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12B1 -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12B1
KR102189012B1 KR1020157016602A KR20157016602A KR102189012B1 KR 102189012 B1 KR102189012 B1 KR 102189012B1 KR 1020157016602 A KR1020157016602 A KR 1020157016602A KR 20157016602 A KR20157016602 A KR 20157016602A KR 102189012 B1 KR102189012 B1 KR 10218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rip
shaped
sens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066A (ko
Inventor
야스노리 하시다
다까히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티에스 터치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티에스 터치센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티에스 터치센서
Publication of KR2016003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센서용 전극(21)은, 하나의 방향인 배열 방향(D1)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띠 형상 전극(31DP)을 구비하고, 띠 형상 전극(31DP) 각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전극선(31L)의 집합이며, 띠 형상 전극(31DP)마다의 복수의 전극선(31L)의 총 면적은, 복수의 띠 형상 전극(31DP)에서 균일하고, 복수의 띠 형상 전극(31DP)은 배열 방향(D1)에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띠 형상 전극(31DE)과, 단부 띠 형상 전극(31DE) 이외의 다른 띠 형상 전극(31DM)을 포함하고, 각 띠 형상 전극(31DP)에 있어서, 동일 띠 형상 전극(31DP)의 면적에 대한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를 면적비로 하고, 단부 띠 형상 전극(31DE)에서의 면적비는 다른 띠 형상 전극(31DM)에서의 면적비와는 상이하다.

Description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ELECTRODE FOR TOUCH SENSOR,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기술은,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센서용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용 전극의 일례인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을 구비하고, 손가락 등이 조작면에 접촉하는 것을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서 검출한다. 표시 패널이 형성하는 화상은, 이들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을 통해서 조작면에 출력된다. 그로 인해,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은, 예를 들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전극선의 집합으로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79238호 공보
그런데,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사이의 정전 용량은, 터치 센서용 전극에 접속되는 주변 회로에 의해 측정되고 있다. 이 때,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초기값이 너무 크면, 조작면과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작은 용량 변화는, 주변 회로에서의 측정 오차로서 취급되어버린다. 반대로,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초기값이 너무 작으면, 주변 회로에서의 노이즈가, 조작면과 손가락의 접촉으로서 취급되어버린다. 그러므로,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초기값은, 접촉에 의한 용량 변화분에 적합한 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청은, 통상, 복수의 전극 각각을, 서로 동등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하고, 또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함으로써 충족되고 있다.
한편, 조작면에서 손가락에 의해 선택되는 부위는, 조작면에서의 화상의 출력 범위 내로 정해진다. 이 때, 드라이브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 화상의 출력 범위보다도 너무 작으면, 출력된 화상 중에는, 손가락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부분이 포함되어버린다. 반대로, 드라이브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 화상의 출력 범위보다도 너무 크면,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측정이, 불필요하게 반복되어버린다. 그러므로,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크기는, 화상의 출력 범위와 동일한 정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청은, 통상,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크기를, 표시 패널의 크기에 맞춤으로써 충족고 있다.
즉, 전극의 형상, 크기 및 배치 등, 1개의 전극의 배치에 필요해지는 단위 영역의 크기는,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규격에 기초해서 정해져 있다. 한편, 드라이브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크기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크기는, 터치 센서 이외의 다른 장치의 크기에 기초해서 정해져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용 전극 이외의 다른 장치의 크기는, 통상, 전극의 상기 단위 영역의 정수배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드라이브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 화상의 출력 범위보다도 너무 작으면, 접촉의 검출에 원래 필요해지는 전극 부분이, 출력된 화상의 단부에 포함되지 않게 되어버린다. 반대로, 드라이브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이 화상의 출력 범위보다도 너무 크면,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있어서,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서 원래 필요해지지 않는 불필요한 전극 부분이 포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1개의 전극의 배치에 필요해지는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지는 이상, 출력된 화상의 전체에 걸쳐서 드라이브 전극이나 센싱 전극이 배열되면, 출력된 화상의 밖으로 전극의 일부가 밀려 나와버린다. 그리고, 터치 센서가 쓸데없는 전극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출력되는 화상의 밖에서 쓸데없는 전극 부분이 없어지면, 결국,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초기값이,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낮아져버린다.
또한,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의 정전 용량이 다른 부분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은 것은, 쓸데없는 전극 부분이 생략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와, 거기에 대향하는 전극과의 상대적인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본 개시의 기술 목적은, 전극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 정전 용량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에서의 터치 센서용 전극의 일형태는, 하나의 방향인 배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전극 각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전극선의 집합이며, 상기 띠 형상 전극마다의 상기 복수의 전극선의 총 면적은, 복수의 상기 띠 형상 전극에서 균일하고, 상기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띠 형상 전극과,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 이외의 다른 띠 형상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 띠 형상 전극에 있어서, 동일 띠 형상 전극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전극선의 총 면적의 비를 면적비로 하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는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와는 상이하다.
본 개시에서의 터치 패널의 일형태는,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과,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은, 투명 유전체 기재와,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의 표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띠 형상 전극과,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의 이면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띠 형상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띠 형상 전극 및 상기 제2 띠 형상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띠 형상 전극이며, 상기 제1 띠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띠 형상 전극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주변 회로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에서의 표시 장치의 일형태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상기 정보를 투과하는 상기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기술에서의 일형태에 따르면, 배열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띠 형상 전극은, 띠 형상 전극마다의 전극선의 총 면적에 대해서, 다른 띠 형상 전극과 동등하게, 또한 띠 형상 전극의 면적에 대한 전극선의 총 면적의 면적비에 대해서, 다른 띠 형상 전극과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단부 띠 형상 전극에 있어서, 띠 형상 전극 바로 그것의 면적은 다른 띠 형상 전극과는 상이한 한편, 다른 띠 형상 전극의 정전 용량보다도, 그 정전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서로 겹치는 구성 요소의 일부가 겹치는 순서대로 절결해서 도시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드라이브 전극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 센싱 전극의 간격이 600㎛일 때의 센싱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의 사이에서의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전압 분포의 수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 센싱 전극의 간격이 300㎛일 때의 센싱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의 사이에서의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전압 분포의 수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변형예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서의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서의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에서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에서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의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드라이브면에 형성되는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면에 형성되는 센싱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 및 센싱 전극이 과장되어 있다.
(표시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표시 패널(10)과, 터치 패널(20)이, 1개의 투명 접착층에 의해 접합된 적층체이다. 표시 패널(10)의 표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면(10S)이 구획되고, 표시면(10S)에는,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터치 패널(20)은, 터치 센서용 전극(21)과 커버층(22)이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접합된 적층체이다. 커버층(22)은, 유리 기판이나 수지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층(22)에서의 투명 접착층(23)과는 반대측의 측면은, 터치 패널(20)에서의 조작면(20S)으로서 기능한다. 투명 접착층(23)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고, 투명 접착층(23)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터치 패널(20)의 제조 시에는, 터치 센서용 전극(21)과 커버층(22)이,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접합되어도 되고, 이것과는 상이한 다른 예로서, 이하의 제조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즉, 수지 필름 등의 커버층(22)에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직접, 또는, 하지층을 개재하여 형성하고, 그 위에 터치 센서용 전극 패턴 형상의 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염화 제2철 등을 사용한 습식 에칭법에 의해, 박막층을, X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에 가공하여 제1 필름을 얻는다. 또한, X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과 마찬가지로, 박막층을, Y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에 가공하여 제2 필름을 얻는다. 그리고,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접합한다.
