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15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159A
KR20170015159A KR1020160091320A KR20160091320A KR20170015159A KR 20170015159 A KR20170015159 A KR 20170015159A KR 1020160091320 A KR1020160091320 A KR 1020160091320A KR 20160091320 A KR20160091320 A KR 20160091320A KR 20170015159 A KR20170015159 A KR 2017001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main body
backlash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547B1 (ko
Inventor
노리히토 하시모토
신야 모리모토
다케시 츠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래시 방지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우징 본체(11)의 전면측에는 프론트 부재(90)가 장착된다. 프론트 부재(90)는, 상대 하우징(200)에 대하여 하우징(10)이 정확한 감합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상대 하우징(200)의 오감합 방지면(214)과 대면하는 스트레이트벽(41)과, 스트레이트벽(41)에 돌출 설치되고, 후드부(210)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양 하우징(10, 200) 사이의 백래시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45)와, 전방에서 볼 때 백래시 방지부(45)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하우징 본체(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70)의 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규제하는 만곡벽(99)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서로 감합 가능한 암측 하우징 및 수측 하우징과, 암측 하우징의 단자 수용부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리테이너(이하, 프론트 부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부재의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백래시 방지 리브(이하, 백래시 방지부라고 함)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양 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수측 하우징의 소후드부의 내주면에 각 백래시 방지부가 접촉하여, 소후드부 내에서 단자 수용부가 백래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4-59960호 공보
그런데, 프론트 부재가 단일체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백래시 방지부가 프론트 부재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백래시 방지부에 접촉하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가령, 백래시 방지부가 이물질과의 간섭에 의해 찌부러지면, 백래시 방지부에 의한 백래시 방지의 신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백래시 방지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의 후드부가 전방으로부터 외측에 끼워지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끼워져 장착되고, 양 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후드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시일 부재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전면측에 장착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상기 상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론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이 정확한 감합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 하우징의 오감합 방지면과 대면하는 스트레이트벽과, 상기 스트레이트벽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 하우징 사이의 백래시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와,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백래시 방지부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규제하는 만곡벽을 갖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스트레이트벽에 백래시 방지부가 돌출 설치되지만, 전방에서 볼 때 백래시 방지부보다 외측에 만곡벽이 배치되기 때문에, 백래시 방지부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접촉하는 사태를 회피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백래시 방지부의 돌출 형상이 유지되어, 백래시 방지부에 의한 백래시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곡벽이, 백래시 방지부를 보호하는 기능과 시일 부재가 빠져 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프론트 부재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커넥터를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유지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유지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유지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브릿지부를 횡단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후드부와 연결부 사이에 돌출 부재가 탄성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프론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프론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프론트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프론트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시일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상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상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돌출 부재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백래시 방지부가 상기 만곡벽의 최외측 단부와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면, 백래시 방지부가 만곡벽의 최외측 단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게 되므로, 백래시 방지부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보다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200)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검지 부재(50)와,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대 하우징(200)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70)와, 하우징(10)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부재(90)를 구비한다.
상대 하우징(20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폭방향(도 19의 좌우 방향)으로 편평한 통형상의 후드부(210)를 갖는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210) 내는 격벽(211)을 통해 전후로 분단된다. 격벽(211)에는, 복수의 수단자 금구(100)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장착된다. 수단자 금구(100)는 도전 금속제이며,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210)에는, 격벽(211)의 전방측에, 하우징(10)의 후술하는 감합 공간(14)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212)가 설치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212)의 내주 일측면에는, 전후 방향 도중에 단차(213)가 형성되고, 단차(213)를 사이에 둔 전후 영역 중의 후방 영역이 전방 영역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감합부(212)의 후방 영역의 내면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르는 오감합 방지면(214)으로서 구성된다. 감합부(212)의 오감합 방지면(214)에는, 상하 방향 중앙부이자 후방부에,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이자 편평한 사다리꼴의 돌출 부위(215)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 6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212)의 전단측의 상면에는 록부(216)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도 9의 좌우 방향)으로 편평한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감합통부(12)와, 감합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을 따르는 연결부(13)를 일체로 갖는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통부(12)의 사이이자 연결부(13)의 전방의 공간은, 감합 공간(14)으로서 개방된다. 하우징 본체(11)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캐비티(15)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설치된다. 캐비티(15)의 내벽 하면에는, 휨 가능한 랜스(16)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15)에는 후방으로부터 암단자 금구(20)가 삽입된다.
