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315A -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315A
KR20170012315A KR1020167034876A KR20167034876A KR20170012315A KR 20170012315 A KR20170012315 A KR 20170012315A KR 1020167034876 A KR1020167034876 A KR 1020167034876A KR 20167034876 A KR20167034876 A KR 20167034876A KR 20170012315 A KR20170012315 A KR 2017001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rive
sensing
lin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037B1 (ko
Inventor
야스노리 하시다
다카히로 하라다
가나에 바니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터치 센서용 전극은,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투명 유전체 기판(33)과, 제1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전극(31DP)과, 제2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전극(33SP)과, 복수의 제1 더미선(42)을 포함하는 제1 더미부(33SD)와, 복수의 제2 더미선(52)을 포함하는 제2 더미부(33SD)를 구비한다. 투명 유전체 기판(33)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제1 전극선(31DP)과 제2 더미선(52)의 조합은, 하나의 격자 패턴의 제1 부분(21D)을 구성함과 함께, 제1 전극선(31DP)과 제2 더미선(52)은,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한다. 또한, 제2 전극선(33SP)과 제1 더미선(42)의 조합은, 상기 격자 패턴의 제2 부분(21S)을 구성함과 함께, 제2 전극선(33SP)과 제1 더미선(42)과,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전극과,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터치 패널은, 하나의 방향인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X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이들 복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제2 전극의 사이에는,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투명 유전체층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2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검출됨에 따라,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위치가 정해진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위치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요청은,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형태의 다양화나 터치 패널이 탑재되는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따른 하나의 제안에 있어서의 제1 전극은, 마름모형 형상을 갖고서 X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용량 전극부와, 제1 용량 전극부보다도 작은 크기를 가짐과 함께 서로 인접하는 제1 용량 전극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전극은, 마름모형 형상을 갖고서 Y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보다도 작은 크기를 가짐과 함께 서로 인접하는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으로부터 보아,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서로 겹치는 한편,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30664호 공보
상술한 용량 전극부를 갖는 터치 패널은,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가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는 것에 의해 위치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는 투명 유전체층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전극의 용량 전극부가 갖는 색과, 제2 전극의 용량 전극부가 갖는 색은, 가령, 전극 자체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2개의 전극 간에 투명 유전체층이 개재되는 이상, 투명 유전체층의 표면으로부터 보아 적지 않게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어 버린다. 특히, 제1 전극을 형성하는 재료와, 제2 전극을 형성하는 재료가 서로 상이한 구성일 때나, 제1 전극의 표면 상태와, 제2 전극의 표면 상태가 상이할 때에는, 이들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경계가, 더욱 시인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일 형태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투명 유전체 기판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전극과, 복수의 제1 더미선을 포함하는 제1 더미부와, 복수의 제2 더미선을 포함하는 제2 더미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의 집합임과 함께,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용량 전극부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용량 전극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의 집합임과 함께,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용량 전극부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용량 전극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더미부는, 상기 제1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전극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 더미부는, 상기 제2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위치 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는 상기 제2 더미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2 용량 전극부는 상기 제1 더미부와 대향한다.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의 조합은, 하나의 격자 패턴의 제1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은, 상기 격자 패턴에 포함되는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한다.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의 조합은, 상기 격자 패턴의 제2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은, 상기 격자 패턴에 포함되는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한다.
터치 패널의 일 형태는,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이며,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끼워진 투명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과,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을 덮는 커버층과,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의 일 형태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상기 정보를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제1 전극선과 제2 더미선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제2 전극선과 제1 더미선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므로, 제1 전극이 갖는 색과, 제2 전극이 갖는 색이 개별로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설령 제1 전극이 갖는 색과 제2 전극이 갖는 색이 서로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제1 전극의 색과 제2 전극의 색의 차이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다.
게다가,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있어서,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는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서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 사이의 용량 부분은, 투명 유전체 기판의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이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에 대하여 도전체가 접근했을 때에는,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에 대한 도전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높아진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자의 각각은, 4개의 선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 패턴의 상기 제1 부분에 있어서의 4개의 상기 선분은, 상기 제1 전극선의 일부와 상기 제2 더미선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패턴의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의 4개의 상기 선분은, 상기 제2 전극선의 일부와 상기 제1 더미선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제1 부분에서는, 단위 격자가 제1 전극선의 일부와 제2 더미선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제2 부분에서는, 단위 격자가 제2 전극선의 일부와 제1 더미선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그로 인해,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는, 제1면에 위치하는 제1 전극과, 제2면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인식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 격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은,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하나의 방향인 기준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상기 단위 격자의 한변의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갖는 주선과, 상기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단위 격자의 한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부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더미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새로운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은,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더미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1 전극선과, 제2 전극선이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하므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설계가 용이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0°보다도 크고, 또한, 18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분의 각각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기울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1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이 제1 직선이고, 상기 제2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이 제2 직선이며,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직선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직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영역이 단위 영역이다. 상기 단위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 중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패턴 요소가 제1 시점(始點) 패턴 요소이고, 상기 제2 전극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 중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패턴 요소가 제2 시점 패턴 요소이다.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는, 상기 단위 영역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연속되고,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는, 상기 단위 영역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연속된다. 하나의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에 이어지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위 영역에서의 다른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를 향하여 연장되고, 하나의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에 이어지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위 영역에서의 다른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분의 각각이 갖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하는 전극선으로서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의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제1 전극선 및 제2 전극선을 설계하기 위한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1 더미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색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더미부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의 사이에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1 전극 및 제1 더미부에 있어서의 색상과, 제2 전극 및 제2 더미부에 있어서의 색상이 서로 상이한 구성과 비하여, 제1 전극 및 제1 더미부의 색과, 제2 전극 및 제2 더미부의 색의 차가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더미부가, 서로 동일한 색의 속성을 갖고,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가, 상기 제1 전극과는 상이한 색의 속성을 갖는다.
제1 전극 및 제1 더미부가, 서로 동일한 색의 속성을 갖고, 또한, 제2 전극 및 제2 더미부가, 제1 전극과는 상이한 색의 속성을 갖는 구성에서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상이한 구조체로서 시인되기 쉽다. 이 점에서,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비록 제2 전극 및 제2 더미부의 색의 속성이 제1 전극 및 제1 더미부의 색의 속성과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제1 전극 및 제1 더미부가 갖는 색과, 제2 전극 및 제2 더미부가 갖는 색이 개별로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상이한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이, 특히 현저하게 억제된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는,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와 상기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을 더 갖고, 상기 제1 더미부의 일부가, 복수의 상기 전극부 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는,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와 상기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더미부의 일부가 복수의 상기 전극부 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투명 유전체 기판 중에서,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 사이의 용량 성분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투명 유전체 기판의 외측으로부터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로 인해, 제1 용량 전극부와 제2 용량 전극부 사이에서의 용량이, 손가락 등이 터치 센서용 전극에 접근함으로써 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서로 상이한 구성 요소의 일부가 겹치는 순서대로 잘라내어 도시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드라이브 전극이 구비하는 기준 패턴 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드라이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의 구성, 터치 패널의 전기적 구성,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 및,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을 차례로 설명한다.
[표시 장치]
도 1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는,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컬러 필터층, 드라이브면에 형성되는 드라이브 전극 및, 센싱면에 형성되는 센싱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는 편의상, 컬러 필터층, 드라이브 전극 및, 센싱 전극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이 구비하는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이 구비하는 센싱 전극선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 복수의 드라이브 더미부, 복수의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센싱 더미부에 도트가 찍혀 있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인 표시 패널(10)과 터치 패널(20)이, 하나의 투명 접착층에 의해 접합된 적층체이며, 터치 패널(2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10)의 표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면(10S)이 구획되고, 표시면(10S)에는,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 패널(10)과 터치 패널(20)의 상대적인 위치가 하우징 등의 다른 구성에 의해 고정되는 전제라면, 투명 접착층이 생략되어도 된다.
표시 패널(10)은, 컬러 필터층(15)을 구비하고, 컬러 필터층(15)에 있어서, 블랙 매트릭스(15a)가,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 D1과, 제1 방향 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단위 격자로 구성되는 격자 형상을 갖고 있다. 블랙 매트릭스(15a)를 구성하는 각 단위 격자가 구획하는 영역에는, 적색을 표시하기 위한 적착색층(15R), 녹색을 표시하기 위한 녹착색층(15G)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청착색층(15B)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고 있다.
컬러 필터층(15)에 있어서, 예를 들어 복수의 적착색층(15R), 복수의 녹착색층(15G) 및, 복수의 청착색층(15B)의 각각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하나의 화소(15P)는, 하나의 적착색층(15R), 하나의 녹착색층(15G) 및, 하나의 청착색층(15B)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화소(15P)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적착색층(15R), 녹착색층(15G) 및, 청착색층(15B)이 나열되는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각 화소(15P)에 있어서의 제1 방향 D1을 따른 폭이 제1 화소 폭 WP1이고, 제2 방향 D2를 따른 폭이 제2 화소 폭 WP2이며, 각 착색층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를 따른 폭이 제3 화소 폭 WP3이다. 제1 화소 폭 WP1, 제2 화소 폭 WP2 및, 제3 화소 폭 WP3의 각각은, 표시 장치의 해상도 등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터치 패널(20)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이며, 터치 센서용 전극(21)과 커버층(22)이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접합된 적층체이며, 표시 패널(10)이 표시하는 정보를 투과한다. 커버층(22)은 유리 기판이나 수지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층(22)에 있어서의 투명 접착층(23)과는 반대측 면은,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조작면(20S)으로서 기능한다. 투명 접착층(23)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투명 접착층(23)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의 구성 요소인 투명 기판(31)은, 표시 패널(10)에 형성된 표시면(10S)의 전체에 겹치고, 표시면(10S)에 형성되는 화상 등의 정보를 투과한다. 투명 기판(31)은, 예를 들어 투명 유리 기판이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기재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개 이상의 기재가 겹쳐진 다층 구조여도 된다.