터치 센서용 전극(21)의 구성 요소이며 제1 기재의 일례인 투명 기판(31)은, 표시 패널(10)에 형성된 표시면(10S)의 전체에 겹쳐져서, 표시면(10S)에 형성되는 화상을 투과한다. 투명 기판(31)은, 예를 들어 투명 유리 기판이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의 기재를 포함하고 있다. 투명 기판(31)은, 1개의 기재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를 가져도 되고, 2개 이상의 기재가 겹쳐진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투명 기판(31)에서의 표시 패널(10)과는 반대측의 면은, 드라이브면(31S)으로서 설정되고, 투명 기판(31)의 드라이브면(31S)에는, 전극선의 일례인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하나의 방향인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은, 제1 배열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은, 제1 배열 방향(D1)의 최단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부터 순서대로, 9개씩의 세트로 나뉘어져 있다. 1개의 세트에 포함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1개의 패드(31T)에 접속되어 있다. 1개의 패드(31T)에 접속되고, 또한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제1 띠 형상 전극의 일례인 1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에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막, 산화아연 등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막, 산화인듐 주석이나 산화인듐 갈륨 아연 등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막이 사용된다. 산화인듐 주석이나 산화인듐 갈륨 아연은, 인듐, 주석, 갈륨 및 아연 등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에는, 은 나노 와이어, 도전성 고분자막, 도전막도 사용된다. 도전막으로서는 그래핀막 등을 들 수 있다.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각각 별도로 선택 회로(34)에 접속되어, 선택 회로(34)가 인가하는 구동 전압을 받아서 선택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복수의 패드(31T)는,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된 1개의 박막이 마스크를 개재해서 에칭됨으로써, 동시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복수의 패드(31T)는, 각각 별도의 공정에 의해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복수의 패드(31T)는, 투명 기판(31)과는 상이한 다른 기재로 형성되고,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복수의 패드(31T)가, 다른 기재로부터 투명 기판(31)에 부착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드라이브면(31S),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및 복수의 패드(31T)는, 1개의 투명 접착층(32)에 의해, 제2 기재의 일례인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접합되어 있다. 투명 접착층(32)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하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다. 투명 접착층(32)은, 드라이브면(31S),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및 복수의 패드(31T)와, 투명 유전체 기판(33)을 접착한다. 투명 접착층(32)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투명 접착층(32) 및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투명 유전체 기재의 구성 요소이며, 투명 유전체 기재의 이면에,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및 복수의 패드(31T)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투명 수지 필름이나 투명 유리 기판 등의 기재를 포함하고 있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1개의 기재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를 가져도 되고, 2개 이상의 기재가 겹쳐진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은,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전극간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에 적합한 비유전율을 갖는다.
투명 유전체 기판(33)에서의 투명 접착층(32)과는 반대측의 면은, 센싱면(33S)으로서 설정되고,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센싱면(33S)에는, 전극선의 일례인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이,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은,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은, 제2 배열 방향(D2)의 최단에 위치하는 센싱 전극선(33L)부터 순서대로, 9개씩의 세트로 나뉘어져 있다. 1개의 세트에 포함되는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은, 1개의 패드(33T)에 접속되어 있다. 1개의 패드(33T)에 접속되고, 또한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은, 제2 띠 형상 전극인 대향 띠 형상 전극의 일례인 1개의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에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마찬가지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막, 산화아연 등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막, 산화인듐 주석이나 산화인듐 갈륨 아연 등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막이 사용된다. 산화인듐 주석이나 산화인듐 갈륨 아연은, 인듐, 주석, 갈륨 및 아연 등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에는, 은 나노 와이어, 도전성 고분자막, 그래핀막 등의 도전막도 사용된다. 도전막으로서는, 그래핀막 등을 들 수 있다.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은, 각각 별도로 검출 회로(35)에 접속되고, 센싱 전극(33SP)마다의 전압이, 검출 회로(35)에 의해 검출된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과, 복수의 패드(33T)는, 센싱면(33S)에 형성된 1개의 박막이 마스크를 개재해서 에칭됨으로써, 동시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과, 복수의 패드(33T)는, 각각 별도의 공정에 의해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과, 복수의 패드(33T)는, 투명 유전체 기판(33)과는 상이한 다른 기재로 형성되고,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과, 복수의 패드(33T)가, 다른 기재로부터 투명 유전체 기판(33)에 부착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센싱면(33S),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및 복수의 패드(33T)는, 먼저 설명된 투명 접착층(23)에 의해 커버층(22)에 접합되어 있다.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
도 2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표시 패널의 일례로서 액정 패널을 도시한다.
터치 패널(20)에서는, 표시 패널(10)에 가까운 구성 요소부터 순서대로, 투명 기판(31), 드라이브 전극(31DP), 투명 접착층(32), 투명 유전체 기판(33), 센싱 전극(33SP), 투명 접착층(23) 및 커버층(22)이 위치하고 있다. 투명 접착층(32)은,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각 전극선(31L)의 둘레를 덮어, 인접하는 전극선(31L)의 사이를 매립하면서, 드라이브 전극(31DP)과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23)은,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각 전극선(33L)의 둘레를 덮어, 인접하는 전극선(33L)의 사이를 매립하면서, 센싱 전극(33SP)과 커버층(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표시 패널(10)에서는, 터치 패널(20)로부터 먼 구성 요소부터 순서대로, 표시 패널(10)의 복수의 구성 요소가 이하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터치 패널(20)로부터 먼 구성 요소부터 순서대로, 하측 편광판(11),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 기판(12), TFT층(13), 액정층(14), 컬러 필터층(15), 컬러 필터 기판(16) 및 상측 편광판(17)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TFT층(13)에는, 서브 화소를 구성하는 화소 전극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층(15)에서는, 블랙 매트릭스가, 서브 화소의 각각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고, 블랙 매트릭스가 구획하는 각 영역에는, 백색광을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의 광으로 바꾸는 착색층이 위치하고 있다.
(터치 패널의 전기적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터치 패널(20)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20)의 일례로서,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에서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이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은, 선택 회로(34), 검출 회로(35) 및 제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 회로(34)는,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출 회로(35)는, 복수의 센싱 전극(33SP)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어부(36)는, 선택 회로(34)와 검출 회로(35)에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36)는, 각 드라이브 전극(31DP)에 대한 구동 신호의 생성을 선택 회로(34)에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대상을 첫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1)으로부터 n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n)을 향해서 선택 회로(34)에 순차 주사시키기 위한 주사 타이밍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각 센싱 전극(33SP)을 흐르는 전류의 검출을 검출 회로(35)에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검출의 대상을 첫번째의 센싱 전극(33SP1)으로부터 n번째의 센싱 전극(33SPn)을 향해서 검출 회로(35)에 순차 주사시키기 위한 주사 타이밍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선택 회로(34)는, 제어부(36)가 출력한 개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제어부(36)가 출력한 주사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출력처를 첫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1)으로부터 n번째의 드라이브 전극(31DPn)을 향해서 주사한다.
