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64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643B1
KR101606643B1 KR1020140100012A KR20140100012A KR101606643B1 KR 101606643 B1 KR101606643 B1 KR 101606643B1 KR 1020140100012 A KR1020140100012 A KR 1020140100012A KR 20140100012 A KR20140100012 A KR 20140100012A KR 101606643 B1 KR101606643 B1 KR 10160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connector housing
pres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909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미츠노리 기타지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리테이너의 압입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리테이너(10)는, 본체부(18)와 확장부(11)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8)에는, 휘어질 수 있는 한쌍의 다리부(20)를 가지며, 다리부(20)에는 수커넥터 하우징(1)에 가걸림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걸림 클로(21)와 수단자 금구(5)에 걸리는 걸림 돌출부(22)를 갖고 있다. 리테이너(10)에 대한 압입면(19)은 확장부(1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양 다리부(20)의 사이에는 자세 교정부(23)가 형성되고,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구획벽(14)의 절결 오목부(15) 내에 감입되어 걸림으로써, 리테이너(10)가 경사 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단자 금구를 랜스와 함께 이중으로 걸기 위해, 리테이너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테이너는 단자 금구에 걸리는 단자 걸림부와 커넥터 하우징에 걸리는 하우징 걸림부를 본체부에 구비한 구성이 많다. 최근, 커넥터 하우징의 소형화의 요청이 강하고, 이 요청에 부응해 가면 리테이너도 소형화되어 간다. 그렇게 되면, 리테이너를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 조작하기 위한 압입 조작면이 작아져, 압입 작업이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압입 조작면을 확장한 것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 1이 있다.
이것은,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중앙부의 연결부를 통해 전방으로 확장된 압입면을 형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0-92502호 공보 : 도 1
그러나, 이와 같이 압입 조작면을 전방의 한쪽으로만 확장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압입 조작시에, 리테이너가 확장한 측이 내려간 경사 자세가 되기 쉬워, 리테이너의 장착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압입면을 확장하더라도 리테이너의 장착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단자 금구와, 이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는 단자 금구에 걸려서 단자 금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리테이너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걸리는 하우징 걸림부와 단자 금구에 걸리는 단자 걸림부를 구비하고,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의 후단면이 압입면으로 되어 있는 본체부와, 압입면으로부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입면과 거의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속된 확장부와, 리테이너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확장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하우징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의 기울기 규제를 행하는 자세 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로부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장부를 형성하여 압입면이 확장되도록 했기 때문에, 리테이너가 소형화되더라도 리테이너를 바른 방향으로 압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는 본체부의 한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확장부측의 압입에 의해 리테이너 전체가 확장부의 연장 방향을 향해서 기울어진 자세로 삽입되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를 리테이너 삽입 구멍에 삽입할 때에 자세 교정부가 확장부의 연장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가 경사 자세가 되는 사태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를 바른 자세인 채로 리테이너 삽입 구멍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리테이너의 장착 작업이 원활해진다.
도 1은 수커넥터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측단면도.
도 2는 수커넥터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측단면도.
도 3은 수커넥터 하우징의 저면도.
도 4는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 혹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수커넥터의 저면도.
도 5는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6은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7은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8은 리테이너의 자세 교정부가 구획벽의 오목부에 감입되어 리테이너의 자세가 바른 자세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암커넥터에 있어서 검지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암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
도 13은 암커넥터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B-B선에서의 단면을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도면.
도 15는 검지 부재의 측면도.
도 16은 검지 부재의 정면도.
도 17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8은 검지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4에 상당하는 도면.
도 20은 암수 커넥터가 정상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본체부에, 하우징 걸림부가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한쌍 배치되고, 각각은 폭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본체부에는 양 하우징 걸림부의 사이에서 또한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자세 교정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자세 교정부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캐비티 사이의 구획벽에 있어서 감합 방향을 따라서 절결 형성된 오목부에 감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하우징 걸림부는 폭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리테이너는 폭 방향으로 백래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의 장착 상태에서는 자세 교정부가 구획벽의 오목부에 감입되기 때문에, 자세 교정부는 인접하는 캐비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단자 금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가 폭 방향으로 변위하고자 하더라도, 자세 교정부가 단자 금구에 접촉하여 폭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또한, 자세 교정부는 오목부에서의 감합 방향의 전후의 벽에도 접촉하기 때문에, 결국 리테이너는 리테이너의 감합 방향 및 폭 방향의 양 방향으로의 백래시를 동시에 규제할 수 있다.