투명 기판(31)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10)과는 반대측의 면은, 드라이브면(31S)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투명 기판(31)의 드라이브면(31S)에서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각각이,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제1 방향 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1 전극의 일례이다.
각 드라이브 전극(31DP)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집합이며,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를 접속하는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 중, 제1 방향 D1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선택 회로에 접속하는 패드(31P)에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선은, 제1 전극선의 일례이고,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제1 용량 전극부의 일례이며,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제1 접속부의 일례이다.
드라이브면(31S)에는, 또한, 복수의 드라이브 더미선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가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제1 더미부의 일례이며, 드라이브 더미선은, 제1 더미선의 일례이다.
각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예를 들어 육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에서 서로 인접하는 한쪽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한변과, 다른 쪽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한변을 공유하고 있다.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육각형의 하나의 정점이 서로 대향하고, 또한,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열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는, 4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2개의 드라이브 접속부(31DPb)에 의해 둘러싸인 육각형 형상을 가진 영역이 구획되고, 구획된 영역의 각각에, 드라이브 더미부(31DD)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전극(31DP)의 형성 재료에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이 사용된다. 드라이브 전극(31DP)의 각각은, 개별로 선택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선택 회로가 공급하는 구동 신호를 받음으로써, 선택 회로에 의해 선택된다.
드라이브면(31S) 및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하나의 투명 접착층(32)에 의해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접합되어 있다. 투명 접착층(32)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 등의 정보를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드라이브면(31S) 및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과, 투명 유전체 기판(33)을 접착한다. 투명 접착층(32)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투명 유전체층의 일례이며,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31)과 대향하는 면인 이면에,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나열되어 있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투명 수지 필름이나 투명 유리 기판 등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기재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개 이상의 기재가 겹쳐진 다층 구조여도 된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 등의 정보를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전극 간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에 적합한 비유전율을 갖는다. 투명 유전체 기판(33) 및 투명 기판(31)은 투명 유전체층의 일례이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있어서의 투명 접착층(32)과는 반대측 면인 표면은, 센싱면(33S)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센싱면(33S)에서는,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의 각각이,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이, 제2 방향 D2와 직교하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센싱 전극(33SP)은, 제2 전극의 일례이고, 센싱면(33S)은, 제2면의 일례이며,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있어서의 센싱면(33S)과는 반대측 면이, 제1면의 일례이다.
각 센싱 전극(33SP)은,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집합이며,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서로 인접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를 접속하는 센싱 접속부(33S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중, 제2 방향 D2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측정 회로에 접속하는 패드(33P)에 접속되어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제2 용량 전극부의 일례이며, 센싱 접속부(33SPb)는 제2 접속부의 일례이다.
센싱면(33S)에는, 또한, 복수의 센싱 더미선을 포함하는 센싱 더미부(33SD)가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센싱면(33S)에 있어서 인접하는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제2 더미부의 일례이며, 센싱 더미선은, 제2 더미선의 일례이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센싱 더미부(33SD)와 대향하고, 또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대향한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또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더미부(33SD)의 센싱 더미선은,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선분을 구성함과 함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더미부(33SD)의 센싱 더미선의 조합은, 하나의 격자 패턴의 드라이브 부분(21D)을 구성한다. 격자 패턴에 있어서, 하나의 격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드라이브 부분(21D)은, 격자 패턴의 제1 부분의 일례이다. 그리고,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센싱 전극선과,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드라이브 더미선은,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선분을 구성함과 함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센싱 전극선과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드라이브 더미선의 조합은, 앞서 설명한 격자 패턴의 드라이브 부분(21D)과는 상이한 센싱 부분(21S)을 구성한다. 센싱 부분(21S)은, 격자 패턴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각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예를 들어 육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센싱 접속부(33SPb)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한쪽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한변과, 다른 쪽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한변을 공유하고 있다. 각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하나의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동등한 형상과 동등한 크기를 갖고, 각 센싱 접속부(33SPb)는, 하나의 드라이브 접속부(31DPb)와 동등한 형상과 동등한 크기를 갖고 있다.
제1 방향 D1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육각형의 하나의 정점이 서로 대향하고, 또한, 제1 방향 D1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열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는, 4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2개의 센싱 접속부(33SPb)에 의해 둘러싸인 육각형 형상을 가진 영역이 구획되고, 구획된 영역의 각각에, 센싱 더미부(33SD)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싱 더미부(33SD)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각 센싱 더미부(33SD)는, 하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동등한 형상과 동등한 크기를 갖고 있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하나의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하나의 센싱 접속부(33SPb)에 겹쳐져 있다.
각 센싱 전극(33SP)의 형성 재료에는, 상술한 드라이브 전극(31DP)과 마찬가지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이 사용된다. 센싱 전극(33SP)의 각각은, 개별로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센싱 전극(33SP)마다의 전압이,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터치 센서용 전극(21), 선택 회로 및, 검출 회로가, 터치 센서의 일례이다.
센싱면(33S) 및,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은, 상술한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커버층(22)에 접합되어 있다.
즉,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에서는, 표시 패널(10)에 가까운 구성 요소부터 차례로, 투명 기판(31), 드라이브 전극(31DP), 투명 접착층(32), 투명 유전체 기판(33), 센싱 전극(33SP), 투명 접착층(23), 커버층(22)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과,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사이에 끼워져 있다.
투명 접착층(32)은,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각 드라이브 전극선의 둘레를 덮고,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사이를 매립하면서, 드라이브 전극(31DP)과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23)은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각 센싱 전극선의 둘레를 덮고,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의 사이를 매립하면서, 센싱 전극(33SP)과 커버층(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에 있어서, 투명 접착층(23) 및, 투명 기판(31) 중 적어도 한쪽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패널(10)에서는, 터치 패널(20)로부터 먼 구성 요소로부터 차례로, 표시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가 이하와 같이 나열되어 있다. 즉, 터치 패널(20)로부터 먼 구성 요소로부터 차례로, 하측 편광판(11),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 기판(12), TFT층(13), 액정층(14), 컬러 필터층(15), 컬러 필터 기판(16), 상측 편광판(17)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TFT층(13)에는, 서브 화소를 구성하는 화소 전극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층(15)에서는, 블랙 매트릭스(15a)가 서브 화소의 각각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고, 블랙 매트릭스(15a)가 구획되는 각 영역에는, 백색광을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의 광으로 바꾸는 상술한 착색층이 위치하고 있다.
액정 패널은, 표시 패널(10)의 일례이며, 표시 패널(10)은 액정 패널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 등이어도 된다.
투명 접착층(23)이 생략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커버층(22)의 면 중에서 투명 유전체 기판(33)과 대향하는 면이 센싱면(33S)으로서 설정되고, 센싱면(33S)에 형성되는 하나의 박막의 패터닝에 의해,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20)의 제조 시에는, 터치 센서용 전극(21)과 커버층(22)이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접합되는 방법이 채용되어도 되고, 이러한 제조 방법과는 상이한 다른 예로서, 이하의 제조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즉, 수지 필름 등의 커버층(22)에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되는 박막층을 바로, 또는, 하지층을 개재하여 형성하고, 박막층 위에 센싱 전극의 패턴 형상을 가진 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염화 제2철 등을 사용한 습식 에칭법에 의해, 박막층을 복수의 센싱 전극(33SP)으로 가공하여, 제1 필름을 얻는다. 또한, 센싱 전극(33SP)과 마찬가지로, 다른 수지 필름에 형성된 박막층을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 가공하여, 제2 필름을 얻는다. 그리고,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을 사이에 두도록,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대하여 투명 접착층에 의해 부착된다.
[터치 패널의 전기적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터치 패널(20)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20)의 일례로서,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은 선택 회로(34), 검출 회로(35) 및, 제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 회로(34)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출 회로(35)는, 복수의 센싱 전극(33SP)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부(36)는 선택 회로(34)와 검출 회로(35)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6)는, 각 드라이브 전극(31DP)에 대한 구동 신호의 생성을 선택 회로(34)에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6)는,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대상을 1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n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을 향하여 선택 회로(34)에 순차 주사시키기 위한 주사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36)는, 각 센싱 전극(33SP)을 흐르는 전류의 검출을 검출 회로(35)에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6)는, 검출의 대상을 1번째의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n번째의 센싱 전극(33SP)을 향하여 검출 회로(35)에 순차 주사시키기 위한 주사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선택 회로(34)는, 제어부(36)가 출력한 개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제어부(36)가 출력한 주사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출력처를 1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1)으로부터 n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n)을 향하여 주사한다.