검출 회로(35)는, 신호 취득부(35a)와 신호 처리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취득부(35a)는, 제어부(36)가 출력한 개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각 센싱 전극(33SP)에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인 전류 신호의 취득을 개시한다. 그리고, 신호 취득부(35a)는, 제어부(36)가 출력한 주사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신호의 취득처를 첫번째의 센싱 전극(33SP1)으로부터 n번째의 센싱 전극(33SPn)을 향해서 주사한다.
신호 처리부(35b)는, 신호 취득부(35a)가 취득한 각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값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압 신호를 제어부(36)를 향해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선택 회로(34)와 검출 회로(35)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바뀌는 전류 신호로부터 전압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선택 회로(34) 및 검출 회로(35)가, 터치 패널용 전극을 구동하는 주변 회로의 일례이다.
제어부(36)는, 신호 처리부(35b)가 출력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0)에서 사용자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터치 패널(20)은, 상술한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에 한하지 않고, 자기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전극(31DP, 33SP))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을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적층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배치 및 센싱 전극선(33L)의 배치를 설명하는 편의상,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선 폭 및 센싱 전극선(33L)의 선 폭이 과장되어 있다.
(드라이브 전극(31DP))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된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띠 형상 전극이다. 즉,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의 면적은, 드라이브면(31S)에 있어서,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간극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에서 서로 동등하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은,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은,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이외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제1 배열 방향(D1)에 있어서, 복수의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과 겹치는 위치이다. 복수의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중간 전극 폭(WPM)으로서 설정되고, 중간 전극 폭(WPM)은, 예를 들어 5.4mm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배열 방향(D1)에 있어서, 2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의 내측과 표시면(10S)의 외측에 걸치는 위치이다. 2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각각에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단부 전극 폭(WPE)으로서 설정되고, 단부 전극 폭(WPE)은,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게, 예를 들어 4.8mm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으므로, 모든 드라이브 전극(31DP)이, 중간 전극 폭(WPM)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전극 폭(WPE)과 중간 전극 폭(WPM)을 갖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는, 센싱의 대상 영역 이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센싱의 대상 영역이란,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 중, 표시면(10S)과 겹치는 부분이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에 있어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은, 예를 들어 6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즉,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에 있어서,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의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차지하는 총 면적은, 드라이브면(31S)에서 균일하며 서로 동등하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보다도 커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과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의 1/2인 3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고, 또한 제2 전극부의 일례로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갖는 부분이 포함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으므로,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간극 전체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보다도 크다. 바꿔 말하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면적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비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다고는 하지만,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정전 용량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 드라이브 전극(31DP)에서의 단위 면적이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 2개 이상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보다도 치밀하게 배치된다. 이 점에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면, 치밀하게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면,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에서의 밀도의 변동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작아질수록,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정전 용량은 커진다. 이 점에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면,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정전 용량에 기인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센싱 전극선(33L)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동도 억제된다.
(센싱 전극(33SP))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센싱 전극(33SP)은,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된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을 포함하고 있고,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연장하는 대향 띠 형상 전극이다. 즉,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의 면적은, 센싱면(33S)에 있어서, 9개의 센싱 전극선(33L)과,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에서 서로 동등하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은,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배열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는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33SP)은, 단부 센싱 전극(33S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단부 센싱 전극(33SE) 이외의 센싱 전극(33SP)은, 중간 센싱 전극(33S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제2 배열 방향(D2)에 있어서, 복수의 중간 센싱 전극(33SM)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과 겹치는 위치이다. 복수의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중간 전극 폭(WSM)으로서 설정되고, 중간 전극 폭(WSM)은, 중간 전극 폭(WPM)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5.4mm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배열 방향(D2)에 있어서, 2개의 단부 센싱 전극(33SE)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의 내측과 표시면(10S)의 외측에 걸치는 위치이다. 2개의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단부 전극 폭(WSE)으로서 설정되고, 단부 전극 폭(WSE)은,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고, 단부 전극 폭(WPE)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4.8mm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으므로, 모든 센싱 전극(33SP)이, 중간 전극 폭(WSM)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전극 폭(WSE)과 중간 전극 폭(WSM)을 갖는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는, 센싱의 대상 영역 이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억제된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에 있어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센싱 전극선 폭(W3L)으로서 설정되고, 센싱 전극선 폭(W3L)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으로서 설정되고, 센싱 전극선간 폭(W3W)은, 예를 들어 6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과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즉, 복수의 센싱 전극(33SP)에 있어서, 센싱 전극(33SP)마다의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이 차지하는 총 면적은, 센싱면(33S)에서 균일하며 서로 동일하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의 폭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의 폭보다도 커도 된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과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은, 예를 들어 센싱 전극선간 폭(W3W)의 1/2인 3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고, 또한 제2 전극부의 일례로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작으므로,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 전체가,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보다도 크다. 바꿔 말하면,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는, 센싱 전극(33SP)의 면적에 대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비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다고는 하지만, 단부 센싱 전극(33SE)의 정전 용량이, 중간 센싱 전극(33SM)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 센싱 전극(33SP)에서의 단위 면적이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 2개 이상의 센싱 전극선(33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만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센싱 전극선(33L)은,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은, 센싱 전극선간 폭(W3W)를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보다도 치밀하게 배치된다. 이 점에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이,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치밀하게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은,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면,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에서의 밀도의 변동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작아질수록, 센싱 전극선(33L)간의 정전 용량은 커진다. 이 점에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면, 센싱 전극선(33L)간의 정전 용량에 기인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센싱 전극선(33L)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동도 억제된다.
(정전 용량의 수치 계산 결과)
이어서, 수치 계산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수치 계산에서는, 먼저, 각 구성 부재의 두께, 비유전율 및 시트 저항을 이하의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커버층(22)의 상측 및 투명 기판(31)의 하측에, 두께가 1mm이며, 또한 비유전율이 1.00인 대기층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5mm를 갖고,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5mm를 갖는 직사각형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라플라스 방정식을 유한 요소법에 의해 푸는 수치 계산을 이용하여,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산출한다.
·커버층(22) 두께: 700㎛/비유전율: 6.00
·투명 접착층(23) 두께: 75㎛/비유전율: 2.60
·전체 센싱 전극선(33L) 두께: 2㎛/시트 저항: 0.168Ω/□
·투명 유전체 기판(33) 두께: 100㎛/비유전율: 3.25
·투명 접착층(32) 두께: 50㎛/비유전율: 2.60
·전체 드라이브 전극선(31L) 두께: 2㎛/시트 저항: 0.168Ω/□
·투명 기판(31) 두께: 100㎛/비유전율: 3.25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 600㎛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 300㎛
·센싱 전극선간 폭(W3W) 600㎛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 300㎛
상술한 조건 하에서의 수치 계산 결과에서는, 대상 영역이 중간 센싱 전극(33SM)인 경우 및 대상 영역이 단부 센싱 전극(33SE)인 경우의 어떤 경우든,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은 1.01pF이다. 이에 비해, 예를 들어 중간 센싱 전극(33SM)을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33L)이 8개인 경우에는, 중간 센싱 전극(33SM)과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의 사이의 정전 용량은, 0.79pF까지 저하된다.