암단자 금구(20)는 도전 금속제이자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형태가 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부에 통형상의 접속부(21)를 가지며, 후방부에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22)를 갖는다. 접속부(21)에는,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 상대 하우징(200)에 장착된 수단자 금구(100)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배럴부(22)는, 전선(25)의 단말부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고, 전선(25)의 외주면에 끼워져 장착된 고무 마개(26)에 압착에 의해 접속된다. 암단자 금구(20)가 캐비티(15)에 정규 삽입되면, 접속부(21)에 랜스(16)가 탄성적으로 걸려서, 암단자 금구(20)가 캐비티(15) 내에 빠짐 방지됨과 함께, 고무 마개(26)가 캐비티(15)의 후단부에 액체가 밀폐되게 삽입된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상측에는, 휨 가능한 록 아암(17)이 설치된다. 록 아암(17)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레그부(18)와, 레그부(18)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19)를 갖는다. 아암 본체(19)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르는 평판형이며, 레그부(18)의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경도(傾倒)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본체(19)의 전단부에는, 록 구멍(27)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는, 아암 본체(19)의 록 구멍(27)에 록부(216)가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들어가고, 이것에 의해 양 하우징(10, 200)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본체(19)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는, 검지 부재(50)의 후술하는 빠짐 방지부(63)와 걸림 가능한 빠짐 방지 받침부(28)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통부(12)의 상부에는, 검지 부재(50)의 설치전에, 록 아암(17)을 상측으로 노출시키는 개방 공간부(29)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감합통부(12)의 상부에는, 개방 공간부(29)를 사이에 둔 폭방향 양측에, 한 쌍의 보호벽(31)이 기립하여 설치되고, 양 보호벽(31)의 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 가교벽(32)이 걸쳐서 설치된다. 양 보호벽(31)의 전단부와 가교벽(32)에 의해 정면에서 볼 때 도어형인 브릿지부(33)가 구성되고, 브릿지부(33)가 개방 공간부(29)를 구획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브릿지부(33)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결된 절결부(34)가 설치된다.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후술하는 검지 아암(52)의 선단부를 절결부(34)를 통해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연결부(13)보다 전방에 단차부(35)가 설치되고, 단차부(35)를 사이에 둔 전후 양 영역 중의 전방 영역이 후방 영역보다 1단 낮게 배치된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전방 영역에는, 시일 부재(70)가 끼워져 장착된다.
시일 부재(7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이며,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볼 때 폭방향으로 길고 네 모서리부가 만곡된 대략 사각 고리형의 시일 본체(71)와, 시일 본체(71)의 후단의 네 모서리부로부터 후방으로 가늘고 길게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띠모양 부재(72)와, 띠모양 부재(72)의 후단(연장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73)로 일체로 구성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73)의 외주 가장자리는, 정면에서 볼 때 시일 본체(71)의 네 모서리부를 따르도록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본체(71)는, 외주면에 외주 립(74)이 둘레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내주 립(75)이 둘레에 설치된다. 