검출 회로(35)는, 신호 취득부(35a)와 신호 처리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취득부(35a)는, 제어부(36)가 출력한 개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각 센싱 전극(33SP)에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인 전류 신호의 취득을 개시한다. 그리고, 신호 취득부(35a)는, 제어부(36)가 출력한 주사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신호의 취득원을 1번째의 센싱 전극(33SP1)으로부터 n번째의 센싱 전극(33SPn)을 향하여 주사한다.
신호 처리부(35b)는, 신호 취득부(35a)가 취득한 각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값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압 신호를 제어부(36)를 향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선택 회로(34)와 검출 회로(35)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바뀌는 전류 신호로부터 전압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선택 회로(34) 및 검출 회로(35)가 주변 회로의 일례이다.
제어부(36)는 신호 처리부(35b)가 출력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0)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한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20)은 상술한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에 한하지 않고, 자기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를 접속하는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각각과, 드라이브 접속부(31DPb)의 각각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전극(31DP)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집합이다.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정해지는 기준 방향으로서의 제2 방향 D2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진 패턴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을 갖고,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을 갖고,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 중,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은,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 중, 제2 방향 D2의 중앙에 위치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과는 상이한 6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6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서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제1 방향 D1을 따른 길이가 작다. 그리고, 6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르는 길이가, 중앙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비교하여, 제1 방향 D1의 양단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만큼 작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외형 형상은, 육각형 형상이다.
이에 반해,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서는, 제1 방향 D1을 따르는 길이와,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를 따르는 합계 폭이, 거의 동등하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한쪽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다른 쪽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6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을 포함하고, 각 드라이브 더미선(42)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더미선(42)은, 제2 방향 D2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지는 패턴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를 포함하고 있다.
6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르는 폭은, 제2 방향 D2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에 있어서 가장 크고, 드라이브 더미부(31DD)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의 양단의 각각에 접근함에 따라서 작아진다. 제2 방향 D2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을 사이에 끼워 위치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이며, 제2 방향 D2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부위에 위치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르는 길이가 서로 동등하다. 또한,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과는 상이한 4개의 드라이브 더미선(42)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르는 길이는, 중앙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과 비교하여, 제1 방향 D1의 양단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만큼 작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더미부(31DD)에 있어서, 각 드라이브 더미선(42)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외형 형상은, 육각형 형상이다.
하나의 드라이브 더미부(31DD)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더미선(42) 중, 제2 방향 D2의 중앙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의 한쪽은, 복수의 더미 내 간극(42a)을 갖고, 복수의 더미 내 간극(42a)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복수의 더미 내 간극(42a)은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를 따라, 드라이브 더미부(31DD)마다 위치하고 있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일부는, 교대로 연속해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브면(31S)의 일부에서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드라이브 더미부(31DD)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과,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은, 교대로 연속해서 나열되어 있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교대로 연속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과 복수의 드라이브 더미선(42)은, 하나의 드라이브 패턴군(43)을 구성하고,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드라이브 더미선(42)은, 공통되는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일부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브 패턴군(43)에 있어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단부와, 드라이브 더미선(42)의 단부의 사이에는, 드라이브 간극(44)이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간극(44)이 드라이브 전극선(41)과 드라이브 더미선(42)을 서로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환언하면,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의 형성 재료는, 상술한 금속 중, 예를 들어 구리이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의 각각이, 동일한 색상, 예를 들어 흑색을 갖고 있다.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박막에 흑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흑색을 갖는다. 또는,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에 흑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흑색을 갖는다. 흑화 처리는, 예를 들어 산화 처리, 또는, 흑색을 갖는 금속막을 도금하는 도금 처리 등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을 구성하는 기준 패턴 요소(31RP)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에서는, 기준 패턴 요소(31RP)를 구성하는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패턴 요소(31RP)는, 하나의 주선 Lm 및, 하나의 부선 Ls를 구비하고 있다. 주선 Lm은,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의 기준 방향인 제2 방향 D2와 소정의 각도인 주선 각도 θ를 형성하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갖고, 주선 Lm은, 제1 주단부점 Pm1로부터 제2 주단부점 Pm2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선 각도 θ는, 예를 들어 0°보다도 크고, 또한, 180°보다도 작은 각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각도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135° 이하의 각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각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3.435°이다.
부선 Ls는, 주선 Lm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부단부점 Ps까지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갖고, 부선 Ls의 길이는, 주선 Lm의 절반의 길이이다. 부선 Ls의 길이가 단위 길이 LRP일 때, 주선 Lm의 길이는 2LRP이다. 부선 Ls의 길이인 단위 길이 LRP는, 단위 격자의 한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다. 부단부점 Ps는, 당해 부단부점 Ps를 갖는 부선 Ls에 대하여, 주선 Lm의 연장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1 주단부점 Pm1에 상당한다.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또한, 2개의 보조선 La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선 La의 각각은, 주선 Lm이 연장되는 방향인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갖고, 또한, 부선 Ls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즉, 보조선 La의 길이는 단위 길이 LRP이다. 2개의 보조선 La 중, 한쪽 보조선 La는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제2 보조 단부점 Pa2까지 연장되고, 다른 쪽 보조선 La는 부단부점 Ps로부터 제1 보조 단부점 Pa1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선 Lm, 부선 Ls 및, 보조선 La의 각각의 선 폭은, 예를 들어 0.1㎛ 이상 12㎛ 이하이다.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한변이 단위 길이 LRP를 갖는 격자 패턴의 일부를 모방하는 형상이다. 즉,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주선 Lm이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변을 구성하고, 또한, 부선 Ls 및 보조선 La가 주선 Lm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변을 구성하는 이차원의 격자 패턴을 모방하는 형상이다. 이차원의 격자 패턴은, 단위 격자인 정사각형이 이차원적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면(31S)의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와, 센싱면(33S)의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가 겹칠 때, 제1 주단부점 Pm1, 제2 주단부점 Pm2, 부단부점 Ps, 제1 보조 단부점 Pa1 및, 제2 보조 단부점 Pa2는, 정방 격자의 격자점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31DP)의 기준 패턴 요소(31RP)와 센싱 전극(33SP)의 기준 패턴 요소는, 서로 교차하는 점, 즉 겹치는 점을 가지는 한편,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동일한 변을 구성하는 선분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는, 드라이브 부분(21D)에 있어서,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자의 각각을 구성하는 4개의 선분 중, 2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이며, 2개의 선분이 센싱 더미선(52)의 일부이다. 이에 반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는, 센싱 부분(21S)에 있어서,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자의 각각을 구성하는 4개의 선분 중, 2개의 선분이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이며, 2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이다.
결과적으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도 6은 드라이브 전극(31DP)이 구비하는 하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전극선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가 구비하는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로 구성되고,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접속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은, 드라이브 전극(31DP)이 구비하는 패드(31P)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은,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로 구성되는 부분만을 포함하는 경우, 드라이브 전극(31DP)이 구비하는 패드(31P)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부선 Ls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드라이브 접속선 Lcd를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로서 포함하고, 드라이브 접속선 Lcd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드라이브 접속선 Lcd는,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이 갖는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 중,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1RP)가 갖는 주선 Lm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중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8개의 드라이브 접속선 Lcd가 하나의 드라이브 접속선군을 구성하고, 드라이브 접속선군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마다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된 하나의 박막이, 마스크를 개재하여 에칭됨으로써 형성되어도 되고, 마스크를 사용한 물리 증착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와, 센싱 전극(33SP)의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과 센싱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전극(33S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를 접속하는 센싱 접속부(33S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각각과, 센싱 접속부(33SPb)의 각각은, 복수의 센싱 전극선(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센싱 전극(33SP)은, 복수의 센싱 전극선(51)의 집합이다. 각 센싱 전극선(51)은, 예를 들어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정해지는 기준 방향으로서의 제1 방향 D1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지는 패턴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를 포함하고 있다. 센싱 전극(33SP)의 기준 패턴 요소(33RP)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기준 패턴 요소(31RP)와 비교하여 기준 방향이 상이하지만, 기준 방향 이외의 구성은 공통되어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9개의 센싱 전극선(51)을 갖고, 각 센싱 전극선(5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센싱 접속부(33SPb)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을 갖고, 각 센싱 전극선(5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9개의 센싱 전극선(51) 중,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은,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하나의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 중, 제1 방향 D1의 중앙에 위치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과는 상이한 6개의 센싱 전극선(51)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6개의 센싱 전극선(51)에서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의 제1 방향 D1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길이가 작다. 그리고, 6개의 센싱 전극선(51)의 각각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길이가, 중앙에 위치하는 센싱 전극선(51)과 비교하여, 제2 방향 D2의 양단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만큼 작다. 그로 인해,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각 센싱 전극선(51)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외형 형상은, 육각형 형상이다.
이에 반해,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3개의 센싱 전극선(51)에서는,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길이와, 3개의 센싱 전극선(51)에 있어서의 제1 방향 D1을 따르는 합계 폭이, 거의 동등하다. 그로 인해, 센싱 접속부(33SPb)에 있어서, 각 센싱 전극선(51)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센싱 접속부(33SPb)의 외형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에 접속하는 센싱 전극선(51)은, 센싱 전극(33SP)이 구비하는 패드(33P)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센싱 전극선(51)은,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로 구성되는 부분만을 포함하는 경우, 센싱 전극(33SP)이 구비하는 패드(33P)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부선 Ls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센싱 접속선 Lcs를 포함하고, 센싱 접속선 Lcs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선(5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센싱 접속선 Lcs는, 하나의 센싱 전극선(51)이 갖는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제1 방향 D1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51) 중,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3RP)가 갖는 주선 Lm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중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센싱 접속선 Lcs의 각각은,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면(31S)에 위치하는 서로 상이한 더미 내 간극(42a)과 겹쳐져 있다.