여기서, 단부 전극 폭(WPE)을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게 하는 구성으로서는,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 포함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개수를 적게 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부 전극 폭(WSE)을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게 하는 구성으로서는, 단부 센싱 전극(33SE)에 포함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개수를 적게 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극선(31L, 33L)의 개수가 단순히 적은 구성에서는, 상기 수치 계산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및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정전 용량이, 다른 전극(31DP, 33SP)에서의 정전 용량보다도 낮아져버린다.
이에 대해, 상술한 구성이라면, 단부 전극 폭(WPE, WSE)을 갖는 전극(31DP, 33S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31L, 33L)의 면적이, 다른 전극(31DP, 33S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31L, 33L)의 면적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상기 수치 계산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전극 폭(WPE, WSE)을 갖는 전극(31DP, 33SP)에서도, 다른 전극(31DP, 33SP)과 동일한 정도의 정전 용량이 얻어진다.
이어서, 수치 계산을 이용해서 얻어지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전압 분포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이 평면에서 볼 때 교차하는 부위에서의 전압 폭이 1.0으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는, 교차하는 부위에서의 전압 폭에 대하여, 0.8배 이상 1.0배 이하의 전압 폭을 나타내는 영역이, 제1 전압 영역(Z1)으로서 설정되고, 0.7배 이상 0.8배 미만의 전압 폭을 나타내는 영역이, 제2 전압 영역(Z2)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교차하는 부위에서의 전압 폭에 대하여, 0.2배 이상 0.7배 미만의 전압 폭을 나타내는 영역이, 제3 전압 영역(Z3)으로서 설정된다.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전압 분포의 수치 계산에서는, 먼저, 정전 용량의 수치 계산과 동일하게, 각 구성 부재의 두께, 비유전율 및 시트 저항을 설정한다. 또한, 커버층(22)의 상측 및 투명 기판(31)의 하측에, 두께가 1mm이며, 또한 비유전율이 1.00인 대기층을 설정한다. 그리고, 센싱 전극(33SP)에 인가하는 전압을 0V, 드라이브 전극(31DP)에 인가하는 전압을 3V 내지 20V로 변경하고, 라플라스 방정식을 유한 요소법에 의해 푸는 수치 계산을 이용하여,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전압 분포를 산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인 부위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에, 제1 전압 영역(Z1), 제2 전압 영역(Z2) 및 제3 전압 영역(Z3)이 개재한다. 그러므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이라면,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에 있어서,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섭은, 충분히 무시되는 크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인 부위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에, 제2 전압 영역(Z2) 및 제3 전압 영역(Z3)이 개재한다. 그러므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어도,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에 있어서,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섭은, 무시될 정도의 크기이다. 즉,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300㎛)이,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간격(150㎛)의 적어도 2배 이상이면,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섭은, 무시되는 정도이다.
(표시 장치의 작용)
표시 패널(10)이 표시면(10S)에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면(10S)에 표시되는 화상은, 드라이브 전극(31DP) 및 센싱 전극(33SP)을 통해서 커버층(22)의 표면에 출력된다. 커버층(22)의 표면인 조작면 중, 평면에서 보는 방향에서 표시면(10S)과 겹치는 영역은, 손가락에 의해 선택되는 부위이다.
이 때,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 중, 표시면(10S)과 겹치는 부분은,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서 설정되고, 센싱의 대상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드라이브 전극(31DP)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 중, 표시면(10S)과 겹치는 부분도,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서 설정되고, 센싱의 대상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센싱 전극(33SP)은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면에서의 화상의 출력 범위에 손가락 등이 접촉할 때에는, 드라이브 전극(31DP)과 센싱 전극(33SP)의 사이의 정전 용량이, 손가락 등이 접촉하는 부위에서 변화한다. 그리고, 정전 용량의 변화가 검출됨으로써, 조작면에서 손가락이 접촉하는 위치가 파악된다.
그리고,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으므로, 단부 전극 폭(WPE)과 중간 전극 폭(WPM)을 갖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으므로, 단부 전극 폭(WSE)과 중간 전극 폭(WSM)을 갖는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 및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는, 센싱의 대상 영역 이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으므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보다도 크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작으므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정전 용량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의 정전 용량이, 중간 센싱 전극(33SM)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1)제1 배열 방향(D1)에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폭이, 모든 드라이브 전극(31DP)에서 서로 동등한 구성에 비하여,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센싱의 대상 영역 이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억제된다.
(2)제2 배열 방향(D2)에서의 센싱 전극(33SP)의 폭이, 모든 센싱 전극(33SP)에서 서로 동등한 구성에 비하여,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센싱의 대상 영역 이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억제된다.
(3)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크다. 따라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띠 형상 전극) 바로 그것의 면적은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다른 띠 형상 전극)보다도 작아지는 한편,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의 정전 용량보다도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정전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4)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센싱 전극(33S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크다. 따라서, 단부 센싱 전극(33SE)(띠 형상 전극) 바로 그것의 면적은 다른 센싱 전극(33SP)(다른 띠 형상 전극)보다도 작아지는 한편, 다른 센싱 전극(33SP)의 정전 용량보다도 단부 센싱 전극(33SE)의 정전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5)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임으로써,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띠 형상 전극(즉,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보다도 높아진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높아질 때,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크기의 변경 및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형상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6)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임으로써,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띠 형상 전극(즉, 중간 센싱 전극(33SM))보다도 높아진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높아질 때, 센싱 전극선(33L)의 크기의 변경 및 센싱 전극선(33L)의 형상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7)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인 부분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과,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이, 서로 다른 전극으로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 포함되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의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갖는 부분은, 다른 띠 형상 전극으로서의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과 서로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과 중간 드라이브 전극의 경계선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8)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인 부분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부 센싱 전극(33SE)과, 중간 센싱 전극(33SM)이, 서로 다른 전극으로서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 포함되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의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갖는 부분은, 다른 띠 형상 전극으로서의 중간 센싱 전극(33SM)과 서로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단부 센싱 전극(33SE)과 중간 센싱 전극(33SM)의 경계선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9)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에서의 전압 폭에 관한 간섭이 억제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에서의 전압 폭에 관한 간섭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및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이나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또한 억제된다.