(2) 또한, 자세 교정부는, 하우징 걸림부가 탄성 한도내에서 휨 변형되었을 때에 하우징 걸림부와 접촉하여 하우징 걸림부의 과도한 휨이 규제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세 교정부를 이용하여 하우징 걸림부의 과도한 휨을 규제할 수 있다.
(3) 또한, 리테이너에는 백래시 규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편, 커넥터 하우징에는 리테이너의 장착시에 있어서 백래시 규제부를 감입하여 감합 방향으로부터 끼워서 지지하는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한 상태로, 백래시 규제부는 위치 결정 오목부 내에 감입되어, 감합 방향에서 끼워져 부착되기 때문에, 리테이너를 감합 방향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를 구체화한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 중, 암수 커넥터의 감합 방향 전방을 「전」, 감합 방향 후방을 「후」로 하고, 도 1의 지면 앞쪽과 뒤쪽을 따르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수커넥터(M))
우선, 수커넥터(M)측부터 설명하면, 수커넥터(M)는 합성 수지제의 수커넥터 하우징(1)을 갖고 있다. 수커넥터 하우징(1)은 암커넥터(F)에 대한 감합 방향 후방부측이 단자 수용부(2)가 되고, 전방부측에는 각진 통형상의 후드부(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2)의 내부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2개의 캐비티(4)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4)는 수단자 금구(5)를 수용할 수 있으며, 캐비티(4) 내의 대략 중앙부에는 수단자 금구(5)에 1차로 걸리는 랜스(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스(6)는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캔틸레버식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시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다.
후드부(3)의 내부에는 수단자 금구(5)의 터브(5A)가 돌출되고, 폭 방향으로 병렬된다. 후드부(3)의 개구 가장자리 중 상측 가장자리이자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을 향해 록 돌출부(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2)의 하면이자 랜스(6)보다 후방의 부위에는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이 개구되어, 양 캐비티(4)로 통하고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2)의 하면에서의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의 전방부측이자 후드부(3)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은,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남기고 폭 방향 중앙부가 한층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 수용부(2)의 하면에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쌍의 돌조부(9)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양 돌조부(9)의 전단은 후드부(3)의 하면에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속되고, 후단은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의 후방부 개구 가장자리의 약간 앞쪽의 위치에 이르고 있다(도 1, 도 3 참조). 단자 수용부(2)의 하면에 있어서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의 후방부측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10)의 확장부(11)를 수용하는 수용 프레임부(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프레임부(12)는, 단자 수용부(2)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는 후벽(12A)과, 후벽(12A)의 폭 방향 양끝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 돌조부(9)와 동일 직선상에 나열되는 한쌍의 측벽(12B)과, 후벽(12A)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중앙벽(12C)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벽의 높이는 양 돌조부(9) 사이의 부위와 거의 단차가 없다. 또한, 양 측벽(12B)의 전단 위치는 중앙벽(12C)의 전단 위치보다 약간 후퇴한 위치에 있고, 양 돌조부(9)의 후단과의 사이에는 한쌍의 위치 결정 오목부(13)가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캐비티(4) 사이를 나열 방향에서 구획하는 구획벽(14)에 있어서,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이 개구되어 있는 부위에는,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의 전후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절결된 절결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8 참조).
또한,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 삽입 구멍(8)의 구멍벽 중 폭 방향 외측의 벽면에는, 가(假)걸림 수용부(16)와 본(本)걸림 수용부(17)가 각각 폭 방향으로 쌍을 이뤄 설치되어 있다. 가걸림 수용부(16)는 리테이너 삽입 구멍(8)에서의 얕은 부위에 설치되고, 본걸림 수용부(17)는 이것보다 깊은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가걸림 수용부(16)는 리테이너(10)를 가걸림 위치(도 1, 도 9에 나타내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본걸림 수용부(17)는 리테이너(10)를 본걸림 위치(도 2,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리테이너(10))
도 5 내지 도 7은 수커넥터(M)측의 리테이너(10)를 나타내고 있다. 리테이너(10)도 수커넥터 하우징(1)과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이다. 리테이너(10)는 수단자 금구(5)를 걸리게 하는 기능을 가진 본체부(18)와, 리테이너(10)의 압입면(19)을 확장하는 기능을 가진 확장부(11)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0) 전체는 수커넥터 하우징(1)의 수용 프레임부(12)에 적합하여 감합 가능하며,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테이너의 하면(압입면(19))이 돌조부(9), 수용 프레임부(12)의 각 벽과 거의 단차가 없게 되어 있다.