하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8개의 센싱 접속선 Lcs가 하나의 센싱 접속선군을 구성하고, 센싱 접속선군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마다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한쪽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의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다른 쪽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의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6개의 센싱 더미선(52)을 포함하고, 각 센싱 더미선(52)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센싱 더미선(52)은, 제1 방향 D1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지는 패턴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를 포함하고 있다.
6개의 센싱 더미선(52)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폭은, 제1 방향 D1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센싱 더미선(52)에 있어서 가장 크고, 제1 방향 D1의 양단의 각각에 접근함에 따라서 작아진다. 제1 방향 D1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센싱 더미선(52)을 사이에 끼워 위치하는 2개의 센싱 더미선(52)이며, 제1 방향 D1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부위에 위치하는 2개의 센싱 더미선(52)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길이가 서로 동등하다. 또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센싱 더미선(52)과는 상이한 4개의 센싱 더미선(52)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길이는, 중앙에 위치하는 센싱 더미선(52)과 비교하여, 제2 방향 D2의 양단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만큼 작다.
그로 인해, 센싱 더미부(33SD)에 있어서, 각 센싱 더미선(52)의 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센싱 더미부(33SD)의 외형 형상은, 육각형 형상이다.
하나의 센싱 더미부(33SD)에 포함되는 센싱 더미선(52) 중, 제1 방향 D1의 중앙에 위치하는 센싱 더미선(52)의 한쪽은, 복수의 더미 내 간극(52a)을 갖고, 복수의 더미 내 간극(52a)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복수의 더미 내 간극(52a)은,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를 따라, 센싱 더미부(33SD)마다 위치하고 있다.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더미 내 간극(52a)의 각각은,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상이한 드라이브 접속선 Lcd와 겹쳐져 있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센싱 더미부(33SD)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일부는, 교대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용 전극(21)의 일부에서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센싱 더미부(33SD)를 구성하는 센싱 더미선(52)과,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은, 교대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있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교대로 연속되는 센싱 전극선(51)과 센싱 더미선(52)은, 하나의 센싱 패턴군(53)을 구성하고,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51)과 센싱 더미선(52)은, 공통되는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일부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센싱 패턴군(53)에서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센싱 전극선(51)의 단부와, 센싱 더미선(52)의 단부의 사이에는, 센싱 간극(54)이 위치하고 있다. 센싱 간극(54)이 센싱 전극선(51)과 센싱 더미선(52)을 서로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센싱 더미부(33SD)는,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환언하면, 센싱 더미부(33SD)는,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간극(54)의 일부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간극(44)과 입체적으로 겹쳐져 있다.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형성 재료는, 상술한 금속 중, 예를 들어 구리이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이, 동일한 색상, 예를 들어 흑색을 갖고 있다.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은,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박막에 흑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흑색을 갖는다. 또는,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은,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에 흑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흑색을 갖는다. 흑화 처리는, 예를 들어 산화 처리, 또는, 흑색을 갖는 금속막을 도금하는 도금 처리 등이다.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에 대한 흑화 처리와,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에 대한 흑화 처리는, 통상, 서로 상이한 타이밍에 행해진다. 그로 인해,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이 갖는 흑색에 있어서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은,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이 갖는 흑색에 있어서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과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다.
또한,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시인될 때,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은, 투명 유전체 기판(33)을 개재하여 시인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색은, 서로 상이한 색으로서 시인되는 경우도 많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위치하는 센싱 더미부(33SD)와 입체적으로 겹쳐져 있다. 환언하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가 센싱 더미부(33SD)와 겹치도록,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 및 센싱 더미부(33SD)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센싱 더미부(33SD)를 구성하는 센싱 더미선(52)과 협동하여,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로 구성되는 정방 격자를 형성한다. 즉,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더미부(33SD)를 구성하는 센싱 더미선(52)은, 공통되는 하나의 격자 패턴의 드라이브 부분(21D)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선분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입체적으로 겹쳐져 있다. 환언하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용량 전극부(33SPa)가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겹치도록,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은, 드라이브 더미부(31DD)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과 협동하여,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로 구성되는 정방 격자를 형성한다. 즉,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과, 드라이브 더미부(31DD)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은, 앞서 설명한 격자 패턴의 센싱 부분(21S)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선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센싱 접속부(33SPb)와 입체적으로 겹쳐져 있다. 환언하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접속부(31DPb)가 센싱 접속부(33SPb)와 겹치도록, 드라이브 접속부(31DPb) 및 센싱 접속부(33SPb)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과 협동하여,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로 구성되는 정방 격자를 형성한다. 즉,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51)은, 앞서 설명한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부분(21D) 및 센싱 부분(21S)과는 상이한 부분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선분을 구성하고 있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31DP)이 위치하고 있는 투명 기판(3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드라이브 더미선(42) 및 센싱 더미선(52)이 파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택 회로(34)가 드라이브 전극(31DP)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계 EF가 형성된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중,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하나의 센싱 전극선(51)의 사이에 전계 EF가 형성된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이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전계 EF도,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사람의 손가락 F가 접근하면, 손가락 F에 접촉한 전계 EF가 인체를 통하여 방전되기 때문에,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의 크기가 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계 EF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전극선으로부터,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전극선을 향하여 연장될 때,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계 EF는 사람의 손가락 F에 의해 영향받기 쉽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있어서, 사람의 손가락 F의 접촉에 대한 감도가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사람의 손가락 F가 접촉한 위치를 검출하는 감도가 높아진다.
한편,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형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접속부(33SPb)를 형성하는 센싱 전극선(51)이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정전 용량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선택 회로(34)가 드라이브 전극(31DP)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 드라이브 접속부(31DPb)의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으로부터, 센싱 접속부(33SPb)의 하나의 센싱 전극선(51)을 향하여 거의 직선 형상을 갖는 전계 EF가 연장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전계 EF는,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어려운 부분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21) 중, 드라이브 접속부(31DPb)와 센싱 접속부(33SPb)가 입체적으로 겹치는 부분에 사람의 손가락 F가 접근해도, 손가락 F가 접근하기 전의 전계 EF의 상태와, 손가락 F가 접근한 후의 전계 EF의 상태가,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있어서, 드라이브 접속부(31DPb)와 센싱 접속부(33SPb)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입력된 노이즈에 대한 터치 패널(20)의 내성이 높아진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더미선(52)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센싱 전극선(51)과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흑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흑색이 개별로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비록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흑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흑색에 있어서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하더라도, 드라이브 전극(31DP)의 흑색과 센싱 전극(33SP)의 흑색의 차이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드라이브 전극(31DP) 및 센싱 전극(33SP)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고,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더미선(52)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센싱 전극선(51)과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조합이 하나의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색이 개별로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비록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색이 서로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드라이브 전극(31DP)의 색과 센싱 전극(33SP)의 색의 차이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드라이브 전극(31DP) 및 센싱 전극(33SP)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고,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다.
(2)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에서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용량 부분은,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외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대하여 도전체가 접근했을 때에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대한 도전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높아진다.
(3)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부분(21D)에서는, 단위 격자가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와 센싱 더미선(52)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센싱 부분(21S)에서는, 단위 격자가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와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는, 드라이브면(31S)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면(33S)에 위치하는 센싱 전극(33SP)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인식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4)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전극선(51)이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를 포함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설계가 용이하다.
(5) 주선 각도 θ는, 0°보다도 크고, 또한, 180°보다도 작기 때문에,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분의 각각을,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에 대하여 기울일 수 있다.