또한, 단부 띠 형상 전극(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단부 센싱 전극(33SE)) 내에서의 전극선(드라이브 전극선(31L), 센싱 전극선(33L))간의 정전 용량이, 투명 유전체 기재를 통한 정전 용량보다도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단부 띠 형상 전극에서의 정전 용량의 검출 정밀도가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검출 정밀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또한 억제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전체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은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어도 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도 마찬가지로, 단부 센싱 전극(33SE)에 포함되는 모든 센싱 전극선(33L)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작은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과 동일해도 된다. 이 때,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은 구성이면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과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제1 드라이브 전극선으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는,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보다도 적은 개수의 제1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는 한편, 제1 전극선의 일례인 제1 드라이브 전극선 이외에, 또한 제2 전극선의 일례인 제2 드라이브 전극선(35L)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 때, 제2 드라이브 전극선(35L)은, 제1 드라이브 전극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드라이브 전극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면적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높아진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 드라이브 전극선의 간격이 드라이브면(31S)에서 유지되므로, 제1 드라이브 전극선의 밀도 분포가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 단위 면적이란, 2개 이상의 제1 드라이브 전극선과, 1개 이상의 제2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또한, 제2 드라이브 전극선(35L)이 포함되는 구성이어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아도 된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과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센싱 전극선(33L)이, 제1 전극선의 일례인 제1 센싱 전극선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단부 센싱 전극(33SE)에는, 중간 센싱 전극(33SM)보다도 적은 개수의 제1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는 한편, 제1 센싱 전극선 이외에, 또한 제2 전극선의 일례인 제2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구성에 준한 이점이,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 얻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 또한 상기 제2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되고,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단부 센싱 전극(33SE)에, 또한 상기 제2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전체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은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며, 또한 그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 상기 제2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 전체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작은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며, 또한 그 단부 센싱 전극(33SE)에, 상기 제2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는,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보다도 큰 선 폭을 갖는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게, 또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면적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보다도 큰 구성이라면, 상기에 준한 이점은 얻어진다. 이 때, 단위 면적이란, 2개 이상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는,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 폭(W3L)보다도 큰 선 폭을 갖는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게, 또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의 면적이,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 중간 센싱 전극(33SM)보다도 큰 구성이라면, 상기에 준한 이점은 얻어진다. 이 때, 단위 면적이란, 2개 이상의 센싱 전극선(33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되며, 또한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사이의 거리인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은,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세트마다 상이한 크기이어도 된다. 요컨대,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사이의 거리인 센싱 전극선간 폭(W3W)은,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조마다 상이한 크기이어도 된다. 요컨대,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센싱의 대상 영역은,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 중, 표시면(10S)과 겹치는 부분 이외이어도 된다. 또한, 센싱 대상 영역은,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 중, 표시면(10S)과 겹치는 부분 이외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센싱의 대상 영역은, 터치 센서용 전극(21), 터치 패널(20) 및 표시 패널(10) 중 적어도 1개에서의 구조나 제조 공정으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고유로 정해지는 영역이어도 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제1 배열 방향(D1)에서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전극(31DP)만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제2 배열 방향(D2)에서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33SP)만이, 단부 센싱 전극(33SE)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과 동일해도 된다. 또는,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은, 센싱 전극선간 폭(W3W)과 동일해도 된다. 요컨대,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작은, 또는 ,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작은 구성이면 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은, 드라이브 전극선의 밀도를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의 밀도보다도 높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요컨대,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작고,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면적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센싱 전극선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단부 센싱 전극(33SE)은, 센싱 전극선의 밀도를 중간 센싱 전극(33SM)의 밀도보다도 높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요컨대,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작게,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의 면적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단부 전극 폭(WPE)은, 중간 전극 폭(WPM) 이상이어도 되고, 단부 전극 폭(WSE)은, 중간 전극 폭(WSM) 이상이어도 된다. 요컨대, 배열 방향에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띠 형상 전극(단부 띠 형상 전극)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띠 형상 전극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드라이브 전극(31DP)이 대향 띠 형상 전극(제2 띠 형상 전극)이며, 센싱 전극(33SP)이 띠 형상 전극(제1 띠 형상 전극)이어도 된다.
·제1 기재가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함과 함께, 제2 기재가 복수의 대향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고, 투명 유전체 기재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포함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명 유전체 기재가 갖는 용량이, 제1 기재의 용량과 제2 기재의 용량에 의해 정해지므로, 투명 유전체 기재가 갖는 용량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1 기재가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함과 함께, 제2 기재가 복수의 대향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고, 투명 유전체 기재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 유전체 기재는,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기재와 제2 기재 중 어느 1개에 의해 투명 유전체 기재가 구성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재의 두께가 과잉으로 두꺼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의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표시면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의 위치, 단부 드라이브 전극의 구성, 표시면에 대한 센싱 전극의 위치 및 단부 센싱 전극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주로 상이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을 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 각각은, 드라이브 전극과 센싱 전극의 배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도 5에 대응한다.
(드라이브 전극(31DP))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된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배열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띠 형상 전극이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의 면적은, 표시면(10S)과 평행한 면인 드라이브면 상에 있어서,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간극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은, 평면에서 보는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은,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이외의 드라이브 전극(31DP)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제1 배열 방향(D1)에 있어서, 복수의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과 겹치는 위치이다. 복수의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중간 전극 폭(WP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전극 폭(WPM)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을 구성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접속처인 패드(31T)가 갖는 폭과 동일하다.
제1 배열 방향(D1)에 있어서, 2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각각은, 표시면(10S)과 대향하는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단부 전극 폭(WP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전극 폭(WPE)은,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을 구성하는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접속처인 패드(31T)가 갖는 폭과 동일하고,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크다.
단부 전극 폭(WPE)이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크므로, 모든 드라이브 전극(31DP)이, 중간 전극 폭(WPM)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전극 폭(WPE)과 중간 전극 폭(WPM)을 갖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는, 센싱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부족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각각에 있어서, 제1 배열 방향(D1)에 따른 길이는,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은, 예를 들어 6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즉,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에 있어서,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의 9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은, 드라이브면에서 균일하며 서로 동등하다.
또한,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이, 드라이브 전극(31DP)간에서 서로 동등한 범위라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보다도 굵은 폭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폭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보다도 좁은 폭을 포함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과,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으로서 설정되고,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의 2배인 12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고, 또한 제2 전극부의 일례로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크므로, 드라이브 전극선(31L)간의 간극 모두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면적보다도 작다. 즉,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 드라이브 전극(31DP)의 면적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의 면적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보다도 작다. 이 때, 드라이브 전극(31DP)에서의 단위 면적이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 2개 이상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여기서, 드라이브면에서 표시면(10S)과 대향하는 영역은, 터치 센서의 기능이 요구되는 센싱의 대상 영역에 상당한다. 종래의 터치 센서와 같이, 모든 드라이브 전극(31DP)이 중간 전극 폭(WPM)을 가질 때, 센싱의 대상 영역의 단부에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중간 전극 폭(WPM)과 단부 전극 폭(WPE)의 차에 상당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간극을 매립하기 위해, 센싱의 대상 영역의 단부에는, 새로운 1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부가되어지고, 또한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부터 밀려 나온 부분은 없어진다.