본체부(18)의 하면측에는, 평탄한 본체부측 압입면(19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8)의 상면측이자 폭 방향 양측부에는 한쌍의 다리부(20)(하우징 걸림부)가 위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양 다리부(20)의 선단 근처이자 외면측에는 걸림 클로(2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양 다리부(20)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휨 변형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양 걸림 클로(21)를 상기 가걸림 수용부(16)와 본걸림 수용부(17)에 각각 해제 가능하게 걸리게 할 수 있다.
양 다리부(20)에서의 걸림 클로(21)보다 선단측은 수단자 금구(5)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돌출부(22)로 되어 있다. 도 1,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0)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걸림 돌출부(22)는 대응하는 캐비티(4)의 아래쪽에 대기하고 있다. 따라서, 가걸림 위치에서는 수단자 금구(5)를 캐비티(4)에 대하여 넣고 빼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걸림 돌출부(22)는 대응하는 캐비티(4) 내에 돌입하여, 수단자 금구(5)에 걸려서 랜스(6)와 함께 수단자 금구(5)를 이중으로 빠짐 방지한다.
본체부(18)의 상면측이자 양 다리부(20)에 끼워진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자세 교정부(23)가 위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자세 교정부(23)는 본체부(18)의 전후폭과 같은 전후폭으로 형성되며, 선단부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좁게 형성되어 협폭부(23A)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협폭부(23A)는 캐비티(4) 사이의 구획벽(14)에 형성한 상기 절결 오목부(15) 내에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협폭부(23A)의 전후폭은 절결 오목부(15)의 전후폭보다 약간 좁은 정도이다. 따라서, 협폭부(23A)의 전후 단면이 절결 오목부(15) 내의 전면 혹은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10)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경사 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협폭부(23A)의 두께(폭방향의 두께 치수)는 구획벽(14)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협폭부(23A)는 구획벽(14)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협폭부(23A)는, 양 다리부(20)가 탄성 한도내에서 내측을 향해(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되었을 때에, 양 다리부(20)의 폭 방향 내측면과 접촉하여 양 다리부(20)를 그 이상으로는 휨 변형시키지 않도록 하는, 과도 휨 규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18)로부터는 후방을 향해서 확장부(11)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11)의 상면은, 본체부(18)의 본체부측 압입면(19A)과 단차가 없는 확장부측 압입면(19B)이 연속해 있다. 확장부(11)는,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컷팅된 U자홈(24)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10)는 U자홈(24) 내에 수용 프레임부(12)의 중앙벽(12C)을 감입하여 중앙벽(12C)을 거의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서 지지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확장부(11)에 있어서 폭 방향 양 외측면에 백래시 필링 돌기(25)가 폭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확장부(11)는 중앙벽(12C)과 양 측벽(12B) 사이에 감입되고, 양 백래시 필링 돌기(25)가 양 측벽(12B)의 내면에 의해 눌려서 찌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양 확장부(11)는 중앙벽(12C)과 양 측벽(12B) 사이에서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져 지지되어, 리테이너(10) 전체를 백래시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0)의 폭 방향 양측부이자 확장부(11)와 본체부(18)의 경계 부분에는 한쌍의 백래시 규제부(26)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백래시 규제부(26)는 수커넥터 하우징(1)측의 대응하는 위치 결정 오목부(13) 사이에 거의 간극없이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리테이너(10)는 전후 방향으로도 백래시 없이 유지된다.