(6)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센싱 더미선(52) 사이에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이 서로 상이하고, 또한, 센싱 전극선(51)과 드라이브 더미선(42) 사이에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이 서로 상이해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색의 차이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 전극선(41), 드라이브 더미선(42),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은, 흑색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선(41), 드라이브 더미선(42),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은, 금속 광택을 갖거나, 또는, 광투과성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광투과성을 갖는 전극선의 형성 재료에는,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막 및, 산화인듐 주석이나 산화인듐 갈륨 아연 등의 복합 산화물 막이 사용된다. 복합 산화물 막은, 인듐, 주석, 갈륨 및, 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금속 광택을 갖는 전극선에는, 상술한 금속막에 더하여, 은 나노 와이어나 도전성 고분자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흑색을 갖는 전극선에는, 흑화 처리가 실시된 금속선에 한하지 않고, 그래핀 막 등의 도전막도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는, 투명 유전체 기판(33)이 위치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전극(31DP)이 갖는 색과, 센싱 전극(33SP)이 갖는 색은,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표면으로부터 보아 적지 않게 상이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1)에 준한 이점이 적지 않게 얻어진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31DP)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가 같은 색의 속성을 갖고, 센싱 전극(33SP) 및 센싱 더미부(33SD)가 드라이브 전극(31DP)과 상이한 색의 속성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색의 속성은, 색상, 명도 및, 채도의 3가지 특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드라이브 전극(31DP)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사이에서는 3가지 색의 특성 중 모두가 동일한 한편, 센싱 전극(33SP) 및 센싱 더미부(33SD)와, 드라이브 전극(31DP)과의 사이에서는, 3가지 색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상술한 (1)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 드라이브 더미부(31DD), 센싱 전극(33SP) 및, 센싱 더미부(33SD)의 각각은, 서로 동일한 색의 속성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31DP)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센싱 전극(33SP) 및 센싱 더미부(33SD)의 사이에, 투명 유전체 기판(33)이 개재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31DP)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색과, 센싱 전극(33SP)과 센싱 더미부(33SD)의 색은, 서로 적지 않게 상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1)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주선 각도 θ는 0°여도 된다. 즉,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하나의 격자의 4개의 변이, 제1 방향 D1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2변과, 제2 방향 D2를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2변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격자 패턴이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로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상술한 (4)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상술한 기준 패턴 요소(31RP) 대신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기준 패턴 요소(31RP)여도 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 및,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 및, 센싱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위치가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서로 상이하지만, 드라이브 더미선(42)을 구성하는 기준 패턴 요소(31RP)는, 드라이브 전극선(41)과 공통되기 때문에,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센싱 더미선(52)은,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위치가 센싱 전극선(51)과 서로 상이하기는 하지만, 센싱 더미선(52)을 구성하는 기준 패턴 요소(33RP)는, 센싱 전극선(51)과 공통되기 때문에, 센싱 더미선(52)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전극(31DP)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집합이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고, 또한,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각각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전극선(41)은,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로 구성되고,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기준 패턴 요소(31RP)는, 하나의 주선 Lm 및, 하나의 부선 Ls를 구비하고 있다. 주선 Lm은,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의 기준 방향인 제2 방향 D2와 소정의 각도인 주선 각도 θ를 형성하는 직선 형상을 갖고, 주선 Lm은, 제1 주단부점 Pm1로부터 제2 주단부점 Pm2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선 각도 θ는, 0°보다도 크고, 또한, 180°보다도 작은 각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각도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135° 이하의 각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각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3.435°이다. 주선 각도 θ는 0°여도 된다. 제2 방향 D2와 주선 각도 θ를 형성하는 방향이 연장 방향이다.
부선 Ls는, 주선 Lm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부단부점 Ps까지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갖고, 부선 Ls의 길이는, 주선 Lm의 절반의 길이이다. 부선 Ls의 길이가 단위 길이 LRP일 때, 주선 Lm의 길이는 2LRP이다. 부단부점 Ps는, 부단부점 Ps를 갖는 부선 Ls에 대하여, 부선 Ls의 연장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1 주단부점 Pm1이다.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2개의 보조선 La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조선 La의 각각은, 주선 Lm이 연장되는 방향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갖고, 또한, 부선 Ls와 동일한 길이인 단위 길이 LRP를 갖고 있다. 2개의 보조선 La 중, 한쪽 보조선 La는 제1 주단부점 Pm1로부터 제1 보조 단부점 Pa1까지 연장되고, 다른 쪽 보조선 La는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제2 보조 단부점 Pa2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단위 길이 LRP를 갖는 부선 Ls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격자 패턴의 일부를 모방하는 형상이다. 즉, 각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주선 Lm 및 보조선 La가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변을 구성하고, 또한, 부선 Ls가 주선 Lm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변을 구성하는 이차원의 격자 패턴을 모방하는 형상이다. 이차원의 격자 패턴은, 단위 격자인 정사각형이 이차원적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과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을 사이에 끼워 입체적으로 겹칠 때, 제1 주단부점 Pm1, 제2 주단부점 Pm2, 부단부점 Ps, 제1 보조 단부점 Pa1 및, 제2 보조 단부점 Pa2는, 격자 패턴의 격자점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31DP)의 기준 패턴 요소(31RP)와 센싱 전극(33SP)의 기준 패턴 요소(33RP)는, 서로 교차하는 점을 가지는 한편, 정방 격자에 있어서의 동일한 변을 구성하는 선분을 갖지 않는다.
도 1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싱 전극(33SP)은, 복수의 센싱 전극선(51)의 집합이며, 복수의 센싱 전극선(5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며,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선(51)의 각각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센싱 전극선(51)은, 제1 방향 D1을 기준 방향으로 하는 기준 패턴 요소(33RP)로 구성되고, 센싱 전극선(51)에 있어서,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는,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전극(31DP)의 드라이브 접속부(31DPb)와, 센싱 전극(33SP)의 센싱 접속부(33SPb)가 입체적으로 겹쳐져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의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센싱 전극(33SP)의 센싱 접속부(33SPb)와 협동하여,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한변의 길이가 LPR인 정사각형이 이차원적으로 연속되는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더미부(33SD)가 입체적으로 겹쳐서, 상술한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드라이브 더미부(31DD)가 입체적으로 겹쳐서,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드라이브면(31S)의 기준 패턴 요소(31RP)에 있어서의 보조선 La의 구성과, 센싱면(33S)의 기준 패턴 요소(33RP)에 있어서의 보조선 La의 구성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즉, 드라이브면(31S)의 기준 패턴 요소(31RP)와, 센싱면(33S)의 기준 패턴 요소(33RP)의 각각은, 상술한 주선 Lm과 부선 Ls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에,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1RP)에 포함되는 보조선 La의 수는,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3RP)에 포함되는 보조선 La의 수와 상이해도 된다. 또한,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1RP)에 대한 보조선 La의 위치와,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3RP)에 대한 보조선 La의 위치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요컨대, 드라이브 전극선과 센싱 전극선은,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상보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면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패턴 요소(31RP)와 기준 패턴 요소(33RP)의 각각이, 하나의 주선 Lm과 하나의 부선 Ls로 구성된다. 이때,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제2 방향 D2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과, 제1 방향 D1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선(51)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인 전극선 간극 V가 형성된다. 전극선 간극 V는, 5개의 단위 격자로 구성되는 십자 형상이며, 전극선 간극 V의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단위 격자가, 제1 방향 D1의 양측과, 제2 방향 D2의 양측을 다른 단위 격자에 끼운 형상이다.
전극선 간극 V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 격자의 격자점에는, 한쪽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의 제1 주단부점 Pm1, 다른 쪽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의 제2 주단부점 Pm2, 한쪽 센싱 전극선(51)에 있어서의 제1 주단부점 Pm1 및, 제2 주단부점 Pm2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4개의 주단부점에 의해 둘러싸이는 단위 격자에는, 드라이브 전극선(41)에 포함되는 보조선 및, 센싱 전극선(51)에 포함되는 보조선 중 적어도 한쪽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으로서, 4개의 보조선 영역 K가 설정된다.
그리고, 보조선 영역 K에는, 상술한 4개의 주단부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4개의 보조선 영역 K를 매립하도록,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1RP)의 보조선 La 및,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기준 패턴 요소(33RP)의 보조선 La가 정해지면 된다.
4개의 보조선 영역 K의 각각에 설정되는 구성은, 전극선 간극 V마다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4개의 보조선 영역 K의 각각에 설정되는 보조선의 구성이 전극선 간극 V마다 상이한 구성에 있어서는, 보조선의 구성이 전극선 간극 V마다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보조선은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드라이브 전극선(41), 드라이브 더미선(42),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은,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로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술한 격자 패턴이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의 각각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제1 방향 D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제2 방향 D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드라이브 전극선(41) 및, 드라이브 더미선(42)의 각각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꺾은선 형상이나 곡선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센싱 전극선(51) 및, 센싱 더미선(52)도 꺾은선 형상이나 곡선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는, 격자 패턴의 드라이브 부분(21D)에 있어서, 단위 격자를 구성하는 4개의 선분 중, 2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이며, 또한, 2개의 선분이 센싱 더미선(52)의 일부이다. 또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의 센싱 부분에 있어서, 단위 격자를 구성하는 4개의 선분 중, 2개의 선분이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이며, 또한, 2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이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드라이브 부분(21D)에 있어서, 드라이브 부분(21D)에 위치하는 단위 격자에는, 4개의 선분 중, 3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이며, 또한, 하나의 선분이 센싱 더미선(52)의 일부인 단위 격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단위 격자에는, 하나의 선분이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이며, 또한, 3개의 선분이 센싱 더미선(52)의 일부인 단위 격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센싱 부분(21S)에 있어서, 센싱 부분(21S)에 위치하는 단위 격자에는, 4개의 선분 중, 3개의 선분이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이며, 또한, 하나의 선분이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인 단위 격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단위 격자에는, 하나의 선분이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이며, 또한, 3개의 선분이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인 단위 격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격자 패턴의 드라이브 부분(21D)에 있어서, 단위 격자가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일부와 센싱 더미선(52)의 일부를 포함하고, 또한, 센싱 부분(21S)에 있어서, 단위 격자가 센싱 전극선(51)의 일부와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상은, 상술한 (2)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드라이브 접속선 Lcd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 한쪽 드라이브 전극선(4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다른 쪽 드라이브 전극선(41)이 갖는 주선 Lm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에 있어서, 한쪽 드라이브 전극선(4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다른 쪽 드라이브 전극선(41)이 갖는 제1 주단부점 Pm1을 향하여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요컨대, 드라이브 접속선 Lcd는, 연장 방향, 또는,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이며, 단위 길이 LRP를 갖는 직선이면 되고, 또한, 하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41)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으면 된다.
