b)에 감아 걸어져 반전하여,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1 컨베이어(41)는 제10 스프로켓(80)에 더 감아 걸어져 반전한 후, 재차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1 스프로켓(81)의 대경부(81b)에 감아 걸어져 반전하고, 재차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후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컨베이어(41)는 면배출부(3)의 바로 앞에서 제4 가이드(74)에 의해 지지된 후, 경사진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5 가이드(75)에 의해 지지되어 면배출부(3)로부터 퇴출된다.
또, 제2 컨베이어(42)는, 제4 스프로켓(64)에 감아 걸어진 후에, 제3 가이드(73)에 의해 지지되고,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스프로켓(63)의 소경부(63a)에 감아 걸어져 반전한다. 게다가, 제2 컨베이어(42)는 순방향으로 진행하고 제6 가이드(76) 및 제7 가이드(77)에 의해서 더 반전한다. 제2 컨베이어(42)는 역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1 스프로켓(81)의 소경부(81a)에 감아 걸어져 반전하고, 순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5 스프로켓(65)에 감아 걸어져 상승하며, 재차 제4 스프로켓(64)까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제2 컨베이어(42)는 무단 모양으로 순환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를 5단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를 5단으로 하면, 사용하는 제면(製麵) 공장의 스페이스를 늘리지 않고, 또한, 증자 시간을 장시간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가 3단인 경우에 비해, 제조 라인의 스피드를 빠르게 하거나, 장기간의 증자가 필요한 경우에, 유리하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1단째보다 하부에 증기관(5)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2단째 내지 5단째의 하부에도 증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증기관(5)을 마련해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단, 증기관(5)을 1단째의 하부에만 마련한 경우는, 2단째 내지 5단째에 증기관(5)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 증기관(5)을 설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줄이는(메우는) 방법이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2단째보다 하부에서 컨베이어의 스프로켓 사이즈를 작게 하여, 컨베이어면(面)끼리 또는 컨베이어와 증기고 본체부(2)의 하단부와의 간격을 좁혀 스페이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스페이스에, 판 모양체 등의 부재(150)(도 3 참조)를 삽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고 본체부(2)의 내부에서, 증기가 충전되는 용적을 감소시켜, 증기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는 5단 이상이라도 괜찮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고 본체부(2)에 면도입부(1)와 면배출부(3)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임의의 구성으로서, 면도입부(1)와 면배출부(3)를 마련하지 않은 구성이라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다단식 증자 장치는, 제면 공장 내에서 면선군을 증자하는 장치에 적용하면, 유용하다.
1 : 면도입부 2 : 증기고 본체부
3 : 면배출부 41 : 제1 컨베이어
42 : 제2 컨베이어 5 : 증기관
61 : 제1 스프로켓 62 : 제2 스프로켓
63 : 제3 스프로켓 64 : 제4 스프로켓
65 : 제5 스프로켓 66 : 제6 스프로켓
67 : 제7 스프로켓 68 : 제8 스프로켓
69 : 제9 스프로켓 80 : 제10 스프로켓
81 : 제11 스프로켓 71 : 제1 가이드
72 : 제2 가이드 73 : 제3 가이드
74 : 제4 가이드 75 : 제5 가이드
76 : 제6 가이드 77 : 제7 가이드
100 : 지지대 150 : 부재
200 : 다단식 증자 장치

Claims (5)

1) 증자(蒸煮)되어야 할 면선군(麵線群)이 도입되는 입구측 측부와 증자 후의 면선군이 배출되는 출구측 측부를 가지는 증기고(蒸氣庫) 본체부와,
2)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에서 면선군을 반송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입구측 측부로부터 반입된 면선군이 일방향을 따라서 복수회의 왕복을 거쳐,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를 상단(上段)으로부터 하단(下段)까지 반송된 후에 상기 출구측 측부로부터 배출되도록, 다단(多段)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3)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의 상단에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반송되는 면선군에 대해서 증기를 부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증기관이 마련되어 있는 다단식 증자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의 스페이스에, 상기 증기고 본체부 내에서 증기가 충전되는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가 마련된 다단식 증자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단식 증자 장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입구측 측부에 접속되어, 경사진 상향으로 증자되어야 할 면선군이 반송되는 터널형 면도입부와,
2)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출구측 측부에 접속되어, 경사진 하향으로 증자 후의 면선군이 반송되는 터널형 면배출부를 가지는 다단식 증자 장치.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면도입부의 입구단(入口端)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면배출부의 출구단보다도 상기 증기고 본체부의 하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단식 증자 장치.
KR1020167035969A 2014-06-04 2014-06-04 다단식 증자 장치 KR102201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2973 WO2015186157A1 (ja) 2014-06-04 2014-06-04 多段式蒸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345A true KR20170015345A (ko) 2017-02-08
KR102201830B1 KR102201830B1 (ko) 2021-01-11