(암커넥터(F))
다음으로, 암커넥터(F)에 관해 설명한다. 암커넥터(F)는, 합성 수지제의 암커넥터 하우징(27)을 갖고 있다. 암커넥터 하우징(27)은, 수커넥터 하우징(1)의 후드부(3) 내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커넥터 하우징(27)의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병렬로 2개의 캐비티(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캐비티(28)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단측으로부터 암단자 금구(29)를 삽입 관통 가능하며, 전단은 수단자 금구(5)의 터브(5A)가 진입 가능한 터브 삽입 관통 구멍(30)이 개구되어 있다. 양 캐비티(28)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암단자 금구(29)와 걸릴 수 있는 랜스(6)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캔틸레버식으로 또한 휘어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커넥터 하우징(27)의 하면에 있어서 랜스(6)의 후방부측에는, 리테이너 삽입 구멍(31)이 개구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 삽입 구멍(31)을 포함한 그 주변 구조, 및 리테이너 삽입 구멍(31)에 장착되는 리테이너(32)의 구조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수커넥터(M)측과 동일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에는 암수 커넥터 하우징(1, 27)을 감합 상태로 록하기 위한 록 아암(33)이 설치되어 있다. 록 아암(33)은,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캔틸레버식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휨 변형 가능하다. 록 아암(33)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상면에는 록 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33)에는, 록 돌기(34)의 양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한쌍의 연결부(35)가 연속해 있다. 양 연결부(35)의 후단끼리는 한층 높아진 상태로 연결되어 해제 조작부(36)로 되어 있다. 암수 커넥터 하우징(1, 27)이 정상 감합한 상태로, 록 돌기(34)는 후드부(3)의 록 돌출부(7)와 걸리고, 이에 따라 암수 커넥터 하우징(1, 27)끼리 감합 상태로 록된다.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에는,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아암(33)을 폭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한쌍의 록 아암용 보호벽(37)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양 록 아암용 보호벽(37)은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 후단의 위치는 해제 조작부(36)의 후단 위치보다 약간 전방 위치에 이르고 있다. 록 아암용 보호벽(37)은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측면에서 볼 때, 록 돌기(34)와 해제 조작부(36)만 위쪽으로 돌출시키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에 있어서,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방에는 한쌍의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양 검지 부재용 보호벽(38)과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검지 부재(39)의 수용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단면은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의 상단부는 함께 내측을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양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에서의 전단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함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반전 방지부(40)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해, 록 아암(33)의 해제 조작부(36)의 폭 방향 양측부는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부(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록 아암(33)이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변형된 경우에는, 양 플랜지부(41)가 반전 방지부(40)의 내측에 접촉함으로써, 록 아암(33)이 탄성 한도를 넘어 휨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의 후단 하부는 폭 방향 바깥쪽으로 또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팽창 프레임부(42)로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팽창 프레임부(42)는 암커넥터 하우징(27)의 배면에서 볼 때 내측을 향해 개방된 C자형, 혹은 역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의 내면에는, 검지 부재(39)를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에서 후퇴 규제를 행하기 위한 제1ㆍ제2 걸림 수용부(43, 44)가 각각 폭 방향에서 쌍을 이뤄 설치되어 있다. 양 걸림 수용부(43, 44)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에서 볼 때 높이 방향에서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 걸림 수용부(43, 44)는 전후 방향으로의 형제거에 의해 성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걸림 수용부(43, 44)는, 록 아암용 보호벽(37)을 후방을 향해서 연장했을 때의 연장선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양 걸림 수용부(43, 44) 중, 후측에 위치하는 제1 걸림 수용부(43)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위측이며,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벽에 연속해 있다. 제1 걸림 수용부(43)는 검지 부재(39)를 초기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림 수용부(43)의 후면은 테이퍼면(43A)으로 되어 있지만, 전면은 수직으로 서 있는 걸림 수용면(43B)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걸림 수용부(43)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제2 걸림 수용부(44)는 고위측이며, 암커넥터 하우징(27)을 검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걸림 수용부(44)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 모두 테이퍼면(44A, 44B)이 형성되어 있다. 단, 전후의 테이퍼면(44A, 44B)에서는 기울기 방향이 서로 역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전측의 테이퍼면(44B)쪽이 각도가 약간 급하여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검지 부재(39))
도 15 내지 도 17은 검지 부재(39)를 나타내고 있다. 검지 부재(39)는 암커넥터 하우징(27)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8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와,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검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39)는 암수 커넥터(F, M)가 바른 감합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압입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 검지할 수 있다.