·센싱 접속선 Lcs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선(51)에 있어서, 한쪽 센싱 전극선(5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다른 쪽 센싱 전극선(51)이 갖는 주선 Lm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요컨대, 센싱 접속선 Lcs는, 연장 방향, 또는,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이며, 단위 길이 LRP를 갖는 직선이면 되고, 또한, 하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선(51)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으면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와 센싱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그로 인해,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위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터치 센서용 전극 및,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을 차례로 설명한다.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도 13을 참조하여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를 접속하는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에는, 전극부 간극(45)이 위치하고 있다. 전극부 간극(45)은,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전극부 간극(45)의 각각에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이며, 복수의 드라이브 더미선(42)이 위치하고 있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더미부(31DD) 중, 전극부 간극(45)을 제외한 부분이,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대향한다. 그로 인해, 전극부 간극(45)은, 제2 방향 D2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전극부 간극(45)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의 각각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선(41)과,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선 간극(46)에 의해, 드라이브 전극선(4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전극부 간극(45)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더미선(42)은, 또한,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내부에 위치하는 더미선 간극(47)에 의해, 드라이브 더미선(42)의 일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더미선 간극(47)은 생략되어도 된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
도 14를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 및, 센싱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 및, 센싱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1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전극(33S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를 접속하는 센싱 접속부(33S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는, 전극부 간극(55)이 위치하고 있다. 전극부 간극(55)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의 제1 방향 D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전극부 간극(55)의 각각에는, 센싱 더미부(33SD)의 일부이며, 복수의 센싱 더미선(52)이 위치하고 있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센싱 더미부(33SD) 중, 전극부 간극(55)을 제외한 부분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대향한다. 그로 인해, 전극부 간극(55)은,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전극부 간극(55)에 위치하는 센싱 더미선(52)의 각각은, 예를 들어 센싱 전극선(51)과 센싱 더미선(5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선 간극(56)에 의해, 센싱 전극선(5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전극부 간극(55)에 위치하는 센싱 더미선(52)은 또한, 센싱 더미부(33SD)의 내부에 위치하는 더미선 간극(57)에 의해, 센싱 더미선(52)의 일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더미선 간극(57)은 생략되어도 된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센싱 더미부(33SD) 중, 전극부 간극(55)을 제외한 부분과 대향하고,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 중, 전극부 간극(45)을 제외한 부분과 대향한다.
그로 인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는,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전극부 간극(45)과,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전극부 간극(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 및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2개의 전극부 간극(45, 55)의 분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음과 함께, 제2 방향 D2에 있어서, 2개의 전극부 간극(45, 55)의 분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45)이 형성되고, 센싱면(33S)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는,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외측으로부터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높아진다.
나아가서는,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전극부 간극(45)에는,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가 위치하고, 또한,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전극부 간극(55)에는, 센싱 더미부(33SD)가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있어서 전극부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45)이 형성되고, 센싱면(33S)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일부가 전극부 간극(45)에 위치하고, 또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일부가 전극부 간극(55)에 위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의 크기가 바뀐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을,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접속되는 제어부(36)의 사양에 맞추어 바꿀 수 있다.
게다가,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46)의 위치를 설정하고, 또한, 센싱면(33S)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56)의 위치를 설정하기만 하면,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 사이의 정전 용량을 바꿀 수 있다. 그로 인해,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구비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설계에 있어서의 대폭적인 변경이나, 센싱 전극(33SP)의 설계에 있어서의 대폭적인 변경을 강제하는 일 없이,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 사이의 정전 용량을 바꿀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7)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45)이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부 간극(45)에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극부 간극(45)이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55)이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부 간극(55)에 센싱 더미부(33SD)의 일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극부 간극(55)이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각각의 구조체로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전극부 간극(45)의 전부에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전극부 간극(45) 중 적어도 하나에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가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전극부 간극(45) 중,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일부가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45)에 있어서는, 상술한 (7)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센싱면(33S)에 있어서, 전극부 간극(55)의 전부에 센싱 더미부(33SD)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전극부 간극(55) 중 적어도 하나에 센싱 더미부(33SD)의 일부가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전극부 간극(55) 중, 센싱 더미부(33SD)의 일부가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55)에 있어서는, 상술한 (8)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46)의 위치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되면 된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46)과, 전극선 간극(46)에 가장 가까운 더미선 간극(47)과의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이 작아진다.
·센싱면(33S)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56)의 위치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되면 된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전극선 간극(56)과, 전극선 간극(56)에 가장 가까운 더미선 간극(57)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의 정전 용량이 작아진다.
·드라이브면(31S)에 위치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 중, 일부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외측 테두리에만, 전극부 간극(45)이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전극부 간극(45)과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는, 상술한 (7)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센싱면(33S)에 위치하는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중, 일부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외측 테두리에만, 전극부 간극(55)이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전극부 간극(55)과 서로 인접하는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는, 상술한 (8)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드라이브면(31S)에 전극부 간극(45)이 위치하는 한편, 센싱면(33S)에는 전극부 간극(55)이 위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 사이에 전극부 간극(45)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7)에 준한 이점을 적지 않게 얻을 수는 있다.
·센싱면(33S)에 전극부 간극(55)이 위치하는 한편, 드라이브면(31S)에는 전극부 간극(45)이 위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전극부 간극(55)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8)에 준한 이점을 적지 않게 얻을 수는 있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의 각각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의 각각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드라이브 전극을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구성 및, 센싱 전극을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로 인해,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위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센싱 전극의 구성,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 및,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을 차례로 설명한다.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도 15에 도시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일부가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도 1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를 접속하는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각각과, 드라이브 접속부(31DPb)의 각각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전극(31DP)은,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의 집합이다. 각 드라이브 전극선(61)은,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기준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5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을 갖고, 각 드라이브 전극선(6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접속부(31DPb)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을 갖고, 각 드라이브 전극선(6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5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 중,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연속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은, 드라이브 접속부(31DPb)를 구성하는 3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5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의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드라이브 접속선 Lcd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에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 접속선 Lcd는, 예를 들어 한쪽 드라이브 전극선(6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제2 보조 단부점 Pa2로부터, 다른 드라이브 전극선(6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1RP)의 부단부점 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에 있어서, 4개의 드라이브 접속선 Lcd가 드라이브 접속선군을 구성하고, 드라이브 접속선군은,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마다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한쪽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와, 다른 쪽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예를 들어 제2 방향 D2를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2개의 드라이브 더미선(62)을 포함하고, 각 드라이브 더미선(62)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드라이브 더미선(62)은, 제2 방향 D2를 기준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드라이브 더미부(31DD)와,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의 일부는, 교대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브면(31S)의 일부에서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드라이브 더미부(31DD)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더미선(62)과,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은, 교대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있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교대로 연속되는 드라이브 전극선(61)과 드라이브 더미선(62)은, 하나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을 구성하고,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과 드라이브 더미선(62)은, 공통되는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1RP)의 일부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브 패턴군(63)에 있어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선(61)의 단부와, 드라이브 더미선(62)의 단부의 사이에는, 드라이브 간극(64)이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간극(64)이 드라이브 전극선(61)과 드라이브 더미선(62)을 서로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더미부(31DD)는,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각 드라이브 전극(31DP)에 있어서의 제2 방향 D2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 드라이브 직선 DL이다. 드라이브 직선 DL 중,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드라이브 직선 DL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 드라이브 전극선 영역이다. 이에 비해, 각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 센싱 직선 SL이다. 센싱 직선 SL 중,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직선 SL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 센싱 전극선 영역이다.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하나의 드라이브 전극선 영역과, 하나의 센싱 전극선 영역이 입체적으로 겹치는 영역이 단위 영역(21U)이다. 단위 영역(21U)은,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의 각각을 따라서 연속되어 있다.
도 1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단위 영역(21U)에는,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과, 3개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이 할당되고,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양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이 3개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을 사이에 끼우고 있다.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과 3개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은,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각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과, 3개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은, 하나의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고, 드라이브 배선군은, 제1 방향 D1에 있어서, 단위 영역(21U)마다에 연속해서 위치하고 있다.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각 드라이브 전극선(61)에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5개의 기준 패턴 요소(31RP)가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다.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각 드라이브 패턴군(63)에도, 드라이브 전극선(61)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5개의 기준 패턴 요소(31RP)가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과 3개의 드라이브 패턴군(63)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기준 패턴 요소(31RP)가 시점 패턴 요소(31RPs)이다. 드라이브면(31S)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가, 제1 시점 패턴 요소의 일례이다.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의 사이의 거리가 선간 폭 GL이고, 예를 들어 각 시점 패턴 요소(31RPs)의 부단부점 Ps의 사이의 거리이며,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거리가, 선간 폭 GL이다.
여기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선(61) 및 드라이브 패턴군(63)의 각각에 있어서, 기준 패턴 요소(31RP) 중, 하나의 주선 Lm과 하나의 부선 Ls가 하나의 기준 패턴 요소(31RP)이다. 또한, 기준 패턴 요소(31RP) 중, 주선 Lm과 부선 Ls의 사이나 주선 Lm의 도중에 간극을 갖는 패턴도 기준 패턴 요소(31RP)라고 간주한다.