Family

ID=5476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969A KR102201830B1 (ko) 2014-06-04 2014-06-04 다단식 증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48426B2 (ko)
EP (1) EP3153075B1 (ko)
KR (1) KR102201830B1 (ko)
CN (1) CN106413487A (ko)
BR (1) BR112016027312B1 (ko)
HU (1) HUE052321T2 (ko)
MX (1) MX2016015719A (ko)
PH (1) PH12016502305A1 (ko)
RU (1) RU2666827C2 (ko)
WO (1) WO2015186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20337A1 (it) * 2012-06-20 2013-12-21 Ima Ind Srl Procedimento e macchina per formare capsule monouso per bevande
ITBO20120338A1 (it) 2012-06-20 2013-12-21 Ima Ind Srl Procedimento e macchina per formare componenti intermedi di capsule monouso per bevande
WO2018221415A1 (ja) * 2017-05-29 2018-12-06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蒸煮装置
CN108910443A (zh) * 2018-08-01 2018-11-30 张利彬 多段式双温室平行往复输送式食品连续蒸机
CN109077216B (zh) * 2018-08-15 2021-07-27 北海市海庆兄弟水产有限公司 循环加热的虾蒸煮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36U (ko) * 1978-06-26 1980-01-12
JPH0662961A (ja) 1991-08-27 1994-03-08 Samuson:Kk 食品用連続式蒸し機
JP2008161559A (ja) * 2006-12-28 2008-07-17 Spirax Sarco Ltd 蒸気による加熱方法及び装置
WO2013125529A1 (ja) * 2012-02-20 2013-08-29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麺線蒸煮方法及び麺線蒸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36A (en) * 1978-06-26 1980-01-14 Hitachi Ltd Disc player
JPS57156717A (en) * 1981-03-20 1982-09-28 Isobe Menki Kk Noodle gelatinizing apparatus
US5960703A (en) * 1993-07-01 1999-10-05 Stein, Inc. High performance cooking oven with steam chamber
JP3741941B2 (ja) * 2000-08-03 2006-02-01 株式会社冨士製作所 麺の糊化装置
JP2010017167A (ja) * 2008-07-08 2010-01-28 Kenkichi Morishita 麺製造用多段蒸機
JP6006998B2 (ja) * 2012-06-20 2016-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とシールド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6143448B2 (ja) * 2012-12-07 2017-06-07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段式蒸煮装置
JP6029440B2 (ja) * 2012-12-07 2016-11-24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段式蒸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36U (ko) * 1978-06-26 1980-01-12
JPH0662961A (ja) 1991-08-27 1994-03-08 Samuson:Kk 食品用連続式蒸し機
JP2008161559A (ja) * 2006-12-28 2008-07-17 Spirax Sarco Ltd 蒸気による加熱方法及び装置
WO2013125529A1 (ja) * 2012-02-20 2013-08-29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麺線蒸煮方法及び麺線蒸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7312B1 (pt) 2021-09-14
HUE052321T2 (hu) 2021-04-28
MX2016015719A (es) 2017-03-16
US10548426B2 (en) 2020-02-04
PH12016502305A1 (en) 2017-02-13
RU2016150574A (ru) 2018-07-13
RU2666827C2 (ru) 2018-09-12
CN106413487A (zh) 2017-02-15
BR112016027312A2 (ko) 2017-08-15
WO2015186157A1 (ja) 2015-12-10
EP3153075A1 (en) 2017-04-12
EP3153075B1 (en) 2020-09-30
US20170086617A1 (en) 2017-03-30
KR102201830B1 (ko) 2021-01-11
RU2016150574A3 (ko) 2018-07-13
EP3153075A4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345A (ko) 다단식 증자 장치
KR20170015344A (ko) 다단식 증자 장치
RU201614798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JP6029440B2 (ja) 多段式蒸煮装置
JP6143448B2 (ja) 多段式蒸煮装置
JP7015736B2 (ja) 蒸煮装置
JP2016030836A (ja) 冷却装置及び多室型熱処理装置
JP2017080520A (ja) 多段式蒸煮装置
EP2915599A1 (en) Station intended for a bottling plant and provided with an improved conveying line
TWI626915B (zh) Multi-layer cooking device
JP2019190731A (ja) 食品加工処理装置および食品加工処理方法
TWI674870B (zh) 多層式蒸煮裝置
CN101228256B (zh) 用于处理油的真空容器
JP2019071893A (ja) 多段式過熱蒸気処理装置
JP6738884B2 (ja) 麺蒸し装置
JP2014234970A (ja) ハウジングおよび該ハウジング使用の冷却機械
ITPR20110016A1 (it) Impianto di pastorizzazione a torre
RU160702U1 (ru) Трубный пучок сетевого подогревате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типа
RU2460021C1 (ru) Азотный туннельный аппарат
JP2020151377A (ja) 蒸煮装置
KR101291143B1 (ko) 선박용 유체가열장치
JP2020156595A (ja) 連続蒸し機
JP2020099432A (ja) 食品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