검지 부재(39)도 합성 수지제이며, 기체부(45)와 기체부(45)의 전면에 일체로 연결된 탄성 아암부(46)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46)는 전방을 향해서 캔틸레버식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탄성 아암부(46)는 대략 각진 막대형상을 이루며, 밑둥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높이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다. 자연 상태에서는, 전방이 상승하는 구배로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46)의 전단 상부에는 대략 각진 블록형의 돌출부(47)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7)의 상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중앙부는 리브형으로 솟아올라 있고, 보조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46)의 전단면의 하부에는 접촉부(49)가 전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49)는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록 아암(33)에서의 록 돌기(34)의 아래쪽에 보유되는 수용 스페이스(S)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암수 커넥터(F, M)의 감합시에 록 아암(33)이 아래쪽으로 휨 변형되면, 록 돌기(34)의 하면에 의해 접촉부(49)가 밀어 내려지기 때문에, 탄성 아암부(46)가 록 아암(33)과 연동하여 아래쪽으로 휨 변형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7)의 상면에는 후방을 향해서 상향 구배가 되는 테이퍼형의 가이드면(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7)의 전면에는 이동 규제면(51)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규제면(51)은,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록 돌기(34)의 선단면과 대향하여 맞대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 이것에 의해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부주의하게 이동해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암수 커넥터(F, M)가 정상 감합하는 도중에는, 후드부(3)의 록 돌출부(7)에 록 돌기(34)가 슬라이딩 접촉하여 록 아암(33)이 밀어 내려진다. 이에 따라, 탄성 아암부(46)도 밀어 내려진다. 암수 커넥터(F, M)가 정상 감합한 시점에서, 록 아암(33)은 복귀하지만, 탄성 아암부(46)는 보조 돌출부(48)가 후드부(3)의 록 돌출부(7)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밀어 내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그 결과, 이동 규제면(51)과 록 돌기(34)의 선단면이 맞대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검지 부재(39)가 검지 위치를 향해서 전진 가능한 상황이 된다.
한편, 기체부(45)의 후면은 압입 조작벽(52)으로 되어 있다. 압입 조작벽(52)의 폭 방향 양측부는, 도 15,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계단부(52A)로 되어 있다. 이 제1 계단부(52A)는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팽창 프레임부(42)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양 제1 계단부(52A)의 상면에는 선단이 뾰족한 슬라이딩 돌기(53)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팽창 프레임부(42) 내의 천장면에 거의 점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39)를 압입 조작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압입 조작벽(52)의 제2 계단부(52B)는 기체부(45)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며, 그 전면으로부터는 전방을 향해서 한쌍의 측면벽(54)이 연장되어 있다. 양 측면벽(54)은 암커넥터 하우징(27)측의 검지 부재용 보호벽(38)의 내측에 감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면벽(54)의 전단부는 기체부(45)와의 사이에 한쌍의 슬릿(55)이 전단면측으로부터 컷팅되어 있고, 슬릿(55)보다 폭 방향 외측의 부위에는 휘어질 수 있는 한쌍의 걸림 아암(56)을 형성하고 있다.
양 걸림 아암(56)은 폭 방향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걸림 아암(56)의 선단부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클로부(57)와 제2 클로부(58)가 외측을 향해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 중 저위측에 위치하는 제1 클로부(57)는 암커넥터 하우징(27)측의 제1 걸림 수용부(43)에 걸릴 수 있다. 제1 클로부(57)의 후면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서 있는 걸림면(59)이 형성되어 있고,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걸림 수용부(43)의 걸림 수용면(43B)과 걸린다. 이 때 걸림면(59)과 걸림 수용면(43B)은 모두 수직으로 서 있는 면끼리 서로 걸리게 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후방으로 빠지는 것은 강하게 규제된다.
반대로, 제2 클로부(58)는 전후 측면은 모두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지만, 전단면(58A)은 폭 방향을 따르는 면, 즉 검지 부재(39)의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클로부(58)가 제2 걸림 수용부(44)의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39)의 전진 규제를 보조하고 있다. 또한, 검지 부재(39)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클로부(58)는 제2 걸림 수용부(44)와 걸리면서 그 전단면(58A)은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대향함으로써, 검지 부재(39)를 검지 위치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압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양 걸림 아암(56)은, 도 18,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 및 검지 위치에 있을 때,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방으로의 연장선상에 대략 위치하고 있고, 양 걸림 아암(56)이 내측으로 휨 변형될 때에는, 이 연장선을 폭 방향 내측으로 가로지르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양 걸림 아암(56)의 휨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수커넥터 하우징(1)에 수단자 금구(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0)를 가걸림 상태로 유지해 놓는다. 이 때에는, 다리부(20)의 걸림 돌출부(22)는 모두 캐비티(4)의 바깥쪽으로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수단자 금구(5)를 캐비티(4)에 대하여 삽입할 수 있다. 바른 위치까지 삽입된 수단자 금구(5)는 랜스(6)에 의해 1차로 걸린다.