이 점에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큰 구성이라면, 새롭게 1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부가되어지지 않고, 센싱의 대상 영역이, 드라이브 전극(31DP)에 의해 매립된다. 그리고,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이, 드라이브 전극(31DP)간에서 서로 동등하므로, 제1 배열 방향(D1)에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정전 용량이,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를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보다도 성기게 배치된다. 이 점에서,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두고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드라이브 전극(31D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성기게 배열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센싱 전극(33SP))
1개의 센싱 전극(33SP)은,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연장하는 꺾은선 형상으로 형성된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을 포함하고 있고, 제1 배열 방향(D1)을 따라 연장하는 띠 형상 전극이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의 면적은, 표시면(10S)과 평행한 면인 센싱면 상에 있어서, 9개의 센싱 전극선(33L)과,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을 포함한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은, 평면에서 본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33SP)은, 단부 센싱 전극(33S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단부 센싱 전극(33SE) 이외의 센싱 전극(33SP)은, 중간 센싱 전극(33S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제2 배열 방향(D2)에 있어서, 복수의 중간 센싱 전극(33SM) 각각의 위치는, 표시면(10S)과 겹치는 위치이다. 복수의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중간 전극 폭(WSM)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전극 폭(WSM)은, 중간 센싱 전극(33SM)을 구성하는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의 접속처인 패드(33T)가 갖는 폭과 동일하다.
제2 배열 방향(D2)에 있어서, 2개의 단부 센싱 전극(33SE) 각각은, 표시면(10S)과 대향하는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단부 전극 폭(WSE)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전극 폭(WSE)은, 단부 센싱 전극(33SE)을 구성하는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의 접속처인 패드(33T)가 갖는 폭과 동일하고,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크다.
단부 전극 폭(WSE)이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크므로, 모든 센싱 전극(33SP)이, 중간 전극 폭(WSM)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전극 폭(WSE)과 중간 전극 폭(WSM)을 갖는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에서는,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서는, 센싱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부족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복수의 센싱 전극선(33L) 각각에 있어서, 제2 배열 방향(D2)에 따른 길이는, 센싱 전극선 폭(W3L)으로서 설정되고, 센싱 전극선 폭(W3L)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으로서 설정되고, 센싱 전극선간 폭(W3W)은, 예를 들어 6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과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즉,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에 있어서, 센싱 전극(33SP)마다의 9개의 센싱 전극선(33L)이 차지하는 총 면적은, 센싱면에서 균일하며 서로 동등하다.
또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이, 센싱 전극(33SP)간에서 서로 동등한 범위라면,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의 폭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보다도 굵은 폭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의 폭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33L)보다도 좁은 폭을 포함해도 된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선(33L)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과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으로서 설정되고,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은, 예를 들어 센싱 전극선간 폭(W3W)의 2배인 1200㎛로 설정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33SE)에는, 제1 전극부의 일례로서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고, 또한 제2 전극부의 일례로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갖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크므로, 센싱 전극선(33L)간의 간극 모두가,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갖는 구성에 비하여,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면적보다도 작다. 즉,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 센싱 전극(33SP)의 면적에 대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 센싱 전극(33SP)의 면적에 대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보다도 작다. 이 때, 센싱 전극(33SP)에서의 단위 면적이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 2개 이상의 센싱 전극선(33L)이 포함되는 크기이다.
여기서, 센싱면에서 표시면(10S)과 대향하는 영역은, 터치 센서의 기능이 요구되는 센싱의 대상 영역에 상당한다. 종래의 터치 센서와 같이, 모든 센싱 전극(33SP)이 중간 전극 폭(WSM)을 가질 때, 센싱의 대상 영역의 단부에는, 센싱 전극(33SP)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중간 전극 폭(WSM)과 단부 전극 폭(WSE)의 차에 상당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간극을 매립하기 위해서,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는, 새로운 1개의 센싱 전극(33SP)이 부가되어지고, 또한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부터 밀려 나온 부분이 없어진다.
이 점에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큰 구성이라면, 새롭게 1개의 센싱 전극(33SP)이 부가되어지지 않고, 센싱의 대상 영역이, 센싱 전극(33SP)에 의해 매립된다. 그리고, 센싱 전극(33SP)마다의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이, 센싱 전극(33SP)간에서 서로 동등하므로, 제2 배열 방향(D2)에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정전 용량이,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센싱 전극선(33L)은,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은, 센싱 전극선간 폭(W3W)을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보다도 성기게 배치된다. 이 점에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두고 배열되는 센싱 전극선(33L)이, 센싱 전극(33SP)이 배열되는 영역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성기게 배열하는 센싱 전극선(33L)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1), (2), (7) 및 (8)에 준한 이점 외에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10)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단부 전극 폭(WPE)은, 중간 전극 폭(WPM)보다도 크고,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은,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작다. 그로 인해, 터치 센서로서 요구되는 영역 모두에 띠 형상 전극이 배열되도록, 배열 방향에서의 단부에 새로운 띠 형상 전극이 부가되어지고, 그 띠 형상 전극의 일부가 없어지는 구성, 즉,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이 드라이브 전극(31DP)으로부터 제외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는,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과 동일한 정도의 정전 용량이 쉽게 얻어진다. 즉,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정전 용량이 다른 드라이브 전극(31DP)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11)단부 센싱 전극(33SE)의 단부 전극 폭(WSE)은 중간 전극 폭(WSM)보다도 크고,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은, 다른 센싱 전극(33SP)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작다. 그로 인해, 터치 센서로서 요구되는 영역 모두에 띠 형상 전극이 배열되도록, 배열 방향에서의 단부에 새로운 띠 형상 전극이 부가되어지고, 그 띠 형상 전극의 일부가 없어지는 구성, 즉, 센싱의 대상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이 센싱 전극(33SP)으로부터 제외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는, 다른 센싱 전극(33SP)과 동일한 정도의 정전 용량이 쉽게 얻어진다. 즉, 단부 센싱 전극(33SE)의 정전 용량이 다른 센싱 전극(33SP)의 정전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12)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임으로써,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띠 형상 전극(즉,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보다도 작아진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을 억제할 때,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크기의 변경 및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형상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13)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임으로써,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이, 다른 띠 형상 전극(즉, 중간 센싱 전극(33SM))보다도 작아진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전극선의 면적을 억제할 때, 센싱 전극선(33L)의 크기의 변경 및 센싱 전극선(33L)의 형상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 전체에서,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간격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큰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어도 된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도 마찬가지로, 단부 센싱 전극(33SE)에 포함되는 모든 센싱 전극선(33L)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간격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큰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어도 된다.