하우징 본체(11)에 시일 부재(70)가 끼워져 장착되면,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 내주 립(75)이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는, 감합 공간(14)에 진입한 후드부(210)의 내주면에 외주 립(74)이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양 하우징(10, 200) 사이가 시일 본체(71)를 통해 액체가 밀폐되게 시일된 상태가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73)의 전면에는, 홈부(77)를 통해 폭방향(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수압부(76)가 돌출 설치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73)의 후면에는, 수압부(76)와 맞닿은 위치에, 홈부(79)를 통해 폭방향으로 분할된 한 쌍의 돌기부(78)가 돌출 설치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압부(76)의 전단면 및 돌기부(78)의 후단면은 모두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는, 후드부(210)와 연결부(13) 사이에 돌출 부재(73)가 전후 방향으로 끼워지고, 각 수압부(76)의 전단면에 후드부(210)의 네 모서리부의 개구단이 압박 상태로 접촉하고, 각 돌기부(78)의 후단면에 연결부(13)의 후술하는 오목부(36)의 곡면부(37)가 밀착되어, 양 하우징(10, 200)의 전후 방향의 백래시가 억제된다. 이 경우에, 수압부(76) 및 돌기부(78)는, 홈부(77, 79) 방향으로 압축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13)의 전면은 감합 공간(14)의 깊은 내측면을 구성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관해 록 아암(17)의 레그부(18)와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3)의 전면에는, 후드부(210)의 네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깊은 내측 모서리 부분에 오목부(36)가 형성된다. 오목부(36)는, 둘레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면이 개구단으로부터 깊은 내측단에 걸쳐서 깊이 방향으로 곡면형으로 움푹 패인 곡면부(37)로서 구성된다. 오목부(36)의 곡면부(37)의 개구단은, 원호형으로 라운딩되고, 전방을 향해 확대 개방된다. 오목부(36)에는, 대응하는 돌기부(78)가 위치 결정 상태에서 삽입된다. 이 때, 돌기부(78)는 오목부(36)의 곡면부(37)를 따르도록 하여 오목부(36)의 개구단으로부터 깊은 내측단을 향해서 유입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전단부에는, 프론트 부재(90)가 끼워져 장착된다. 프론트 부재(90)는 합성 수지제이며 캡형을 이루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는, 후드부(210)의 감합부(212)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90)는, 폭방향으로 긴 판형의 전벽부(91)와, 전벽부(9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둘레벽부(92)로 일체로 구성된다.
전벽부(91)에는, 각 캐비티(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93)이 폭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벽부(91)의 후면에는, 관통 구멍(93)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빠짐 방지 부재(94)가 설치된다.
둘레벽부(9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벽(96), 측벽(97), 하벽(98), 만곡벽(99) 및 스트레이트벽(41)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상벽(96) 및 하벽(98)은,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분을 가지며, 약간 만곡된 폭방향 일단부에, 스트레이트벽(41) 및 만곡벽(99)의 각각의 상하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폭방향 타단부에, 측벽(97)의 상하 양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측벽(97)은, 둘레벽부(92)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정면에서 볼 때 측외방(도 10을 바라보고 우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만곡벽(99)은, 둘레벽부(92)의 후단부에 있어서 측벽(97)과 폭방향에서 대략 대칭으로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측외방(도 10을 바라보고 좌측)에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벽(99)은, 상벽(96) 및 하벽(98)의 폭방향 일단부 사이에 아치형으로 가설된다. 만곡벽(99)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최외측 단부(42)가 상하 방향을 대략 따라서 설치된다.
상벽(96)의 후단부, 측벽(97)의 후단부, 하벽(98)의 후단부 및 만곡벽(99)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된 고리형이며,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90)가 하우징(10)에 정규 장착되었을 때에, 시일 부재(70)에 대향하여 시일 부재(70)가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누름부(43)로서 구성된다.