드라이브 배선군에 있어서, 드라이브 배선군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전극선(61) 및 드라이브 패턴군(63)의 각각은, 제2 방향 D2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으로부터 순서대로, 제A 배선(31A), 제B 배선(31B), 제C 배선(31C), 제D 배선(31D) 및, 제E 배선(31E)이다.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제A 배선(31A)부터 제E 배선(31E)의 각각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의 위치가 정해지고, 5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가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 군을 구성하고 있다. 시점 패턴 요소 군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단위 영역(21U)마다에 연속되고, 단위 영역(21U)에 대한 각 시점 패턴 요소(31RPs)의 위치는, 복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다. 그로 인해, 제1 방향 D1에서 연속되는 복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복수의 시점 패턴 요소(31RPs)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제B 배선(31B)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제A 배선(31A)의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C 배선(31C)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제B 배선(31B)의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선간 폭 GL의 1배만큼 상이한 다른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배선의 각각은, 시점 패턴 요소(31RPs)로부터,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21U)의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해서, 선간 폭 GL의 1배만큼 기울도록 연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61) 및 드라이브 패턴군(63)의 각각은, 각 시점 패턴 요소(31RPs)로부터 서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로 인해,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61) 사이의 거리 및, 드라이브 전극선(61)과 드라이브 패턴군(63) 사이의 거리는, 선간 폭 GL로 유지되어 있다.
[센싱 전극의 구성]
도 17을 참조하여 센싱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에서는,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센싱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1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전극(33SP)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를 접속하는 센싱 접속부(33SP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은,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각각과, 센싱 접속부(33SPb)의 각각은, 복수의 센싱 전극선(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센싱 전극(33SP)은, 센싱 전극선(71)의 집합이다. 각 센싱 전극선(71)은,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기준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를 포함하고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5개의 센싱 전극선(71)을 갖고, 각 센싱 전극선(7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센싱 접속부(33SPb)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3개의 센싱 전극선(71)을 갖고, 각 센싱 전극선(71)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를 구성하는 5개의 센싱 전극선(71) 중,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연속되는 3개의 센싱 전극선(71)은, 센싱 접속부(33SPb)를 구성하는 3개의 센싱 전극선(7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5개의 센싱 전극선(71)의 각각은,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센싱 접속선 Lcs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71)에 접속되어 있다.
센싱 접속선 Lcs의 일부는, 예를 들어 한쪽 센싱 전극선(7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7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1 보조 단부점 Pa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센싱 접속선 Lcs의 나머지 부분은, 예를 들어 한쪽 센싱 전극선(7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2 주단부점 Pm2로부터,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71)이 갖는 기준 패턴 요소(33RP)의 제1 주단부점 Pm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에 있어서, 4개의 센싱 접속선 Lcs가 센싱 접속선군을 구성하고, 센싱 접속선군은, 센싱 용량 전극부(33SPa)마다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속되어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한쪽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와, 다른 쪽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센싱 용량 전극부(33SP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센싱 더미부(33SD)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D1을 따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2개의 센싱 더미선(72)을 포함하고, 각 센싱 더미선(72)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센싱 더미선(72)은, 제1 방향 D1을 기준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센싱 더미부(33SD)를 구성하는 센싱 더미선(72)은, 2개의 센싱 전극선(71)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71)의 단부와, 센싱 더미선(72)의 단부의 사이에는, 센싱 간극(73)이 위치하고 있다. 하나의 센싱 더미선(72)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센싱 간극(73)에 의해, 센싱 전극선(7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센싱 더미부(33SD)는,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센싱면(33S)에 있어서, 각 단위 영역(21U)에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나열되는 2개의 센싱 전극선(71)과, 3개의 센싱 패턴군(74)이 할당되어 있다. 3개의 센싱 패턴군(74)은, 제2 방향 D2를 따라 나열되는 센싱 전극선(71)의 일부와, 센싱 더미선(72)의 일부를 포함한다. 각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양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센싱 전극선(71)이, 3개의 센싱 패턴군(74)을 사이에 끼우고 있다. 2개의 센싱 전극선(71)과 3개의 센싱 패턴군(74)은,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고, 2개의 센싱 전극선(71) 사이의 간격, 또는, 센싱 전극선(71)과 센싱 패턴군(74) 사이의 간격이 선간 폭 GL이다.
각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2개의 센싱 전극선(71)과, 3개의 센싱 패턴군(74)이 하나의 센싱 배선군을 구성하고, 센싱 배선군은, 제2 방향 D2에 있어서, 단위 영역(21U)마다 연속하여 위치하고 있다.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21U)과 마찬가지로, 각 배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 중에서, 제2 방향 D2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기준 패턴 요소(33RP)가 시점 패턴 요소(33RPs)이다. 그리고,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33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위치가, 선간 폭 GL의 1배만큼 상이한 시점 패턴 요소(33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센싱면(33S)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3RPs)가, 제2 시점 패턴 요소의 일례이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
도 18을 참조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의 배치와,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선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의 선 폭과, 센싱 전극선의 선 폭이 과장되게 나타나 있다.
도 1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용 전극(21)에서는,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31DPa)가 센싱 더미부(33SD)에 겹치고, 센싱 용량 전극부(33SPa)가 드라이브 더미부(31DD)에 겹치고, 또한, 드라이브 접속부(31DPb)가 센싱 접속부(33SPb)에 겹친다. 이에 의해,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단위 격자의 연속되는 하나의 격자 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라이브면(31S)의 단위 영역(21U)의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선간 폭 GL의 1배만큼 상이한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센싱면(33S)의 단위 영역(21U)의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33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는,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위치가 선간 폭 GL의 1배만큼 상이한 시점 패턴 요소(33RPs)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로 인해,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형성하는 격자 패턴에 있어서 연속되는 단위 격자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를 포함하면서, 단위 격자를 구성하는 주선 Lm과 기준 방향이 형성하는 주선 각도 θ가, 제1 실시 형태의 터치 센서용 전극(21)과 서로 상이하다.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
상술한 터치 센서용 전극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터치 센서용 전극(2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센서용 전극(21)으로부터 이하와 같이 설계를 변경하기만 하면 형성할 수 있다. 즉,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각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선간 폭 GL의 n배(n은 1 이상의 정수)만큼 어긋난 다른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한 방향으로 변경된다.
또한, 센싱 배선군을 구성하는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3RPs)의 제1 방향 D1에 있어서의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3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3RP)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선간 폭 GL의 n배(n은 1 이상의 정수)만큼 어긋난 다른 시점 패턴 요소(33RPs)를 향한 방향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연속되는 복수의 드라이브 배선군과,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연속되는 복수의 센싱 배선군의 각각이, 센싱면(33S)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을 형성하도록 접속된다.
이와 같이,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을 얻는 데 있어서,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전극(31DP) 및 드라이브 더미부(31DD)의 설계 및,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센싱 전극(33SP) 및 센싱 더미부(33SD)의 설계의 각각을 대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9)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분의 각각이 갖는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에 대한 기울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기준 패턴 요소(31RP, 33RP)를 포함하는 전극선으로서 드라이브 전극선(61) 및 센싱 전극선(71)의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전극선(61) 및 센싱 전극선(71)을 설계하기 위한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면(31S)의 하나의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 제C 배선(31C)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1 방향 D1에서 인접하는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제A 배선(31A)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해도 된다. 또는, 제D 배선(31D)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1 방향 D1에서 인접하는 단위 영역(21U)에 있어서의 제A 배선(31A)의 시점 패턴 요소(31RPs)를 향하여 연장해도 된다.
요컨대, 하나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는,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선간 폭 GL의 정수배만큼 상이한 시점 패턴 요소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센싱면(33S)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21U)에서는, 각 배선에 있어서의 시점 패턴 요소(31RPs)에 이어지는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31RP)가 연장되는 방향이,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21U)에 준하여 정해지면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상술한 (9)에 준한 이점을 얻을 수는 있다.
·드라이브 배선군을 구성하는 배선의 개수와, 센싱 배선군을 구성하는 배선의 개수는,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구성 및,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의 각각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의 각각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구성 및,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의 각각은, 제2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각각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예]
·도 1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을 구성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있어서, 투명 기판(31) 및 투명 접착층(32)이 생략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면 중에서, 표시 패널(10)과 대향하는 하나의면이 드라이브면(31S)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면(31S)에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위치하면 된다. 그리고,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있어서의, 드라이브면(31S)과 대향하는 면에, 센싱 전극(33SP)이 위치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되는 하나의 박막의 패터닝에 의해 형성된다.
·도 20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에서는, 표시 패널(10)에 가까운 구성 요소로부터 차례로, 드라이브 전극(31DP), 투명 기판(31), 투명 접착층(32), 투명 유전체 기판(33), 센싱 전극(33SP), 투명 접착층(23), 커버층(22)이 위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31DP)이, 투명 기판(31)의 한 면인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되고, 센싱 전극(33SP)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한 면인 센싱면(33S)에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 기판(31)에 있어서 드라이브면(31S)과 대향하는 면과,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있어서 센싱면(33S)과 대응하는 면이, 투명 접착층(32)에 의해 접착된다.
·터치 패널(20)과 표시 패널(10)은, 개별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터치 패널(20)은 표시 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용 전극(21) 중,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TFT층(13)에 위치하는 한편,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이 컬러 필터 기판(16)과 상측 편광판(17)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 셀형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컬러 필터 기판(16)과 상측 편광판(17)의 사이에 위치하는 온 셀형의 구성이어도 된다.