·도 10의 좌측 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갖고 접속선의 일례인 2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사이에, 드라이브 전극선(31L)과는 상이한 비접속선의 일례인 더미 패턴(33DL)이 위치해도 된다. 이 때, 더미 패턴(33DL)은,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패턴(33DL)은, 패드(31T)로부터 간극부(31C)를 두고 위치하고, 또한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극부(31C)는, 센싱의 대상 영역과 패드(31T)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갖는 2개의 센싱 전극선(33L)의 사이에, 센싱 전극선(33L)과는 상이한 더미 패턴(31DL)이 위치해도 된다. 이 때, 더미 패턴(31DL)은, 센싱 전극선(33L)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패턴(31DL)은, 센싱 전극선(33L)의 접속처인 패드(33T)로부터 간극(33C)를 두고 위치하고, 또한 센싱 전극선(33L)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극(33C)은, 센싱의 대상 영역과 패드(33T)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이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패턴(33DL)은, 2 이상의 간극부(31C)에 의해 분할된 형상이어도 되고, 또한 더미 패턴(31DL)도 동일하고, 2 이상의 간극(33C)에 의해 분할된 형상이어도 된다. 이 때, 2 이상의 간극부(31C)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의 간극(33C)도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31DP)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10) 내지 (13)에 준한 이점 외에 이하의 이점도 얻어진다.
(14)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과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이 서로 상이한 띠 형상 전극으로서 시인되는 것도 억제된다.
(15)단부 센싱 전극(33SE)과 중간 센싱 전극(33SM)이 서로 상이한 띠 형상 전극으로서 시인되는 것도 억제된다.
(16)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더미 패턴(33DL)이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1개의 패드(31T)에 접속하는 10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을 형성하고, 10개의 드라이브 전극선(31L) 중 1개를 간극부(31C)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더미 패턴(33DL)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넓은 폭인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을 가진 간극에 더미 패턴(33DL)을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용이하다.
(17)센싱 전극선(33L)과 더미 패턴(31DL)이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1개의 패드(33T)에 접속하는 10개의 센싱 전극선(33L)을 형성하고, 10개의 센싱 전극선(33L) 중 1개를 간극(33C)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더미 패턴(31DL)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넓은 폭인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을 가진 간극에 더미 패턴(31DL)을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용이하다.
(18)간극부(31C)나 간극(33C)은, 센싱의 대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드라이브 전극선(31L)과 더미 패턴(33DL)이 서로 다른 전극선인 것, 또한 센싱 전극선(33L)과 더미 패턴(31DL)이 서로 다른 전극선인 것이 시인되는 것도 억제된다.
(19)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33SP)의 사이에 간극부(31C)가 위치하는 구성이라면, 더미 패턴(33DL)이 갖는 부유 용량이, 센싱 전극(33SP)마다 동등해진다. 그러므로, 부유 용량을 가진 더미 패턴(33DL)이 부가되는 구성이어도,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과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의 사이의 정전 용량이, 센싱 전극(33SP)마다 상이한 것도 억제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는,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드라이브 전극선 폭(W1L)보다도 큰 선 폭을 갖는 드라이브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이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 동등하고,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면적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비보다도 작은 구성이라면, 상기에 준한 이점은 얻어진다.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는,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센싱 전극선 폭(W3L)보다도 큰 선 폭을 갖는 센싱 전극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이 센싱 전극(33SP)마다 동등하고,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33SP)의 면적에 대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비보다도 작은 구성이라면, 상기에 준한 효과는 얻어진다.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되고, 또한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사이의 거리인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은, 서로 인접하는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조마다 상이한 크기이어도 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사이의 거리인 센싱 전극선간 폭(W3W)은, 서로 인접하는 센싱 전극선(33L)의 세트마다 상이한 크기이어도 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드라이브 전극선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은, 그 드라이브 전극선의 밀도를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밀도보다도 낮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33SP)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센싱 전극선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단부 센싱 전극(33SE)은, 그 센싱 전극선의 밀도를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밀도보다도 낮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단부 전극 폭(WPE)은 중간 전극 폭(WPM) 이상이어도 되고, 단부 전극 폭(WSE)은 중간 전극 폭(WSM) 이상이어도 된다.
요컨대,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이 드라이브 전극(31DP)마다 동등하고, 또한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드라이브 전극(31DP)의 면적에 대한 드라이브 전극선(31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드라이브 전극(31DM)에서의 비보다도 작은 구성이면 된다.
또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이 센싱 전극(33SP)마다 동등하고, 또한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센싱 전극(33SP)의 면적에 대한 센싱 전극선(33L)의 총 면적의 비가, 중간 센싱 전극(33SM)에서의 상기 비보다도 작은 구성이면 된다.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 중, 제1 배열 방향(D1)에서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전극(31DP)만이,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33SP) 중, 제2 배열 방향(D2)에서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33SP)만이, 단부 센싱 전극(33SE)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단부 드라이브 전극(31DE)에서의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과 동일해도 된다. 또는, 단부 센싱 전극(33SE)에서의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은, 센싱 전극선간 폭(W3W)과 동일해도 된다. 요컨대, 단부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N)이 드라이브 전극선간 폭(W1W)보다도 큰 구성, 또는, 단부 센싱 전극선간 폭(W3N)이 센싱 전극선간 폭(W3W)보다도 큰 구성이면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층(22)의 이면이 센싱면으로 설정되고, 커버층(22)의 이면이 센싱 전극(33SP)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이면이 드라이브면(31S)으로서 설정되고,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이면이 드라이브 전극(31DP)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때, 투명 기판(31)이 생략되어도 된다.
·도 13이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을 구성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에 있어서, 투명 기판(31)이 생략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면 중에서, 표시 패널(10)과 대향하는 1개의 면이 드라이브면(31S)으로서 설정되고, 드라이브면(31S)에는, 드라이브 전극(31DP)이 위치하면 된다. 그리고, 투명 유전체 기판(33)에서의 드라이브면(31S)과 대향하는 면에, 센싱 전극(33SP)이 위치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패드(31T)나 전극선(31L)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되는 1개의 박막의 패터닝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가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에서는, 표시 패널(10)에 가까운 구성 요소부터 순서대로, 드라이브 전극(31DP), 투명 기판(31), 투명 접착층(32), 투명 유전체 기판(33), 센싱 전극(33SP), 투명 접착층(23), 커버층(22)이 위치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전극(31DP)을 구성하는 패드(31T)나 전극선(31L)이, 투명 기판(31)의 1개의 면인 드라이브면(31S)에 형성되고, 센싱 전극(33SP)을 구성하는 패드(33T)나 전극선(33L)이, 투명 유전체 기판(33)의 1개의 면인 센싱면(33S)에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 기판(31)에서 드라이브면(31S)과 대향하는 면과, 투명 유전체 기판(33)에서 센싱면(33S)과 대응하는 면이, 투명 접착층(32)에 의해 접착된다.
·터치 패널(20)과 표시 패널(10)은, 개별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터치 패널(20)은, 표시 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용 전극(21) 중, 복수의 드라이브 전극(31DP)이 TFT층(13)에 위치하는 한편, 복수의 센싱 전극(33SP)이 컬러 필터 기판(16)과 상측 편광판(17)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센서용 전극(21)이 컬러 필터 기판(16)과 상측 편광판(17)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Claims (15)

  1. 하나의 방향인 배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전극 각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전극선의 집합이며,
    상기 띠 형상 전극마다의 상기 복수의 전극선의 총 면적은, 복수의 상기 띠 형상 전극에서 균일하고,
    상기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띠 형상 전극과,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 이외의 다른 띠 형상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 띠 형상 전극에 있어서, 동일 띠 형상 전극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전극선의 총 면적의 비를 면적비로 하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는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보다도 크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제1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과 동등하고, 또한 상기 제1 전극부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과 동등한, 터치 센서용 전극.