도 10∼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벽(41)은, 둘레벽부(92)의 폭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만곡벽(99)의 전방에 배치된다. 스트레이트벽(41)의 외면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르는 형태이며, 양 하우징(10, 200)의 정규 감합시에, 상대 하우징(200)의 오감합 방지면(214)과 대면하여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벽(41)의 외면에는, 바닥이 얕은 오목 부위(44)가 형성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부위(44)는, 측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며, 프론트 부재(9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소정 범위에 형성된다. 오목 부위(44)의 깊은 내측면에는, 백래시 방지부(45)가 돌출 설치된다. 백래시 방지부(4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이며, 스트레이트벽(41)의 상하 방향 중앙부(프론트 부재(90)의 상하 방향 중앙부이기도 함)에 배치된다. 오목 부위(44)에는 돌출 부위(215)가 대략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론트 부재(90)를 정면에서 보면, 백래시 방지부(45)의 측외방(도 10을 바라보고 좌측)에, 만곡벽(99)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백래시 방지부(45)는, 만곡벽(99)의 최외측 단부(42)와 상하 방향(높이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측방으로부터의 이물질은, 만곡벽(99)의 최외측 단부(42) 등에 접촉함으로써, 백래시 방지부(45)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둘레벽부(92)의 외주면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리브(46)가 돌출 설치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리브(4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전단이 둘레벽부(92)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후단이 둘레벽부(92)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조금 전방에 위치한다. 각 리브(46)는, 백래시 방지부(45)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리브(46)는, 둘레벽부(92)에 있어서, 상벽(96)의 외면의 폭방향 양단부와, 하벽(98)의 외면의 폭방향 양단부와, 측벽(97)의 외면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각각 배치된다. 그 중, 측벽(97)의 외면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리브(46)는, 백래시 방지부(45)와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벽(96)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벽부(91)로 개구되는 절결홈(47)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50)에 관해 설명한다. 검지 부재(50)는 합성 수지제이며, 하우징 본체(11)의 상측이자 양 보호벽(31) 사이에 배치되고(도 1을 참조), 록 아암(17)의 아암 본체(19)를 슬라이드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검지 부재(50)는,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전방으로 압박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편평한 형상이며,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백보드부(51)와, 백보드부(51)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검지 아암(52)과, 백보드부(51)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돌기 부재(53)와, 양 돌기 부재(53)의 상단 사이에 가설되는 탑보드부(5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보드부(54)의 후단부에는, 창구멍(55)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검지 부재(5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창구멍(55)을 통해서 검지 아암(52)의 후단부를 시인할 수 있고(도 3을 참조),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창구멍(55)을 통해서 록 아암(17)의 아암 본체(19)의 후단부를 시인할 수 있다(도 4를 참조). 이 때문에, 검지 부재(50)가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창구멍(55)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보드부(54)의 후단부의 외면에는, 창구멍(55)의 개구 가장자리를 주회하는 주회 리브(56)가 설치된다. 탑보드부(54)의 전단은,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브릿지부(33)의 후단에 접촉하는 접촉부(57)로서 구성된다.
양 돌기 부재(53)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띠판형이며, 후단이 백보드부(51)에 일체에 연결되고, 상단이 탑보드부(54)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휨 변형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돌기 부재(53)의 전단은, 검지 부재(50) 전체 중에서 최전방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양 돌기 부재(53)의 전단부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보드부(54)의 접촉부(57)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브릿지부(33)의 양단 모서리부(양 보호벽(31)과 가교벽(32)이 연결되는 대략 L자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진입부(58)로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입부(58)는, 보호벽(31)의 내면에 대면하여 접촉할 수 있는 측면 영역(59)과, 측면 영역(59)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고, 가교벽(32)의 내면에 대면하여 접촉 가능한 상면 영역(61)을 갖는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돌기 부재(53)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6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검지 부재(50)의 이동시에는, 아암 본체(19)의 폭방향 양단부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리브(39)가 가이드 홈(62)에 감합되어 슬라이딩함으로써, 검지 부재(50)의 슬라이드 동작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도 2를 참조).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돌기 부재(53)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 갈고리형의 빠짐 방지부(63)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탑보드부(54)에는, 빠짐 방지부(63)의 형성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금형이 통과하는 것에 기인하는 형빼기 구멍(64)이 폭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검지 아암(52)은, 폭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띠판형이며,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아암(52)의 전단은, 탑보드부(54)의 접촉부(57)보다 전방이자 양 돌기 부재(53)의 진입부(58)의 전단보다 약간 후방으로 물러나서 위치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를 측면에서 보면, 검지 아암(52)은 돌기 부재(53)에 가려서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검지 아암(52)의 전단부의 하면에는, 갈고리형의 걸림 돌기(65)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5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림 돌기(65)가 록 아암(17)의 아암 본체(19)의 록 구멍(27)으로 진입하여 아암 본체(19)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설치함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 시일 부재(70)가 장착된다. 이 때, 돌출 부재(73)의 전면이 도시하지 않은 지그 등으로 압박되고, 돌출 부재(73)의 돌기부(78)가 곡면부(37)를 슬라이딩하여 오목부(36)의 깊은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오목부(36) 내에 위치 결정 상태로 수용된다. 시일 부재(70)의 장착 과정에서는, 돌기부(78)가 곡면부(37)를 슬라이딩으로써, 돌출 부재(73) 및 띠모양 부재(72)가 왜곡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0)가 하우징 본체(11)에 정규 장착되면, 시일 본체(71)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띠모양 부재(72)가 시일 본체(71)와 돌출 부재(73) 사이에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도 7을 참조).