계속해서, 리테이너(10)의 압입면(19)을 압입 조작하면,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휨 변형됨으로써, 걸림 클로(21)는 가걸림 수용부(16)와의 걸림 상태에서 벗어나 리테이너(10) 전체가 리테이너 삽입 구멍(8) 내에 삽입되어 간다. 그리고,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면, 걸림 클로(21)는 본걸림 수용부(17)에 걸리고, 걸림 돌출부(22)가 캐비티(4) 내에 진입하여 수단자 금구(5)에 걸리기 때문에, 수단자 금구(5)는 랜스(6)와 함께 이중으로 빠짐 방지된 상태가 된다.
또, 암커넥터 하우징(27)에 암단자 금구(29)를 설치하는 작업도 상기와 동일한 요령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수 커넥터(F, M)를 감합시키는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수커넥터(M)와의 감합전의 암커넥터(F)에서는, 검지 부재(39)는 검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 암수 커넥터(F, M)를 감합시키면, 이 감합 과정에서는, 후드부(3) 내에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선단측이 감합하고, 록 아암(33)의 록 돌기(34)가 후드부(3)의 록 돌출부(7)의 전단에 접촉한다. 이대로 감합이 진행되면, 록 아암(33)은 록 돌출부(7)에 의한 밀어 내리는 힘을 받아 아래쪽으로 휨 변형된다. 록 아암(33)이 밀어 내려지면, 검지 부재(39)에서의 탄성 아암부(46)의 접촉부(49)도 밀어 내리는 힘을 받아 아래쪽으로 휨 변형된다.
그리고, 암수 커넥터(F, M)가 바른 깊이까지 감합하면, 암수의 단자 금구(5, 29)끼리도 바른 접속 상태가 되고, 록 아암(33)이 복귀하여 록 돌기(34)가 후드부(3)의 록 돌출부(7)의 내면측에 걸린다. 이 때, 후드부(3)의 록 돌출부(7)가 탄성 아암부(46)의 보조 돌출부(48)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아암부(46)는 계속해서 아래쪽으로 휨 변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에는, 탄성 아암부(46)의 이동 규제면(51)과 록 아암(33)의 록 돌기(34)의 선단면이 맞대고 있는 상태, 즉 검지 부재(39)의 이동 규제 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압입 조작벽(52)을 누르면, 탄성 아암부(46)에서의 돌출부(47)의 가이드면(50)이 록 아암(33)의 록 돌기(34)의 선단 하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탄성 아암부(46)를 더욱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서, 검지 부재(39)는 검지 위치에 이른다. 그 위치에서는, 록 아암(33)의 록 돌기(34)와 암커넥터 하우징(27)의 상면 사이에 탄성 아암부(46)의 돌출부(47)가 진입하여 쌍방에 대하여 거의 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록 아암(33)이 걸림 해제 방향으로의 휨 규제가 되기 때문에, 암수 커넥터(F, M)의 감합 상태를 확실하게 록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39)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검지 부재(39)에 대한 압입이 이루어지면, 우선, 걸림 아암(56)의 제1 클로부(57)와 제1 걸림 수용부(43)가 걸리는 초기 위치의 유지 상태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걸림 아암(56)끼리는 내측으로 휘어져 제2 클로부(58)가 제2 걸림 수용부(44)를 타고 넘는다. 검지 부재(39)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제2 클로부(58)가 제2 걸림 수용부(44)에 걸리고, 제2 클로부(58)의 전단면(58A)이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단면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39)가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본 실시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리테이너(10)는, 본체부(18)로부터 확장부(11)를 설치하여, 본체부측 압입면(19A)에 더하여 확장부측 압입면(19B)을 형성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소형의 리테이너(10)라 하더라도, 리테이너(10) 전체의 압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입면(19)의 확장은 본체부(18)에 대하여 한쪽(후측)에만 행했기 때문에, 리테이너 삽입 구멍(8)에 대한 삽입 자세가 경사 자세가 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 교정부(23)를 설치하여, 그 선단부를 구획벽(14)의 절결 오목부(15)에 감입하도록 함으로써(도 8 참조), 리테이너(10)를 경사 자세로 하지 않고 바른 삽입 자세로 교정할 수 있다.