  2. 하나의 방향인 배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전극 각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전극선의 집합이며,
    상기 띠 형상 전극마다의 상기 복수의 전극선의 총 면적은, 복수의 상기 띠 형상 전극에서 균일하고,
    상기 복수의 띠 형상 전극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띠 형상 전극과,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 이외의 다른 띠 형상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 띠 형상 전극에 있어서, 동일 띠 형상 전극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전극선의 총 면적의 비를 면적비로 하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는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상기 면적비보다도 작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제1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과 동등하고, 또한 상기 제1 전극부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과 동등한, 터치 센서용 전극.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제2 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보다도 좁은, 터치 센서용 전극.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제2 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전극선의 면적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제2 전극부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보다도 넓은, 터치 센서용 전극.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의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이 접속하는 패드를 상기 띠 형상 전극마다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패드에 접속하는 상기 전극선인 접속선과,
    상기 패드에 접속하지 않는 비접속선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보다도 넓은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비접속선은,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 띠 형상 전극이 배열되는 표면과,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2 띠 형상 전극이 배열되는 이면을 갖는 투명 유전체 기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띠 형상 전극 및 상기 제2 띠 형상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띠 형상 전극이며,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선의 간격이,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의 간격의 2배 이상인, 터치 센서용 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띠 형상 전극의 각각은, 상기 전극선을 구성하는 제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띠 형상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띠 형상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선 이외에 제2 전극선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
  11.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센서용 전극과,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용 전극은,
    투명 유전체 기재와,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의 표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띠 형상 전극과,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의 이면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띠 형상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띠 형상 전극 및 상기 제2 띠 형상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띠 형상 전극이며,
    상기 제1 띠 형상 전극과 상기 제2 띠 형상 전극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주변 회로를 더 구비하는, 터치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는 제1 기재와,
    상기 복수의 제2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는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는,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는 제1 기재와,
    상기 복수의 제2 띠 형상 전극을 지지하는 제2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는,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 중 어느 하나인, 터치 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전체 기재는,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터치 패널.
  15.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상기 정보를 투과하는, 제11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157016602A 2013-07-08 2014-06-23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189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2398 2013-07-08
JPJP-P-2013-142398 2013-07-08
JP2014062549A JP5943023B2 (ja) 2013-07-08 2014-03-25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JP-P-2014-062549 2014-03-25
PCT/JP2014/066539 WO2015005104A1 (ja) 2013-07-08 2014-06-23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066A KR20160030066A (ko) 2016-03-16
KR102189012B1 true KR102189012B1 (ko) 2020-12-09

Family

ID=5227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602A KR102189012B1 (ko) 2013-07-08 2014-06-23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91988B2 (ko)
EP (1) EP3021200B1 (ko)
JP (1) JP5943023B2 (ko)
KR (1) KR102189012B1 (ko)
CN (1) CN104937527B (ko)
ES (1) ES2677244T3 (ko)
PT (1) PT3021200T (ko)
TW (1) TWI550453B (ko)
WO (1) WO2015005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5158B1 (en) * 2014-12-18 2020-04-15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tive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6113980A1 (ja) * 2015-01-16 2016-07-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US10203808B2 (en) * 2015-06-10 2019-02-12 Sharp Kabushiki Kaisha Positio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position input function
GB2555308B (en) * 2015-06-19 2021-01-06 Nissha Co Ltd Touch sensor provided with a circula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5467643B (zh) 2015-12-08 2018-01-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集成触控显示面板和一种触控显示设备
JP2017111592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タッチ検出装置
CN206848977U (zh) * 2016-02-19 2018-01-05 苹果公司 一种电子设备以及用于电子设备的电容式力传感器
JP6511127B2 (ja) 2017-01-05 2019-05-15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タッチセンシング電極構造物及びそれを含むタッチセンサー
KR101990343B1 (ko) 2017-03-06 2019-06-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KR102330999B1 (ko) * 2017-08-01 2021-1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7059042B2 (ja) * 2018-01-10 2022-04-25 株式会社ワコム センサパネル
JP6941133B2 (ja) 2018-03-27 2021-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部材、導電性フィルム、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導電性部材の配線パターンの作製方法、及び導電性フィルムの配線パターンの作製方法
JP7062609B2 (ja) * 2018-03-27 2022-05-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部材、導電性フィルム、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導電性部材の配線パターンの作製方法、及び導電性フィルムの配線パターンの作製方法
TWI714446B (zh) * 2020-01-22 2020-1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050A1 (ja) * 2011-09-13 2013-03-21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639B2 (ja) * 1995-12-11 2006-07-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CN101408816B (zh) * 2007-10-12 2010-12-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触摸屏的驱动方法和触摸屏显示装置
JP5174575B2 (ja) * 2008-07-31 2013-04-03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WO2010013679A1 (ja) * 2008-07-31 2010-02-04 グンゼ株式会社 面状体及びタッチスイッチ
CN102160019B (zh) * 2008-08-01 2014-01-29 3M创新有限公司 制备复合电极的方法
US8279194B2 (en) * 2009-05-22 2012-10-02 Elo Touch Solutions, Inc. Electrode configurations for projected capacitive touch screen
US8599150B2 (en) * 2009-10-29 2013-12-03 Atmel Corporation Touchscreen electrode configuration
JP5616184B2 (ja) * 2010-09-28 2014-10-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45581B2 (ja) 2010-10-05 2014-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5822637B2 (ja) * 2011-10-12 2015-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5734828B2 (ja) * 2011-12-07 2015-06-17 株式会社タッチパネル研究所 タッチパネル用構造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構造体
RU2014135546A (ru) * 2012-03-09 2016-03-27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Датчик,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052766B2 (en) * 2013-02-14 2015-06-09 Synaptics Incorporated Mesh sensor design for reduced visibility in touch screen devices
JP2014191660A (ja) * 2013-03-27 2014-10-06 Japan Display Inc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050A1 (ja) * 2011-09-13 2013-03-21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2936A (zh) 2015-04-01
TWI550453B (zh) 2016-09-21
WO2015005104A1 (ja) 2015-01-15
EP3021200A1 (en) 2016-05-18
US9791988B2 (en) 2017-10-17
PT3021200T (pt) 2018-07-17
JP5943023B2 (ja) 2016-06-29
ES2677244T3 (es) 2018-07-31
US20160026298A1 (en) 2016-01-28
CN104937527A (zh) 2015-09-23
EP3021200A4 (en) 2017-04-12
EP3021200B1 (en) 2018-04-18
JP2015035205A (ja) 2015-02-19
CN104937527B (zh) 2018-09-11
KR20160030066A (ko)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012B1 (ko)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JP6396454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470264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9857931B2 (en)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JP6559552B2 (ja)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740095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7227983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JP6391978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722798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534807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3156949A (ja) タッチパネル
JP201620675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7159857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8081486A (ja)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