계속해서, 하우징 본체(11)의 전단부에 프론트 부재(90)가 정규 깊이로 장착된다. 그렇게 되면, 랜스(16)의 휨 공간에 빠짐 방지 부재(94)가 진입하여 랜스(16)의 휨 동작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캐비티(15)에 삽입된 암단자 금구(20)가 실질적으로 이중 걸림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프론트 부재(90)의 누름부(43)가 시일 본체(71)의 전단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시일 부재(70)의 전방으로의 빠져 나감이 규제된다.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전의 단계에서는, 검지 부재(50)는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도 1 및 도 3을 참조). 대기 위치에서는, 록 아암(17)의 아암 본체(19)의 상측을 탑보드부(54)가 덮도록 배치됨과 함께, 양 돌기 부재(53)가 보호벽(31)의 내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양 돌기 부재(53)의 가이드 홈(62)에 가이드 리브(39)가 감합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대기 위치에서는, 검지 아암(52)이 록 아암(17)의 록 구멍(27)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걸림 돌기(65)가 록 구멍(27)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50)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양 돌기 부재(53)의 빠짐 방지부(63)가 록 아암(17)의 빠짐 방지 받침부(28)를 탄성적으로 거는 것에 의해, 검지 부재(50)의 하우징(10)으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된다.
이어서,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4)에 상대 하우징(200)의 후드부(210)의 감합부(212)가 삽입되고,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동작이 시작된다.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과정에서는, 아암 본체(19)의 전단이 록부(216)와 간섭하여 록 아암(17)이 휨 변형된다. 이 때, 검지 아암(52)이 록 아암(17)과 함께 휨 변형되고, 걸림 돌기(65)와 아암 본체(19)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양 하우징(10, 200)이 정규 감합되면, 록 아암(17)이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록부(216)가 록 구멍(27)에 끼워져서 들어감으로써, 양 하우징(10, 200)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6을 참조). 그리고, 록부(216)가 록 구멍(27)에 끼워져서 들어감에 따라, 걸림 돌기(65)가 록부(216)에 압박되어 아암 본체(19)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검지 부재(50)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탑보드부(54)의 주회 리브(56) 등에 손가락이 걸리고, 그 상태로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밀려 들어간다. 이 때, 가이드 홈(62)에 가이드 리브(39)가 슬라이딩함으로써, 검지 부재(50)가 원활하게 이동된다. 또한, 걸림 돌기(65)가 아암 본체(19)의 전단부의 상면을 슬라이딩하고, 검지 아암(52)이 휨 변형된다.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검지 아암(52)이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걸림 돌기(65)가 아암 본체(19)의 전단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50)가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도 6을 참조). 또한, 검지 위치에서는, 탑보드부(54)의 접촉부(57)가 브릿지부(33)의 가교벽(32)에 접촉하여 정지되고, 검지 부재(50)의 전진이 규제된다(도 4를 참조).