10: 표시 패널
10S: 표시면
11: 하측 편광판
12: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 TFT층
14: 액정층
15: 컬러 필터층
15a: 블랙 매트릭스
15P: 화소
15G: 녹착색층
15R: 적착색층
16: 컬러 필터 기판
17: 상측 편광판
20: 터치 패널
20S: 조작면
21: 터치 센서용 전극
21D: 드라이브 부분
21S: 센싱 부분
21U: 단위 영역
22: 커버층
23: 투명 접착층
31: 투명 기판
31A : 제A 배선
31B: 제B 배선
31C: 제C 배선
31D: 제D 배선
31E: 제E 배선
31DD: 드라이브 더미부
31DP: 드라이브 전극
31DPa: 드라이브 용량 전극부
31DPb: 드라이브 접속부
31P: 패드
31RP, 33RP: 기준 패턴 요소
31RPs, 33RPs: 시점 패턴 요소
31S: 드라이브면
32: 투명 접착층
33: 투명 유전체 기판
33P: 패드
33S: 센싱면
33SD: 센싱 더미부
33SP: 센싱 전극
33SPa: 센싱 용량 전극부
33SPb: 센싱 접속부
34: 선택 회로
35: 검출 회로
35a: 신호 취득부
35b: 신호 처리부
36: 제어부
41, 61: 드라이브 전극선
42, 62: 드라이브 더미선
42a, 52a: 더미 내 간극
43, 63: 드라이브 패턴군
44, 64: 드라이브 간극
45, 55: 전극부 간극
46, 56: 전극선 간극
47, 57: 더미선 간극
51, 71: 센싱 전극선
52, 72: 센싱 더미선
53, 74: 센싱 패턴군
54, 73: 센싱 간극
Lm: 주선
Ls: 부선
Ps: 부단부점
Lcd: 드라이브 접속선
Lcs: 센싱 접속선
Pa1: 제1 보조 단부점
Pa2: 제2 보조 단부점
Pm1: 제1 주단부점
Pm2: 제2 주단부점

Claims (12)

  1. 제1면과,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투명 유전체 기판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전극으로서, 상기 각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의 집합임과 함께,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1 용량 전극부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용량 전극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전극으로서, 상기 각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의 집합임과 함께,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제2 용량 전극부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용량 전극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과,
    복수의 제1 더미선을 포함하는 제1 더미부로서, 상기 제1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전극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제1 더미부와,
    복수의 제2 더미선을 포함하는 제2 더미부로서, 상기 제2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제2 더미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는 상기 제2 더미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용량 전극부는 상기 제1 더미부와 대향하고,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의 조합은, 하나의 격자 패턴의 제1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은, 상기 격자 패턴에 포함되는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하고,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의 조합은, 상기 격자 패턴의 제2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은, 상기 격자 패턴에 포함되는 서로 상이한 선분을 구성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자의 각각은, 4개의 선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 패턴의 상기 제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4개의 선분은, 상기 제1 전극선의 일부와 상기 제2 더미선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패턴의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4개의 선분은, 상기 제2 전극선의 일부와 상기 제1 더미선의 일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 격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전극선과 상기 제2 더미선은, 복수의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하나의 방향인 기준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단위 격자의 한변의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갖는 주선과, 상기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단위 격자의 한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고,
    상기 제2 더미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터치 센서용 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과 상기 제1 더미선은,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고,
    상기 제1 더미선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터치 센서용 전극.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0°보다도 크고, 또한, 180°보다도 작은, 터치 센서용 전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1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이 제1 직선이고,
    상기 제2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이 제2 직선이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직선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직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영역이 단위 영역이고,
    상기 단위 영역에서, 상기 각 제1 전극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 중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패턴 요소가 제1 시점 패턴 요소이며, 상기 각 제2 전극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 중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패턴 요소가 제2 시점 패턴 요소이고,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는, 상기 단위 영역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연속되고,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는, 상기 단위 영역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연속되고,
    하나의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에 이어지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위 영역에서의 다른 상기 제1 시점 패턴 요소를 향하여 연장되고,
    하나의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에 이어지는 복수의 상기 기준 패턴 요소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위 영역에서의 다른 상기 제2 시점 패턴 요소를 향하여 연장되는, 터치 센서용 전극.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1 더미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색상을 갖는 한편,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더미부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 사이에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터치 센서용 전극.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더미부가 서로 동일한 색의 속성을 갖고,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2 더미부가, 상기 제1 전극과는 상이한 색의 속성을 갖는, 터치 센서용 전극.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와 상기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을 더 갖고,
    상기 제1 더미부의 일부가, 복수의 상기 전극부 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전체 기판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용량 전극부와 상기 제2 용량 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 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더미부의 일부가, 복수의 상기 전극부 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센서용 전극으로서,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과,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을 덮는 커버층과,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12.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제11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상기 정보를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67034876A 2014-06-02 2014-12-17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258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4461 2014-06-02
JPJP-P-2014-114461 2014-06-02
PCT/JP2014/083437 WO2015186276A1 (ja) 2014-06-02 2014-12-17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315A true KR20170012315A (ko) 2017-02-02
KR102258037B1 KR102258037B1 (ko) 2021-05-27

Family

ID=5476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876A KR102258037B1 (ko) 2014-06-02 2014-12-17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6876B2 (ko)
JP (1) JP6396454B2 (ko)
KR (1) KR102258037B1 (ko)
CN (1) CN106415453B (ko)
TW (1) TWI666581B (ko)
WO (1) WO201518627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757A (ko) * 2020-02-18 2020-02-26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센서 패널
WO2020166882A1 (ko) * 2019-02-14 2020-08-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016615B2 (en) 2017-12-07 2021-05-25 Hideep Inc. Touch sensor panel
US11327612B2 (en) 2017-08-18 2022-05-10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281B1 (ko) * 2016-05-19 2019-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JP2018067228A (ja) * 2016-10-21 2018-04-26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11237675B2 (en) 2017-08-22 2022-02-01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941503B2 (ja) * 2017-08-24 2021-09-2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6932613B2 (ja) * 2017-10-30 2021-09-08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08170307A (zh) * 2017-11-30 2018-06-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493681B1 (ko) * 2018-03-30 2023-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102463812B1 (ko) * 2018-04-03 2022-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US10725600B2 (en) * 2018-06-20 2020-07-28 Sharp Kabushiki Kaisha Positio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input function
TWI683245B (zh) * 2018-10-04 2020-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JP7162487B2 (ja) * 2018-10-05 2022-10-28 ローム株式会社 チップ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65094B2 (ja) * 2019-03-29 2022-11-02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TWI704484B (zh) * 2019-07-31 2020-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CN112462962B (zh) * 2019-09-06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传感器、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CN113534976A (zh) * 2020-04-14 2021-10-22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具虚设图案的触控面板
TWI748621B (zh) * 2020-08-28 2021-1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3817A1 (en) * 2010-02-05 2011-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compensating noise in touch panel
JP2012230664A (ja) 2011-01-18 2012-11-22 Fujifilm Corp 透明電極シート、透明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の透明電極シートを用いた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US20130242485A1 (en) * 2010-11-05 2013-09-19 Fujifilm Corporation Touch panel
US20140049484A1 (en) * 2012-08-20 2014-02-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074937A (ja) * 2012-08-27 2014-04-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4981B (zh) * 2006-02-10 2011-07-13 夏普株式会社 触摸面板的坐标位置检测装置
CN101034331B (zh) * 2006-02-13 2011-03-16 智点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控屏
KR101432569B1 (ko) * 2007-11-20 2014-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123774B2 (ja) * 2008-07-25 2013-01-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0160670A (ja) *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384870B (zh) 2011-02-18 2016-06-01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片和触控面板
CN103380411B (zh) * 2011-02-24 2016-10-05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片和触控面板
US9310947B2 (en) * 2011-07-29 2016-04-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O2013089085A1 (ja) * 2011-12-16 2013-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3171454A (ja) * 2012-02-21 2013-09-02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の電極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87191B2 (ja) * 2012-10-17 2016-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3817A1 (en) * 2010-02-05 2011-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compensating noise in touch panel
US20130242485A1 (en) * 2010-11-05 2013-09-19 Fujifilm Corporation Touch panel
JP2012230664A (ja) 2011-01-18 2012-11-22 Fujifilm Corp 透明電極シート、透明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の透明電極シートを用いた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US20140049484A1 (en) * 2012-08-20 2014-02-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074937A (ja) * 2012-08-27 2014-04-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7612B2 (en) 2017-08-18 2022-05-10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16615B2 (en) 2017-12-07 2021-05-25 Hideep Inc. Touch sensor panel
WO2020166882A1 (ko) * 2019-02-14 2020-08-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20757A (ko) * 2020-02-18 2020-02-26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센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6454B2 (ja) 2018-09-26
US10126876B2 (en) 2018-11-13
JPWO2015186276A1 (ja) 2017-04-20
WO2015186276A1 (ja) 2015-12-10
TWI666581B (zh) 2019-07-21
US20170083160A1 (en) 2017-03-23
CN106415453B (zh) 2019-11-19
TW201602885A (zh) 2016-01-16
CN106415453A (zh) 2017-02-15
KR102258037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037B1 (ko)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JP6470264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10156943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9857931B2 (en)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89012B1 (ko)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JP6740095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7227983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391978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1737699B1 (ko) 입력 장치
JP201722798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534807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6383914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620675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556510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7159857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06233230B (zh) 触摸传感器用电极、触摸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