(2) 또한, 리테이너(10)에서는, 자세 교정부(23)를 양 다리부(20)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자세 교정부(23)는 양 다리부(20)의 과도한 휨을 규제하는 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3) 또한, 리테이너(10)의 양 확장부(11)에 있어서 폭 방향 양 외측면에 백래시 필링 돌기(25)를 돌출 형성하여,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백래시 필링 돌기(25)는 양 측벽의 내면에 의해 눌려서 찌부러지도록 했기 때문에, 양 확장부(11)는 중앙벽과 양 측벽 사이에서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져 지지되어, 리테이너(10) 전체를 폭 방향으로 백래시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0)에 한쌍의 백래시 규제부(26)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하여, 리테이너(1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 양 백래시 규제부(26)가 수커넥터 하우징(1)측의 대응하는 위치 결정 오목부(13) 사이에 거의 간극없이 감입되도록 했기 때문에, 리테이너(10)는 전후 방향으로 백래시가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의 암커넥터(F)에서는,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 및 검지 위치에 있을 때, 양 걸림 아암(56)을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방으로의 연장선상에 대략 위치하도록 하여 양 걸림 아암(56)이 내측으로 휨 변형될 때에는, 이 연장선을 폭 방향 내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하고 있다. 즉, 걸림 아암(56)을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또한 이들을 내측을 향해 휨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림 아암(56)을 외측으로 휨 변형시키는 방식에 비교하여,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5) 암커넥터 하우징(27)에 있어서, 검지 부재(39)를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1ㆍ제2 걸림 수용부(43, 44)를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했기 때문에, 이들을 전후 방향으로 개폐하는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암커넥터 하우징(27)에 대한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6)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검지 부재(39)의 탄성 아암부(46)의 선단이 록 아암(33)에 맞대어지는 것에 더하여, 양 걸림 아암(56)의 제2 클로부(58)가 제2 걸림 수용부(44)의 후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위치에서의 전진 규제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는, 제1 클로부(57)가 제1 걸림 수용부(43)에 걸리고, 또한 이들의 걸림면 및 걸림 수용면끼리는 모두 수직으로 서 있는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부재(39)가 초기 위치에서 바깥쪽으로 탈락해 버리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7) 검지 부재(39)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검지 부재(39)의 제2 클로부(58)의 전단면(58A)이 록 아암용 보호벽(37)의 후단면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39)의 전진 규제를 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클로부(58)는 제2 걸림 수용부(44)의 전면에 걸려,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의 확장부를, 본체부의 한쪽(후측)으로 확장했지만, 전후 쌍방향으로 확장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의 자세 교정부가 양 다리부의 과도 휨 규제를 겸하도록 했지만, 자세 교정의 기능과 과도 휨 규제의 기능은 다른 부위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의 자세 교정부를 구획벽에 형성한 절결 오목부에 걸리게 하여 리테이너의 자세 교정을 행하도록 했지만, 구획벽 이외의 다른 장소에 걸리게 하도록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록 아암의 휨 규제를 행하도록 했지만, 휨 규제는 꼭 행하지 않아도 좋다.