또한, 검지 위치에 이르기 바로 전의 단계로부터 검지 위치에 걸쳐서, 양 돌기 부재(53)의 진입부(58)가 브릿지부(33)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브릿지부(33)의 양단 모서리부의 내면에 대하여 진입부(58)의 측면 영역(59) 및 상면 영역(61)이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2 및 도 5를 참조). 이것에 의해, 브릿지부(33)의 양단 모서리부가 진입부(58)에서 내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일체적으로 강체화되어, 브릿지부(33)가 외력을 받아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 하우징(10, 200)이 정규 감합되면, 후드부(210)의 개구단이 돌출부의 수압부(76)에 접촉하고, 수압부(76)의 붕괴를 수반하면서 돌기부(78)가 곡면부(37)를 따라서 오목부(36)의 깊은 내측으로 긴밀하게 밀려 들어간다(도 7을 참조). 이렇게 해서 돌출 부재(73)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됨으로써, 양 하우징(10, 200) 사이의 전후 방향의 백래시가 억제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과정의 종반부터 정규 감합시에 걸쳐서, 후드부(210)의 내주면에 백래시 방지부(45) 및 각 리브(46)가 접촉하고, 백래시 방지부(45) 및 각 리브(46)의 돌출 단부가 붕괴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후드부(210)의 오감합 방지면(214)이 프론트 부재(90)의 스트레이트벽(41)에 대면하여 배치되고, 돌출 부위(215)가 오목 부위(44)에 끼워져서 들어가 위치 결정되고, 그 상태에서, 돌출 부위(215)의 평탄한 돌출 단부면에 백래시 방지부(45)가 붕괴 상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백래시 방지부(45) 및 각 리브(46)에 의해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백래시도 억제된다.
한편,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200)에 대하여 정규의 감합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후드부(210)의 오감합 방지면(214)이 프론트 부재(90)의 전벽부(91)에 간섭하거나 하여,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동작이 규제된다. 따라서, 양 하우징(10, 200)이 정규의 감합 자세를 취하지 않은 것을,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 초기의 단계에서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일 부재(70)의 돌출 부재(73)의 돌기부(78)가 하우징(10)의 곡면부(37)에 의해 오목부(36)의 깊은 내측으로 유도되어 오목부(36) 내에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돌출 부재(73) 및 띠모양 부재(72)가 왜곡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 하우징(10, 200)의 백래시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띠모양 부재(72)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됨으로써 형상 안정성이 부족하고, 돌기부(78)가 오목부(36)에 삽입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쉽기 때문에, 오목부(36)의 곡면부(37)를 따라서 돌기부(78)가 유입되는 구조로 하는 것의 장점이 커진다.
또한, 검지 부재(50)의 양 돌기 부재(53)의 진입부(58)가 브릿지부(33)의 양단부의 내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력을 받은 브릿지부(3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릿지부(33)를 갖는 감합통부(12)의 통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감합통부(12)와 상대 하우징(200)의 감합 동작을 지장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 바로 전에, 양 돌기 부재(53)의 진입부(58)가 브릿지부(33)의 양단부의 내측에 접촉 가능하게 진입하여, 검지 부재(50)가 검지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접촉부(57)가 브릿지부(33)에 접촉하여 정지되기 때문에, 접촉부(57)의 접촉 정지시의 충격으로 브릿지부(33)가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부재(90)를 전방으로부터 보면, 백래시 방지부(45)보다 외측에 만곡벽(99)이 배치되기 때문에, 백래시 방지부(45)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백래시 방지부(45)의 돌출 형상이 유지되어, 백래시 방지부(45)에 의한 백래시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곡벽(99)이, 백래시 방지부(45)를 보호하는 기능과 시일 부재(70)가 빠져 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프론트 부재(90)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래시 방지부(45)가 전방으로부터 볼 때 만곡벽(99)의 최외측 단부(42)와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백래시 방지부(45)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보다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부재(70A)의 돌출 부재(73A)는, 전면에 오목 곡면형의 수압부(76A)가 설치되고, 후면에 돌출 곡면형의 돌기부(78A)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양 하우징(10, 200)의 감합시에는, 수압부(76A)에 후드부(210)의 개구단이 위치 결정 상태로 끼워져 들어가고, 연결부(13)의 오목부(36)에 돌기부(78A)가 위치 결정 상태로 끼워져 들어가도록 되면 좋다.