1 : 수커넥터 하우징 3 : 후드부
5 : 수단자 금구 8 : 리테이너 삽입 구멍
10 : 리테이너 11 : 확장부
13 : 위치 결정 오목부 14 : 구획벽
15 : 절결 오목부 18 : 본체부
20 : 다리부(하우징 걸림부) 21 : 걸림 클로(하우징 걸림부)
22 : 걸림 돌출부(단자 걸림부) 23 : 자세 교정부
27 : 암커넥터 하우징 29 : 암단자 금구
32 : 리테이너 33 : 록 아암
37 : 록 아암용 보호벽 38 : 검지 부재용 보호벽
39 : 검지 부재 43 : 제1 걸림 수용부
44 : 제2 걸림 수용부 57 : 제1 클로부
58 : 제2 클로부

Claims (4)

  1. 단자 금구와, 이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는 단자 금구에 걸려서 단자 금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걸리는 하우징 걸림부와 상기 단자 금구에 걸리는 단자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삽입 방향의 후단면이 압입면으로 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압입면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입면과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속된 확장부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상기 확장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기울기 규제를 행하는 자세 교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하우징 걸림부가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한쌍 배치되고, 각각은 폭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양 하우징 걸림부의 사이에서 또한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자세 교정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세 교정부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캐비티 사이의 구획벽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절결 형성된 오목부에 감합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부는, 상기 하우징 걸림부가 탄성 한도내에서 휨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하우징 걸림부와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 걸림부의 과도한 휨이 규제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는 백래시 규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장착시에 있어서 상기 백래시 규제부를 감입하여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끼워서 지지하는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00012A 2013-08-05 2014-08-04 커넥터 KR101606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2522A JP6061198B2 (ja) 2013-08-05 2013-08-05 コネクタ
JPJP-P-2013-162522 2013-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909A KR20150016909A (ko) 2015-02-13
KR101606643B1 true KR101606643B1 (ko) 2016-03-25

Family

ID=5235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12A KR101606643B1 (ko) 2013-08-05 2014-08-04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31744B2 (ko)
JP (1) JP6061198B2 (ko)
KR (1) KR101606643B1 (ko)
CN (1) CN104347997B (ko)
FR (1) FR3009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9039A1 (de) * 2015-07-13 2017-01-1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Mehrpoliges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und Steckverbinderanordnung
JP6254982B2 (ja) * 2015-09-09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7580B2 (ja) * 2016-06-10 2020-07-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18120687A (ja) * 2017-01-24 2018-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50540B2 (ja) * 2017-03-10 2020-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6653296B2 (ja) * 2017-08-04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19510B2 (ja) * 2017-08-16 2021-01-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11052514B (zh) * 2017-08-31 2021-06-11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EP3679631B1 (de) * 2017-09-07 2023-04-12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aken zur festlegung seines kontaktträgers in seinem aussengehäuse
US10340618B1 (en) 2017-12-19 2019-07-0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housing with releasable terminal locks
JP7146717B2 (ja) * 2019-10-01 2022-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38383B2 (ja) * 2019-10-02 2023-09-05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4678720B (zh) * 2022-03-21 2023-09-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793A (ja) 1999-06-24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266497A (ja) 2008-04-23 2009-11-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876B2 (ja) * 1995-01-19 2000-01-1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がた止め構造
JP3296707B2 (ja) * 1995-12-22 2002-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抜け止め具付きコネクタ
JPH1092502A (ja) 1996-09-18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二重係止コネクタ
JP3388154B2 (ja) * 1997-10-01 2003-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69938685D1 (de) * 1998-03-27 2008-06-26 Sumitomo Wiring Systems Elektrischer Stecker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Halter
US6551145B2 (en) * 2000-12-19 2003-04-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5183273A (ja) * 2003-12-22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保持構造
JP4356567B2 (ja) * 2004-09-09 2009-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85759A (ja) *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616150B2 (ja) * 2005-10-24 2011-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52655B2 (ja) * 2006-07-19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06439B2 (ja) * 2010-02-05 2014-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793A (ja) 1999-06-24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266497A (ja) 2008-04-23 2009-11-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7997B (zh) 2017-01-18
CN104347997A (zh) 2015-02-11
FR3009447A1 (fr) 2015-02-06
JP2015032505A (ja) 2015-02-16
JP6061198B2 (ja) 2017-01-18
KR20150016909A (ko) 2015-02-13
US20150038022A1 (en) 2015-02-05
FR3009447B1 (fr) 2018-06-01
US9431744B2 (en)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643B1 (ko) 커넥터
KR101605626B1 (ko) 커넥터
KR101834111B1 (ko) 커넥터 합치 보장
JP4839989B2 (ja) コネクタ
JP5050820B2 (ja) コネクタ
JP5810980B2 (ja) コネクタ
US10498075B2 (en) Connector
KR101595657B1 (ko) 커넥터
JP2006253074A (ja) コネクタ
KR101797825B1 (ko) 커넥터
EP3324494B1 (en) Connector
US10833450B2 (en) Connector with connection detecting member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2010238514A (ja) 防水コネクタ
JP4730282B2 (ja) コネクタ
KR101723327B1 (ko) 커넥터
US1050531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for a shrouded latch
KR101746968B1 (ko) 커넥터
JP200518334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958372B2 (ja) 雌端子金具
JP510421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