(2) 프론트 부재는, 리테이너 기능을 갖지 않는 프론트 마스크로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3) 곡면부는, 오목부의 개구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4)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또는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을 때에도, 브릿지부의 양단부의 내측에 돌기 부재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2 : 감합통부 13 : 연결부
14 : 감합 공간 15 : 캐비티
16 : 랜스 17 : 록 아암
29 : 개방 공간부 33 : 브릿지부
36 : 오목부 37 : 곡면부
41 : 스트레이트벽 42 : 최외측 단부
43 : 누름부 45 : 백래시 방지부
50 : 검지 부재 52 : 검지 아암
53 : 돌기 부재 57 : 접촉부
58 : 진입부 70, 70A : 시일 부재
71 : 시일 본체 72 : 띠모양 부재
73, 73A : 돌출 부재 78, 78A : 돌기부
90 : 프론트 부재 99 : 만곡벽
200 : 상대 하우징 210 : 후드부
214 : 오감합 방지면

Claims (2)

  1. 상대 하우징의 후드부가 전방으로부터 외측에 끼워지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끼워져 장착되고, 양 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후드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시일 부재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전면측에 장착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상기 상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론트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이 정확한 감합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 하우징의 오감합 방지면과 대면하는 스트레이트벽과, 상기 스트레이트벽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 하우징 사이의 백래시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와,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백래시 방지부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규제하는 만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백래시 방지부가 상기 만곡벽의 최외측 단부와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091320A 2015-07-30 2016-07-19 커넥터 KR10180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0685 2015-07-30
JP2015150685A JP6191661B2 (ja) 2015-07-30 2015-07-3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159A true KR20170015159A (ko) 2017-02-08
KR101800547B1 KR101800547B1 (ko) 2017-11-22

Family

ID=5788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20A KR101800547B1 (ko) 2015-07-30 2016-07-19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61992B2 (ko)
JP (1) JP6191661B2 (ko)
KR (1) KR101800547B1 (ko)
CN (1) CN1064104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43B1 (ko) * 2020-12-15 2021-07-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성분계의 코어층을 포함하는 극자외선 노광용 펠리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654B1 (en) * 2017-12-13 2023-09-06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distribution assembly
JP7251398B2 (ja) * 2019-08-07 2023-04-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9960A (ja) 2012-09-14 2014-04-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867B2 (ja) * 2000-09-29 2005-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58561B2 (ja) * 2001-11-26 2006-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25237B2 (ja) * 2012-09-25 2015-1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082044A (ja) * 2012-10-15 2014-05-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JP5854281B2 (ja) * 2012-10-15 2016-02-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JP5783468B2 (ja) * 2012-10-29 2015-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76667B2 (ja) * 2012-10-30 2015-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093222A (ja) * 2012-11-05 2014-05-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4220146A (ja) * 2013-05-09 2014-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A156197S (en) * 2013-10-24 2014-11-18 Sumitomo Wiring Systems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9960A (ja) 2012-09-14 2014-04-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43B1 (ko) * 2020-12-15 2021-07-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성분계의 코어층을 포함하는 극자외선 노광용 펠리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3494A1 (en) 2017-02-02
KR101800547B1 (ko) 2017-11-22
CN106410489B (zh) 2019-01-18
JP2017033702A (ja) 2017-02-09
JP6191661B2 (ja) 2017-09-06
US9761992B2 (en) 2017-09-12
CN106410489A (zh)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792B1 (ko) 커넥터
CN108346891B (zh) 连接器
JP5050820B2 (ja) コネクタ
JP4839989B2 (ja) コネクタ
KR101816991B1 (ko) 커넥터
KR101606643B1 (ko) 커넥터
KR101800547B1 (ko) 커넥터
CN109787035B (zh) 连接器
KR101797825B1 (ko) 커넥터
JP5818100B2 (ja) 防水コネクタ
KR20150016910A (ko) 커넥터
US20210066847A1 (en) Connector
JP2008305601A (ja)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6712495B2 (ja) コネクタ
CN112152017B (zh) 连接器
KR101723327B1 (ko) 커넥터
CN110875553B (zh) 连接器
JP6004279B2 (ja) コネクタ
KR101746968B1 (ko) 커넥터
KR101805990B1 (ko) 커넥터
KR101795200B1 (ko) 커넥터
KR20190105500A (ko) 커넥터
JP2017033700A (ja) コネクタ
CN112670768B (zh) 连接器
KR101746969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